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986A - 유압원 장치 및 차량높이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원 장치 및 차량높이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986A
KR19980017986A KR1019960058352A KR19960058352A KR19980017986A KR 19980017986 A KR19980017986 A KR 19980017986A KR 1019960058352 A KR1019960058352 A KR 1019960058352A KR 19960058352 A KR19960058352 A KR 19960058352A KR 19980017986 A KR19980017986 A KR 19980017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source device
hydraulic pressure
inner shel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8532B1 (ko
Inventor
노부요시 아사누마
유끼오 하야까와
사또시 곤도
Original Assignee
가와모또 노부히끼
혼다 기껜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866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506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483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59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483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68402A/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또 노부히끼, 혼다 기껜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또 노부히끼
Publication of KR1998001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8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0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by temperature regulation of the suspension unit, e.g. heat operat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16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regulated by varying the resiliency of hydropneumatic suspensions
    • B60G17/042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regulated by varying the resiliency of hydropneumatic suspensions by varying the air pressure of the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2Pneumat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3Hydraul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70Temperature of vehicle part or in the vehicle
    • B60G2400/73Temperature of vehicle part or in the vehicle of other part than suspen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90Other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98Stabilise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높이조정용의 유압실린더와 같은, 차량에 탑재된 유압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이 차량엔진 등의 동력원의 폐열을 이용하여 발생되도록 설치된다. 유압 액튜에이터에 연결된 기름실 (6) 과, 가스상태와 액체상태 사이에서 변하는 매체를 밀봉방식으로 내부에 포함시키는 압력실 (7) 과, 상기 압력실 (7) 내의 매체를 가열하여 증발시키며, 차량에 탑재된 동력원을 냉각시키는 냉각제가 통과하는 가열기 (8) 가 제공된다. 유압은 상기 압력실 (7) 내부의 매체의 증기압에 의해 상기 기름실 (6) 을 가압하여 발생된다. 유압 액튜에이터 (1) 가 차량높이조정용의 유압실린더인 경우에는, 유량조정밸브 (11) 가 제공되어 차량높이에 따라서 가열기 (8) 에 냉각수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Description

유압원 장치 및 차량높이 조정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된 유압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압원 장치를 이용하는 차량높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높이 조정용의 유압실린더 및 4 륜 조타 차량 (steering vehicle) 에서의 후륜 조타용의 유압실린더 등의 유압 액튜에이터를 자동차에 탑재시킨 것이 통상적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배열에서, 유압 액튜에이터용의 유압원으로서, 전기모터 또는 엔진으로 구동되는 유압펌프가 제공되었다.
상술한 통상예에서, 유압펌프의 사용은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켰으며, 그 결과, 연료소비율을 개선시키는데 문제를 발생시켰다.
상기 문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에 탑재된 동력원의 폐열을 이용하여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유압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유압원 장치를 이용한 차량높이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에 탑재된 유압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원 장치가 제공된다. 유압원 장치는, 유압 액튜에이터에 연결된 기름실과, 가스상태와 액체상태 사이에서 변하는 매체를 밀봉방식으로 내부에 포함시키는 압력실과, 압력실내의 매체를 가열하여 증발시키며, 차량에 탑재된 동력원을 냉각시키는 냉각제가 통과하는 가열기를 포함하고, 유압은 압력실 내부의 매체의 증기압에 의해 상기 기름실을 가압하여 발생된다.
상기 배열에 따라서, 유압원은 냉각제를 통하여 가열실에 전달된 동력원의 폐열에 의하여 압력실 내의 매체를 통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을 발생시키는 목적에 대한 에너지 소비는 없게 된다. 따라서, 전기모터 또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가 사용되는 것과 비교하여 연료소비율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차량높이를 조정하도록 유압실린더용의 유압원 장치로서 사용되며, 차량높이에 따라 가열기에 냉각제를 공급하는 공급량을 조정하는 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상기 배열에 따라서,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 압력실내의 증기압, 즉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은 차량높이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자동 조정된다. 따라서, 차량높이는 적정 수준에서 유지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유압원 장치에 있어서, 가열기를 구성하는 외부셸과 내부셸이 제공되고, 외부셸과 내부셸 사이의 공간은 냉각제가 통과하는 가열실로서 구성되고, 또한 내부셸의 내부는 압력실로서 구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가열실 내부의 냉각제로부터 압력실 내부의 매체 까지의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수행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압력용기로서의 강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내부셸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상기 경우에서, 외부셸과 내부셸을 접촉시키기 위하여 가열실 내부에 배열된 주름식 판형 (plate shape) 의 핀부재가 제공되는 경우, 열전달 영역이 핀부재에 의해 증가한다. 이 결과, 가열실을 통해 흐르는 냉각제의 열이 압력실 내부의 매체에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부가하여, 압력실 내부의 내압이 핀부재를 통하여 내부셸 뿐 아니라 외부셸에 의해서만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양자의 열전달효율과 강도는 개선될 수 있다.
외부셸과 핀부재에 의해 한정된 통로부에서 내부셸과 핀부재에 의해 한정된 통로부 쪽으로 냉각제를 유입시키도록 핀부재에 복수의 윈도우 개구가 제공되는 경우, 냉각제와 내부셸간의 직접열전달이 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달효율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외부셸이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 외부셸의 양호한 열절연 특성이 달성되어 외부셸로부터의 방열을 억제시킨다. 따라서 열전달효율의 개선을 꾀하는데 이롭다.
액체상태의 매체는 압력실의 바닥에 머문다. 따라서, 어떤 특별한 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매체의 가열 및 증발에 기여하는 열전달 영역은 내부셸의 바닥벽과 그 근처에서 제한받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압력실의 바닥부에서 내부셸의 바닥벽에 대하여 틈새를 가지는 승가바닥판이 배열되고, 내부셸의 측벽에 대한 상기 승강바닥판 주위의 갭이 확보되는 경우, 매체의 액체방울은 승강바닥판과 내부셸의 바닥벽 사이의 틈새로부터 승강바닥판 주위의 갭을 통하여 상방으로 분산될 것이다. 따라서, 액체상태의 매체는 압력실의 상부로 또한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내부셸의 바닥벽 뿐 아니라 승강바닥판과 원주측벽은 매체의 가열 및 증발에 기여하는 열전달 영역이 된다. 열전달 영역의 증가의 결과, 매체는 효과적으로 가열되어 증발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돌출부가 돌출부들 상호간 원주방향으로 거리를 두면서 내부셸의 측벽 내면상에 제공되는 경우, 열전달 영역은 여전히 이롭게 확대된다.
다음의 배열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즉, 상방 신장하는 실린더는 내부셸에 연결되고, 압력실과 격리되는 기름실은 실린더 쪽으로 삽입된 피스톤에 의하여 실린더 내부에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장치의 대형크기를 가져온다. 한편,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구성될 수 있는 벨로우즈는 내부셸에 포함되어 벨로우즈에 의해 기름실을 구성하는 경우, 장치는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벨로우즈가 사용된 경우, 압력실 쪽으로 매체를 주입시키기에 앞서서 배출시에, 압력실로 열린 배출통로는 벨로우즈의 팽창을 통하여 차단 (또는 봉쇄) 되게 된다. 따라서 압력실의 배출은 더 이상 충분히 행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바닥판이 제공된 경우, 벨로우즈의 하방신장은 승강바닥판과 벨로우즈의 접합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내부셸의 바닥벽과 승강바닥판 사이의 틈새와 연결된 배출통로가 제공되는 경우, 압력실은 벨로우즈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서 충분히 비우게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셸의 측벽의 내부면상에 신장된 돌출부가 제공된 경우, 벨로우즈가 직경방향으로 벨로우즈의 신장 결과로서 내부셸의 측벽과 접촉한다 하더라도 각각의 신장 돌출부의 양 측면에 여전히 틈새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실의 부분적인 막힘에 의한 빈약한 배출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원 장치의 제 1 실시예인 차량높이조정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계통도이다.
도 2 는 유압원 장치의 제 2 실시예인 차량높이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유압원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한 유압원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선 V - V 를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선 VI - VI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압실린더 2 : 댐퍼
6 : 기름실 7 : 압력실
8 : 가열기 19 : 외부셸
20 : 내부셸 21 : 가열실
20a : 바닥벽 20b : 측벽
22 : 벨로우즈 24 : 핀부재
25 : 승강바닥판 24a : 윈도우 개구
26a : 배출통로 27 : 돌출부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수반하는 이점은 다음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첨부 도면과 연결하여 고려할 때 용이하게 명료해질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번호 1 은 자동차 등의 차량높이를 조정 (또는 조절) 하는 유압실린더를 나타낸다. 이 유압실린더 (1) 에는 댐퍼 (2) 의 상단부와 접하여 현가암 (suspension arm) (도시되지 않음) 에 연결된 이동 가능한 피스톤 (1a) 이 제공된다. 유압실린더 (1) 내부의 유압에 의하여, 댐퍼 (2) 가 이동하거나 또는 상하운동하여 차량높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도면에서, 번호 3 은 차량본체상의 적소 (適所) 에 제공된 원통용기 또는 용기를 나타낸다. 용기 (3) 의 내부공간은 용기 (3) 내에 내장된 피스톤 (4) 에 의해 상하부 2 실로 한정된다. 상부실은 기름실 (6) 이 되도록 구성 (또는 설치) 되어 호스 (5) 를 통해 유압실린더 (1) 에 연결된다. 하부실은 압력실 (7) 이 되도록 설치되어 밀봉식으로 암모니아 등의 저비등점의 매체, 또는 대체 프레온 (예컨대, 프레온 134a) 등을 포함한다. 용기 (3) 의 원주벽상에는, 방열핀 (3a) 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실 (7) 의 바닥부에는, 액체섬프 (sump) 부 (7b) 가 제공되어 압력실 (7) 에서 응축된 매체가 버퍼판 (7a) 에 형성된 개구 (opening) 를 통하여 이 액체섬프부 쪽으로 하방 유동한다. 열교환 파이프로 구성된 가열기 (8) 는 액체섬프부 (7b) 에 포함된다. 가열기 (8) 는 차량에 장착된 동력원, 예컨대 엔진 또는 전기차량인 경우에는 전기모터를 냉각시키도록 사용되는 물, 또는 기름 등의 냉각제 (냉각제를 이하에서는 냉각수라 칭한다) 를 가열기를 통하여 흐르도록 설치된다. 가열기 (8) 의 상류측상의 통로에는, 연결봉 (10) 을 통하여 스터빌라이저 (9) 와 연결되어 작동된 버터플라이 (butterfly) 밸브 등의 유량조정밸브 (11) 가 내장되어 있다. 차량운반하중의 증가로 인하여 차량높이가 낮아진 경우, 스터빌라이저 (9) 는 지지점으로서 기능하는 차량본체에 대하여 베어링부 (9a) 와 함께 하방 선회한다. 스터빌라이저 (9) 의 상기 하방선회운동의 결과로 인하여, 유량조정밸브 (11) 는 밸브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어 가열기 (8) 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크기를 증가시킨다.
상술한 배열에 따라서, 차량높이가 하강하는 경우, 냉각수가 갸열기 (8) 에 공급되고, 그 결과 액체섬프부 (7b) 의 액체 상태의 매체가 냉각수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됨으로써, 압력실 (7) 내부의 매체의 증기압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4) 이 밀려서 기름실 (6) 이 가압된다. 기름이 압력하에 유압실린더 (1) 에 운반되고, 유압실린더 (1) 의 내압이 증가한다. 따라서 댐퍼 (2) 가 하방으로 밀려서 차량높이는 증가한다. 이후, 압력실 (7) 로부터 용기 (3) 의 원주 (또는 측) 벽부를 통과하는 방열량은 피스톤 (4) 의 상방이동의 결과로 증가하고, 가열기 (8) 에 대한 냉각수 공급량, 즉 압력실 (7) 에 대한 열주입 (heat input) 량은 차량높이에 의존하는 유량조정밸브 (11) 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차량높이는 열방출과 열주입량간의 균형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냉각시작 시기와 같이, 냉각수 온도가 충분히 증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압력실 (7) 내부의 매체는 증발될 수 없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도 2 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기 (8) 에 부가하여 전기 히터 (12) 가 제공된다. 냉각수 온도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스위치 온 (on) 되는 써모스탯 (thermostat) (14) 과, 유량조정밸브 (11) 의 축에 연결되어 차량높이에 응답하는 가변저항기 (15) 가 히터 (12) 와 전지 (13) 사이에 삽입된다. 냉각수 온도가 하강한 경우, 전기히터 (12) 가 써모스탯 (14) 과 가변저항기 (15) 를 통해 도전되어 매체의 가열을 보조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기름실 (6) 은 용기 (3) 내부에서 고무 벨로우즈 (rubber bellows) (16) 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유압은 압력실 (7) 내의 매체의 증기압에 의해 벨로우즈 (16) 를 압축 또는 가압하여 발생된다. 벨로우즈식 핀부 (bellow - like fin portion) 를 가지는 내부케이스에 의하여 압력실 (7) 의 액체섬프부 (7b) 에 대하여 구분 또는 분할되며 냉각수용 입구 (18a) 와 출구 (18b) 를 가지는 가열실 (18) 이 제공된다. 이 가열실 (18) 은 가열기 (8) 로서 구성 또는 기능한다. 도면에서, 번호 18c 는 내부케이스 (17) 를 지지하는 가열실 (18) 내부에 제공된 지지 브래켓 (bracket) 을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신장되며 가열기 (8) 를 구성하는 외부셸 (shell) (19) 과 내부셸 (20) 이 제공된다. 셸 (19, 20) 들간의 공간은 가열실(21) 로서 구성되고 이 가열실을 통하여 냉각수가 하단입구 (21a) 에서 상단출구 (21b) 쪽으로 흐른다. 내부셸 (20) 의 내부는 압력실 (7) 로 구성된다. 내부셸 (20) 내부에는 상단부가 내부셸 (20) 의 상부벽부 쪽으로 삽입되어 제공된 파이핑 플러그 (piping plug) (23) 에 설치된 상태에서 러버 벨로우즈 (22) 가 제공된다. 또한, 벨로우즈 (22) 의 내부는 유압실린더 (1) 에 연결되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높이를 조정하는 기름실 (6) 로 구성된다. 기름실 (6) 은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냉각수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 압력실 (7) 내부의 매체의 증기압에 의해 가압되어 가열실 (21) 을 통하여 흐름으로써, 유압이 발생한다.
외부셸 (19) 은 외부셸 (19) 로부터 방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열절연 능력을 구비한 수지로 구성된다. 내부셸 (20) 은 알루미늄 등의 고열전도성을 가진 금속으로 제공된다. 내부셸 (20) 의 벽두께는 압력용기로서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보다 두껍게 제조된 경우, 열량은 더 커진다. 그 결과, 냉각수 유동이 시작하는 시간에서 유압이 발생하는 시간까지 장시간이 필요하므로, 열-압력 전환에 대한 빈약한 반응을 수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셸 (19) 과 내부셸 (20) 에 접하는 주름식 핀부재 (24) 가 가열실 (21) 내부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압력실 (7) 의 내압은 핀부재 (24) 를 통하여 내부셸 (20) 및 외부셸 (21) 에 의해 수용된다. 상기와 같은 배열에 따라서, 압력용기로서의 강도는 내부셸 (20) 의 벽두께를 크게 증가시킴 없이 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량을 최소화 하므로써, 열-압력 전환 반응이 개선된다.
또, 핀부재 (24) 를 제공하여, 열전달 영역이 증가하고, 따라서, 냉각수에서 내부셸 (20) 까지의 열전달 효율이 개선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 (24) 를 일부 절단하고 신장시켜서 (또는 세워서) 복수의 윈도우 개구 (window opening) (24a) 를 핀부재 (24) 에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배열하여 외부셸 (19) 과 핀부재 (24) 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부 (21c) 를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수는 상기 윈도우 개구 (24a) 를 통하여 내부셸 (20) 과 핀부재 (24) 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부 (24d)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냉각수와 내부셸 (20) 간의 직접열교환이 가속되고, 열전달효율은 또한 개선된다.
압력실 (7) 바닥에서는, 승강바닥판 (25) 과 내부셸 (20) 의 바닥벽 (20a) 사이의 틈새를 남겨두도록 승강바닥판 (25) 이 제공된다. 승강바닥판 (25) 의 외경은 내부셸 (20) 의 내경 보다 약간 작게 만들어서, 승강바닥판 (25) 주위 또는 내에, 승강바닥판 (25) 과, 내부셸 (20) 의 측 (원통) 벽 (20b) 의 내부면 사이의 틈새를 확보한다. 승강바닥판 (25) 은 복수의 승강바닥판 (25) 의 원주지점에 형성된 함몰부 (25a) 에서 내부셸 (20) 의 바닥벽 (20a) 상에 위치된다. 승강바닥판 (25) 은, 증앙부에서, 바닥벽 (20a) 쪽으로 삽입되어 제공된 플러그 (26) 에 연결된다.
플러그 (26) 에는 통로 (26a) 가 형성된다. 통로 (26a) 를 통하여 압력실 (7) 을 비운 후에, 압력실 (7) 은 매체로 채워진다. 마지막으로, 통로 (26a) 를 블라인드 (blind) 플러그 (26b) 로 닫아서 밀봉식으로 압력실 (7) 내에 매체를 포함시킨다. 통로 (26a) 는 승강바닥판 (25) 의 중앙 개구 (25b) 와 연결되고 플러그 (26) 에 형성된 수평 개구 (26c) 를 통하여 승강바닥판 (25) 과 내부셸 (20) 의 바닥벽 (20a) 사이의 틈새와 연결된다. 상기 방법에서, 벨로우즈 (22) 를 비울 때, 하방 신장되어 개구 (25b) 를 봉쇄하더라도, 승강바닥판 (25) 과 바닥벽 (20a) 사이의 틈새 뿐 아니라 승강바닥판 (25) 의 원주의 갭을 통하여 흡입력이 여전히 압력실 (7) 에 가해진다. 따라서, 압력실 (7) 은 벨로우즈 (22) 에 방해받지 않고서 충분히 비워질 수 있다.
내부셸 (20) 의 측벽 (20b) 의 내부면에는, 원주방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간 거리를 두고 수직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돌출부 (27) 가 제공된다. 이들 돌출부 (27) 가 본 실시예에서는 전선 (또는 로드 (rod)) 재료로 구성 또는 제조되었다 하더라도, 이들 돌출부 (27) 는 또한 측벽 (20b) 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실 (7) 을 비울 때에, 벨로우즈 (22) 가 직경방향으로 신장되어 측벽 (20b) 의 전체 내부원주와 접촉한다면, 접촉부 위의 부위는 더 이상 흡입되지 않는다. 한편, 돌출부 (27) 가 제공된 경우, 돌출부 (27) 의 각각의 양측상에 틈새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흡입력이 이들 틈새를 통하여 접촉부 위의 부위에 가해질 것이며, 압력실 (7) 은 확실하게 비워질 수 있다. 돌출부 (27) 의 하단부는 내부셸 (20) 의 승강바닥판 (25) 과 측벽 (20b) 사이의 틈새 쪽으로 삽입된다.
냉각수가 가열실 (21) 을 통하여 흐를 때, 압력실 (7) 의 바닥에 머물고 있는 액체 상태의 매체는 냉각수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다. 이때, 매체의 비등결과로서, 매체의 액체방울이 승강바닥판 (25) 주위의 갭을 통해 상방 분산될 것이며, 이로써 액체 상태의 매체는 압력실 (7) 의 상부 쪽으로 또한 분산된다. 따라서, 내부셸 (20) 의 바닥벽 (20a) 뿐 아니라 승강바닥판 (25) 및 측벽 (20b) 은 액체상태의 매체의 가열과 증발에 기여하는 열전달부위가 된다. 핀부재 (24) 와 돌출부 (27) 에 의해 열전달영역의 증가와 함께, 액체상태의 매체는 효율적으로 가열되어 증발될 수 있다. 따라서 열-압력 전환 반응이 개선되어 실현 가능한 최대 크기가 된다. 차량높이의 조정을 위하여 유압실린더 (1) 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원은,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가열기 (8), 압력실 (7) 및 기름실 (6) 이 제공된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는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실시예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하였다. 후륜 조타 (rear-wheel steering) 용의 유압 액튜에이터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또 다른 유압 액튜에이터용의 유압원으로서 상술한 유압원과 유사한 장치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부가하여, 상술한 실시예에서, 유량조정밸브 (11) 가 설치되어 차량높이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차량높이를 검지하는 센서가 제공되어 센서에서 받은 신호에 의해 유량조정밸브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술한 유압원 장치 및 차량높이조정 장치는 상술한 목적 전부를 만족시키며 폭넓은 상업상 이용가능성의 이점을 가짐은 당연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별한 형태는 대표적인 것만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술의 범위내에서 임의의 정정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체 범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음의 청구범위를 참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탑재된 동력원의 폐열을 이용하여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유압원 장치를 제공하여 연료소비율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유압원 장치를 이용한 차량높이 조정 장치를 제공하여 에너지 소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차량에 탑재된 유압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원 장치에 있어서, 이 유압원 장치는,
    상기 유압 액튜에이터에 연결된 기름실 (6) 과,
    가스상태와 액체상태 사이에서 변하는 매체를 밀봉방식으로 내부에 포함시키는 압력실 (7) 과,
    상기 압력실 (7) 내의 매체를 가열하여 증발시키며, 차량에 탑재된 동력원을 냉각시키는 냉각제가 통과하는 가열기 (8) 와,
    상기 압력실 (7) 내부의 매체의 증기압에 의해 상기 기름실 (6) 을 가압하여 발생되는 유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원 장치는 상기 가열기 (8) 를 구성하는 외부셸 (19) 과 내부셸 (20) 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셸 (19) 과 내부셸 (20) 사이의 공간은 냉각제가 통과하는 가열실 (21) 로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내부셸 (20) 의 내부는 상기 압력실 (7) 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원 장치는 상기 외부셸 (19) 과 상기 내부셸 (20) 을 접촉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열실 (21) 내부에 배열된 주름식 판형 (plate shape) 의 핀부재 (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 (24) 는 상기 외부셸 (19) 과 상기 핀부재 (24) 에 의해 한정된 통로부에서 상기 내부셸 (20) 과 상기 핀부재 (24) 에 의해 한정된 통로부 쪽으로 냉각제를 유입시키는 복수의 윈도우 개구 (24a) 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원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셸 (19) 은 수지 (resin)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원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원 장치는 상기 내부셸 (20) 의 바닥벽 (20a) 에 대하여 틈새를 가지면서 상기 압력실 (7) 의 바닥부에 배열된 승강바닥판 (25) 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셸 (20) 의 측벽에 대한 상기 승강바닥판 (25) 주위의 갭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원 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돌출부 (27)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27) 는 돌출부들 상호간 원주방향으로 거리를 두면서 상기 내부셸 (20) 의 상기 측벽 (20b) 내면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원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원 장치는, 상기 기름실 (6) 을 구성하면서 상기 내부셸 (20) 내에 포함된 벨로우즈 (22) 와, 상기 내부셸 (20) 의 상기 바닥벽 (20a) 과 상기 승강바닥판 (25) 사이의 틈새와 연결된 배출통로 (26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원 장치.
  9. 차량높이 조정 장치에 있어서,
    차량높이 조정용의 유압실린더 (1) 와,
    상기 유압실린더 (1) 에 연결된 기름실 (6) 과,
    가스상태와 액체상태 사이에서 변하는 매체를 밀봉방식으로 내부에 포함시키는 압력실 (7) 과,
    상기 압력실 (7) 내의 매체를 가열하여 증발시키며, 차량에 탑재된 동력원을 냉각시키는 냉각제가 통과하는 가열기 (8) 와,
    상기 압력실 (7) 내부의 매체의 증기압에 의해 상기 기름실 (6) 을 가압하여 발생되는 유압과,
    차량높이에 따라서 상기 가열기 (8) 에 냉각제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높이 조정 장치.
KR1019960058352A 1995-11-28 1996-11-27 유압원 장치 및 차량높이 조정 장치 KR100298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08661 1995-11-28
JP30866195A JPH09150615A (ja) 1995-11-28 1995-11-28 車載油圧アクチュエータ用の油圧源装置及び車高調整装置
JP22483196A JP3675978B2 (ja) 1996-08-27 1996-08-27 車両用油圧源装置
JP96-224831 1996-08-27
JP96-224830 1996-08-27
JP22483096A JPH1068402A (ja) 1996-08-27 1996-08-27 車両用油圧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986A true KR19980017986A (ko) 1998-06-05
KR100298532B1 KR100298532B1 (ko) 2001-09-03

Family

ID=2733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352A KR100298532B1 (ko) 1995-11-28 1996-11-27 유압원 장치 및 차량높이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27071A (ko)
KR (1) KR100298532B1 (ko)
DE (1) DE1964805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0621B1 (en) 1997-10-08 2001-01-0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ular damper with vehicle height adjusting function
JP2000055106A (ja) * 1998-08-03 2000-02-22 Honda Motor Co Ltd 車高調整機能付きダンパ
US6328144B1 (en) * 1998-11-18 2001-12-1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Inverted type of vehicular damper with vehicle height adjusting function
JP4411829B2 (ja) * 2002-08-26 2010-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蒸気エンジン
US7090384B2 (en) * 2003-10-20 2006-08-15 Textron Inc. Headlamp adjuster with expandable member for accommodating retraction of an adjuster output member
US7458414B2 (en) * 2004-07-22 2008-12-02 Parker-Hannifin Corporation Hydraulic reservoir with integrated heat exchanger
DE102006035766A1 (de) * 2006-08-01 2008-02-07 Robert Bosch Gmbh Druckspeicher, insbesondere Hydrospeicher
DE102006040327A1 (de) * 2006-08-29 2008-03-06 Gustav Magenwirth Gmbh & Co. Kg Bremssystem mit einer hydraulischen Bremsanlage
JP4285561B2 (ja) * 2007-05-17 2009-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外燃機関
US7733072B2 (en) * 2007-08-27 2010-06-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tep-down/step-up DC/DC converter apparatus and method with inductor current threshold value adjusting
EP2052889B1 (de) * 2007-10-26 2016-06-15 Strömsholmen AB Hydropneumatische Feder-Dämpf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Hydropneumatischen Feder-Dämpfungsvorrichtung
CN201272222Y (zh) * 2008-06-16 2009-07-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减震器冷却装置
DE102009034295A1 (de) * 2009-07-21 2011-02-03 Dt Swiss Ag Dämpfereinrichtung für ein Zweirad
WO2012091644A1 (en) * 2010-12-29 2012-07-05 Metso Paper Sweden Ab Hydraulic system with a hydraulic cylinder and an associated gas filled pressure accumulator and method for avoiding condensation in the accumulator
JP5848544B2 (ja) * 2011-08-08 2016-01-27 Kyb株式会社 車高調整機能付き緩衝器
US8641053B2 (en) * 2012-02-27 2014-02-04 Bose Corporation Actuator assembly
DE102012005447A1 (de) * 2012-03-20 2013-09-26 Carl Freudenberg Kg Druckspeicher
US9353820B2 (en) * 2013-04-11 2016-05-31 Bell Helicopter Textron Inc. Elastomeric damper with heater
NL2015638B9 (en) * 2015-10-20 2017-05-17 Niki Enerji Uretim A S A power generator and a method of generating power.
CN111806186B (zh) * 2020-06-23 2021-12-07 北京卫星制造厂有限公司 一种面向混联加工机器人的柔性化全向智能移动装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5210A (en) * 1974-06-07 1976-03-23 Rodina Energy R & D Corporation Energy recovery
DE3232497A1 (de) * 1982-09-01 1983-02-03 Richard 8000 München Moritz Vorrichtung zur gewinnung mechanischer energie aus waermeenergie
DE4105144A1 (de) * 1991-02-20 1992-08-27 Teves Gmbh Alfred Hydraulikanlage
US5107922A (en) * 1991-03-01 1992-04-28 Long Manufacturing Ltd. Optimized offset strip fin for use in contact heat excha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8532B1 (ko) 2001-09-03
US5927071A (en) 1999-07-27
DE19648050A1 (de) 1997-06-05
DE19648050B4 (de)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532B1 (ko) 유압원 장치 및 차량높이 조정 장치
JPH0949430A (ja) 車両用エンジン暖機装置、および保温器
US5881801A (en) Thermally driven liquid pressure generating apparatus
JPH10220947A (ja) 恒温冷媒液循環装置
EP1020307B1 (en) Damper with vehicle height adjusting function
JPH0580565B2 (ko)
US5970928A (en) Self restricting engine cooling system deaeration line
JPH0692730B2 (ja) 車両用内燃機関の沸騰冷却装置
CN207620909U (zh) 一种高效节能汽车调温器
US5947375A (en) Liquid heating and circulating apparatus for use in an automotive vehicle
JPH0830412B2 (ja) 内燃機関の沸騰冷却装置
JPH09150615A (ja) 車載油圧アクチュエータ用の油圧源装置及び車高調整装置
US6691841B2 (en) Shock absorber with leveling function
JP3675978B2 (ja) 車両用油圧源装置
KR100391128B1 (ko) 가압식 리저버탱크의 압력조절장치
KR970000369Y1 (ko) 자동차의 밀폐식 냉각 시스템
JP3833361B2 (ja) エンジンの廃熱供給装置
JPH1068402A (ja) 車両用油圧源装置
JPH11254934A (ja) 車高調整機能付きダンパ
SU1197874A2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4715280A (zh) 一种后防护横梁及汽车
JPS5838932Y2 (ja) 太陽熱温水装置
JP200703879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746602B2 (ja) 車高調整機能付き車両用ダンパ
JPH02486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