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135A -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135A
KR19980030135A KR1019960049509A KR19960049509A KR19980030135A KR 19980030135 A KR19980030135 A KR 19980030135A KR 1019960049509 A KR1019960049509 A KR 1019960049509A KR 19960049509 A KR19960049509 A KR 19960049509A KR 19980030135 A KR19980030135 A KR 1998003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forming
insulating film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2005B1 (ko
Inventor
진병주
조웅래
이태영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4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00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 H01L21/0212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the material being boron or phosphorus doped silicon oxides, e.g. BPSG, BSG or PS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19Smoothing of the di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실리콘기판상에 절연막 및 BPSG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BPSG막을 식각하여 돌출부를 형성하고, BPSG막상에 제 1 금속층 패턴을 형성한 후 그 전체 상부면에 제 1 금속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1 금속층간 절연막의 낮은부분에만 제 1 금속층 패턴의 높은 부분 보다 낮게 SOG막을 형성한 후 SOG막 및 노출된 제 1 금속층간 절연막상에 제 2 금속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돌출된 제 1 금속층 패턴이 노출되도록 CMP공정을 실시한 다음실리콘기판의 전체 상부면에 제 2 금속층 패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본 발명은 금속층간 배선공정을 비아홀을 형성하지 않고 접속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 됨에 따라 금속배선은 다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금속배선간의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갭필링(Gap Filling) 특성이 양호한 SOG막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SOG막은 금속층의 부식에 치명적인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보잉(Bowing)현상 및 버블디펙트(Bubble Defects)를 유발하게 된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A는 실리콘기판(1)상에 절연막(2) 및 BPSG(3)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BPSG막(3)상에 제 1 금속층 패턴(4)을 형성한 후 실리콘기판(1)의 전체 상부면에 제 1 금속층간 절연막(5)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B는 제 1 금속층간 절연막(5)상에 SOG막(6) 및 제 2 금속층간 절연막(7)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C는 제 1 금속층 패턴(4)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제 2 금속층간 절연막(7), SOG막(6) 및 제 1 금속층간 절연막(5)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비아홀을 형성한 후 비아홀 및 제 2 금속층간 절연막(7)상에 제 2 금속층 패턴(8)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SOG막(6)은 친수성이 있기 때문에 화살표 A로 도시한 바와같이 버블디펙트가 발생하므로써 제 2 금속층 패턴(8)을 형성시 오픈(B)현상을 초래하며, 노출된 SOG막(6)의 표면으로부터 아웃가싱(Out Gassing)이 발생되어 제 1 금속층 패턴(4)상에 산화막이 형성되므로써 콘택저항이 높아지는 등 소자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돌출된 BPSG막상에 제 1 금속층 패턴이 높게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제 1 금속층간 절연막, SOG막 및 제 2 금속층간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으로 제 1 금속층 패턴이 노출되도록 한 다음 제 2 금속층 패턴을 형성하므로써 비아홀을 형성하지 않고 금속층간 접속을 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은 실리콘기판상에 절연막 및 BPSG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BPSG막을 식각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BPSG막상에 제 1 금속층 패턴을 형성한 후 그 전체 상부면에 제 1 금속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제 1 금속층간 절연막의 낮은부분에만 제 1 금속층 패턴의 높은 부분 보다 낮게 SOG막을 형성한 후 SOG막 및 노출된 제 1 금속층간 절연막상에 제 2 금속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돌출된 제 1 금속층 패턴이 노출되도록 CMP공정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실리콘기판의 전체 상부면에 제 2 금속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도 2A내지 2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기호 설명
1 및 11 : 실리콘기판, 2 및 12 : 절연막, 3 및 13 : BPSG막, 4 및 14 : 제 1 금속층 패턴, 5 및 15 : 제 1 금속층간 절연막, 6 및 16 : SOG막, 7 및 17 : 제 2 금속층간 절연막, 8 및 18 : 제 2 금속층 패턴, A : 버블 디펙트, B : 제2금속층의 오픈부분, C : 보잉현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2E는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로서, 도 2A는 실리콘기판(11)상에 절연막(12) 및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는 BPSG막(13)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BPSG막(13)의 각 돌출부는 대략 폭이 0.5 내지 1㎛이고, 높이가 0.8 내지 1.2㎛가 되도록 형성된다.
도 2B는 BPSG막(13)상에 제 1 금속층 패턴(14)을 형성한 후 그 전체 상부면에 제 1 금속층간 절연막(15)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제 1 금속층 패턴(14)은 4000 내지 6000Å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된다.
도 2C는 제 1 금속층간 절연막(15)의 낮은부분에만 제 1 금속층 패턴(14)의 높은 부분 보다 낮은 정도로 SOG막(16)을 형성한 후 SOG막(16) 및 노출된 제 1 금속층간 절연막(15)상에 제 2 금속층간 절연막(17)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SOG막(16)은 평탄성이 양호하므로 제 1 금속층간 절연막(15)의 깊은부분에만 남게된다.
도 2D는 돌출된 제 1 금속층(14)이 노출되도록 제 2 금속층간 절연막(17) 및 제 1 금속층간 절연막(15)을 CMP공정으로 깍아서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CMP공정은 현탁액(Slurry)을 폴리싱 패드에 공급하면서 실리콘기판(11)의 전면이 폴리싱 패드와 마찰에 의해 소정부분 깍여지도록 실시한다.
도 2E는 실리콘기판(11)의 전체 상부면에 제 2 금속층 패턴(18)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제 2 금속층 패턴(18)은 노출된 제 1 금속층 패턴(14)과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금속층 패턴 및 제 2 금속층 패턴의 접속될 부분에 돌출부를 갖는 BPSG막을 형성한 후 제 1 금속층 패턴이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제 1 금속층간 절연막, SOG막 및 제 2 금속층간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다음 돌출된 제 1 금속층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CMP공정으로 깍아서 제거하고, 제 2 금속층 패턴을 형성하여 비아홀을 형성하지 않고 금속층간 접속을 하므로써 양호한 접촉저항 및 단차완화는 물론 공정의 단순화로 인하여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에 있어서, 실리콘기판상에 절연막 및 BPSG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BPSG막을 식각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상기 BPSG막상에 제 1 금속층 패턴을 형성한 후 그 전체 상부면에 제 1 금속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상기 제 1 금속층간 절연막의 낮은부분에만 상기 제 1 금속층 패턴의 높은 부분 보다 낮게 SOG막을 형성한 후 상기 SOG막 및 노출된 상기 제 1 금속층간 절연막상에 제 2 금속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 1 금속층 패턴이 노출되도록 CMP공정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상기 실리콘기판의 전체 상부면에 제 2 금속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PSG막의 각 돌출부는 폭이 0.5 내지 1㎛이고, 높이가 0.8 내지 1.2㎛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3. 제 1 하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층 패턴은 4000 내지 600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MP공정은 현탁액을 폴리싱 패드에 공급하면서 실리콘기판의 전면이 폴리싱 패드와 마찰에 의행 제 2 금속층간 절연막 및 제 1 금속층 패턴의 소정부분 깍여지도록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KR1019960049509A 1996-10-29 1996-10-29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KR100212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509A KR100212005B1 (ko) 1996-10-29 1996-10-29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509A KR100212005B1 (ko) 1996-10-29 1996-10-29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135A true KR19980030135A (ko) 1998-07-25
KR100212005B1 KR100212005B1 (ko) 1999-08-02

Family

ID=1947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509A KR100212005B1 (ko) 1996-10-29 1996-10-29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0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2005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9648A (en) Method for producing coplanar multi-level metal/insulator films on a substrate and for forming patterned conductive lines simultaneously with stud vias
KR100388765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00048294A (ko) 듀얼 다마신 배선의 형성방법
KR100256056B1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KR100220297B1 (ko) 다층금속 배선구조의 콘택제조방법
JPH10229085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38379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KR100254567B1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및 절연막 평탄화 방법
KR19980030135A (ko)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방법
US6284645B1 (en) Controlling improvement of critical dimension of dual damasceue process using spin-on-glass process
CN112435977B (zh) 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
KR100347533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399906B1 (ko) 반도체소자의콘택홀형성방법
KR100223283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층 형성방법
JPH0226233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546296B1 (ko) 금속 브리지를 방지하는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제조 방법
KR100635872B1 (ko)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450244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9980015075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및 그 형성방법
KR20040038139A (ko) 반도체 소자의 텅스텐 콘택 플러그 형성방법
KR19980026827A (ko) 콘택홀 형성방법
KR0182043B1 (ko) 금속-절연막의 평탄화 방법
KR19990057891A (ko) 반도체 장치의 스택 콘택 형성방법
JP343221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430793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