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987B1 -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987B1
KR100328987B1 KR1019990032534A KR19990032534A KR100328987B1 KR 100328987 B1 KR100328987 B1 KR 100328987B1 KR 1019990032534 A KR1019990032534 A KR 1019990032534A KR 19990032534 A KR19990032534 A KR 19990032534A KR 100328987 B1 KR100328987 B1 KR 10032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roller
vertical roller
guide
slid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160A (ko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3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9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15/104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슬라이드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도록 가이드 레일(60)을 따라 이동되는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50)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가이드 롤러 조립체(50)는 슬라이드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차체의 가이드 레일(60) 내부로 삽입된 그의 단부에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 롤러축(54)과 수직 롤러축(56)을 가지는 롤러 브라켓(52); 가이드 레일(60)의 안내면(62)(64)을 따라 회전이동되도록 수평 롤러축(54) 및 수직 롤러축(56)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 롤러(55)와 수직 롤러(57); 및 수직 롤러(57)가 수직 롤러축(5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한다. 이탈 방지부는 수직 롤러축(56)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 돌기(58)와, 수직 롤러(57)가 수직 롤러축(56)에 결합될 때 환형 돌기(58)를 수용하도록 수직 롤러(57)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 홈부(59)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이탈 방지부에 의해 수직 롤러(57)의 수직 방향의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수직 롤러(57)가 수직 롤러축(5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Guide roller assembly of a slide doo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미끄럼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도록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레일면에 접촉되어 회전이동되는 수직 롤러가 그를 지지하는 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이드 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는 크게 회동식 도어와 슬라이드 도어로 구분된다. 회동식 도어는 통상 차체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에 의해 개폐되며, 승용차를 비롯한 대부분의 차량에 채택되어 있다.
반면, 슬라이드 도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소형 승합차량의 뒷좌석용 도어로 많이 채택되고 있으며, 차체에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도어(1)의 미끄럼 이동에 의한 개폐시, 슬라이드 도어(1)는 그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 조립체가 차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해 그 개폐가 안내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부호 10은 가이드 롤러 조립체고, 20은 가이드 레일이다.
가이드 롤러 조립체(10)는 슬라이드 도어의 상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차종에 따라서는 도어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도어의 중간 높이에 또하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10)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롤러조립체(10)는 롤러 브라켓(12)이 슬라이드 도어에 고정되어 있으며, 롤러 브라켓(12)의 단부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롤러축(14)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 롤러축(16)이 설치되어 있다. 수평 롤러축(14)에는 수평 롤러(1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한 쌍의 수직 롤러축(16)에는 수직 롤러(17)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0)은 차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롤러 조립체(10)의 단부가 그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단면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 롤러 조립체(10)의 단부가 가이드 레일(20)의 내부로 삽입되면, 가이드 롤러 조립체(10)의 수평 롤러(15)가 가이드 레일(20)의 수평 안내면(22)에 밀착되고, 가이드 롤러 조립체(10)의 수직 롤러(17)는 가이드 레일(20)의 수직 안내면(24)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승하차를 위해 승객이 슬라이드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수평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가이드 레일(20)에 삽입된 가이드 롤러 조립체(10)의 수평 롤러(15) 및 수직 롤러(17)가 각각 가이드 레일(20)의 수평 안내면(22) 및 수직 안내면(24)을 따라 회전 이동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도어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죽,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수직 롤러축(16)이 단순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이 수직 롤러축(16)에 결합되는 수직 롤러(17)도 단순한 원통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 조립체(10)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될 때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수직 롤러(17)가 수직 롤러축(16)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수직 롤러(17)가 수직 롤러축(16)으로부터 이탈되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작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수직 롤러축이 가이드 레일의 수직 안내면에 간섭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시 이음이 발생되어 탑승객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직 롤러가 수직 롤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슬라이드 도어를 가지는 차량의 일 예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 조립체 및 안내 레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수직 롤러가 수직 롤러축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가이드 롤러 조립체 52 ; 롤러 브라켓
54 ; 수평 롤러축 55 ; 수평 롤러
56 ; 수직 롤러축 57 ; 수직 롤러
58 ; 환형 돌기 59 ; 환형 홈부
60 ; 가이드 레일 62 ; 수평 안내면
64 ; 수직 안내면
상기의 목적은, 슬라이드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차체의 가이드 레일 내부로 삽입된 그의 단부에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 롤러축과 수직 롤러축을 가지는 롤러 브라켓; 가이드 레일의 안내면을 따라 회전이동되도록 수평 롤러축 및 수직 롤러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 롤러와 수직 롤러; 및 수직 롤러가 수직 롤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이탈 방지부는 수직 롤러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 돌기와, 수직 롤러가 수직 롤러축에 결합될 때 환형 돌기를 수용하도록 수직 롤러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 홈부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이탈 방지부에 의해 수직 롤러의 수직 방향의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수직 롤러가 수직 롤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 조립체(50)는 수평 롤러축(54)과 수직 롤러축(56)이 형성된 롤러 브라켓(52)과, 수평 롤러(55), 수직 롤러(57), 및 이탈 방지부(58)(5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롤러 브라켓(52)은 슬라이드 도어의 상하단 또는 중간 일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의 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롤러축(54)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 롤러축(5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 및 수직 롤러축(54)(56)이 설치된 롤러 브라켓(56)의 단부는 가이드 레일(60)의 개구부를 통해 가이드 레일(60)의 내부로 삽입된다.
롤러 브라켓(52)의 수평 롤러축(54)에는 수평 롤러(5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롤러 브라켓(52)의 수직 롤러축(56)에는 수직 롤러(57)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수평 롤러(55)는 가이드 레일(60)의 수평 안내면(62)에 밀착되어 수평 안내면(62)을 따라 회전 이동되고, 수직 롤러(57)는 가이드 레일(60)의 수직 안내면(64)에 밀착되어 수직 안내면(64)을 따라 회전 이동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이탈 방지부는 원통 형상의 수직 롤러축(56)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 돌기(58)와, 원통관 형상을 가지는 수직 롤러(57)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 홈부(59)를 가진다. 수직 롤러(57)가 수직 롤러축(56)에 결합되면 환형 홈부(59)에 환형 돌기(58)가 수용된다. 여기서, 환형 홈부(59)가 형성된 수직 롤러(57)는 스냅 끼움 방식에 의해 환형 돌기(58)가 형성된 수직 롤러축(56)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 조립체는 수직 롤러(57)가 수직 롤러축(56)에 결합된 상태에서 환형 돌기(58)가 환형 홈부(59)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 롤러(57)의 수직 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수직 롤러(57)는 외력에 의해 수직 롤러축(5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탈 방지부에 의해 수직 롤러의 수직 방향의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수직 롤러가 수직 롤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수직 롤러가 수직 롤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불량이나, 이음 발생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수평 롤러축과 수직 롤러축을 차체의 가이드 레일 내부로 삽입되는 단부에 가지며 슬라이드 도어의 일측에 고정된 롤러 브라켓;
    상기 수평 롤러축 및 수직 롤러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안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접촉되는 수평 롤러와 수직 롤러; 및
    상기 수직 롤러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 돌기와, 상기 수직 롤러가 상기 수직 롤러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환형 돌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수직 롤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 홈부를 가지며, 상기 수직 롤러가 상기 수직 롤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KR1019990032534A 1999-08-09 1999-08-09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KR10032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534A KR100328987B1 (ko) 1999-08-09 1999-08-09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534A KR100328987B1 (ko) 1999-08-09 1999-08-09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160A KR20010017160A (ko) 2001-03-05
KR100328987B1 true KR100328987B1 (ko) 2002-03-20

Family

ID=1960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534A KR100328987B1 (ko) 1999-08-09 1999-08-09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9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613U (ko) * 1973-05-21 1975-01-29
KR880000766Y1 (ko) * 1984-09-06 1988-03-15 송재구 동축 콘넥터의 접속자(同軸 Connecter 接續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613U (ko) * 1973-05-21 1975-01-29
KR880000766Y1 (ko) * 1984-09-06 1988-03-15 송재구 동축 콘넥터의 접속자(同軸 Connecter 接續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160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9179B2 (ja) 対向型スライドドア作動装置
EP1336023B1 (en) Opening mechanism for the side sliding door of a motor vehicle
KR100328987B1 (ko)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US20020020115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slide door window
CA1232307A (en) Sliding door track guide mechanism
KR20210152622A (ko)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사이드실 가림 구조
KR102573888B1 (ko) 하이브리드 밸런싱 도어장치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JP2003314143A (ja) ケーブルエンドの連結用ホルダー
JP3265829B2 (ja) 折り畳み扉の戸車装置
KR101120311B1 (ko) 차량용 특히 모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0579057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JP3265828B2 (ja) 折り畳み扉の戸車装置
KR100348075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H059216Y2 (ko)
JPS625931Y2 (ko)
KR200156010Y1 (ko) 승합차용 리어슬라이딩 도어의 소음방지 구조
KR100405606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KR100456517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차체에 대한 장착 구조
KR100423319B1 (ko) 소음저감형 도어 체커
KR10041099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조립체
KR200168052Y1 (ko)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KR100326387B1 (ko) 자동차용 도어 첵커의 구조
KR20230056125A (ko) 슬라이딩 도어 차량 오픈시 레일부를 가려주는 플랩부구조
KR20050042854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