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278U - 진동감소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진동감소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278U
KR19980029278U KR2019960042341U KR19960042341U KR19980029278U KR 19980029278 U KR19980029278 U KR 19980029278U KR 2019960042341 U KR2019960042341 U KR 2019960042341U KR 19960042341 U KR19960042341 U KR 19960042341U KR 19980029278 U KR19980029278 U KR 199800292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vibration
insulator
fixing par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2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278U/ko
Publication of KR19980029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27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감소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면을 갖는 상·하 결합부(11)(12)와, 상기 상·하 결합부(11)(12) 사이에 지지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결합부(11)(12)와 지지부(13)가 단일체로 형성된 브라켓(10)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을 상·하로 구분하여 형성된 상부브라켓(20)과, 하부브라켓(30) ; 상기 상부브라켓(20)의 지지부(22)를 일측하부로 절곡하여 형성된 고정부(23)와 ; 상기 상부브라켓(20)의 고정부(23)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브라켓(30)의 일측상부로 형성된 고정부(33)와 ; 상기 상부브라켓(20)의 고정부(23)와 하부브라켓(30)의 고정부(33) 사이에 개재되어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감소시키는 인슐레이터(40)로 구성되어서, 물품과 구조체로 연결시켜주는 브라켓을 상·하로 구분하여 이중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상·하 브라켓 사이에 충격이나 진동 흡수 및 감소용 러버체의 인슐레이터를 개재시켜 상부브라켓에 안착된 물품으로 가해진 충격이나 진동이 하부브라켓을 통해 구조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슐레이터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소시키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감소용 브라켓
본 고안은 진동감소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진동을 받는 물체와 이 물체를 구조체에 연결시켜주는 연결브라켓을 상·하 분리하여 이중 구조로 하되, 이 상·하 연결브라켓의 결합부에는 진동감소용 인슐레이터를 개재시켜 물체에 가해진 충격이 연결브라켓을 통해 구조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감소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각 구조체는 진동을 받는 부품과 연결브라켓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며 이 브라켓은 구조체와 각 부품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 바와같이 상·하부에 수직면으로 형성된 상·하 결합부(11)와, 상기 상·하 결합부(11)(12)를 일측으로 절곡하여 ⊃자로 형성된 지지부(13)와, 상기 하부결합부(12)에 체결되는 볼트(14)와 너트(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브라켓은 상부결합부(11)에 물품(1)의 일측면을 지지되게 하되, 상기 물품(1)의 하부면을 지지부(13)의 상부면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하부결합부(12)는 구조체(2)에 볼트(14)를 끼운 후 너트(15)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브라켓(10)에 의해 물품(1)과 구조체(2)가 상호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브라켓은 물품과 구조체를 연결시켜주는 브라켓의 상·하 결합부와 이 결합부 사이의 지지부가 단일체로 형성되어 물품으로 진동이 가해지면 상부결합부를 통해 하부결합부에 고정된 구조체로 직접 전달되게 되다. 그러므로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구조체가 심한 진동이나 진동에 의한 소음등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품과 구조체를 연결시켜주는 브라켓을 상·하로 구분하여 이중구조로 형성하되, 이 상·하 브라켓 사이에 진동감소용 인슐레이터를 개재시켜 물품으로 가해진 충격이나 진동등이 브라켓에 의해 연결된 구조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로 줄이기 위한 진동감소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품2 ; 구조체
22, 32 ; 지지부34 ; 볼트
20 ; 상부브라켓 23, 33 ; 고정부
24 ; 용접너트30 ; 하부브라켓
40 ; 인슐레이더41 ; 관통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진동감소용 브라켓은, 수직면을 갖는 상·하 결합부(11)(12)와, 상기 상·하 결합부(11)(12) 사이에 지지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결합부(11)(12)와 지지부(13)가 단일체로 형성된 브라켓(10)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을 상·하로 구분하여 형성된 상부브라켓(20)과, 하부브라켓(30) ; 상기 상부브라켓(20)의 지지부(22)를 일측하부로 절곡하여 형성된 고정부(23)와 ; 상기 상부브라켓(20)의 고정부(23)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브라켓(30)의 일측상부로 형성된 고정부(33)와 ; 상기 상부브라켓(20)의 고정부(23)와 하부브라켓(30)의 고정부(33) 사이에 개재되어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감소시키는 인슐레이터(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브라켓(20)은 일측으로 수직면을 갖는 결합부(21)를 형성하되 이 결합부(21)의 하단은 수평방향으로 절곡하여 지지부(22)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22)의 일측을 절곡시켜 형성된 고정부(23)를 소정의 길이로 갖되 하부브라켓(30)의 고정부(33)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하 고정부(23)(33)는 소정거리 이격 설치하되, 상기 상부브라켓(20)의 고정부(23) 외측으로는 용접너트(24)를 용착시킨다.
상기 상·하 브라켓(20)(30)의 고정부(23)(33)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40)는 중앙에 볼트(34)가 결합되는 관통홀(41)이 형성되며, 그 재질은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감소시켜주는 러버체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브라켓(20)의 결합부(21)와 지지부(22)에 물품(1)을 지지 및 안착시키되, 상기 상부브라켓(20)은 구조체(2)에 볼트(14)와 너트(15)로 결합부(31)가 체결고정된 하부브라켓(30)의 고정부(33)에 고정부(23)를 소정거리 이격 설치시킨 후, 볼트(34)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볼트(34) 체결은 하부브라켓(30)의 고정부(33)로 볼트(34)를 끼운 후, 상부브라켓(20)의 고정부(23)에 용착된 용접너트(24)에 상기 볼트(34)를 체결하면, 상·하 브라켓(20)(30)의 고정부(23)(33)가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하 브라켓(20)(30)의 고정부(23)(33) 사이에는 인슐레이터(40)가 개재되며 상기 볼트(34)는 인슐레이터(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41)에 결합되어 브라켓(20)의 용접너트(24)에 체결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부브라켓(20)에 안착된 물품(1)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며나, 상·하 브라켓(20)(30)이 분리되어 있어 구조체(2)에 고정된 하부브라켓(3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며, 상기 상·하 브라켓(20)(30)의 고정부(23)(33)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40)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진동감소용 브라켓은, 물품과 구조체로 연결시켜주는 브라켓을 상·하로 구분하여 이중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상·하 브라켓 사이에 충격이나 진동 흡수 및 감소용 러버체의 인슐레이터를 개재시켜 상부브라켓에 안착된 물품으로 가해진 충격이나 진동이 하부브라켓을 통해 구조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슐레이터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소시키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직면을 갖는 상·하 결합부(11)(12)와, 상기 상·하 결합부(11)(12) 사이에 지지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결합부(11)(12)와 지지부(13)가 단일체로 형성된 브라켓(10)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을 상·하로 구분하여 형성된 상부브라켓(20)과, 하부브라켓(30) ;
    상기 상부브라켓(20)의 지지부(22)를 일측하부로 절곡하여 형성된 고정부(23)와 ;
    상기 상부브라켓(20)의 고정부(23)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브라켓(30)의 일측상부로 형성된 고정부(33)와 ; 상기 상부브라켓(20)의 고정부(23)와 하부브라켓(30)의 고정부(33) 사이에 개재되어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감소시키는 인슐레이터(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소용 브라켓.
KR2019960042341U 1996-11-27 1996-11-27 진동감소용 브라켓 KR199800292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341U KR19980029278U (ko) 1996-11-27 1996-11-27 진동감소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341U KR19980029278U (ko) 1996-11-27 1996-11-27 진동감소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278U true KR19980029278U (ko) 1998-08-17

Family

ID=5398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341U KR19980029278U (ko) 1996-11-27 1996-11-27 진동감소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27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032B1 (ko) * 2020-03-04 2021-09-0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변형방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032B1 (ko) * 2020-03-04 2021-09-0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변형방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8407A (en) Power unit mounting system
US5823287A (en) Mounting assembly for a transmission cross member of a motor vehicle
US6045174A (en) Vehicle seat with support assembly
US6085856A (en) Attachment system for suspension cradle
KR19980029278U (ko) 진동감소용 브라켓
US20020113397A1 (en) Vehicle suspension attachment assembly
JP3613928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KR200160327Y1 (ko) 차량의 리어 써스팬션 쇽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0125845Y1 (ko) 엔진 마운팅 브라켓
KR100411490B1 (ko) 트레일링 암 고정부
KR20060082909A (ko)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브라켓 어셈블리
KR100333289B1 (ko)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장치
KR890005194Y1 (ko) 오우토바이용 범퍼
KR19980062517U (ko) 자동차용 사일렌서 행거 브라켓의 행거러버
KR970000907Y1 (ko) 승용차용 오일탱크의 취부구조
KR20010105041A (ko) 프레임 마운팅부 입력점 강성 증대를 위한 2단 볼트체결구조
KR0124984Y1 (ko) 엔진 고정 브라켓 충격완화장치
KR0140499Y1 (ko) 자동차 기관의 마운팅멤버 구조
KR0132968Y1 (ko) 자동차의 엔진 센터멤버 선단부 고정구조
KR0126055Y1 (ko) 소음 및 진동저감을 위한 엔진장착 브라켓트
KR200376841Y1 (ko) 차량의 바디업 용 스페이서
KR20010059141A (ko) 자동차의 파워 플랜트 마운트
KR19990024328U (ko) 차량용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
KR19990024429U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장치
KR20040003281A (ko) 현가장치용 쇽업소버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