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8816A -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8816A
KR19980038816A KR1019960057745A KR19960057745A KR19980038816A KR 19980038816 A KR19980038816 A KR 19980038816A KR 1019960057745 A KR1019960057745 A KR 1019960057745A KR 19960057745 A KR19960057745 A KR 19960057745A KR 19980038816 A KR19980038816 A KR 19980038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reservoir
fluid
windshield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7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8816A/ko
Publication of KR1998003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816A/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셔 분사노즐에서 유리창으로 분사된 와셔액을 흡입하여 와셔 저장소에 저장, 재사용와셔 함으로서, 와셔액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와셔액의 구입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유리창(1)이나 후면유리창을 향해 설치된 분사노즐(10), 와셔 저장소(12)의 와셔액을 공급관(13)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0)로 토출하는 와셔 와셔 토출펌프(11)로 구성된 와셔 유니트에 있어서, 와셔 유니트의 와셔 저장소(12)에 흡입관(17)으로 연결된 와셔 유입펌프(16)가 설치되고, 전면유리창(1) 또는 후면유리창의 하단에 분사노즐(10)로부터 분사된 와셔액을 와셔 유입펌프(16)를 통해 흡입하는 흡입구(20)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와셔 유입펌프(1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셔 분사노즐에서 유리창으로 분사된 와셔액을 흡입하여 와셔 저장소에 저장, 재사용함으로서, 와셔액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와셔액의 구입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우천시나 짙은 안개시 전면유리창에 형성되는 물방울을 닦아 내리도록 하는 와이퍼 유니트가 구비되어 있어, 물방울이 형성됨으로 인한 전면 시야가 불량해지는 것을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먼지나 흙탕물 등의 오물에 의해 전면유리창이 오염될 경우 와셔액을 전면유리창에 분사하는 와셔 유니트가 구비되어 있어, 와셔액을 분사하는 동시에 상기한 와이퍼를 구동시켜 오물을 세척할 수 있었다.
그럼, 여기서 종래 자동차에 전면유리창 와이퍼 유니트 및 와셔 유니트를 구비한 한예를 도시하였는 바, 먼저 와이퍼 유니트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유리창(101)에 접촉되는 고무 접촉부재(110a) 및 곡면으로 전면유리창(101)에 그 고무 접촉부재(110a)를 균일하게 밀착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구(110b)로 이루어진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면유리창(110)에 슬라이딩시키도록 링크 기구로 이루어진 와이퍼 암(111)과, 그 와이퍼 암(111)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와이퍼 스위치(113)의 선택에 따라 와이퍼 암(111)을 구동시키는 와이퍼 모터(112)를 구성되어 있다.
한편, 와셔 유니트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유리창(101)을 향하여 본네트(102)의 상단 양측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와셔 분사노즐(120)과, 와셔액을 저장 및 공급하는 와셔 저장소(122)와, 그 와셔 저장소(122)의 와셔액을 공급관(123)을 통해 와셔 분사노즐(120)로 토출하는 와셔 토출펌프(121)로 구성되어 있고, 와셔 토출펌프(120)는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워셔 스위치(124)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와이퍼 유니트 및 와셔 유니트를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는, 먼저 우천시 와이퍼 스위치(113)를 온시키게 되면, 와이퍼 모터(112)의 구동축이 회전하면서 와이퍼 암(11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회전력을 전달 받은 와이퍼 암(111)은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전면유리창(101)에 밀착시키며 왕복시킨다. 이때, 전면유리창(101)에 밀착된 상태로 와이퍼 암(111)과 동기 왕복되는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고무 접촉부재(110a)는 전면유리창(101)의 빗물을 닦아 내린다.
한편, 우천시가 아닌 상태에서 전면유리창(101)이 먼지 및 흙탕물로 오염된 경우, 와셔 스위치(124)를 온시키게 되면, 와셔 토출펌프(121)가 동작된다. 동작되는 와셔 토출펌프(121)는 와셔 저장소의 와셔액을 공급관(123)을 통해 와셔 분사노즐(120)로 압송하고, 그 압송된 와셔액은 와셔 분사노즐(120)에 의해 전면유리창(101)에 분사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 유니트를 구동시켜 와이퍼 블레이드(110)로 하여금 전면유리창(101)의 오물을 세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와셔 유니트에 있어서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즉, 일단 분사 노즐에서 분사된 와셔액은 유리창에서 흘러 노면이나 빗물을 따라 하천으로 흘러들게 되었다. 특히, 와셔액은 합성 세제를 이용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의 하나였고, 동절기에 동결되지 않도록 활성제 또는 방청제가 첨가되게 되므로 환경오염을 더욱 가중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셔 분사노즐에서 유리창으로 분사된 와셔액을 흡입하여 와셔 저장소에 저장, 재사용함으로서, 와셔액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셔 저장소의 와셔액을 공급관을 통해 분사노즐로 토출하는 와셔 토출펌프로 구성된 와셔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와셔 저장소에 흡입관으로 연결된 와셔 유입펌프가 설치되고, 전면유리창 또는 후면유리창의 하단에는 분사노즐로부터 전면유리창으로 분사된 와셔액을 와셔 유입펌프를 통해 흡입하는 흡입구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와셔 토출펌프 및 와셔 유입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전면유리창 와이퍼 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 자동차 전면 유리창 와셔 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사노즐 11 : 와셔 토출펌프
12 : 와셔 저장소 13 : 공급관
14 : 와셔 스위치 15 : 제어모듈
16 : 와셔 유입펌프 17 : 흡입관
18 : 필터 19 : 솔레노이드 밸브
20 : 흡입구 21 : 가이드 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유리창(1)을 향하여 본네트(2)의 상단 양측에 분사노즐(10)이 돌출되게 장착되고, 그 와셔 저장소(12)의 와셔액을 와셔액을 공급관(13)을 통해 분사노즐(10)로 토출하는 와셔 토출펌프(1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와셔 저장소(12)에는 흡입관(17)으로 연결된 와셔 유입펌프(16)가 설치되고, 전면 유리창의 하단에는 분사노즐(10)로부터 전면유리창(1)으로 분사된 와셔액을 와셔 유입펌프(16)를 통해 흡입하는 흡입구(20)가 다수개 설치되고, 그 흡입구(20)의 양측단에는 와셔액이 흡입구(20)로 원활히 유도되도록 하는 가이드 띠(21)가 부착된다. 가이드 띠(21)는 흡입구(2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와셔 유입펌프(16)와 흡입구(20) 사이의 흡입관(17)에는 와셔 유입펌프(16)의 진공압을 일정압으로 유지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19)가 설치되며, 와셔 유입펌프(16)와 와셔 저장소(12) 사이의 흡입관(17)에는 흡입되는 와셔액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18)가 설치된다.
그리고, 와셔 토출펌프(11)와 와셔 유입펌프(16) 및 솔레노이드 밸브(19)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이 마련된다.
그 제어모듈(15)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워셔 스위치가 온되면 와셔 토출펌프(11)를 일정시간(일정량 와셔액이 분사노즐(10)을 통해 전면유리창(1)으로 분사되는 시간) 동안 구동시키고, 일정시간(와이퍼 유니트의 구동이 완료되는 시간) 동안 지연 후 와셔 유입펌프(16) 구동 및 솔레노이드 밸브(19)를 온시키며, 다시 일정시간(분사된 와셔액의 흡입이 완료되는 시간) 동안 지연 후, 와셔 유입펌프(16) 정지 및 솔레노이드 밸브(19)를 오프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우천시가 아닌 상태에서 전면유리창(1)이 먼지 및 흙탕물로 오염된 경우, 와셔 스위치(14)를 온시키게 되면, 제어모듈(15)은 와셔 스위치(14)의 온인가를 판단한다. 그 결과 온으로 판단되면 와셔 토출펌프(11)를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킨다.
상기 와셔 토출펌프(11)가 구동되는 와셔 토출펌프(11)는 와셔 저장소(12)의 와셔액을 공급관(13)을 통해 와셔 분사노즐(10)로 압송하고, 그 압송된 와셔액은 와셔 분사노즐(10)에 의해 전면유리창(1)에 분사하게 된다. 와셔액이 분사된 후, 운전자는 와이퍼 유니트의 와셔를 구동시켜 와이퍼 블레이드(30)로 하여금 전면유리창(1)의 오물을 세척하도록 한다.
이렇게 와이퍼가 구동되면서부터 구동이 완료되기까지의 일정시간이 지연되면, 다시 제어모듈(15)에서는 와셔 유입펌프(16) 구동을 구동시킨 후, 솔레노이드 밸브(19)를 온시킨다. 이때, 흡입구(20)는 와셔 유입펌프(16)의 진공압을 통해 전면유리창(1)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띠(21)를 따라 안내되는 와셔액을 흡입하게 된다. 이렇게 흡입구(20)로 흡입되는 와셔액은 흡입관(17)을 따라 필터(18)를 거쳐 와셔 저장소(12)로 저장된다.
상기 와셔 유입펌프(16)의 구동에 의해 분사되었던 와셔액이 와셔 저장소(12)로 거의 다 흡입 저장되기까지의 일정시간이 지연되면, 와셔 유입펌프(16) 정지 및 솔레노이드 밸브(19)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와셔 저장소(12)의 와셔액은 분사노즐(10)을 통해 분사되고, 다시 흡입구(20)를 통해 필터링되면서 와셔 저장소(12)로 복귀되는 순환과정을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사노즐에서 유리창으로 분사된 와셔액을 외부로 방출하지 않고, 흡입하여 와셔 저장소에 저장, 재사용함으로서 와셔액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셔액을 필터링하여 재사용하게 되므로 와셔액의 구입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3)

  1. 와셔 유니트의 와셔 저장소(12)에 흡입관(17)으로 연결된 와셔 유입펌프(16)가 설치되고, 전면유리창(1) 또는 후면유리창의 하단에 분사노즐(10)로부터 분사된 와셔액을 와셔 유입펌프(16)를 통해 흡입하는 흡입구(20)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와셔 유입펌프(1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20)의 양측단에 흡입구(2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가이드 띠(21)가 다수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유입펌프(16)와 상기 와셔 저장소(12) 사이의 흡입관(17)에는 흡입되는 와셔액을 필터링하는 필터(1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KR1019960057745A 1996-11-26 1996-11-26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KR19980038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745A KR19980038816A (ko) 1996-11-26 1996-11-26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745A KR19980038816A (ko) 1996-11-26 1996-11-26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816A true KR19980038816A (ko) 1998-08-17

Family

ID=6648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745A KR19980038816A (ko) 1996-11-26 1996-11-26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88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7613A (en) Automotive wiper apparatus with combined operation of spraying and wiping
KR19980038816A (ko) 자동차 와셔액 재사용장치
KR100427340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 장치
KR200150398Y1 (ko) 와이퍼 와셔 시스템
KR19990002983U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세척장치
KR200269220Y1 (ko) 워셔액 분사 장치
KR19980035399U (ko) 자동차 윈도우 와이퍼의 잔류 유리세정액 제거장치
KR100398110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 장치
KR0177087B1 (ko) 윈드 시일드 워셔 노즐 수납장치
KR200360676Y1 (ko) 입환 기관차의 세정액 공급장치
KR100535142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워셔 장치의 제어 방법
KR19980046184U (ko) 차량용 와이퍼장치
KR100523588B1 (ko) 차량용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48752U (ko) 윈드실드 와셔액분사장치
KR19980035452U (ko) 차량의 워셔액 분사장치
KR19990024742U (ko) 자동차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워셔 노즐장치
KR19980017613U (ko)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
KR20080053543A (ko) 차량 속도에 따른 와셔액 분무량 자동 조절 장치
KR20030003482A (ko) 자동차의 동결 방지용 와셔액 분사장치
JPH07309213A (ja) フロントガラスの清浄装置
KR19980048751U (ko) 윈드실드 와셔액분사장치
KR19980039742U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압 조절장치
KR19980041122U (ko) 자동차의 윈드 와셔
KR19980054273A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38832A (ko) 자동차 전면유리창 성애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