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0607B1 -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 - Google Patents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0607B1
KR102680607B1 KR1020230099902A KR20230099902A KR102680607B1 KR 102680607 B1 KR102680607 B1 KR 102680607B1 KR 1020230099902 A KR1020230099902 A KR 1020230099902A KR 20230099902 A KR20230099902 A KR 20230099902A KR 102680607 B1 KR102680607 B1 KR 102680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boom
roughing
boom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부섭
Original Assignee
엄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부섭 filed Critical 엄부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0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3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flexible elements, e.g. cables, chain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러핑윈치 및 러핑실린더 구동에 의해 카운터지브가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된 지브를 이의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화물(work)을 인양작업하기 위한,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은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적용되고,
마스터;
상기 마스터 상단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를 탑재하되,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지브;
상기 지브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지브 하단에 임의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카운터지브, 상기 지브와 카운터지브의 연결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단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
헤드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지브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지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
헤드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카운터지브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와 교호적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카운터지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2러핑실린더;
상기 카운터지브에 장착되고, 상기 지브 단부의 쉬이브를 통과하는 호이스트와이어에 의해 승강되는 후크블록에 의해 화물을 인양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며 호이스트용 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호이스트윈치;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1,2러핑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지브를 회동시킬 경우 연동되어 상기 카운터지브를 상기 지브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에 연결되며 러핑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러핑윈치;를 구비하되,
화물을 인양작업하기 위해 상기 제1,2러핑실린더 구동으로 상기 지브를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킬 경우, 상기 러핑윈치 구동으로 러핑와이어에 의해 카운터지브를 상기 마스터쪽으로 회동시켜 상기 카운터지브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 및 상기 지브의 무게중심이 상기 힌지부에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luffing tower crane hydraulic type}
본 명세서는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러핑윈치 및 러핑실린더 구동에 의해 카운터지브가 연장형성된 지브를 이의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화물(work)을 인양작업하기 위한,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타워크레인은 상부 모양에 따라 크게 수평 지브형(Horizontal jib type) 및 해머 헤드형(hammer head type), 기복 지브(붐)형(Luffing jib(boom) type)으로 나눈다.
수평 지브(팔 모양으로 돌출된 것) 형은 타워 상단에 회전 프레임을 설치하고, 지브를 붙여 회전운동이나 트롤리(trolley)의 직선운동으로써 화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한다.
해머 헤드형은 수평 지브형의 타워헤드와 지브 및 카운터 지브를 지지하는 타이-바를 없애고, 타워 상단의 선회 프레임에 지브 및 후방의 카운터 지브만을 장착한 것으로, 하중의 이동 및 운전 방식은 수평 지브형과 동일하다.
기복 지브(붐)형은 타워의 상단에 선회 프레임을 설치하고, 선회 프레임에 카운터 지브를 붙인 다음, 카운터 지브의 상면에 타워헤드와 지브를 붙혀, 선회 운동 및 지브의 기복운동, 지브(붐)의 끝단의 후크 블록의 상하 운동으로 원하는 위치의 화물을 끌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한다.
타워크레인의 마스트 최상단에는 타워크레인의 선회운동을 담당하는 선회프레임 및 선회장치가 설치되고, 그 위에 수평 지브형 또는 기복 지브형에는 타워 헤드(Tower head)와 지브 및 카운터지브가 설치되고, 해머 헤드형에는 지브 및 카운터 지브만이 설치된다. 타워 헤드는 지브와 카운트지브를 연결하는 타이 바 또는 기복 로프를 상호 지탱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운트지브는 타워크레인의 전, 후방의 균형 유지를 위해 지브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카운트지브에는 균형추와 윈치를 포함한 권상장치가 설치된다.
지브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한 외팔보 형태의 구조물로서, 지브의 길이, 선회반경에 따라 권상용량이 결정되며, 풍하중 및 중량의 감소를 위해 트러스 구조로 되어 있다.
지브에는 수평 지브형 또는 해머 헤드형에는 트롤리가 설치되고, 기복 지브형에는 지브의 끝단에 바로 훅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수평 지브 및 해머 헤드형에 설치되는 트롤리는 지브를 따라 이송되면서 권상작업을 위한 선회반경을 결정하는 횡행장치이다.
트롤리에는 훅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데, 트롤리에서 내려진 와이어로프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며, 권상장치의 구동 시 와이어로프가 감기면서 훅 어셈블리가 상하로 이송된다. 이러한 훅 어셈블리는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는 훅 블럭과, 훅 블럭의 하단에 결합되는 훅으로 이루어진다.
타워크레인은 마스트의 상단 일측에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카운터지브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지브에는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권상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지브형 크레인은 크레인 운전자가 크레인을 조정하는 운전실이 지브의 끝단보다 훨씬 아래에 위치하므로, 건설현장이나 조선소의 배 건조현장에서 무거운 자재를 권상, 권하함에 있어 리프팅되는 자재나 시공중인 건축물, 건축물에 시야가 가려 상부나 사각지대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며, 신호수의 수신호나 무전기에 의존하여 작업하므로 와이어 끝단의 후크가 지면에 닿아 와이어의 처짐이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30716호(2013.11.26)에 러핑 지브 크레인 기립방법 및 시스템이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카운터지브가 연장형성된 지브를 이의 힌지부(힌지축)를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화물(work)을 인양작업하는 경우, 러핑실린더 구동으로 지브를 리프팅시키되,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된 카운터지브를 러핑원치 구동으로 마스터쪽으로 회동시켜 러핑실린더의 부하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적용되고,
마스터;
상기 마스터 상단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를 탑재하되,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지브;
상기 지브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지브 하단에 임의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카운터지브, 상기 지브와 상기 카운터지브의 연결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단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
헤드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지브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지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
헤드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카운터지브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와 교호적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카운터지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2러핑실린더;
상기 카운터지브에 장착되고, 상기 지브 단부의 쉬이브를 통과하는 호이스트와이어에 의해 승강되는 후크블록에 의해 화물을 인양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며 호이스트용 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호이스트윈치;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1,2러핑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지브를 회동시킬 경우 연동되어 상기 카운터지브를 상기 지브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에 연결되며 러핑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러핑윈치;를 구비하되,
화물을 인양작업하기 위해 상기 제1,2러핑실린더 구동으로 상기 지브를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킬 경우, 상기 러핑윈치 구동으로 러핑와이어에 의해 카운터지브를 상기 마스터쪽으로 회동시켜 상기 카운터지브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 및 상기 지브의 무게중심이 상기 힌지부에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을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적용되고,
마스터;
상기 마스터 상단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를 탑재하되,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다단형 붐대;
상기 다단형 붐대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다단형 붐대 하단에 임의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카운터지브, 상기 다단형 붐대와 상기 카운터지브의 연결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단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
헤드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다단형 붐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다단형 붐대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
헤드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카운터지브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와 교호적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카운터지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2러핑실린더;
상기 카운터지브에 장착되고, 상기 다단형 붐대 단부의 쉬이브를 통과하는 호이스트와이어에 의해 승강되는 후크블록에 의해 화물을 인양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며 호이스트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호이스트윈치;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1,2러핑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다단형 붐대를 회동시킬 경우 연동되어 상기 카운터지브를 상기 다단형 붐대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에 연결되며 러핑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러핑윈치;를 구비하되,
화물을 인양작업하기 위해 상기 제1,2러핑실린더 구동으로 상기 다단형 붐대를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경우, 상기 러핑윈치 구동으로 러핑와이어에 의해 카운터지브를 상기 마스터쪽으로 회동시켜 상기 카운터지브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 및 상기 다단형 붐대의 무게중심이 상기 힌지부에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단형 붐대를 텔레스코픽 운동에 의해 중첩 및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다단형 붐프레임으로 형성하되,
일단이 상기 카운터지브에 연결되고, 내주연 일측에 제1전동실린더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단부에 제1스토퍼가 형성되는 중공형 제1붐프레임;
상기 제1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연 일측에 제2전동실린더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측에 상기 제1전동실린더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단부에 제2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림부가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전동실린더의 신축구동에 따라 상기 제1붐프레임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2붐프레임;
상기 제2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연 일측에 제3전동실린더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측에 상기 제2전동실린더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단부에 제3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2스토퍼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림부가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전동실린더의 신축구동에 따라 상기 제2붐프레임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3붐프레임;
상기 제3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연 타측에 상기 제3전동실린더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3스토퍼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걸림부가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3전동실린더의 신축구동에 따라 상기 제3붐프레임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4붐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단형 붐대를 텔레스코픽 운동에 의해 중첩 및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다단형 붐프레임으로 형성하되,
일단이 상기 카운터지브에 연결되고, 외주연 일측에 제4전동실린더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공형 제1붐프레임;
상기 제1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연 타측에 상기 제4전동실린더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4전동실린더의 신축구동에 따라 상기 제1붐프레임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2붐프레임;
상기 제2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3붐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2붐프레임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붐프레임내측단에 고정된 구동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3붐프레임 내주연 일측에 고정되는 인입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4전동실린더 구동시 상기 제3붐프레임을 상기 제2붐프레임에 수납시키는 제1인입구동수단;
일단이 제1붐프레임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붐 프레임 외주연에 고정된 구동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3붐프레임 외주연 일단부에 고정되는 인출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4전동실린더 구동시 상기 제3붐프레임을 상기 제2붐프레임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제1인출구동수단;
상기 제3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4붐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2붐프레임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3붐프레임내측단에 고정된 구동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4붐프레임 내주연 일측에 고정되는 인입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4전동실린더 구동시 상기 제4붐프레임을 상기 제3붐프레임에 수납시키는 제2인입구동수단;
일단이 제2붐프레임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3붐프레임 외주연에 고정된 구동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4붐프레임 외주연 일단부에 고정되는 인출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4전동실린더 구동시 상기 제4붐프레임을 상기 제3붐프레임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제2인출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카운터지브(counter jib)가 연장형성된 지브(jib)를 이의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화물을 인양작업할 경우, 유압식 러핑실린더(luffing cylinder) 구동으로 지브를 리프팅시키되, 카운터웨이트(counter weight)가 장착된 카운터지브를 러핑원치(luffing winch) 구동으로 마스터(master)쪽으로 회동시켜 러핑실린더에 부하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카운터지브 및 지브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줄여(즉 카운터지브 및 지브에 발생되는 무게중심이 마스터쪽으로 쏠리게 됨) 타워크레인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러핑 타워크레인의 요부발췌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러핑 타워크레인의 화물을 인양하는 후크블록의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러핑 타워크레인의 요부발췌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러핑 타워크레인의 다단형 붐대를 접은상태의 도면,
도 8(a,b)은 도 5에 도시된 다단형 붐대를 신축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의 도면,
도 9(a,b)은 도 5에 도시된 다단형 붐대를 신축구동시키는 다른 구동수단의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러핑 타워크레인의 다른 변형예시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러핑 타워크레인의 다른 변형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은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적용되고,
지면의 기초앵커(basic anchor)(10)에 장착되는 통상의 마스터(20)(master);
마스터(20) 상단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통상의 회전부(30)를 탑재하되, 회전부(30)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50) 상단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외팔보 형태의 통상의 지브(60)(jib);
지브(60)(또는 카운터지브(80)를 말함)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지브(60)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70)(counter weight)가 장착되며(즉 지브(6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지브(60) 및 카운터웨이트(70)의 무게중심이 힌지부(90)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타워크레인의 전,후방의 균형유지를 위한 카운터지브(80)(counter jib)를 지브(60) 하단에 임의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하되, 지브(6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지브(60)와 카운터지브(80)의 연결부가 지지프레임(50) 상단에 힌지부(90)(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
헤드부가 지지프레임(50)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지브(60)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신축구동시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지브(6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통상의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100)(luffing cylinder);
헤드부가 지지프레임(5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카운터지브(8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100)와 교호적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신축구동시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카운터지브(8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통상의 유압식 제2러핑실린더(500)(즉 제1러핑실린더(100) 신장구동시 수축구동됨을 말함);
카운터지브(80)에 장착되고, 지브(60)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통상의 쉬이브(40)(sheave)를 통과하는 호이스트와이어(110)에 의해 승강되는 후크블록(120)에 의해 화물(work)을 인양시키도록 정역 방향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제1구동모터(130)(지상으로부터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공급됨) 및 감속기와, 제1구동모터(130)에 연결되며 호이스트와이어(110)(hoist wire)가 감기는 와이어드럼(140)(wire drum)이 구비된 통상의 호이스트윈치(150)(hoist winch);
지지프레임(50)에 장착되고, 제1,2러핑실린더(100,500) 구동에 의해 지브(60)를 회동시킬 경우 연동되어 카운터지브(80)를 지브(60)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정역 방향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제2구동모터(160)(지상으로부터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공급됨) 및 감속기와, 제2구동모터(160)에 연결되며 러핑와이어(170)(luffing wire)가 감기는 와이어드럼(180)(wire drum)이 구비된 통상의 러핑윈치(190)(luffing winch);를 구비하되,
화물(work)을 인양작업하기 위해 제1,2러핑실린더(100,500) 구동으로 인해 지브(60)를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회동시킬 경우, 러핑윈치(190) 구동으로 인해 러핑와이어(170)에 의해 카운터지브(80)를 마스터(20)쪽으로 회동시켜 카운터지브(80)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70) 및 지브(60)의 무게중심이 힌지부(90)에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제1,2구동모터(130,160)를 구동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지브(60)가 수평모드를 유지할 경우에 마스트(20)를 중심으로 지브(60)와 카운터웨이트(70)가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마스트(20)에 무게중심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반면에 지브(60)를 상하 방향으로 세울 경우에 지브(60)의 회동각도에 따라 카운터웨이트(70)도 마스트(20)쪽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지브(60)가 상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지브(60)의 무게중심이 마스트(20)쪽으로 이동되므로 카운터웨이트(70)의 무게 중심도 마스트(2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지브(60)와 카운터웨이트(70)이 무게중심이 항시 마스트(20)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크레인이 주변의 외풍 등에 의해 흔들리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컨트록박스(미 도시) 조작에 의해 유압호스를 통한 작동유 공급에 의해 신축구동되는 제1,2러핑실린더(100,500) 및 지상으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구동되는 제1,2구동모터(130,160)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와이어드럼(140,180)에 호이스트와이어(110) 및 러핑와이어(170)를 감게 되는 호이스트윈치(150) 및 러핑윈치(190)와, 마스터(20) 상단에 장착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통상의 스윙모터(swing motor) 및 스윙모터에 연결되는 링기어(ring gear)에 의해 지브(6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30)와, 지브(60) 단부에 장착되는 쉬이브(40)를 통과하는 호이스트와이어(110)에 의해 승강되어 화물(work)을 인양하기 위한 후크블록(120)을 포함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러핑 타워크레인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9(a,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은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적용되고,
지면의 기초앵커(basic anchor)(10)에 장착되는 통상의 마스터(20);
마스터(20) 상단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30)를 탑재하되, 회전부(30)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50) 상단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다단형 붐대(200);
다단형 붐대(200)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70)가 장착되고, 다단형 붐대(200) 하단에 임의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카운터지브(80), 다단형 붐대(200)와 카운터지브(80)의 연결부가 지프레임(50) 상단에 힌지부(9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
헤드부가 지지프레임(5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다단형붐대(20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신축구동시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다단형 붐대(200)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100);
헤드부가 지지프레임(5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카운터지브(8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100)와 교호적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신축구동시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카운터지브(80)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2러핑실린더(500)(즉 제1러핑실린더(100) 신장구동시 수축구동됨을 말함);
카운터지브(80)에 장착되고, 다단형 붐대(200) 단부의 쉬이브를 통과하는 호이스트와이어(110)에 의해 승강되는 후크블록(120)에 의해 화물을 인양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제1구동모터(130)(지상으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공급됨)와, 제1구동모터(130)에 연결되며 호이스트와이어(110)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140)이 구비된 호이스트윈치(150);
지지프레임(50)에 장착되고, 제1,2러핑실린더(100,500) 구동에 의해 다단형 붐대(200)를 회동시킬 경우 연동되어 카운터지브(80)를 다단형 붐대(200)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제2구동모터(160)(지상으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공급됨)와, 제2구동모터(160)에 연결되며 러핑와이어(170)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180)이 구비된 러핑윈치(190);를 구비하되,
화물을 인양작업하기 위해 제1,2러핑실린더(100,500) 구동으로 다단형 붐대(200)를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회동시킬 경우, 러핑윈치(190) 구동으로 러핑와이어(170)에 의해 카운터지브(80)를 마스터(20)쪽으로 회동시켜 카운터지브(80)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70) 및 다단형 붐대(200)의 무게중심이 힌지부(90)에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마스터(20) 상단에 탑재되는 회전부(30)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50) 상단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텔레스코픽 운동에 의해 중첩 및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다단형 붐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다단형 붐대(200)를 제외한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 구성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8(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다단형 붐대(200)를 텔레스코픽 운동에 의해 중첩 및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다단형 붐프레임으로 형성하되(일 예로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4단형 붐프레임을 설명한 것이고, 이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단이 카운터지브(80)에 연결되고, 내주연 일측에 통상의 제1전동실린더(210)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단부에 제1스토퍼(220)가 형성되는 통상의 중공형 제1붐프레임(230)(일 예로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1붐프레임(230)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연 일측에 통상의 제2전동실린더(240)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측에 통상의 제1전동실린더(210)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단부에 제2스토퍼(250)가 형성되며, 제1스토퍼(220)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림부(260)가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며, 제1전동실린더(210)의 신축구동에 따라 제1붐프레임(230)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통상의 중공형 제2붐프레임(270)(일 예로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2붐프레임(270)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연 일측에 통상의 제3전동실린더(280)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측에 통상의 제2전동실린더(240)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단부에 제3스토퍼(290)가 형성되며, 제2스토퍼(250)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림부(300)가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며, 제2전동실린더(240)의 신축구동에 따라 제2붐프레임(270)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통상의 중공형 제3붐프레임(310)(일 예로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3붐프레임(310)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연 타측에 통상의 제3전동실린더(270)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제3스토퍼(280)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걸림부(320)가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며, 제3전동실린더(270)의 신축구동에 따라 제3붐프레임(310)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통상의 중공형 제4붐프레임(330)(일 예로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다단형 붐대(200)를 신장구동시키는 것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8(a,b)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시 제1전동실린더(210)가 소정 스트로크만큼 신장구동됨에 따라 제2붐프레임(270)이 제1붐프레임(230)으로부터 신장구동된다(제1전동실린더(210) 구동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2붐프레임(270)의 외주연 일단에 형성된 제1걸림부(260)가 제1붐프레임(230)의 내주연 일단에 형성된 제1스토퍼(220)에 걸려 제2붐프레임(270)이 제1붐프레임(2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제2전동실린더(240)가 소정 스트로크만큼 신장구동됨에 따라 제3붐프레임(310)이 제2붐프레임(270)으로부터 신장구동된다(제2전동실린더(240) 구동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3붐프레임(310)의 외주연 일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300)가 제2붐프레임(270)의 내주연 일단에 형성된 제2스토퍼(250)에 걸려 제3붐프레임(310)이 제2붐프레임(27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제3전동실린더(280)가 소정 스트로크만큼 신장구동됨에 따라 제4붐프레임(330)이 제3붐프레임(310)으로부터 신장구동된다(제3전동실린더(280) 구동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4붐프레임(330)의 외주연 일단에 형성된 제3걸림부(320)가 제3붐프레임(310)의 내주연 일단에 형성된 제3스토퍼(290)에 걸려 제4붐프레임(330)이 제3붐프레임(3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3전동실린더(210,240,280)의 신장구동됨에 의해 제2,3,4붐프레임(270,310,330)이 순차적으로 신장구동된다.
따라서, 전술한 호이스트윈치(150)의 와이어드럼(140)에 권선되고, 제4붐프레임(330) 단부에 형성된 시이브를 통해 승강되는 호이스트와이어(110)에 연결된 후크블록(120)을 통해 화물을 인양작업할 수 있다.
소정의 화물 인양작업이 종료된 경우, 전술한 제3전동실린더(280)의 수축구동에 의해 제4붐프레임(330)을 제3붐프레임(310)에 수납시키고, 제2전동실린더(240)의 수축구동에 의해 제3붐프레임(310)을 제2붐프레임(270)에 수납시키고, 제1전동실린더(210)의 수축구동에 의해 제2붐프레임(270)을 제1붐프레임(230)에 수납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9(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다단형 붐대(200)를 텔레스코픽 운동에 의해 중첩 및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다단형 붐프레임으로 형성하되(일 예로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4단형 붐프레임을 설명한 것이고, 이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단이 카운터지브(80)에 연결되고, 외주연 일측에 통상의 제4전동실린더(340)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통상의 중공형 제1붐프레임(230)(일 예로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1붐프레임(230)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연 타측에 제4전동실린더(340)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제4전동실린더(340)의 신축구동에 따라 제1붐프레임(230)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통상의 중공형 제2붐프레임(270)(일 예로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2붐프레임(270)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구동되는 통상의 중공형 제3붐프레임(310)(일 예로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단이 제2붐프레임(270)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붐프레임(270) 내측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통상의 구동롤러(360)(idler)를 통과하여 제3붐프레임(310) 내주연 일측에 고정되는 통상의 인입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제4전동실린더(340) 구동시 제3붐프레임(310)을 제2붐프레임(270)에 수납시키는 제1인입구동수단(350);
일단이 제1붐프레임(230)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붐프레임(270)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구동롤러(360)(idler)를 통과하여 제3붐프레임(310) 외주연 일단부에 고정되는 통상의 인출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제4전동실린더(340) 구동시 제3붐프레임(310)을 제2붐프레임(270)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제1인출구동수단(400);
제3붐프레임(310)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구동되는 통상의 중공형 제4붐프레임(330)(일 예로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단이 제2붐프레임(270)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3붐프레임(310) 내측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통상의 구동롤러(360)(idler)를 통과하여 제4붐프레임(330) 내주연 일측에 고정되는 통상의 인입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제4전동실린더(340) 구동시 제4붐프레임(330)을 제3붐프레임(310)에 수납시키는 제2인입구동수단(380);
일단이 제2붐프레임(270)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3붐프레임(310)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통상의 구동롤러(360)(idler)를 통과하여 제4붐프레임(330) 외주연 일단부에 고정되는 통상의 인출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제4전동실린더(340) 구동시 제4붐프레임(330)을 제3붐프레임(310)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제2인출구동수단(3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다단형 붐대(200)를 신장구동시키는 것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9(a,b)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시 제4전동실린더(340)가 소정 스트로크만큼 신장구동됨에 따라 제2붐프레임(270)이 제1붐프레임(230)으로부터 신장구동된다(제4전동실린더(340) 구동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전술한 제4전동실린더(340)를 신장구동시킬 경우, 일단이 제1붐프레임(230) 외주연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붐프레임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구동롤러(360)를 통과하여 제3붐프레임(310)의 외주연 일단에 고정된 인출용 체인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인출구동수단(400)에 의해 제3붐프레임(310)이 제2붐프레임(270)으로부터 신장구동된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제4전동실린더(340)를 신장구동시킬 경우, 일단이 제2붐프레임(270)의 외주연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3붐프레임(310)의 외주연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구동롤러(360)를 통과하여 제4붐프레임(330)의 외주연 일단에 고정된 인출용 체인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인출구동수단(390)에 의해 제4붐프레임(330)이 제3붐프레임(310)으로부터 신장구동된다.
한편, 소정의 화물 인양작업이 종료된 경우, 전술한 제4전동실린더(340)를 수축구동시킴에 따라 제2붐프레임(270)이 제1붐프레임(230) 내부에 수납(인입)된다. 이때 일단이 제2붐프레임(270)의 외측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붐프레임(270)의 내측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구동롤러(360)를 통과하여 제3붐프레임(310)의 내주연 일측에 고정된 체인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인입구동수단(350)에 의해 제3붐프레임(310)을 제2붐프레임(270) 내부에 수납(인입)된다.
이와 동시에, 일단이 제2붐프레임(270)의 외측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3붐프레임(310)의 내측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구동롤러(360)를 통과하여 제4붐프레임(330)의 내주연에 일측에 고정된 체인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인입구동수단(380)에 의해 제4붐프레임(330)이 제3붐프레임(310)의 내부에 수납(인입)된다.
따라서, 도 9(b)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4전동실린더(340)의 수축구동에 의해 제2,3,4붐프레임(270,310,330)을 순차적으로 제1붐프레임(230)에 수납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은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적용되고,
지면의 기초앵커(basic anchor)(10)에 장착되는 통상의 마스터(20);
마스터(20) 상단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30)를 탑재하되, 회전부(30)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50) 상단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외팔보 형태의 통상의 지브(60);
지브(60)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 기능을 갖는 충전식 배터리(1000)가 장착되고(지브(6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지브(60) 및 충전식 배터리(1000)의 무게중심이 힌지부(90)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지브(60) 하단에 임의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카운터지브(80), 지브(6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지브(60)와 카운터지브(80)의 연결부가 지지프레임(50) 상단에 힌지부(9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
헤드부가 지지프레임(5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지브(6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신축구동시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지브(6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통상의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100);
헤드부가 지지프레임(5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카운터지브(8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100)와 교호적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신축구동시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카운터지브(8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2러핑실린더(500)(즉 제1러핑실린더(100) 신장구동시 수축구동됨을 말함);
카운터지브(80)에 장착되고, 지브(60) 단부에 장착되는 통상의 쉬이브(40)를 통과하는 호이스트와이어(110)에 의해 승강되는 후크블록(120)에 의해 화물(work)을 인양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제1구동모터(130)와, 제1구동모터(130)에 연결되며 호이스트용 와이어(110)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140)이 구비된 통상의 호이스트윈치(150);
지지프레임(50)에 장착되고, 제1,2러핑실린더(100,500) 구동에 의해 지브(60)를 회동시킬 경우 연동되어 카운터지브(80)를 지브(60)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제2구동모터(160) 및 감속기어와, 제2구동모터(160)에 연결되며 러핑와이어(170)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180)이 구비된 러핑윈치(190);를 구비하되,
화물을 인양작업하기 위해 제1,2러핑실린더 구동으로 지브(60)를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회동시킬 경우, 러핑윈치(190) 구동으로 러핑와이어(170)에 의해 카운터지브(80)를 마스터(20)쪽으로 잡아당겨 카운터지브(80)에 장착된 충전식 배터리(1000) 및 지브(60)의 무게중심이 힌지부(90)에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지브(80)에 카운터웨이트(70)를 대체시켜 충전식 배터리(1000)를 장착시킴에 따라 동력설비 및 전기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즉 충전식 배터리(1000)를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주물웨이트로 제작하여 카운터웨이트(70)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야간에 지상으로부터 전원케이블을 통해 충전식 배터리(1000)를 충전시킨 후, 주간에 충전식 배터리(1000)에 충전된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지상으로부터 전원을 전동실린더 등에 인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케이블 굵기를 줄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전식 배터리(1000) 중량으로써 카운터웨이트(70) 기능을 발휘하되, 충전식 배터리(1000)의 중량이 카운터웨이트(70)의 소정의 중량보다 작을 경우에, 별도로 형성된 일정중량의 주물 카운터웨이트를 충전식 배터리(1000) 주변에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전술한 충전식 배터리(1000)를 제외한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을 의미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은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적용되고,
지면의 기초앵커(basic anchor)(10)에 장착되는 통상의 마스터(20);
마스터(20) 상단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30)를 탑재하되, 회전부(30)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50) 상단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다단형 붐대(200);
다단형 붐대(200)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 기능을 갖는 충전식 배터리(1000)가 장착되고, 다단형 붐대(200) 하단에 임의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카운터지브(80), 다단형 붐대(200)와 카운터지브(80)의 연결부가 지지프레임(50) 상단에 힌지부(9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
헤드부가 지지프레임(5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다단형 붐대(20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신축구동시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다단형붐대(200)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100);
헤드부가 지지프레임(5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카운터지브(8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100)와 교호적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신축구동시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카운터지브(80)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2러핑실린더(500)(즉 제1러핑실린더(100) 신장구동시 수축구동됨을 말함);
카운터지브(80)에 장착되고, 다단형 붐대(200) 단부의 쉬이브를 통과하는 호이스트와이어에 의해 승강되는 후크블록(120)에 의해 화물(work)을 인양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제1구동모터(130)와, 제1구동모터(130)에 연결되며 호이스트용 와이어(110)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140)이 구비된 호이스트윈치(150);
지지프레임(50)에 장착되고, 제1,2러핑실린더(100,500) 구동에 의해 다단형 붐대(200)를 회동시킬 경우 연동되어 카운터지브(80)를 다단형 붐대(200)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160)와, 제2구동모터(160)에 연결되며 러핑와이어(170)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180)이 구비된 러핑윈치(190);를 구비하되,
화물(work)을 인양작업하기 위해 제1,2러핑실린더(100,500) 구동으로 다단형 붐대(200)를 힌지부(90)를 중심축으로 회동시킬 경우, 러핑윈치(190) 구동으로 러핑와이어(170)에 의해 카운터지브(80)를 마스터(200)쪽으로 회동시켜 카운터지브(80)에 장착된 충전식 배터리(1000) 및 다단형 붐대(200)의 무게중심이 힌지부(90)에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지브(80)에 카운터웨이트(70)를 대체시켜 충전식 배터리(1000)를 장착시킴에 따라 동력설비 및 전기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즉 충전식 배터리(1000)를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주물웨이트로 제작하여 카운터웨이트(70)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야간에 지상으로부터 전원케이블을 통해 충전식 배터리(1000)를 충전시킨 후 주간에 충전식 배터리(1000)에 충전된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지상으로부터 전원을 전동실린더 등에 인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케이블 굵기를 줄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전식 배터리(1000) 중량으로써 카운터웨이트(70) 기능을 발휘하되, 충전식 배터리(1000)의 중량이 카운터웨이트(70)의 소정의 중량보다 작을 경우에, 별도로 형성된 일정중량의 주물 카운터웨이트를 충전식 배터리(1000) 주변에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전술한 충전식 배터리(1000)를 제외한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초앵커(basic anchor)
20; 마스터(master)
30; 회전부
40; 쉬이브(sheave)
50; 지지프레임
60; 지브(job)
70; 카운터웨이트(counter weight)
80; 카운터지브(counter jib)
90; 힌지부
100; 제1러핑실린더(luffing cylinder)
110; 호이스트와이어(hoist wire)
120; 후크블록(hook block)
130; 제1구동모터
140; 와이어드럼(wire drum)
150; 호이스트윈치(hoist winch)
160; 제2구동모터
170; 러핑와이어(luffing wire)
180; 와이어드럼(wire drum)
190; 러핑윈치(luffing winch)
200; 다단형 붐대
210; 제1전동실린더
220; 제1스토퍼
230; 제1붐프레임
240; 제2전동실린더
250; 제2스토퍼
260; 제1걸림부
270; 제2붐프레임
280; 제3전동실린더
290; 제3스토퍼
300; 제2걸림부
310; 제3붐프레임
320; 제3걸림부
330; 제4붐프레임
340; 제4전동실린더
350; 제1인입구동수단
360; 구동롤러
380; 제2인입구동수단
390; 제2인출구동수단
400; 제1인출구동수단
500; 제2러핑실린더(luffing cylinder)
1000; 충전식 배터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적용되고,
    마스터;
    상기 마스터 상단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를 탑재하되,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다단형 붐대;
    상기 다단형 붐대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 기능을 갖는 충전식 배터리가 장착되고, 상기 다단형 붐대 하단에 임의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카운터지브, 상기 다단형 붐대와 상기 카운터지브의 연결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단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
    헤드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다단형 붐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다단형붐대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
    헤드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카운터지브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와 교호적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카운터지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2러핑실린더;
    상기 카운터지브에 장착되고, 상기 다단형 붐대 단부의 쉬이브를 통과하는 호이스트와이어에 의해 승강되는 후크블록에 의해 화물을 인양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며 호이스트용 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호이스트윈치;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1,2러핑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다단형 붐대를 회동시킬 경우 연동되어 상기 카운터지브를 상기 다단형 붐대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에 연결되며 러핑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러핑윈치;를 구비하되,
    화물을 인양작업하기 위해 상기 제1,2러핑실린더 구동으로 상기 다단형 붐대를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킬 경우, 상기 러핑윈치 구동으로 러핑와이어에 의해 카운터지브를 상기 마스터쪽으로 회동시켜 상기 카운터지브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 기능을 갖는 충전식 배터리 및 상기 다단형붐대의 무게중심이 상기 힌지부에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다단형 붐대를 텔레스코픽 운동에 의해 중첩 및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다단형 붐프레임으로 형성하되,
    일단이 상기 카운터지브에 연결되고, 내주연 일측에 제1전동실린더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단부에 제1스토퍼가 형성되는 중공형 제1붐프레임;
    상기 제1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연 일측에 제2전동실린더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측에 상기 제1전동실린더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단부에 제2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림부가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전동실린더의 신축구동에 따라 상기 제1붐프레임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2붐프레임;
    상기 제2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연 일측에 제3전동실린더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측에 상기 제2전동실린더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주연 타단부에 제3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2스토퍼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림부가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전동실린더의 신축구동에 따라 상기 제2붐프레임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3붐프레임;
    상기 제3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연 타측에 상기 제3전동실린더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3스토퍼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걸림부가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3전동실린더의 신축구동에 따라 상기 제3붐프레임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4붐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2,3전동실린더의 신장구동됨에 의해 상기 제2,3,4붐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신장구동되어 상기 호이스트윈치의 와이어드럼에 권선되는 호이스트와이어에 연결된 후크블록을 통해 화물을 인양작업하고, 화물 인양작업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제3,2,1전동실린더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4,3,2붐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상기 제1붐프레임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
  4.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에 적용되고,
    마스터;
    상기 마스터 상단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를 탑재하되,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다단형 붐대;
    상기 다단형 붐대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 기능을 갖는 충전식 배터리가 장착되고, 상기 다단형 붐대 하단에 임의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카운터지브, 상기 다단형 붐대와 상기 카운터지브의 연결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단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
    헤드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다단형 붐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다단형붐대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
    헤드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카운터지브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유압식 제1러핑실린더와 교호적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상기 카운터지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제2러핑실린더;
    상기 카운터지브에 장착되고, 상기 다단형 붐대 단부의 쉬이브를 통과하는 호이스트와이어에 의해 승강되는 후크블록에 의해 화물을 인양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며 호이스트용 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호이스트윈치;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1,2러핑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기 다단형 붐대를 회동시킬 경우 연동되어 상기 카운터지브를 상기 다단형 붐대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에 연결되며 러핑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러핑윈치;를 구비하되,
    화물을 인양작업하기 위해 상기 제1,2러핑실린더 구동으로 상기 다단형 붐대를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킬 경우, 상기 러핑윈치 구동으로 러핑와이어에 의해 카운터지브를 상기 마스터쪽으로 회동시켜 상기 카운터지브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 기능을 갖는 충전식 배터리 및 상기 다단형붐대의 무게중심이 상기 힌지부에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다단형 붐대를 텔레스코픽 운동에 의해 중첩 및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다단형 붐프레임으로 형성하되,
    일단이 상기 카운터지브에 연결되고, 외주연 일측에 제4전동실린더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공형 제1붐프레임;
    상기 제1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연 타측에 상기 제4전동실린더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4전동실린더의 신축구동에 따라 상기 제1붐프레임에 대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2붐프레임;
    상기 제2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3붐프레임;
    상기 제3붐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구동되는 중공형 제4붐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2붐프레임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붐프레임내측단에 고정된 구동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3붐프레임 내주연 일측에 고정되는 인입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4전동실린더 구동시 상기 제3붐프레임을 상기 제2붐프레임에 수납시키는 제1인입구동수단;
    일단이 제1붐프레임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붐 프레임 외주연에 고정된 구동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3붐프레임 외주연 일단부에 고정되는 인출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4전동실린더 구동시 상기 제3붐프레임을 상기 제2붐프레임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제1인출구동수단;
    일단이 상기 제2붐프레임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3붐프레임내측단에 고정된 구동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4붐프레임 내주연 일측에 고정되는 인입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4전동실린더 구동시 상기 제4붐프레임을 상기 제3붐프레임에 수납시키는 제2인입구동수단;
    일단이 제2붐프레임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3붐프레임 외주연에 고정된 구동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4붐프레임 외주연 일단부에 고정되는 인출용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4전동실린더 구동시 상기 제4붐프레임을 상기 제3붐프레임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제2인출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
  5. 삭제
  6. 삭제
KR1020230099902A 2023-07-20 2023-07-31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 KR102680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94466 2023-07-20
KR1020230094466 2023-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0607B1 true KR102680607B1 (ko) 2024-07-03

Family

ID=9189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902A KR102680607B1 (ko) 2023-07-20 2023-07-31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06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115A (ko) * 2010-10-22 2012-05-03 박정원 타워 크레인
KR101689107B1 (ko) * 2016-05-03 2016-12-22 유흥식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KR101991204B1 (ko) * 2018-11-09 2019-06-19 강동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선박 인양기
CN213085267U (zh) * 2020-09-27 2021-04-30 蔡志槐 一种建筑工地用钢管搬运收集车
KR102403630B1 (ko) * 2021-11-29 2022-05-30 엄부섭 스마트 타워크레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115A (ko) * 2010-10-22 2012-05-03 박정원 타워 크레인
KR101689107B1 (ko) * 2016-05-03 2016-12-22 유흥식 러핑 지브형 탑리스 타워크레인
KR101991204B1 (ko) * 2018-11-09 2019-06-19 강동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선박 인양기
CN213085267U (zh) * 2020-09-27 2021-04-30 蔡志槐 一种建筑工地用钢管搬运收集车
KR102403630B1 (ko) * 2021-11-29 2022-05-30 엄부섭 스마트 타워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74140A1 (ja) ゴンドラ装置を備える作業用車両
JP5739491B2 (ja) フロアクレーン
CN205892576U (zh) 快速架设塔式起重机的起重臂翻折装置
WO2016058266A1 (zh) 一种可防暴风并可利用机构设计倾倒转移的港口移动吊机
KR102680607B1 (ko) 카운터지브 일체형 유압식 러핑 타워크레인
CN212374757U (zh) 一种安装稳定的塔式起重机
JPH07315766A (ja) シャトルジブ型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CN109132896B (zh) 辅助起臂装置及起重机
JPH04333492A (ja) 高揚程クレーンの揚重部材位置決め取付装置
JPH11292471A (ja) ラフィングジブのバックテンション装置
JP3167784B2 (ja) 伸縮ジブを備える水平ジブクレーン
WO1984000153A1 (en) Floating sheave type pendant pay-out system for pendant supported boom
JP2833439B2 (ja) ホイスト型タワークレーン
CN220300251U (zh) 低净空定柱伸缩旋臂起重机
CN217996546U (zh) 一种防摆动起重机
CN221836624U (zh) 起吊设备
JPH075108Y2 (ja) 鉄塔用のジブクレーン
CN214879726U (zh) 一种行吊
CN212246014U (zh) 伸缩式主臂桅杆和起重机
JP3718783B2 (ja) 水平ジブクレーン及び走行水平ジブクレーン
US11724922B2 (en) Portable crane and cantilevered base system
CN114961201B (zh) 气膜钢筋混凝土结构施工作业平台及其使用方法
KR20010086287A (ko) 현수 승강장치
JPS5986594A (ja) 建造用クレ−ン
JPS59138593A (ja) シ−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