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328U - 차량용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4328U KR19990024328U KR2019970036783U KR19970036783U KR19990024328U KR 19990024328 U KR19990024328 U KR 19990024328U KR 2019970036783 U KR2019970036783 U KR 2019970036783U KR 19970036783 U KR19970036783 U KR 19970036783U KR 19990024328 U KR19990024328 U KR 1999002432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 member
- dustproof
- mounting structure
- cross
- vibra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크로스 멤버측의 충격 및 진동이 사이드 멤버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킴으로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축측과 연결되는 크로스 멤버와, 차체측과 연결되는 사이드 멤버와, 상기 크로스 멤버측의 충격 및 진동이 사이드 멤버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충격 저감수단이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 멤버의 마운팅부에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 멤버 사이의 완충 작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로스 멤버는 차량의 언더보디 등에 사용되는 골격으로 강도나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좌우방향의 비틀림이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는 일측이 차축측과 연결되고, 양단측으로 차체측에 장착되는 사이드 멤버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팅 결합된다.
즉 크로스 멤버(102)의 양단 볼트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과 사이드 멤버(104)의 볼트구멍을 서로 일치시킨 뒤 볼트(106)와 너트(108)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는 사이드 멤버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차축측과 연결되는 크로스 멤버의 진동 및 소음이 사이드 멤버로 직접 전달되고, 또 사이드 멤버에서 차체측으로 진동 및 소음이 전달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크로스 멤버측의 충격 및 진동이 사이드 멤버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킴으로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 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축측과 연결되는 크로스 멤버와, 차체측과 연결되는 사이드 멤버와, 이 크로스 멤버측의 충격 및 진동이 사이드 멤버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충격 저감수단이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 멤버의 마운팅부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는 차축측의 충격 및 진동이 차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충격 저감수단에 의해 저감시킨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크로스 멤버(2)와 사이드 멤버(4)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차량의 진행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크로스 멤버(2)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사이드 멤버(4)가 서로 연결된다.
크로스 멤버(2)는 차축측과 연결되고, 사이드 멤버(4)는 차체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 멤버 사이의 마운팅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2)의 충격이 사이드 멤버(4)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충격 저감수단이 설치된다.
상기한 충격 저감수단은 차축측의 충격 및 진동이 크로스 멤버(2)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1차 방진수단과, 크로스 멤버(2)측의 충격이 사이드 멤버(4)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2차 방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1차 방진수단은 크로스 멤버(2)의 마운팅부의 외주연으로 제1방진부재(6)가 설치되고, 이 제1방진부재(6)의 하단측에 스톱퍼(8)가 장착되고, 이 스톱퍼(8)의 일측면에 제1방진부재(6)를 크로스 멤버(2)측에 고정하기 위해 너트(14)가 결합된다.
상기 제1방진부재(6)는 원통상으로 내주연에 볼트(12)가 관통되는 부싱(10)이 결합되고, 완충작용이 용이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측에 스톱퍼(8)에 의해 지지되고, 볼트(12)의 일단이 스톱퍼(8)측에 너트(14) 결합되어 크로스 멤버(2)측에 고정된다.
상기한 2차 방진수단은 크로스 멤버(2)의 상단측과 사이드 멤버(4)의 하단측 사이에 제2방진부재(18)가 설치되고, 이 제2방진부재(18)와 사이드 멤버(4)측과의 사이에 스톱퍼(20)가 개재되어 상기 제2방진부재(18)를 지지한다.
상기 제2방진부재(18)는 원통상의 내측으로 볼트(12)가 관통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방진부재(18)를 통과한 볼트(12)의 타측은 사이드 멤버(4)측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고, 사이드 멤버(4)의 일단과 너트(16)로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는 제1방진부재(6)에 의해 차축측에서 크로스 멤버(2)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고, 제2방진부재(18)에 의해 크로스 멤버(2)측에서 사이드 멤버(4)측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최종적으로 흡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는 차체측에서 크로스 멤버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다시 크로스 멤버측에서 사이드 멤버측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2차로 흡수함으로서, 차축측에서 차체측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거의 완벽하게 흡수함으로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 차축측과 연결되는 크로스 멤버와;차체측과 연결되는 사이드 멤버와;상기 크로스 멤버측의 충격 및 진동이 사이드 멤버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충격 저감수단이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 멤버의 마운팅부에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충격 저감수단은 차축측의 충격 및 진동이 크로스 멤버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크로스 멤버의 내측에 설치되는 1차 방진수단과;크로스 멤버측의 충격이 사이드 멤버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 멤버 사이에 설치되는 2차 방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1차 방진수단은 크로스 멤버의 내주연에 장착되고 내주연으로 볼트가 관통되는 방진부재와;상기 제1방진부재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일측으로 볼트 결합되어 상기 제1방진부재를 지지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방진부재는 충격 흡수작용이 용이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2차 방진수단은 크로스 멤버의 상단면과 사이드 멤버의 하단면 사이에 설치되는 원통상의 제2방진부재와;상기 제2방진부재의 하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방진부재를 지지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방진부재는 완충작용이 용이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마운팅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6783U KR19990024328U (ko) | 1997-12-12 | 1997-12-12 | 차량용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6783U KR19990024328U (ko) | 1997-12-12 | 1997-12-12 | 차량용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4328U true KR19990024328U (ko) | 1999-07-05 |
Family
ID=6969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6783U KR19990024328U (ko) | 1997-12-12 | 1997-12-12 | 차량용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24328U (ko) |
-
1997
- 1997-12-12 KR KR2019970036783U patent/KR1999002432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90024328U (ko) | 차량용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 | |
KR100193522B1 (ko) |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 |
KR100398196B1 (ko) | 토션빔액슬 타입 리어서스펜션 | |
KR20100054535A (ko) |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 |
KR100333289B1 (ko) |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장치 | |
KR100412870B1 (ko) | 자동차용 로어암의 지오메트리 부시 | |
KR0125845Y1 (ko) | 엔진 마운팅 브라켓 | |
KR19980028525U (ko) |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 |
KR0126057Y1 (ko) |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 |
KR0139695Y1 (ko) |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 |
KR200147667Y1 (ko) | 차량의 휠하우스 클랙 방지용 지지판 | |
KR200149647Y1 (ko) | 리어 서스펜션의 어퍼아암 결합구조 | |
KR100471825B1 (ko) |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 |
KR20020078282A (ko) |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 |
KR200147668Y1 (ko) | 차량의 휠하우스 크랙 방지용 지지판 | |
KR19980040174A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 |
KR20050100176A (ko) |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 |
KR100241930B1 (ko) |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 |
KR19980040293U (ko) | 자동차용 로워 아암 마운팅 구조 | |
KR20060021993A (ko) |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 |
KR19990052805A (ko) | 리어 현가 장치의 토션 빔 액슬 | |
KR19980064650U (ko) | 보강 브라켓을 가지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 | |
KR19990043216A (ko) | 판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이 적용된 버스의 현가장치 | |
KR19980010442U (ko) |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링크 취부구조 | |
KR19980042175U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지지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