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176B1 - 커넥터용 단자,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단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176B1
KR102674176B1 KR1020210114916A KR20210114916A KR102674176B1 KR 102674176 B1 KR102674176 B1 KR 102674176B1 KR 1020210114916 A KR1020210114916 A KR 1020210114916A KR 20210114916 A KR20210114916 A KR 20210114916A KR 102674176 B1 KR102674176 B1 KR 10267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de wall
width direction
connector
protrusion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4666A (ko
Inventor
유타 다카기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525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46932A/ja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단자와 하우징의 사이의 극간을 없애거나,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소형화된 단자 및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용 단자(150)는, 제1축의 방향인 폭방향 및 제2축의 방향인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실장부(305)와, 상기 실장부(305)에 연속하고, 제3축의 방향인 높이 방향에서 역U자 형상인 피보유지지부(310)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피보유지지부(310)와, 상기 피보유지지부(310)에 이행부를 통하여 연속하고, 상기 폭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기부(320)와, 기립 이행부(326)를 통하여 상기 기부(320)에 연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탄성 아암부(325)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추가로, 상대 커넥터의 단자(105)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탄성 아암부(325)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150)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325-2)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대략 최대이다.

Description

커넥터용 단자, 커넥터{TERMINAL FOR CONNECTOR,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용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어폰, 스마트 글라스 등의 웨어러블 장치나,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 장치 등인 소형의 전자 장치에서는, 전자 장치에 이용되는 부품의 소형화가 계속해서 요구되고 있다. 부품의 일부인 커넥터에도, 더 한층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공보 2017-069133호)에는, 소형화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히, 상부에서 본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고, 또한, 하우징에 있어서의 단자 수용부를 확대한 도 8에 있어서, Y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자 수용부(290)가 X 방향으로 2열로 형성된 커넥터(10)의 하우징(20)이 나타나 있다. 하우징(20)에는, 단자 수용부(290)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 수용부(290)는, Y 방향 및 -Y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갖는 2개의 칸막이벽(284)과, X 방향 또는 -X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갖는 중간벽(대향벽(280))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벽으로 덮여 있다. 또한, 상부에서 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 2로부터는, 단자 수용부(290) 각각에 있어서, 단자(30)와 2개의 칸막이벽(284)의 사이에 극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7-069133호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단자와 하우징의 사이에 극간이 있는 점에서, 이 극간에 의해, 소정의 방향(특허문헌 1의 도 8에 있어서의 Y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의 사이즈가 커지고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의 여지가 존재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단자와 하우징의 사이의 극간을 없애거나,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소형화된 단자 및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용 단자는, 제1축의 방향인 폭방향 및 제2축의 방향인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실장부와, 상기 실장부에 연속하고, 제3축의 방향인 높이 방향에서 역U자 형상인 피보유지지부(被保持部)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이행부를 통하여 연속하고, 상기 폭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기부와, 기립 이행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에 연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립부를 갖는 탄성 아암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추가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탄성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대략 최대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용 단자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는, 상기 단자의 상기 기립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의 일부와 동일하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용 단자를 이용한 커넥터가 이용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제1축의 방향인 폭방향으로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폭방향 및 제2축의 방향인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실장부와, 상기 실장부에 연속하고, 제3축의 방향인 높이 방향에서 역U자 형상인 피보유지지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이행부를 통하여 연속하고, 상기 폭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기부와, 기립 이행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에 연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립부를 갖는 탄성 아암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추가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탄성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고, 상기 단자 수용부는,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의 면에 평행한 제1 돌출부 측벽과, 상기 제1 돌출부 측벽에 대면하는 제2 돌출부 측벽과,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과 접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폭방향의 면에 평행한 돌출부 단벽을 갖는 탄성 아암부 수용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끼워맞춤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의 적어도 한쪽과 밀착 또는 접하고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끼워맞춤된 후, 상기 탄성 아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끼워맞춤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의 적어도 한쪽과 밀착하고 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부 및 상기 기립 이행부를 보유지지하는 저부 보유지지부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탄성 아암부 수용부를 형성하는 돌출부와, 상기 피보유지지부를 일부에서 보유지지하는 벽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벽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부 및 상기 탄성 아암부 수용부가 배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대략 최대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플러그를 상측 및 리셉터클을 하측에 배치한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도 1에 있어서의 배치에 있어서, 플러그에 끼워맞춤되는 측에서 본 리셉터클의 상면을 나타낸다.
도 2b는 도 1에 있어서의 배치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상면의 반대측인 이면을 나타낸다.
도 3a는 도 1에 있어서의 배치에 있어서, -Y 방향을 향하여 제1 측벽을 본 리셉터클을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 나타나 있는 문자 「A」로 연결되는 선상의 단면도로서, 도 3a 중에 나타나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리셉터클을 나타낸다.
도 4a는 소정의 각도에서 본 단자를 나타낸다.
도 4b는 소정의 각도에서 본 단자를 나타낸다.
도 4c는 소정의 각도에서 본 단자를 나타낸다.
도 4d는 소정의 각도에서 본 단자를 나타낸다.
도 4e는 소정의 각도에서 본 단자를 나타낸다.
도 4f는 소정의 각도에서 본 단자를 나타낸다.
도 4g는 소정의 각도에서 본 단자를 나타낸다.
도 5a는 도 2a에 있어서의 배치에 있어서, 위에서 본 리셉터클에 있어서의 단자의 부분을 나타낸다.
도 5b는 단자를 나타내고 있고, 도 5a에 있어서 나타나 있는 문자 「B」로 연결되는 선상의 단면도로서, 도 5a 중에 나타나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6a는 단자와, 단자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발출하여 나타낸다.
도 6b는 단자 및 하우징이고, 도 6a에 있어서 나타나 있는 문자 「C」로 연결되는 선상의 단면도로서, 도 6a 중에 나타나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6c는 도 6b에 있어서의 단자 및 하우징으로부터, 단자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는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단자와, 단자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발출하여 나타낸다.
도 7b는 도 7c에 있어서의 단자 및 하우징으로부터, 단자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개요
도 1은, 플러그(105)를 상측 및 리셉터클(150)을 하측에 배치한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커넥터 조립체(100)는,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을 포함한다. 플러그(105)는, 하우징(110) 및 단자(115)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50)은, 하우징(155) 및 단자(160)를 포함한다. 플러그(105)의 단자(115)에 있어서의 표면(플러그(105)의 상면(120)에 있어서의 단자(115)의 부분) 및 리셉터클(150)의 단자(160)의 표면(리셉터클(150)의 하면(180)에 있어서의 단자(160)의 부분)은, 실장부이다. 실장부와 기판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단자와 기판 회로가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 후에, 리셉터클(150)과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105)는 끼워맞춤된다. 또한, 도 1 및 후술하는 도면에서 나타나는, X, Y, Z는, 대응하는 축에 있어서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필요에 따라서,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각각, 폭방향, 안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이라고도 칭해진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의 사이즈는, 폭방향은 단자의 수에 의해 변동하지만 5㎜ 정도, 안길이 방향에서 2㎜ 이하, 높이 방향에서 1㎜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폭방향에서 약 4㎜, 안길이 방향에서 약 1.2㎜, 높이 방향에서 약 1∼0.4㎜이다. 또한, 폭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단자(160) 각각의 거리(피치)는, 0.2∼0.4㎜ 간격, 바람직하게는, 0.3㎜ 정도이다.
리셉터클(150)의 하우징(155)은, 수용부(165) 및 돌출부(166)를 갖는다.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이 끼워맞춤하면, 수용부(165)는, 플러그의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 및 플러그의 단자(11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돌출부(166)가 하우징(110)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끼워맞춤에 의해, 플러그(105)의 단자(115)가 리셉터클(150)의 단자(160)와 접속된다. 또한, 플러그(105)의 단자(115)는, 리셉터클(150)의 단자(160)에 삽입되도록, 볼록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돌출부(166)는, Z 방향(높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Y 방향(안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Y 방향으로 두께를 갖고 X 방향(폭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리셉터클(150)의 단자(160)의 각각을 X 및 Y 방향으로 구분하기 위해 이용되는 탄성 아암부 수용부(330-1)를 갖는다. 또한, 단자 수용부(330)는, 탄성 아암부 수용부(330-1)에 있어서, 후술하는 탄성 아암부(325)를 수용하고, 탄성 아암부 수용부(330-1) 이외의 부분에서, 후술하는 기부(320) 및, 탄성 아암부(325)를 적어도 수용한다. 리셉터클(150)의 하우징(155)은, 단자 수용부(330)에 있어서, 바닥 부분을 갖고 있지 않고, 관통하고 있어도 좋다. 관통 부분을 통하여, 일체 성형 시에, 단자 수용부(330)에 있어서, 단자(160)를 고정하는 금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150)의 돌출부(166)는, 플러그(105)와 끼워맞춤하기 위해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플러그(105)의 하우징(110)은, 리셉터클(150)의 돌출부(166)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수용부(165)는, 하우징의 X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1 측벽(167)과, 제1 측벽(167)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제2 측벽(168)과, 제1 측벽(167) 및 제2 측벽(168)과 X 방향에서 연속하는 제1 단벽(169)과, 제1 측벽(167) 및 제2 측벽(168)과 -X 방향에서 연속하고, 제1 단벽(169)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제2 단벽(17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리셉터클(150)에 있어서, 수용부(165)는, 제1 측벽(167), 제2 측벽(168), 제1 단벽(169) 및, 제2 단벽(170)의 내벽과, 그들 벽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돌출부(166)와, 저벽(172)(도 2a 참조)에 의해, 홈의 형상을 갖는다. 플러그(105)의 형상은, 홈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의 형상에 의해,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이 끼워맞춤할 수 있다.
리셉터클(150)은, X 방향 및 -X 방향의 단부에 보강 금구(171)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보강 금구(171)에 의해, 리셉터클(150)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에 있어서의 배치에 있어서, 플러그(105)에 끼워맞춤되는 측에서 본 리셉터클(150)의 상면을 나타내고, 도 2b는, 도 1에 있어서의 배치에 있어서, 리셉터클(150)의 상면의 반대측인 이면을 나타낸다. 리셉터클(150)은, 160-n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160-1 내지 160-14의 14개의 단자를 갖는다.
도 3a는, 도 1에 있어서의 배치에 있어서, -Y 방향을 향하여 제1 측벽(167)을 본 리셉터클(150)을 나타낸다. 제1 측벽(167)에 단자(160-1 내지 160-7)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 나타나 있는 문자 「A」로 연결되는 선상의 단면도로서, 도 3a 중에 나타나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리셉터클(150)을 나타낸다.
도 3b에 있어서, 단자(160-3 및 160-10)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단자(160-3 및 160-10) 이외의 단자도 단자(160-3 및 160-10)와 동일한 구조 또는 비슷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1에서 나타난 Y축상에 2열로 배치된 단자(160) 각각 및 단자 수용부(330) 각각은, 도 1,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55)의 Y축의 중심선상에 거울 대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자(160)는, 실장부(305), 피보유지지부(310), 기부 이행부(315), 기부(320), 기립 이행부(326) 및, 탄성 아암부(325)를 갖는다. 도 2a를 참조하면, 단자 수용부(330)는, 탄성 아암부 수용부(330-1)에 있어서, 탄성 아암부(325)를 수용하고, 탄성 아암부 수용부(330-1)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기부(320)(표면) 및 탄성 아암부(325)를 적어도 수용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자 수용부(330) 각각에 있어서, 기부(320)(이면)가 배치된다. 단자(160) 각각은, 일련의 도전성 재료로 작성된다. 전형적으로는, 단자(160)는, 1매의 금속판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160)는, 금속판으로부터 컷아웃 가공 및 프레스 가공에 의해 작성된다.
실장부(305)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 회로 등에 접속된다. 단자(160-3) 및 단자(160-10)의 실장부(305) 및 실장부(305)는, 각각, 기판 회로에 실장되는 측으로부터 -Y 방향 및 Y 방향으로 신장하고, 즉, 실장부(305)의 개방단으로부터 피보유지지부(310)에 접속되는 부분으로, 리셉터클(150)의 내측 방향으로 신장한다. 그리고, 실장부(305)는, 피보유지지부(310)에 연속한다.
피보유지지부(310)는, Z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역U자 형상이고, 실장부(305)와 연속하는 부분에 있어서, Z 방향으로 신장하는 외측 피보유지지부(310-1)를 갖는다. 피보유지지부(310)는, 실장부(305)로부터 외측 피보유지지부(310-1)를 경유하여 연속하고, U자 형상의 바닥 부분에 해당하는 만곡 피보유지지부(310-2)를 갖는다. 단자(160-3) 및 단자(160-10)의 만곡 피보유지지부(310-2)는, 각각, -Y 방향 및 Y 방향으로 신장한다. 그리고, 만곡 피보유지지부(310-2)는,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에 연속한다.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는, -Z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기부 이행부(315)에 연속한다. 만곡 피보유지지부(310-2)의 만곡에 의해, 외측 피보유지지부(310-1) 및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는, 대략 Z 방향(XY 평면상)에서 대면한다. 기부 이행부(315)에 의해, Z축상으로 신장하는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가 Y축상으로 신장하도록, 단자의 연신 방향이 변경된다. 기부 이행부(315)는, XY 평면상에 배치되는 기부(320)에 연속한다. 기부(320)는, 기립 이행부(326)를 통하여 탄성 아암부(325)에 연속하고, 탄성 아암부(325)는, Z 방향으로 신장한다.
피보유지지부(310)는, 제1 측벽(167) 또는 제2 측벽(168)에 의해, 하우징(155)에 매설된 상태로 보유지지된다. 제1 측벽(167) 또는 제2 측벽(168)은, 각각, 외측벽(167-1, 168-1) 및 내측벽(167-2, 168-2)을 갖는다. 외측 피보유지지부(310-1)는, 외측벽 및 내측벽에 XZ 평면상에서 밀착함으로써 하우징(155)에 보유지지되고,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도, 내측벽에 XZ 평면상에서 밀착함으로써 하우징(155)에 보유지지되고, 만곡 피보유지지부(310-2) 및, 기부 이행부(315)의 일부 또는 전부는, 그 만곡한 형상에 의해, 내측벽에 3차원적으로 밀착함으로써 하우징(155)에 보유지지된다. 따라서, 단자(160)는, 피보유지지부(310) 및, 기부 이행부(315)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측벽 및/또는 내측벽에 밀착함으로써, 하우징(155)에 보유지지된다.
피보유지지부(310)의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는, 도 3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차부(310-4)에 있어서, 하우징(155)의 외측 방향(단자(160-3) 및 단자(160-10)이면, 각각, Y 또는 -Y 방향)으로 굽히고 나서, Z축상으로 신장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피보유지지부(310)의 형상에 의해, 만곡 피보유지지부(310-2)가 접하는 하우징(155)의 내측벽(167-2, 168-2)의 Y축상의 길이가, 외측 피보유지지부(310-1)가 내측벽과 접하는 면과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가 내측벽과 접하는 면의 사이의 Y축상의 길이보다 길어지는 점에서, 단자(160)가 하우징(155)으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는, Y축상에서 굽히는 일 없이, Z축상에 직선적으로 신장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보유지지부(310)의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는, 하우징(155)의 내측 방향(단자(160-3) 및 단자(160-10)이면, 각각, Y 또는 -Y 방향)으로 굽히고 나서, Z축상으로 신장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기부(320)의 Y축상의 길이는, 플러그(105)의 단자(115)의 Y축상의 길이에 대응시킬 수 있다. 커넥터의 형태에 의하지만, 기부(320)의 Y축상의 길이는, 플러그(105)의 단자(115)의 Y축상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짧거나, 또는, 약간 길게 할 수 있다. 기부(320)의 Y축상의 길이와 플러그(105)의 단자(115)의 Y축상의 길이의 관계에 의해, 단자 수용부(330)에 있어서, 기부(320)가 형성하는 XY 평면을 저면으로 하여, Z 방향으로 공간이 확보되는 점에서, 리셉터클(150)의 단자(160)는, 플러그(105)의 단자(115)를 수용할 수 있다. 기부(320)는, 플러그(105)의 단자(115)와 접촉해도 좋고, 접촉하지 않아도 좋다. 플러그(105)와 리셉터클(150)이 끼워맞춤함으로써, 만곡 피보유지지부(310-2), 기부(320) 및, 후술하는 탄성 아암부(325)의 접촉부(325-1)의 적어도 하나가, 플러그(105)의 단자(115)의 일부와 접촉하여, 플러그(105)와 리셉터클(15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탄성 아암부(325)는, 단자가 신장하는 방향을 Y축으로부터 Z축의 방향으로 이행시키는 기립 이행부(326)(기부(320)로부터, Z 방향으로 기립하는 기립부(325-2)로 이행하는 부분)를 통하여, 기부(320)에 연속한다. 기립 이행부(326)는, 돌출부(166)의 일부인 저부 보유지지부(321)와 접촉한다(도 7b에도 저부 보유지지부(321)를 나타냄). 하우징(155)의 저부 보유지지부(321)는, 저부에 있어서 기부(320)를 XY 평면상에서 보유지지하고, 또한, 기립 이행부(326)에 있어서, 탄성 아암부(325)를 XZ 평면상에서 보유지지한다(도 7b도 참조). 단자(160)가, 탄성 아암부(325) 부근에서, Z축의 방향에서 보유지지되는데 더하여, Y축의 방향으로 보유지지되는 점에서, 커넥터끼리가 끼워맞춤되었을 때, 탄성 아암부(325)가 기부(320) 근처에서, Z축에 더하여, Y축의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제어하고, Y축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아암부(325)의 탄성력(플러그와 끼워맞춤한 상태에서의 접촉력)이, 보다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보유지지부(321)는, 기부(320)만을 보유지지해도 좋다. 이 경우, 저부 보유지지부(321)는, 저부에 있어서 기부(320)를 XY 평면상(Z축의 방향)에서 보유지지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보유지지부(321)는, 기립 이행부(326)만을 보유지지해도 좋다.
또한, 돌출부(166)는, 후술하는 접촉부(325-1)가 플러그의 단자(115)와 접촉하는 측과 반대측에 있어서, 공간을 구비한 단자 수용부(330)의 일부인 탄성 아암부 수용부(330-1)를 갖는다. 이 공간에 의해, 탄성 아암부(325)가 Y축의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도 2a에 있어서도, 탄성 아암부 수용부(330-1)가 돌출부(166)의 Y축상의 중심선을 향하여 공간을 갖는 점에서, 탄성 아암부(325)가 Y축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탄성 아암부(325)는, 돌출부(166)의 형상에 의해, 기부(320) 부근에 있어서 고정되고, 단자(160)의 개방단(플러그의 단자(115)가 삽입되는 부분) 부근에 있어서 변위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160)에, 플러그의 단자(115)가 삽입되고, Y축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탄성 아암부(325)는, 하우징(155)의 내측 방향(돌출부(166)의 Y축상의 중심선으로의 방향)으로 확대되어, 플러그의 단자(115)에 대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탄성력에 의해, 탄성 아암부(325) 및 피보유지지부(310)의 적어도 한쪽이 플러그(105)의 단자(115)를 끼워 넣어, 리셉터클의 단자(160) 및 플러그의 단자(115)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탄성 아암부(325)는, 도 3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155)의 외측 방향(단자(160-3) 및 단자(160-10)이면, 각각, Y 또는 -Y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접촉부(325-1)를 갖고 있어도 좋다. 접촉부(325-1)의 형상에 의해, 접촉부(325-1)에서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까지의 Y축상의 길이가 플러그의 단자(115)의 Y축상의 길이보다 짧아지는 점에서, 리셉터클의 단자(160) 및 플러그의 단자(115)가, 보다 강고하게 밀접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아암부(325)는, Y축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이 끼워맞춤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접촉부(325-1)의 돌출 부분의 Z축상의 높이에 있어서의, 접촉부(325-1) 및 만곡 피보유지지부(310-2)가 형성하는 개방단(플러그의 단자(115)가 삽입되는 부분)의 Y축상의 길이는, 플러그(105)의 단자(115)의 Y축상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짧게 할 수 있다. 만곡 피보유지지부(310-2)가 형성하는 개방단의 Y축상의 길이와 플러그(105)의 단자(115)의 Y축상의 길이의 관계에 의해,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의 단자끼리의 접촉을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기부(320)의 적어도 일부는, 도 2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155)으로 덮여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은, 단자를 형성하는 도전성 부재와 본체(하우징)를 형성하는 절연성 부재(예를 들면,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작성된다. 일체 성형에 있어서, 단자 등을 금형에 배치한 후에, 고온에서 액상(液狀)이 된 수지를 금형에 유입시킴으로써, 리셉터클이 성형된다. 따라서, 금형과 단자가 접하는 부분이, 리셉터클의 본체를 형성하는 수지로 덮이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 회로와의 실장부(305) 및/또는 리셉터클의 저면에서 단자(160)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기부(320)의 일부 또는 전부)은, 금형과 접하는 부분이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탄성 아암부(325)는, 플러그의 단자(115)를 수용함으로써, 굽혀지게 된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의 끼워맞춤은, 반복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소형의 전자 장치에 이용되는 단자(160)는, 강도가 요구된다. 단자(160)는, 그 구조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폭방향(도 1, 3에 있어서의 X축의 방향)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그의 강도는 향상한다. 따라서, 탄성 아암부(325)에 있어서, 가장 힘이 가해지는 부분의 폭방향을 가장 길게 함으로써, 단자(16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자(160) 전체의 폭방향의 길이를, 탄성 아암부(325)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짧거나, 약간 길거나, 또는 동일하게 함으로써, 단자(160)를 폭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자(160)를 커넥터에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한 경우, 단자(160)는, 커넥터 자체의 소형화에도 기여한다.
[실시예 1]
커넥터에 이용되는 단자
도 4a 내지 g는, 여러 가지의 각도에서 본 단자(160)를 나타낸다. 단자(160)에 있어서, 탄성 아암부(325)는, 기립부(325-2)로부터 접촉부(325-1)에 걸쳐, 폭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는 숄더부(405)를 갖는다(도 4d). 탄성 아암부(325)의 숄더부(405)에 의해, 접촉부(325-1)의 폭방향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접촉부(325-1)의 소형화에 의해, 탄성력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접촉부(325-1)의 작은 면적 부분에 집중하여, 접촉부(325-1)와 플러그의 단자(115)가 적절히 접촉할 수 있다. 숄더부(405)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폭방향의 거리를 서서히 좁히도록,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또는 테이퍼 형상)로 형성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숄더부(405)는, 기부(320)의 저면과 수직인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실장부(305) 및 피보유지지부(310)의 연속 부분(410), 또한, 만곡 피보유지지부(310-2)가 외측 피보유지지부(310-1) 및 내측 피보유지지부(310-3)에 연속하는 접속 부분(415, 425)도, 숄더부(405)와 동일한 형상으로, 숄더부로서 형성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숄더부(405, 415, 425)는, 없어도 좋다. 즉, 단자(160) 전체의 폭방향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탄성 아암부(325)의 기립부(325-2)에는, 힘이 가해지는 점에서, 단자의 폭방향의 길이가 가장 커지고 있다. 또한, 단자(160)의 다른 부분(실장부(305), 피보유지지부(310), 기부 이행부(315), 기부(320), 기립 이행부(326))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길이는,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인 것에 의해, 단자(160)의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단자(160)의 폭방향 전체의 길이를 삭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160)의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는, 단자(160)의 다른 부분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해도 좋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160)의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는, 단자(160)의 폭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최대(환언하면, 단자(160)에 있어서,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는, 기립부(325-2) 이외의 부분의 폭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길다)로 해도 좋다. 따라서, 단자(160)의 폭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는, 대략 최대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략 최대란, 제조 오차를 무시했다고 해도,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가, 기립부(325-2) 이외의 부분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
단자를 실장한 커넥터
도 5a는, 도 2a에 있어서의 배치에 있어서, 위에서 본 리셉터클(150)에 있어서의 단자(160-13)의 부분을 나타낸다. 도 5b는, 단자(160-13)를 나타내고 있고, 도 5a에 있어서 나타나 있는 문자 「B」로 연결되는 선상의 단면도로서, 도 5a 중에 나타나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5a, 도 5b 및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55)의 돌출부(166)는, 탄성 아암부 수용부(330-1)를 갖는다. 탄성 아암부 수용부(330-1)에 의해, 탄성 아암부(325)는, 주로 Y축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탄성 아암부 수용부(330-1)는, 하우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하우징(155)의 일부인 제1 돌출부 측벽(505), 돌출부 단벽(510) 및 제2 돌출부 측벽(515)에 의해 막아지고, Z 방향의 XY 평면 및 Y축에 있어서의 실장부(305)측 방향의 XZ 평면은 막아져 있지 않다. 제1 돌출부 측벽(505), 돌출부 단벽(510) 및 제2 돌출부 측벽(515)은, 각각, 서로 이웃하는 단자와의 단락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단자(160-13)에 관하여, 제1 돌출부 측벽(505), 돌출부 단벽(510) 및 제2 돌출부 측벽(515)은, 각각, 단자(160-12, 160-6 및 160-14)와의 단락을 방지한다.
도 5b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단자(160-13)의 기립부(325-2)의 폭방향(X축의 방향)의 길이는, 제1 돌출부 측벽(505)의 내측(단자(160-13)측)의 평면으로부터 제2 돌출부 측벽(515)의 내측(단자(160-13)측)의 평면으로의 폭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짧게 할 수 있다.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와, 제1 돌출부 측벽(505)과 제2 돌출부 측벽(515)과 형성하는 폭방향의 길이의 관계에 의해, 단자(160)와 양측벽의 사이의 공간을 삭감하고, 하우징(155)의 폭방향의 길이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는, 기부(320)의 폭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략 동일이란, 제조상의 공차 등을 고려한 경우,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는, 기부(320)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짧거나, 또는, 약간 길어도 좋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아암부(325)에 있어서의 기립부(325-2) 이외의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의 폭방향의 길이는, 기립부(325-2)의 폭방향의 길이와 동일해도 좋다. 기립부(325-2)에 있어서의, 제1 돌출부 측벽(505)측 부분 및, 제2 돌출부 측벽(515)측 부분은, 각각,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에 접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일체 성형에 의해, 금형에 수지가 유입된 경우, 기립부(325-2)는,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의 적어도 한쪽과 밀착 또는 접하고 있어도 좋다.
도 6a는, 단자(160-13)와, 단자(160)를 둘러싸는 하우징(155)을 발출하여 나타낸다. 도 6b는, 단자(160-13) 및 하우징(155)이고, 도 6a에 있어서 나타나 있는 문자 「C」로 연결되는 선상의 단면도로서, 도 6a 중에 나타나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6c는, 도 6b에 있어서의 단자(160-13) 및 하우징(155)으로부터, 단자(160-13)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에 있어서, 기립부(325-2)의 제2 돌출부 측벽(515)측 부분이 제2 돌출부 측벽(515)과 접하고 있다. 도 6c에 있어서, 일체 성형에 의해, 금형에 수지가 유입되면, 기립부(325-2)와 제2 돌출부 측벽(515)의 사이에 있던 극간에, 수지가 유입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05의 부분, 도 7b도 참조). 유입된 수지에 의해, 기립부(325-2)의 제2 돌출부 측벽(515)측 부분이 제2 돌출부 측벽(515)과 접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립부(325-2)의 폭방향(X축의 방향)의 길이는, 제1 돌출부 측벽(505)의 내측(단자측)의 평면으로부터 제2 돌출부 측벽(515)의 내측(단자측)의 평면으로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점에서, 극간에 수지가 유입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출부 측벽(505)측 부분에 있어서도, 또는, 제1 돌출부 측벽(505)측 부분에만 있어서, 극간에 수지가 유입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립부(325-2)의 폭방향(X축의 방향)의 길이가, 제1 돌출부 측벽(505)의 내측(단자측)의 평면으로부터 제2 돌출부 측벽(515)의 내측(단자측)의 평면으로의 폭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경우, 제1 돌출부 측벽(505)의 내측(단자측)의 평면 및, 제2 돌출부 측벽(515)의 내측(단자측)의 평면은, 면일로 형성된다.
기립부(325-2)가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과 밀착하고 있는 경우, 한 번이라도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이 끼워맞춤되면, 기립부(325-2)가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으로부터 벗겨져도 좋다. 즉, 플러그(105)가 리셉터클(150)로부터 발출되면, 기립부(325-2)는,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과 밀착하지 않게 되고,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과 접하고 있거나, 또는, 접하는 일 없이,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과 대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러그(105)가 리셉터클(150)로부터 발출된 상태, 즉, 플러그(105)와 리셉터클(150)이 끼워맞춤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기립부(325-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과 밀착하지 않게 되고, 즉,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과 접하고 있거나, 또는, 대면한다. 또한, 플러그(105)가 리셉터클(150)로부터 발출된 후, 플러그(105)가 리셉터클(150)과 재차 끼워맞춤되고, 그들이 끼워맞춤하고 있는 동안, 즉, 플러그(105)가 리셉터클(150)과 끼워맞춤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기립부(325-2)는,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과 밀착하지 않게 된다.
도 7a는,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단자(160-6, 160-13)와, 단자(160)를 둘러싸는 하우징(155)을 발출하여 나타낸다. 도 7b는, 도 7c에 있어서의 단자(160) 및 하우징(155)으로부터, 단자(16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도, 도 6a, 6b 및, 6c와 마찬가지로, 기립부(325-2)가 하우징(155)과 밀착, 접하고 있거나, 또는, 대면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7a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단자(160-6)의 접촉부(325-1)는, 플러그의 단자(115)를 수용하면, -Y 방향으로 변위하고, 또한, 리셉터클(150)로부터 플러그(105)를 떼어내면, Y 방향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단자(160)가 플러그의 단자(115)를 수용하면, 접촉부(325-1)가 Y축상에서 변위하고, 이에 따라, 기립부(325-2)도 Y축상에서 변위한다. 기립부(325-2)의 변위에 의해, 단자(160-6)에 있어서의 기립부(325-2)의 일부는, 제1 돌출부 측벽(505) 및/또는 제2 돌출부 측벽(515)과 밀착하여 완만해진다(605의 부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의 한쪽만이, 측벽으로부터 단자(160)측에 유입된 수지(605)를 갖고 있어도 좋다.
도 7b에 있어서, 하우징(155)의 저부 보유지지부(321)가 나타나 있다. 도 7a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부 보유지지부(321)는, 기부(320) 및/또는 기립 이행부(326)를 보유지지한다. 기부(320)가 보유지지되면, 리셉터클(150)이 플러그(105)를 수용할 때, 저부 보유지지부(321)는, 단자(160)가 Z축의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제어한다. 기립 이행부(326)가 보유지지되면, 리셉터클(150)이 플러그(105)를 수용할 때, 저부 보유지지부(321)에 의해, 기립 이행부(326)가, 접촉부(325-1)가 Y축의 방향으로 변위하지만, 기립부(325-2)의 일부(기립 이행부(326)에 가까운 부분)가 Z축 및 Y축의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제어된다.
기립 이행부(326)가 하우징(155)의 저부 보유지지부(321)와 밀착 또는 대면하는 부분 및, 기립 이행부(326) 및 기립부(325-2)가 하우징(155)의 제1 돌출부 측벽(505) 또는 제2 돌출부 측벽(515)과 밀착 또는 대면하는 부분에 대해서, 도 4a 내지 4f를 참조하여, 더욱 설명한다.
기립 이행부(326)는, 기부(320)와 기립부(325-2)의 사이에 위치한다. 기립 이행부(326)가 저부 보유지지부(321)와 밀착 또는 대면하는 부분은, 사선으로 나타나는 기립 이행부 저면(450)에서 나타난다. 기립 이행부(326) 및 기립부(325-2)가 제1 돌출부 측벽(505) 또는 제2 돌출부 측벽(515)과 밀착 또는 대면하는 부분은, 각각, 기립 이행부 측면(460) 및 기립부 측면(465)에서 나타난다.
도 4f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기립 이행부(326)와 기부(320)의 경계는, 기립부(325-2)의 내벽(플러그가 수용하는 측의 벽)이 가져오는 YZ 평면을 기부(320)의 저면까지 -Z 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단자(160)의 내부에 있어서의 기립 이행부(326)와 기부(320)의 사이에 얻어지는 YZ 평면이 경계가 되고, 그리고, 기립 이행부(326)와 기립부(325-2)의 경계는, 기부(320)의 내벽(플러그가 수용하는 측의 벽)이 가져오는 XY 평면을 기립부(325-2)의 외벽(플러그가 수용하는 측의 벽의 반대의 벽)까지 Y축 방향(예를 들면, 단자가 160-3 및 160-10인 경우 각각, -Y 방향 및 Y 방향에 대응)으로 연장시킴으로써, 단자(160)의 내부에 있어서의 기립 이행부(326)와 기립부(325-2)의 사이에 얻어지는 XY 평면이 경계가 된다.
기립 이행부(326)가 하우징(155)의 저부 보유지지부(321)와 밀착하는 부분인 기립 이행부 저면(450)은, 하우징(155)의 저면과 평행인 XY 평면과, 제1 돌출부 측벽(505) 및 제2 돌출부 측벽(515)과 평행인 XZ 평면과, XY 평면 및 XZ 평면을 연속시키는 국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립 이행부 저면(450)은, 저부 보유지지부(321)와 밀착하는 점에서, 기립 이행부(326)를,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적어도 한쪽에서, 저부 보유지지부(321)에 보유지지한다.
기립 이행부 측면(460) 및 기립부 측면(465)은, 하우징(155)의 제1 돌출부 측벽(505) 또는 제2 돌출부 측벽(515)과 밀착 또는 대면하는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출부 측벽(505) 또는 제2 돌출부 측벽(515)과, 기립 이행부 측면(460) 및 기립부 측면(465)의 적어도 한쪽의 사이에 극간이 있는 경우, 극간에 하우징(155)의 재료인 수지가 유입되어도 좋다(예를 들면, 도 7b에 있어서, 유입된 수지(605)가 나타나 있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보유지지부(321)는, 기부(320) 및 기립 이행부(326)의 한쪽만을 보유지지해도 좋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보유지지부(321)는, 기립 이행부(326)와 밀착 또는 대면할 뿐만 아니라, 기립부(325-2)의 외벽면의 일부를 보유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기립부(325-2)는, Y축 방향에서, 보다 강고하게 저부 보유지지부(321)에 보유지지된다.
[변형예]
상기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의 저면의 단자(115 및 160)를 길이 방향으로 1조로 하여 배치한 단자 어레이 2열을 갖는다. 그러나, 이는 예시이고, 단자 어레이는, 1열 또는 3열 이상이라도 좋다.
1열에 배치된 단자 어레이에 있어서의 일부의 단자를 제1 그룹의 단자로 하거나, 또는, 소정의 열의 수로 배치된 단자 어레이 모두를 제1 그룹의 단자로 하는 경우, 제1 그룹의 단자는,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 저면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 그룹의 단자 이외의 다른 그룹의 단자는, 상기 소정의 방향 이외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그 외]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제1축」, 「제2축」 및 「제3축」은, 명세서에 기재된 「X」축, 「Y」축 및 「Z」축에 해당한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제1축의 방향」, 「제2축의 방향」, 「제3축의 방향」은, 예를 들면, 명세서에 기재된 「폭방향」, 「안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에 해당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은, 절연성 부재와 단자를 형성하는 도전성 부재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압입 등의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은, 적어도 절연성 부재와 단자를 형성하는 도전성 부재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당업자이면 이해할 수 있도록,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은, 다른 부재를 포함하여 일체 성형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105) 및 리셉터클(150)의 저면을, 대략 장방형으로서 나타냈지만, 이는 예시이고, 대략 정방형이나 대략 삼각형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커넥터 조립체는, 당해 커넥터 조립체가 이용되는 전자 장치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리셉터클(150)이 단자(160)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당업자이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105)가 단자(160)를 구비하고 있도록, 커넥터 조립체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해 온 각 실시예에 관하여, 각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하나의 실시예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해 온 각 실시예의 요소의 구조 및 배열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각 실시예에 대해서, 당업자이면, 많은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요소의 사이즈, 치수, 구조, 형상 및 비율, 파라미터의 값, 부착 배열, 재료의 사용, 색, 방향 등의 변경이 그의 일 예이다.
이상에서 설명해 온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고,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100 : 커넥터 조립체
105 : 플러그
110 : 하우징
115 : 단자
150 : 리셉터클
155 : 하우징
160 : 단자
165 : 수용부
166 : 돌출부
167 : 제1 측벽
167-1 : 외측벽
167-2 : 내측벽
168 : 제2 측벽
169 : 제1 단벽
170 : 제2 단벽
171 : 보강 금구
172 : 저벽
305 : 실장부
310 : 피보유지지부
310-1 : 외측 피보유지지부
310-2 : 만곡 피보유지지부
310-3 : 내측 피보유지지부
310-4 : 단차부
315 : 기부 이행부
320 : 기부
321 : 저부 보유지지부
325 : 탄성 아암부
325-1 : 접촉부
325-2 : 기립부
326 : 기립 이행부
330 : 단자 수용부
330-1 : 탄성 아암부 수용부
405 : 숄더부
415 : 숄더부
425 : 숄더부
450 : 기립 이행부 저면
460 : 기립 이행부 측면
465 : 기립부 측면
505 : 제1 돌출부 측벽
510 : 돌출부 단벽
515 : 제2 돌출부 측벽

Claims (8)

  1. 커넥터용 단자로서,
    제1축의 방향인 폭방향 및 제2축의 방향인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실장부와,
    상기 실장부에 연속하고, 제3축의 방향인 높이 방향에서 역U자 형상인 피보유지지부(被保持部)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이행부를 통하여 연속하고, 상기 폭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기부와,
    기립 이행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에 연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립부를 갖는 탄성 아암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추가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탄성 아암부
    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이며,
    상기 기립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는, 상기 단자의 상기 기립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의 일부와 동일한, 커넥터용 단자.
  2. 삭제
  3. 제1항에 기재된 커넥터용 단자를 이용한 커넥터.
  4. 커넥터로서,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제1축의 방향인 폭방향으로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폭방향 및 제2축의 방향인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실장부와,
    상기 실장부에 연속하고, 제3축의 방향인 높이 방향에서 역U자 형상인 피보유지지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이행부를 통하여 연속하고, 상기 폭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기부와,
    기립 이행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에 연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립부를 갖는 탄성 아암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추가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탄성 아암부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고,
    상기 단자 수용부는,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의 면에 평행한 제1 돌출부 측벽과, 상기 제1 돌출부 측벽에 대면하는 제2 돌출부 측벽과,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과 접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폭방향의 면에 평행한 돌출부 단벽을 갖는 탄성 아암부 수용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끼워맞춤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의 적어도 한쪽과 밀착, 대면, 또는 접하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의 적어도 한쪽과 밀착하고 있지 않는, 커넥터.
  5. 삭제
  6. 커넥터로서,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제1축의 방향인 폭방향으로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폭방향 및 제2축의 방향인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실장부와,
    상기 실장부에 연속하고, 제3축의 방향인 높이 방향에서 역U자 형상인 피보유지지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이행부를 통하여 연속하고, 상기 폭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기부와,
    기립 이행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에 연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립부를 갖는 탄성 아암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추가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탄성 아암부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고,
    상기 단자 수용부는,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의 면에 평행한 제1 돌출부 측벽과, 상기 제1 돌출부 측벽에 대면하는 제2 돌출부 측벽과,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과 접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폭방향의 면에 평행한 돌출부 단벽을 갖는 탄성 아암부 수용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끼워맞춤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의 적어도 한쪽과 밀착, 대면, 또는 접하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끼워맞춤된 후에 상기 다른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발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의 적어도 한쪽과 대면 또는 접하고 있는, 커넥터.
  7. 커넥터로서,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제1축의 방향인 폭방향으로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폭방향 및 제2축의 방향인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실장부와,
    상기 실장부에 연속하고, 제3축의 방향인 높이 방향에서 역U자 형상인 피보유지지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이행부를 통하여 연속하고, 상기 폭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기부와,
    기립 이행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에 연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립부를 갖는 탄성 아암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추가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탄성 아암부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고,
    상기 단자 수용부는,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의 면에 평행한 제1 돌출부 측벽과, 상기 제1 돌출부 측벽에 대면하는 제2 돌출부 측벽과,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과 접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폭방향의 면에 평행한 돌출부 단벽을 갖는 탄성 아암부 수용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끼워맞춤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의 적어도 한쪽과 밀착, 대면, 또는 접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탄성 아암부 수용부를 형성하는 돌출부와,
    상기 피보유지지부를 일부에서 보유지지하는 벽
    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벽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부 및 상기 탄성 아암부 수용부가 배치되고,
    상기 단자 수용부는, 상기 기부 및 상기 기립 이행부의 적어도 한쪽을 보유지지하는 저부 보유지지부를 갖는, 커넥터.
  8. 커넥터로서,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제1축의 방향인 폭방향으로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폭방향 및 제2축의 방향인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실장부와,
    상기 실장부에 연속하고, 제3축의 방향인 높이 방향에서 역U자 형상인 피보유지지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이행부를 통하여 연속하고, 상기 폭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평면을 갖는 기부와,
    기립 이행부를 통하여 상기 기부에 연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립부를 갖는 탄성 아암부로서, 상기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추가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탄성 아암부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고,
    상기 단자 수용부는,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안길이 방향의 면에 평행한 제1 돌출부 측벽과, 상기 제1 돌출부 측벽에 대면하는 제2 돌출부 측벽과,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과 접속하고,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폭방향의 면에 평행한 돌출부 단벽을 갖는 탄성 아암부 수용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끼워맞춤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돌출부 측벽 및 상기 제2 돌출부 측벽의 적어도 한쪽과 밀착, 대면, 또는 접하고 있으며,
    상기 단자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인, 커넥터.
KR1020210114916A 2020-09-11 2021-08-30 커넥터용 단자, 커넥터 KR102674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52581A JP2022046932A (ja) 2020-09-11 2020-09-11 コネクタ用端子、コネクタ
JPJP-P-2020-152581 2020-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666A KR20220034666A (ko) 2022-03-18
KR102674176B1 true KR102674176B1 (ko) 2024-06-10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7162A (ja) 2001-06-26 2003-0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100136841A1 (en) 2008-11-28 2010-06-03 Kazuya Midorikawa Electrical connector
JP2012226951A (ja) * 2011-04-19 2012-11-15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6195056A (ja) 2015-04-01 2016-11-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7162A (ja) 2001-06-26 2003-0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100136841A1 (en) 2008-11-28 2010-06-03 Kazuya Midorikawa Electrical connector
JP2012226951A (ja) * 2011-04-19 2012-11-15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6195056A (ja) 2015-04-01 2016-11-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857B1 (ko) 커넥터
EP3487013A1 (en) Movable connector
US20090239421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50095182A (ko) 커넥터
KR102237830B1 (ko) 커넥터
CN1964142A (zh) 电转接器及其组件
US7435109B1 (en) Spring connector
US6830461B2 (en)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ing same
US10931049B2 (en) Terminal, connector, an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EP1748520A2 (en)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KR20190027133A (ko)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102674176B1 (ko) 커넥터용 단자, 커넥터
JP697887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体との組立体
JP2005251746A (ja) 超小型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WO2007018915A2 (en) Electrical connector stress relief at substrate interface
US10622744B2 (en) Multipole connector
KR101754088B1 (ko) Pcb 기판의 안착홀에 삽입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pcb 조립체
CN216120853U (zh) 连接器用端子、连接器
JP684955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H1012342A (ja) コンタクト及びこのコンタクトを備えたicソケット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JP2021114397A (ja) コネクタ
JP2010108856A (ja) コネクタ
JP2001196140A (ja) コネクタ及びその端子、並びにコネクタの実装構造
CN220652406U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装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