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301U - 베어링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베어링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301U
KR19980031301U KR2019960044449U KR19960044449U KR19980031301U KR 19980031301 U KR19980031301 U KR 19980031301U KR 2019960044449 U KR2019960044449 U KR 2019960044449U KR 19960044449 U KR19960044449 U KR 19960044449U KR 19980031301 U KR19980031301 U KR 199800313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press
pair
supply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4541Y1 (ko
Inventor
김태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44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541Y1/ko
Priority to CN97117357A priority patent/CN1184216A/zh
Priority to RU97114871A priority patent/RU2144154C1/ru
Publication of KR19980031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3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3Escapement mechanisms us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7Picking-up and plac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10Force connections, e.g. cl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베어링 압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베어링 압입장치는, 회전자가 재치되는 회전자재치대와; 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무빙블록(moving block)에 그 본체 및 피스톤로드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압입실린더와, 상기 회전자재치대에 재치되는 회전자의 모터축과 동축선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무빙블록에 그 각각이 결합된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압입실린더가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가 서로 근접됨으로써 상기 모터축의 양측에 한 쌍의 베어링이 압입되도록 된 베어링압입부와; 상기 베어링압입부의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에 각각 베어링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공급부; 및 상기 베어링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압입부의 베어링수용부내로 정확히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무빙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어링 압입장치
본 고안은 베어링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히는 모터축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어 모터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을 모타축에 동시에 압입하는 베어링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란 통상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인 동력으로 변환시키는 기계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모터는 통상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자 및 이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자를 그 필수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고정자 및 회전자는 모터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통상 적층철심에 코일이 권선되거나 또는 알미늄이 캐스팅(casting)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코일이나 알미늄을 통하여 전류가 흐름으로써, 적층철심에 자기장이 생성되고, 이 고정자철심과 회전자철심에 생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자가 회전됨으로써, 전기적 에너지가 기계적 동력으로 변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는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또한, 이 고정자의 내부에서 회전자가 회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어 있는 모터축은 한 쌍의 베어링에 의하여 그 상부 및 하부에서 하우징에 지지되는 구조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모터축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의 베어링을 압입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는 이와 같은 베어링 압입작업에 사용되는 종래의 베어링 압입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의하면, 이와 같은 종래의 베어링 압입장치(10)는, 한 쌍의 베어링(4)이 가삽입된 회전자(1)를 수용하는 하측지그(12)와, 상기 하측지그(12)에 재치된 회전자(1)의 모터축(2)에 가삽입된 베어링(4)을 가압하여 이를 완전히 삽입시키기 위한 상측지그(17)로 구성된다.
상기 하측지그(12)는 프레임(1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3)에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탑재되어 있으며, 또한 그 전방에는 작업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1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측지그(12)의 상측에 위치된 상측지그(17)는 레버(16)에 의하여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상지그프레임(15)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베어링 압입장치(10)를 이용하여 회전자(1)의 모터축(2)의 상하에 한 쌍의 베어링(4)을 압입하기 위하여는, 작업자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지그(12)에 한 쌍의 베어링(14)이 가삽입된 회전자(1)를 재치시키게 된다.
하측지그(12)에의 회전자(1) 및 베어링(4)의 재치가 끝나며, 작업자는 한 쪽 손으로 하측지그(12)의 전방에 마련된 손잡이(14)를 잡고 상기 하측지그(12)를 후방으로 밀어 상측지그(17)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 후, 다른 한 손으로 레버(16)를 돌려 상측지그(17)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전자(1)의 모터축(2)에 가삽입된 한 쌍의 베어링(4)을 모터축(2)의 한 쌍의 E-링(3)이 삽입된 위치까지 가압하여 밀어 넣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베어링 압입장치(10)에 의하면, 작업자가 직접 한 쌍의 베어링(4)을 모터축(2)에 가삽입하고, 또한 이를 하측지그(12)의 소정의 위치에 재치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레버(16)를 돌려서 상측지그(17)를 이송시켜야 하기 때문에, 베어링의 압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베어링 압입장치(10)에 의하면, 하측지그(12)에 재치된 회전자(1)의 모터축(2)이 정확히 수직을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모터축(2)의 상측에 가삽입된 베어링(4)이 상측지그(17)와 일치되지 않아 베어링(4)의 압입에 과도한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모터축(2)이나 베어링(2)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베어링 압입장치(10)에 의하면, 작업자가 그 자신의 힘으로 직접 레버(16)를 돌려서 베어링(4)을 모터축(2)에 가압하여야 하기 때문에, 베어링의 압입작업에 작업자의 과도한 노동력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 즉, 본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베어링 압입장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회전자 및 베어링의 공급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회전자의 모터축에 한 쌍의 베어링을 동시에 압입할 수 있는 베어링 압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베어링 압입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압입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압입장치의 베어링공급부의 요부를 도시하는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압입장치의 베어링압입부에 의하여 베어링이 압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절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압입장치의 베어링공급부로부터 베어링압입부로 베어링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절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프레임22; 작동스위치
30; 회전자재치대40; 베어링압입부
41; 가이드레일42; 무빙블록
43; 압입실린더44; 실린더본체
45; 피스톤로드46; 베어링수용부
47; 스토퍼블록50; 베어링공급부
51; 공급부프레임52; 베어링적재대
53; 베어링푸셔54; 베어링푸셔실린더
55; 베어링안내부56; 게이트
57; 게이트개폐실린더60; 스토퍼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베어링이 압입될 모터축이 결합된 회전자가 재치되는 회전자재치대와; 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무빙블록(moving block)에 그 본체 및 피스톤로드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압입실린더와, 상기 회전자재치대에 재치되는 회전자의 모터축과 동축선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무빙블록에 그 각각이 결합된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압입실린더가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가 서로 근접됨으로써 상기 모터축의 양측에 한 쌍의 베어링이 압입되도록 된 베어링압입부와; 상기 베어링압입부의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에 각각 베어링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공급부; 및 상기 베어링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압입부의 베어링수용부내로 정확히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무빙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압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자재치대에 재치된 회전자의 모터축과 동축선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공급된 한 쌍의 베어링을,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회전자 쪽으로 서로 근접되도록 실린더를 이용하여 가압하게 되면, 작업자의 노동력에 의하지 않고도 회전자의 모터축의 양측에 한 쌍의 베어링을 용이하게 압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압입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압입장치(20)는 회전자재치대(30)와, 베어링압입부(40), 및 베어링공급부(5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자재치대(30)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V자형의 요홈이 형성되어, 이에 재치되는 회전자(1)의 외주면이 이 V자형 요홈의 표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압입부(40)는 프레임(21)의 상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무빙블록(moving block)(42)에 그 본체(44) 및 피스톤로드(45)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압입실린더(43)와, 상기 한 쌍의 무빙블록(42)에 그 각각이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46)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46)는 회전자재치대(30)에 재치되는 회전자(1)의 모터축(2)과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무빙블록(42) 사이의 프레임(21)상에는 모터축(2)의 양측에 압입될 베어링(4)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스토퍼블록(stopper block)(4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공급부(50)는 공급부프레임(51)과, 베어링적재대(52)와, 베어링푸셔(53)와, 베어링공급실린더(54)와, 베어링안내부(55)와, 게이트(56), 및 게이트개폐실린더(57)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프레임(51)은 베어링압입부(40)가 그 하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그 하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부프레임(51)의 상면에는 복수의 베어링이 적재되는 베어링적재대(5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적재대(52)의 하면에는 하나의 베어링이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어링공급실린더(54)에 의하여 베어링푸셔(53)가 작동되면, 이 공간을 통하여 베어링적재대(52)에 적재된 베어링(4)중 가장 밑에 있는 베어링(4)이 상기 베어링안내부(55)쪽으로 밀려서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안내부(55)는 베어링적재대(52)로부터 이탈된 베어링(4)을 인수 할 수 있도록 베어링적재대(52)의 하면에 마련된 공간에 연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구비하여 베어링(4)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공급부프레임(51)의 하부에 위치된 베어링압입부(40)의 베어링수용부(46)내로 낙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56)는 공급부프레임(51)에 장착된 게이트개폐실린더(57)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게이트(56)는, 베어링(4)이 공급될 때에는 베어링안내부(55)를 통하여 진입된 베어링(4)이 상기 베어링수용부(4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베어링수용부(46)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또한 베어링(4)의 공급이 끝나면 베어링압입부(40)가 회전자재치대(3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압입부(4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무빙블록(60)은 프레임(21)의 상면에 부착된 복수의 스토퍼(60)에 의하여 각각 그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수용부(46)의 위치가 결정되어, 상기 베어링공급부(50)로부터 공급되는 베어링(4)이 베어링압입부(40)의 베어링수용부(46)내로 정확히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22)는 작동스위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압입장치(20)는, 베어링압입부(40)의 베어링수용부(46)에 베어링이 공급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회전자재치대(30)에 그 모터축(2)에 E-링(3)이 삽입된 회전자(1)를 재치시킨 후, 작동스위치(22)를 누르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실린더(43)가 수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압입실린더(43)의 실린더본체(44) 및 피스톤로드(45)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무빙블록(42)이 동시에(실제로는 어느 한 쪽이 먼저 움직이기 시작하고, 다른 쪽이 나중에 움직이게 되나, 여기서는 이를 동시라고 표현한다) 가이드레일(41)을 따라 회전자재치대(30)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무빙블록(42)에 장착된 베어링수용부(46)에 수용되어 있는 베어링(4)이 회전자재치대(30)에 재치되어 있는 회전자(1)의 모터축(2)에 압입된다.
상기 한 쌍의 무빙블록(42)은 프레임(21)의 상면에 장착된 스토퍼블록(47)에 의하여 그 양쪽 모두가 저지될 때까지 회전자재치대(30) 쪽으로 이동되며, 상기 스토퍼블록(47)에 의하여 양쪽의 무빙블록(42)이 모두 저지되면 모터축(2)에의 베어링(4)의 압입이 끝나게 된다.
베어링(4)의 압입작업이 끝나면, 압입실린더(43)는 다시 확장되며,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무빙블록(42)이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이동되게 되고, 이 때, 상기 무빙블록(42)은 프레임(21)에 고정된 복수의 스토퍼(60)에 의하여 저지될 때까지 이동되어, 이 위치에서 베어링(4)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5 참조).
무빙블록(42)의 이동이 완료되면, 베어링공급부(50)의 게이트개폐실린더(57)가 작동되어, 게이트(56)가 하강되며, 이 하강된 게이트(56)에 의하여 베어링수용부(46)의 개구부가 폐쇄된다.
베어링수용부(46)의 개구부가 폐쇄되면, 베어링공급실린더(54)가 작동되며, 이에 의하여 베어링푸셔(53)가 베어링적재대(52)에 적재된 베어링(4)중 가장 밑에 있는 베어링(4)을 밀어 베어링안내부(55)의 경사면쪽으로 이탈시킨다.
상기 베어링안내부(55)로 진입된 베어링(4)은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베어링압입부(40)의 베어링수용부(46)내로 낙하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46)에로의 베어링(4)의 공급이 끝나면, 상기 게이트개폐실린더(57)에 의하여 게이트(56)가 상승되어 베어링수용부(46)의 개구부가 다시 개방되며, 이와 동시에 베어링공급실린더(54)에 의하여 적재된 베어링(4)으로부터 베어링푸셔(53)가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적재된 베어링이 그 자중에 의하여 공급부프레임(51)의 상면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다시 회전자재치대(30)에 회전자(1)를 재치시킨 후, 작동스위치(22)를 누르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압입장치에 의하면, 회전자(1)를 회전자재치대(30)에 올려놓고 작동스위치(22)를 누르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베어링(4)이 공급되면서 베어링(4)의 압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자(1) 및 베어링(4)의 공급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회전자(1)의 모터축(2)에 한 쌍의 베어링(4)을 동시에 압입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베어링이 압입될 모터축이 결합된 회전자가 재치되는 회전자재치대와;
    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무빙블록(moving block)에 그 본체 및 피스톤로드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압입실린더와, 상기 회전자재치대에 재치되는 회전자의 모터축과 동축선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무빙블록에 그 각각이 결합된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압입실린더가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가 서로 근접됨으로써 상기 모터축의 양측에 한 쌍의 베어링이 압입되도록 된 베어링압입부와;
    상기 베어링압입부의 한 쌍의 베어링수용부에 각각 베어링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공급부; 및
    상기 베어링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압입부의 베어링수용부내로 정확히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무빙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재치대에는 V자형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자는 그 외주면이 상기 V자형 요홈의 표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회전자재치대에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재치대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압입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무빙블록 사이의 프레임상에는 상기 회전자재치대에 재치되는 회전자의 모터축에 압입될 한 쌍의 베어링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스토퍼블록(stopper block)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무빙블록 사이의 프레임상에는 상기 회전자재치대에 재치되는 회전자의 모터축에 압입될 한 쌍의 베어링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스토퍼블록(stopper block)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공급부는, 상기 베어링압입부가 그 하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급부프레임과, 상기 공급부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며 또한 공급될 복수의 베어링이 적재되는 베어링적재대와, 상기 베어링적재대에 적재된 베어링중 가장 밑에 있는 베어링을 상기 베어링적재대로부터 밀어서 이탈시키는 베어링푸셔와, 상기 베어링푸셔를 전후진시키는 베어링공급실린더와, 상기 베어링적재대로부터 이탈된 베어링을 상기 공급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된 베어링압입부의 베어링수용부내로 안내하는 베어링안내부와, 상기 베어링안내부를 통하여 베어링이 진입될 때에는 상기 베어링수용부로부터 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개구부를 막아주고 또한 상기 베어링수용부로의 베어링의 공급이 끝나면 상기 베어링압입부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개구부를 열어주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를 개폐시켜주는 게이트개폐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공급부는, 상기 베어링압입부가 그 하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급부프레임과, 상기 공급부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며 또한 공급될 복수의 베어링이 적재되는 베어링적재대와, 상기 베어링적재대에 적재된 베어링중 가장 밑에 있는 베어링을 상기 베어링적재대로부터 밀어서 이탈시키는 베어링푸셔와, 상기 베어링푸셔를 전후진시키는 베어링공급실린더와, 상기 베어링적재대로부터 이탈된 베어링을 상기 공급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된 베어링압입부의 베어링수용부내로 안내하는 베어링안내부와, 상기 베어링안내부를 통하여 베어링이 진입될 때에는 상기 베어링수용부로부터 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개구부를 막아주고 또한 상기 베어링수용부로의 베어링의 공급이 끝나면 상기 베어링압입부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개구부를 열어주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를 개폐시켜주는 게이트개폐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공급부는, 상기 베어링압입부가 그 하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급부프레임과, 상기 공급부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며 또한 공급될 복수의 베어링이 적재되는 베어링적재대와, 상기 베어링적재대에 적재된 베어링중 가장 밑에 있는 베어링을 상기 베어링적재대로부터 밀어서 이탈시키는 베어링푸셔와, 상기 베어링푸셔를 전후진시키는 베어링공급실린더와, 상기 베어링적재대로부터 이탈된 베어링을 상기 공급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된 베어링압입부의 베어링수용부내로 안내하는 베어링안내부와, 상기 베어링안내부를 통하여 베어링이 진입될 때에는 상기 베어링수용부로부터 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개구부를 막아주고 또한 상기 베어링수용부로의 베어링의 공급이 끝나면 상기 베어링압입부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개구부를 열어주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를 개폐시켜주는 게이트개폐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공급부는, 상기 베어링압입부가 그 하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급부프레임과, 상기 공급부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며 또한 공급될 복수의 베어링이 적재되는 베어링적재대와, 상기 베어링적재대에 적재된 베어링중 가장 밑에 있는 베어링을 상기 베어링적재대로부터 밀어서 이탈시키는 베어링푸셔와, 상기 베어링푸셔를 전후진시키는 베어링공급실린더와, 상기 베어링적재대로부터 이탈된 베어링을 상기 공급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된 베어링압입부의 베어링수용부내로 안내하는 베어링안내부와, 상기 베어링안내부를 통하여 베어링이 진입될 때에는 상기 베어링수용부로부터 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개구부를 막아주고 또한 상기 베어링수용부로의 베어링의 공급이 끝나면 상기 베어링압입부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개구부를 열어주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를 개폐시켜주는 게이트개폐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장치.
KR2019960044449U 1996-11-30 1996-11-30 베어링 압입장치 KR200144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449U KR200144541Y1 (ko) 1996-11-30 1996-11-30 베어링 압입장치
CN97117357A CN1184216A (zh) 1996-11-30 1997-08-13 压装轴承装置
RU97114871A RU2144154C1 (ru) 1996-11-30 1997-08-14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рессовки подшипников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449U KR200144541Y1 (ko) 1996-11-30 1996-11-30 베어링 압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301U true KR19980031301U (ko) 1998-08-17
KR200144541Y1 KR200144541Y1 (ko) 1999-06-15

Family

ID=1947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449U KR200144541Y1 (ko) 1996-11-30 1996-11-30 베어링 압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44541Y1 (ko)
CN (1) CN1184216A (ko)
RU (1) RU2144154C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572B1 (ko) 2006-06-27 2007-07-02 반도코리아 주식회사 아이들러 조립장치
KR100734573B1 (ko) * 2006-06-27 2007-07-02 반도코리아 주식회사 아이들러 조립방법
CN105436870A (zh) * 2016-01-15 2016-03-30 利欧集团股份有限公司 电机的转子与轴承的自动组装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6915C (zh) * 2006-12-27 2008-12-31 江苏万工科技集团有限公司 在曲轴上压装轴承的方法
KR100761026B1 (ko) 2007-04-11 2007-09-21 송병호 베어링 압입장치
CN101242124B (zh) * 2008-03-11 2010-06-23 镇江中船现代发电设备有限公司 励磁机压装专用工具
CN102931772B (zh) * 2011-08-09 2015-09-16 南车洛阳机车有限公司 电机轴承压装机
CN103949872B (zh) * 2014-04-14 2016-08-17 宁波狮球通风机电有限公司 轴承压装装置
CN104196900B (zh) * 2014-08-20 2017-02-01 中联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背对背布置的圆锥滚子轴承外圈的压装工具
CN107671494A (zh) * 2017-11-20 2018-02-09 新大洲本田摩托有限公司 一种滤毒罐安装橡胶的装配工装及其使用方法
CN108777537A (zh) * 2018-08-28 2018-11-09 江苏大中电机股份有限公司 集成超高效电机端盖、轴承一体冷压装置及系统
CN109366140B (zh) * 2018-09-03 2023-09-19 日照长运工业输送设备有限公司 用于多规格托辊装配的全自动压装机
CN109048776A (zh) * 2018-10-09 2018-12-21 莱芜环球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轴承座拆装器
CN109926978B (zh) * 2019-03-31 2024-04-26 浙江联宜电机有限公司 转子轴上压轴承装置
CN110238629B (zh) * 2019-07-19 2024-05-03 苏州康克莱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小尺寸轴承压装设备
CN112025255B (zh) * 2020-07-27 2022-06-17 浙江联宜电机有限公司 转子两端压轴承方法
CN111963577B (zh) * 2020-07-31 2022-04-29 山东轴研精密轴承有限公司 一种轴承单元组装方法和组装设备
CN114083263B (zh) * 2021-11-29 2023-05-12 四川国软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轴承组件的压装装置及方法
KR102630311B1 (ko) 2023-11-02 2024-01-29 강현규 볼스크루의 베어링 동시 압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572B1 (ko) 2006-06-27 2007-07-02 반도코리아 주식회사 아이들러 조립장치
KR100734573B1 (ko) * 2006-06-27 2007-07-02 반도코리아 주식회사 아이들러 조립방법
CN105436870A (zh) * 2016-01-15 2016-03-30 利欧集团股份有限公司 电机的转子与轴承的自动组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44154C1 (ru) 2000-01-10
KR200144541Y1 (ko) 1999-06-15
CN1184216A (zh) 199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4541Y1 (ko) 베어링 압입장치
KR101942184B1 (ko) 로터와 스테이터 및 하우징의 조립 장치
RU97114871A (ru) Устройство ля запрессовки подшипников
CN108480914B (zh) 永磁电机装配流水线用轴承感应加热全自动压入机
CN112894300A (zh) 一种自动化电机转子组装设备
JP3904937B2 (ja) モータ組立装置
CN210232140U (zh) 一种电机转子组装设备
CN210744973U (zh) 装配长铁心永磁电机内置式转子永磁体的装置
CN211830509U (zh) 一种带有上料器的电机定子自动压装机
CN115301815A (zh) 一种异步电机生产用冲孔装置
CN213105411U (zh) 一种磁铁安装装置
CN114665674A (zh) 新能源汽车用电机的定子与机壳的套装工装
JPS6135781B2 (ko)
CN110798031A (zh) 装配长铁心永磁电机内置式转子永磁体的装置
KR19980065210A (ko) 로터의 e-링 및 마그네트 삽입장치
US4266336A (en) Fixtures and methods for dynamo servicing
CN116978745B (zh) 一种快速分闸永磁机构的自动化装配设备
JPS5914343A (ja) 回転軸圧入装置
CN215964477U (zh) 点油机构
CN219053502U (zh) 一种新能源汽车电机端盖销钉压装装置
CN219812065U (zh) 一种马达生产绕线装置
CN219643759U (zh) 一种永磁电机的安装检修平台
CN216390764U (zh) 插磁钢机
EP0341111A1 (fr) Dispositif pour la mise en place d'inserts dans un moule
CN216027863U (zh) 一种电流起动器自动化装配装置的铆钉铆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