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824A -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824A
KR20140032824A KR1020120099581A KR20120099581A KR20140032824A KR 20140032824 A KR20140032824 A KR 20140032824A KR 1020120099581 A KR1020120099581 A KR 1020120099581A KR 20120099581 A KR20120099581 A KR 20120099581A KR 20140032824 A KR20140032824 A KR 20140032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plate
roasting
radiu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효순
Original Assignee
황효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효순 filed Critical 황효순
Priority to KR102012009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2824A/ko
Publication of KR2014003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숯불 구이본체와 본체 지지체로 이루어진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숯불 구이본체를 구성하는 본체 커버와 숯받침단 사이에, 상기 숯불 구이본체 내의 수직상 위치 중 최상단에 원판 테두리 내부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줄무늬 형태로 형성된 숯불찜판; 상기 숯불찜판의 하부에 반경(L1)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원판의 테두리 영역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형태로 곡률(R1)을 갖으며, 원판 형태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쳐서 형성된 숯불향 분출구(C1)가 다수개가 형성되어 형성되는 숯불 구이판; 및 상기 숯불 구이본체 내의 수직상 위치 중 상기 숯불 구이판의 하부와 상기 숯받침단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통형상의 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숯이탈방지망; 을 포함하며, 상기 숯불 구이판은 원판 형태의 테두리 영역의 일 측에 플렉시블(Flexible) 한 재질로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어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숯불 구이판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숯불향 분출구(C1)를 통해 하부에서 숯의 연소에 따른 숯불향이 그대로 고기와 같은 음식재료에 스며들게 하며, 음식재료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은 음식재료와 접촉을 최소화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름과 연소되고 있는 숯불과의 접촉을 사전에 차단하여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Charcoal-fire meat roasting apparatus having roast plate with animal oil drop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숯불향 그대로가 고기와 같은 음식재료에 베여 들도록 함과 동시에, 고기 기름과 같은 음식재료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기름과 연소되고 있는 숯불이 접촉하여 연기가 배출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숯불 구이장치는 화덕의 숯불 위에 석쇠를 올려놓고 숯불의 화열로 직접 피조리물인 고기와 같은 요리재료를 굽거나 찌는 것이므로, 숯불이 닿는 피조리물을 굽거나 찌게 되면 기름 등의 부산물이 숯불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차선책으로 종래에는 기름 등의 부산물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피조리물인 음식재료를 뒤집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에 의해선 기름 등의 부산물이 숯불에 떨어져 연기가 과도하게 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숯불 고유의 향이 음식재료에 스며들도록 함과 동시에 연기 등에 의해 조리하는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 기름을 더욱 손쉽게 분리 제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고기 숯불구이 장치(The meat roast equipment with a charcoal fire) (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25477호)
2. 숯불구이장치(Meat roasting Device using charcoal fire) (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97119호)
3.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Charcoal fire roast combined a direct fire with arotating and separating) (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2695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숯불향 그대로가 고기와 같은 음식재료에 베여 들며 고기 기름과 같은 음식재료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기름과 연소되고 있는 숯불이 접촉하여 연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는, 숯불 구이본체와 본체 지지체로 이루어진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숯불 구이본체를 구성하는 본체 커버와 숯받침단 사이에, 상기 숯불 구이본체 내의 수직상 위치 중 최상단에 원판 테두리 내부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줄무늬 형태로 형성된 숯불찜판; 상기 숯불찜판의 하부에 반경(L1)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원판의 테두리 영역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형태로 곡률(R1)을 갖으며, 원판 형태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쳐서 형성된 숯불향 분출구(C1)가 다수개가 형성되어 형성되는 숯불 구이판; 및 상기 숯불 구이본체 내의 수직상 위치 중 상기 숯불 구이판의 하부와 상기 숯받침단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통형상의 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숯이탈방지망; 을 포함하며, 상기 숯불 구이판은 원판 형태의 테두리 영역의 일 측에 플렉시블(Flexible) 한 재질로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어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숯불 구이본체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빈 구형으로 형성시 상기 본체 커버는 상부 반구를 이루며, 상기 숯받침단은 하부 반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커버는, 상부에 손잡이 및 연기배출단이 형성되며, 상기 연기배출단은, 일자형의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두 개씩의 연기배출구로 이루어져 상기 숯불 구이본체 내부의 열기와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숯불 구이판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판이 둘러쳐져서 형성되는 기름낙하방지 턱이 형성되며, 상기 반경(L1)과 상기 곡률(R1)의 크기 관계는 반비례관계로 형성되어 상기 반경(L1)이 크게 설계될수록 상기 곡률(R1)의 크기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숯불향 분출구(C1)는, 상기 원판부 상에 타공되어 형성되며,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이 빗변부(k)가 상향에서 맞닿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의 높이부(h)가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 상에 타공된 영역으로 상기 숯이탈방지망에 있는 숯이 연소되어 나온 숯불향이 상기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의 높이부(h)가 이격된 영역으로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숯불 구이판은, 상기 각 숯불향 분출구(C1) 상에서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의 높이부(h)가 이격된 지점을 향하여 하부로부터 유입된 숯불향이 분출되도록 하여, 상기 원판부 상에 전체적으로 방사형으로 숯불향이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체는, 구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숯불 구이본체의 하부를 받치기 위해 상기 숯불 구이본체의 반경보다 작은 원 테두리로 이루어지는 본체 받침부; 및 상기 본체 받침부의 원 테두리를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하부로 3개의 지주가 형성되는 삼발이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삼발이 지지대를 이루는 각 지주는 원 테두리로 이루어진 하부 받침부과 맞닿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부의 반경은 상기 본체 받침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대의 반경, 상기 본체 받침부의 반경, 그리고 상기 숯불 구이본체의 반경의 크기 관계는, 상기 하부 받침대의 반경 > 상기 숯불 구이본체의 반경 > 상기 본체 받침부의 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체는, 상기 본체 지지체의 수직상의 위치 중 상기 본체 받침부와 상기 하부 받침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 지지체의 수평상의 위치 중 상기 삼발이 지지대의 각 지주가 형성된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숯불찜판과 같이 원판 테두리 내부로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줄무늬 형태로 상기 숯불찜판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장비보관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체의 상부에 기름수집통이 놓이며, 상기 기름수집통은 상기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과 연결되어 상기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을 통해 유입된 기름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숯이탈방지망의 원통형상의 반경은 상기 숯불 구이판의 반경(L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는, 숯불 구이판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숯불향 분출구(C1)를 통해 하부에서 숯의 연소에 따른 숯불향이 그대로 고기와 같은 음식재료에 스며들게 하며, 음식재료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은 음식재료와 접촉을 최소화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는, 숯불향 그대로가 고기와 같은 음식재료에 베여 들며 고기 기름과 같은 음식재료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기름과 연소되고 있는 숯불과의 접촉을 사전에 차단하여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의 결합된 상태의 숯불 구이장치에서의 본체 커버만 열어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의 본체 커버만 열어놓은 상태의 숯불 구이장치에서 숯불 구이판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의 숯불 구이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도면(도 5a는 숯불 구이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 및 도 5c는 숯불향 분출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숯불 구이판과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판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이하, 숯불 구이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숯불 구이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결합된 상태의 숯불 구이장치에서의 본체 커버(110)만 열어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본체 커버(110)만 열어놓은 상태의 숯불 구이장치에서 숯불 구이판(130)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숯불 구이판(13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숯불 구이판(13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 및 도 5c는 숯불향 분출구(C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숯불 구이장치는 크게 숯불 구이본체(100)와 본체 지지체(200)의 두 가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먼저 숯불 구이본체(100)를 살펴보면, 숯불 구이본체(100)는 본체 커버(110), 숯불찜판(120),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130: 이하 숯불 구이판), 숯이탈방지망(140), 그리고 숯받침단(150)을 포함한다.
본체 커버(110)는 내부가 빈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손잡이(111) 및 연기배출단(112)이 형성되며, 숯불 구이본체(100)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빈 구형으로 형성시 상부 반구를 이룬다.
손잡이(11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커버(110) 상부의 중앙에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손잡이(111)가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두 개씩의 연기배출구로 이루어진 연기배출단(112)이 형성된다. 연기배출단(112)은 숯불 구이본체(100) 내부의 열기와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된다.
숯불찜판(120)은 본체 커버(11)의 내부 상에서 수직방향의 최상단, 그리고 숯불찜판(120)의 하부로는 숯불 구이판(130)이 놓이도록 위치한다.
숯불찜판(120)은 원판 테두리에 내부로는 다수 개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줄무늬 형태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숯불찜판(120)은 숯불찜판(120)의 하부에 형성된 그릴에 해당하는 숯불 구이판(130)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열이 숯불 구이판(130)을 거쳐 전달되면, 전달된 열을 다수개로 이루어진 격자형 줄무늬 사이로 전달함으로써, 숯불찜판(120)의 상부에 놓인 숯불찜을 위한 요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숯불 구이판(130)은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131), 원판부(132) 및 기름낙하방지 턱(133)을 구비한다. 한편, 고기와 같은 음식재료는 찜으로 할 것인지 구이로 할것인지 여부에 따라 숯불찜판(120) 또는 숯불 구이판(130) 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원판부(13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판부(132)의 원판 형상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판에 해당하는 기름낙하방지 턱(133)이 둘러쳐져서 형성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원판부(132)는 반경(L1)에 곡률(R1)을 갖고 형성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쳐서 형성된 숯불향 분출구(C1)가 다수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반경(L1)과 곡률(R1)의 크기 관계는 반비례관계로 형성되어 반경(L1)이 크게 설계될수록 곡률(R1)의 크기는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각 숯불향 분출구(C1)는 원판부(132) 상에 타공되어 형성되며,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이 빗변부(k)가 상향에서 맞닿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의 높이부(h)가 이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의 높이부(h)가 이격된 지점을 향하여 하부로부터 유입된 숯불향이 분출됨으로써, 원판부(132) 상에 전체적으로 방사형으로 숯불향이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다수의 숯불향 분출구(C1)가 수행한다.
즉, 원판부(132) 상에 타공된 영역을 통해 숯이탈방지망(140)에 있는 숯이 연소되어 나온 숯불향이 각 숯불향 분출구(C1)에 형성된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의 높이부(h)가 이격된 영역으로 분출됨으로써, 원판부(132) 상에 전체적으로 방사형으로 숯불향이 골고루 퍼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반경(L1)을 갖는 원판부(132)가 원판의 테두리 영역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형태로 곡률(R1)을 갖는 특성과, 각 숯불향 분출구(C1) 상의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의 높이부(h)가 이격된 영역이 향하는 방향의 특성의 조합에 의한 결과를 숯이탈방지망(140) 내부에 위치한 숯의 연소에 의한 숯불과, 원판부(132)의 테두리로 흐르는 기름의 접촉이 원천 차단됨으로써, 기름과 숯불의 접촉에 의한 연기가 전혀 배출되지 않는 장점을 갖으며, 숯불향 그대로가 고기와 같은 음식재료에 베여 들어 고기 기름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효과를 갖는다.
즉, 원판부(132)의 경사로로 기름이 흐를 경우, 숯불향 분출구(C1) 내부로 기름이 유입되지 않으며, 숯불향 분출구(C1)를 통해 숯이탈방지망(140) 내부에 있는 숯의 연소에 의한 숯불향 만의 유입이 가능하다.
여기에 더하여 원판부(132)의 테두리 영역의 일 측에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131)이 형성된다.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131)은 원판부(132)의 테두리 영역으로 흐른 기름에 대해 장비보관단(230)의 상부에 놓인 기름수집통(231)으로 흐르는 루트(root)를 형성함으로써, 기름이 낙하하여 주위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131)은 플렉시블(Flexible) 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된다. 원판부(132)의 반경(L1)은 숯불찜판(120)의 반경과 동일하며, 본체 커버(110)의 반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숯이탈방지망(140)은 숯불 구이판(130)의 하부에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형상의 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숯받침단(150)의 상부에 놓여진다. 숯이탈방지망(140)의 반경은 원판부(132)의 반경(L1)보다 작게 형성된다.
숯받침단(150)은 내부가 빈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숯불 구이본체(100)가 전체적으로 구형으로 형성시 하부 반구를 이룬다. 이에 따라, 숯받침단(150)은 본체 커버(110)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루며 구형을 이룬 내부에는 상부로부터 차례로 숯불찜판(120), 숯불 구이판(130), 그리고 숯이탈방지망(140)이 위치한다.
다음으로, 본체 지지체(200)를 살펴보면, 본체 지지체(200)는 본체 받침부(210), 삼발이 지지대(220), 장비보관단(230), 그리고 하부 받침부(240)를 포함한다.
본체 받침부(210)는 구형으로 이루어진 숯불 구이본체(100)의 하부를 받치기 위해 숯불 구이본체(100)의 반경보다 작은 원 테두리로 이루어진다.
삼발이 지지대(220)는 본체 받침부(210)의 원 테두리 상에서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하부로 3개의 지주가 형성된다. 여기서 삼발이 지지대(220)를 이루는 각 지주(3개의 지주)는 하부 받침부(240)과 맞닿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부 받침부(240)의 반경이 본체 받침부(210)의 반경보다 크므로, 삼발이 지지대(220)가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하부 받침대(240)의 반경, 본체 받침부(210)의 반경, 그리고 숯불 구이본체(100)의 반경의 관계는, 하부 받침대(240)의 반경 > 숯불 구이본체(100)의 반경 > 본체 받침부(210)의 반경으로 이루어진다.
장비보관단(230)은 수직상의 위치는 본체 받침부(210)와 하부 받침대(240) 사이에 형성되며, 수평상의 위치는 삼발이 지지대(220)가 형성된 내측으로 형성된다. 장비보관단(230)은 숯불찜판(120)과 같이 원판 테두리에 내부로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줄무늬 형태가 형성된 형상을 갖으며, 숯불찜판(120)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장비보관단(230)의 상부에는 기름수집통(231)이 놓이며, 기름수집통(2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관 형태의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131)으로부터 기름을 전달받아 보관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살펴본 숯불 구이판(130)과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판(130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숯불 구이판(130a)은 숯불 구이판(130)과 동일하게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131), 그리고 사각형 형상의 사각판부(132a), 그리고 기름낙하방지 턱(133b)을 포함한다.
사각판부(132a)는 제 1 사각판(132a-1)과 제 2 사각판(132a-2)로 이루어진다. 제 1 사각판(132a-1)과 제 2 사각판(132a-2)은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 판형상이 맞대어 형성되며, 제 1 사각판(132a-1)과 제 2 사각판(132a-2)이 맞닿은 지점으로부터 하부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즉, 사각판부(132a)는 제 1 사각판(132a-1) 및 제 2 사각판(132a-2)의 한쪽 끝단 각각은 수평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α)를 이루어 상향을 향하여 형성된 뒤, 제 1 사각판(132a-1) 및 제 2 사각판(132a-2)의 다른쪽 끝단 각각이 맞닿아 형성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각도(α)는 17 내지 23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숯불 구이본체
110: 본체 커버
111: 손잡이
112: 연기배출단
120: 숯불찜판
130: 숯불 구이판
131: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
132: 원판부
133: 기름낙하방지 턱
140: 숯이탈방지망
150: 숯받침단
200: 본체 지지체
210: 본체 받침부
220: 삼발이 지지대
230: 장비보관단
231: 기름수집통
240: 하부 받침부

Claims (11)

  1. 숯불 구이본체와 본체 지지체로 이루어진 숯불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숯불 구이본체를 구성하는 본체 커버와 숯받침단 사이에, 상기 숯불 구이본체 내의 수직상 위치 중 최상단에 원판 테두리 내부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줄무늬 형태로 형성된 숯불찜판;
    상기 숯불찜판의 하부에 반경(L1)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원판의 테두리 영역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형태로 곡률(R1)을 갖으며, 원판 형태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쳐서 형성된 숯불향 분출구(C1)가 다수개가 형성되어 형성되는 숯불 구이판; 및
    상기 숯불 구이본체 내의 수직상 위치 중 상기 숯불 구이판의 하부와 상기 숯받침단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통형상의 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숯이탈방지망; 을 포함하며,
    상기 숯불 구이판은 원판 형태의 테두리 영역의 일 측에 플렉시블(Flexible) 한 재질로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어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숯불 구이본체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빈 구형으로 형성시 상기 본체 커버는 상부 반구를 이루며, 상기 숯받침단은 하부 반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 커버는,
    상부에 손잡이 및 연기배출단이 형성되며,
    상기 연기배출단은,
    일자형의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두 개씩의 연기배출구로 이루어져 상기 숯불 구이본체 내부의 열기와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숯불 구이판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판이 둘러쳐져서 형성되는 기름낙하방지 턱이 형성되며,
    상기 반경(L1)과 상기 곡률(R1)의 크기 관계는 반비례관계로 형성되어 상기 반경(L1)이 크게 설계될수록 상기 곡률(R1)의 크기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숯불향 분출구(C1)는,
    상기 원판부 상에 타공되어 형성되며,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이 빗변부(k)가 상향에서 맞닿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의 높이부(h)가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 상에 타공된 영역으로 상기 숯이탈방지망에 있는 숯이 연소되어 나온 숯불향이 상기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의 높이부(h)가 이격된 영역으로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숯불 구이판은,
    상기 각 숯불향 분출구(C1) 상에서 두 개의 직삼각형 판의 높이부(h)가 이격된 지점을 향하여 하부로부터 유입된 숯불향이 분출되도록 하여, 상기 원판부 상에 전체적으로 방사형으로 숯불향이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체는,
    구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숯불 구이본체의 하부를 받치기 위해 상기 숯불 구이본체의 반경보다 작은 원 테두리로 이루어지는 본체 받침부; 및
    상기 본체 받침부의 원 테두리를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하부로 3개의 지주가 형성되는 삼발이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삼발이 지지대를 이루는 각 지주는 원 테두리로 이루어진 하부 받침부과 맞닿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부의 반경은 상기 본체 받침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대의 반경, 상기 본체 받침부의 반경, 그리고 상기 숯불 구이본체의 반경의 크기 관계는, 상기 하부 받침대의 반경 > 상기 숯불 구이본체의 반경 > 상기 본체 받침부의 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체는,
    상기 본체 지지체의 수직상의 위치 중 상기 본체 받침부와 상기 하부 받침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 지지체의 수평상의 위치 중 상기 삼발이 지지대의 각 지주가 형성된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숯불찜판과 같이 원판 테두리 내부로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줄무늬 형태로 상기 숯불찜판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장비보관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체의 상부에 기름수집통이 놓이며,
    상기 기름수집통은 상기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과 연결되어 상기 기름 낙하방지 유도단을 통해 유입된 기름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숯이탈방지망의 원통형상의 반경은,
    상기 숯불 구이판의 반경(L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KR1020120099581A 2012-09-07 2012-09-07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KR20140032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581A KR20140032824A (ko) 2012-09-07 2012-09-07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581A KR20140032824A (ko) 2012-09-07 2012-09-07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824A true KR20140032824A (ko) 2014-03-17

Family

ID=5064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581A KR20140032824A (ko) 2012-09-07 2012-09-07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28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18B1 (ko) 2016-02-26 2016-07-11 정내원 H빔형 스마트 구이장치
GB2550438A (en) * 2016-05-19 2017-11-22 Wilkinson China Ltd Oven dis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18B1 (ko) 2016-02-26 2016-07-11 정내원 H빔형 스마트 구이장치
GB2550438A (en) * 2016-05-19 2017-11-22 Wilkinson China Ltd Oven di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6291B2 (en) Food cooker
CN109414137B (zh) 空气炸锅
US6782801B1 (en) Stove top barbecue
JP6577580B2 (ja) 空気ベースのフライヤのためのインサート、同インサートを有する装置
US4508024A (en) Indoor-outdoor convertible cooker
US20200029736A1 (en) Method of Cooking Utilizing a Splatter Shield
US5967135A (en) Cooking device with convection powered fan and water reservoir
US20070137634A1 (en) Pellet-fired BBQ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US9220369B1 (en) Deep fryer apparatus
KR20140032824A (ko) 기름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숯불 구이판을 포함하는 숯불 구이장치
KR20200125101A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20140000548U (ko) 야외용 숯불구이기
KR200431912Y1 (ko) 고기 구이판
US3398733A (en) Combination barbecue smoker leaf burner
JP4203896B2 (ja) ガスコンロに取付可能な串焼き装置
KR101348693B1 (ko) 석쇠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220109323A (ko) 그을음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석쇠
KR200436062Y1 (ko) 연기방지용 석쇠
KR20130106244A (ko)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KR102082579B1 (ko) 직화구이용 로스터
JP2003210332A (ja) 加熱料理用装置
KR102032593B1 (ko) 구이용 불판
KR20240016114A (ko) 맥반석돌판 겸용 고기구이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