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515B1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515B1
KR101223515B1 KR1020120015754A KR20120015754A KR101223515B1 KR 101223515 B1 KR101223515 B1 KR 101223515B1 KR 1020120015754 A KR1020120015754 A KR 1020120015754A KR 20120015754 A KR20120015754 A KR 20120015754A KR 101223515 B1 KR101223515 B1 KR 10122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roduct frame
contact
engagement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736A (ko
Inventor
데쓰야 다가와
다케시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0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84Details of three-dimensional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99Circuit printed on or in housing, e.g. housing as PCB; Circuit printed on the case of a component; PCB affixed to housing

Abstract

(과제)
회로기판이나 결합상대의 전기 커넥터 등을 생략함으로써 구성을 극히 간단한 것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수단)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에 대하여 단체의 플러그 커넥터(10)가 직접적으로 결합되게 되어 있어, 그 단체의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결합연결구멍(MFa)의 표면에 노출하고 있는 배선패턴 도전로(CP)의 접점부에 콘택트(12)의 접점부가 접촉하여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회로기판이나, 그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결합상대가 되는 전기 커넥터를 통하지 않고 신호전송매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기 커넥터의 최종적인 고정을, 커넥터 본체부의 연결각부와 도전 콘택트가 제품 프레임을 두께방향으로 협지함으로써 하고, 제품 프레임에 전기 커넥터를 반복하여 결합·제거 하여도 제품 프레임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결합연결성이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신호전송매체(信號傳送媒體)의 단말부(端末部)를 제품 프레임(製品 frame)의 표면 상에 형성된 도전로(導電路)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電氣 connector)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電氣 connector 組立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携帶電話)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電子機器) 또는 전기기기(電氣機器)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細線 同軸 cable)이나 플렉시블 배선기판(flexble 配線基板) 또는 인쇄배선기판(印刷配線基板)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신호전송매체의 단말부분을, 전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인쇄배선기판 측에 접속하는 것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1 참조). 전기 커넥터는, 신호전송매체의 단말부분을 소정의 배선패턴(配線 pattern)(회로)에 접속하는 것이지만, 보통은 예를 들면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품 프레임(1)의 내부에 부착된 회로기판(2)에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3)를 실장하여 두고, 그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하여 세선 동축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전송매체(4)의 단말부분을 연결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5)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때에 사용되고 있는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3)와 플러그 커넥터(5)를 통칭하는 개념으로서, 이하에서 전기 커넥터(3, 5)로 설명한다]의 기능은, 신호선을 통과시켜서 필요한 정보신호의 전송을 함과 아울러 실드선(shield線)을 통하여 접지용의 실드 신호(shield 信號)를 그라운드 회로(ground 回路)에 접속시키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 전자기기 등의 소형화·박형화가 급속하게 진척되고 있고, 그에 따라 전기 커넥터도 저배화(低背化) 및 저비용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상기한 전기 커넥터(3, 5)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강하게 요청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를 생략하기 위하여 제품 프레임(1)상의 도전로에 플러그 커넥터(5)의 접속각부(接續脚部)를 직접 납땜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제품 프레임(1)은 수지성형재료(樹脂成形材料)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내열성(耐熱性)이 낮아 제품 프레임에 직접 납땜이나 전자부품의 실장을 할 수 없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느 쪽의 전기 커넥터도, 배선패턴을 구비하는 인쇄배선기판(2)상에 일방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3)]를 실장하고, 그 실장한 일방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하여 타방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5)]를 결합한다고 하는 기본적인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기본적인 구성의 제약으로부터, 대폭적인 저배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점차로 어렵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43939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2-324636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216445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저배화 및 저비용화를 대폭적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신호전송매체의 단말부가 연결되는 커넥터 본체부를 구비하고, 그 커넥터 본체부를 통하여 소정의 전자회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품 프레임의 벽부에 설치된 도전로에 신호전송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상기 제품 프레임의 도전로에 접촉하는 도전 콘택트와, 상기 커넥터 본체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연결각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품 프레임에, 상기 한 쌍의 연결각부 상호간의 사이 부분에 배치 가능하도록 연장하고 보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각부에, 상기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의 표면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도전 콘택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를 두께방향으로 협지하는 협지 지지부가 설치되고, 그 연결각부의 협지 지지부에는, 상기 제품 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의 쌍방에 면하는 경사 결합면을 구비하는 계합 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일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계합 록부가, 상기 경사 결합면을 통하여 상기 제품 프레임측에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부를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으로 결합상태로 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품 프레임의 벽부에 대하여 단체(單體)의 커넥터가 직접적으로 결합되게 되어 있고, 그 단체의 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품 프레임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전송용 배선패턴 등의 도전로에 도전 콘택트의 접점부가 접촉된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회로기판이나, 그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결합상대가 되는 다른 전기 커넥터를 통하지 않고 신호전송매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부품수의 저감 및 솔더링 실장의 생략이 가능하게 되어서 대폭적인 비용삭감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기적인 접속 포인트의 저감에 의하여 임피던스의 편차가 억제되고, 또한 납땜공정에서의 솔더링 위킹(soldering wicking)의 문제나 임피던스의 편차 등의 문제가 개선됨으로써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기 커넥터의 최종적인 고정은, 커넥터 본체부의 연결각부와 도전 콘택트가 제품 프레임을 두께방향으로 협지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 프레임에 전기 커넥터를 반복하여 결합·제거 하여도 제품 프레임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결합연결성이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그 최종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커넥터 본체부의 이동방향이, 제품 프레임에 설치된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선택 가능하므로, 제품 프레임의 형상에 관한 제한이 작아지므로 전기 커넥터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에, 상기 계합 록부가 결합가능한 계지 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의 최종적인 고정이, 계합 록부와 계지 록부의 결합에 의하여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는,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판폭방향의 양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그 결합 고정부의 양 테두리부가, 상기 제품 프레임의 벽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장공을 구성하는 가장자리부로부터 형성된 구성이나, 상기 결합 고정부가, 상기 제품 프레임의 벽부의 일부를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시킨 부재로 구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계합 록부가, 상기 협지 지지부의 일부로서 돌출형상을 하도록 가공된 딤플로 형성되고, 상기 딤플로 이루어지는 계합 록부가, 상기 협지 지지부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중앙부분이라 함은 물리적으로 정확히 중앙부분은 물론, 대략 중앙의 부분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계합 록부가 용이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계합 록부의 상기한 기능이 양호하게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커넥터 본체부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부를 비접촉상태로 유지하는 간섭회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의 결합작업시에 커넥터 본체부가 제품 프레임의 벽부 표면 상을 이동해 갈 때에,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부와 제품 프레임이 간섭회피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비접촉의 상태로 유지되어서, 커넥터 본체부와 제품 프레임의 도전로와의 슬라이딩이 방지되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부의 슬라이딩 마모 등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불량의 발생이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간섭회피 오목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콘택트의 접점부가 접촉하는 상기 도전로의 길이보다 크고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전체 길이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를 제품 프레임에 삽입하여 슬라이딩 할 때에, 도전 콘택트의 접점부가 접촉하는 도전로에 대하여 커넥터 본체부가 비접촉상태로 유지되어, 커넥터 본체부의 슬라이딩 마모가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품 프레임의 표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저면부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간섭회피 오목부와 마주 대하지 않는 부위가, 상기 간섭회피 오목부와 마주 대하는 부위보다도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의 결합작업시에 있어서 제품 프레임의 도전로에 대한 커넥터 본체부의 비접촉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간섭회피 오목부의 저면부에 상기 도전로의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도전 콘택트의 접점부가 상기 간섭회피 오목부의 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의 결합시에, 도전 콘택트의 접점부가 간섭회피 오목부에 결합상태가 되어서 록 기능이 얻어지는 것이 되고, 그 만큼 전기 커넥터의 록기구의 구성이 간소화됨과 아울러 결합력이 국소적으로 집중하는 일이 없어지고, 특히 착탈을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호전송매체의 단말부가 연결되는 커넥터 본체부에 설치된 연결각부를, 제품 프레임에 설치된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의 어느 한 쪽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연결각부와 도전 콘택트로 하여금 제품 프레임을 두께방향으로 협지하도록 하는 구성에 의하여 제품 프레임의 벽부에 대하여 단체의 커넥터를 직접적으로 결합시켜, 그 단체의 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품 프레임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전송용 배선패턴 등의 도전로에 도전 콘택트의 접점부를 접촉시킴으로써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회로기판이나 그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결합상대가 되는 다른 전기 커넥터를 통하지 않고 신호전송매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부품수의 저감 및 솔더링 실장의 생략이 가능하게 되어서 대폭적인 비용삭감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기적인 접속 포인트의 저감에 의하여 임피던스의 편차가 억제되고, 또한 납땜공정에서의 솔더링 위킹의 문제나 임피던스의 편차 등의 문제가 개선됨으로써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전기 커넥터의 최종적인 고정을, 커넥터 본체부의 연결각부와 도전 콘택트가 제품 프레임을 두께방향으로 협지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제품 프레임에 전기 커넥터를 반복하여 결합·제거 하여도, 제품 프레임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결합연결성이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커넥터 본체부를 결합상태로 하는 계합 록부에, 협지 지지부의 연장방향의 쌍방에 면하는 경사 결합면을 형성하여 최종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커넥터 본체부의 이동을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선택 가능하게 하여 제품 프레임의 형상제한을 작게 하여 범용성을 높이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회로기판이나 결합상대의 전기 커넥터 등을 생략하여 전기 커넥터의 구성을 극히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저배화 및 저비용화를 대폭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를 사용한 신호전송매체의 접속작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 설명도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를, 제품 프레임의 결합연결구멍에 결합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제품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 설명도다.
도4는, 도1∼도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를 하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저면 설명도다.
도5는, 도4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높이방향의 도중위치에 있어서의 수평 단면 설명도다.
도6은 도2중의 VI-VI선을 따른 종단면 설명도다.
도7은 도2중의 VII-VII선을 따른 종단면 설명도다.
도8은, 도1∼도7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신호전송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을 세트하기 전의 초기상태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 설명도다.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신호전송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을 세트한 상태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다.
도10은, 도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를, 제품 프레임의 결합연결구멍에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다.
도11은, 도10의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 및 결합연결구멍을 제품 프레임의 내방측(內方側)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 설명도다.
도12는, 도10의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제품 프레임의 결합연결구멍 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 설명도다.
도13은, 도12의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더 전방으로 이동시킨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 설명도다.
도14는, 도12에 나타내는 삽입초기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13의 결합상태까지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도2중의 XIV-XIV선을 따른 종단면에 의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초기상태를, (b)는 계합 록부가 결합 고정부의 고정 주판의 가장자리부분에 접촉한 상태를, (c)는 계합 록부가 계지 록부에 결합한 상태를, (d)는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각부와 도전 콘택트 사이에 제품 프레임의 벽부가 협지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15는 도14중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 설명도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에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를 적용한 것으로서, (a)는 플러그 커넥터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 (b)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품 프레임의 결합연결구멍 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 설명도, (c)는 플러그 커넥터를 더 전방으로 이동시킨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 설명도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에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를 적용한 것으로서, (a)는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 (b)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에 외부로부터 결합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킨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 설명도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에 대하여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를 적용한 것으로서,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다.
도19는, 도18에 나타내는 삽입초기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상태까지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연결각부와 도전 콘택트 사이에 제품 프레임의 벽부가 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14(d)에 상당하는 종단면 설명도다.
도20은, 보통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전기 커넥터에 의한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 설명도다.
이하, 신호전송매체로서 세선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제품 프레임에 대하여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수평이동 됨으로써 직접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즉, 도1∼도15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는, 신호전송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분을, 소정의 전자회로를 구비하는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를 구성하고 있는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배선패턴 도전로(CP)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서, 제품 프레임(MF)을 구성하고 있는 벽부의 외측 표면에는, 안테나나 다양한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선패턴 도전로(CP)가 인쇄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2∼도19에 기재되어 있는 제품 프레임(MF)은 그 일부 형상을 발췌(拔萃)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에는, 상기 제품 프레임(MF)의 벽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한 쌍의 결합연결구멍(MFa, MFa)이 병렬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들 한 쌍의 결합연결구멍(MFa, MFa) 상호간의 사이 부분에, 보(樑)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고정부(MF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에 형성된 결합연결구멍(MFa, MFa)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부(10A)로부터 돌출하는 연결각부(10B)가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된 후에 수평이동 됨으로써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부(10A)에는 신호전송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SC)이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10)가, 우선 도1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 고정부(MFb)의 상방측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그 상방측에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체가 상기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의 외측 표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강되어 가서, 도12 및 도1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가 상기한 결합연결구멍(MFa)의 내부에 삽입된 후에, 제품 프레임(MF)의 외측 표면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결합 고정부(MFb)에 대하여 결합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제품 프레임(MF)의 결합연결구멍(MFa)에 플러그 커넥터(10)가 삽입·이동된 결합상태에 있어서는,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가 플러그 커넥터(10)를 통하여 배선패턴 도전로(CP)에 접속되게 되지만, 이하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를 삽입하는 방향을 「하측방향」이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로 뽑아내는 제거방향을 「상측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가 접속되는 쪽의 가장자리부를 「후단 가장자리부」라고 함과 아울러 그것과 반대측의 가장자리부를 「전단 가장자리부」라고 하고,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단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 역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또한 그들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한다.
[제품 프레임에 대해서]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에 형성된 결합연결구멍(MFa)은, 대략 선대칭을 이루도록 하여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관통구멍으로 형성되고 있고, 이들 한 쌍의 결합연결구멍(MFa, MFa) 상호간이 인접하는 쪽의 가장자리부가 상기한 결합 고정부(MFb)의 양 테두리부로 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보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고정부(MFb)는, 그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판폭방향(板幅方向)으로 구비하는 양 테두리부가 상기 제품 프레임의 벽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연결구멍(MFa, MFa)의 내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들 각각의 결합연결구멍(MFa)은, 상기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후방향에 대응하도록 하여 가늘고 긴 모양으로 연장하는 장공(長孔)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커넥터(10)의 후방측 및 전방측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다른 개구 형상을 구비하는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삽입용 구멍부(MFa1) 및 결합용 구멍부(MFa2)가 전후방향에 있어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중에 후방측에 배치된 삽입용 구멍부(MFa1)를 구성하는 장공은,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전후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장경(長徑)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삽입용 구멍부(MFa1)를 구성하는 장공은,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단경(短徑)을 구비하고 있지만, 그 단경의 치수는, 상기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의 전체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정도로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교적 폭이 넓은 단경에 의하여 상기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가 상기 삽입용 구멍부(MFa1)를 통하여 임의로 삽입 또는 이탈이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삽입용 구멍부(MFa1)의 전방측에 배치된 결합용 구멍부(MFa2)를 구성하고 있는 장공은, 상기한 삽입용 구멍부(MFa1)와 마찬가지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장경을 구비하고 있고, 그것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허용하는 점에 있어서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삽입용 구멍부(MFa1)보다도 폭이 좁은 단경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합용 구멍부(MFa2)의 단경은, 연결각부(10B)의 높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분 만을 삽입 가능하게 하는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고 있어서, 연결각부(10B)의 폭이 넓은 하단부분은 삽입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결합용 구멍부(MFa2)의 내부에는, 상기한 삽입용 구멍부(MFa1)로부터 삽입된 연결각부(10B)의 높이방향 중간부분 만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용 구멍부(MFa1)를 통하여 결합용 구멍부(MFa2)의 내부로 삽입된 연결각부(10B)는, 상기 결합용 구멍부(MFa2)를 구성하는 장공의 길이방향(전후방향)으로는 이동이 허용되는 한편 결합용 구멍부(MFa2)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이탈하여 빠지는 일은 없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들의 삽입용 구멍부(MFa1) 및 결합용 구멍부(MFa2)를 구성하는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연결구멍(MFa)의 개구 가장자리부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전후방향에 대응하여 가늘고 긴 모양으로 연장하고 있고, 상기 개구 가장자리부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한 삽입용 구멍부(MFa1)로부터 결합용 구멍부(MFa2)까지 연속하여 연장하는 직선 모양의 공통 가장자리부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결합연결구멍(MFa2)에 있어서의 내방측의 가장자리부, 즉 상기한 결합 고정부(MFb)의 외형을 형성하고 있는 가장자리부는, 삽입용 구멍부(MFa1)와의 경계부에 있어서 대략 직각의 계단모양을 이루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부(MFb)의 전방측 부분에, 좌우방향에 있어서 외방측으로 약간 돌출시킨 형상을 구비하는 고정 주판(MFb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주판(MFb1)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부(10A)가 최종적으로 결합상태로 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삽입용 구멍부(MFa1)와 결합용 구멍부(MFa2)로 이루어지는 각 결합연결구멍(MFa)의 개구 형상은, 내외의 양 테두리부에 있어서 좌우대칭인 형상을 하고 있지만, 비대칭로 서로 다르게 한 회전 비대칭(回轉非對稱)의 형상으로 하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 결합연결구멍(MFa)에 있어서의 회전 비대칭의 개구 형상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연결구멍(MFa)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도 회전 비대칭으로 하여, 상기 연결각부(10B)의 결합방향에 있어서의 투영 형상이, 삽입결합방향(하측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면에 있어서 회전 비대칭의 형상으로 하면,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를 결합연결구멍(MFa)에 삽입·결합하는 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를 회전방향의 반대측에 잘 못하여 배치해버린 경우에는, 결합작업 자체가 불가능해져버리므로 오결합(誤結合)의 방지가 도모된다.
또한 이렇게 하여 결합연결구멍(MFa, MFa)을 구성하고 있는 결합 고정부(MFb)의 전방측에 형성된 고정 주판(MFb1)의 표리 양면 중에서 외방측으로 노출하는 표면에는, 상기한 한 쌍의 결합용 구멍부(MFa2, MFa2) 상호간의 사이 부분에 간섭회피 오목부(MFb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간섭회피 오목부(MFb2)는, 플러그 커넥터(10)가 결합연결구멍(MFa)의 길이방향 즉 결합 고정부(MFb)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커넥터 본체부(10A)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부(10A)를 비간섭상태로 유지하는 것이지만, 상세한 구조에 관해서는 슬라이딩 마찰방지 회피구조로서 후술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품 프레임(MF)의 표리 양면 중에서 외방측 노출면을 구성하는 표면에는, 배선패턴 도전로(CP)를 구성하는 신호 도전로(CPa) 및 그라운드 도전로(CPb)의 단말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선패턴 도전로(CP)의 단말부는, 상기한 한 쌍의 결합연결구멍(MFa, MFa) 상호간의 사이의 영역인 결합 고정부(MFb)를 포함하는 영역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들의 신호 도전로(CPa) 및 그라운드 도전로(CPb)의 종단 부분은, 결합 고정부(MFb)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 주판(MFb1), 즉 결합용 구멍부(MFa2)의 내방측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전후방향으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배치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말하는 제품 프레임은, 반드시 상자모양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벽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면 좋다.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
또한 플러그 커넥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연결구멍(MFa)에 대하여 상방측으로부터의 삽입된 후에 수평이동 되어서 결합 고정부(MFb)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 주판(MFb1)에 결합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지만, 그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부(10A)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신호전송매체의 일례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분이 접속되어 있다. 이하, 그 플러그 커넥터(10)의 후단 가장자리부 및 전단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결합연결구멍(MFa)의 각 가장자리부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후단 가장자리부 및 전단 가장자리부라고 부르기로 한다.
[동축 케이블에 대해서]
도6 또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신호전송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분은, 외주 피복재(外周 被覆材)가 벗겨짐으로써 케이블 중심도체(신호선)(SCa) 및 케이블 외부도체(실드선)(SCb)가 동축 모양을 이루도록 노출되어 있고,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중심축선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된 케이블 중심도체(SCa)가 절연 하우징(11)에 부착된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에 접속됨으로써 신호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중심도체(SCa)의 외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블 외부도체(SCb)는, 후술하는 실드셀(14)에 일체로 설치되는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에 접속됨으로써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에 대해서]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은, 상기한 커넥터 본체부(10A) 및 연결각부(10B)의 각각에 대응하여 절연 본체부(11a) 및 절연 삽입부(1lb)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 중의 절연 본체부(11a)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상기한 세선 동축 케이블(SC) 이외에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가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신호전송용 도전단자(12)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가 후술하는 실드셀(14)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절연 삽입부(1lb)는, 상기 절연 본체부(11a)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평판 모양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들 한 쌍의 절연 삽입부(1lb)가, 결합상대인 제품 프레임(MF)측의 결합연결구멍(MFa)의 내부를 향하여 하단부분으로부터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주로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절연 삽입부(1lb, 1lb) 상호간이 대향하고 있는 내측 부분(커넥터 중심측 부분)에는, 커넥터 본체부(10A)의 저면부를 구성하는 절연 본체부(11a)의 저면부가 제품 프레임(MF)의 표면과 대면하도록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 절연 하우징(11)을 구성하는 절연 본체부(11a)의 저면부에는, 시그널 콘택트(12)의 접점부(12d) 및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가 외측으로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들 시그널 콘택트(12)의 접점부(12d)와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 사이에 중심측 저면부(11d)가 커넥터 본체부(10A)의 저면부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외단부분에는 외방측 저면부(11e)가 커넥터 본체부(10A)의 저면부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 본체부(10A)의 저면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심측 저면부(11d)와 외방측 저면부(11e) 사이에는, 플러그 커넥터(10)가 결합연결구멍(MFa)의 길이방향 즉 결합 고정부(MFb)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커넥터 본체부(10A)를 비접촉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단차(段差)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세한 구조에 관해서는 슬라이딩 마찰방지 회피구조로서 후술하는 것으로 한다.
[실드셀에 대해서]
또한 상기한 절연 본체부(11a) 및 절연 삽입부(1lb)를 구비하는 절연 하우징(11)의 외측 표면은, 박판 금속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실드셀(14)에 의하여 덮어져 있다. 이 실드셀(14)은, 특히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의 외주측면을 고리 모양으로 덮는 커넥터 본체부(10A)로서의 셀 본체부(14a)와, 마찬가지로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의 상면부를 덮는 커넥터 본체부(10A)으로서의 셀 뚜껑부(14b)와, 절연 하우징(11)에 1쌍 설치된 절연 삽입부(1lb)를 외방측에서 덮는 연결각부(10B)으로서의 셀 삽입부(14c)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셀 본체부(14a)의 후단부분에는, 종단면이 대략 반원형 모양을 이루는 케이블 지지부(14d)가 후방측을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케이블 지지부(14d)의 내벽면에 대하여 상기한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분이 재치되어서 수용되게 되어 있다.
이 때에, 상기 실드셀(14)의 셀 뚜껑부(14b)는, 상기한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분을 접속하여 고정하기 전의 초기상태에 있어서,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개방상태로 되어 있다. 즉 그 초기상태에 있어서의 셀 뚜껑부(14b)는, 상기한 케이블 지지부(14d)의 반대측 즉 셀 본체부(14a)의 전단부분에, 한 쌍의 가는 폭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이음 부재(14e, 14e)를 통하여 대략 연직상방으로 기립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셀 뚜껑부(14b)의 내방측에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절연 가압판(11c)이 셀 뚜껑부(14b)의 내표면(內表面)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이음 부재(14e)의 설치위치 및 설치개수는 임의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드셀(14)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분이, 도9와 같이 케이블 지지부(14d)에 수용되도록 재치되어 세트된 후에, 이음 부재(14e)가 상기 절연 가압판(11c)과 함께 대략 직각으로 절곡(折曲)되도록 하여 실드셀(14)의 셀 뚜껑부(14b)가 대략 수평상태까지 쓰러진다. 이에 따라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가 셀 뚜껑부(14b)에 의하여 상방측으로부터 덮여져 실드셀(14)이 폐쇄상태로 된다.
이 때의 셀 뚜껑부(14b)는, 셀 본체부(14a)의 상방측 부분으로부터 외측 부분을 덮도록 씌워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케이블 지지부(14d) 및 세선 동축 케이블(SC)에 대하여도 상방측 부분으로부터 외측 부분을 덮도록 씌울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셀 뚜껑부(14b)에 있어서, 케이블 지지부(14d) 및 세선 동축 케이블(SC)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제1지지부(14f) 및 제2지지부(14g)가 횡단면(橫斷面)이 ㄷ자 형상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들의 제1지지부(14f) 및 제2지지부(14g)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에 있어서의 개방측 부분이 케이블 지지부(14d) 및 세선 동축 케이블(SC)와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셀 뚜껑부(14b)가 대략 수평상태까지 쓰러졌을 때에, 상기한 케이블 지지부(14d) 및 세선 동축 케이블(SC)을 종단면이 ㄷ자인 형상으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의 제1지지부(14f) 및 제2지지부(14g)의 개방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 판자 모양 부재의 선단부분이 내방측으로 절곡되어 스웨이지(swage)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고, 케이블 외부도체(SCb)가 케이블 지지부(14d)와 제1지지부(14f)에 접촉함으로써 실드셀(14)에 의한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에 대해서]
또한 상기한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는, 실드셀(14)의 셀 본체부(14a)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셀 본체부(14a)의 전단면(前端面)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두 갈래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져 후방측으로 연장하는 외팔보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암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들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되도록 형성된 각각의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 13)를 구성하고 있는 탄성 암부는,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SC) 및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를 에워싼 좌우 양측의 외측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 13)의 탄성 암부의 연장측(후단측)의 선단부분에 오목모양을 이루도록 하여 접점부(13a, 13a)(도1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들 각 접점부(13a)는, 셀 본체부(14a)의 전단면 근방의 기단측에 형성되는 회전지점(13b)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 방향으로 두 갈래로 나누어져서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품 프레임(MF)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결합되었을 때에, 제품 프레임(MF)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그라운드 도전로(CPb)에 대하여,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의 접점부(13a)가 상방측으로부터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에, 셀 본체부(14a)와 셀 뚜껑부(14b)를 연결하는 이음 부재(14e)는, 상기 이음 부재(14e)의 굴곡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한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회전지점(13b)과 대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셀 뚜껑부(14b)를 셀 본체부(14a)에 장착시키도록 이음 부재(14e)를 굴곡시켰을 때에, 그 이음 부재(14e)의 굴곡의 영향이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에 파급되기 어려워져서, 그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의 변형 등이 회피된다. 따라서 이음 부재(14e)의 위치에 따라서는, 회전지점(13b)의 위치도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 13)의 좌우방향 양측의 외측 부분에는, 상기한 셀 본체부(14a) 및 셀 삽입부(14c)가 입벽(立壁) 모양을 이루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지만, 그 중의 셀 삽입부(14c)는, 셀 본체부(14a)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외팔보 빔 모양을 이루도록 연장하는 판자 모양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셀 삽입부(14c)는 상기한 연결각부(10B)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지만, 그렇게 연결각부(10B)가 실드셀(14)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실드셀(14)의 성형과 동시에 연결각부(10B)가 효율적으로 성형되게 되어서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그 셀 삽입부(14c)의 하단부분에는, 좌우방향의 내방측(중심측)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돌출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방측 절곡편으로 이루어지는 협지 지지부(14h)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협지 지지부(14h)는, 상기한 결합연결구멍(MFa2)의 내측 가장자리부로부터 결합 고정부(MFb)의 이면(하면)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결합 고정부(MFb)의 고정 주판(MFb1)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하방측으로부터 덮는 형상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한 삽입용 구멍부(MFa1)에 대하여는 삽입이 가능하고 또한 결합연결구멍(MFa2)에 대하여는 삽입이 불가능 하게 되도록 내방측 돌출량(판폭(板幅))이 제한·조정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용 구멍부(MFa1)내에 삽입된 셀 삽입부(14c)가 전방측의 결합연결구멍(MFa2)까지 전진이동 함으로써 결합 고정부(MFb)의 이면측에 협지 지지부(14h)가 압접하여 결합상태로 된다.
이 셀 삽입부(14c)의 하단부에 설치된 협지 지지부(14h)는, 상기한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대략 직하위치(直下位置)에 대략 평행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이들의 양 부재(14h, 13)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의 양 부재(14h, 13) 상호간의 주된 평탄면 부분의 사이의 거리는, 제품 프레임(MF)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그들 협지 지지부(14h)와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분에 상기한 제품 프레임(MF)의 벽부가 지장 없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에, 상기한 협지 지지부(14h)에 있어서 전후의 선단 테두리 부분에는 하방측을 향하여 경사져지도록 형성된 이동 가이드부(14i, 14i)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이동 가이드부(14i, 14i)의 경사면은, 결합 고정부(MFb)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 주판(MFb1)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대한 안내작용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용 구멍부(MFa1)와 결합연결구멍(MFa2) 사이를 셀 삽입부(14c)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협지 지지부(14h)의 선단부분이 고정 주판(MFb1)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아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연결각부(14)의 협지 지지부(14h)에는, 상기 협지 지지부(14h)의 연장방향인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분에 상방측을 향하여 볼록한 모양을 이루도록 하여 계합 록부(14j)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5참조) 이 계합 록부(14j)는, 상기한 연결각부(14)의 일부를 형성하는 협지 지지부(14h)에 돌출형상을 이루도록 프레스 가공 되는 소위 딤플(dimple)로 형성되어 있고, 협지 지지부(14h)의 연장방향(전후방향)의 쌍방에 면하는 경사 결합면을 전후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계합 록부(14j)는, 제품 프레임(MF)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하방측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 계합 록부(14j)의 정상부와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의 접점부(13a) 사이의 거리가, 제품 프레임(MF)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들의 계합 록부(14j)와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의 접점부(13a) 사이에, 제품 프레임(MF)이 두께방향으로 협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계합 록부(14j)의 구조 및 작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품 프레임(MF)의 결합 고정부(MFb) 및 결합연결구멍(MFa)이 전후방향으로 가늘고 긴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품 프레임(MF)의 결합연결구멍(MFa)의 내부로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가, 장공의 장경방향인 길이방향(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 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의 결합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14(a)∼(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그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가 결합연결구멍(MFa)의 후방측에 배치된 삽입용 구멍부(MFa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삽입되고, 그 후에 전방측의 결합용 구멍부(MFa2)를 향하여 연결각부(10B)가 전진이동 된다. 이 때의 연결각부(10B)의 이동은, 이동 가이드부(14i)의 경사면의 안내작용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의 전진이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각부(10B)에 형성된 계합 록부(14j)와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에 형성된 한 쌍의 접점부(13a)와 후술하는 시그널 콘택트(12)의 접점부(12d)가, 제품 프레임(MF)에 형성된 결합 고정부(MFb)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 주판(MFb1)을 두께방향으로 협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그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는, 결합연결구멍(MFa)의 전방측에 배치된 결합용 구멍부(MFa2)로부터 후방측의 삽입용 구멍부(MFa1)를 향하여 후퇴이동 되는 것도 가능하여, 그 후퇴이동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 및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가, 제품 프레임(MF)에 있어서의 결합 고정부(MFb)의 고정 주판(MFb1)으로부터 이탈하여 제거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에 형성된 결합 고정부(MFb)에 대하여 단체의 플러그 커넥터(10)가 직접적으로 결합되게 되고 있어, 그 단체의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품 프레임(MF)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전송용 배선패턴 등의 배선패턴 도전로(CP)에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 및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각 접점부가 접촉된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회로기판이나 그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결합상대가 되는 것 이외의 전기 커넥터를 통하지 않고 신호전송매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부품수의 저감 및 솔더링 실장의 생략이 가능하게 되어서 대폭적인 비용삭감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기적인 접속 포인트의 저감에 의하여 임피던스의 편차가 억제되고, 또한 납땜공정에서의 솔더링 위킹의 문제나 임피던스의 편차 등의 문제가 개선됨으로써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체의 최종적인 고정은, 커넥터 본체부(10A)의 연결각부(10B)와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가 제품 프레임(MF)을 두께방향으로 협지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 프레임(MF)에 플러그 커넥터(10)를 반복하여 결합·제거 하여도 제품 프레임(MF)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연결성이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품 프레임(MF)의 이면측(하면측)에 상기한 협지 지지부(14h)의 계합 록부(14j)를 수용하는 계지 록부(MFc)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록부(MFc)는, 결합 고정부(MFb)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 주판(MFb1), 즉 전방측 결합용 구멍부(MFa2)의 내단 가장자리의 일부를 절단하도록 하여 형성된 구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각부(10B)가 후방측 삽입용 구멍부(MFa1)로부터 전방측 결합용 구멍부(MFa2)에 전진이동 되었을 때에, 협지 지지부(14h)에 형성된 계합 록부(14e)가 계지 록부(MFc)의 내부에 단차 모양으로 떨어져 삽입되는 결합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계합 록부(14j)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의 쌍방에 면하는 경사 결합면을 전후에 구비하고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계합 록부(14j)가 계지 록부(MFc)내에 떨어져 삽입된 후에, 플러그 커넥터(10) 전체가 전후 중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려고 하면, 계합 록부(14j)의 전후에 형성된 경사 결합면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한 계지 록부(MFc)의 내벽면에 접촉하고, 그것에 의하여 커넥터 본체부(10A)가 전후방향으로 결합되어, 플러그 커넥터(10) 전체가 부동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에 대한 전방측으로의 결합작용은, 상기한 전방측의 결합용 구멍부(MFa2)의 전단 가장자리에 대하여 연결각부(10B)가 접촉함으로써도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연결각부(10B)에 형성된 계합 록부(14j)가, 제품 프레임(MF)의 구멍부로 이루어지는 계지 록부(MFc)에 결합하는 구성을 채용해 두면, 계합 록부(14j)와 계지 록부(MFc)의 결합성이 향상되어 플러그 커넥터(10)의 지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계합 록부(14j)를 본 실시형태와 같이 딤플로 형성해 두면 상기 계합 록부(14j)가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도7 및 도14(d)에 나타낸 결합의 상태, 즉 제품 프레임(MF)에 설치된 배선패턴 도전로(CP)에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접점부(13a)가 접촉했을 때에,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의 탄성 스프링력에 의하여 상기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의 탄성 암부가 제품 프레임(MF)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부상하여, 제품 프레임(MF)의 상기 표면과 그 제품 프레임(MF)의 상기 표면에 대한 대향 표면인 절연 본체부(11a)의 저면과의 사이에 간격(틈)이 형성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제품 프레임(MF)의 상기 표면과 그 제품 프레임(MF)의 상기 표면에 대한 대향 표면인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의 탄성 암부와의 사이에 간격(틈)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시그널 콘택트에 대해서]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에 압입 또는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지만, 특히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케이블 중심도체(신호선)(SCa)에 접속되는 케이블 협지부(12a)와, 그 케이블 협지부(12a)로부터 하방측을 향하여 만곡 형성으로 연장되어 배선패턴 도전로(CP)의 신호 도전로(CPa)에 접촉하는 탄성 스프링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그 중의 케이블 협지부(12a)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C자 형상을 이루도록 접어 구부러져 형성된 클립빔 구조(clip beam 構造)를 구비하고 있어,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케이블 중심도체(신호선)(SCa)를 상하로부터 클립 모양으로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협지부(12a)를 구성하고 있는 상측 빔부(12c)의 도중부분에는, 상기 케이블 중심도체(신호선)(SCa)를 상방측으로부터 가압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빔부(12c)에 형성된 오목부와 케이블 중심도체(SCa)을) 에워싸는 하방측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절연 하우징(11)과의 결합을 하기 위한 계지부(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계지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신호전송용 도전단자(12)가 연장되고 나서 하방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기 계지부의 위치정도까지 전방측으로 연장되고 나서 하방측으로 구부러져 탄성 스프링부(12b)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이 케이블 협지부(12a)의 상측 빔부(12c)는, 상기한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분을 연결하기 전의 초기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개방상태로 되어 있다. 즉 그 초기상태에 있어서의 상측 빔부(12c)는,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기립하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단말부분이 도9와 같이 케이블 지지부(14d)상에 재치되어서 세트된 상태로부터, 실드셀(14)의 셀 뚜껑부(14b)가 절연 가압판(11c)과 함께 대략 수평상태까지 쓰러지면, 상기 케이블 협지부(12a)의 상측 빔부(12c)가 절연 가압판(11c)에 의하여 대략 수평상태까지 쓰러져, 케이블 중심도체(신호선)(SCa)를 상방측으로부터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의 탄성 스프링부(12b)는, 상기한 케이블 협지부(12a)로부터 절연 본체부(11a)의 내부를 후방측으로 연장하여 하방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전방측으로 연장되고나서, 일단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외팔보 빔 모양을 이루도록 연장하여 하방측으로 만곡 형상으로 돌출한 후에, 다시 상방을 향하여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 스프링부(12b)의 하방 만곡 부위에 있어서의 최하단 정점부분에, 상기한 한 쌍의 결합연결구멍(MFa) 상호간의 사이 부분에 형성된 신호 도전로(CPa)에 접촉하는 접점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부(12d)는, 상기한 외팔보 빔 모양을 이루는 탄성 스프링부(12b)의 탄성변위 작용에 의하여 신호 도전로(CPa)에 대하여 압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전송용 도전단자(12)의 양측 외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 13)가 배치되어 있지만, 그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에 형성된 접점부(12d)에 대하여,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 13)에 각각 형성된 접점부(13a, 13a)가 후방측 영역의 양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접점부(12d, 13a, 13a)가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회전 비대칭의 위치관계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여 두면, 결합의 작업을 할 때에 플러그 커넥터(10)를 회전방향의 반대측에 잘못하여 배치해버린 경우에, 결합작업 자체가 불가능해지지만, 또는 가령 결합할 수 있는 경우이더라도 전기적인 도통이 되지 않게 되므로 오결합의 방지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한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의 접점부(12d)와, 실드셀(14)의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접점부(13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팔보 모양을 하여 경사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암 모양 부재의 회전(swing)측 선단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그들 암 모양 부재의 연장방향, 즉 각각의 회전지점(12e, 13b)으로부터 각각의 접점부(12d, 13a)에 이르는 방향이 전후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 및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를 구성하고 있는 외팔보 빔 모양의 양 암 모양 부재의 탄성변위 작용에 의하여 접점부(12d, 13a)를 중심으로 한 모멘트가 발생하지만, 그들의 양 모멘트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쇄되게 된다. 그 결과, 결합작업시 및 결합후에 플러그 커넥터(10)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의 접점부(12d)는, 상기한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접점부(13a)와 마찬가지로, 협지 지지부(14h)의 계합 록부(14j)와의 사이에 제품 프레임(MF)의 벽부를 두께방향으로 협지하는 배치관계로 되어 있어서, 신호전송용 도전단자(12) 및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를 구성하고 있는 외팔보 빔 모양 부재의 탄성변위 작용에 의하여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여 두면, 제품 프레임(MF)에 삽입·결합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체가, 협지 지지부(14h)의 계합 록부(14j)와,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12)의 접점부(12d) 및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접점부(13a)와의 협지력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14에 있어서의 단면방향(전후방향)에 있어서, 신호전송용 도전단자(12)의 접점부(12d)와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의 접점부(13a) 사이에 계합 록부(14j)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진 및 후퇴의 어느 쪽의 방향으로 이동조작력이 부여되어도, 계합 록부(14j)를 중심으로 하여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의 이동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딩 마찰방지 회피구조에 대해서]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품 프레임(MF)에 형성된 전방측 결합용 구멍부(MFa2)의 내방측, 즉 상기한 결합 고정부(MFb)의 전방측에 형성된 고정 주판(MFb1)의 표리 양면 중에서 외측으로 노출하는 표면에는, 주로 도3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부(10A)가 결합 고정부(MFb)의 연장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커넥터 본체부(10A)로부터 이간하여 커넥터 본체부(10A)를 비접촉상태로 유지하는 간섭회피 오목부(MFb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간섭회피 오목부(MFb2)는, 상기한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상태에서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 13)의 접점부(13a, 13a)가 접촉하는 그라운드 도전로(CPb)의 전단부분에 있어서의 내측 근방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양 그라운드용 도전단자(13, 13)의 접점부(13a, 13a)의 접촉위치 상호간의 사이 부분을 평면이 대략 사각형 모양을 이루도록 오목하게 들어가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간섭회피 오목부(MFb2)의 길이, 즉 커넥터 본체부(10A)의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상기한 그라운드 도전로(CPb)의 전단부분의 길이보다 크고 또한 커넥터 본체부(10A)의 전체 길이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간섭회피 오목부(MFb2)를 형성해 두면,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작업시에 커넥터 본체부(10A)가 제품 프레임(MF)의 벽부 표면 상을 이동해 갈 때에, 슬라이딩 마모 등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5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부(10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절연 하우징(11)의 저면부(11d)와 제품 프레임(MF)에 형성된 그라운드 도전로(CPb)가 간섭회피 오목부(MFb2)를 사이에 두고 비접촉의 상태로 유지되어, 절연 하우징(11)의 저면부(11d)의 슬라이딩 마모가 확실하게 방지되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부(10A)의 슬라이딩 마모 부스러기 등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불량의 발생이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 본체부(10A)의 저면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외방측 저면부(11e)가, 중심측 저면부(11d)보다도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외방측 저면부(11e)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부(10A)가 결합 고정부(MFb)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간섭회피 오목부(MFb2)와 마주 대하지 않는 부위가 되지만, 그 외방측 저면부(11e)는, 중심측 저면부(11d) 즉 커넥터 본체부(10A)가 결합 고정부(MFb)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간섭회피 오목부(MFb2)와 마주 대하는 부위보다도, 도면에 나타내는 상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 채용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본체부(10A)을 이동시킬 때에 그라운드 도전로(CPb)의 전단부분에 대한 커넥터 본체부(10A)의 비접촉상태가 더 확실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16에 관한 제2실시형태는, 커넥터 본체부(10A)를 반대측인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결합상태로 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측에 형성된 계합 록부(14j)는, 결합 고정부(MFb)의 연장방향(전후방향)의 쌍방에 면하는 경사 결합면을 전후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연결각부(14)의 일부를 형성하는 협지 지지부(14h)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커넥터 본체부(10A)의 이동방향을 결합 고정부(MFb)의 연장방향(전후방향)의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결합 고정부(MFb')의 후방측에 고정 주판(MFb1')을 배치해 두고, 커넥터 본체부(10A)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주판(MFb1')에 고정을 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17에 관한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의 일부를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시킨 결합 고정부(MF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 고정부(MFb'')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 고정부(MFb)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 주판(MFb1)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부(10A)가 도17(a)과 같이 결합 고정부(MFb'')의 후방측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상태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이동됨으로써, 도17(b)과 같이 커넥터 본체부(10A)가 결합 고정부(MFb'')에 외부에서 결합되어서 최종적인 결합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최종적인 결합상태에 있어서, 결합 고정부(MFb'')의 돌출된 가장자리부를 커넥터 본체부10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위치시키는 결합관계로 하였지만, 배선패턴 도전로(CP)에 대응시킴으로써 전후의 역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것과 같은 관계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18 및 도19에 관한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결합 고정부(MFb)의 고정 주판(MFb1)에 형성된 간섭회피 오목부(MFb2'')가, 결합 고정부(MFb)의 전폭에 걸쳐서 홈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홈 모양을 구성하는 간섭회피 오목부(MFb2'')의 저면부분에는, 그라운드 도전로(CPb)의 전단부분이 평면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평면모양을 이루는 그라운드 도전로(CPb)의 전단에서 좌우 양단 부분에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 13)의 접점부(13a, 13a)가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시에,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13)의 접점부(13a)가 간섭회피 오목부(MFd')와 결합상태가 되어서 록 기능이 얻어지게 되고, 그 만큼 플러그 커넥터(10)의 록기구의 구성이 간소화됨과 아울러 결합력이 국소적으로 집중하는 것이 완화되어, 특히 착탈을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하여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이라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10)측의 계합 록부(14j)를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하고, 제품 프레임(MF)측의 계지 록부(MFc)를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그들의 요철관계를 반대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전송용의 배선패턴 도전로[신호 도전로(CPa)]를 제품 프레임(MF)의 표리 양면 중의 일방의 외측 표면에만 형성하고 있지만, 제품 프레임(MF)의 표리 양면 중의 내측 표면에만 또는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의 쌍방과 같이 적어도 일방의 면에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선패턴 도전로(CP)는 적절하게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선패턴 도전로(CP)의 단말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었지만, 신호 도전로(CPa)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그라운드 도전로(CPb)를 형성하고, 양쪽 모두 전방측으로 연장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프레임(MF)의 벽부의 표면 상에 형성된 결합연결구멍(MFa)이 평면이 대략 사각형 모양인 개구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평면이 대략 원형 모양인 구멍 등의 각종 형상을 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제품 프레임(MF)의 벽부를 관통하지 않는 구멍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는, 수직삽입·수평결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수평삽입·수직결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단체의 세선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극(多極) 형상으로 배치된 세선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나, 세선 동축 케이블과 절연 케이블이 복수개 혼합된 타입의 전기 커넥터나, 플렉시블 배선기판 등이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등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는, 각종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0 : 플러그 커넥터(전기 커넥터)
10A : 커넥터 본체부
10B : 연결각부
11 : 절연 하우징
11a : 절연 본체부
1lb : 절연 삽입부
11c : 절연 가압판
11d : 중심측 저면부
11e : 외방측 저면부
12 : 신호전송용 도전단자(시그널 콘택트)
12a : 케이블 협지부
12b : 탄성 스프링부
12c : 상측 빔부
12d : 접점부
12e : 회전지점
13 : 그라운드용 도전단자(그라운드 콘택트)
13a : 접점부
13b : 회전지점
14 : 도전성 셀
14a : 셀 본체부
14b : 셀 뚜껑부
14c : 셀 삽입부
14d : 케이블 지지부
14e : 이음 부재
14f : 제1지지부
14g : 제2지지부
14h : 협지 지지부
14i : 이동 가이드부
14j : 계합 록부
SC : 세선 동축 케이블(신호전송매체)
SCa : 케이블 중심도체(신호선)
SCb : 케이블 외부도체(실드선)
MF : 제품 프레임
MFa : 결합연결구멍
MFa1 : 삽입용 구멍부
MFa2 : 결합용 구멍부
MFb : 결합 고정부
MFb1 : 고정 주판
MFb2 : 간섭회피 오목부
MFc : 계지 록부
CP : 배선패턴 도전로
CPa : 신호 도전로
CPb : 그라운드 도전로
MFb' : 결합 고정부
MFb1' : 고정 주판
MFb2'' : 간섭회피 오목부

Claims (10)

  1. 신호전송매체(信號傳送媒體)의 단말부(端末部)가 연결되는 커넥터 본체부(connector 本體部)를 구비하고, 그 커넥터 본체부를 통하여, 소정의 전자회로(電磁回路)를 구비하는 전자기기(電子機器)를 구성하는 제품 프레임(製品 frame)의 벽부(壁部)에 설치된 도전로(導電路)에 신호전송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電氣 connector)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상기 제품 프레임의 도전로에 접촉하는 도전 콘택트(導電 contact)와, 상기 커넥터 본체부로부터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연결각부(連結脚部)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품 프레임에, 상기 한 쌍의 연결각부 상호간의 사이 부분에 배치 가능하게 되도록 연장하고 보(樑)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고정부(結合固定部)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각부에, 상기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의 표면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도전 콘택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를 두께방향으로 협지하는 협지 지지부(挾持支持部)가 설치되고,
    그 연결각부의 협지 지지부에는, 상기 제품 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의 쌍방에 면하는 경사 결합면(傾斜結合面)을 구비하는 계합 록부(係合 lock部)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일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계합 록부가, 상기 경사 결합면을 통하여 상기 제품 프레임측에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부를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으로 결합상태로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에, 상기 계합 록부가 결합가능한 계지 록부(係止 lock部)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는,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판폭방향(板幅方向)의 양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그 결합 고정부의 양 테두리부가, 상기 제품 프레임의 벽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장공(長孔)을 구성하는 가장자리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부가, 상기 제품 프레임의 벽부의 일부를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시킨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록부가, 상기 협지 지지부의 일부로서 돌출형상을 하도록 가공된 딤플(dimple)로 형성되고,
    상기 딤플로 이루어지는 계합 록부가, 상기 협지 지지부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프레임의 결합 고정부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커넥터 본체부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부를 비접촉상태로 유지하는 간섭회피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 오목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콘택트의 접점부가 접촉하는 상기 도전로의 길이보다 크고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전체 길이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프레임의 표면과 대면(對面)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저면부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결합 고정부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간섭회피 오목부와 마주 대하지 않는 부위가, 상기 간섭회피 오목부와 마주 대하는 부위보다도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 오목부의 저면부에 상기 도전로의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도전 콘택트의 접점부가, 상기 간섭회피 오목부의 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소정의 전자회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신호를 전송하는 도전로가 형성된 제품 프레임(製品 frame)과,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電氣 connector 組立體).
KR1020120015754A 2011-03-02 2012-02-16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223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4858A JP5088427B2 (ja) 2011-03-02 2011-03-02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1-044858 2011-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736A KR20120100736A (ko) 2012-09-12
KR101223515B1 true KR101223515B1 (ko) 2013-01-17

Family

ID=4546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754A KR101223515B1 (ko) 2011-03-02 2012-02-16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50837B2 (ko)
EP (1) EP2495819A3 (ko)
JP (1) JP5088427B2 (ko)
KR (1) KR101223515B1 (ko)
CN (1) CN102655309B (ko)
TW (1) TWI4770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810A (ja) * 2011-01-12 2015-02-2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688060S1 (en) * 2011-09-09 2013-08-20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Integrated user interface system for user seat
WO2016112384A1 (en) * 2015-01-11 2016-07-14 Molex, Llc Wire to board connectors suitable for use in bypass routing assemblies
JP6806482B2 (ja) * 2016-07-21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6282999U (zh) * 2016-11-11 2017-06-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连接器组件
DE202017100530U1 (de) 2017-02-01 2018-05-03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ordnung aus einer Steckverbindung mit einer Schirmauflage und einer Wanddurchführung
JP6951200B2 (ja) * 2017-11-10 2021-10-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R3098032B1 (fr) * 2019-06-26 2022-02-25 Radiall Sa Ensemble de connexion à bornier à pluralité de modules de connexion de puissance indépendants et système de verrouillage/déverrouillage rapide des modules à un rail destiné à être fixé sur une structure, notamment une structure d’aéronef.
EP4290875A1 (en) * 2022-04-28 2023-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939A (ja) 1999-07-30 2001-02-16 Hirose Electric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ための端子
JP2002324636A (ja) 2001-04-26 2002-11-08 I-Pex Co Ltd 同軸コネクタ
JP2006216445A (ja) 2005-02-04 2006-08-17 I-Pex Co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130A (en) * 1972-08-01 1973-09-18 Entron Inc Catv multi-tap distribution box with a key actuated connector for each of a plurality of taps
US4236779A (en) * 1978-05-01 1980-12-02 Bunker Ramo Corporation EMI Shielded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US4169650A (en) * 1978-09-20 1979-10-02 Eby Company Wire-wrap assembly connector
US4272148A (en) * 1979-04-05 1981-06-09 Hewlett-Packard Company Shielded connector housing for use with a multiconductor shielded cable
US4337989A (en) * 1980-05-28 1982-07-06 Amp Incorporated Electromagnetic shielded connector
US4415223A (en) * 1981-06-03 1983-11-15 Amp Incorporated Interlocking crimp sleeve and method of securing to connector
US4508414A (en) * 1981-10-30 1985-04-02 Dainichi-Nippon Cables, Ltd. Shielded cable-connector assembly
US4453798A (en) * 1982-06-18 1984-06-12 Amp Incorporated Shielded cable on coaxial connector
US4602831A (en) * 1983-09-26 1986-07-2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602830A (en) * 1984-09-20 1986-07-29 Amp Incorporated Double row electrical connector
US4886464A (en) * 1988-10-24 1989-12-12 Zetena Jr Maurice F Remote interconnection box utilizing shielding interconnecting brackets
FR2655779B1 (fr) * 1989-12-12 1992-01-17 Entrelec Sa Connecteur pour cable multiconducteur electromagnetiquement blinde.
US5466175A (en) * 1992-02-27 1995-11-14 Yazaki Corporation Shield connector connecting shield cables
FR2690601B1 (fr) * 1992-04-22 2002-02-01 Valeo Electronique Platine de servitude pour la commande et/ou l'alimentation d'organes électriques de véhicules.
GB9516886D0 (en) * 1995-08-17 1995-10-18 Amp Great Britain Crimpable strain relief ferrule having a retention tab thereupon
US6022247A (en) * 1996-12-10 2000-02-08 Yazaki Corporation Electric wiring block
AU6255498A (en) * 1997-01-31 1998-08-25 Whitaker Corporation, The Connector for edge of pcb
US6062911A (en) * 1997-01-31 2000-05-16 The Whitaker Corporation Low profile power connector with high-temperature resistance
US6074251A (en) * 1997-06-09 2000-06-13 The Siemon Company Shielded high density patch panel
GB2329075B (en) * 1997-09-08 2002-01-23 Delco Electronics Europ Gmbh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GB2329283A (en) * 1997-09-12 1999-03-17 Itt Mfg Enterprises Inc Screened cable terminating ferrule
US5899759A (en) * 1997-12-29 1999-05-04 Ford Motor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for rigid circuit boards
US6062903A (en) * 1998-06-08 2000-05-16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power surface mount interconnect apparatus for electrical power control module
TW389394U (en) * 1998-10-23 2000-05-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395570U (en) * 1998-12-31 2000-06-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223826B1 (en) * 1999-05-24 2001-05-01 Digital Control, Inc. Auto-extending/retracting electrically isolated conductors in a segmented drill string
US6186828B1 (en) * 1999-08-30 2001-02-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coaxial cable management system
KR20010058771A (ko) * 1999-12-30 2001-07-06 구자홍 전기/전자 제품용 원 시스템 모듈
US6469259B2 (en) * 2000-02-29 2002-10-22 Kyocera Corporation Wiring board
US6464538B2 (en) * 2000-03-07 2002-10-1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Shield connector and terminal connecting device for shielding electric wire
DE10011354C1 (de) * 2000-03-11 2001-07-19 Hirschmann Electronics Gmbh Elektrisches Gerät mit anreihbaren Modulen
EP1145914B1 (en) * 2000-04-13 2006-05-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junction box
US6608399B2 (en) * 2000-10-17 2003-08-19 Lear Corporation Vehicle universal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feature modules
US7212386B1 (en) * 2000-11-21 2007-05-01 Pass & Seymour, Inc. GFCI with miswire lockout
EP1209036A3 (en) * 2000-11-28 2003-11-1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junction box for a vehicle
JP3679362B2 (ja) * 2000-12-27 2005-08-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レー、リレーユニット及び電気接続箱
US6468089B1 (en) * 2001-04-20 2002-10-22 Molex Incorporated Solder-less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having a common ground contact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DE10204355A1 (de) * 2002-02-01 2003-08-14 Bosch Gmbh Robert Steuergerät
US20040060722A1 (en) * 2002-09-27 2004-04-01 Rajagopalan Chandrasekhar Retention device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e same
US6973588B2 (en) * 2002-11-27 2005-12-06 Symbol Technologies, Inc. Disaster recovery port in a portable computer
US20040114338A1 (en) * 2002-12-17 2004-06-17 Blasko Raymond J. Direct connection to a circuit board
TWM251379U (en) * 2004-02-11 2004-11-21 Comax Technology Inc Ground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JP4405405B2 (ja) * 2004-04-15 2010-01-27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7479020B2 (en) * 2004-11-22 2009-01-2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control module having an internal electric ground
CN2785166Y (zh) * 2005-02-01 2006-05-3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合
US7375981B2 (en) * 2005-03-14 2008-05-20 Vansco Electronics Lp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nd control apparatus
US7813451B2 (en) * 2006-01-11 2010-10-12 Mobileaccess Network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shifting of a wireless signal and systems using frequency shifting
CN100561804C (zh) * 2006-01-20 2009-11-18 西门子(中国)有限公司 电信号连接器
JP2008059761A (ja) * 2006-08-29 2008-03-1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基板用シールドコネクタおよび基板用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4364265B2 (ja) * 2007-07-26 2009-1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7458826B1 (en) * 2007-08-13 2008-12-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pressio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US7651334B2 (en) * 2007-11-02 2010-01-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US7507120B1 (en) * 2007-11-29 2009-03-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hielding elemen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assembly
KR101014605B1 (ko) * 2008-04-01 2011-0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터미널과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JP2010027303A (ja) * 2008-07-16 2010-02-04 Yazaki Corp 基板用シールドコネクタ
JP4493710B2 (ja) * 2008-09-19 2010-06-30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4325885B1 (ja) * 2009-03-27 2009-09-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装置
WO2011008871A1 (en) * 2009-07-14 2011-01-20 Savi Networks Llc Security seal
JP5201153B2 (ja) * 2010-01-13 2013-06-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152221B2 (ja) * 2010-02-19 2013-02-2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019079B2 (ja) * 2010-03-10 2012-09-0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201725940U (zh) * 2010-07-16 2011-01-26 莫列斯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939A (ja) 1999-07-30 2001-02-16 Hirose Electric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ための端子
JP2002324636A (ja) 2001-04-26 2002-11-08 I-Pex Co Ltd 同軸コネクタ
JP2006216445A (ja) 2005-02-04 2006-08-17 I-Pex Co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25575A1 (en) 2012-09-06
TWI477002B (zh) 2015-03-11
TW201304306A (zh) 2013-01-16
CN102655309B (zh) 2014-09-03
JP2012182049A (ja) 2012-09-20
JP5088427B2 (ja) 2012-12-05
KR20120100736A (ko) 2012-09-12
EP2495819A2 (en) 2012-09-05
EP2495819A3 (en) 2014-12-17
US8550837B2 (en) 2013-10-08
CN102655309A (zh)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51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09560406B (zh) 电连接器
US8591256B2 (en) Wire-to-board connector and wire connector
US9831576B2 (en)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34287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a sidewall portion with a sloped guide surface with cut out
JP2018010724A (ja) シールド板付き電気コネクタ
KR100997427B1 (ko) 전기커넥터
JP4618745B1 (ja) 電気コネクタ
TW201342740A (zh) 附開關之同軸連接器
US1129644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circuit-board-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9343832B2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753736B2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tured by upper and lower units
US20230396012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CN213845615U (zh) 电连接器
CN110247214B (zh) 电连接器
CN110061391B (zh) 电连接器
CN109193223B (zh) 电连接器
CN110112595B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JP2004296419A (ja) コネクタ
CN215896768U (zh) 电连接器及其端子
CN219040781U (zh) 静端子及射频开关
JP518232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TWI449276B (zh) 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合體
CN107104300B (zh) 电子卡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