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707A - 캐패시터 - Google Patents

캐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707A
KR19980025707A KR1019960043945A KR19960043945A KR19980025707A KR 19980025707 A KR19980025707 A KR 19980025707A KR 1019960043945 A KR1019960043945 A KR 1019960043945A KR 19960043945 A KR19960043945 A KR 19960043945A KR 19980025707 A KR19980025707 A KR 1998002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region
conductivity type
capacitor
type diffus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707A/ko
Publication of KR1998002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707A/ko

Links

Landscapes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에피층, 에피층 내에 형성되어 있는 매몰층, 에피층 내에 형성되어 있는 P+인 제1 도전형 확산 영역, 에피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도전형 확산 영역과 접하고 있는 n+인 제2 도전형 확산 영역, 제2 도전형 확산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컨택홀을 가지고 있는 절연층, 절연층의 제1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확산 영역과 연결되어 있는 제1 금속막과 상기 절연막의 제2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확산 영역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금속막 그리고 캐패시터의 한 전극이 되는 제3 금속막으로 이루어진다. 제1 도전형 확산 영역과 제2 도전형 확산 영역 사이의 접합면에서 접합 캐패시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캐패시터
본 발명은 캐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쉬운 캐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패시터는 제1 도전 기판과 제2 도전 기판 그리고 그 사이에 유전체로 이루어져 있다.
캐패시터의 용량은 캐패시터의 면적에 비례하고 두 기판 사이 즉, 제1 도전 기판과 제2 도전 기판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도1은 종래의 캐패시터의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평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캐패시터는
기판(10), 기판(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에피층(30), 에피층(30) 내에 형성되어 있는 매몰층(20), 에피층(30) 내에 형성되어 있는 P+인 제1 도전형 확산 영역(40), 에피층(30)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도전형 확산 영역(40)과 접하고 있는 n+인 제2 도전형 확산 영역(50), 제2 도전형 확산 영역(5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컨택홀을 가지고 있는 절연층(60), 절연층(60)의 제1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확산 영역(50)과 연결되어 있는 제1 금속막(71)과 캐패시터의 한 전극이 되는 제3 금속막(70)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가진 종래의 일반적인 캐패시터는 필요에 따른 캐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캐패시티터의 한 전극인 기판(10)과 다른 전극인 제3 금속막(70)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른 캐패시터 용량의 크기를 형성하기 쉬운 캐패시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캐패시터의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의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평면도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캐패시터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에피층
상기 에피층 내에 형성되어 있는 매몰층,
상기 에피층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도전형 확산 영역,
상기 에피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도전형 확산 영역과 접하고 있는 제2 도전형 확산 영역,
상기 제2 도전형 확산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컨택홀을 가지고 있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제1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확산 영역과 연결되어 있는 제1 금속막과 상기 절연막의 제2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확산 영역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금속막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도전형 확산 영역과 제2 도전형 확산 영역 사이의 접합면에서 접합 캐패시터가 형성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패시터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의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평면도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는, 기판(10), 기판(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에피층(30), 에피층(30) 내에 형성되어 있는 매몰층(20), 에피층(30) 내에 형성되어 있는 P+ 반도체인 형 확산 영역(40), 에피층(30)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도전형 확산 영역(40)과 접하고 있는 n+ 반도체인 제2 도전형 확산 영역(50), 제2 도전형 확산 영역(5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컨택홀을 가지고 있는 절연층(60), 절연층(60)의 제1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확산 영역(40)과 연결되어 있는 제1 금속막(71)과 상기 절연막의 제2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확산 영역(50)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금속막(72) 그리고 캐패시터의 한 전극이 되는 제3 금속막(7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 도전형 확산 영역(40)과 제2 도전형 확산 영역(50) 사이의 접합면에서 접합 캐패시터가 형성되어. 기판(10)과 제3 금속막(70) 사이에서 형성되는 캐패시터와 더불어 필요한 크기의 캐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캐패시터의 두 전극 사이의 거리를 크게 좁히지 않고도 필요한 용량의 캐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에피층
    상기 에피층 내에 형성되어 있는 매몰층,
    상기 에피층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도전형 확산 영역,
    상기 에피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도전형 확산 영역과 접하고 있는 제2 도전형 확산 영역,
    상기 제2 도전형 확산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컨택홀을 가지고 있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제1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확산 영역과 연결되어 있는 제1 금속막과 상기 절연막의 제2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확산 영역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금속막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물질은 n형 반도체인 캐패시터.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물질은 고농도인 캐패시터.
  4. 제1항에서, 상기 제2 도전형 물질은 p형 반도체인 캐패시터
  5. 제1항에서, 상기 제2 도전형 물질은 고농도인 캐패시터.
KR1019960043945A 1996-10-04 1996-10-04 캐패시터 KR19980025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945A KR19980025707A (ko) 1996-10-04 1996-10-04 캐패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945A KR19980025707A (ko) 1996-10-04 1996-10-04 캐패시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707A true KR19980025707A (ko) 1998-07-15

Family

ID=6632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945A KR19980025707A (ko) 1996-10-04 1996-10-04 캐패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7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72395A (ko) 반도체 장치
KR940016837A (ko) 반도체 기억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840008222A (ko) 연결패드에서 기저의 실리콘으로 직접 연결된 고전력 금속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KR880008428A (ko) 전기적 활성 트렌치 사용 병합 바이폴라/cmos 기술을 사용하는 반도체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970024219A (ko)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950030309A (ko) 반도체장치의 보호회로
KR920015577A (ko) 반도체장치
KR900019261A (ko) 반도체장치
US4000507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wo annular electrodes
KR970004014A (ko) 반도체장치
KR910008861A (ko) 집적회로소자
KR970067916A (ko) 접합누설이 적은 저 스트레스 광다이오드
KR960702680A (ko) 고전압 수직 트렌치 반도체 소자(high-voltage, vertical-trench semiconductor device)
KR19980025707A (ko) 캐패시터
KR940008130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910017656A (ko) 반도체장치
KR100232222B1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JP2613939B2 (ja) 半導体装置
KR950015808A (ko) 반도체 소자
KR100247281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를 이용한 접합 축전기 및 그 제조 방법
KR950015605A (ko) 금속 배선을 갖는 접점부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
KR920005814A (ko)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메모리셀, 반도체기억장치 및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870010631A (ko)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KR920015648A (ko) 광 반도체 장치
KR100290790B1 (ko) 반도체 소자의 정전기 방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