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412A -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412A
KR19980018412A KR1019970037460A KR19970037460A KR19980018412A KR 19980018412 A KR19980018412 A KR 19980018412A KR 1019970037460 A KR1019970037460 A KR 1019970037460A KR 19970037460 A KR19970037460 A KR 19970037460A KR 19980018412 A KR19980018412 A KR 19980018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coating composition
weight
coating film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5520B1 (ko
Inventor
고지 히라노
히로시 이노우에
신지 미야타케
마사히로 곤도
Original Assignee
사사키 요시오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사키 요시오,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사키 요시오
Publication of KR1998001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4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4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 C09D5/4407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with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5/44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tes or 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2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톤류 화합물로 변성된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 (A) 및 가교제 (B)를 열경화성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저장 안정성이나 도막의 내모르타르성, 가공성 등의 성능이 우수한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본 발명은 마무리 외관, 각종 성능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극 산화 처리한 알루미늄재는 경량이며 강도가 강한 것, 및 내식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샷시 등의 건축재 관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안정된 분위기를 자아내는 매트(matte) 전착 도막도 많이 도장되도록 하고 있다.
매트 도막을 형성하는 전착 도료 조성물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성 62-24519호,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 2-255871 호에 기재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료 조성물은 저장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은 점, 매트 도막 외관이 충분하지 않은 점, 내모르타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가공성 등의 도막 성능이 충분하지 않은 점 등의 문제점이 남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고, 매트 도막 외관에서 도막 성능, 내모르타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가공성 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및, 락톤류 화합물로 변성된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 (A) 및 가교제 (B)를 열경화성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도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공중합체 (A)는 산가 약 15∼150, 히드록실기가 약 30∼200의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이다. 또한, 이것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0,000∼20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산가가 15 미만이 되면 수분산성이 저하하므로 도료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나빠진다. 한편, 약 150을 초과하면 도막의 내모르타르성 등의 성능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히드록실기가가 약 30 미만이 되면 경화성이 저하하고, 한편, 약 200을 초과하면 반응하지 않은 히드록실기가 도막중에 많이 남으므로 도막의 내구성 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0을 밑돌면 도료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나 내후성, 내모르타르성 등의 도막 성능이 나빠지고, 한편, 약 200,000을 상회하면 도막의 평활성 등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 (A)는 예컨대, 히드록실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락톤 변성 비닐계 단량체, 및 필요에 따라서 그 이외의 불포화 단량체를 라디칼 공중합 반응시켜서 이루어진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락톤 변성 비닐계 단량체가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히드록실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락톤 변성 비닐계 단량체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카르복실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도료 조성물을 매트 도료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매트 도료 조성물이 수득된다.
이들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하기 (1)∼(6)의 것을 들 수 있다.
(1) 히드록실기 함유 락톤 변성 비닐계 단량체류: 예컨대, 하기 히드록실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류와 β-프로피오락톤, 디메틸프로피오락톤, 부티롤락톤, γ-발레롤락톤, γ-카프롤락톤, γ-카프리롤락톤, γ-라우리롤락톤, ε-카프롤락톤, δ-카프롤락톤 등의 락톤류 화합물과의 반응성 등, 상품명으로서는 플락셀 FM1(다이셀가가쿠사 제품, 상품명, 카프롤락톤 변성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에스테르류), 플락셀 FM2(동일), 플락셀 FM3(동일), 플락셀 FA1(동일), 플락셀 FA2(동일), 플락셀 FA3(동일) 등.
(2) 상기 (1) 이외의 히드록실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류: 예컨대,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비닐 에테르, (메타)알릴 알콜 등.
(3) 카르복실기 함유 락톤 변성 비닐계 단량체류: 예컨대, 상기 (1)에 기재한 히드록실기 함유 락톤 변성 비닐계 단량체류와 무수 말레산, 무수 호박산, 무수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무수 프탈산 등의 산 무수물과의 부가물 등이나 상품명으로서 플락셀 FM1A, 플락셀 FM4A, 플락셀 FM10A(이상, 다이셀가가쿠사 제품, 카프롤락톤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 단량체) 등.
(4) 상기 (1) 이외의 카르복실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예컨대, (메타)아크릴산, 말레산 등.
(5) 알콕시실릴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류: 예컨대,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
(6) 그 이외의 불포화 단량체류: 예컨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의 C1∼C18의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에스테르류,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류, (메타)아크릴산 아미드, N-부톡시메틸 (메타)아크릴 아미드, N-메틸올 (메타)아크릴 아미드 등의 (메타)아크릴 아미드 및 그 유도체류, (메타)아크릴로니트릴 화합물류 등.
이들 단량체의 배합 비율에 있어서, 상기 (1) 및 (2)에 기재한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류는 공중합체 (A)의 히드록실기가가 약 30∼200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배합하면 좋지만, 상기 (1)∼(6)에 기재한 단량체류의 총 단량체량 환산으로 상기 (1) 및 (2)에 기재한 단량체류의 합계량이 약 3∼4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30 중량%의 범위이며, 또한, (1)에 기재한 단량체류는 (1) 및 (2)에 기재한 단량체류의 총 단량체량에 대하여, 약 1∼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90 중량%의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에 기재한 단량체의 배합 비율이 약 1 중량%를 밑돌면 도료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매트 도막 외관 및 내모르타르성 등의 도막의 외관 및 성능 등이 뒤떨어진다.
또한, 상기 (3) 및 (4)에 기재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류는 공중합체 (A)의 산가가 약 15∼150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배합하면 좋지만, 상기 (1)∼(6)에 기재한 단량체류의 총 단량체량에 대하여 상기 (3) 및 (4)에 기재한 단량체류의 합계량이 약 2∼23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10 중량%의 범위이며, 또한, (3)에 기재한 단량체류는 (3) 및 (4)에 기재한 단량체류의 총 단량체량에 대하여, 약 0∼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90 중량%의 범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알콕시실릴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류 (5)는 매트 도막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단량체류의 배합량은 상기 (1)∼(6)에 기재한 단량체류의 총 단량체량에 대하여 약 0.2∼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5 중량%의 범위이다.
그 이외의 불포화 단량체류 (6)로서는 (메타)아크릴산의 C1∼C18알킬 또는 시클로알킬 에스테르류 및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류의 배합량은 상기 (1)∼(6)에 기재한 단량체류의 총 단량체량에 대하여 약 37∼9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0∼91 중량%의 범위이다.
상기 (1)∼(6)에 기재한 단량체류를 라디칼 공중합 반응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종래부터 공지된 용액 중합 방법 등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 (A)로서 상기한 것 이외에, 예컨대, 상기 (2), (3) 및/또는 (4), 필요에 따라서 (5) 및 (6)에 기재한 단량체류를 라디칼 공중합 반응시켜 수득되는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 함유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히드록실기와 상기 락톤류 화합물을 종래부터 공지된 부가 반응에 의해 제조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도료 조성물로 사용하는 가교제 (B)는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 (A)의 히드록실기와 반응하여 경화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가교제 (B)로서는 종래부터 공지된 멜라민 수지,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멜라민 수지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멜라민 수지의 메틸올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옥틸 알콜, 2-에틸헥실 알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콜로 변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멜라민 수지는 1핵체∼다핵체(약 5핵체)인 것이 50 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멜라민 수지중에는 이미노기, 메틸올기 등의 작용기를 함유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이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ε-카프롤락톤 등의 락톤류나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벤질 알콜 등의 알콜류로 블록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 (A) 및 가교제 (B) 성분의 배합 비율은 양자의 총 합계량 환산으로,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 (A)가 40∼85 중량%, 바람직하게는 50∼80 중량%의 범위이며, 가교제 (B)는 15∼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50 중량%의 범위이다.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 (A)의 배합 비율이 40 중량%를 밑돌고, 그리고 가교제 (B)가 60 중량%를 상회하면 내후성, 내모르타르성, 가공성 등의 도막 성능이 나빠지며, 한편, 공중합체 (A)의 배합 비율이 85 중량%를 상회하고, 그리고 가교제 (B)가 15 중량%를 밑돌면 내후성, 가공성 등의 도막 성능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안료, 염료, 경화 촉매, 유동성 조정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 도료 조성물은 예컨대, 공중합체 (A)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3∼0.5 당량이 되도록 중화제(예컨대,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을 배합하고, 이어서 가교제 (B)를 배합 분산하며, 계속해서 수분산을 행한 후, 도료 조성물의 pH를 7.0 이상으로 조정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 도료 조성물는, 특히 착색 또는 무착색 양극 산화 알루미늄재를 사용하는 알루미늄 건축재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도료 조성물은 매트 도료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본 발명 도료 조성물을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욕(예컨대, 고형분 약 5∼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12 중량%)으로 하고, 이 욕중에 알루미늄재를 침지한 후, 건조 막두께가 약 5∼30 미크론이 되도록 음이온 전착 도장을 행하며, 필요에 따라서 수세(수도물, 투과수 등)후, 열처리(예컨대, 약 160∼200℃에서 약 20∼40분간)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를 언급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공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중합체 (a)의 제조예
반응 용기중에 이소프로필 알콜을 55g을 준비하여 80℃로 유지하고 스티렌 10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3g, n-부틸 아크릴레이트 10g, 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5g, 아크릴산 7g, 플락셀 FM3(다이셀가가쿠사 제품, 상품명, 카프롤락톤 변성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에스테르류, 이하, 동일한 의미) 25g 및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2g의 혼합물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이어서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1g을 첨가하고, 80℃에서 1시간 유지하여 반응을 행하여 공중합체 (a) 와니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약 20,000, 산가 55, 히드록실기가 54였다.
공중합체(b)의 제조예
반응 용기중에 이소프로필 알콜 55g을 준비하여 80℃로 유지하고 스티렌 10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g, n-부틸 아크릴레이트 25g,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아크릴산 5g, 플락셀 FM4A(다이셀가가쿠사 제품, 상품명, 카프롤락톤 변성 카르복실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 20g 및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2g의 혼합물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이어서,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1g을 첨가하여 80℃에서 1시간 유지하여 반응을 행하여 공중합체 (b) 와니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약 20,000, 산가 55, 히드록실기가 48이었다.
공중합체 (c)의 제조예
반응 용기중에 이소프로필 알콜 55g을 준비하여 80℃로 유지하고 스티렌 10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2g, n-부틸 아크릴레이트 10g, 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5g, 아크릴산 5g, 플락셀 FM-3을 15g,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g, 및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1g의 혼합물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이어서,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1g을 첨가하여, 80℃에서 1시간 유지하여 반응을 행하여 공중합체 (c) 와니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약 50,000, 산가 39, 히드록실기가 90이었다.
공중합체 (d)의 제조예
반응 용기중에 이소프로필 알콜을 55g을 준비하여 80℃로 유지하고 스티렌 10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1g, n-부틸 아크릴레이트 10g, 에틸 아크릴레이트 30g,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2g, 아크릴산 7g, 및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2g의 혼합물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이어서,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1g을 첨가하여, 80℃에서 1시간 유지하여 반응을 행하여 공중합체 (d) 와니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약 20,000, 산가 55, 히드록실기가 58이었다.
공중합체 (e)의 제조예
반응 용기중에 이소프로필 알콜을 55g을 준비하여 80℃로 유지하고 스티렌 10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g, n-부틸 아크릴레이트 3g, 에틸 아크릴레이트 30g,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9g, 아크릴산 5g,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g, 및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1g의 혼합물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이어서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1g을 첨가하여 80℃에서 1시간 유지하여 반응을 행하여 공중합체 (e) 와니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약 50,000, 산가 39, 히드록실기가 92였다.
실시예 1
상기 공중합체 (a) 70g(고형분량)에 공중합체 (a)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4 당량인 트리에틸아민을 배합한 후, 혼합 분산하고, 이어서 이에 사이멜 303(미쓰이 사이텍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메톡시화 멜라민 수지) 30g을 배합하고 혼합 분산한 후, 교반을 행하면서 탈이온수를 서서히 적하하고, 다시 pH를 7.0이 되도록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고형분 10 중량%의 전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공중합체 (a) 대신에 공중합체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공중합체 (a) 대신에 공중합체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공중합체 (a) 대신에 공중합체 (d)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공중합체 (a)대신에 공중합체 (e)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된 전착 도료 조성물을 전착욕으로 하고, 이것에 피도물(피막 두께 약 10 미크론의 양극 산화 알루미늄재(하기 표 1 에서 간단하게 Al으로 언급함), 인산 아연 처리한 강판(하기 표 1 에서 간단하게 Fe로 언급함), 크기는 150×70×0.5㎜)을 침지하여 건조 막 두께가 약 10 ㎛가 되도록 전착 도장을 실시하고, 이어서, 도장물을 욕조에서 끌어올린 후, 세팅을 약 10분간 행하며, 계속해서 16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클리어 도막을 피복하였다.
하기 표 1에 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도료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
피도물 Al Fe Al Al Al Fe Al
도막 경면 반사율 98 95 99 10 88 80 24
도막 평활성
매트 도막 외관
에리히센 시험 ×
내모타르성 × ×
내산성 ×
내알칼리성 × ×
부식 방지성 ×
도료 저장 안정성: 도료 조성물을 시험관(높이 20㎝, 용량 20㎖)에 충전하여, 20℃에서 7일간 정치한 후, 용기의 바닥에 침전한 잔류물의 높이를 조사하였다. ◎는 잔류물이 0.5㎜ 이하로 양호, ○는 잔류물이 0.5㎜∼5㎜로 거의 양호, △는 잔류물이 5㎜∼10㎜으로 약간 불량, ×는 11㎜ 이상으로 불량.
도막 성능 시험 방법
도막 경면 반사율: JIS K-5400의 60도 경면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도막 평활성: 도막 표면(유자 껍질, 요철 등)을 관찰로 평가하였다. ◎는 양호, ○는 거의 양호, △는 약간 불량, ×는 불량.
매트 도막 외관: 도막 표면의 마무리 외관(광택 얼룩 등)을 육안으로 조사하였다. ◎는 양호, ○는 거의 양호, △는 약간 불량, ×는 불량.
에리히센(Erichsen) 시험: 베이스에 도달하도록 도막에 바둑판 눈금을 100개 만들고, 바둑판 눈금을 만든 도판의 이면측으로부터 에리히센 시험기에 의해 5㎜ 압출한 후의 도막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는 도막에 이상이 전혀 확인되지 않은 것, ○는 도막의 1지점에 이상이 확인된 것, △는 도막의 2∼5지점에 이상이 확인된 것, ×는 도막의 6 이상의 지점으로 이상이 확인된 것.
내모르타르성: 시험은 크로스-컷을 넣은 시험판을 시멘트:모래:물=1:3:0.5(중량비)로 혼합한 모르타르에 50℃에서 7일간 침지하였다. 이어서 시험판을 코르타르에서 떼어내어 도막의 광택 저하, 기포, 박리 등의 도막 이상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는 전혀 이상이 없이 양호, ○는 거의 양호, △는 약간 불량, ×는 불량.
내산성: 5 중량%의 염산 수용액(20℃)에 72시간 침지시킨 후의 도막 외관을 조사하였다. ◎는 전혀 이상이 없이 양호, ○는 거의 양호, △는 수포가 발생한 것, ×는 수포가 많이 발생한 것.
내알칼리성: 1 중량%의 가성 소다 수용액(20℃)에 72시간 침지시킨 후의 도막 외관을 조사하였다. ◎는 전혀 이상이 없이 양호, ○는 거의 양호, △는 수포가 발생한 것, ×는 수포가 많이 발생한 것.
부식 방지성: JIS K-5400 염수 분무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판은 베이스에 도달하도록 도막에 크로스-컷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는 전혀 이상이 없이 양호, ○는 컷부로부터 폭 1.0㎜ 이내, △는 컷부로부터 폭 1.0∼2.0㎜, ×는 2.0㎜ 이상인 것.
본 발명 도료 조성물에 의하면, 특히,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중에 락톤류 화합물에 의한 에스테르 결합을 함유하기 때문에, 도료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나 도막의 내모르타르성, 가공성 등의 성능이 우수하다는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및, 락톤류 화합물로 변성된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수분산성 비닐계 공중합체 (A) 및 가교제 (B)를 열경화성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A)가 공중합체 (A)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락톤 변성 비닐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A)가 알콕시실릴기를 측쇄에 갖는 공중합체이며 매트(matte) 도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락톤 변성 비닐계 단량체가 히드록실기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 (A) 및 가교제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분산성 비닐 공중합체가 40∼85중량%이며, 가교제 (B)가 15∼6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KR1019970037460A 1996-08-06 1997-08-06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KR100235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07347 1996-08-06
JP20734796A JP3805836B2 (ja) 1996-08-06 1996-08-06 アニオン型艶消し電着塗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12A true KR19980018412A (ko) 1998-06-05
KR100235520B1 KR100235520B1 (ko) 1999-12-15

Family

ID=1653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460A KR100235520B1 (ko) 1996-08-06 1997-08-06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20433A (ko)
JP (1) JP3805836B2 (ko)
KR (1) KR100235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254A (ja) * 1998-05-06 1999-11-16 Kansai Paint Co Ltd 水性つや消し塗料組成物
KR20000046303A (ko) * 1998-12-31 2000-07-25 김충세 수용성 아크릴레이트계 음이온성 전착 도료 조성물
US6500595B1 (en) * 1999-10-20 2002-12-31 Ricoh Company, Ltd. Carrier for electrophotographic develop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rrier, and coating liquid for the method
EP1426822B1 (en) * 2001-08-20 2009-04-08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Composition for forming antireflective film for use in lithography
US8906999B2 (en) 2011-02-17 2014-12-09 Ccp Composites Us Llc Styrene-free unsaturated polyes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7653C2 (de) * 1981-05-11 1995-05-18 Daicel Chem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psilon-Caprolacton-modifizierten Vinylmonomeren und dess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eines Mischpolymerisates
JPH079779B2 (ja) * 1985-07-24 1995-02-01 株式会社東芝 ガスしや断器
JPH0255871A (ja) * 1988-08-17 1990-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アイドリング回転数制御バルブ
US4980409A (en) * 1988-10-13 1990-12-25 Kansai Paint Co., Ltd. Aqueous matte coat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5520B1 (ko) 1999-12-15
JP3805836B2 (ja) 2006-08-09
JPH1046066A (ja) 1998-02-17
US6020433A (en)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025029C2 (de) Beschichtungsverfahren
JP3329049B2 (ja) 自動車用上塗塗料のクリヤーコート用熱硬化被覆組成物
EP1115750A1 (en) Aqueous composition
JP2008291242A (ja) 顔料分散用樹脂の製造方法
KR0178063B1 (ko) 유기실란 중합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코팅 조성물
DE4006578A1 (de) Harzzusammensetzung vom dispersions-typ, haertbare zusammensetzung und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JP2001059068A (ja) 塗料用樹脂組成物
KR19980018412A (ko) 음이온형 전착 도료 조성물
JP2002167545A (ja) 一回塗装仕上げ用防食塗料組成物
JP2601648B2 (ja) 架橋性樹脂組成物
JP4046792B2 (ja) アニオン型電着塗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塗膜形成方法
JP2000144022A (ja) 艶消しアニオン型電着塗料組成物
JPH01158079A (ja) クリヤーコート用塗料
JP4808310B2 (ja) アニオン型電着塗料
JP4346137B2 (ja) アニオン系熱硬化型電着塗料
JP4058734B2 (ja) 酸化硬化型シリコーン変性ビニル共重合体、これを用いた一液型塗料および酸化硬化型シリコーン変性ビニ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H10158548A (ja) アニオン型電着塗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塗膜形成方法
JPH10245426A (ja) 水溶性アクリル樹脂及びこれを含む水性塗料用樹脂組成物
JP3378652B2 (ja) 低温硬化性艶消し電着塗料組成物及びその塗膜形成方法
JP3877040B2 (ja) 上塗り塗料組成物
JP2000044867A (ja) 塗料用樹脂組成物
JP2001064568A (ja) アニオン型電着塗料組成物
JP2001011365A (ja) 塗料用樹脂組成物および塗料
JP2003073613A (ja) 水性塗料用樹脂組成物
JP3242713B2 (ja) 艶消し塗料用樹脂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