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122B1 -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122B1
KR102662122B1 KR1020160067944A KR20160067944A KR102662122B1 KR 102662122 B1 KR102662122 B1 KR 102662122B1 KR 1020160067944 A KR1020160067944 A KR 1020160067944A KR 20160067944 A KR20160067944 A KR 20160067944A KR 102662122 B1 KR102662122 B1 KR 10266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arbon atoms
group
compositio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189A (ko
Inventor
노효정
김지현
김승진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160067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122B1/ko
Priority to CN201710402064.8A priority patent/CN107446452B/zh
Priority to US15/609,471 priority patent/US10539874B2/en
Priority to TW106118098A priority patent/TWI746565B/zh
Publication of KR20170136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03F7/0382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the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present in a chemically amplified negative photoresist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09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characterised by antireflection means or light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e.g. anti-halation, contrast enhan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05D3/0272After-treatment with ov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16/36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 ketonic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28Polyamin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75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G18/7893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having three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6Intercrosslinking of at least two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8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or agents facilitating spreading, e.g. tensio-active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16Coating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G03F7/168Finishing the coated layer, e.g. drying, baking, soa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0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 G03F7/32Liquid compositions therefor, e.g. developers
    • G03F7/325Non-aqueous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12Polyurethanes from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active hydrogen,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n isocyanat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고굴절률 및 고식각비를 가지면서, 포토레지스트와의 접착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언더 컷 등의 패턴 프로파일이 개선된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부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고분자; 및 상기 성분들을 용해시키는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6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R"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8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부분은 R'를 통하여 2개 이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CH3)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 또는 0 내지 2 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이며, R3은 0 내지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R4는 0 내지 3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15의 아릴기이며, x, y 및 z는 상기 고분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반복단위의 몰%로서, x는 20 내지 80 몰%, y는 1 내지 30 몰% 및 z는 10 내지 50 몰%이다.

Description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forming organic anti-reflective coating layer suitable for negative tone development}
본 발명은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굴절률 및 고식각비를 가지면서, 포토레지스트와의 접착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언더 컷 등의 패턴 프로파일이 개선된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포토리쏘그래피 공정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한계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파장이 짧은 ArF(193nm) 엑사이머 레이저 등이 노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노광원의 파장이 짧아지면, 반도체 기판의 피식각층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에 의한 광 간섭 효과가 증대되고, 언더컷팅(undercutting), 노칭(notching) 등에 의하여 패턴 프로파일이 불량해지거나, 크기 균일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식각층과 포토레지스트막 사이에 노광광(반사광)을 흡수하기 위한 반사방지막(bottom anti-reflective coatings: BARCs)이 통상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반사방지막은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티탄, 이산화티탄, 질화티탄, 산화크롬, 탄소, 비정질(amorphous) 실리콘 등의 무기 반사방지막과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반사방지막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유기 반사방지막은, 무기 반사방지막과 비교하여, 막 형성을 위한 진공증발장치,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장치, 스퍼터(sputter) 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방사선에 대한 흡수성이 우수하며, 가열, 코팅, 건조되는 동안 저분자량의 물질이 유기 반사방지막으로부터 포토레지스트막으로 확산되지 않으며, 포토레지스트에 대한 건식 식각 공정에서 에칭률(etch rate, 식각률)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으로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크게 포지티브 톤 현상 공정(Positive Tone Development, PTD) 및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Negative Tone Development, NTD)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포지티브 톤 현상 공정은 포토레지스트막의 노광 영역을 포지티브 톤 현상액으로 선택적으로 용해 및 제거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며, 상기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은 포토레지스트막의 비노광 영역을 네거티브 톤 현상액으로 선택적으로 용해 및 제거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차세대 EUV, DSA 등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 공정 개발의 지연으로 현 노광 장비를 이용하여 알칼리 현상액을 유기 현상액으로 변경하여 PTD 공정 대비 미세 패턴 형성이 가능하여, 기존 장비에서 현상액만을 변경하여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장비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공개특허 10-2011-0028763호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용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6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이고, R2는 0 내지 15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이다.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은 고온에서 안정성 및 에칭률이 우수하고 고굴절률을 갖는 것으로서, 포지티브 톤 현상 공정(Positive Tone Development, PTD)에 사용할 경우, 반사율(reflectivity)을 제어(control)함으로서, 패턴 프로파일(pattern profile)을 교정하여, 수직(vertical)의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정 마진(process margin)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사용할 경우, 포토레지스트 하부(PR bottom) 부분에 언더-컷(under-cut)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 터널링(tunneling)이 일어나며, 포토레지스트와의 접착력(adhesion)이 좋지 않아 공정 마진이 부족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액침 공정(immersion process)에서 요구하는 높은 굴절률(high refractive index)를 유지함으로서, 반사율을 제어하고, 높은 식각비(high etch rate)를 가지면서도, 포토레지스트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공정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굴절률 및 높은 식각비를 가지면서, 포토레지스트와의 접착력이 강화된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언터컷 등의 패턴의 프로파일을 개선할 수 있는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부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고분자; 및 상기 성분들을 용해시키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6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R"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8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부분은 R'를 통하여 2개 이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CH3)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 또는 0 내지 2 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이며, R3은 0 내지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R4는 0 내지 3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15의 아릴기이며, x, y 및 z는 상기 고분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반복단위의 몰%로서, x는 20 내지 80 몰%, y는 1 내지 30 몰% 및 z는 10 내지 50 몰%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피식각층 상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반사방지막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은 질소(N), 황(S) 및 산소(O)를 포함하여, 193nm 단파장의 빛에서도 고굴절률(high refractive index)를 가지며, 탄소-산소 결합(C-O bond)을 포함함으로써, 에칭률(etch rate)이 우수한 유기 반사방지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디프로텍팅 그룹(deprotecting group)을 포함함으로써, 노광부의 친수성을 조절하여 포토레지스트와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광산발생제를 포함함으로써, 노광부의 포토레지스트 하부 부분의 부족한 산(acid)을 공급하여, 언더컷 등 패턴의 프로파일을 개선하여 수직인 패턴의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네거티브 톤 현상액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리쏘그래피 공정에 유기 반사방지막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기존 노광장비를 사용하여 포지티브 톤 현상 공정보다, 미세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이다.
도 1은 통상적으로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형성한 유기 반사방지막의 리쏘그래피 테스트 결과(a) 및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반사방지막의 리쏘그래피 테스트 결과(b).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은 고굴절률 및 고식각비를 가지고, 언더 컷 등의 프로파일을 개선하여, 공정 마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고분자(접착력 강화 고분자)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은 황, 질소, 산소 등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여 193 nm 단파장의 빛에서도 고굴절률을 가지고, 탄소-산소 결합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에칭률을 갖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6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 구체적으로는 0 내지 3개의 질소(N) 및/또는 산소(O)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8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R"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8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R'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 구체적으로는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이고, R"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 개의 헤테로 원자, 구체적으로는 산소 및/또는 황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0 내지 2 개의 헤테로 원자, 구체적으로는 산소 및/또는 황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4 내지 10,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5 내지 6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시클릭기이다.
상기 R'의 구체적은 예로는, , , , , , , , , , , , , , , , , , , (여기서, 굴곡선()은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R"의 구체적인 예로는, , , , , , , (여기서, 굴곡선()은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의 결합부위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R'에, 둘 이상의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중 R'을 제외한 나머지가 연결될 수 있으며(예를 들면,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이 둘 이상일 경우, 하나의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내의 R'와 다른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내의 다른 위치에 있는 R'가 결합되는 등) 그에 따라,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은 고분자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은 결합 부위가 둘 이상인 R'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고분자 형태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거나,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 과정에서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어 고분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 때,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2,000 내지 10,000, 구체적으로는 4,000 내지 8,000이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유기 반사방지막이 포토레지스트 용매에 의해 용해될 수 있고, 너무 크면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지고, 건식 식각 공정에서 유기 반사방지막의 식각률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2a 내지 2h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상기 고분자는 노광부의 친수성(hydrophilicity)을 조절하여 포토레지스트와의 접착력을 강화시켜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무너지는(collapse)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된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CH3)이고, R2는 가교점(cross-linking site)으로서, 히드록시기(-OH) 또는 0 내지 2 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이며, R3은 탈보호 그룹(deprotecting group)으로서, 0 내지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탄소 화합물)이고, R4는 빛을 흡수(흡광)하는 발색단(chromophore, 원자단)으로서, 0 내지 3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15의 아릴기이다.
구체적으로는, R2는 0 내지 2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예를 들면, -OCH3, -OCH2CH2OH 등)이고, R3은 0 내지 2 개, 구체적으로는 0 내지 1 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기, 1 내지 2 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12의 헤테로시클릭기,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1 내지 2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4 내지 8의 헤테로시클릭기 또는 0 내기 2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0 내지 12의 아다만틸기(예를 들면, , , , , , , 등)이고, R4는 0 내지 2 개의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구체적으로는 히드록시기 또는 0 내지 2개의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예를 들면, , , , , 등)이다.
상기 화학식 3에서, x, y 및 z는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구성하는 전체 반복단위에 대한 각각의 반복단위의 몰%로서, x는 20 내지 80몰%,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70 몰%, 더욱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60 몰%이고, y는 1 내지 30 몰%, 구체적으로는 5 내지 25 몰%, 더욱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20 몰%이며, z는 10 내지 50몰%,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45 몰%, 더욱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 몰%이다. 여기서, 상기 x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시 용매에 녹을 수 있고, 상기 y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패턴에 대한 접착력이 저하되어 패턴이 다 쓰러질 수 있으며, 함량이 너무 많으면, 풋팅성 프로파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z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반사된 빛을 흡수하지 못하여 언더 컷 등의 패턴 프로파일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성 강화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 내지 10,000, 구체적으로는 5,000 내지 8,000이다. 상기 접착성 강화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유기반가방지막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너무 크면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접착성 강화 고분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3a 내지 3g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3a 내지 3g에서 x, y 및 z는 상기 화학식 3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3a]
[화학식 3b]
[화학식 3c]
[화학식 3d]
[화학식 3e]
[화학식 3f]
[화학식 3g]
상기 유기 용매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시클로펜타논(cyclopentanone), 부티로락톤(butyrolactone),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N-메틸피롤리돈(N-methyl pyrrolidone: NMP), 테트라히드로퍼퓨랄알코올(tetrahydrofurfural alcohol),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GM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GMEA), 에틸락테이트(ethyllactate) 및 이들의 혼합물 등,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PGME), 사이클로펜타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 중량%이고, 고분자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1 중량%이며, 용매는 85 내지 98.9 중량%, 구체적으로는 92.1 내지 98.87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95.3 내지 98.3 중량%이다.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굴절률 및 식각비가 낮아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포토레지스트와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패턴 프로파일에 언더-컷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함량비율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 1 내지 6, 더욱 구체적으로는 1: 2 내지 5이며, 예를 들면, (a) 고분자의 함량이 0.3 중량% 이하일 때,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7 중량% 이상이고, (b) 고분자의 함량이 0.9 중량%이상일 때,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10 중량% 이하이다. 상기 고분자 및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 비율이 상기 (a)의 범위를 벗어나면, PR과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붕괴(collapse)가 발생되어 공정 수율(margin)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b)의 범위를 벗어나면, 반사율이 높아져, 노광된 빛을 흡수하지 못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언더컷(under-cut) 또는 푸팅(footing), 정재파(standing-wave) 등의 PR 패턴이 형성되어 공정 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은, 가교제 및 산발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을 가교시켜 고분자를 형성하고, 유기 반사방지막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멜라민(melamine)계열 가교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발생제는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가교 반응을 촉진시키고, 포토레지스트의 하부 부분에 산(acid)를 공급하여 언더-컷 등의 패턴 프로파일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산발생제(광산 발생제(PAG) 및/또는 열산발생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설포늄염계 화합물, 아이오도늄염계 화합물, 오니움염계 화합물, 유기 술폰산,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데실벤젠술폰산(dodecylbenzensulfonic acid), 파라톨루엔술폰산(paratoluenesulfonic acid), 프탈이미도트리플루오로 메탄술포네이트(phthalimidotrifluoro methane sulfonate), 디니트로벤질토실레이트(dinitrobenzyltosylate), n-데실 디술폰(n-decyl disulfone), 나프틸이미도트리플루오로 메탄술포네이트(naphthylimidotrifluoro methanesulfonate), 디페닐요도염 트리플레이트, 디페 닐요도염 노나플레이트, 디페닐요도염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도염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디페닐요도염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페닐파라메톡시페닐설포늄 트리플레이트, 디페닐파라톨루에닐설포늄 트리플레이트, 디페닐파라터셔리부틸페닐설포늄 트리플레이트, 디페닐파라이소부틸페닐설포늄 트리플레이트, 트리페닐설포늄 트리플레이트, 트리스파라터셔리부틸페닐설포늄 트리플레이트, 디페닐파라메톡시페닐설포늄 노나플레이트, 디페닐파라톨루에닐설포늄 노나플레이트, 디페닐파라터셔리부틸페닐설포늄 노나플레이트, 디페닐파라이소부틸페닐설포늄 노나플레이트, 트리페닐설포늄 노나플레이트, 트리스파라터셔리부틸페닐설포늄 노나플레이트,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부틸나프틸설포늄 트리플레이트,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가교제의 함량은 0.01 내지 0.4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0.3 중량%이고, 산발생제의 함량은 0.02 내지 0.5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0.2 중량%이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유기 반사방지막이 형성되지 못할 수 있고, 너무 많으면 패턴 프로파일에 풋팅(footing)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산 발생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유기 반사방지막이 형성되지 못할 수 있고, 너무 많으면 가열 공정시 흄(fume)이 발생하여 장비를 오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반사방지막은, 상기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실리콘 웨이퍼나 알루미늄 기판 등의 피식각층 상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는 스핀코팅, 롤러코팅 등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도포된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포된 조성물을 고온 플레이트, 대류 오븐 등의 장치에서 가열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교는 90 내지 240℃, 구체적으로는 150 내지 210℃에서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가열 온도가 90℃ 미만이면 유기 반사 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용매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고, 가교반응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가열 온도가 240℃를 초과하면 유기 반사 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및 유기 반사 방지막이 화학적으로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제조
A.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제조
반응기에 트리스(1,3-옥사티오란-2-티온-5-일메틸)이소시아누레이트(tris(1,3-oxathiolane-2-thion-5-ylmethyl)isocyanurate) 5 g(0.0095 몰), 화합물() 1.41 g(0.0095 몰), 화합물() 3.46 g(0.0285 몰) 및 디메틸포름아미드(DMF) 55.91g을 넣은 후, 상온(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4으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하기 화학식 3에서, R5 또는 (전체 화합물 내의 몰비율: : = 1:3)이며, R5인 경우, 하기 화학식 4으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중 상기 R5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개가 에 연결되어 고분자를 형성한다. 수율: 85%, 중량평균분자량(Mw): 4,905, 다분산 지수(PDI): 1.83).
[화학식 4]
B. 화학식 2e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제조
반응기(250ml 둥근바닥플라스크)에 테트라히드로퓨란(THF) 76.29g을 넣고, 상기 화학식 4으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10g을 넣어 녹인 다음,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 3.96g을 첨가하고 아이스 배쓰(icebath)를 사용하여 온도를 0℃로 낮췄다. 상기 용액에 화합물(, X는 염소(Cl)) 5.11 g을 천천히 적가한 후, 30 분 동안 반응시키고, 상기 아이스 배쓰(ice-bath)를 제거한 다음, 15 시간 동안 더욱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고체를 여과하고, 남은 용액을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에 침전시킨 다음, 여과 및 건조하여, 상기 화학식 2e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수율: 78.6, 중량평균분자량(Mw): 5,121, 다분산 지수(PDI): 1.81).
[제조예 2 내지 8] 고분자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의 반응물 1 내지 3 각각을 5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은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을 첨가하여, 반응물 1 내지 3을 용해시킨다. 다음으로, 유조(oil bath)를 이용하여 온도를 70 ℃까지 높인 후, 개시제로서 아조비시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 2.3 g을 첨가한 후 1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50 ℃로 온도를 낮추고, 메탄올(methanol) 180 g을 넣고 30 동안 교반하며, 그 후 암모니아수 18.75 g을 넣고 1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결 후,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물에 침전되어 생성된 파우더(powder)를 거르고 건조시켜 고분자(제조예 2 내지 8)를 얻었다(수율, 중량평균분자량(Mw) 및 다분산 지수(PDI)는 하기 표 1 참조).
생성물 반응물 1
(메톡시)
반응물 2 반응물 3
(페놀기)
개시제 수율(%) Mw PDI
종류 사용량
제조예 2
(화학식 3a)
10g 4.68g 12.96g 2.3g 63.1 5850 1.81
제조예 3
(화학식 3b)
10g 4.96g 12.96g 2.3g 62.1 5932 1.79
제조예 4
(화학식 3c)
10g 4.72g 12.96g 2.3g 59.0 6211 1.78
제조예 5
(화학식 3d)
10g 3.40g 12.96g 2.3g 64.8 5723 1.83
제조예 6
(화학식 3e)
10g 2.56g 12.96g 2.3g 56.3 5518 1.81
제조예 7
(화학식 3f)
10g 3.96g 12.96g 2.3g 58.5 6125 1.85
제조예 8
(화학식 3g)
10g 4.44g 12.96g 2.3g 52.7 6241 1.78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1.25 중량%와 제조예 2 내지 8에서 제조된 고분자 각각 0.75 중량%, 산발생제로서 2-히드록시헥실 파라톨루엔 설포네이트(2-Hydroxyhexyl p-toluenesulfonate) 0.1 중량%, 광산발생제로서 트리페닉술포늄 노나플레이트 0.1 중량% 및 가교제로서 PL1174 0.2 중량%을 용매 Cyclopentanone 4.84 중량%, PGMEA 92.01 중량%에 용해시켜 실시예 1 내지 7의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2 중량%, 산 발생제(2-히드록시헥실 파라톨루엔 설포네이트) 0.1 중량% 및 가교제(PL1174) 0.2 중량%를 용매 PGMEA 97.7 중량%에 용해시켜 비교예 1의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내지 14]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1.70 중량% 와 제조예 2 내지 8에서 제조된 접착력 강화 고분자 각각 0.30 중량%, 산발생제로서 2-히드록시헥실 파라톨루엔 설포네이트(2-Hydroxyhexyl p-toluenesulfonate) 0.1 중량%, 광산발생제로서 트리페닉술포늄 노나플레이트 0.1 중량% 및 가교제로서 PL1174 0.2 중량%을 용매 Cyclopentanone 4.84 중량%, PGMEA 92.01 중량%에 용해시켜 실시예 8 내지 14의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내지 21]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1.10 중량% 와 제조예 2 내지 8에서 제조된 접착력 강화 고분자 각각 0.90 중량%, 산발생제로서 2-히드록시헥실 파라톨루엔 설포네이트(2-Hydroxyhexyl p-toluenesulfonate) 0.1 중량%, 광산발생제로서 트리페닉술포늄 노나플레이트 0.1 중량% 및 가교제로서 PL1174 0.2 중량%을 용매 Cyclopentanone 4.84 중량%, PGMEA 92.01 중량% 에 용해시켜 실시예 15 내지 21의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유기 반사방지막의 형성 및 특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 각각을 실리콘 웨이퍼 상부에 1,500 rpm으로 스핀코팅한 후, 205 ℃에서 60 초 동안 베이크(bake)하여 유기 반사방지막을 형성하고, 각각의 유기 반사방지막을 접촉각 장비(장치명: DSA-100, 제조사: KRUSS)를 이용하여 논문(Burnett et al., J. Vac. Sci. Techn.b, 23(6), pages2721-2727(Nov.Dec 2005))에 개시된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촉각(contact angle)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유기반사방지막 Contact Angle 유기반사방지막 Contact Angle
비교예 1 72 실시예 11 70
실시예 1 62 실시예 12 68
실시예 2 63 실시예 13 67
실시예 3 60 실시예 14 69
실시예 4 64 실시예 15 58
실시예 5 63 실시예 16 59
실시예 6 62 실시예 17 56
실시예 7 61 실시예 18 61
실시예 8 69 실시예 19 60
실시예 9 66 실시예 20 60
실시예 10 69 실시예 21 58
도 2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형성한 유기 반사방지막의 리쏘그래피 테스트 결과(a) 및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반사방지막의 리쏘그래피 테스트 결과(b)이다. 상기 표 2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사용되는 경우, 통상적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한 유기 반사방지막은 Development 공정에 의해 패턴 밑 부분이 녹아 언더-컷 현성이 나타나고(도 2 a의 노란 동그라미), 접촉각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반사방지막은 반사광에 의한 언더-컷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패턴의 프로파일을 개선시킬 수 있고(도 2 b의 노란 동그라미), 접촉각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으로 인해 포토레지스트와의 접착력(adhesion)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은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사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부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고분자; 및
    상기 성분들을 용해시키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6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R"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8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부분은 R'를 통하여 2개 이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CH3)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 또는 0 내지 2 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이며, R3은 0 내지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R4는 0 내지 3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15의 아릴기이며, x, y 및 z는 상기 고분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반복단위의 몰%로서, x는 40 내지 70 몰%, y는 5 내지 25 몰% 및 z는 15 내지 45 몰%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이고, 고분자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이며, 유기 용매의 함량은 85 내지 98.9 중량%인 것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은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을 가교시키는 가교제 0.01 내지 0.4 중량% 및 상기 가교반응을 촉진하고, 포토레지스트 하부 부분에 산을 공급하는 산발생제 0.02 내지 0.5 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R"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 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0 내지 2 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시클릭기이고,
    R2는 0 내지 2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고, R3은 0 내지 2 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기, 1 내지 2 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12의 헤테로시클릭기이며, R4는 0 내지 2 개의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인 것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 내지 10,000인 것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a 내지 2h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화학식 2g], [화학식 2h]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고분자는 (화학식 3a), (화학식 3b), (화학식 3c), (화학식 3d), (화학식 3e), (화학식 3f), (화학식 3g, 상기 화학식 3a 내지 3g에서, x, y 및 z는 상기 화학식 3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부티로락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돈, 테트라히드로퍼퓨랄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락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용매인 것인,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8.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부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고분자; 및 상기 성분들을 용해시키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피식각층 상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반사방지막의 형성방법: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6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R"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8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부분은 R'를 통하여 2개 이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CH3)이고, R2는 히드록시기(-OH) 또는 0 내지 2 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이며, R3은 0 내지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15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R4는 0 내지 3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15의 아릴기이며, x, y 및 z는 상기 고분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반복단위의 몰%로서, x는 40 내지 70 몰%, y는 5 내지 25 몰% 및 z는 15 내지 45 몰%이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이고, 고분자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이며, 유기 용매의 함량은 85 내지 98.9 중량%인 것인, 유기 반사방지막의 형성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은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을 가교시키는 가교제 0.01 내지 0.4 중량% 및 상기 가교반응을 촉진하고, 포토레지스트 하부 부분에 산을 공급하는 산발생제 0.02 내지 0.5 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유기 반사방지막의 형성방법.
KR1020160067944A 2016-06-01 2016-06-01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KR10266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944A KR102662122B1 (ko) 2016-06-01 2016-06-01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CN201710402064.8A CN107446452B (zh) 2016-06-01 2017-05-31 适用于负性显影的用于形成有机抗反射涂层的组合物
US15/609,471 US10539874B2 (en) 2016-06-01 2017-05-31 Composition for forming organic anti-reflective coating layer suitable for negative tone development
TW106118098A TWI746565B (zh) 2016-06-01 2017-06-01 適用於負性顯影的用於形成有機抗反射塗層的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944A KR102662122B1 (ko) 2016-06-01 2016-06-01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89A KR20170136189A (ko) 2017-12-11
KR102662122B1 true KR102662122B1 (ko) 2024-04-30

Family

ID=6048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944A KR102662122B1 (ko) 2016-06-01 2016-06-01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39874B2 (ko)
KR (1) KR102662122B1 (ko)
CN (1) CN107446452B (ko)
TW (1) TWI7465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698B1 (ko) * 2017-06-05 2023-11-2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높은 식각비를 갖는 유기 반사 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KR102214895B1 (ko) * 2017-12-26 2021-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지스트 하층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200114438A (ko) 2019-03-28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방지막 형성용 폴리머 및 조성물과 반사방지막을 이용하는 집적회로 소자의 제조 방법
CN113097056A (zh) * 2019-12-23 2021-07-09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器件的形成方法
CN113930151B (zh) * 2021-10-14 2022-06-21 厦门恒坤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可自交联巯基三聚氰胺聚合物的抗反射涂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图案形成方法
CN113929906B (zh) * 2021-10-14 2023-07-04 厦门恒坤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交联异氰尿酸酯聚合物和抗反射涂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图案形成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123A2 (ko) 2009-09-14 2011-03-1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1081323A2 (ko) 2009-12-31 2011-07-07 제일모직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하층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5922B2 (ja) * 1998-03-17 2008-10-15 Az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光吸収性ポリマーおよびその反射防止膜への応用
US6277750B1 (en) * 1998-07-10 2001-08-21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Composition for bottom reflection preventive film and novel polymeric dye for use in the same
KR100427440B1 (ko) * 1999-12-23 2004-04-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유기 반사방지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55604B1 (ko) * 1999-12-23 2002-10-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난반사 방지막용 중합체와 그 제조방법
KR101156973B1 (ko) * 2005-03-02 2012-06-2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유기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조성물
KR101156969B1 (ko) * 2005-03-02 2012-06-2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유기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조성물
KR101115089B1 (ko) * 2005-03-02 2012-02-29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유기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조성물
SG156561A1 (en) * 2008-04-16 2009-11-26 Korea Kumho Petrochem Co Ltd Copolymer and composition for organic antireflective layer
CN105393172B (zh) * 2013-07-23 2019-08-02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抗蚀剂下层膜形成用组合物用添加剂及包含其的抗蚀剂下层膜形成用组合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123A2 (ko) 2009-09-14 2011-03-1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1081323A2 (ko) 2009-12-31 2011-07-07 제일모직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하층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09162A (zh) 2018-03-16
KR20170136189A (ko) 2017-12-11
TWI746565B (zh) 2021-11-21
CN107446452A (zh) 2017-12-08
US10539874B2 (en) 2020-01-21
CN107446452B (zh) 2021-06-01
US20170351178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122B1 (ko) 네거티브 톤 현상 공정에 이용되는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KR101416030B1 (ko) 유기반사방지막 형성용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TWI520946B (zh) 用以形成有機抗反射塗層的異氰尿酸酯化合物及包含其之組合物
US20140087311A1 (en) Developable bottom anti-reflective coating
KR101993472B1 (ko) 레지스트 패턴의 하부막 형성용 화합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부막의 형성방법
JP5520440B2 (ja) 有機反射防止膜形成用単量体、重合体及びこれを含む有機組成物
KR101755595B1 (ko) 근적외광 흡수층 형성재료 및 적층막
KR102604698B1 (ko) 높은 식각비를 갖는 유기 반사 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KR102441290B1 (ko)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KR102186921B1 (ko) 삼원공중합체, 그 제조 방법,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사방지막 및 응용
KR20210011291A (ko) 피롤 유도체 링커를 함유하는 반사방지용 하드마스크 조성물
KR102516390B1 (ko) 신규한 티오바르비투르산 유도체, 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바닥반사방지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 방법
KR102194297B1 (ko) 인돌-플루오렌 중합체를 함유하는 반사방지용 하드마스크 조성물
KR102191919B1 (ko) 벤조카바졸 유도체를 함유하는 반사방지용 하드마스크 조성물
KR102336257B1 (ko) 바이카바졸 유도체를 함유하는 반사방지용 하드마스크 조성물
JP2015200796A (ja) 下層膜形成用組成物
KR101357611B1 (ko) 에칭률이 우수한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중합체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KR102600015B1 (ko) 중합체, 그 제조 방법, 중합체를 포함하는 유기막 및 응용
JP2020528476A (ja) 底反射防止膜形成用の重合体およびこれを含む底反射防止膜形成用の組成物
KR100920886B1 (ko) 현상 가능한 유기 반사방지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형성된 유기 반사방지막
KR102427439B1 (ko) 반사방지용 고분자 및 하드마스크 조성물
KR102613692B1 (ko)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중합체, 그 제조 방법, 중합체를 포함하는 유기막 및 응용
KR102404886B1 (ko) 프탈로시아닌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및 하드마스크 조성물
WO2014196509A1 (ja) レジスト下層膜形成用組成物
KR20210012113A (ko) 인돌 유도체를 함유하는 반사방지용 하드마스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