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979B1 - 조작 입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조작 입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979B1
KR102666979B1 KR1020217011188A KR20217011188A KR102666979B1 KR 102666979 B1 KR102666979 B1 KR 102666979B1 KR 1020217011188 A KR1020217011188 A KR 1020217011188A KR 20217011188 A KR20217011188 A KR 20217011188A KR 102666979 B1 KR102666979 B1 KR 10266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ontrol area
screen
operation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754A (ko
Inventor
오사무 케이야
Original Assignee
슈나이더일렉트릭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나이더일렉트릭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슈나이더일렉트릭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ixing or overlaying two or more graphic patter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G09G5/39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wo or more bit-mapped memories to the screen simultaneously, e.g. for mixing or over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포인팅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영역의 표시를 표시 화면의 변화에 연동하여 제어한다. 컴퓨터 기기(1)는, 포인팅 조작을 접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위치 또는 크기를 변경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서의 포인팅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을, 애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겹쳐지며 또는 당해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와 대응지어지도록 생성하여,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변화에 연동하여 변화하도록 조작제어영역의 위치를 제어하는 영역위치제어부(6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조작 입력 제어장치
본 발명은 표시 화면에서의 위치 입력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조작 입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윈도우나, OS가 제공하는 바탕 화면(기본 화면)과 같은 표시 화면에는, 포인팅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가 나타내는 포인터로 입력영역을 지시함으로써, 이러한 입력영역에 대해 포인팅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화면에서 숫자 키 주위에 터치무효영역을 마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무효영역에 의하면, 실수로 숫자 키 구역으로부터 터치가 빗나가더라도, 그것이 터치무효영역 안이라면 데이터설정영역 내의 커서를 이동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5-325859호(1997년 12월 16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숫자 키 및 터치무효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이 고정적으로 표시되어 있어,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화면을 이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크기 변경이나 이동, 여러 조작표시장치로의 표시를 수행할 수 있는, 전술한 윈도우나 바탕 화면에 대해 터치무효영역을 연동하도록 제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위치 입력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영역의 표시를 표시 화면의 변화에 연동하여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작 입력 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위치 또는 크기를 변화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화면표시제어부와, 상기 화면 상에서의 위치 입력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을, 상기 화면 상에 겹쳐지며 또한 당해 화면과 대응지어지도록 생성하여, 대응하는 상기 화면의 변화에 연동하여 변화하도록 상기 조작제어영역의 위치를 제어하는 영역위치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위치 입력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영역의 표시를 표시 화면의 변화에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컴퓨터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컴퓨터 기기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상기 컴퓨터 기기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에서의 조작제어영역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서의 조작제어영역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서의 조작제어영역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서의 조작제어영역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서의 조작제어영역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기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컴퓨터 기기(1)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컴퓨터 기기(1)(조작 입력 제어장치)는 범용 OS(Operating System)를 실장하고 있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 기기(1)로서는 퍼스널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산업용 컴퓨터 등이 사용된다. 산업용 컴퓨터는 공장 등의 혹독한 환경에 적합하도록 방진성(防塵性), 방적성(防滴性), 내(耐)진동성 등을 높인 전용 컴퓨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기기(1)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HMI 기기로서 동작하는 동시에,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도 함께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MI 기기로서는 제어 대상의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와 같은 감시/제어 시스템 등이 해당한다. HMI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HMI 기기에서 이루어지는, 외부기기와의 통신, 당해 외부기기로부터 취득한 데이터의 표시, 입력장치를 이용한 조작자에 의한 조작의 접수 등 각종 기능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기기(1)의 계산기 자원(이하, "리소스"라 칭함)이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기기(1)의 하드웨어 자원이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특히, 후술하는 메인 메모리(12)를 리소스로서 주목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컴퓨터 기기(1)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 기기(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와, 메인 메모리(12)와, ROM(Read Only Memory; 13)와, 보조기억장치(14)와, 입력부(15)와, 표시부(16)와, 인터페이스부(17)를 구비하고 있다.
CPU(1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처리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CPU(1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메인 메모리(12), 보조기억장치(14), 입력부(15) 등에서 데이터를 받아, 당해 데이터에 대해 연산 또는 가공을 실시한 후에, 메인 메모리(12), 보조기억장치(14), 표시부(16) 등으로 출력한다.
메인 메모리(12)는 컴퓨터 기기에서의 주기억장치를 구성하는 메모리이며,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다.
ROM(13)은 컴퓨터 기기(1)의 기동시나 리셋시에 실행되는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등의, 컴퓨터 기기(1)의 동작에 필수적인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보조기억장치(14)는 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대용량의 기억장치이며, HDD(Hard Disc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성된다.
입력부(15)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에 사용되며, 터치 패널, 마우스, 키보드 등의 각종 입력기기가 구비된다.
표시부(16)는, OS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컴퓨터 기기(1)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화상 정보의 출력에 사용된다.
입력부(15) 및 표시부(16)는 컴퓨터 기기(1)에 탑재되는 기기라도 좋고, 외부기기로서 컴퓨터 기기(1)에 연결되는 기기라도 좋다. 이러한 외부기기는 다음에 설명하는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컴퓨터 기기(1)와 연결됨으로써, 컴퓨터 기기와 일체로 가동된다.
인터페이스부(17)는 외부기기를 컴퓨터 기기(1)와 통신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이며,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의 각종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온도조절계, 인버터 등의 제어기기(2)가 연결된다.
이어, 컴퓨터 기기(1)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HMI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 기기(1)를 HMI 기기로서 동작시키는 동시에, 컴퓨터 기기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 기기(1)에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하, "OS"라 칭함)(3)이 실장되는 동시에, HMI 제어부(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 기기(1)에 있어서, 전술한 입력부(15)로서 터치 패널(15a) 및 마우스(15b)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16)는 액정표시패널과 같은 컴퓨터 기기(1)에 탑재되는 부품이지만, 컴퓨터 기기(1)와는 별개로 마련되는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터치 패널(15a)은 표시부(16)의 표시면에 겹쳐 배치되어 있다.
OS(3)는 전술한 메인 메모리(12), ROM(13), 보조기억장치(14), 입력부(15), 표시부(16) 및 인터페이스부(17)의 관리 등,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며, 컴퓨터 기기(1)의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OS(3)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를 가지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는, 보조기억장치(14)에 저장(보존)되어 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기동이 지시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실행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는,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종료가 지시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실행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윈도우(화면)를 생성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활성(조작 가능)으로 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는 활성이 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표시부(16)의 표시면에서 가장 앞면에 표시시킨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화면표시제어부)는 포인팅 조작(위치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위치 또는 크기를 변화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HMI 제어부(4)는 HMI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구현되는 HMI 기능(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기능) 부분이다.
여기에서, HMI 기능이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른 제어기기(2)에 대한 지시의 발생과, 제어장치(2)로부터의 각종 데이터의 취득과, 취득한 당해 각종 데이터의 표시 및 상기 입력 조작의 접수를 수행하기 위한 HMI 화면의 표시를 포함하는 기능이다. HMI 제어부(4)는 HMI 기능으로서, 제어기기(2)와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것 외에,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각부를 제어하는 조작제어부(5)와, HMI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부(6)를 가지고 있다.
조작제어부(5)는 터치 패널(15a)에서의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위치 입력 조작(터치 조작)에 따른 조작 지시를 발생시킨다. 조작 지시로서는, 제어기기(2)의 기동/정지 지시, 제어기기(2)에 부여하는 제어 데이터의 변경,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기동 지시 등이 있다.
표시제어부(6)는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취득한 제어기기(2)의 데이터를 HMI 화면에 반영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표시제어부(6)는 HMI 화면에 있어서, 램프를 본뜬 객체(object)를 점등/소등시키거나, 수치표시기를 본뜬 객체에 수치를 표시시키거나 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표시제어부(6)는 상기 조작 지시에 따라 HMI 화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표시제어부(6)는 스위치를 본뜬 객체를 조작하는 조작 지시를 받아, 당해 객체의 표시상태(색, 형상 등)를 변화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표시제어부(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HMI 화면의 전환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표시제어부(6)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기동 제어부(61; 이후, "AP 기동 제어부"라고 칭함)와, 영역위치제어부(62)를 가지고 있다.
AP 기동 제어부(61)는 표시부(16)에 표시되어 있는 HMI 화면에 대한 조작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HMI 화면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 스위치를 본뜬 객체(이후, "기동 스위치"라고 칭함)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AP 기동 제어부(61)는 HMI 화면의 기동 스위치가 조작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에, 미리 기동 스위치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영역위치제어부(62)는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대한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기 위한 조작제어영역을 생성하고, 또한 그 표시를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변화에 연동하여 변화하도록 조작제어영역의 위치를 제어한다. 조작제어영역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겹쳐진 투명 윈도우이며, 또한 특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지어져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1) 상에는 조작제어영역(301 내지 303)이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작제어영역(301)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1) 상에 배치되며, 조작제어영역(302, 303)은 조작제어영역(301) 상에 간격을 두고 가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조작제어영역(301 내지 303)은 각각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제어영역(301 내지 303)의 배치위치, 형상 및 설정은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제어영역(301 내지 303)은 예를 들어, 표 1에 나타내는 영역설정테이블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제어영역(301 내지 303)의 왼쪽 위의 좌표 및 오른쪽 아래의 좌표가 설정된다. 터치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에 대해서는, 0 : 상시 무효 설정, 1 : 지정의 조작(길게 누르기 등)에 의해 유효와 무효를 전환하는 설정, 또는 2 : 지정의 조작(길게 누르기 등)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유효와 무효를 전환하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활성 설정은 조작제어영역(301 내지 303)에, 0 :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활성되지 않는 설정, 및 1 : 조작이 이루어지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활성되는 설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룹 번호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조작제어영역을 특정하는 설정이다.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조작제어영역에 대해서는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명 Sample App
조작제어영역(301) 왼쪽 위 좌표 50,200
오른쪽 아래 좌표 600,450
유효/무효 설정 0
활성 설정 0
그룹 번호 0
조작제어영역(302) 왼쪽 위 좌표 150,300
오른쪽 아래 좌표 280,340
유효/무효 설정 1
활성 설정 0
그룹 번호 1
조작제어영역(303) 왼쪽 위 좌표 400,280
오른쪽 아래 좌표 500,350
유효/무효 설정 2
활성 설정 1
그룹 번호 1
그런데, 영역위치제어부(62)는 표시제어부(6)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역위치제어부(62)의 기능을, 상주 감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 기기(1)의 조작제어영역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윈도우에 대한 조작의 제어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2)에서의 조작제어영역(304, 305)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에서의 조작제어영역(306)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표시제어부(6)는 보조기억장치(14)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부(16)에 HMI 화면(미도시)을 표시시킨다. HMI 화면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기동 스위치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명이 설정되어 있고, 영역설정테이블의 배치 정보는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명으로 관련지어져 있다.
이 기동 스위치가 터치조작되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 지시를 생성하여, AP 기동 제어부(61)에 제공한다. AP 기동 제어부(61)는 그 기동 지시를 받아, 영역설정테이블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명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AP 기동 제어부(6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에 의해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표시 데이터를 영역위치제어부(62)에 전달한다. 영역위치제어부(62)는 보조기억장치(14)에 저장되어 있는 영역설정테이블을 참조하여, 조작제어영역의 좌표값(왼쪽 위 좌표 및 오른쪽 아래 좌표)을 포함하는 설정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영역위치제어부(62)는 취득한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표시 데이터(윈도우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제어영역이 애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의 소정 위치에 겹쳐진 합성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 표시부(16)는 그 합성 표시 데이터에 의해, 베이스가 되는 화면인 바탕 화면 상에, 조작제어영역이 겹쳐진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2)가 바탕 화면(101) 상에 표시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2) 상에는 조작제어영역(304, 305)이 겹쳐 표시된다. 조작제어영역(304)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2)에 대한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영역이다. 조작제어영역(305)은 조작제어영역(304) 내에 마련되어 있어,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2)에 대한 터치 조작을 유효로 하는 영역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가 바탕 화면(101) 상에 표시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 상에는 조작제어영역(306)이 겹쳐 표시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가 이동되면, 영역위치제어부(62)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의 이동 후의 좌표값(예를 들어 왼쪽 위의 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로부터 취득한다. 영역위치제어부(62)는 이동 전에 윈도우 표시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의 좌표값과, 이동 후에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의 좌표값과의 차이를 산출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의 이동거리를 얻는다.
또한, 영역위치제어부(62)는 영역설정테이블에서의 조작제어영역(306)의 좌표값에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이동거리를 가산하여, 조작제어영역(306)의 이동 후의 좌표값을 산출하고, 영역설정테이블의 좌표값을 산출한 좌표값으로 업데이트한다. 또한, 영역위치제어부(62)는 이동 후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조작제어영역(306)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로부터 취득한 이동 후의 윈도우 표시 데이터와 합성함으로써 합성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 표시부(16)는 합성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 후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에 연동하여 이동한 조작제어영역(306)을, 이동 전과 동일한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에 겹쳐지도록 표시한다.
애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는 경우(축소 또는 확대하는 경우), 영역위치제어부(62)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의 크기 변경 후의 대각선 길이(예를 들어 왼쪽 위의 좌표값과 오른쪽 아래의 좌표값과의 차이)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로부터 취득한다. 영역위치제어부(62)는 크기 변경 전에 윈도우 표시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대각선 길이와, 크기 변경 후에 취득한 상기의 대각선 길이와의 비를 산출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크기 변경률을 얻는다.
또한, 영역위치제어부(62)는 영역설정테이블의 좌표값으로 규정할 수 있는 조작제어영역의 대각선 길이(예를 들어 왼쪽 위의 좌표와 오른쪽 아래의 좌표와의 차이)에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크기 변경률을 곱하여, 조작제어영역(306)의 크기 변경 후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영역위치제어부(62)는 영역설정테이블의 좌표값을 산출한 좌표값으로 업데이트한다. 또한, 영역위치제어부(62)는 크기 변경 후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조작제어영역(306)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당해 표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로부터 취득한 크기 변경 후의 윈도우 표시 데이터와 합성함으로써, 합성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 표시부(16)는 합성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 후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3)에 연동하여 크기 변경한 조작제어영역을 크기 변경 전과 동일한 위치관계를 유지한 채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겹치도록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기기(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기동 제어부(61)와, 영역위치제어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마다 복수의 조작제어영역을 겹침으로써, 포인팅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복잡한 입력영역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이동 또는 크기 변경에 맞춰 조작제어영역을 이동시키거나 크기 변경함으로써, 이동 후 또는 크기 변경 후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겹쳐 조작제어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HMI 제어부(4)는 HMI 제어부(4)의 기능을 구현하는 HMI 프로그램의 규모를 고려하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브라우저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표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지해야만 한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로서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조작제어영역을 마련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대한 조작 범위를 필요 최소한으로 좁혀 HMI 화면과 관련지을 수 있다. 이로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능을 HMI 기능의 일부로서 이용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따라서, HMI 제어부(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의 일체감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조작(핀치 인, 핀치 아웃, 스와이프 등)에 대해서는, 유효하게 설정된 조작제어영역(유효영역)으로부터 조작이 시작될 경우, 유효영역에서 조작이 종료될 경우 등, 설정에 의해 그 조작을 유효로 하거나 무효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조작제어영역에 대해, 터치 조작에 관해서는 무효로 설정되어 있어도, 제스처 조작을 유효로 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PDF 뷰어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있어서, 문서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스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스크롤 바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제어영역에 겹치는 화면을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조작제어영역에 겹치는 화면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한정되지 않고, 바탕 화면일 수도 있다. 바탕 화면에서 터치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의 대상이 되는 부분으로서는 아이콘을 들 수 있다. 이는, 이후에 설명하는 실시예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인팅 조작으로서 터치 패널(15a)에 대한 터치 조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포인팅 조작의 대상이 되는 것은 터치 패널(15a)에 한정되지 않고, 마우스(15b)이어도 좋다. 또한, 이후에 설명하는 실시예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도 2,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4, 205)에서의 조작제어영역(307, 308)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4 내지 206)에서의 조작제어영역(308, 309)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4, 205)가 바탕 화면(101) 상에 표시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4, 205) 상에는 각각 조작제어영역(307, 308)이 겹쳐 표시된다.
이 상태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4)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5)의 뒤로 이동되어 완전히 숨으면, 영역위치제어부(62)는 조작제어영역(307)을 삭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역위치제어부(6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로부터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4, 205)의 윈도우 표시 데이터에 조작제어영역(308)의 표시 데이터만을 부가한 상태로 표시부(16)에 제공한다. 표시부(16)는 당해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제어영역(308)이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5) 상에 겹쳐진 화상만을 표시한다.
이로써, 메모리 리소스의 이용이 삭감되는 동시에, CPU(11)에 의한 조작제어영역(307)의 감시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CPU(11)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대응지어진 조작제어영역이 당해 화면 내에 위치하는 다른 조작제어영역에 완전히 숨은 경우에도, 영역위치제어부(62)는 조작제어영역을 삭제한다. 영역위치제어부(62)는 이 경우 및 전술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해 조작제어영역을 생성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표시제어부(6)는, 입력부(15)로부터 조작제어부(5)을 통해 취득한 포인팅 위치가, 맨 앞면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로부터 맨 뒷면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또는 바탕 화면) 중 어느 표시 범위에 있는지를, 각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맨 앞면으로부터의 배치 순서에 따라 판단한다. 그리고, 포인팅 위치가 표시 범위에 있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영역설정테이블의 설정에 따라,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가 결정된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예에 있어,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6)가 바탕 화면(101) 위에 표시되며,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6) 위에 조작제어영역(309)이 겹쳐 표시된다.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6) 및 조작제어영역(309)의 일부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5) 뒤에 숨어 있다. 그러나, 조작제어영역(309)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5)로부터 노출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와 같이 포인팅 위치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6)의 표시 범위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로써,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5)의 뒤에 완전히 숨어 있는 조작제어영역(307)과는 달리 삭제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제어영역(309)에 전술한 활성이 되는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 조작제어영역(309)의 노출 부분이 터치조작되면,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6)가 활성으로 전환된다. 이 전환에 있어, 영역위치제어부(62)는 조작제어부(5)로부터의 조작제어영역(309)에 대한 터치검출데이터를 받으면, 영역설정테이블에서의 활성 설정이 "1"인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영역위치제어부(6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에,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6)를 생성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활성으로 하도록 지시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는, 이 지시를 받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활성으로 한다. 그러면, 영역위치제어부(62)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6)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5) 뒤에 숨어 있던 윈도우 표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영역위치제어부(62)는 조작제어영역(309)의 숨어 있던 부분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취득한 윈도우 표시 데이터와 합성함으로써 합성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 결과, 표시부(16)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206)를 맨 앞면 위치에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위치제어부(62)가, 조작제어영역에 활성이 되는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 당해 조작제어영역에 조작 무효가 설정되어 있어도,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지 않고,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활성으로 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로써, 다른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일부가 숨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조작제어영역의 유효 또는 무효의 설정에 상관없이, 가장 앞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다른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조작제어영역이 모두 무효 설정인 경우, 통상적으로는 당해 조작제어영역을 터치하여도, 당해 조작제어영역이 겹치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는 가장 앞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활성 설정은,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가장 앞면에 표시시키는 동작만을 유효로 하는 설정이라 할 수 있다.
[변형예]
실시예 1 및 2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 기기(1)는 LAN을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연결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는 클론 디스플레이 및 확장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다. 클론 디스플레이는 컴퓨터 기기(1)의 표시부(16)에 표시되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을 표시한다. 확장 디스플레이는 컴퓨터 기기(1)의 표시부(16)에 표시되는 화상과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클론 디스플레이에는, 표시부(16)에 표시된 화상과 동일하게, 애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조작제어영역을 마련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확장 디스플레이에는, 표시부(16)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와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다른 조작제어영역을 마련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간이적인 인터록과 같은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영역위치제어부(62)는, 바탕 화면에서의 시작 메뉴에 대한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이나, 바탕 화면에서의 작업 표시줄(Task Bar)의 특정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영역위치제어부(62)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제목 표시줄(Title Bar)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버튼만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로써, 바탕 화면 상으로부터의 불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을 제한하거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부주의한 종료를 금지하거나 할 수 있다.
컴퓨터 기기(1)는, 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경우, 감시 대상이 되는 장치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일람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표시할 때,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조작을 제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역위치제어부(62)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스크롤하는 조작만을 유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 기기(1)는, HMI 화면에 겹치도록,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는 PDF 뷰어, 도표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프로그램, 래더 모니터 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다. 래더 모니터 프로그램은 PLC의 래더 프로그램의 실행 상황을 감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로써,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조작에 대해 제한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기기(1)가 산업용으로 특화된 기종(방진, 흔들림 방지, 방수 등에 대응한 기종)인 경우, FA(Factory Automation)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의 조합에 의해, 독자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컴퓨터 기기(1)는 어떤 설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때, 설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배후에 표시되어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대한 조작을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역위치제어부(62)는, 설정이 종료할 때까지 동안, 다른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로써,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는데 다른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태블릿, 휴대용 PC 등)인 컴퓨터 기기(1)에 대해서도,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대한 입력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 입력을 접수하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표시하고 있을 때, 영역위치제어부(62)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펜 입력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로써, 펜을 든 손이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펜 입력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닿아도, 입력 조작으로서 접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작제어영역은 사용자의 권한 수준에 따라 포인팅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가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영역위치제어부(62)는 조작제어영역의 설정에 기초하여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유효 또는 무효를 제어한다.
이로써, 컴퓨터 기기(1)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권한 수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조작가능여부 내용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높은 권한 수준을 가진 사용자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모든 영역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의 권한 수준이 낮을수록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서의 조작 무효 영역을 많게 한다는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설정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정에 기초하여, 사용자마다 조작을 무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을 관리할 수도 있고, 조작제어영역마다 조작이 무효가 되는 사용자를 관리할 수도 있다.
조작제어영역에는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포인팅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유효 무효 동작과 다른 동작이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HMI 제어부(4; 동작실행부)는 조작제어영역에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로써, 포인팅 조작에 따라, 소리 출력, 메시지 출력, 조작 로그(대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조작한 사용자, 조작 시각 등)의 기록 등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들 동작은 어느 하나만이 수행될 수도 있고, 몇 개가 조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조작제어영역은 조작제어영역마다 포인팅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가 판별가능한 시각적 효과가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영역위치제어부(62)는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포인팅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에 따라, 설정된 시각적 효과를 조작제어영역에 생기게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포인팅 조작이 유효 또는 무효인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고지할 수 있다.
조작제어영역은 포인팅 조작과 다른 이벤트에 대한 시각적 효과가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영역위치제어부(62)는 당해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설정된 시각적 효과를 조작제어영역에 생기게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포인팅 조작 이외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당해 조작제어영역에 이벤트와 관련지어진 시각적 효과가 생긴다. 이에, 알람 등 사용자에게 고지할 만한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빨간색과 같은 경고색, 메시지 등의 시각적 효과에 의해 용이하게 고지할 수 있다.
영역위치제어부(62)는, 제스처(핀치 인, 핀치 아웃, 스와이프 등) 조작에 의해 조작제어영역의 크기 변경이나 이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조작제어영역의 크기 변경이나 이동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조작제한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조작제한효과를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권한 수준에 따라 터치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를 설정하면 된다.
HMI 화면에서의 기동 스위치에 대한 조작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할 경우, 영역설정테이블에서의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유효 또는 무효 설정을 적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써, 외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유효 또는 무효 설정의 적용 필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영역위치제어부(62)는 위치 입력 조작 중, 터치 패널(15a)에 의한 조작(터치 조작)과, 마우스(15b)에 의한 조작(마우스 조작)을 구별하여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를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역위치제어부(62)는, 조작제어부(5)가 터치 패널(15a) 및 마우스(15b) 중 어느 것에 의한 조작인지를 판별한 결과를 받아, 터치 패널(15a)에 의한 조작과 마우스(15b)에 의한 조작을 구별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터치 패널(15a)에 의한 조작에 대해서는, 유효 또는 무효를 설정에 따라 제어하는 한편, 마우스(15b)에 의한 조작에 대해서는 모두 유효로 할 수 있다.
[실시예의 총괄]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작 입력 제어장치(컴퓨터 기기(1))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위치 또는 크기를 변경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화면표시제어부(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31))와, 상기 화면 상에서의 위치 입력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을, 상기 화면 상에 겹쳐지며 또한 당해 화면과 대응되어지도록 생성하여, 대응하는 상기 화면의 변화에 연동하여 변화하도록 상기 조작제어영역의 위치를 제어하는 영역위치제어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화면 상에 겹쳐진 조작제어영역이, 가장 앞면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 화면에 대한 위치 입력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한다. 또한, 화면의 크기나 이동에 의해 화면이 변화하면, 조작제어영역도 그 변화에 연동하여 변화한다.
상기 조작 입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역위치제어부(62)는 상기 화면에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상기 조작제어영역이 당해 화면에 완전히 숨은 경우, 및 상기 화면에 대응지어진 상기 조작제어영역이 당해 화면 내에 위치하는 다른 조작제어영역에 완전히 숨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해 상기 조작제어영역을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조작제어영역을 생성하고, 또한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리소스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입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제어영역은 투명한 윈도우이며, 위치 입력 조작의 유효, 무효 또는 유효와 무효의 전환의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의식시키지 않고 조작제어영역을 마련할 수있다.
상기 조작 입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역위치제어부(62)는, 상기 조작제어영역이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상기 화면에 일부를 노출하여 숨어 있는 상태에서, 당해 조작제어영역의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위치 입력 조작되면, 설정에 따라, 당해 조작제어영역이 대응지어진 상기 화면을 가장 앞면에 나타나도록 당해 화면의 표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가장 앞면에 표시되는 화면의 뒤에 있는 다른 화면에 대응지어진 조작제어영역을 포인팅 조작함으로써, 설정에 따라 다른 화면을 가장 앞면에 표시시켜 활성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이 없는 경우, 포인팅 조작하여도, 다른 화면을 가장 앞면에 표시시킬 수는 없다.
상기 조작 입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제어영역은 사용자의 권한 수준에 따라 위치 입력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가 설정되어 있어, 상기 영역위치제어부(62)는, 상기 조작제어영역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유효 또는 무효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의 권한 수준에 따라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가 제어된다. 이로써,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를 적절히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입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제어영역은 상기 조작제어영역마다 위치 입력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가 판별가능한 시각적 효과가 설정되어 있어, 상기 영역위치제어부(62)는 상기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위치 입력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에 따라, 설정된 상기 시각적 효과를 상기 조작제어영역에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포인팅 조작이 유효 또는 무효인지를 시각적 효과에 의해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입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역위치제어부(62)는 위치 입력 조작 중 터치 조작과 마우스 조작을 구별하여 상기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터치 조작에 대해서는 유효 또는 무효를 설정에 따라 제어하는 한편, 마우스 조작에 대해서는 모두 유효로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예]
컴퓨터 기기(1)의 제어 블록(특히 HMI 제어부(4))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된다.
컴퓨터 기기(1)는 각 기능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한다. 컴퓨터 기기(1)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11))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 기기(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등 외, 테이프, 디스크, 카드, 반도체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논리 회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12)는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당해 프로그램을 전송가능한 임의의 전송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상기 컴퓨터에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 프로그램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포함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부기 사항]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예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컴퓨터 기기(조작 입력 제어장치)
4 : HMI 제어부(동작 실행부)
31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처리부(화면 표시 제어부)
62 : 영역위치제어부
201 내지 206 : 애플리케이션 윈도우(화면)
301 내지 309 : 조작제어영역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위치 또는 크기를 변화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화면표시제어부와,
    상기 화면 상에서의 위치 입력 조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조작제어영역을, 상기 화면 상에 겹쳐지며 또한 당해 화면과 대응지어지도록 윈도우로서 생성하여, 대응하는 상기 화면의 변화에 연동하여 변화하도록, 상기 화면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변화한 상기 화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제어영역의 좌표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조작제어영역의 위치를 제어하는 영역위치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제어영역은 투명한 윈도우이며, 위치 입력 조작의 유효, 무효 또는 유효와 무효의 전환의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위치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상기 조작제어영역이 당해 화면에 완전히 숨은 경우, 및 상기 화면에 대응지어진 상기 조작제어영역이 당해 화면 내에 위치하는 다른 조작제어영역에 완전히 숨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해 상기 조작제어영역을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제어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위치제어부는, 상기 조작제어영역이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상기 화면에 일부를 노출하여 숨어 있는 상태에서, 당해 조작제어영역의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위치 입력 조작되면, 설정에 따라, 당해 조작제어영역이 대응지어진 상기 화면을 가장 앞면에 나타나도록 당해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제어영역은 사용자의 권한 수준에 따라 위치 입력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영역위치제어부는 상기 조작제어영역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유효 또는 무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제어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제어영역은 상기 조작제어영역마다 위치 입력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가 판별가능한 시각적 효과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영역위치제어부는 상기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위치 입력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에 따라, 설정된 상기 시각적 효과를 상기 조작제어영역에 생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제어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위치제어부는, 위치 입력 조작 중 터치 조작과 마우스 조작을 구별하여 상기 조작제어영역에 대한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제어장치.
KR1020217011188A 2018-09-26 2019-06-17 조작 입력 제어장치 KR102666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80833 2018-09-26
JP2018180833A JP7244242B2 (ja) 2018-09-26 2018-09-26 操作入力制御装置
PCT/JP2019/023926 WO2020066156A1 (ja) 2018-09-26 2019-06-17 操作入力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754A KR20210059754A (ko) 2021-05-25
KR102666979B1 true KR102666979B1 (ko) 2024-05-16

Family

ID=6995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188A KR102666979B1 (ko) 2018-09-26 2019-06-17 조작 입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56417B2 (ko)
EP (1) EP3876084B1 (ko)
JP (1) JP7244242B2 (ko)
KR (1) KR102666979B1 (ko)
CN (1) CN112771488A (ko)
WO (1) WO202006615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6247A (ja) 2014-09-25 2016-04-28 株式会社Socket ウェブページ上での操作制御装置および操作制御用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647A (ja) * 1994-02-09 1995-08-22 Mitsubishi Electric Corp 入力装置
JPH07325859A (ja) 1994-06-02 1995-12-12 Honda Motor Co Ltd 工数情報の経歴管理方法
JPH09325859A (ja) 1996-06-05 1997-12-16 Fuji Electric Co Ltd 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4331272B2 (ja) * 1996-12-05 2009-09-16 株式会社東芝 マルチウインドウ表示制御装置
JPH11237978A (ja) * 1998-02-20 1999-08-31 Sharp Corp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作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2000207092A (ja) * 1999-01-19 2000-07-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誤操作防止方法及び装置、誤操作の防止のためのソフトウエア・プロダクト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02023905A (ja) * 2000-07-03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対話式シーンのユーザアクションを不変変換処理する方法と装置
JP3999578B2 (ja) * 2002-06-17 2007-10-3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機能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JP4005623B2 (ja) * 2004-05-06 2007-11-07 隆敏 柳瀬 ウィンドウ表示システム、ウィンドウ表示方法、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及びサーバ装置
US9947016B2 (en) * 2007-07-18 2018-04-17 Excalibur Ip, Llc Techniques for improving user engagement with advertisements
JP5626891B2 (ja) * 2011-01-14 2014-11-19 株式会社プロフィールド 電子ブック処理装置、電子ブック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09537B2 (en) * 2012-10-12 2019-12-17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636665B1 (ko) * 2013-05-27 2016-07-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그 화면 조작 처리 프로그램
JPWO2017085983A1 (ja) * 2015-11-17 2018-09-13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69240B2 (ja) * 2016-11-01 2020-10-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411283B1 (ko) * 2017-08-23 202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검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6247A (ja) 2014-09-25 2016-04-28 株式会社Socket ウェブページ上での操作制御装置および操作制御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52680A (ja) 2020-04-02
WO2020066156A1 (ja) 2020-04-02
EP3876084A1 (en) 2021-09-08
CN112771488A (zh) 2021-05-07
EP3876084A4 (en) 2021-11-03
US20210397340A1 (en) 2021-12-23
KR20210059754A (ko) 2021-05-25
EP3876084B1 (en) 2023-07-26
JP7244242B2 (ja) 2023-03-22
US11256417B2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165B1 (ko)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040104942A1 (en) Display and operating device, in particular a touch panel
JP2015519671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誤操作防止方法、タッチスクリーン、移動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060301A (ja) 改善された移動体通信端末及び方法
JP5449630B1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およびその画面操作処理プログラム
CN106354373B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CN107506130B (zh) 一种文字删除方法及移动终端
JP2007226406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JPH06202776A (ja) 入力装置への圧力の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334548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で使用されるウィンドウサイズ制御方法
CN107562262B (zh) 一种响应触控操作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650635A (zh) 终端设备控制远端显示的方法及其终端设备
JP5995206B2 (ja) 情報処理装置
CN111796746B (zh) 音量调节方法、音量调节装置和电子设备
KR102666979B1 (ko) 조작 입력 제어장치
JP6130583B1 (ja) 仮想空間内のオブジェクトを制御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TW201317881A (zh) 使用觸控模組編輯螢幕顯示選單的方法
US10137373B2 (e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9223532A (ja) アイコンインタフェースの操作制御方法
JP5767378B1 (ja) 仮想空間内のオブジェクトを制御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CN107423016B (zh) 一种锁屏图片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
JPH04175979A (ja) 図形処理装置
JP6130550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23395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7199900A (ja) ウィンド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