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772U -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772U
KR19980039772U KR2019960052844U KR19960052844U KR19980039772U KR 19980039772 U KR19980039772 U KR 19980039772U KR 2019960052844 U KR2019960052844 U KR 2019960052844U KR 19960052844 U KR19960052844 U KR 19960052844U KR 19980039772 U KR19980039772 U KR 199800397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vehicle
diagnosis
unit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2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772U/ko
Publication of KR19980039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77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의 각 부분을 자가 진단한 후 이상상태 표시시 운전자나 점검자가 고장 표시부의 점검 단자를 연결기를 통해 연결하고 발광다이오드가 점멸되면 이를 카운트하여 고장 부분을 인지하므로 고장 부위를 판별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자 진단부(10)에 의해 차량의 각 부분을 자가 진단하고 고장 부분이 검출되면 그 부분의 고유 번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30)에 저장하고, 이그니션 스위치(SW1)가 온(ON)되면 제어부(40)에서 그 저장한 고장 부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인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디지탈 숫자로 표시해주므로써 사용자나 점검자가 용이하게 고장 부위를 인지토록 해주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자가 진단 기능이 있어 각 부분의 상태를 자가 진단하고 이상 부분이 있으면 이를 멜(MAL)판넬을 통해 디스플레이해준다.
즉, 멜판넬의 소정 위치에는 자가 진단한 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부가 있으며, 이 표시부가 점등되면 사용자나 점검자는 후드내의 고장 표시부의 단자를 연결기를 통해 연결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상 부분을 표시해주는 표시부의 발광다이오드가 고장난 부분에 해당하는 번호에 대응하게 점멸되어 사용자나 점검자가 이 숫자를 카운트하면 어느 부분이 고장난지를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가 진단장치는 차량의 각 부분을 자가 진단한 후 이상상태 표시시 운전자나 점검자가 고장 표시부의 점검 단자를 연결기를 통해 연결하고 발광다이오드가 점멸되면 이를 카운트하여 고장 부분을 인지하므로 고장 부위를 판별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방법을 모르는 운전자는 고장 표시부가 점등되면 서비스센터에 고장 여부의 판별을 의뢰해야 하므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인 손실도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각부 이상상태를 자가 진단하고 고장 부분의 고유번호를 메모리에 저장시킨후 이그니션스위치가 온(ON)되면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지탈 숫자로 표시해줌으로써 고장 부위의 인지가 용이토록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고자 한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차량 각부의 이상 여부를 자가 진단하는 자가 진단부와; 상기 자가 진단부에서 출력되는 이상 부분에 대한 검출치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이상 부분에 대한 고장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그니션 스위치 온시 그 메모리에 저장한 고장 데이터를 표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고장 부분을 알리는 고장 데이터를 디지탈 숫자로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가 진단부 20: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30:메모리 40:제어부
50:디스플레이부 SW:이그니션 스위치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각부 이상상태를 자가 진단하는 자가 진단부(10)와, 상기 자가 진단부(10)에서 출력되는 이상 부분에 대한 검출치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에서 출력되는 이상 부분에 대한 고장 데이터를 메모리(30)에 저장하고 이그니션 스위치(SW1) 온시 그 메모리(30)에 저장한 고장 데이터를 표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고장 부분을 알리는 고장 데이터를 디지탈 숫자로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50)로 구성 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가 진단장치는, 먼저 자가 진단부(10)가 자가 진단 대상인 해당 부분을 순차 자가 진단을 한다.
그리고 진단을 하던중에 이상 부분이 검출되면 해당 검출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는 그 아날로그 검출치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을하여 제어부(40)에 전달 해준다.
그러면 제어부(40)는 그 전달되는 고장 데이터를 메모리(30)에 저장을 하게 되며, 이후 이그니션 스위치(SW1)의 동작 상태를 검출한다.
이때 이그니션 스위치(SW1)가 오프된 상태이면 계속해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의 출력신호를 검색하여 다른 고장 부위에 대한 진단 데이터가 전달되면 전술한 바와같이 메모리(30)에 저장을 한다.
이후, 운전자가 운전을 하기 위해 이그니션 스위치(SW1)를 온시키면 제어부(40)는 고장 표시부(도면에는 미도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차량내의 이상 부위가 있으면 경고해주고, 동시에 메모리(30)에 저장한 고장 데이터를 인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전달해준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50)는 이를 디지탈적 숫자로 표시해줌으로써 운전자는 용이하게 어느 부분에 이상이 발생 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장 부위가 한 개가 아니고 다수개 존재할 경우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이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해주어 각부의 고장 부분을 용이하게 인지토록 해준다.
또한, 상기에서 메모리(3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고장 부위의 고유 번호이며, 따라서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디지탈 숫자도 이와 동일한 고장 부위를 나타내는 고유번호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내의 이상 부분을 자가 진단하고 이상 부위가 검출되면 그 고장 부분에 대한 고유 번호를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되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지탈 숫자로 표시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용이하게 고장 부분을 인지할수 있어 안전 운행을 도모해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각부 이상상태를 자가 진단하고 고장 부분의 고유번호를 메모리에 저장시킨후 이그니션스위치가 온(ON)되면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지탈 숫자로 표시해줌으로써 고장 부위의 인지가 용이토록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고자 한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Claims (1)

  1. 차량의 각부 상태의 고장 여부를 자가 진단하는 자가 진단부(10)와; 상기 자가 진단부(10)에서 출력되는 이상 부분에 대한 검출치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에서 출력되는 이상 부분에 대한 고장 데이터를 메모리(30)에 저장하고 이그니션 스위치(SW1) 온시 그 메모리(30)에 저장한 고장 데이터를 표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고장 부분을 알리는 고장 데이터를 디지탈 숫자로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KR2019960052844U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KR199800397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844U KR19980039772U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844U KR19980039772U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772U true KR19980039772U (ko) 1998-09-15

Family

ID=5399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844U KR19980039772U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77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702A (ko) * 1998-06-29 2000-01-25 김형벽 가상 열차 시뮬레이터 장치
KR20040003426A (ko) * 2002-07-03 2004-01-13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인공지능형 통합 제어 유닛을 이용한 자기 진단 장치
KR100494914B1 (ko) * 2002-12-03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 편의장치 장착 인식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702A (ko) * 1998-06-29 2000-01-25 김형벽 가상 열차 시뮬레이터 장치
KR20040003426A (ko) * 2002-07-03 2004-01-13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인공지능형 통합 제어 유닛을 이용한 자기 진단 장치
KR100494914B1 (ko) * 2002-12-03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 편의장치 장착 인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5148B2 (ja) 車載電子制御装置
US20200298757A1 (en) Staged troubleshooting and repair of vehicle trailer lighting malfunctions
KR100580806B1 (ko) 하역 차량의 결함 진단방법
JP3252907B2 (ja) 車両における複数の制御装置の機能監視装置
JPH06174600A (ja) 状態変化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S6382843A (ja) 自動車用電子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2003509258A (ja) 自動車用電気装置の統合デジタル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H03228497A (ja) 個別非常照明設備用通信装置
JPH10161735A (ja) 重装備の分散制御システム
JPH02503898A (ja) 適応ブレーキング装置用の磁気リセットスイッチを備えた不揮発性故障表示装置
US6744735B1 (en) Diagnostic device, diagnostic method, and network system having diagnostic facility
KR19980039772U (ko) 자동차의 자가 진단장치
JP3997529B2 (ja) 車両の故障診断方法
KR100806962B1 (ko) 전동 차량의 자가진단 장치
JP2003182473A (ja) 車両用表示装置の自己診断装置
KR19980074393A (ko) 차량의 고장진단 장치
CN218534606U (zh) 用于机器人的关节、机械臂和机器人
JP2936570B2 (ja) 自動車用故障表示装置
JP5210512B2 (ja) 駆動制御装置
JPS6259154A (ja) 自動車の故障診断装置
JPS61175578A (ja) 自動車用の制御装置
KR200433546Y1 (ko) 전동 차량의 자가진단 장치
JPH10307563A (ja) 表示部故障検出装置、および表示部故障集中監視装置
KR19990025998A (ko) 차량의 엔진 고장 진단 시스템
JP2940918B2 (ja) 車両用故障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