KR200168052Y1 -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052Y1
KR200168052Y1 KR2019970034780U KR19970034780U KR200168052Y1 KR 200168052 Y1 KR200168052 Y1 KR 200168052Y1 KR 2019970034780 U KR2019970034780 U KR 2019970034780U KR 19970034780 U KR19970034780 U KR 19970034780U KR 200168052 Y1 KR200168052 Y1 KR 200168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ller
strap
rotary
upp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283U (ko
Inventor
맹용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70034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052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롤러와 스트랩간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차체(30)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랩(31)과, 도어패널(32)에 설치된 하우징(33)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부롤러하우징(34) 및 하부롤러하우징(35), 상기 하우징(33)과 그 상부롤러하우징(34) 및 하부롤러하우징(35)의 사이에 각각 개입되는 상부러버스프링(36) 및 하부러버스프링(37), 상기 스트랩(31)을 안내하는 상부롤러(38) 및 하부롤러(39), 스트랩(31)의 말단부위에 설치되어 도어패널(32)의 열림량을 제한하는 스토퍼(40)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하우징(34)과 하부롤러하우징(35)의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구멍(34a)(35a)을 형성하고, 이 구멍(34a)(35a)에 삽입되는 원형보스(50a)(52a)를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50)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52)을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하여 그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50)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52)의 수평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하고, 상기 상부롤러(38)와 하부롤러(39) 상기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50)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52)의 안쪽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면서 자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트랩(31)을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열림량을 제한하는 도어 체크링크의 스트랩을 직선형으로 하고, 이 스트랩을 안내하는 롤러를 수평방향 회전과 자전이 동시에 가능하도록하여 롤러와 스트랩의 미끄럼 갑섭을 줄여 소음 및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에 설치되는 힌지(11)와 힌지핀(12)에 의해 수평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곡선형의 스트랩(13)이 도어패널(14)에 설치된 하우징(15)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에 의해 개폐시에 곡선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도어패널(14)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어패널(14)의 열림량을 제한하기 위하여 스트랩(13)의 말단부위에 상기 하우징(15)에 걸리는 스토퍼(18)가 너트(19)에 의해 고정되어 있었다.
또한,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에 작용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부롤러하우징(20)과 하부롤러하우징(22)의 상하부와 하우징(15)의 사이에는 러버스프링(23)(24)이 위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체크링크는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가 상부롤러하우징(20)과 하부롤러하우징(22)에서 단지 자전운동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일정한 단면의 환봉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를 타고 안내되는 스트랩(13)이 곡선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가 스트랩(13)의 외측절곡부(13a)와 내측절곡부(13b)에서 접촉길이의 차이에 의해 미끄럼이 발생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마모현상도 가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스트랩과 이를 안내하는 롤러간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마모를 보다 줄일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체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랩과, 도어패널에 설치된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부롤러하우징 및 하부롤러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그 상부롤러하우징 및 하부롤러하우징의 사이에 각각 개입되는 상부러버스프링 및 하부러버스프링, 상기 스트랩을 안내하는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 스트랩의 말단부위에 설치되어 도어패널의 열림량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하우징과 하부롤러하우징의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삽입되는 원형보스를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을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하여 그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의 수평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하고,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상기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의 안쪽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면서 자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트랩을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에서 롤러와 스트랩의 간섭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구성을 보이는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구성을 보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차체 38 : 상부롤러
31 : 스트랩 39 : 하부롤러
32 : 도어패널 40 : 스토퍼
33 : 하우징 34a,35a : 구멍
34 : 상부롤러하우징 50a,52a : 원형보스
35 : 하부롤러하우징 50 : 상부보조하우징
36 : 상부러버스프링 52 : 하부보조하우징
37 : 하부러버스프링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구성을 보이는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구성을 보이는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30)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랩(31)과, 도어패널(32)에 설치된 하우징(33)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부롤러하우징(34) 및 하부롤러하우징(35), 상기 하우징(33)과 그 상부롤러하우징(34) 및 하부롤러하우징(35)의 사이에 각각 개입되는 상부러버스프링(36) 및 하부러버스프링(37), 상기 스트랩(31)을 안내하는 상부롤러(38) 및 하부롤러(39), 스트랩(31)의 말단부위에 설치되어 도어패널(32)의 열림량을 제한하는 스토퍼(40)로 구성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하우징(34)과 하부롤러하우징(35)의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구멍(34a)(35a)을 형성하고, 이 구멍(34a)(35a)에 삽입되는 원형보스(50a)(52a)를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50)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52)을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하여 그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50)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52)의 수평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하고, 상기 상부롤러(38)와 하부롤러(39) 상기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50)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52)의 안쪽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면서 자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트랩(31)을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하부보조하우징(52)과 상부보조하우징(50)은 "U"자형상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안쪽에 상기 상부롤러(38)와 하부롤러(39)가 자리잡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였으며,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각각 하부와 상부에서 대합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그 하부보조하우징(52)과 상부보조하우징(50)의 내측벽면에는 안쪽으로 향해 돌출되는 삼각형의 돌기부(52h)(50h)를 두어 상기 스트랩(31)과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38)와 하부롤러(39)가 위치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보조하우징(52)과 상부보조하우징(50)의 바닥면과 천정에는 반원형의 홈부(52g)(50g)를 형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0은 힌지를 나타낸 것이고, 81은 힌지핀을 나타낸 것이며, 82는 상기 스트랩(31)에 스토퍼(40)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도어패널(32)이 열리게 되면, 열리는 도어패널(32)과 함께 하우징(33)을 비롯하여 상부러버스프링(36) 및 하부러버스프링(37), 상부롤러하우징(34) 및 하부롤러하우징(35), 하부보조하우징(52) 및 상부보조하우징(50) 그리고 상부롤러(38) 및 하부롤러(39)가 스트랩(31)을 따라 운동하게 된다.
이때 스트랩(31)은 상부롤러(38) 및 하부롤러(39)에서 미끄러지게 되어 그 상부롤러(38) 및 하부롤러(39)는 자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보조하우징(52) 및 상부보조하우징(50)는 구멍(34a)(35a)과 원형보스(50a)(52a)의 수평안내작용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32)의 곡선궤적에 따라 직선형의 스트랩(31)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직선형의 스트랩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보조하우징 및 상부보조하우징에 의해 스트랩과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간의 미끄럼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존보다 소음 및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30)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랩(31)과, 도어패널(32)에 설치된 하우징(33)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부롤러하우징(34) 및 하부롤러하우징(35), 상기 하우징(33)과 그 상부롤러하우징(34) 및 하부롤러하우징(35)의 사이에 각각 개입되는 상부러버스프링(36) 및 하부러버스프링(37), 상기 스트랩(31)을 안내하는 상부롤러(38) 및 하부롤러(39), 스트랩(31)의 말단부위에 설치되어 도어패널(32)의 열림량을 제한하는 스토퍼(40)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하우징(34)과 하부롤러하우징(35)의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구멍(34a)(35a)을 형성하고, 이 구멍(34a)(35a)에 삽입되는 원형보스(50a)(52a)를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50)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52)을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하여 그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50)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52)의 수평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하고, 상기 상부롤러(38)와 하부롤러(39) 상기 회전형 상부보조하우징(50)과 회전형 하부보조하우징(52)의 안쪽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면서 자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트랩(31)을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KR2019970034780U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KR200168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80U KR200168052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80U KR200168052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83U KR19990021283U (ko) 1999-06-25
KR200168052Y1 true KR200168052Y1 (ko) 2000-03-02

Family

ID=1951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780U KR200168052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0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219B1 (ko) * 2005-11-03 2007-07-13 주식회사 동아오토모티브 복합형 도어 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83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2947A (en) Window regulator mechanism having counterbalancing member
US2724143A (en) Door checking and holding device
KR200168052Y1 (ko)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KR101734034B1 (ko) 폴딩 도어용 하부 레일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0448766B1 (ko) 자동차의 도어체커
KR100704610B1 (ko)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H087008Y2 (ja) 折り戸のランナストッパ
KR101746447B1 (ko) 회전식 도어체커 구조
JP3907249B2 (ja) 引戸構造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200149257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구조
KR100328987B1 (ko)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KR0126140Y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KR0126141Y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 가이드 구조
KR100197016B1 (ko) 자동차의 도어 체크 링크
KR100252659B1 (ko) 김치통 저장고의 도어힌지구조
KR0126152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KR920008085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970005323Y1 (ko) 샷시 창문용 호차
JP3232189B2 (ja) 折戸のヒンジ部の構造
JPS589965Y2 (ja) 折畳みドアの戸車装置
JPH0649129U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ー
KR100348075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3534858B2 (ja) 折畳み扉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