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335B1 -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335B1
KR102668335B1 KR1020240006123A KR20240006123A KR102668335B1 KR 102668335 B1 KR102668335 B1 KR 102668335B1 KR 1020240006123 A KR1020240006123 A KR 1020240006123A KR 20240006123 A KR20240006123 A KR 20240006123A KR 102668335 B1 KR102668335 B1 KR 10266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 fire
plate
fire grilling
oi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만
Original Assignee
황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만 filed Critical 황성만
Priority to KR102024000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불판을 얹어서 사용하는 직화구이 장치에 있어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간은 높고, 양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굴곡진 형태의 직화구이판; 상기 직화구이판 상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된 기름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DIRECT FIRE GRILLING DEVICE EQUIPPED WITH AN OIL INDUCTION UNIT}
본 발명은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굴곡진 형태의 직화구이판 상단에 상측으로 절곡된 기름유도부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기름유도부 하측에 상,하측을 관통하는 화염터널홈이 형성됨으로써, 고기와 같이 식재료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화염원(숯불)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는 방식은 후라이팬이나 무쇠, 옥돌 위에 고기를 올리고 가스레인지나 연탄불 등으로 가열하여 고기를 익히는 간접방법과 숯불의 화기가 직접 고기에 닿게 하여 굽는 직화방식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후자의 직화방식은 알려진 바와 같이 숯불의 화기로 구운 고기가 일반 구운 고기에 비해 맛이 좋다는 정평이 나 있으며, 이는 숯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에 의해 숯불의 향이 고기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기를 굽는 과정에 고기 기름이 숯불 속으로 떨어져 연소가되면, 그을음이 발생하고, 그로 인하여 불기운의 소통이 불안정해져 고기가 그을리고 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기 기름이 숯불에 직접 떨어져 발생되는 연기의 양이 급증하게 되어 주변 사람들을 괴롭게 하고, 많은 연기 발생으로 인해 별도의 환기시설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18931호(2008.03.2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굴곡진 형태의 직화구이판 상단에 상측으로 절곡된 기름유도부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기름유도부 하측에 상,하측을 관통하는 화염터널홈이 형성됨으로써, 고기와 같이 식재료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화염원(숯불)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을음이 발생되거나 겉부분이 심하게 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화염터널홈을 통해 화염의 충분한 열이 식재료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열 전달로 인하여 식재료를 빠르게 익힐 수 있는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측으로 절곡된 기름유도부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직화구이판 상측에 석쇠와 같은 불판을 올리더라도 상기 안착홈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는 상측에 불판을 얹어서 사용하는 직화구이 장치에 있어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간은 높고, 양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굴곡진 형태의 직화구이판; 직화구이판 상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된 기름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굴곡진 형태의 직화구이판 상단에 상측으로 절곡된 기름유도부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기름유도부 하측에 상,하측을 관통하는 화염터널홈이 형성됨으로써, 고기와 같이 식재료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화염원(숯불)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을음이 발생되거나 겉부분이 심하게 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염터널홈을 통해 화염의 충분한 열이 식재료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열 전달로 인하여 식재료를 빠르게 익힐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으로 절곡된 기름유도부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직화구이판 상측에 석쇠와 같은 불판을 올리더라도 상기 안착홈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서 기름유도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서 기름유도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서 돌출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서 돌출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는 굴곡진 형태의 직화구이판(100) 상단에 상측으로 절곡된 기름유도부(200)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기름유도부(200) 하측에 상,하측을 관통하는 화염터널홈(220)이 형성됨으로써, 고기와 같이 식재료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화염원(숯불)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는 고기와 같이 식재료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화염원(숯불)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염이 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식재료와 화염이 직접 맞닿아 발생될 수 있는 그을음을 최소화하고, 식재료가 심하게 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직화구이판(100) 및 기름유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직화구이판(100)은 4개의 테두리를 갖는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은 높고, 양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판부(110), 절곡판부(120), 테두리커버(130) 및 기름배출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중앙판부(110) 양측에 절곡판부(120)가 각각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절곡판부(120)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앙판부(110)는 중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직화구이판(10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측에 석쇠와 같은 그물망 형태의 불판(10)을 올려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직화구이판(100)은 화원에 의해 적열(赤熱)되되, 타지 않는 재질인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화구이판(100)은 넓은 판 형태의 금속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두께는 약 2~4mm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3mm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직화구이판(100)의 상,하측 두께가 2mm 보다 얇으면 내구성이 약해 잘 휘거나 화염원에 의해 변형이 쉽게 오는 문제점이 있으며, 두께가 4mm 보다 두꺼우면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식재료를 익히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중앙판부(110)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전,후측 각각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삭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삭홈(111)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테두리커버(130)의 중간 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중앙판부(110) 일부분이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삭홈(111)은 직화구이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직화구이판(100)을 절곡시키는 등 제조를 위한 과정에서 상기 절삭홈(111)을 통해 별도의 클램프('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특정 대상을 물어 잡아 고정시키는 장치) 등을 이용하여 직화구이판(100)을 고정시키도록 활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직화구이판(100) 하측에 화염원을 두고 식재료를 익히는 과정에서 적열된 직화구이판(100)을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
또한, 절삭홈(111)이 형성된 중앙판부(110) 상단 또는 하단에는 전,후측으로 연통된 파이프 형태의 관(도면에 미표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파이프 형태의 관은 양측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형태의 관은 금속 재질의 팩(단조팩, 콜팩, 텐트팩 등)이나 꼬치용 꽂이 또는 젓가락 등과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얇고 길게 형성된 금속을 파이프 형태의 관에 삽입한 후 들어올리도록 함으로써, 직화구이판(100)을 운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직화구이판(100)은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4개의 테두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테두리에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테두리커버(130)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직화구이판(100) 4개의 모서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내측으로 절개된 형태의 기름배출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4개의 테두리커버(130)가 맞닿는 직화구이판(100) 모서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기름배출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식재료로부터 떨어진 기름이 직화구이판(100) 상단면의 경사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되되, 테두리커버(130)에 의해 직화구이판(100) 외부 바닥으로 바로 떨어져 유출되지 않고, 기름배출홈(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기름배출홈(140)이 형성된 특정한 위치에서만 기름이 배출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기름배출홈(140) 하측에 식재료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모이도록 별도의 용기르 위치시킴으로써,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방지하고, 기름을 모으는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서 기름유도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서 기름유도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며,
기름유도부(200)는 직화구이판(100) 상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돌출편(210) 및 화염터널홈(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기름유도부(2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판 형태의 직화구이판(100) 전체에 다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곡판부(120) 상측에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되, 중앙판부(110)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이에, 한 쌍의 절곡판부(120) 각각에 구비된 기름유도부(200)는 서로 대칭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편(210)은 직화구이판(100) 상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돌출편(210)의 절곡된 각도는 직화구이판(100)으로부터 약 10° 내지 80°의 각도로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돌출편(210)의 절곡된 각도가 10° 보다 작게 이루어지면, 돌출편(210)의 기울기가 낮고, 화염터널홈(220)이 노출되는 공간이 좁아져 화염원이 직화구이판(100) 상측에 위치한 식재료로 잘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절곡된 각도가 80° 보다 크게 이루어지면, 화염터널홈(220) 전체가 노출되어 식재료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화염원으로 직접 떨어지거나 또는 기름이 직화구이판(100)의 경사를 따라 외측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돌출편(210)이 절곡된 부분, 즉 직화구이판(100)과 돌출편(210)이 연결된 부분에 고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돌출편(21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끝단에 전,후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져 곡선을 갖는 만곡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부(211)에 의해 돌출편(210) 끝단의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직화구이판(100)을 취급함에 있어, 취급이 용이하고, 베이는 등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구성된 돌출편(21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직화구이판(100)의 중앙에서 양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절곡된 각도가 점점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잇다.
즉 중앙판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중앙판부(110)와 인접할수록 돌출편(210)의 절곡된 각도는 완만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판부(110)와 멀어질수록 돌출편(210)의 절곡된 각도는 상대적으로 인접한 돌출편(210)보다 급격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식재료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직화구이판(100)의 경사를 따라 외측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직화구이판(100)의 가장 높은 부분인 중앙판부(110)와 인접한 돌출편(210)은 절곡된 각도가 완만하여 외측으로 빠르게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고, 기름이 외측으로 이송될수록 절곡된 각도가 점점 증가하는 돌출편(210)에 의해 걸림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직화구이판(100)으로 전달된 화염원에 의해 기름이 타서 증발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식재료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직화구이판(100)의 열에 의해 타는 양을 최대한 증가시켜 외부로 유출되는 기름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화염터널홈(220)은 돌출편(210)이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직화구이판(100) 상,하측으로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화염터널홈(220)은 도 5에서와 같이, 직화구이판(100) 하측에 위치한 화염원 일부가 상기 화염터널홈(220)을 통해 상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직화구이판(100) 상측에 위치한 식재료가 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서 돌출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돌출편(210)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직화구이판(100)으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상,하측 폭이 점점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돌출편(210)의 면적을 증가시켜 화염터널홈(220)이 노출되는 정도를 최대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면적이 증가된 돌출편(210)에 의해 직화구이판(100)의 상,하측 방향으로 화염터널홈(220)이 노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하여 식재료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상기 화염터널홈(220)을 통해 화염원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에서 돌출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A'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돌출편(210)은 끝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안착홈(212)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다수의 돌출편(210) 각각에 안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212)은 돌출편(210) 끝단 일부분이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직화구이판(100) 상측에 석쇠와 같은 그물망 형태의 불판(10)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불판(10) 일부분이 상기 안착홈(212)으로 안내되어 끼워짐으로써, 직화구이판(100)으로부터 불판(10)이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고기와 같은 식재료를 굽는 과정에서 고기를 뒤집거나 불판(10) 위에 식재료를 얹더라도 불판(10)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식재료를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는 굴곡진 형태의 직화구이판(100) 상단에 상측으로 절곡된 기름유도부(200)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기름유도부(200) 하측에 상,하측을 관통하는 화염터널홈(220)이 형성됨으로써, 고기와 같이 식재료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화염원(숯불)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을음이 발생되거나 겉부분이 심하게 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화염터널홈(220)을 통해 화염의 충분한 열이 식재료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열 전달로 인하여 식재료를 빠르게 익힐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절곡된 기름유도부(200)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안착홈(212)이 형성됨으로써, 직화구이판(100) 상측에 석쇠와 같은 불판(10)을 올리더라도 상기 안착홈(21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불판
100 : 직화구이판 110 : 중앙판부
111 : 절삭홈 120 : 절곡판부
130 : 테두리커버 140 : 기름배출홈
200 : 기름유도부 210 : 돌출편
211 : 만곡부 212 : 안착홈
220 : 화염터널홈

Claims (10)

  1. 상측에 불판(10)을 얹어서 사용하는 직화구이 장치에 있어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간은 높고, 양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굴곡진 형태의 직화구이판(100);
    상기 직화구이판(100) 상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된 기름유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직화구이판(100)은
    중앙판부(110);
    상기 중앙판부(110) 양측에 각각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진 절곡판부(120);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4개의 테두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테두리에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테두리커버(130); 및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4개의 모서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내측으로 절개된 형태의 기름배출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중앙판부(110)는
    전,후측 각각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삭홈(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름유도부(200)는
    상기 직화구이판(100) 상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돌출편(210); 및
    상기 돌출편(210)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직화구이판(100) 상,하측으로 관통되는 화염터널홈(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돌출편(210)은
    상기 직화구이판(100)으로부터 10° 내지 80°의 각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직화구이판(100)의 전,후측 방향과 양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구성되되,
    상기 직화구이판(100)의 중앙에서 양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절곡된 각도가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끝단에 전,후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져 곡선을 갖는 만곡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직화구이판(100)으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상,하측 폭이 점점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끝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안착홈(212);이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212)은 불판(10)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40006123A 2024-01-15 2024-01-15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 KR10266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6123A KR102668335B1 (ko) 2024-01-15 2024-01-15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6123A KR102668335B1 (ko) 2024-01-15 2024-01-15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8335B1 true KR102668335B1 (ko) 2024-05-21

Family

ID=9132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6123A KR102668335B1 (ko) 2024-01-15 2024-01-15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83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924U (ko) * 1996-10-30 1998-07-25 이용하 1회용 곤로
KR100818931B1 (ko) 2007-01-26 2008-04-04 안지영 고기불판
JP2009247764A (ja) * 2008-04-10 2009-10-29 Okazaki Sangyo Kk 網焼き式ガスロースター
KR20140032824A (ko) * 2012-09-07 2014-03-17 황효순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KR20140097964A (ko) * 2013-01-30 2014-08-07 김영봉 기능성 고기 구이판
KR102485402B1 (ko) * 2022-09-05 2023-01-04 배정관 직화구이용 불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924U (ko) * 1996-10-30 1998-07-25 이용하 1회용 곤로
KR100818931B1 (ko) 2007-01-26 2008-04-04 안지영 고기불판
JP2009247764A (ja) * 2008-04-10 2009-10-29 Okazaki Sangyo Kk 網焼き式ガスロースター
KR20140032824A (ko) * 2012-09-07 2014-03-17 황효순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KR20140097964A (ko) * 2013-01-30 2014-08-07 김영봉 기능성 고기 구이판
KR102485402B1 (ko) * 2022-09-05 2023-01-04 배정관 직화구이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9028A (en) Coal grate construction for gas-fired grills
US5111803A (en) Flare reduction buffer for gas barbecues
US7487717B2 (en) Flameless barbecue grill
EP3375335B1 (en) Barbecue grill with a temperature homogenization, protection, and grease guide structure
KR102668335B1 (ko) 기름유도부가 구비된 직화구이 장치
US7316180B2 (en) Fry pot splatter shield
KR101646243B1 (ko) 구이용 불판
KR101547581B1 (ko) 기름 유도 배출 기능과 열효율 향상 기능을 개선한 복합 기능성 고기 구이판
KR101986822B1 (ko) 불판구이용 다용도 구이판
KR101685840B1 (ko)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1714763B1 (ko) 구이 장치
KR1012720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0436062Y1 (ko) 연기방지용 석쇠
KR200476624Y1 (ko) 조리용기
KR102424456B1 (ko) 안전 무연 불판
KR20130022579A (ko) 구이용 불판
KR101819384B1 (ko) 석쇠받침 보조불판
KR102224962B1 (ko) 숯불구이용 불판
CN208332363U (zh) 一种天然气灶具聚能灶圈
KR200494618Y1 (ko) 안전구이장치
KR101244990B1 (ko) 복합 구이판
KR200445598Y1 (ko) 전기그릴의 그릴팬
KR101917989B1 (ko) 직화구이용 그릴
KR20130032925A (ko) 직화구이장치
KR200332180Y1 (ko) 훈증기능의 배기부를 가지는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