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154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154B1
KR102674154B1 KR1020207035726A KR20207035726A KR102674154B1 KR 102674154 B1 KR102674154 B1 KR 102674154B1 KR 1020207035726 A KR1020207035726 A KR 1020207035726A KR 20207035726 A KR20207035726 A KR 20207035726A KR 102674154 B1 KR102674154 B1 KR 102674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skeleton
portions
lume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271A (ko
KR20210030271A9 (ko
Inventor
다카오 이토이
세이이치 나카야
Original Assignee
다카오 이토이
에스비가와스미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오 이토이, 에스비가와스미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오 이토이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27234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013209A1/ja
Publication of KR2021003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271A/ko
Publication of KR20210030271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271A9/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2Two or more distinct overlappin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02/065Y-shaped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6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more than one stent being applied sequentially

Abstract

생체 관강의 분지 부분에 1회의 손기술로 용이하게 유치시킴과 함께, 유치 후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텐트(1)는, 생체 관강 내(간문부(HP))에 유치되는 스텐트이며, 총간관(H1)에 유치되고, 제1 골격부(11)를 갖는 통형상의 제1 스텐트부(1A)와, 총간관으로부터 분지한 우간관(H2), 좌간관(H3)에 유치되고, 제2 골격부(12, 13)를 갖는 통형상의 제2 스텐트부(1B, 1C)를 구비하고, 제1 스텐트부와 제2 스텐트부를 일체로 하여 총간관, 우간관 및 좌간관에 유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텐트
본 발명은, 생체 관강(管腔)에 유치되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혈관, 식도, 담관, 기관, 요관 등의 생체 관강에 발생한 협착부 또는 폐색부에 유치되고, 병변 부위를 직경 확장시켜 생체 관강의 개존 상태를 유지하는 스텐트가 알려져 있다. 스텐트 그래프트 유치술에서는, 병변 부위의 상태에 따라 스텐트를 분지시켜 유치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간문 근방에 발생한 병변 부위에 대해서는, 총간관으로부터 우간관 및 좌간관(간장 내의 담관)으로 분지하고 있으므로, 총간관, 우간관 및 좌간관 각각에 스텐트를 유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주관강(예를 들어, 총간관)용 스텐트와 분지관강(예를 들어, 우간관 및 좌간관)용 스텐트과 같이 복수의 스텐트를 준비하여, 하나의 스텐트 개구(예를 들어, 골격부의 그물눈)에 다른 스텐트를 삽입하고, 스텐트끼리를 부분적으로 중복시켜 접속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예를 들어, 간문 근방에 발생한 병변 부위에 대하여 스텐트를 유치하는 경우에는, 총간관으로부터 한쪽 간관(예를 들어, 우간관)에 걸쳐 유치되는 스텐트에 대하여, 다른 쪽 간관(예를 들어, 좌간관)에 유치되는 스텐트가 삽입되고, 접속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3885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등의 경우, 스텐트마다 유치 시스템이 필요해지고, 또한, 스텐트를 유치할 때의 손기술도 번잡하여, 스텐트의 변형이나 파손, 간문부의 폐색의 우려가 있다. 또한, 스텐트의 그물눈끼리가 얽히기 때문에, 유치 후의 제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스텐트 유치술을 행하는 시술자에게는, 풍부한 경험과 높은 기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관강의 분지 부분에 1회의 손기술로 용이하게 유치시킬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스텐트는,
생체 관강 내에 유치되는 스텐트이며,
상기 생체 관강의 제1 관강 내에 유치되고, 제1 골격부를 갖는 통형상의 제1 스텐트부와,
상기 제1 관강으로부터 분지한 제2 관강 내에 유치되고, 제2 골격부를 갖는 통형상의 제2 스텐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텐트부와 상기 제2 스텐트부를 일체로 하여 상기 제1 관강 내 및 상기 제2 관강 내에 유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관강의 분지 부분에 1회의 손기술로 용이하게 스텐트를 유치시킬 수 있음과 함께,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담관 스텐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담관 스텐트의 제1 스텐트부의 축방향을 따라 제2 스텐트부를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3b는, 담관 스텐트의 유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담관 스텐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5b는, 담관 스텐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간문부(HP)(도 3a, 3b 참조)의 병변 부위(예를 들어, 간문부(HP)의 폐색부 또는 협착부)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눌러 확장시켜 폐색(협착) 치료를 행하기 위하여, 총간관(H1), 우간관(H2) 및 좌간관(H3) 내에 유치되어 사용되는 담관 스텐트(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담관 스텐트(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담관 스텐트(1)의 제1 스텐트부(1A)의 축방향을 따라 제2 스텐트부(1B, 1C)를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담관 스텐트(1)의 유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의 간문부(HP)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담관 스텐트(1)는, 소위 커버드(coverd) 스텐트이다. 또한, 담관 스텐트(1)는, 제1 스텐트부(1A)와, 제1 스텐트부(1A)로부터 분지되는 제2 스텐트부(1B, 1C)로 구획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텐트부(1A)는 총간관(H1)에 배치되는 부분이며, 제2 스텐트부(1B, 1C)는, 우간관(H2) 및 좌간관(H3)에 유치되는 부분이다.
제1 스텐트부(1A) 및 제2 스텐트부(1B, 1C)는, 담즙의 유로를 구획 형성하는 통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스텐트부(1B, 1C)는, 제1 스텐트부(1A)보다도 관경이 가늘고, 제1 스텐트부(1A)의 한쪽 단부로부터 두갈래로 분지되도록 연속 설치되어 있다. 즉, 담관 스텐트(1)는,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스텐트부(1B, 1C)가 분지한 갈래부(1a)의 각도는, 담관 스텐트(1)가 유치되는 간문부(HP)의 형상에 따라 설정된다.
제1 스텐트부(1A)에는, 제1 골격부(11)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텐트부(1B, 1C)에는, 각각 제2 골격부(12, 13)가 배치되어 있다.
제1 골격부(11)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 선재를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굴곡시키면서, 각각의 축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권회시킨 구성이다.
제2 골격부(12, 13)는, 예를 들어 금속 선재를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굴곡시키면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격이, 각각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구성이다.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수축한 수축 상태로부터, 외측으로 확장하여 통형상 유로를 구획 형성하는 확장 상태로 자기 확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골격부(11)와 제2 골격부(12, 13)는, 갈래부(1a)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골격부(11)는, 금속 선재를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굴곡시키면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격이, 각각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제2 골격부(12, 13)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 선재를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굴곡시키면서, 각각의 축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권회시킨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제1 골격부(11), 제2 골격부(12, 13)는, 예를 들어 선재의 굴곡부를 교대로 맞물리도록 짠 구성이어도 좋고, 이에 의해, 각 골격부의 굴곡성을 향상시키거나 축방향에의 변형(신장)을 규제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제1 골격부(11), 제2 골격부(12, 13)는, 예를 들어 나선 형상으로 우측 방향으로 권회된 선재와 좌측 방향으로 권회된 선재(동일 선재를 단부에서 꺾은 경우를 포함한다)를 그물눈이 형성되도록 서로 교차시켜 짠 구성이어도 좋고, 이에 의해, 각 골격부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골격부(11)는, 선재의 굴곡부를 교대로 맞물리게 하여 짠 구성으로 하고, 제2 골격부(12, 13)는, 선재를 서로 교차시켜 짠 구성으로 함으로써, 굴곡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축방향에의 변형을 규제한 제1 골격부(11)와, 직진성을 향상시킨 제2 골격부(12, 13)를 갖는 담관 스텐트(1)로 할 수도 있다.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확장력은,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를 형성하는 선재의 축방향에서의 밀도(단위 길이당 골격량)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산의 높이에 의해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확장력이 제어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골격부(12, 13)의 산의 높이는, 제1 골격부(11)의 산의 높이보다도 높고, 제2 골격부(12, 13)의 확장력은, 제1 골격부(11)의 확장력과 비교하여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골격부(12, 13)의 확장력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어도 좋고, 제1 골격부(11)의 확장력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 수축 가능한 통형상을 갖고 있으며, 담관 스텐트(1)는,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자기 확장력에 의해, 담관 스텐트(1)의 외면에서 총간관(H1), 우간관(H2) 및 좌간관(H3)의 내면을 압박함과 함께, 이 상태에서 담관 스텐트(1)의 외면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가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텐트부(1A)의 축방향을 따라 제2 스텐트부(1B, 1C)를 맞추었을 때에(즉, 제2 스텐트부(1B, 1C)의 연장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병설되었을 때에), 제2 골격부(12, 13)는, 각각의 축방향 위치가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축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에 의해, 제2 스텐트부(1B, 1C)를 직경 방향으로 압축하기 쉬워지므로, 담관 스텐트(1)를 시스(sheath)에 수납하기 쉬워진다.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를 형성하는 금속 선재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Ni-Ti 합금(니티놀), 티타늄 합금 등으로 대표되는 공지의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들 수 있다. 또한, X선 조영성을 갖는 합금재료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담관 스텐트(1)의 위치를 체외로부터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는, 금속재료 이외의 재료(예를 들어, 세라믹이나 수지 등)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를 형성하는 선재의 재료, 선종(예를 들어, 와이어 등의 원형 선재, 또는, 레이저 커트에 의한 각형상 선재), 선 직경(단면적),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꺾은 횟수 및 꺾은 형상(산부의 수 및 산부의 형상), 및, 축방향에서의 선재 간격(단위 길이당 골격량) 등은, 유치하는 생체 관강에 따라 필요해지는 제1 스텐트부(1A) 및 제2 스텐트부(1B, 1C)의 유연성을 기준으로 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여기서, 유연성이란, 제1 스텐트부(1A) 및 제2 스텐트부(1B, 1C)의 구부러지기 쉬운 성질을 말하며, 특히, 축방향의 굽힘 강성에 의해 규정된다. 즉, 제1 스텐트부(1A) 및 제2 스텐트부(1B, 1C)의 유연성이 높다라고 함은, 축방향의 굽힘 강성이 적절하게 낮고, 생체 관강이나 시스 내에서 비틀리는 일없이 당해 생체 관강이나 시스의 형상에 추종하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1 스텐트부(1A) 및 제2 스텐트부(1B, 1C)에는,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둘레면을 덮도록 피막부(14)가 배치되어 있다.
피막부(14)는, 담즙의 유로를 형성하는 막체이다. 이 피막부(14)는,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를 끼워 넣도록,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배치되어도 좋고,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외주면에만 배치되어도 좋고, 내주면에만 배치되어도 좋다.
피막부(14)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막부(14)가 일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스텐트부(1A)와 제2 스텐트부(1B, 1C)가 일체화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는, 피막부(14)를 소정의 확장 상태로 유지하도록 보강하고 있다.
또한,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외주면에는, 신장 규제부(16)가 배치되어 있다.
신장 규제부(16)는, 예를 들어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 각각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직사각 형상의 긴 부재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신장 규제부(16)는,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축방향 양단부에 걸치도록,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외주면(예를 들어, 피막부(14)의 내측)에 고정(예를 들어, 접착 등)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텐트부(1A) 및 제2 스텐트부(1B, 1C) 각각에 있어서, 180° 회전시킨 위치에 2개의 신장 규제부(16, 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중, 제1 스텐트부(1A) 및 제2 스텐트부(1B)의 각각의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에 배치된 신장 규제부(16)는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제1 스텐트부(1A) 및 제2 스텐트부(1C)의 각각의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에 배치된 신장 규제부(16)는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신장 규제부(16)는, 예를 들어 생체 적합성을 갖는 실(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실 등) 또는 천(직물(포백)이나 편물)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담관 스텐트(1)의 직경 방향으로의 확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축방향에의 신장을 규제 가능한 강도를 갖는다.
신장 규제부(16)에 의해, 담관 스텐트(1)를 직경 방향으로 수축하여 시스 내에 수용할 때의, 축방향에의 신장이 억제된다. 따라서, 신장 규제부가 없는 스텐트와 비교하여 시스 내에 수용했을 때의 담관 스텐트(1)의 축방향 길이가 짧고, 담관 스텐트(1)와 시스의 접촉 면적은 작아져서, 시스로부터 담관 스텐트(1)를 방출할 때의 마찰 저항이 작아진다. 또한, 담관 스텐트(1)가 시스로부터 방출되어 제1 스텐트부(1A) 및 제2 스텐트부(1B, 1C)가 확장 상태로 될 때의 축방향 단축율이 저감되므로, 간문부(HP)의 원하는 유치 부위에 담관 스텐트(1)를 유치할 수 있다.
또한, 신장 규제부(16)는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제1 스텐트부(1A) 및 제2 스텐트부(1B, 1C) 각각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제1 스텐트부(1A)에만 신장 규제부(16)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신장 규제부(16)는, 예를 들어 피막부(14)의 외측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간문부(HP)에 담관 스텐트(1)를 유치했을 때에 담관벽과 신장 규제부(16)가 접촉하므로, 신장 규제부(16)에 담관벽이 파고 든다. 따라서, 담관 스텐트(1)가 유치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신장 규제부(16)를, 담관 스텐트(1)의 위치 어긋남 억제 수단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스텐트부(1A)에는, 다른 쪽 단부(개방 단부)에 제거 보조부(15)가 접속되어 있다.
제거 보조부(15)는, 간문부(HP)에 유치한 담관 스텐트(1)를 제거할 때에 사용되는 보조 부재이다. 제거 보조부(15)는, 회수용 카테터의 선단에 설치된 걸림구(스네어: 회수용 부재, 도시 생략)가 걸림 부착되는 걸림 부착부를 갖는다. 걸림 부착부는, 예를 들어 선재를 굴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걸림 부착부는, 예를 들어 훅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고, 루프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거 보조부(15)를 형성하는 선재에는, 예를 들어 제1 골격부(11)와 마찬가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고, 제1 골격부(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거 보조부(15)는, 제1 스텐트부(1A)의 개방 단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제거 보조부(15)는, 예를 들어 식물 섬유, 동물 섬유 등의 천연 섬유제나, 합성 섬유, 고성능 섬유 등의 화학 섬유제의 끈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담관 스텐트(1)는, 간문부(HP)(생체 관강 내)에 유치되는 담관 스텐트(1)이며, 총간관(H1)에 유치되고, 제1 골격부(11)를 갖는 통형상의 제1 스텐트부(1A)와, 총간관(H1)으로부터 분지한 우간관(H2), 좌간관(H3)에 유치되고, 제2 골격부(12, 13)를 갖는 통형상의 제2 스텐트부(1B, 1C)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스텐트부(1A)와 제2 스텐트부(1B, 1C)를 일체로 하여 총간관(H1) 내, 우간관(H2) 내, 좌간관(H3) 내에 유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담관 스텐트(1)에 있어서, 제1 골격부(11)와 제2 골격부(12, 13)는, 직경 방향으로 중복되어 있지 않다. 즉, 복수의 스텐트를 접속하여 스텐트끼리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있는, 종래의 partial stent-in-stent와는 다르다.
이에 의해, 간문부(HP)(생체 관강의 분지 부분)에 1회의 손기술로 용이하게 담관 스텐트(1)를 유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의 경험이나 기량에 관계없이, 안정된 수술이 실현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스텐트의 그물눈끼리 얽히는 일이 없고, 담관 스텐트(1)의 유치 후의 제거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담관 스텐트(1)는,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를 덮는 피막부(14)를 갖고, 피막부(14)에 의해, 제1 스텐트부(1A)와 제2 스텐트부(1B, 1C)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의 형태에 관계없이, 제1 스텐트부(1A)와 제2 스텐트부(1B, 1C)를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1 골격부(11)와 제2 골격부(12, 13)는, 각기 다른 선재로 형성되고, 각각 분리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잡한 짜기 설계가 불필요해지므로,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담관 스텐트(1)는, 제1 스텐트부(1A)의 동일 부위로부터 분지되는 복수의 제2 스텐트부(1B, 1C)를 구비하고, 제2 스텐트부(1B, 1C)는, 제1 스텐트부(1A)의 축방향을 따라 맞추었을 때에, 각각의 제2 골격부(12, 13)가 축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에 의해, 제2 스텐트부(1B, 1C)를 직경 방향으로 압축하기 쉬워지므로, 담관 스텐트(1)를 시스에 수납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피막부(14)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성을 예시했으나, 이것은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막부(14)의 구성은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즉, 제1 골격부(11)와 제2 골격부(12, 13)를 개별적으로 덮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스텐트부(1A)에 배치되는 피막부(14)와 제2 스텐트부(1B, 1C)에 배치되는 피막부(14)를 접착함으로써 제1 스텐트부(1A)와 제2 스텐트부(1B, 1C)를 일체화해도 좋고, 제1 골격부(11)와 제2 골격부(12, 13)를 접속함으로써 제1 스텐트부(1A)와 제2 스텐트부(1B, 1C)를 일체화해도 좋다.
또한, 제1 골격부(11)와 제2 골격부(12, 13)를 피막부(14)에 의해 일체화하는 구성으로 했으나, 이는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제1 스텐트부와 제2 스텐트부를 조합하여 간문부(HP)의 분지 부분에 유치 가능하게 해도 좋다. 즉, 예를 들어 도시는 생략하지만, 총간관(H1)으로부터 우간관(H2)(또는 좌간관(H3))으로 연장되는 제1 스텐트부의 좌간관(H3)(또는 우간관(H2))에의 분지 부분에, 제2 스텐트부와의 접속부를 설치하고, 이 접속부에 제2 스텐트부를 조합한 상태로 간문부(HP)의 분지 부분에 유치하도록 해도 좋다. 즉, 스텐트부끼리 조합되는 영역을 총간관(H1)이 아니라, 우간관(H2)(또는 좌간관(H3))으로 함으로써, 골격부끼리 겹치는 영역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제1 스텐트부와 제2 스텐트부를 유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시는 생략하지만, 종래의 partial stent-in-stent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담관 스텐트(2)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관 스텐트(2)는, 골격부(21)만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베어 스텐트이다. 또한, 담관 스텐트(2)는, 제1 스텐트부(2A)와, 제1 스텐트부(2A)로부터 분지되는 제2 스텐트부(2B, 2C)로 구획된다. 제1 스텐트부(2A)는 총간관(H1)에 배치되는 부분이며, 제2 스텐트부(2B, 2C)는, 우간관(H2) 및 좌간관(H3)에 유치되는 부분이다(도 3a 및 도 3b 참조).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스텐트부(2A)의 개방 단부(도 4 중, 하단부)에는, 제거 보조부가 접속되어도 좋다.
담관 스텐트(2)는, 골격부(21)가 피막부로 덮여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골격부(21)는, 예를 들어 금속 선재를, 각각의 축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그물눈이 형성되게 권회시킨 자기 확장형 스텐트 골격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격부(21)는, 나선 형상으로 우측 방향으로 권회된 선재와 좌측 방향으로 권회된 선재(동일 선재를 단부에서 꺾은 경우를 포함한다)를 그물눈이 형성되도록 서로 교차시켜 짠 구성을 갖고 있다. 골격부(21)는, 제1 스텐트부(2A) 및 제2 스텐트부(2B, 2C) 모두에 걸쳐 연속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재로 형성되어 있다.
골격부(21)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수축한 수축 상태로부터, 외측으로 확장하여 통형상 유로를 구획 형성하는 확장 상태로 자기 확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텐트부(2A)의 골격부(21)(제1 골격부) 및 제2 스텐트부(2B, 2C)의 골격부(21)(제2 골격부)는, 각각의 축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 수축 가능한 통형상을 갖고 있으며, 골격부(21)의 자기 확장력에 의해, 담관 스텐트(2)의 외면에서 총간관(H1), 우간관(H2) 및 좌간관(H3)의 내면을 압박함과 함께, 이 상태에서 담관 스텐트(2)의 외면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골격부(21)가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그물눈의 크기에 의해 골격부(21)의 확장력이 제어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스텐트부(2B, 2C)에서는, 제1 스텐트부(2A)와 비교하여 골격부(21)의 그물눈이 크고, 제2 스텐트부(2B, 2C)에 있어서의 골격부(21)의 확장력은, 제1 스텐트부(2A)에 있어서의 골격부(21)의 확장력과 비교하여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스텐트부(2B, 2C)에 있어서의 골격부(21)의 확장력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어도 좋고, 제1 스텐트부(2A)의 골격부(21)의 확장력보다도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제1 스텐트부(2A) 및 제2 스텐트부(2B, 2C)를 구성하는 골격부(21)가 동일한 선재로 연속하여 형성됨으로써, 제1 스텐트부(2A)와 제2 스텐트부(2B, 2C)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스텐트부(2A) 및 제2 스텐트부(2B, 2C)의 골격부(21)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에 접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담관 스텐트(2)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골격부(21)가 동일한 선재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선재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담관 스텐트(2)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스텐트부(2A)의 골격부(21)(제1 골격부)와 제2 스텐트부(2B, 2C)의 골격부(21)(제2 골격부)는, 제1 골격부의 직경 방향으로 중복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스텐트를 접속하여 스텐트끼리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있는, 종래의 partial stent-in-stent와는 다르다.
이에 의해, 간문부(HP)(생체 관강의 분지 부분)에 1회의 손기술로 용이하게 담관 스텐트(2)를 유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의 경험이나 기량에 관계없이, 안정된 수술이 실현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스텐트의 그물눈끼리가 얽히는 경우가 없고, 담관 스텐트(2)의 유치 후의 제거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담관 스텐트(2)에 있어서, 제1 스텐트부(2A)의 일단부로부터 제2 스텐트부(2B, 2C)가 분지되고, 제1 스텐트부(2A)의 골격부(21)(제1 골격부)와 제2 스텐트부(2B, 2C)의 골격부(21)(제2 골격부)는, 동일한 선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스텐트부(2A)의 골격부(21)와 제2 스텐트부(2B, 2C)의 골격부(21)를 접속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담관 스텐트(2)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담관 스텐트(1)에 있어서, 제1 스텐트부(1A)와 제2 스텐트부(1B, 1C)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담관 스텐트(2)에 있어서, 제1 스텐트부(2A)와 제2 스텐트부(2B, 2C)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담관 스텐트(1)에 있어서, 제1 골격부(11) 및 제2 골격부(12, 13)를 동일한 선재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텐트부1A(2A)가 총간관(H1)에 유치되고, 제2 스텐트부1B(2B), 1C(2C)가 우간관(H2) 및 좌간관(H3)에 유치되는 구성이지만, 이는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스텐트부에, 다른 스텐트부를 조합하도록 해도 좋다.
즉,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담관 스텐트(202)는, 제1 스텐트부(2A)의 우간관(H2)에의 분지 부분에, 제2 스텐트부로서의 짧은 접속부(202B)를 설치하고, 이 접속부(202B)에 연장용의 다른 스텐트부(2D)를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스텐트부(접속부(202B))와 다른 스텐트부(2D)가, 총간관(H1)이 아니라, 우간관(H2)에서 접속되고, 접속부(202B)와 연장용의 다른 스텐트부(2D)의 골격부(21)끼리 겹치는 영역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른 스텐트부(2D)의 단부를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 스텐트부(접속부(202B))의 개구 테두리에 걸리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제2 스텐트부(접속부(202B))의 축방향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0 "제로"로 할 수 있다.
또한, 담관 스텐트(202) 및 다른 스텐트부(2D) 중 적어도 한쪽은, 피막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담관 스텐트가 Y자 형상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분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T자 형상으로 분지되거나, ð자 형상으로 분지되거나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스텐트부의 수는 3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1 스텐트부의 제1 골격부 및 제2 스텐트부의 제2 골격부는, 금속제의 원통 부재에 레이저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한 레이저 커트형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담관 스텐트(1, 2)에 한정되지 않고, 소화기계 관강이나 혈관 등의 생체 관강의 분지 부분에 유치되는 스텐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텐트부(1A, 2A)가 직통(直筒)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는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치 부위에 따라 만곡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고, 유치 후에 관강 형상을 따른 만곡 형상을 갖게 되어도 좋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2018년 7월 13일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33106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 출원에 원용된다.
1, 2: 담관 스텐트(스텐트)
1A, 2A: 제1 스텐트부
1B, 1C, 2B, 2C: 제2 스텐트부
11: 제1 골격부
12, 13: 제2 골격부
14: 피막부
15: 제거 보조부
16: 신장 규제부
21: 골격부(제1 골격부, 제2 골격부)
HP: 간문부(생체 관강)
H1: 총간관(제1 관강)
H2: 우간관(제2 관강)
H3: 좌간관(제2 관강)

Claims (6)

  1. 생체 관강 내에 유치(留置)되는 스텐트로서,
    상기 생체 관강의 제1 관강 내에 유치되고, 제1 골격부를 갖는 통형상의 제1 스텐트부와,
    상기 제1 관강으로부터 분지한 제2 관강 내에 유치되고, 제2 골격부를 갖는 통형상의 2개의 제2 스텐트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골격부와 2개의 상기 제2 골격부는, 상기 2개의 제2 스텐트부가 분지되는 갈래부에서 접속되고,
    상기 제1 골격부 및 2개의 상기 제2 골격부 각각은, 각각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금속 선재를 굴곡시키고, 상기 산부와 상기 골부를 축방향으로 맞물리도록 짜서 이루어지고, 상기 직경 방향에 있어서, 수축 상태로부터 확장하여 통형상 유로를 구획 형성하는 확장 상태로 자기(自己) 확장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골격부와 2개의 상기 제2 골격부는, 선경(線徑) 및 산의 높이가 상이함으로써 상기 직경 방향의 확장력이 상이하고,
    상기 제1 스텐트부와 상기 2개의 제2 스텐트부를 일체로 하여 상기 제1 관강 내 및 상기 제2 관강 내에 유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골격부 및 2개의 상기 제2 골격부를 덮는 피막부와,
    상기 제1 스텐트부의 개방 단부측의 상기 제1 골격부의 굴곡부에 접속되고, 루프 형상의 걸림 부착부를 갖는 제거 보조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막부에 의해, 상기 제1 스텐트부와 상기 제2 스텐트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2 골격부는 상기 갈래부에서 접속되고,
    상기 제거 보조부의, 상기 제1 골격부에 접속된 부분은, 상기 제1 스텐트부의 축방향으로, 2개의 상기 제2 골격부끼리의 접속 부분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인 스텐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2 스텐트부는, 상기 제1 스텐트부보다 관경(管徑)이 가는 것인 스텐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보조부는, 상기 제1 스텐트부의 상기 개방 단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는 것인 스텐트.
  6. 삭제
KR1020207035726A 2018-07-13 2019-07-10 스텐트 KR102674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33106 2018-07-13
JP2018133106 2018-07-13
PCT/JP2019/027234 WO2020013209A1 (ja) 2018-07-13 2019-07-10 ステント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271A KR20210030271A (ko) 2021-03-17
KR20210030271A9 KR20210030271A9 (ko) 2022-07-11
KR102674154B1 true KR102674154B1 (ko) 2024-06-10

Family

I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6570A (ja) 2002-05-23 2005-09-08 アリウ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解体可能部分を有する医療器具
JP2008514284A (ja) 2004-09-24 2008-05-08 シーレーテ エルエルシー 繊毛ステント状システム
JP2009160080A (ja) * 2007-12-28 2009-07-23 Gunze Ltd 生体管路ステント
JP2010511434A (ja) 2006-12-01 2010-04-15 メドトロニック ヴァ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変長枝部を有する二股ステント
JP2014138851A (ja) 2007-04-19 2014-07-31 Biosensors Internatl Group Ltd 分岐部ステント、および身体の管腔内に配置する方法
WO2016129551A1 (ja) * 2015-02-13 2016-08-1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ステン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6570A (ja) 2002-05-23 2005-09-08 アリウ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解体可能部分を有する医療器具
JP2008514284A (ja) 2004-09-24 2008-05-08 シーレーテ エルエルシー 繊毛ステント状システム
JP2010511434A (ja) 2006-12-01 2010-04-15 メドトロニック ヴァ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変長枝部を有する二股ステント
JP2014138851A (ja) 2007-04-19 2014-07-31 Biosensors Internatl Group Ltd 分岐部ステント、および身体の管腔内に配置する方法
JP2009160080A (ja) * 2007-12-28 2009-07-23 Gunze Ltd 生体管路ステント
WO2016129551A1 (ja) * 2015-02-13 2016-08-1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ステン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992B2 (en) Stent and stent-graft having one or more conformance struts
EP2801340B1 (en) Stents having barbs protected during delivery
JP5559063B2 (ja) 1つ又はそれ以上のトリガワイヤ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ステント設計
EP2537491B1 (en) Helical stent
EP2875798A1 (en) Braided stent
US20090149946A1 (en) Stent having at least one barb and methods of manufacture
EP3053545A1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deployment of an endoluminal prosthesis
JP6490673B2 (ja) ステント送達システム
KR20170139086A (ko) 스텐트 및 의료 기기
JP7097166B2 (ja) 柔軟性ステント
JP2011502572A (ja) 可撓性ステントグラフト
JP2024057051A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留置システム
KR102674154B1 (ko) 스텐트
JP2004049806A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JPWO2020013209A1 (ja) ステント
JP6425981B2 (ja) 自己拡張型ステント
JP5428041B2 (ja) 血管内送達システム
EP2745806B1 (en) Stent designs for reduced infolding of graft material
EP2727558B1 (en) Suture attachments for coupling a stent to graft material
JP7409585B2 (ja) ステント
JP7490922B2 (ja) ステント
JP4429833B2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WO2021131857A1 (ja) ステント
EP3988051A1 (en) Stent graft
JP7379766B2 (ja) ステ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