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119B1 - Pcb 장착용 리액터 - Google Patents

Pcb 장착용 리액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119B1
KR102662119B1 KR1020210158052A KR20210158052A KR102662119B1 KR 102662119 B1 KR102662119 B1 KR 102662119B1 KR 1020210158052 A KR1020210158052 A KR 1020210158052A KR 20210158052 A KR20210158052 A KR 20210158052A KR 102662119 B1 KR102662119 B1 KR 102662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re
reactor
winding
shape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1639A (ko
Inventor
차호철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이 filed Critical (주)티에스이
Priority to KR102021015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119B1/ko
Publication of KR2023007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01F2027/065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B 장착용 리액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체높이를 축소한 보빈의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소형화된 크기에서도 용량 및 성능을 확보하여 PCB 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PCB 장착용 리액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의 테두리부와 권선부의 높이가 일치되게 하여, 코일이 정렬 권선되도록 하는 PCB 장착용 리액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CB 장착용 리액터 {Reactor for PCB Mounting}
본 발명은 PCB 장착용 리액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RINTED CIRCUIT BOARD(PCB)에 장착 가능한 PCB 장착용 리액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액터(Reactor)는 전력용 변압기 및 배전용 변압기에서 회로에 유도 리액턴스를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전자 장치의 하나이며. 철심 위에 다수의 권선을 감은 것을 주로 사용한다.
또한, 리액터는 고조파를 저감하고 역률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산업기술의 발전 및 고체절연물의 품질향상으로 세계시장의 전자제품 시장에서 경량화 및 소형화된 리액터를 요구하고 있으며, 전자제품 이외에도 태양광, ESS/자가발전회생제동장치, 전기자동차 등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리액터는 고조파 발생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최근 IEC/EN 61000-3-2:2014 규격에 의거한 고조파 규제 강화에 대응하여 Class D에 해당하는 리액터로 제작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리액터는 일반적으로 종래에 커넥터 타입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44298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초전도 직류 리액터는 전기로(Electric furnace)의 필터에 사용되는 리액터의 구조를 PIS(Pluged in Super-current deliver) 바(bar)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기존 직류 리액터가 가지는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초전도 직류 리액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초전도 직류 리액터는 하나의 프레임 내에 초전도 설재가 적층 구성되기 때문에 수만~수십만 암페어의 운전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지만, 커넥터 방식을 채택하여 부피가 크게 형성되어, PCB 판에 장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2989호 (2014.09.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높이를 축소한 보빈의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소형화된 크기에서도 용량 및 성능을 확보하여 PCB 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PCB 장착용 리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빈의 테두리부와 권선부의 높이가 일치되게 하여, 코일이 정렬 권선되도록 하는 PCB 장착용 리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는 E자형 코어와, 상기 E자형 코어의 일측에 결합되는 I자형 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E자형 코어의 중심부와 상기 I자형 코어는 이격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에 압입되도록 상기 E자형 코어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수용홀이 내주면에 형성되되, 외주면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권선부의 상하단으로 권선되는 위치를 잡아주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PCB 기판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한된 공간 내에서 컴팩트하게 정렬 권선됨으로써, 전체높이가 낮아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코일의 일단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제1 코일홈과, 상기 코일의 타단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제2 코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홈은, 상기 코일이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권선될 수 있도록 상기 권선부의 외주면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코어부는, 복수 개의 낱장코어를 압입한 일체형의 블록코어로 형성되어, 통전 시에 소음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코어부는, 두께가 9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코일은 직경 선경이 Φ0.65이고, 권선이 204T(Tur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PCB 장착용 리액터는 전체높이를 축소한 보빈으로 형성되어, PCB 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 두께, 회전수, 코어 크기 및 갭을 최적화하여, 소형화된 크기에서도 용량 및 성능이 동일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의 테두리부와 권선부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하여, 코일이 정렬 권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입 일체형의 블록 코어로 형성되어, 소음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가 PCB 기판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 코어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코어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의 제1 코일홈과 권선부의 외주면이 일치되게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가 PCB 기판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 코어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코어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의 제1 코일홈과 권선부의 외주면이 일치되게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사용하는 'PCB 장착용 리액터'는 간략히 '리액터'로 칭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PCB는 PRINTED CIRCUIT BOARD의 약자로서, 집적 회로, 저항기 또는 스위치 등의 전기적 부품들이 납땜되는 얇은 판을 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1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CB 장착용 리액터(10)는 전체높이를 축소한 보빈의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소형화된 크기에서도 용량 및 성능을 확보하여 PCB 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기준을 만족하는 PCB 장착용 리액터(10)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장고 또는 세탁기의 내부에 설치된 PCB 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기준을 만족하는 PCB 장착용 리액터(10)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PCB 장착용 리액터(10)는 코어부(100)와 코일(B)이 권선된 보빈(20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코어부(100)는 복수 개의 낱장코어를 압입한 일체형의 블록코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낱장코어는 복수 개의 실리콘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부(100)는 통전 시에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부(100)는 두께를 9mm로 설계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일반적인 와이어타입의 리액터에서는 코어부가 17mm로 형성되었으나, PCB 기판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두께를 낮춰야 했고, 여러 차례 실험을 해본 결과, 상기 코어부(100)의 두께가 9mm로 형성되어야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코어부(100)의 두께가 9mm로 형성됨으로써, 인덕턴스는 11.3mH가 나오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하모닉 규제를 만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어부(100)는 E자형 코어(110)와 상기 E자형 코어(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I자형 코어(120)를 포함한다. 상기 E자형 코어(110)와 상기 I자형 코어(120)는 그 양단만 접촉하여 결합되고, 상기 E자형 코어(110)의 중심부는 상기 I자형 코어(12)와 이격되어 에어갭(C)을 형성한다.
상기 에어갭(C)은 간격이 길면 L값이 작아지고, 짧으면 L값이 커지는 등, L값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목적하는 L값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에어갭(C)을 설계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입되는 상기 낱장코어의 수, 상기 E자형 코어(110)와 상기 I자형 코어(120)의 폭, 중심부의 이격으로 인한 상기 에어갭(C)의 간격 등은 리액터의 용량에 따라 L값과 저항값을 계산하여 결정한다.
한편, 상기 코어부(100)는 목적한 설계대로 복수 개의 낱장 코어가 압입되고, 상기 E자형 코어(110)와 상기 I자형 코어(120)가 설계시의 형태와 폭을 가지도록 제조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갭(C)의 간격 또한 L값에 영향으로 주는 바, 상기 에어갭(C) 간격이 설계 시 목적하였던 간격대로 구현되도록 상기 E자형 코어(110)와 상기 I자형 코어(120)를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E자형 코어(110)의 양단과 상기 E자형 코어(110)의 양단에 결합홈(130)과 돌출부(140)를 형성하여 암수삽입으로 양자를 결합시킴에 따라, 설계된 간격으로 상기 에어갭(C)이 형성되도록 상기 E자형 코어(110)의 중심부와 상기 I자형 코어(120)가 이격되어, 목적하는 L값과 저항값을 확보하도록 상기 코어부(100)의 구조를 손쉽게 재현할 수 있는 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암수 삽입의 결합 방식은 상기 E자형 코어(110)의 양단에 상기 결합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I자형 코어(120)의 양단에 상기 돌출부(140)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E자형 코어(110)의 양단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I자형 코어(120)의 양단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보빈(200)이 마련된다. 코일(B)이 권선되는 상기 보빈(20)은 상기 코어부(100)의 중심부에 압입되도록 상기 E자형 코어(110)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수용홀(210)이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E자형 코어(110)의 중심부와 상기 보빈(200)의 상기 수용홀(210)은 상기 PCB 장착용 리액터(10)의 구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격으로 인한 틈이 없도록 밀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코일(B)은 직경 선경이 Φ0.65이고, 권선이 204T(Turn)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일반적인 와이어타입의 리액터에서는 코일의 직경 선경이 Φ0.75 / 165T이었으나, PCB 기판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코일의 선경을 축소하고, 최대권선에서 허용 전류값을 낮춰야했고, 여러 차례 실험을 해본 결과, 상기 코일(B)의 직경 선경이 Φ0.65이고, 권선이 204T이 되어야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코일(B)은 직경 선경이 Φ0.65이고, 권선이 204T(Turn)이 됨으로써, 상기 코일(B)의 전류량 2.8A, 인덕턴스 11.3mH가 나오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하모닉 규제를 만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빈(200)은 권선부(220)와 테두리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권선부(220)는 상기 보빈(200)의 외주면에서 상기 코일(B)이 권선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테두리부(230)는 상기 권선부(220)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B)이 권선되는 위치를 잡아주도록 상기 권선부(220)보다 양측으로 넓게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230)의 넓이 혹은 폭은, 상기 E자형 코어(110)의 중심부와 양단 간의 간격에 대응하여 밀착 형성되어. 틈이 없어야 차후 구동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진동으로 인해 제품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보빈(200)의 상기 테두리부(230)에는 권선되는 코일의 일단(B1)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제1 코일홈(231)과 코일의 타단(B2)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제2 코일홈(231)이 상기 보빈(200)의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홈(231)을 통해 상기 코일의 일단(B1)을 상기 테두리부(230) 밖으로 미리 꺼냄에 따라, 상기 코일의 일단(B1)을 상기 코일의 타단(B2) 및 이후 권선되는 코일(B)의 밑단과 이격시킬 수 있는 바, 쇼트 발생없이 상기 코일(B)을 체계적이고, 컴팩트하게 권선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코일홈(231)은 상기 코일(B)이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권선될 수 있도록 상기 권선부(220)의 외주면과 일치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코일홈(231)은 상기 코일의 일단(B1)이 통과되어, 상기 권선부(220)에서 권선을 시작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일홈(232)은 상기 권선부(220)에서 권선된 상기 코일의 타단(B2)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230)에는 외측으로 돌출턱(23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코일홈(231)을 통해 꺼내어진 코일의 일단(B1)은 상기 권선부(220)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 코일홈(231)을 통과하여 상기 돌출턱(233)을 감아 상기 보빈(200)의 외주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의 일단(B1)은 상기 코일의 타단(B2) 및 밑단과 이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의 일단(B1)을 차후 배선을 위해 상기 보빈(200)의 외주면으로 안착시킴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233)을 감아 돌려 안착시킴에 따라 상기 코일(B)의 밑단과 안정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돌출턱(233) 없이 상기 보빈(200)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의 일단(B1)이 상기 코일(B)의 밑단과 이격되더라도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아, 제조과정 내지 작동과정에서 불량 및 쇼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턱(233)은 상기 제1 코일홈(231) 측면에 형성되어야 상기 코일의 일단(B1)을 컴팩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230)의 일면에는 전극핀(240)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코일홈(231)으로 나온 상기 코일의 일단(B1)과 상기 제2 코일홈(232)으로 나온 타단(B2)이 감겨 남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핀 방식으로 PCB 기판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리액터를 기판 내에 더 직접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230)의 외측으로 상기 돌출턱(233)이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코일홈(231)에 거치된 상기 코일의 일단(B1)과 상기 제2 코일홈(232)에 거치된 상기 코일의 타단(B2) 각각은 상기 권선부(220)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 코일홈(231) 및 제2 코일홈(232)을 통과하여 상기 돌출턱(233)을 감아 상기 전극핀(240)에 감겨 남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턱(233)이 더 형성되는 경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의 일단(B1)과 타단(B2)을 상기 코일(B)의 밑단과 돌려 감아 상기 코일(B)의 밑단과 안정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어, 쇼트나 제조 불량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한 본 발명의 상기 보빈(200)은 PCB 기판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한된 공간 내에서 컴팩트하게 정렬 권선됨으로써, 전체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보빈(200)은 전체높이를 30mm 이하로 형성되도록 설계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일반적인 와이어타입의 리액터에서는 보빈의 전체높이가 30mm를 초과하여, PCB 기판에 장착될 수 없었다. PCB 기판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보빈의 전체높이를 축소해야 했고, 냉장고 또는 세탁기의 내부에 설치된 PCB 기판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보빈의 전체높이가 30mm 이하로 형성되어야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보빈(200)은 상기 전극핀(240)의 단부에서 상기 보빈(200)의 하단부까지의 높이를 30mm 이하로 형성됨으로써, PCB 기판에 장착될 수 있고, 동일한 용량 및 성능을 발휘하면서도 하모닉 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B)이 권선된 상기 권선부(220)는 절연지로 감아지고, 상기 코일의 일단(B1)과 타단(B2)은 상기 절연지의 외측에서 리드 와이어(도면 미도시)와 납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4의 상기 리드 와이어는 이중의 상기 절연지 사이로 투입되어 상기 코일(B)과의 쇼트를 철저히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B) 권선 및 상기 리드 와이어 연결 후 절연테이프로 감아 그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CB 장착용 리액터(10)는, 상기 코어부(100)와 상기 코일(B)이 권선된 상기 보빈(20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코어부(100)와 상기 보빈(200)의 외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PCB 장착용 리액터
A : PCB 기판
B : 코일
B1 : 코일의 일단
B2 : 코일의 타단
C : 에어갭
100 : 코어부
110 : E자형 코어
120 : I자형 코어
130 : 결합홈
140 : 돌출부
200 : 보빈
210 : 수용홀
220 : 권선부
230 : 테두리부
231 : 제1 코일홈
232 : 제2 코일홈
233 : 돌출턱
240 : 전극핀

Claims (5)

  1. E자형 코어와, 상기 E자형 코어의 일측에 결합되는 I자형 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E자형 코어의 중심부와 상기 I자형 코어는 이격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에 압입되도록 상기 E자형 코어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수용홀이 내주면에 형성되되, 외주면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권선부의 상하단으로 권선되는 위치를 잡아주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PCB 기판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한된 공간 내에서 컴팩트하게 정렬 권선됨으로써, 전체높이가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코일의 일단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제1 코일홈과, 상기 코일의 타단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제2 코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홈은, 상기 코일이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권선될 수 있도록 상기 권선부의 외주면과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는, 복수 개의 낱장코어를 압입한 일체형의 블록코어로 형성되어, 통전 시에 소음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낱장코어는 복수개의 실리콘 스틸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일홈은 상기 코일이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권선될 수 있도록 상기 권선부의 외주면과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이 권선된 상기 권선부는 절연지로 감아지고, 상기 코일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절연지의 외측에서 리드 와이어와 납땜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리드 와이어는 이중의 상기 절연지 사이로 투입되고, 코일 권선 및 상기 리드 와이어의 연결 후 절연테이프로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장착용 리액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두께가 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장착용 리액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직경 선경이 Φ0.65이고, 권선이 204T(Tur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장착용 리액터.
KR1020210158052A 2021-11-16 2021-11-16 Pcb 장착용 리액터 KR10266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052A KR102662119B1 (ko) 2021-11-16 2021-11-16 Pcb 장착용 리액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052A KR102662119B1 (ko) 2021-11-16 2021-11-16 Pcb 장착용 리액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639A KR20230071639A (ko) 2023-05-23
KR102662119B1 true KR102662119B1 (ko) 2024-04-30

Family

ID=8654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052A KR102662119B1 (ko) 2021-11-16 2021-11-16 Pcb 장착용 리액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1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3954A (ja) 2004-06-14 2005-12-22 Tamura Seisakusho Co Ltd コイルボビンおよびトランス
JP2009253011A (ja) * 2008-04-07 2009-10-29 Panasonic Corp リアクタ
JP2016092069A (ja) * 2014-10-30 2016-05-23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磁性素子
KR102069450B1 (ko) * 2018-11-02 2020-01-22 (주)티에스이 인버터 냉장고에 적용 가능한 리액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989B1 (ko) 2013-09-25 2014-09-2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전도 직류 리액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3954A (ja) 2004-06-14 2005-12-22 Tamura Seisakusho Co Ltd コイルボビンおよびトランス
JP2009253011A (ja) * 2008-04-07 2009-10-29 Panasonic Corp リアクタ
JP2016092069A (ja) * 2014-10-30 2016-05-23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磁性素子
KR102069450B1 (ko) * 2018-11-02 2020-01-22 (주)티에스이 인버터 냉장고에 적용 가능한 리액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639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2947B (zh) 电枢、用于电枢的端部模块和用于装配电枢的方法
CN103915246B (zh) 线圈部件
KR102662119B1 (ko) Pcb 장착용 리액터
CN101740199A (zh) 磁性电子元件的制造方法
CN212032855U (zh) 大功率车载充电变压器装置的变压器组件
CN201060741Y (zh) 一种变压器绕线筒改良结构
CN112994369A (zh) 一种调整电机线圈端部间隙的方法
CN208271709U (zh) 一种防止形变的油浸式变压器线圈总成
CN205647047U (zh) 电枢及用于电枢的端部模块
CN214012706U (zh) 一种小型变压器
CN209947624U (zh) 一种变压器
CN220796440U (zh) 一种具有叠合骨架结构的变压器
CN212934372U (zh) 一种新型高频变压器骨架
CN220627555U (zh) 铁桥电抗器绝缘结构
CN216957701U (zh) 一种线圈骨架、线圈、变压器
CN219979295U (zh) 一种组合式共轭电抗器
CN217768081U (zh) 一种扁平线平面变压器
CN218482091U (zh) 一种改良的变压器绕线结构及微波炉用变压器
CN218896536U (zh) 一种采用薄绝缘片的铁芯结构及电抗器
CN218896543U (zh) 一种具有阵列式线圈排布结构的电抗器
JP2588907Y2 (ja) ピン端子付きボビン及びトランス
CN216287952U (zh) 一种组合式大电流电感器
CN212695032U (zh) 多绕组并联的大容量电压互感器
CN212136205U (zh) 一种具有新型结构的变压器骨架
CN219202879U (zh) 无骨架绕组以及磁性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