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244A -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 Google Patents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244A
KR20130106244A KR1020120028003A KR20120028003A KR20130106244A KR 20130106244 A KR20130106244 A KR 20130106244A KR 1020120028003 A KR1020120028003 A KR 1020120028003A KR 20120028003 A KR20120028003 A KR 20120028003A KR 20130106244 A KR20130106244 A KR 20130106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late
main frame
oil
induction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우섭
Original Assignee
배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우섭 filed Critical 배우섭
Priority to KR102012002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6244A/ko
Publication of KR2013010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를 올려 구워먹을 수 있는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100)의 내부로 구이판(110)이 유도로(130)보다 높게 구성되어 숯불 내부로 기름이 떨어져 연기가 발생하지 않고, 기름이 자연스럽게 유도로(130)를 통해 배출구(140)로 배출되되 화덕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화상을 입지 않게 로스타(r)의 크기에 맞춰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양측에 지지프레임(200)을 구성하되 불판이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고정되어 기름 배출이 용이한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Rosta Inclination Grill}
본 발명은 고기를 올려놓고 구워먹을 수 있는 불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있어 화덕 위에 불판을 얹고, 다양한 사이즈의 화덕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며 기름을 화덕내부 숯불로 떨어지지 않게 구성하여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야외에 놀러가서 고기를 구워 먹을 때 불판을 화덕위에 얹어 고기를 구워 먹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기름 배출구가 없는 후라이팬 형태의 불판과 배출구가 있지만 화덕 아래로 떨어지도록 구성된 불판과 그리고 다수의 살을 격자형태로 제작한 대중화 되어있는 석쇠 등이 있으며, 열원으로는 숯불 또는 가스 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다.
상기한 불판의 경우 기름배출구가 없는 후라이팬 형태의 불판은 사용자가 키친타올, 휴지 등으로 고기를 구우면서 일일이 기름을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배출구가 있지만 화덕 내부로 숯불이 있는 곳으로 기름이 떨어져 연기가 발생하여 고기를 굽는 사람의 눈이 따가울 수가 있었으며 석쇠 같은 경우에는 재질의 특성상 고기가 잘 붙고 불을 화열로 인해 잘 탈수가 있고, 기름이 숯불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특) 10-0758290 불판과 조리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고, 조리물에서 발생하는 추출물을 용이하게 집하하는 고기구이 불판에 관한 것으로, 주변 프레임과 상기 주변 프레임과 연결되면서, 각각 제 1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주변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제 1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각각 제 2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며, 상기 제 1 공간과 대응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지지 프레임과 상기 주변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제 2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다수의 제 2 지지 프레임의 각각과 대응되어 위치하면서, 각각 제 1 공간과 대응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제 3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등록번호(실)20-0359230 황토를 이용한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 일체화된 사각의 테두리를 갖되 길이방향의 양측 테두리 상면에 지지홈을 형성한 불판프레임을 구비하며 몸체의 측부로 관통 연결공을 형성한 황토관을 다수 구비하고 상기 연결공에 연결수단을 삽입하여 황토관 조립체를 구성되게 하되 상기 연결수단의 양측단에 고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불판프레측에 상기 황토관 조립체를 결합/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황토 이용의 장점을 고기 등의 피사체에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고 사용상의 용이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즉석에서 황토관 또는 황토관 조립체의 교체 사용이 가능한 유용함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그 구성함에 있어 화열로 인해 조리물이 잘 구워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빠르고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불판이 화열로 인해 뜨거워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화상을 입을 수가 있고, 황토는 비용문제가 큰 부담이 되어 쉽게 구입하지 못하게 되며 조립/분리를 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그 구성에 있어 재료를 분실하게 되면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화덕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불판을 새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메인 프레임의 내부로 구이판이 유도로보다 높게 구성하여 기름이 자연스럽게 유도로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배출구를 프레임의 외측에 구성하되 안착 시 화덕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숯불 내부로 기름이 떨어져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화상을 입지 않게 화덕의 크기에 맞춰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의 하단부로 지지프레임을 구성하여 불판이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다양한 사이즈의 화덕 상부로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불판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창안한 것이다.
통상의 로스타의 상부에 얹혀 사용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내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구이판(110)과 유도로(130)가 형성되되 상기 유도로의 일 측에 배출구(140)가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로 양측에 구성되되 일 측에 걸림홈(211, 221)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판(110)은 다수개의 관통홈(120)이 형성되되 상기 구이판(110) 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일 측에 구성되는 제 1지지프레임(210)과 타 측에 구성되는 제 2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일 측의 양쪽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성되고, 상기 제 2지지프레임(220)은 하부 타 측의 한쪽에 하나 이상 구성되되 다른 한쪽의 모서리부분에는 구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0)에는 일 측에 각각 두 개 이상 걸림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프레임(220)에는 하나이상 걸림홈(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에 의하면,
통상의 다양한 화덕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할 수 있어 다수의 불판이 필요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특히 일 측으로 기울어지게 구성하되 상부로 돌출된 관통홈과 구이판이 유도로보다 높게 구성하여 고기에서 나오는 기름이 유도로를 통해 배출구로 흘러가게 하되 배출구를 불판 하부 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구성하여 기름이 화덕 내부로 떨어지게 함으로 숯불로 떨어지지 않아 연기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로스타(r)의 상부에 올려 사용하는 로스타용 불판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상의 로스타의 상부에 얹혀 사용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내부에 구이판(110)과 유도로(130)가 형성되되 상기 유도로의 일 측에 배출구(140)가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로 양측에 구성되되 일 측에 걸림홈(211, 221)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이판(110)은 다수개의 관통홈(120)이 형성되되 상기 구이판(110) 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일 측에 구성되는 제 1지지프레임(210)과 타 측에 구성되는 제 2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일 측의 양쪽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성되고, 상기 제 2지지프레임(220)은 하부 타 측에 하나 이상 구성되되 일 측 모서리부분에만 구성하여 안착 시 한쪽으로 기울어져 지게 안착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0)에는 일 측 단부의 양쪽에 구성하되 각각 두 개 이상 걸림홈(211)을 형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화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높이를 제 2지지 프레임보다 높게 하며, 상기 제 2 지지프레임(220)은 타 측 단부의 한쪽에 하나이상(본 출원발명에서는 하나가 적용된 것을 예로서 도시함) 걸림홈(22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7 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로스타(r) 상부에 얹혀 사용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제작하되 내부로 고기를 올려 구울 수 있는 구이판(110)이 형성되고, 상기 구이판(110)에서 고기가 구워질 때 생겨나는 기름이 흘러갈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주면을 따라 유도로(130)가 구성되고, 상기 유도로(130)를 따라 흘러가는 기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로(130)의 일 측에 배출구(140)가 형성되며, 하부의 양측 단부로 지지프레임(200)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이판(110)은 상기 유도로(130) 보다 높게 구성되어 상기 구이판(110)에서 고기가 구워질 때 기름이 숯불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유도로(130) 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로스타(r)의 상부로 도1 또는 도3,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이판(110)에 돌출된 다수개의 관통홈(120)을 형성하되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하여 열전달 및 열기가 상부로 잘 올라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름이 하부로 직하지 않고 관통홈(120)외측으로 흘러 유도로(130)로 유입되기 쉽게 구성하였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양 측 단부의 양쪽으로 구성되되, 일 측에는 제 1지지프레임(210)과 타 측에는 제 2지지프레임(220)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양쪽에 적어도 두개 이상 구성되어 지지하게 되고, 타 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 2지지프레임(220)이 한쪽으로 구성이 되어 지지토록 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의해 로스타(r)의 상부에 얹혀 졌을 때 지지프레임이 형성되지 않은 한쪽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제 2지지프레임(220)은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0)보다 높이가 낮게 구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이 로스타(r)의 상부에 얹혀 졌을 때 상기 제 2지지프레임(220)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일 측의 양쪽에 구성된 제 1지지프레임이 지지하되 타 측의 지지프레임이 구성되지 않은 쪽이 제일 낮게 위치됨으로 고기가 구워지며 자연스레 생겨나는 기름이 유도로(130) 방향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고 배출구(140)로 배출되고 기름받침대(300)로 떨어지게는 것이다.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0)에는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 다수개의 걸림홈(211)이 형성되어 다양한 화덕의 크기에 맞추어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지지프레임(220)에는 적어도 하나이상 걸림홈(220)이 형성되어 그로인해 사용자가 실수로 불판과 부딪혔을 경우에도 걸림홈(211, 221)가 로스타(r)와 견고하게 끼움 고정 되어 있어 불판이 흔들리거나 떨어지지 않게 되고, 사용자는 안전으로부터 보호 받게 되며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타(r)의 크기에 맞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로스타(r)의 상부에 끼움 고정 할 수 있어 별도로 불판을 구입하지 않고 사용 가능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용접 또는 납점 등 통상의 기술들을 사용하여 분리가 되지 않고 일체가 되도록 구성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 하였지만 사용에 따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0)을 결합형으로 구성 볼트결합 또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상기 지지프레임(20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끼움 결합하는 등 통상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연결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에 따른 사용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야외 또는 피서지에 여행을 가서 고기를 구워 먹을 때 로스타(r)를 준비하고 숯불과 불판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을 로스타(r)의 상부에 얹혀 고기를 굽게 되는데 로스타(r)의 크기에 맞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형성된 걸림홈(211, 221)를 로스타(r)에 끼움 고정한 후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에 구성된 구이판(110)위에 고기를 얹혀 굽는다. 이때, 불판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고, 상기 구이판(110) 보다 돌출되게 관통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숯불의 화열 강도가 높으면서도 고기가 잘 구워지게 되고, 고기가 구워 지면서 자연스레 발생하는 기름은 숯불의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유도로(130) 방향으로 흐르게 되며 기름은 유도로(130)를 통해 상기 유도로(130)의 일 측에 구성된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어 화덕의 외부에 구성되는 기름받침대(300)에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을 사용하게 되면 로스타(r)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얹어 끼움 고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불판과 부딪혔을 때 사고로부터 미연에 안전 방지와 비용이 절감되고, 고기가 구워지되 로스타 화덕 내부의 숯불로 기름이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연기가 발생하지 않고 기름이 불판에 남아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도로(130)를 통해 배출구(140)로 잘 배출됨에 따라 불판위에 기름이 타거나 또는 닦거나 갈아야 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발명이라 하겠다.
100 : 메인프레임 110 : 구이판 120 : 관통홈
130 : 유도로 140 : 배출구 200 : 지지프레임
210 : 제 1지지프레임 211 : 걸림홈 220 : 제 2지지프레임
221 : 걸림홈 300 : 기름받침대 r : 로스타

Claims (6)

  1. 통상의 로스타의 상부에 얹혀 사용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내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구이판(110)과 유도로(130)가 형성되되 상기 유도로(130)의 일 측에 배출구(140)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로 양측에 구성되되 일 측에 걸림홈(211, 221)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일 측에 구성되는 제 1지지프레임(210)과 타 측에 구성되는 제 2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일 측의 양쪽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성되고, 상기 제 2지지프레임(220)은 하부 타 측의 한쪽에 하나 이상 구성되되 다른 한 쪽 모서리부분에는 구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0)에는 일 측에 각각 두 개 이상 걸림홈(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프레임(220)에는 하나이상 걸림홈(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5.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10)은 다수개의 관통홈(120)이 형성되되 상기 구이판(110) 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KR1020120028003A 2012-03-19 2012-03-19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KR20130106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003A KR20130106244A (ko) 2012-03-19 2012-03-19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003A KR20130106244A (ko) 2012-03-19 2012-03-19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244A true KR20130106244A (ko) 2013-09-27

Family

ID=4945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003A KR20130106244A (ko) 2012-03-19 2012-03-19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62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9201A (zh) * 2017-03-29 2018-10-26 株式会社Kovea 易于排出油的燃烧器
KR20220084917A (ko) * 2020-12-14 2022-06-21 김상수 다용도 구이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9201A (zh) * 2017-03-29 2018-10-26 株式会社Kovea 易于排出油的燃烧器
JP2018169152A (ja) * 2017-03-29 2018-11-01 株式會社 コベア 油排出が簡単なバーナ
KR20220084917A (ko) * 2020-12-14 2022-06-21 김상수 다용도 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37647A1 (en) Multi-functional platform food preparation device
KR20060131915A (ko) 그릴 팬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KR102214329B1 (ko)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101334076B1 (ko) 유도가열 방식의 구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KR20210056750A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구이판 및 그 구이판이 구성된 구이판 어셈블리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20100108874A (ko) 화염이 직접 고기에 닿지 않는 이중 직화식 구이판
KR20130106244A (ko)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US20120216686A1 (en) Side flame stove top grill
KR200482346Y1 (ko) 고기구이 불판
KR101218026B1 (ko)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KR101187145B1 (ko) 구이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200471351Y1 (ko) 연기 발생방지 기능이 구비된 구이장치
KR20120017341A (ko) 전기 그릴
KR102322304B1 (ko) 구이용 다용도 불판
KR200370079Y1 (ko) 고기구이 및 전골요리 겸용 조리기구
CN213524877U (zh) 一种用于煤气卡式炉的烧烤器具
KR101363449B1 (ko) 초벌구이 시스템
CN105249850B (zh) 多功能便携可拆装无油烟烧烤炉
KR200359184Y1 (ko) 구이기
KR102347762B1 (ko) 직화구이 및 간접구이 겸용 구이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