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613U -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613U
KR19980017613U KR2019960031001U KR19960031001U KR19980017613U KR 19980017613 U KR19980017613 U KR 19980017613U KR 2019960031001 U KR2019960031001 U KR 2019960031001U KR 19960031001 U KR19960031001 U KR 19960031001U KR 19980017613 U KR19980017613 U KR 199800176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windshield
washer
glass molding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건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1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613U/ko
Publication of KR19980017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61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로, 전면유리(20)를 외측에서 완충 지지하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11) 내부에 몰딩 길이방향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배구(12)와;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11) 내부의 상기 워셔액 분배구(12)에서 전면유리(20)측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사구(14)를 구성하고 세정액이 전면유리 전면적에 골고루 퍼지게 도포되어 오염물질 제거로 인해 상용되는 세정액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전면유리의 전면부에 거의 도포되어 와이퍼 블레이드의 이상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드 시일드 글라스의 오물질을 윈드 시일드 글라스의 전면에 걸쳐 워셔액을 도포 제거하여 주는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드 시일드(앞면 유리)에 먼지나 물이 묻었을 때 그대로 와이퍼로 닦으면 와이퍼 블레이드와 윈드 시일드 유리가 손상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윈드 시일드 와셔를 부착하며, 와이퍼가 작동하기 전에 세정액을 윈드 시일드 앞면에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런, 자동차 윈드 시일드 워셔(wind shield washer)의 종류는 세정액을 분출시키는 펌프의 형식에 따라 나누어지며, 수동식과 전기식이 있다.
수동식은 운전석내에 있는 수동 펌프를 작동시키면 탱크내의 세정액이 펌프로 가압되어 분출하는 것이다.
전기식은 모터를 회전시켜 펌프를 연속적으로 작동시켜 세정액을 분출시키는 것으로 모터의 스위치를 위느시일드 와이퍼와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이런 전기식은 저수탱크, 모터, 배관, 노즐로 이루어져 있으며, 펌프는 모터 케이스 내에 조립되어 있다. 모터는 페라이트 자석식이 사용되며, 전기자 축의 하단에는 펌프가 조립되어 있다. 노즐에는 단공식과 복공식이 있으며 각각 엔진 후드 등의 정해진 장소에 장치되어 있으며, 모터와는 비닐 호스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워셔 스위치는 윈드시일드 스위치와 연동하고 있으며, 스위치를 화살표방향으로 누르면 모터가 회전한다. 이 경우 와이퍼 스위치를 당기면 와이퍼도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이런, 윈드 시일드 펌프의 수압은 0.8kg/cm2정도이고, 분사높이는 2∼3m, 1회의 사이클은 약 5초이며, 분사량은 25∼40cc이다.
그리고, 세정액은 빙결을 방지하기 위해 에틸렌글리콜, 메탄올 등의 부동액을 주 재료로 하고 세정제, 방부제 등이 들어 있다. 또 1∼2%의 비눗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종래의 윈드 시일드 워셔는 세정액을 윈드시일드 글라스의 일정부위만을 도포하게 되어 도포되지 않은 곳을지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이상 마모를 가지고와 일정기간 후에는 윈드 시일드 글라스에 묻은 오염물질이 잘 닦이지 않게 되고, 또한 차량의 주행시에는 세정액이 공기중으로 비산되어 소모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면유리를 외측에서 완충 지지하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 내부에 몰딩 길이방향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배구와,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 내부의 상기 워셔액 분배구에서 전면유리측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사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전면유리를 외측에서 완충 지지하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 내부에 몰딩 길이방향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배구와,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 내부의 상기 워셔액 분배구에서 전면유리측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사구와, 상기 워셔액 분배구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워셔액 공급관과, 상기 워셔액 분배구에 한몸 고정된 워셔액 공급관의 타측에 끼움 결합되는 워셔 펌프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 확대한 단면도.
도 2는 보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발췌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
11: 몰딩 몸체12: 워셔액 분배구
14: 워셔액 분사구20: 전면유리
30: 와셔액 공급관40: 워셔 펌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보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발췌 사시도로, 전면유리(20)를 외측에서 완충 지지하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11) 내부에 몰딩 길이방향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배구(12)와;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11) 내부의 상기 워셔액 분배구(12)에서 전면유리(20)측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사구(14)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또, 전면유리(20)를 외측에서 완충 지지하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11) 내부에 몰딩 길이방향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배구(12)와;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11) 내부의 상기 워셔액 분배구(12)에서 전면유리(20)측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사구(14)와; 상기 워셔액 분배구(14)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워셔액 공급관(30)과; 상기 워셔액 분배구(14)에 한몸 고정된 워셔액 공급관(30)의 타측에 끼움 결합되는 워셔 펌프(4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10)의 워셔액 분배구(12)에서 전면유리(20)측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는 워셔액 분사구(12)는, 도 1과 같이 전면유리(20)와 끝단부에서 떨어 뜨려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전면유리(20)와 끝단부에서 맞붙여 워셔액 분배구(12)에서 토출되는 세정액이 전면유리(20)상에서 넓게 퍼져 도포되게 구성시키기만 하면 된다.
워셔액 분배구(12)는 전면유리(20)의 상측에 위치한 글라스 몰딩(10)까지만 워셔액 분배구(12)를 통공 형성시켜서 워셔펌프(40)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전면유리(20)의 상부측에서만 워셔액을 분배하는 3∼4곳 정도의 워셔액 분사구(14)를 형성시켜 세정액이 워셔펌프(40)의 압력으로 넓은 범위로 널리 퍼지게 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워셔펌프(40)를 작동시키면 워셔액 공급관(14)을 통해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10)의 통공인 워셔액 분배구(12)를 통해 세정액이 흐르게 된다.
이때, 전면유리(20) 상부측의 글라스 몰딩(10)의 워셔액 분사구(12)를 통해 워셔액은 전면유리(20)로 토출되고, 그 압력으로 전면유리(20)의 전면으로 퍼지고 와이퍼가 작동되어 진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둥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세정액이 전면유리 전면적에 골고루 퍼지게 도포되어 오염물질 제거로 인해 상용되는 세정액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전면유리의 전면부에 거의 도포되어 와이퍼 블레이드의 이상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생산비를 줄이면서 윈드시일드 글라스의 전면에 골고루 세정액을 도포시킬 수 있어 오염을 손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Claims (2)

  1. 전면유리(20)를 외측에서 완충 지지하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11) 내부에 몰딩 길이방향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배구(12)와;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11) 내부의 상기 워셔액 분배구(12)에서 전면유리(20)측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사구(1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
  2. 전면유리(20)를 외측에서 완충 지지하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11) 내부에 몰딩 길이방향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배구(12)와;
    상기 글라스 몰딩 몸체(11) 내부의 상기 워셔액 분배구(12)에서 전면유리(20)측으로 통공 형성된 워셔액 분사구(14)와;
    상기 워셔액 분배구(14)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워셔액 공급관(30)과;
    상기 워셔액 분배구(14)에 한몸 고정된 워셔액 공급관(30)의 타측에 끼움 결합되는 워셔 펌프(4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
KR2019960031001U 1996-09-24 1996-09-24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 KR199800176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001U KR19980017613U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001U KR19980017613U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613U true KR19980017613U (ko) 1998-07-06

Family

ID=5397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001U KR19980017613U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61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7613U (ko) 자동차 윈드 시일드 글라스 몰딩과 몰딩을 이용한 자동차의 워셔액 공급장치
KR100262087B1 (ko) 에어압을이용한와이퍼장치
KR100447319B1 (ko) 와이퍼 암에 구비된 워셔액 분사 구조
KR0145376B1 (ko) 자동차용 와셔장치
KR19990009373U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523588B1 (ko) 차량용 와셔액 분사장치
KR0166326B1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빗물제거장치
KR200434262Y1 (ko) 워셔액 분사구를 구비한 차량용 와이퍼
KR19980035452U (ko) 차량의 워셔액 분사장치
KR19990024742U (ko) 자동차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워셔 노즐장치
KR19990020465A (ko) 차량용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48223U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와셔액 분사장치
KR20040038488A (ko) 와이퍼액 분사노즐
JPH07309213A (ja) フロントガラスの清浄装置
KR19980046184U (ko) 차량용 와이퍼장치
KR19990019560U (ko) 세척액 분사노즐의 설치구조
KR19980039241U (ko) 자동차의 윈드와셔 분사 구조
KR19980055135U (ko) 차량의 와셔액 분사장치
KR19990024374U (ko) 자동차의 열선내장형 와셔액 탱크
KR19980016253A (ko) 버스용 윈드실드 와셔
KR19980048317U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23084A (ko) 와셔 일체형 자동차 와이퍼 어셈블리 구조
KR20020020078A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노즐
KR19980013522U (ko)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41122U (ko) 자동차의 윈드 와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