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18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182A
KR20150095182A KR1020150006872A KR20150006872A KR20150095182A KR 20150095182 A KR20150095182 A KR 20150095182A KR 1020150006872 A KR1020150006872 A KR 1020150006872A KR 20150006872 A KR20150006872 A KR 20150006872A KR 20150095182 A KR20150095182 A KR 2015009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movable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사부로 야마구치
요시유키 오구라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9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8Coupling devices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provided on the edge of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로서의 확실한 접촉 신뢰성이 있는 도통 접속에 요구되는 접촉성과, 플로팅 기능을 실현하는 가동 스프링으로서 요구되는 굴곡성의 쌍방을 종래에 없는 새로운 방법으로 양립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로팅 기능을 실현하는 단자를, 도전율, 굴곡성이 뛰어난 가동 도통용 단자(6)와, 누름 접촉력이 뛰어난 접촉용 단자(7)로 구성하고, 가동 도통용 단자(6)의 탄성 접촉편부(6d1)와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상태를, 접촉용 단자(7)로 끼워두어 확실한 도통 접촉을 실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의 전기회로와 접속 대상물을 도통 접속하는, 특히 플로팅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에 고정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고정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가동 하우징에 고정되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을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가동편을 갖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는 플로팅 기능을 갖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일례로서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종래의 플로팅 구조의 커넥터에서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전기 소자나 기판 등의 접속 대상물과 기판의 회로와의 도통 접속에 기능하는 동시에, 가동 하우징을 탄성 지지하는 가동 스프링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7-109600호 공보
그런데, 이와 같은 플로팅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에서는, 커넥터 단자에, 커넥터로서의 안정된 도통 접속에 요구되는 접촉성과, 플로팅 구조를 실현하는 가동 스프링으로서 요구되는 굴곡성이라는 쌍방의 요구 사양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이 요구 사양을 충족하기 위한 1가지 해결책은 접속 대상물에 대한 확실한 접촉성과, 유연한 플로팅 기능을 실현하는 굴곡성이라는 쌍방의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금속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구리합금은 그러한 금속재료의 일례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구리합금을 포함하여 그러한 고성능의 금속재료는 커넥터용 단자로서는 고가여서 제조 코스트가 커져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다른 해결책은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20)의 가동편(20a)을 가능한 한 가늘게 형성하는 한편, 큰 클립 구조의 접촉부(20b)를 형성하는 것이며, 이에 따르면 유연한 굴곡성과 확실한 접촉성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부(20b)가 크기 때문에 커넥터의 소형화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접촉부(20b)의 형성에 필요한 재료 폭이 커지기 때문에, 캐리어(21)에 형성하는 단자 피치가 하우징의 단자 피치와 일치하도록 좁힐 수 없다. 그러면 캐리어(21)의 복수 단자를 일괄하여 하우징에 삽입할 수 없고, 1개 마다 삽입하지 않으면 안되어, 큰 폭으로 제조 코스트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과제도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 본 발명이다. 그 목적은 커넥터를 소형화하면서도, 커넥터로서의 확실한 접촉 신뢰성이 있는 도통 접속에 요구되는 접촉성과, 플로팅 기능을 실현하는 가동 스프링으로서 요구되는 굴곡성의 쌍방을 종래에 없는 새로운 방법으로 양립하는 커넥터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대해,
고정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편부와, 가동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편부와,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을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편부와, 가동 하우징의 내부에서 접속 대상물과 도통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부를 갖는 가동 도통용 단자와,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와 접속 대상물의 접촉상태를 홀딩하는 탄성 접촉편부를 갖는 접촉용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단자를 가동 도통용 단자와 접촉용 단자의 별도 단자로서 구성하기 때문에, 각각의 단자마다 소정의 기능성을 갖는 전용 단자로서 형상, 재질 등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가동 도통용 단자에 대해서는 도전율과 굴곡성이 뛰어나고, 플로팅 기능에 적합한 형상,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접촉용 단자에 대해서는 가동 도통용 단자와 접속 대상물을 확실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누름 접촉력이 뛰어난 형상,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단자 배열의 협피치화에 의한 커넥터의 소형화, 단자 구조와 하우징 구조의 간소화에 의한 커넥터의 소형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동 도통용 단자로서 도전율과 굴곡성이 뛰어난 금속재료(구리합금 등)를 사용하고, 접촉용 단자로서 내열성·강도가 뛰어난 금속재료(스테인리스 합금 등)를 사용한다. 이에 따르면, 구리합금 등의 이점인 도통성과 굴곡성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 폭이 가는 단자편으로서 형성하여 단자 배열을 협피치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선 폭이 가는 단자를 사용함으로써 접점부로서의 접촉성이 뒤떨어지게 되어도, 강도가 뛰어난 스테인리스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촉용 단자의 누름 접촉력에 의해 확실한 접촉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 배열의 협피치화에 의한 커넥터의 소형화, 및 단자 구조와 하우징 구조의 간소화에 의한 커넥터의 소형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150℃정도의 고온 환경하에서 구리합금제의 단자를 사용하는 경우, 응력 완화에 의해 접속 대상물에 대한 접촉력이 저하되어 도통 접촉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좋지 않은 상황도, 내열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접촉용 단자를 구비하는 본 발명이면 누름 접촉력이 저하하지 않고, 확실한 접촉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가동 도통용 단자와 접촉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가 함께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받아 탄성 변위 가능하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접촉편부가 함께 변위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이 전기 소자인 경우에, 삽입 접속시에 단자가 좌굴하거나 밑동부분부터 접히거나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가동 하우징이,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와 접촉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를 접속 대상물의 접촉에 의한 변위방향에서 겹치도록 수용하는 홈 형상의 수용부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단자가 각각 탄성 접촉편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수용부에 그들의 변위방향에서 겹치도록 수용하여 단자 배열을 협피치화할 수 있어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가 접속 대상물을 끼워두는 누름 접점부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접점부가 접속 대상물을 끼워둔다. 이 때문에 가동 구조이면서 접속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접촉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가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와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상태를 끼워두는 접점 접촉 홀딩부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점 접촉 홀딩부가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와 접속 대상물의 접촉상태를 끼워둔다. 이 때문에 가동 구조이면서 접속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에, 누름 접점부에의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끌어들이는 유도 경사면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 경사면이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누름 접점부로 끌어들이므로 부드럽게 접속 대상물을 누름 접점부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와 접촉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에, 그들의 탄성 접촉편부의 접점 위치에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끌어들이는 유도 경사면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 경사면이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접점 위치로 끌어들이므로 부드럽게 접속 대상물을 접점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고정 하우징이 접속 대상물의 삽입 구멍을 갖고 있고, 해당 삽입 구멍에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끌어들이는 경사면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은 가동 하우징이 접속 대상물의 삽입 구멍을 갖고 있고, 해당 삽입 구멍에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끌어들이는 경사면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면에 의해서 접속 대상물을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의 내부로 부드럽게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따르면, 플로팅용 커넥터 단자를 가동 도통용 단자와 접촉용 단자의 별도 단자로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단자를 소정의 기능성을 갖는 전용 단자로서 형상, 재질 등을 구성할 수 있고, 가동 도통용 단자로 굴곡성과 도통성을, 접촉용 단자로 확실한 접촉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 도통용 단자와 접촉용 단자에 대해서는 단독의 플로팅용 커넥터 단자로서는 채용하기 어려운 형상이나 소재도 채용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단자 배열의 협피치화에 의한 커넥터의 소형화, 단자 구조와 하우징 구조의 간소화에 의한 커넥터의 소형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정면, 평면, 우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배면, 저면, 우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커넥터의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1의 가동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가동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가동 도통용 단자의 배면, 평면, 우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접촉용 단자의 배면, 평면, 우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커넥터에 대한 전기 소자의 접속 전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계속되는 접속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계속되는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도 16 상당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커넥터의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의 분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가동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가동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가동 도통용 단자의 배면, 평면, 우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접촉용 단자의 정면, 평면, 좌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도 16 상당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커넥터의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의 분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가동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3의 가동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27은 도 23의 가동 도통용 단자의 배면, 평면, 우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3의 접촉용 단자의 배면, 평면, 우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종래예의 플로팅 기능을 갖는 커넥터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분도(a)는 사시도, 분도(b)는 단자 부분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넥터(1)의 긴쪽방향(폭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커넥터(1)의 정면을 향해 X방향의 우측을 「우」, 좌측을 「좌」로 한다. 또, 커넥터(1)의 짧은쪽방향(전후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커넥터(1)의 우측면을 향하여 좌측을 「전」, 우측을 「후」로 한다. 또한 커넥터(1)와 접속 대상물(2)의 삽발방향(높이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삽발방향(Z)에 있어서의 커넥터(1)의 옆을 「상」, 기판(P)의 옆을 「하」로 하여 설명한다. 이상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정의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실장방향, 사용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도 1∼도 16)
커넥터(1)는 하우징(2)과 단자(3)를 구비한다. 하우징(2)은 고정 하우징(4)과 가동 하우징(5)을 갖고, 단자(3)는 가동 도통용 단자(6)와 접촉용 단자(7)를 갖는다. 이 커넥터(1)는 기판(P)에 대하여 표면 실장되는 것이고, 「접속 대상물」로서 전기 소자(8)의 단자(8a)와 도통 접촉하여 기판(P)의 회로에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IGBT 모듈과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8)를 전기 접속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외에도 플러그 커넥터, 핀 헤더, 버스바(bus bar), 전선 등을 「접속 대상물」로 하는 전기 접속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 하우징]
고정 하우징(4)은 전기 절연성 수지의 성형체로서 형성되고, 커넥터(1)의 짧은쪽방향(Y)을 따라 대략 오목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4)은 정면측의 전면부(4a), 배면측의 단자 고정부(4b), 전기 소자(8)의 단자(8a)를 삽입하는 저면부(4c), 좌우의 측면부(4d)를 갖고 있고, 그들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 벽(周壁)의 내측에는 가동 하우징(5)의 수용부(4e)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의 단자 고정부(4b)에는 고정홈(4b1)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가동 도통용 단자(6)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단자 고정부(4b)의 상부에는 고정 하우징(4)을 형성하는 둘레 벽이 부족한 배면 개구부(4b2)가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4c)에는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오므라들도록 경사지게 한 테이퍼면을 갖는 사각 구멍형상(角孔狀)의 삽입 구멍(4c1)이 7개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4d)에는 전측 돌출부(4d1)와 후측 돌출부(4d2)가 형성되어 있고, 그들에는 고정금구(9)의 좌우 측면을 압입 고정하는 고정홈(4d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4)의 전면부(4a)에는 전측 둘레 벽부(4f1)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 고정부(4b)와 측면부(4d)가 연속하는 후측 모서리부(角部)에는 후측 둘레 벽부(4f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둘레 벽부(4f)(4f1, 4f2)의 상단은 높이방향(Z)에서 고정 하우징(4)의 저면으로부터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 벽부(4f1, 4f2)의 상단측은 수용부(4e)로 향하는 돌기물이 없는 상측 개구부(4f3)를 형성하고 있다.
[가동 하우징]
가동 하우징(5)은 전기 절연성 수지의 성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5)에는 홈 형상의 수용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5a)의 양측에는 상방(上方)으로 신장하는 격벽(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5a)와 격벽(5b)에 의해 인접하는 단자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된다.
홈 형상의 수용부(5a)의 후단측에는 가동 도통용 단자(6)의 고정홈(5a1)과 접촉용 단자(7)의 고정홈(5a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홈(5a2)의 전방에 가동 도통용 단자(6)와 접촉용 단자(7)가 전기 소자(8)의 단자(8a)와 접촉하는 접촉실(5a3)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5a)의 상방은 상측 개구부(5a4)로 되어 가동 도통용 단자(6)와 접촉용 단자(7)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있다.
가동 하우징(5)의 측면에는 각판(角板) 형상의 가동 돌기(5c)가 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동 돌기(5c)의 상부에는 고정금구(9)의 스토퍼부(9a)가 대향하고 있고, 그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D1)은 가동 하우징(5)의 높이방향(Z)에서의 가동대로 되어 있다.
저면부(5d)에는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오므라들도록 경사지게 한 테이퍼면을 갖는 사각 구멍형상의 삽입 구멍(5d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5d1)의 외면측 구멍 가장자리는 인접하는 고정 하우징(4)의 삽입 구멍(4c1)의 내면측 구멍 가장자리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어떠한 이유로 구멍 축끼리가 어긋나도 단자(8a)를 가동 하우징(5)에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동 하우징(5)의 바깥쪽 둘레에는 고정 하우징(4)의 수용부와의 사이에, 커넥터(1)의 전후방향(Y방향)으로의 가동대가 되는 틈(D2)과, 좌우방향(X방향)으로의 가동대가 되는 틈(D3)이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높이방향(Z방향)의 틈(D1)과 맞추어 가동 하우징(5)은 그들을 조합한 3차원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가동 도통용 단자]
가동 도통용 단자(6)는 도전성 금속편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6a), 가동편(6b), 고정편(6c), 고정편(6c)보다 선단측의 탄성 접촉부(6d)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성과 굴곡성이 뛰어난 금속재료, 예를 들면 구리합금으로 형성하고 있다.
고정부(6a)는 기판(P)에 표면 실장하는 테일부(6a1)와 고정 하우징(4)의 고정홈(4b1)에 압입 고정하는 고정편(6a2)을 갖는다.
가동편(6b)은 고정 하우징(4)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5)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탄성을 갖고 있고, 고정편(6a2)으로부터 연속하는 후측 종편부(縱片部), 커넥터(1)의 전후방향으로 신장하는 상단 횡편부(橫片部), 고정부(6c)와 연속하는 전측 종편부를 갖는다. 가동편(6b)은 그 전체 길이가, 고정 하우징(4)의 후측 개구부(4b2), 상측 개구부(4f3)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온의 사용 환경이거나 전기 소자(8)가 반도체 파워 모듈과 같은 디바이스여도, 가동편(6b)이 띠는 열을 고정 하우징(4)의 내부에 열이 꽉 차게 하지 않고 외부로 방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고정편(6c)은 가동 하우징(5)의 고정홈(5a1)에 압입 고정되고, 가동 하우징(5)을 지지한다.
탄성 접촉부(6d)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크게 만곡하는 하측 굴곡부(6d1)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접점부(6d2)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접점부(6d2)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자(8a)와 도통 접촉하는 접점 돌기(6d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점부(6d2)의 상방에는 상측 굴곡부(6d4)를 사이에 두고 전후로 종편부(6d5, 6d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전측 종편부(6d5)는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어, 삽입한 단자(8a)가 접점 돌기(6d3)보다 삽입방향 안쪽측 위치에서 전측 종편부(6d5)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측 종편부(6d5)의 하단에는 제 1 접점부(6d2)를 향하여 돌출하는 제 2 접점부(6d7)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제 1 접점부(6d2)와 함께 「누름 접점부」를 구성한다. 제 2 접점부(6d7)의 하측에는 경사부(6d8)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 굴곡부(6d1)의 만곡하는 경사면과 함께, 제 1 접점부(6d2)와 제 2 접점부(6d7)의 접점 위치에 단자(8a)의 삽입을 끌어들이는 「유도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 경사부(6d8)의 전측에는 제 2 접점부(6d7)의 지지편부(6d9)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부(6d9)의 상단은 전측 종편부(6d5)의 하단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촉용 단자]
접촉용 단자(7)는 가동 하우징(5)의 고정홈(5a2)에 압입 고정하는 고정편(7a), 고정편(7a)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신장하는 탄성 접촉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용 단자(7)는 가동 도통용 단자(6)보다 판 두께가 두껍고, 판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접촉용 단자(7)는 가동 도통용 단자(6)보다 접촉성(강도)과 내열성이 뛰어난 금속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7b)는 고정편(7a)으로부터 계속되는 하측 굴곡부(7b1)와, 가동 도통용 단자(6)의 제 1 접점부(6d2)와 후측 종편부(6d6)를 따르는 지지편부(7b2)와, 전방으로 크게 만곡하는 상측 굴곡부(7b3)와, 직사각형상의 압접부(7b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부(7b2)는 단자(8a)의 삽입력을 받아 후방으로 변위하고자 하는 제 1 접점부(6d2)와 후측 종편부(6d6)를 후방으로부터 누르도록 지지한다. 이 때문에 단자(8a)의 삽입을 받아도 지지편부(7b2)는 후방으로 변위하지 않는다. 지지편부(7b2)의 제 1 접점부(6d2)와의 대향 위치로부터 압접부(7b4)까지의 사이는 그 양측으로부터 서서히 단자폭이 넓어져 상측 굴곡부(7b3)가 최대의 단자폭이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자 구조의 접촉용 단자(7)는 압접부(7b4)에 있어서, 가동 도통용 단자(6)와 단자(8a)의 접촉상태를 끼워두는 강한 누름 접촉력을 발휘할 수 있다. 압접부(7b4)는 단자(8a)의 삽입력을 받아 전측으로 벌어지고자 하는 제 2 접점부(6d7)의 탄성 변위를, 지지편부(6d9)와 전측 종편부(6d5)의 하단측과의 접촉에 의해 받는다. 압접부(7b4)는 제 2 접점부(6d7)를 경계로, 그 상측 전방 위치에서 전측 종편부(6d5)의 하단의 평탄한 단자면을 받고, 그 하측 전방 위치에서 지지편부(6d9)의 평탄한 단자면을 받는다. 따라서 균형있고 확실하게 제 2 접점부(6d7)에 작용하는 단자(8a)의 삽입력을 받아 단자(8a)에 대한 삽입반력(누름 접촉력)을 발휘할 수 있다.
[커넥터(1)의 조립 방법]
이상과 같은 커넥터(1)는 가동 도통용 단자(6)의 고정편(6c)을 가동 하우징(5)의 고정홈(5a1)에 압입 고정하는 동시에 고정편(6a2)을 고정 하우징(4)의 고정홈(4b1)에 압입 고정하고, 아울러 접촉용 단자(7)의 고정편(7a)을 가동 하우징(5)의 고정홈(5a2)에 압입 고정시킨다.
이때 가동 도통용 단자(6)는 7개의 가동 도통용 단자(6)가 테일부(6a1)의 옆이 구리합금제 단자용 재료인 캐리어(도시 생략)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5)의 7개의 수용부(5a)와 동일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가동 도통용 단자(6)와 접촉용 단자(7)는 어느 쪽도, 도 29에 나타내는 종래 클립 구조의 접촉부(20b)와 같이 피치방향으로의 재료 취함을 요하는 피치방향(X방향)으로 전개하는 구조 부분이 없기 때문에 수용부(5a)와 같은 협피치로 캐리어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들을 일괄하여 고정 하우징(4)과 가동 하우징(5)에 압입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고 있다. 접촉용 단자(7)도 가동 도통용 단자(6)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합금제 단자용 재료인 캐리어(도시 생략)에 대하여 수용부(5a)와 같은 협피치로 형성할 수 있고, 그들을 일괄하여 압입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 고정금구(9)를 고정 하우징(4)의 고정홈(4d3)에 압입 고정함으로써 커넥터(1)를 조립할 수 있다. 이 조립 후의 커넥터(1)는 가동 하우징(5)의 외면이 고정 하우징(4)의 수용부(4e)로부터 떨어진 부동(浮動)상태에서 7개의 가동 도통용 단자(6)에 의해서만 탄성 지지를 받고 있다(도 14).
[커넥터(1)의 사용방법]
다음으로, 커넥터(1)를 사용하여 전기 소자(8)를 기판(P)의 회로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접속 전[도 13, 14]
커넥터(1)는 테일부(6a1)와 고정금구(9)의 다리부(9b)를, 기판(P)에 납땜함으로써 표면 실장된다. 그리고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P)의 하방(下方)으로부터 전기 소자(8)의 단자(8a)를 커넥터(1)에 삽입한다.
단자의 삽입시[도 14, 도 15]
먼저 커넥터(1)에 단자(8a)를 삽입하면, 단자(8a)는 먼저 기판(P)의 구멍(P1)을 통과하고, 다음으로 고정 하우징(4)의 삽입 구멍(4c1)을 통과한다. 이때, 단자(8a)의 삽입축이 삽입 구멍(4c1)의 구멍 축에 대하여 어긋나 있어도, 삽입 구멍(4c1)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자(8a)를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단자(8a)의 삽입축이 구멍축과 어긋나 있는 경우란, 예를 들면 기판(P)의 구멍(P1)의 형성 위치나, 커넥터(1)의 실장 위치가 약간 위치 어긋나 있는 경우에 일어난다. 또, 기판(P)과 전기 소자(8)의 삽입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일어난다. 삽입 구멍(4c1)은 이러한 위치 어긋남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자(8a)는 가동 하우징(5)의 삽입 구멍(5d1)에 진입한다. 이때 단자(8a)의 삽입축이 삽입 구멍(5d1)의 구멍 축에 대하여 어긋나 있어도, 삽입 구멍(5d1)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자(8a)를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삽입축과 구멍축의 어긋남은 또한 고정 하우징(4)에 대하여 가동 도통용 단자(6)만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는 가동 하우징(5)의 조립 위치가 어떠한 이유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삽입 구멍(5d1)의 외면측 구멍 가장자리는 인접하는 고정 하우징(4)의 삽입 구멍(4c1)의 내면측 구멍 가장자리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삽입 구멍(5d1)은 삽입 구멍(4c1)과 구멍축이 어긋나 있어도, 단자(8a)를 가동 하우징(5) 안으로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단자의 접촉시[도 15, 도 16]
가동 하우징(5)의 수용부(5a)의 접촉실(5a3)에 진입한 단자(8a)는 다음으로 가동 도통용 단자(6)와 접촉한다. 이때 단자(8a)는 가동 도통용 단자(6)의 하측 굴곡부(6d1)와 경사부(6d8)의 적어도 어느 쪽인가를 「유도 경사면」으로서 슬라이딩 접촉하여, 제 1 접점부(6d2)와 제 2 접점부(6d7)의 사이에 삽입된다.
가동 도통용 단자(6)의 탄성 접촉부(6d)와 접촉용 단자(7)의 탄성 접촉부(7b)는 모두 접촉실(5a3)의 내부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수용되어 있다. 그 수용 상태에서 만일 전후방향(Y)에서 제 1 접점부(6d2)와 제 2 접점부(6d7)가 정규 접촉 위치에서 위치가 어긋나 있는 일이 있어도, 가동 도통용 단자(6)의 하측 굴곡부(6d1)와 경사부(6d8)에 의해 단자(8a)를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단자(8a)의 삽입축에 대한 가동 도통용 단자(6)의 하측 굴곡부(6d1)와 경사부(6d8)의 「유도 경사면」으로서의 경사각은 삽입 구멍(5d1)의 테이퍼면의 경사각보다 예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8a)의 삽입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정규 접점 위치에 접근하도록 단자(8a)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8a)를 그대로 삽입하면, 가동 도통용 단자(6)의 제 2 접점부(6 d7)가 전측으로 확장됨으로써, 지지편부(6d9)와 전측 종편부(6d5)의 하단측이 압접부(7b4)에 대하여 접촉한다. 단자(8a)에는 접촉용 단자(7)의 압접부(7b4)에 의한 누름 접촉력이 제 2 접점부(6d7)를 통하여 삽입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그 삽입 저항을 받은 채로 단자(8a)를 삽입해 가면, 가동 하우징(5)은 측면의 가동 돌기(5c)가 고정금구(9)의 스토퍼부(9a)와 맞닿을 때까지 변위한다. 그리고, 그대로 단자(8a)를 소정의 삽입 길이까지 삽입하면, 전기 소자(8)의 커넥터(1)에 대한 가동 전의 정규 접촉 위치에서의 도통 접속이 완료된다(도 16). 또한 단자(8a) 삽입시의 가동 하우징(5)의 이동 규제는 누름판과 같은 지그(10)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단자(8a)의 소정의 삽입 길이는 단자(8a)의 소정의 유효 끼워 맞춤 길이가 얻어지는 길이이고, 그 길이는 예를 들면 전기 소자(8)가 기판(P)의 이면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함으로써 조정하거나, 전기 소자(8)의 삽입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넥터(1)의 동작[도 16]
도 16은 커넥터(1)에 단자(8a)를 가동 전의 정규 접촉 위치에서 도통 접속한 상태이며, 단자(8a)와 가동 도통용 단자(6)의 접촉상태는 접촉용 단자(7)에 의한 누름 접촉압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커넥터(1)에 진동이 가해지면, 가동 도통용 단자(6)의 가동편(6b)에 의해 가동 하우징(5)이 고정 하우징(4)에 대하여 틈D1∼D3의 범위에서 탄성 변위하여 진동을 흡수한다. 이와 함께 단자(8a)가 홀딩된 전기 소자(8)도 탄성 변위하여 진동이 흡수된다.
[커넥터(1)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커넥터(1)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커넥터(1)의 단자는 가동 도통용 단자(6)와 접촉용 단자(7)의 별도 단자로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단자(6, 7)를 소정의 기능성을 갖는 전용 단자로서 형상, 재질 등을 구성할 수 있고, 가동 도통용 단자(6)와 접촉용 단자(7)로 단자 성능을 서로 보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에서는 가동 도통용 단자(6)로서 굴곡성, 도전율이 뛰어난 구리합금을 사용하고, 접촉용 단자(7)로서 내열성·접촉성(강도)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합금을 사용한다. 이에 따르면, 구리합금의 이점인 굴곡성과 도전율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동 스프링으로서 요구되는 굴곡성을 얻기 위해 가는 단자를 사용하고, 단자 형상을 심플한 구조로 하여, 단자 배열을 협피치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가동 스프링을 가동 도통용 단자(6)만으로 실현하는 경우보다도 선 폭이나 선 지름을 가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접점부(6d2)와 제2 접점부(6d7)에 의한 접촉력이 약해도, 강도가 뛰어난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접촉용 단자(8)의 누름 접촉력에 의해 가동 도통용 단자(6)와 단자(8a)의 확실한 접촉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 배열의 협피치화에 의한 커넥터(1)의 소형화, 또 단자 구조와 하우징 구조의 간소화에 의한 커넥터(1)의 소형화와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150℃정도의 고온 환경하에서는 구리합금제의 가동 도통용 단자(6)에 생기는 응력 완화에 의해 단자(8a)에 대한 접촉력이 저하되어 도통 접촉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지만, 그러한 고온 환경하에서의 좋지 않은 상황도 내열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접촉용 단자(7)를 구비하는 본 실시형태이면 누름 접촉력이 저하되지 않고, 확실한 접촉력을 발휘할 수 있다.
가동 하우징(5)이 가동 도통용 단자(6)와 접촉용 단자(7)의 탄성 접촉편부(6d, 7b)를 변위방향에서 겹치도록 수용하는 홈 형상의 수용부(5a)를 갖는다. 이 때문에 가동 스프링으로서의 커넥터 단자를 복수 단자로 나누어 구성해도, 단자 배열을 협피치화할 수 있어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가동 도통용 단자(6)의 탄성 접촉편부(6d)가 단자(8a)를 끼워두는 「누름 접점부」로서의 제 1 접점부(6d2)와 제 2 접점부(6d7)를 갖는다. 이 때문에 가동 구조이면서 2접점 접촉 구조에 의한 접속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도 17∼도 22)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가동 도통용 단자(6)가 2접점이지만, 그것을 1접점으로 하는 것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1)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하우징(12), 가동 도통용 단자(13), 접촉용 단자(14)가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그 외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가동 하우징(12)은 홈 형상의 수용부(12a)의 전측에 접촉용 단자(14)의 고정편(14a)을 압입 고정하는 고정홈(12b)이 설치되고, 후측에 가동 도통용 단자(13)의 고정편(13a)을 압입 고정하는 고정홈(12c)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도통용 단자(13)에는 고정편(13a)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신장하는 탄성 접촉부(13b)가 형성되어 있지만, 거기에는 「유도 경사면」으로서 기능하는 굴곡부(13c)와 접점부(13d)만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도통용 단자(13)는 접점부(13d)만으로 단자(8a)와 도통 접촉한다.
접촉용 단자(14)에는 고정편(14a)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신장하는 탄성 접촉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14b)는 「유도 경사면」으로서 기능하는 하측 굴곡부(14c)와, 단자(8a)와 접촉하는 지지편부(14d)와, 상측 굴곡부(14e)와, 가동 도통용 단자(13)의 접점부(13d)를 단자(8a)의 반대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압접부(14f)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촉용 단자(14)의 지지편부(14d)와 압접부(14f)는 도통 접촉하는 단자(8a)와 접점부(13d)를 누름 상태로 끼워두는 「접점 접촉 홀딩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11)에서는 1접점에 의한 접촉 구조로 한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1)와 공통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1접점의 접점 구조이기 때문에 가동 도통용 단자(13)의 단자 구조를 보다 한층 간략화할 수 있으므로, 제 1 실시형태보다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3 실시형태(도 23∼28)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15)는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11)와 마찬가지로 1접점의 접촉 구조를 채용하고 있고, 커넥터(11)와 비교하면 가동 하우징(16), 가동 도통용 단자(17), 접촉용 단자(18)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가동 하우징(16)의 홈 형상의 수용부(16a)에는 접촉용 단자(18)의 고정편(18a)을 압입 고정하는 고정구멍(16b)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도통용 단자(17)의 탄성 접촉부(17a)에는 「유도 경사면」으로서 기능하는 굴곡부(17b)와, 제 2 실시형태의 접점부(13d)와 달리 평판 형상의 접점부(17c)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접촉용 단자(18)의 단자 형상에 맞추어 변경한 것이다.
최대의 차이점인 접촉용 단자(18)는 소위 펀칭 단자로 불리는 평판 형상의 단자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은 프레스로 단자 재료를 접촉용 단자(18)의 외형으로 구멍을 뚫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접촉용 단자(18)에는 상술한 고정편(18a)에 더하여 고정편(18a)과의 사이에서 가동 하우징(16)의 내벽을 끼워두는 지지편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부(18b)의 하단측은 「유도 경사면」으로서 기능한다. 또, 접촉용 단자(18)에는 외팔보 형상으로 신장하는 탄성 접촉편(18c)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가동 도통용 단자(17)의 접점부(17c)와 접촉하는 압접부(18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촉용 단자(18)의 지지편부(18b)와 압접부(18d)는 도통 접촉하는 단자(8a)와 접점부(17c)를 누름 상태로 끼워두는 「접점 접촉 홀딩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15)에서는 접촉용 단자(18)를 소위 펀칭 단자로 불리는 평판 형상의 단자 구조로 한 점을 제외하고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11)와 공통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접촉용 단자(18)를 평판 형상의 단자 구조로 함으로써, 제 2 실시형태의 접촉용 단자(14)와 같은 단자의 굽힘 가공이 불필요하고, 또 판 두께, 피치, 스프링 탄성을 고려한 구부러진 형상의 치수상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어 형상 자유도가 높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평판 형상의 접촉용 단자(18)는 얇기 때문에, 한층 더 커넥터(15)의 협피치화,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1: 커넥터(제 1 실시형태) 2: 하우징 3: 단자
4: 고정 하우징 4a: 전(前)면부 4b: 단자 고정부
4b1: 고정홈 4b2: 후측 개구부(개구부)
4c: 저면부 4c1: 삽입 구멍 4d: 측면부
4d1: 전측 돌출부 4d2: 후측 돌출부 4d3: 고정홈
4e: 수용부 4f: 둘레 벽부
4f1: 전측 둘레 벽부 4f2: 후측 둘레 벽부
4f3: 상측 개구부 5: 가동 하우징
5a: 수용부 5a1: 가동 도통용 단자의 고정홈
5a2: 접촉용 단자의 고정홈 5a3: 접촉실
5a4: 상측 개구부 5b: 격벽 5c: 가동 돌기
5d: 저면부 5d1: 삽입 구멍
6: 가동 도통용 단자 6a: 고정부 6a1: 테일부
6a2: 고정 하우징에 대한 고정편(고정편부)
6b: 가동편(가동편부)
6c: 가동 하우징에 대한 고정편(고정편부)
6d: 탄성 접촉부(탄성 접촉편부) 6d1: 하측 굴곡부(유도 경사면)
6d2: 제 1 접점부(누름 접점부) 6d3: 접점 돌기
6d4: 상측 굴곡부 6d5: 전측 종편부
6d6: 후측 종편부 6d7: 제 2 접점부(누름 접점부)
6d8: 경사부(유도 경사면) 6d9: 지지편부
7: 접촉용 단자 7a: 고정편
7b: 탄성 접촉부(탄성 접촉편부) 7b1: 하측 굴곡부
7b2: 지지편부 7b3: 상측 굴곡부
7b4: 압접부 8: 전기 소자 8a: 단자
9: 고정금구 9a: 스토퍼부 9b: 다리부
10: 지그 11: 커넥터(제 2 실시형태)
12: 가동 하우징 12a: 수용부
12b: 접촉용 단자의 고정홈 12c: 가동 도통용 단자의 고정홈
12d: 접촉실 13: 가동 도통용 단자
13a: 고정편 13b: 탄성 접촉부
13c: 굴곡부(유도 경사면) 13d: 접점부
14: 접촉용 단자 14a: 고정편
14b: 탄성 접촉부 14c: 하측 굴곡부(유도 경사면)
14d: 지지편부(접점 접촉 홀딩부) 14e: 상측 굴곡부
14f: 압접부(접점 접촉 홀딩부) 15: 커넥터(제 3 실시형태)
16: 가동 하우징 16a: 수용부
16b: 고정구멍 17: 가동 도통용 단자
17a: 탄성 접촉부 17b: 굴곡부
17c: 접점부 18: 접촉용 단자 18a: 고정편
18b: 지지편부(유도 경사면, 접점 접촉 홀딩부)
18c: 탄성 접촉편 18d: 압접부(접점 접촉 홀딩부)
20: 커넥터 단자 20a: 가동편
20b: 접촉부 21: 캐리어
X: 긴쪽방향, 폭방향 Y: 짧은쪽방향, 전후방향
Z: 삽발방향, 높이방향 D1: 틈(Z방향(높이방향) 가동대)
D2: 틈(Y방향(전후방향) 가동대) D3: 틈(X방향(좌우방향) 가동대)
P: 기판 P1: 구멍

Claims (9)

  1.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고정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편부와, 가동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편부와,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을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편부와, 가동 하우징의 내부에서 접속 대상물과 도통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부를 갖는 가동 도통용 단자와,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와 접속 대상물의 접촉상태를 홀딩하는 탄성 접촉편부를 갖는 접촉용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 도통용 단자와 접촉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가 함께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받아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동 하우징이,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와 접촉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를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에 의한 변위방향에서 겹치도록 수용하는 홈 형상의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가, 접속 대상물을 끼워두는 누름 접점부를 갖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촉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가,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와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상태를 끼워두는 접점 접촉 홀딩부를 갖는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에, 누름 접점부에의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끌어들이는 유도 경사면을 설치하는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가동 도통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와 접촉용 단자의 탄성 접촉편부에, 그들의 탄성 접촉편부의 접점 위치에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끌어들이는 유도 경사면을 설치하는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 하우징이 접속 대상물의 삽입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삽입 구멍에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끌어들이는 경사면을 설치하는 커넥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동 하우징이 접속 대상물의 삽입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삽입 구멍에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끌어들이는 경사면을 설치하는 커넥터.
KR1020150006872A 2014-02-12 2015-01-14 커넥터 KR20150095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4385A JP5814397B2 (ja) 2014-02-12 2014-02-12 コネクタ
JPJP-P-2014-024385 2014-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182A true KR20150095182A (ko) 2015-08-20

Family

ID=5381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872A KR20150095182A (ko) 2014-02-12 2015-01-14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14397B2 (ko)
KR (1) KR20150095182A (ko)
CN (1) CN1048360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188A (ko) * 2016-08-29 2018-03-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위한 규제 금구
KR20180025187A (ko) * 2016-08-29 2018-03-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14665303A (zh) * 2020-12-04 2022-06-2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力控制单元的线缆连接部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8370B2 (ja) 2016-02-02 2018-0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6739297B2 (ja) * 2016-09-09 2020-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795370B2 (ja) * 2016-10-13 2020-12-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CN109428227B (zh) * 2017-08-28 2024-03-08 正凌精密工业(广东)有限公司 具有可浮动自身调整接触点的连接装置及其连接方法
DE102017219030A1 (de) 2017-10-25 2019-04-2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Fluidbehälter mit einem Sperrventil
JP6400818B1 (ja) * 2017-11-17 2018-10-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7164947B2 (ja) * 2017-12-04 2022-11-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7139139B2 (ja) 2018-04-18 2022-09-2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73082B2 (ja) * 2018-06-26 2020-10-21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CN114784529A (zh) * 2018-08-27 2022-07-22 莫列斯有限公司 铰接汇流排组件
JP7215854B2 (ja) * 2018-08-28 2023-01-3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7467236B2 (ja) * 2020-05-28 2024-04-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WO2022044093A1 (ja) * 2020-08-24 2022-03-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2023057934A (ja) * 2021-10-12 2023-04-2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5663501B (zh) * 2022-12-13 2023-05-02 深圳市西点精工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偏移校正的高速背板连接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188A (ko) * 2016-08-29 2018-03-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위한 규제 금구
KR20180025187A (ko) * 2016-08-29 2018-03-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14665303A (zh) * 2020-12-04 2022-06-2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力控制单元的线缆连接部结构
CN114665303B (zh) * 2020-12-04 2023-11-0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力控制单元的线缆连接部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36047A (zh) 2015-08-12
JP2015153503A (ja) 2015-08-24
JP5814397B2 (ja)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5182A (ko) 커넥터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KR101660093B1 (ko) 전기 커넥터
US8979551B2 (en)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US6821158B2 (en) Connector
JP6325720B1 (ja) 多接点コネクタ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325505B2 (ja) コネクタ
JP3109493U (ja) 電気コネクタ
US866292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JP5683284B2 (ja) 基板接続用端子
KR10122351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TW201108518A (en) Electrical connector
JP7107708B2 (ja) コネクタ
US20170093063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8870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JP2019071184A (ja) コネクタ
JP2003272785A (ja) 電気コネクタ
JP2005294217A (ja) 圧接型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US8574009B2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US20220037834A1 (en) Anti-Attenuation Apparatus
JP6687260B1 (ja) コネクタ
JP5069181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2015220172A (ja) 端子構造及びコネクタ
US6109974A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