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903B1 -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및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 Google Patents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및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903B1
KR102659903B1 KR1020217026502A KR20217026502A KR102659903B1 KR 102659903 B1 KR102659903 B1 KR 102659903B1 KR 1020217026502 A KR1020217026502 A KR 1020217026502A KR 20217026502 A KR20217026502 A KR 20217026502A KR 102659903 B1 KR102659903 B1 KR 10265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hase
water
mucous membrane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8879A (ko
Inventor
나루히토 마츠다
카즈오 타지마
요코 이마이
카나 미야사카
Original Assignee
각고우호우진 가나가와 다이가쿠
나루히토 마츠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각고우호우진 가나가와 다이가쿠, 나루히토 마츠다 filed Critical 각고우호우진 가나가와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21011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3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uprarenal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셀린을 기제로 하면서도 사용감이 뛰어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 각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소낭이, 유상 및 수상의 계면, 및 기능성 성분상 및 수상의 계면에 개재한다.

Description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및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본 발명은,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및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에 관한 것이다.
바셀린은, 안전성 및 피부 보호 작용·보습 작용이 뛰어난 점에서,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의 기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외용제로, 현재, 바셀린에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혼련한 것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바셀린에 첨가되는 기능성 성분의 대부분은 바셀린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고체상인 채로 피부 외용제에 존재한다. 피부 외용제 중에 이러한 고체상의 성분이 존재하면, 피부에 도포했을 때에 거침을 느끼게 하는 것이 된다.
한편, 바셀린 그 자체는,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 표면에서의 연신성이 나빠, 강한 끈적임을 느끼게 하는 것이 된다.
이상과 같은 바셀린을 기제로 하는 피부 외용제의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바셀린을 고농도로 포함하고, 융점 및 실끌림 값을 특정 값으로 조정하여 이루어지는 외용제가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융점 및 실끌림 값을 조정함으로써, 바셀린에 기인하는 외용제의 끈적임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용제에 있어서, 바셀린은 단순히 액상 유제에 의해 희석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외용제는 피부 표면에서의 퍼짐성을 어느 정도 개선하지만, 도포에 의해, 바셀린을 포함하는 유성 물질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끈적임을 억제할 수 없다. 또한, 거침에 대해서는 억제되지 않아, 그 사용감은 반드시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한편, 바셀린을 액상화하기 위해 첨가한 유제에 대한 피부의 감수성이 염려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2016-222585호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바셀린을 기제로 하면서도 사용감이 뛰어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심히 검토를 거듭했다. 그 결과, 특정 중축합 폴리머 입자 또는 소낭(vesicle)을 이용하여 바셀린 및 기능성 성분을 유화함으로써, 바셀린을 기제로 하면서도 사용감이 뛰어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래의 것을 제공한다.
(1)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 각각을 내상(內相), 수상을 외상(外相)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소낭이, 상기 유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 및 상기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2)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소낭이, 상기 유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3) 상기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총량에 대하여 50질량%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4) 상기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화장품의 기능성 성분 및/또는 의약품의 기능성 성분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5)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이, 상기 유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6) 상기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총량에 대하여 0.001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5)에 기재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7) 상기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화장품의 기능성 성분 및/또는 의약품의 기능성 성분인, (5) 또는 (6)에 기재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8) 상기 유상의 함유량은, 상기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총량에 대하여 70질량% 이하인,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9) 상기 바셀린의 함유량은, 상기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총량에 대하여 2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10)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을 포함하고, 그 일부가, 상기 유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수용성 기능성 성분 및/또는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제조하기 위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11) 상기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가 연고제인, (10)에 기재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12)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을 포함하고, 그 일부가, 상기 유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 및 상기 기능성 성분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에, 수용성 기능성 성분 및/또는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바셀린을 기제로 하면서도 사용감이 뛰어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기제 1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2는 기제 2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시료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4는 알란토인 분말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시료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6은 세레브로시드 분말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7은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시료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8은 32질량% 산화티탄의 수분산액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9는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시료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10은 29질량% 산화티탄의 실리콘유 분산액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아래에 설명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모두, 유상이 수상에 분산된 O/W형 에멀전이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화」란, 액체(내상)를 물(외상)에 분산시키는 개념뿐 아니라, 고체를 물에 분산시키는 개념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고체를 「내상」, 물을 「외상」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상」, 「외상」은, 반드시 물리 화학상의 1상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1개의 「내상」(1개의 에멀전 입자) 중에 복수의 상이 존재하는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용성」이란, 대기압하, 25℃의 환경에 있어서, 25℃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 g/kg 이상인 것을 말한다. 한편, 「비수용성」이란, 25℃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 g/kg 미만인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능성 성분」이란, 해당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가 갖는 각종 기능의 발현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하는 성분이다. 예를 들어 화장품에서의 「기능성 성분」은, 미백 성분, pH 조정제, 자외선 방어제, 연마제, 항균제, 향료, 착색제, 산화 방지제, 보습제, 증점제, 방부제 등이며, 의약품에서의 「기능성 성분」은, 유효 성분, 보습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증점제, 방부제 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장품의 첨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2-옥탄 디올(카프릴릴글리콜), 1, 2-헥산디올, 1, 2-펜탄 디올(펜틸렌 글리콜), 1, 3-부틸렌 글리콜(BG), 알파 하이드록시산(글리콜산), dl-α-토코페릴인산나트륨, DL-피롤리돈카복실산나트륨액(PCN-Na), 디프로필렌글리콜, 휴먼 올리고 펩타이드(EGF), L-아스파르트산, L-알라닌, L-아르기닌, L-이소루신, L-옥시프롤린(하이드록시프롤린), L-글루탐산, L-트레오닌, L-세린, L-티로신, L-발린, L-히스티딘, L-히스티딘 염산염, L-페닐 알라닌, L-프롤린, L-리신액, L-류신, N-아세틸-L-하이드록시 프롤린, N-(헥사데실옥시하이드록시프로필)-N-하이드록시에틸헥사데칸아미드(세틸 PG하이드록시에틸팔미트아미드), PEG류(PEG4, 6, 8, 12 등 ), 프로필렌 글리콜(1, 2-프로판디올), 갈락토미세스 배양액, 천목지황뿌리 추출물(지황뿌리 추출물, 지황 추출물, 아크릴 아미드·아크릴산·염화디메틸 디알릴 암모늄 공중합 체액(폴리옥타늄 39), 명일엽 추출물, 명일엽 잎/줄기 추출물, 아디프산디글리세릴 혼합 지방산 에스테르(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아세틸화 히알루론산나트륨, 감차 추출물, 아미노 부티르산, 알칼리게네스 산생 다당체, 갈조 추출물(마린 퍼지, 해조 추출물 1, 해조 추출물 4), 접시꽃 추출물, 접시꽃뿌리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2), 알로에베라 액즙,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살구씨 추출물, 산초해당화 추출물, 족도리풀뿌리 줄기/뿌리 추출물, 온주밀감 과피 추출물, 찔레나무 열매 추출물, 엑토인, 에틸 헥실 글리세린, 염화 디메틸 디알릴 암모늄·아크릴산 공중합체액(폴리옥타늄-22), 염화레보카르니틴, 염산 리신, 황백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황련뿌리 추출물, 오크라 추출물, 오크라 열매 추출물, 물냉이 추출물, 물냉이잎 추출물, 물냉이 잎/줄기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오렌지 열매 추출물, 온천수, 해수, 가수분해 엘라스틴, 가수분해 케라틴(양모), 가수분해 케라틴액, 가수분해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액, 가수분해 콜라겐 가루, 가수분해 콩키올린, 가수분해 콩키올린액, 가수분해 실크, 가수분해 실크액, 가수분해 실크 가루, 가수분해 수소 첨가 전분, 가수분해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난각막, 가수분해 난백, 갈근 추출물, 로즈힙 열매 추출물, 나무딸기 추출물, 키위 추출물, 크실리트(자일리톨), 황벽 나무 껍질 추출물, 큐컴버 추출물, 오이 열매 추출물, 행인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치자나무 열매 추출물, 글리코실트레할로스, 글리신, 글리세린, 글루코오스, 글루코실세라마이드, 글루탐산 나트륨, 그레이프 후르츠 추출물, 그레이프 후르츠 열매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겐티아나 추출물, 겐티아나 뿌리와 줄기/뿌리 추출물, 우엉 추출물, 우엉뿌리 추출물, 쌀겨 추출물, 쌀겨스핑고 당지질(라이스 세라마이드), 쌀겨 발효 추출물(쌀겨 발효액), 콜레스테롤, 카람볼라잎 추출물,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족두리풀 추출물, 제대 추출물, 석시노일아텔로콜라겐, 산사나무 추출물, 디글리세린, 차조기잎 추출물(차조기 추출물 1, 차조기 추출물 2), 디프로필렌글리콜(DPG), 작약 추출물, 작약뿌리 추출물, 디라우로일 글루탐산리신나트륨(Pellicer), 자작나무 추출물(자작나무 나무 껍질 추출물, 자작나무 나무 껍질 추출물), 흰목이버섯 다당체, 인동덩굴 추출물, 인동덩굴꽃 추출물, 수용성 콜라겐(수용성 콜라겐 1, 수용성 콜라겐 3, 수용성 콜라겐 4), 수용성 프로테오글리칸(프로테오글리칸), 쇠뜨기 추출물, 수크로오스, 스타후르츠잎 추출물, 스핑고 당지질, 구주소나무 솔방울 추출물, 서양송악 추출물, 서양송악 잎/줄기 추출물, 당아욱 추출물, 당아욱꽃 추출물, 세라마이드, 세리신(가수분해 실크 가루), 소르비트액(소르비톨), 대두 추출물, 대두 씨 추출물, 대두 리소인 지질액(리소레시틴), 대두 인 지질(레시틴), 대추 추출물(대추 열매 추출물), 타임 추출물(1)(와일드 타임 추출물), 타임 추출물(2)(백리향 타임 꽃/잎 추출물), 타우린, 다마스크 장미 꽃 추출물, 튜베로즈 다당체(튜베로즈 폴리사카라이드액), 정향나무 추출물, 진피 추출물, 덱스트린, 도인 추출물, 옥수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토마토 열매 추출물, 트리메틸 글리신(베타인), 트레할로스(트레할로스액), 나이아신아미드(니코틴산 아미드), 젖산, 젖산 나트륨, 요소, 마늘 추출물, 마늘뿌리 추출물, 찔레꽃 열매 추출물(찔레나무 열매 추출물), 들장미 추출물(개장미 열매 추출물, 로즈힙 추출물), 히비스커스꽃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율무 씨 추출물, 벌꿀, 히알루론산나트륨, 비오틴, 히스티딘, 히스티딘 HCl,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비피더스균 추출물), 복령 추출물, 너도밤나무 추출물, 태반 추출물, 프룬 효소 분해물(프룬 분해물), 프로판디올, 모란 추출물, 홉 추출물, 홉 꽃 추출물, 홉 가루, 폴리쿼터늄류(리피듀어,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61,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메타크릴산 부틸 공중합체액,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메타크릴산 스테아릴 공중합체), 뽕나무 근피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흰백합 뿌리 추출물, 마조람 추출물, 마조람잎 추출물, 말티톨, 만노오스, 무환자나무 추출물, 무환자나무 과피 추출물, 메틸글루세스류(POE 메틸글루코시드), 유칼립투스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유자 추출물, 유자 열매 추출물, 유자 씨 추출물, 유자 세라마이드, 유비퀴논(코엔자임 Q10), 백합 추출물, 유럽 자작나무 나무 껍질 추출물, 유럽 너도밤나무싹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율무씨 추출물), 라이스 파워 No. 11(쌀 추출물 No. 11), 라피노오스, 사과 추출물, 사과 열매 추출물, 영지 추출물, 리치 추출물, 양상추 추출물(1), 양상추잎 추출물, 레몬 추출물, 레몬 열매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로열 젤리 추출물(로열 젤리), 아보카드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아르간커넬오일(아르간유), 들깨유, 흰무늬엉겅퀴씨유, 올리브유, 정제 올리브유, 카카오지, 행인유, 쿠쿠이넛유, 시계초열매씨유(패션프루츠), 호두유, 그레이프시드 오일(포도씨유), 코코넛오일(야자유), 참깨유, 밀배아유, 쌀겨유, 쌀 배아유, 콘유, 잇꽃유(홍화유), 잇꽃유, 시어버터, 대두유, 차나무 추출유, 달맞이꽃유, 동백유, 유채유, 율무유, 피넛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프룬씨유, 호호바유, 마카다미아 너트 버터, 마카다미아 너트유, 면실유, 유자씨유, 유차나무씨유, 보리지씨유(보라지시드유), 레드 팜 유, 로즈힙유, 마유, 어유, 아보카드유, 카나우바 왁스, 칸데리라 왁스, 쌀겨 왁스, 밀랍, 백납, 이소도데칸, 이소헥사 데칸, 스쿠알렌, 파라핀, 폴리부텐,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바셀린, 경질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아스타잔틴, 알부틴, 엘라스틴, 레스베라트롤, 산화철, 산화티탄, 산화아연, 카올린, 운모, 견운모,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알킬(C10-30)) 크로스 폴리머, 아스코르브산, 아세틸헥사펩타이드-3, 아데노신삼인산 2 Na, 알란토인, 아르니카꽃 추출물, 가수분해 효모 추출물, 카밀레 추출물, 잔탄검, 글리시리진산 2 K, 글리시레틴산스테아릴, 살리실산, 백금(백금 나노 콜로이드), 팔미트산 레티놀, 판테놀, 수용성 비타민, 지용성 비타민, 풀러렌 등을 들 수 있다.
의약품의 유효 성분(피부 보습제로서의 바셀린을 제외)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피부 외용제의 상처의 감염 예방으로서의 겐타마이신 황산염, 바시트라신·프라디오마이신 황산염 배합, 부신 스테로이드제로서의 클로베타솔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디플로라손 아세트산에스테르,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온산에스테르, 디프루프레드네이트, 플루오시노나이드, 디플루콜톨론 길초산에스테르, 암시노나이드, 부티르산 프로피온산 히드로코르티손, 베타메타손 부티르산 에스테르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모메타손 퓨란 카복실산에스테르, 덱사메타손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베타메손 길초산에스테르, 베클로메타손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덱사메타손 길초산에스테르,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 데프로돈(Deprodone) 프로피온산에스테르, 프레드니솔론 길초산에스테르 아세트산에스테르,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히드로코르티손 부티르산 에스테르, 클로베타손 부티르산 에스테르, 알클로메타손 프로피온산에스테르, 텍사메타손, 히드로코르티손, 플루드록시코르타이드, 비스테로이드 항염증 외용제로서의 이부프로펜피코놀, 스프로펜, 벤더작, 우페나메이트(Ufenamate), 글리시레틴산, 진양제로서의 크로타미톤, 크로타미톤·히드로코르티손 배합,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약으로서의 타크로리무스 수화물, 백반 치료약으로서의 메톡살렌, 좌창 치료약(여드름 치료약)으로서의 나디플록사신, 아다팔렌, 과산화벤조일, 각화증·건선 치료약으로서의 타칼시톨 수화물, 칼시포트리올, 막사칼시톨(maxacalcitol), 칼시포트리올 수화물·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온산에스테르, 비타민 A, 살리실산, 탈모 치료약으로서의, 피부 궤양 치료약으로서의 아줄렌, 리소자임 염산염, 부클라데신나트륨, 백당·포비돈요오드, 설파다이아진, 설파다이아진은, 트레티노인토코페릴, 혼합사균 부유액·히드로코르티손, 아연화 연고, 혈행 촉진·피부 보습제로서의(헤파린나트륨, 헤파린, 속눈썹 빈모 치료약으로서의 비마토프로스트 등을 들 수 있다.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제1양태에 따른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 각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소낭이, 유상 및 수상의 계면,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상 및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있어서, 유상과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은 각각 별도의 에멀전 입자를 구성하고 있고, 각각이 상이한 조성의 내상을 구성하고 있다. 즉, 이러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있어서는, 외상인 수상에, 유상과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 중 적어도 2 종류의 에멀전 입자(내상)가 유화되어 있다. 즉, 유상에는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이 존재하지 않고,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에는 바셀린을 포함하는 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양자는 적어도 접촉이나 혼합은 하고 있지 않고, 이들 사이는, 적어도 중축합 폴리머 입자·소낭의 상/수상/중축합 폴리머 입자·소낭의 상에 의해 막혀있다. 단, 바셀린과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 모두가 포함되는 에멀전 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중축합 폴리머 입자, 소낭>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 소낭은, 유상 및 수상의 계면, 및 기능성 성분상 및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여, 반데르발스 힘을 통하여 유화 상태를 구성하는 점에서, 수상, 유상 및 기능성 물질의 화학 조성이나 표면 상태 등에 관계없이, 양호한 유화물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화 방법으로는, 상온에서 고점성의 바셀린을 매우 안정적으로 유화시킬 수 있고, 또한, 바셀린을 포함하는 유상을 중축합 폴리머 입자 또는 소낭이 물리적으로 피복된 유화 구조를 가짐으로써,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점성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도포 등에 의해 외력이 인가되어 피부 또는 점막 상에 연신될 때, 유상이나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과 피부 또는 점막의 사이에 수상이 존재하므로, 이들 상이 피부 또는 점막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억제되어, 피부 또는 점막 상에서의 끈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이 고체상인 경우에도, 이 고체상의 기능성 물질이 유상 중에서 응집하지 않고 잘 분산되므로, 거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수상을 외상으로 하는 O/W형 에멀전이므로, 그 퍼짐성이 좋아, 넓고 균일하게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피부 상에 얇게 도포했을 경우에도, 피막감이 높다.
안정화된 바셀린을 포함하는 유제의 유화 상태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또는 소낭을 이용하여 유화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바셀린과 같은 점도가 높은 유제는 종래 유화제로 이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 등으로 유화할 수 없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안정화된 바셀린 및 유화 구조는, 종래의 계면활성제에 의한 유화와 달리, 유화제 입자(중축합 폴리머 입자나 소낭)가 독립상을 형성하고 있어, 유리된 유화제와 평형 관계는 아니므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물로 희석해도 파괴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물로 용이하게 희석할 수 있어, 농도나 점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바셀린 함유 피부 외용제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물로 희석할 수 없다.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는, 천연 고분자 또는 합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유화제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도 있다. 단, 안전성이 뛰어나고, 일반적으로 저가인 점에서, 천연 고분자가 바람직하고, 유화 기능이 뛰어난 점에서 아래에 기술하는 당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입자란, 중축합 폴리머가 단일 입자화된 것, 또는 그 단일 입자끼리가 이어진 것 모두 포함하는 한편, 단일 입자화되기 전의 응집체(망목 구조를 갖는다)는 포함하지 않는다.
당 중합체는, 셀룰로오스, 전분 등의 글루코시드 구조를 갖는 폴리머이다. 예를 들어, 리보오스, 자일로오스, 람노오스, 푸코스,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등의 단당류 중에서 몇개의 당을 구성요소로 하여 미생물이 산생(産生)하는 것, 잔탄감, 아라비아검, 구아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후코이단, 퀸스씨드검, 트래거캔스검, 로커스트빈검, 갈락토만난, 커들란, 젤란검, 푸코겔, 카제인, 젤라틴, 전분, 콜라겐,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유도체, 흰목이버섯 다당체 등의 천연 고분자,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결정체, 전분·아크릴산 나트륨 그래프트 중합체, 소수화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 고분자,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등의 합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소낭을 형성하는 양친매성 물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일반식 1
[화학식 1]
식 중,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인 E는, 3~100이다.
양친매성 물질로는, 인 지질이나 인 지질 유도체 등, 특히 소수기와 친수기가 에스테르 결합한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인 지질로는,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나는 구성 중, 탄소쇄 길이 12의 DLPC(1, 2-Dilauroyl-sn-glycero-3-phospho-rac-1-choline), 탄소쇄 길이 14의 DMPC(1, 2-Dimyristoyl-sn-glycero-3-phospho-rac-1-choline), 탄소쇄 길이 16의 DPPC(1, 2-Dipalmitoyl-sn-glycero-3-phospho-rac-1-choline)가 채용 가능하다.
일반식 2
[화학식 2]
또한, 하기 일반식 3으로 나타나는 구성 중, 탄소쇄 길이 12의 DLPG(1, 2-Dilauroyl-sn-glycero-3-phospho-rac-1-glycerol)의 Na 염 또는 NH4염, 탄소쇄 길이 14의 DMPG(1, 2-Dimyristoyl-sn-glycero-3-phospho-rac-1-glycerol)의 Na 염 또는 NH4염, 탄소쇄 길이 16의 DPPG(1, 2-Dipalmitoyl-sn-glycero-3-phospho-rac-1-glycerol)의 Na 염 또는 NH4염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일반식 3
[화학식 3]
또한, 인 지질로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 등의 레시틴을 채용할 수도 있다.
양친매성 물질로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폴리글리세린과 직쇄 지방산 또는 분기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며, 구체적으로는, 모노팔미트산 폴리글리세릴, 디팔미트산 폴리글리세릴, 트리팔미트산 폴리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자당 미리스트산 에스테르,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자당 팔미트산 에스테르, 자당 올레산 에스테르, 자당 라우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 소낭의 총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O/W형 에멀전의 총량에 대하여, 0.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1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 소낭의 총량으로는, O/W형 에멀전의 총량에 대하여, 50질량% 이하, 40질량% 이하, 30질량% 이하, 25질량% 이하, 20질량% 이하, 15질량% 이하, 10질량% 이하일 수도 있다.
중합성 폴리머 입자 및 소낭의 평균 입자 지름은, 에멀전 형성 전에는 8 nm~800 nm 정도이지만, O/W형 에멀전 구조에 있어서는 8 nm~500 nm 정도이다. 그리고,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 소낭은, 한쪽만 포함될 수도, 양쪽이 포함될 수도 있다. 양쪽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따로 따로 유화한 에멀전을 혼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지름」이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 FPAR(오오츠카덴시(주)사 제품)을 이용하여 동적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여, Contin 해석에 의해 구한 값이다.
<유상>
유상은,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것으로, 내상의 일부를 구성한다.
(바셀린)
바셀린은, O/W형 에멀전 구조의 유상을 주로 구성하는 것이다.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유상에 이용하는 바셀린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선화이트(Sun White) P-150, 선화이트 P-200, 선화이트 S-200(이상, 닛코리카사 제품), 노무코트(NOMUCOAT) W(닛신오일리오사 제품), CROLATUM V(크로다재팬사 제품), 페렌스노, 울티마 화이트, 바셀린 베이스 No. 4(이상, 펜레코사 제품), PROTOPET Super White, SONNECONE DM1, SONNECONE CM, MINERAL GELLY#10, MINERAL GELLY#14, MINERAL GELLY#17, SONOJELL#4, SONOJELL#9(이상 Sonneborn사 제품) 등의 시판 중인 바셀린 중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바셀린의 총량은,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대하여 1질량%~80질량%의 양일 수도 있다. 또한, 바셀린의 보습성을 충분히 얻는 점에서,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셀린의 총량이 소요량 이상인 것에 의해, 도포 후의 피막감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이 수준의 양의 바셀린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저점성을 나타내고, 사용감이 뛰어난다. 바셀린의 총량은, 끈적임을 억제하는 점에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대하여 7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셀린의 총량이 적을수록,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점도를 낮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퍼짐성이 좋은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셀린의 함유량을 줄여, 얇게 도포하는 편이, 충분히 피막감(보수성)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뛰어나다.
바셀린을 포함하는 유상의 총량은,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대하여 1질량%~80질량%의 양일 수도 있다. 또한, 바셀린을 포함하는 유상의 총량은, 2질량% 이상, 3질량% 이상, 5질량% 이상, 7질량% 이상일 수도 있다. 한편, 바셀린의 총량은,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대하여 70질량% 이하, 60질량% 이하, 50질량% 미만, 40질량% 이하일 수도 있다.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은,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상이며, 내상의 일부를 구성한다.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대하여 0.001질량%~50질량%의 양일 수도 있고, 0.05질량%~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질량%~30질량%의 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상>
수상은, O/W형 에멀전 구조에 있어서, 유상으로서의 바셀린을 분산하는 매체이다.
수상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대하여 20질량%~99.99질량%의 양일 수도 있고, 25질량%~98.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98질량%의 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상은, 물 이외에 후술하는 임의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점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400000 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00 mPa·s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 mPa·s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00 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점도로는, 예를 들어 10 mPa·s 이상, 20 mPa·s 이상, 50 mPa·s 이상일 수도 있고, 100 mPa·s 이상, 200 mPa·s 이상일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점도」란, 시바우라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B형 점토계 VSA1형을 이용하여, 25℃, 1 min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을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바셀린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저점성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바셀린은, 25℃에서는 B형 점토계로 측정이 불가능할 정도로 단단하다.
본 발명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교반 등으로 용이하게 유화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유화 상태에서 O/W형 에멀전 구조를 갖고 안정적으로 유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겔상 등의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증점제나 유화 보조제를 이용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유화된 바셀린을 포함하는 O/W 에멀전형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O/W 에멀전형 구조를 갖고 있어, 종래의 과제였던 바셀린 기제에 기인하는 끈적임이나 기능성 성분에 기인하는 거침이 현저하게 억제되어, 피부에 대한 위화감이나 불쾌감 없이 도포할 수 있다.
≪제2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제2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소낭이, 유상 및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있어서는,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이 각각 별도의 내상(에멀전 입자)에 배치되는데 반해, 이 제2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있어서는,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이 동일한 내상(에멀전 입자)에 배치된다. 이 제2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있어서도,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와 마찬가지로, 피부 또는 점막 상에서의 끈적임이나 거침이 억제되어 있어, 퍼짐성이 좋고, 피막감이 높다.
제2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유상에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하고,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을 필수의 구성으로 하지 않는 것 이외에,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유상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유상>
제2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있어서, 유상은,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것으로, 내상의 일부를 구성한다.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의 종류나 함유량에 대해서도,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기술한 제1 및 제2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유상에 기능성 성분 이외의 각종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수상에 기능성 성분 또는 기타 각종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이, 유상 및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제1양태 및 제2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가 기능성 성분으로 비수용성인 것을 사용하는데 반해, 이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기능성 성분으로 수용성인 것을 사용한다. 이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있어서도,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와 마찬가지로, 바셀린에 기인하는 피부 또는 점막 상에서 끈적임이 억제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것 같은 외용제에 있어서는, 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용해되지 않고 해당 외용제 중에 존재하므로, 거침이 존재하는데, 이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물을 외상으로 하고,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이 수상에 포함되기 때문에, 용해되어 거침이 억제되어 있고, 또한 퍼짐성이 좋고, 피막감도 높다.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수상에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하고,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을 필수 구성으로 하지 않는 것 이외에,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수상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수상>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있어서, 수상은,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외상을 구성한다.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수상에 용해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에 대하여 0.001질량%~50질량%의 양일 수도 있고, 0.001질량%~4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질량%~40질량%의 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수상에 기능성 성분 이외의 각종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유상에 기능성 성분 또는 기타 각종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성질과 상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연고제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도포 대상은, 사람에 한정되지 않고, 동물(개, 고양이, 소, 말, 새 등)일 수도 있다.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및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제조 방법≫
상술한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및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이 분산된 물에,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는 기름을 적하하여 교반 혼합한다. 이것에 의해,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을 포함하고, 그 일부가, 유상 및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원료 유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폐쇄 소포체를 형성하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폐쇄 소포체 및/또는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의 단일 입자가 분산된 물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특허 3855203호에 있어서 종래 공지된 것이므로 생략한다. 각 성분의 배합량이나 임의 성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얻어진 원료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면, 바셀린에 의해 형성된 유상과는 별도로, 계내에 잉여로 존재하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나 소낭에 의해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이 유화되어, 외상인 물에 분산되어,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가 얻어진다.
한편, 얻어진 원료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면, 이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물에 용해되어,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가 얻어진다.
≪제2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제조 방법≫
제2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는, 상술한 원료 유화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는 오일에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혼합하여 유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상술한 바와 같이,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을 포함하고, 그 일부가, 유상 및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원료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수용성 기능성 성분이나, 수용성 기능성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상술한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나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즉, 상술과 같은 원료 유화 조성물은, 제1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나 제3양태의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재에 의하면,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첨가했을 경우에는, O/W 에멀전의 수상(외상)에 용해하는 한편,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첨가했을 경우에는, 바셀린에 의한 유상(내상)과는 별도로 액(液)중에 공존하므로, 어떤 물질을 첨가해도 안정적인 유화 조성물이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제 1)
스테아록시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stearoxyhydroxypropylmethyl cellulose)(산젤로오스(sangelose) 90 L, 다이도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의 0.5질량% 분산액 50 g에 이온 교환수를 30 g 가하여 조제한 분산액을 90℃에서 가열 교반하면서, 90℃로 가열한 백색 바셀린 20 g을 적하하였다. 전량 적하 후, 교반하면서, 추가로 5분간 가열을 유지했다. 그 후 교반하면서 냉각했다. 얻어진 액체는, 백색의 유화물이었다. 얻어진 에멀전의 평균 입자 지름은 4~5 μm였다.
(기제 2)
기재 1과 동일한 조성으로, 호모 믹서의 교반 속도 등을 조정하여, 에멀전의 평균 입자 지름이 20 μm가 되도록 유화물을 조제했다. 그 후,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얻어진 유화물은 백색이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기제에 대해 현미경 관찰을 수행했다. 도 1은, 기제 1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또한, 도 2는, 기제 2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수상 중에 다수의 구상 입자가 확인되었다. 이 구상 입자는 에멀전 입자이며, 기제는 바셀린의 유상이 수상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제 1 및 2를 유리병으로 옮기고, 각각을 24시간 정치한 후의 유화 상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안정적인 유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화 상태의 평가>
[실시예 1]
기제 1을 99.6질량%, 알란토인 분말을 0.4질량이 되도록 혼합했다. 얻어진 시료는, 백색의 유화물이었다.
그리고, 알란토인은, 조직 수복 부활 작용(피부의 조직의 수복이나 활성화를 하는 작용), 항자극제 작용, 소염 진정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을 가지고 있어, 피부 트러블이나 여드름에 효과가 있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시료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4는, 알란토인 분말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이하, 도 3, 도 4 및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3, 도 4 및 도 1은 모두 동배율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시료(도 3 참조)는, 기제 1(도 1 참조)에 알란토인 분말(도 4 참조)을 첨가하여 얻은 것이지만, 기제 1(도 1 참조)과, 현미경 사진도에 있어서 큰 차이는 보이지 않고, 도 4에 있어서 확인되는 부정형 분말상의 알란토인이 분말상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알란토인은 수용성 물질이며, 외상인 수상에 용해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알란토인과 같은 수용성 물질이 외상인 수상에 용해되어도 유화 상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기제 1을 90.0질량%, 세레브로시드 분말을 10.0질량%가 되도록 혼합했다. 얻어진 시료는, 백색의 유화물이었다.
그리고, 세레브로시드는, 말 등의 동물성 세라마이드로, 사람의 피부에 가까운 성분이다. 보습 효과나 피부 흡수에 뛰어난다.
도 5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시료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6은, 세레브로시드 분말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이하, 도 5, 도 6 및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5, 도 6 및 도 1은 모두 동배율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시료(도 5 참조)는, 기제 1(도 1 참조)에 세레브로시드 분말(도 6 참조)을 첨가하여 얻은 것으로, 기제 1(도 1 참조)과는 달리, 현미경 사진도에 있어서, 바셀린을 포함하는 구상의 에멀전 입자 이외에, 대비(contrast)가 이것과는 상이한 부정형 분말상 물질이 확인되었다. 이 부정형 분말상 물질은, 형태가 첨가 전의 세레브로시드 분말과 대체로 유사한 점에서,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시료에 있어서, 도 6에 있어서 확인되는 부정형 분말상의 세레브로시드가 외상인 수상에 분산되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레브로시드는 비수용성 물질로, 외상인 수상에 용해되지 않고, 기제 1에 포함되는 스테아록시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에 의해 유화되어 분산되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3]
기제 2를 90.0질량%, 32질량% 산화티탄(1차 입경 12~15 nm)의 수분산액 10.0질량%가 되도록 혼합했다. 얻어진 시료는, 백색의 유화물이었다.
도 7은,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시료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8은, 32질량% 산화티탄의 수분산액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이하, 도 7, 도 8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7, 도 8 및 도 2는 모두 동배율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시료(도 7 참조)는, 기제 2(도 2 참조)에 32질량% 산화티탄의 수분산액(도 8 참조)을 첨가하여 얻은 것이다. 이 산화티탄은,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입경이 12~15 nm이며, 그 응집을 고려해도 현미경의 배율에 대하여 매우 미소한 크기이므로 도 8에 있어서 산화티탄의 입자 1개를 확인할 수 없다. 단, 산화티탄 입자가 분산되어 있으면, 분산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2의 외상을 참조)에 비해 상의 대비가 진해진다.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시료(도 7 참조)에서는, 기제 2(도 2 참조)와 비교하여, 현미경 사진도에 있어서, 바셀린으로 이루어지는 내상의 상의 대비에 대해서는,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시료(도 5 참조)와 기제 2(도 2 참조)와 큰 차이를 볼 수 없다. 한편, 바셀린으로 이루어지는 내상 이외의 부분의 상의 대비가 진하다. 현미경의 관찰 배율의 한계에 의해 산화티탄에 의한 각각의 에멀전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시료에 있어서는, 적어도 바셀린과는 동일한 에멀전(내상) 내에는 산화티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 해당 산화티탄을 수분산액에 스테아록시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입자를 첨가했을 경우, 이 입자에 의해 유화되는 것은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산화티탄은 바셀린과는 상이한 에멀전(내상)을 형성하여, 물에 분산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4]
기제 1을 90.0질량%, 29질량% 산화티탄(1차 입경 12~15 nm)의 실리콘유 분산액 10.0질량%가 되도록 혼합했다. 얻어진 시료는, 백색의 유화물이었다.
도 9는,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시료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도 10은, 29질량% 산화티탄의 실리콘유 분산액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이하, 도 9, 도 10 및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9, 도 10 및 도 1은 모두 동배율의 현미경 사진도이다.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시료(도 9 참조)는, 기제 1(도 1 참조)에 29질량% 산화티탄의 실리콘유 분산액(도 10 참조)을 첨가하여 얻은 것이다. 이 산화티탄은,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으로, 도 10에 있어서 산화티탄의 입자 1개를 확인할 수 없지만, 상의 대비가 진해진다.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시료(도 9 참조)에서는, 기제 1(도 1 참조)과 비교하여, 기제 1(도 1 참조)에서 보여진 대비가 연한 구상의 에멀전 입자 이외에, 이들에 비해 대비가 진한 구상의 에멀전 입자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시료에 있어서는, 바셀린의 에멀전 이외에, 실리콘유 및 산화티탄의 에멀전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점에서, 특정 중축합 폴리머나 소낭을 이용함으로써, 바셀린을 기제로 한 화장품이나 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 평가>
[실시예 5]
기제 1을 99.9질량%, 알란토인 분말을 0.1질량%가 되도록 혼합했다. 얻어진 시료는, 백색의 유화물이었다.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시료 및 비교 대상으로 한 일본약전(日本藥局方) 백색 바셀린에 대하여, 20~40대의 여성 10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관능 평가를 수행했다. 구체적으로, 왼쪽 전완의 손목 위치에서 상완에 걸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시료를, 오른쪽 전완의 손목 위치에서 상완에 걸쳐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을, 각각 1 FTU(검지의 제1 관절에 실리는 양) 도포하여, 각각의 「퍼짐 양호성」, 「흡수 빠르기」, 「부드러운 정도」, 「끈적임과 보송감」, 「피막감」을, 「매우 좋다」(2), 「좋다」(1),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0), 「나쁘다」(-1), 「매우 나쁘다」(-2)의 5단계 평가로 수행했다.
표 1~5에,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시료 및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에 대한 「퍼짐 양호성」(표 1), 「흡수 빠르기」(표 2), 「부드러운 정도」(표 3), 「끈적임과 보송감」(표 4), 「피막감」(표 5)의 관능 평가의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표 6에 패널리스트 10명의 관능 평가 결과의 수치(상기 2~-2의 수치)의 합계치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시료는, 「피막감」을 유지하면서도, 종래의 바셀린보다 「퍼짐 양호성」, 「흡수 빠르기」, 「부드러운 정도」, 「끈적임과 보송감」이라는 사용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퍼짐 양호성)
패널리스트 실시예5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1 2 -2
2 2 -2
3 2 -1
4 2 -2
5 2 -2
6 2 -2
7 2 -2
8 2 -2
9 2 -2
10 2 -2
(흡수 빠르기)
패널리스트 실시예5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1 2 -2
2 2 -2
3 2 -2
4 2 -2
5 2 -2
6 2 -2
7 2 -2
8 2 -2
9 2 -2
10 2 -2
(부드러운 정도)
패널리스트 실시예5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1 2 -2
2 2 -1
3 2 -2
4 2 -2
5 2 -2
6 2 -2
7 2 -2
8 2 -1
9 2 -2
10 2 -2
(끈적임과 보송감)
패널리스트 실시예5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1 1 -1
2 1 -2
3 1 -1
4 2 -2
5 2 -1
6 2 -2
7 2 -2
8 1 -1
9 2 -2
10 1 -2
(피막감)
패널리스트 실시예5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1 2 2
2 1 2
3 1 2
4 2 2
5 1 2
6 2 2
7 2 2
8 1 2
9 2 2
10 1 2
실시예5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퍼짐 양호성 20 -19
흡수 양호성 20 -20
부드러운 정도 20 -18
끈적임과 보송감 15 -16
피막감 15 20
[실시예 6]
기제 1을 99.9질량%,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분말을 0.1질량%가 되도록 혼합했다. 얻어진 시료는, 백색의 유화물이었다.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시료 및 비교 대상으로서의 시판 중인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0.1% 연고(레더코트(ledercoat)(등록상표) 연고)에 대하여, 실시예 5와 동일하게 관능 평가를 수행했다. 그리고,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0.1% 연고는 바셀린을 기제로 하여, 유효 성분인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나 각종 첨가제를 혼련한 연고이다.
표 7~11에,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시료 및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0.1% 연고에 대한 「퍼짐 양호성」(표 7), 「흡수 빠르기」(표 8), 「부드러운 정도」(표 9), 「끈적임과 보송감」(표 10), 「피막감」(표 11)의 관능 평가의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표 12에 패널리스트 10명의 관능 평가 결과의 수치(상기 2~-2의 수치)의 합계치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시료는, 「피막감」을 가지면서도, 시판 중인 연고보다 「퍼짐 양호성」, 「흡수 빠르기」, 「부드러운 정도」, 「끈적임과 보송감」이라는 사용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퍼짐 양호성)
패널리스트 실시예6에서
얻어진 시료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0.1% 연고
1 2 -2
2 2 -2
3 2 -1
4 2 -2
5 2 -2
6 2 -2
7 2 -2
8 2 -2
9 2 -2
10 2 -2
(흡수 빠르기)
패널리스트 실시예6에서
얻어진 시료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0.1% 연고
1 2 -2
2 2 -1
3 2 -2
4 2 -2
5 2 -2
6 2 -2
7 2 -2
8 2 -2
9 2 -2
10 2 -2
(부드러운 정도)
패널리스트 실시예6에서
얻어진 시료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0.1% 연고
1 2 -2
2 2 -1
3 2 -2
4 2 -2
5 2 -2
6 2 -2
7 2 -2
8 2 -1
9 2 -2
10 2 -2
(끈적임과 보송감)
패널리스트 실시예6에서
얻어진 시료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0.1% 연고
1 2 -2
2 1 -2
3 2 -1
4 2 -2
5 1 -1
6 2 -2
7 2 -2
8 1 -2
9 2 -2
10 1 -2
(피막감)
패널리스트 실시예6에서
얻어진 시료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0.1% 연고
1 2 2
2 1 2
3 1 2
4 2 2
5 1 2
6 2 2
7 2 2
8 1 2
9 2 2
10 1 2
실시예6에서
얻어진 시료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0.1% 연고
퍼짐 양호성 20 -19
흡수 양호성 20 -19
부드러운 정도 20 -18
끈적임과 보송감 16 -18
피막감 15 20
[실시예 7]
기제 1을 99.9질량%, 길초산 베타메타손을 0.12질량%가 되도록 혼합했다. 얻어진 시료는, 백색의 유화물이었다.
실시예 7에서 얻어진 시료 및 비교 대상으로서의 시판 중인 길초산 베타메타손 0.12% 연고(린데론(rinderon)(등록상표)-V 연고)에 대하여, 실시예 5와 동일하게 관능 평가를 수행했다. 그리고, 길초산 베타메타손 0.12% 연고는, 바셀린 및 유동 파라핀을 기제로 하여, 유효 성분인 길초산 베타메타손을 혼련한 연고이다.
표 13~17에, 실시예 7에서 얻어진 시료 및 시판 중인 길초산 베타메타손 0.12% 연고에 대한 「퍼짐 양호성」(표 13), 「흡수 빠르기」(표 14), 「부드러운 정도」(표 15), 「끈적임과 보송감」(표 16), 「피막감」(표 17)의 관능 평가의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표 18에 패널리스트 10명의 관능 평가 결과의 수치(상기 2~-2의 수치)의 합계치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7에서 얻어진 시료는, 「피막감」을 가지면서도, 종래의 바셀린보다 「퍼짐 양호성」, 「흡수 빠르기」, 「부드러운 정도」, 「끈적임과 보송감」이라는 사용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퍼짐 양호성)
패널리스트 실시예7에서
얻어진 시료
길초산 베타메타손
0.12% 연고
1 2 -2
2 2 -2
3 2 -1
4 2 -2
5 2 -2
6 2 -2
7 2 -2
8 2 -2
9 2 -2
10 2 -2
(흡수 빠르기)
패널리스트 실시예7에서
얻어진 시료
길초산 베타메타손
0.12% 연고
1 2 -2
2 2 -2
3 2 -2
4 2 -2
5 2 -2
6 2 -2
7 2 -2
8 2 -1
9 2 -2
10 2 -2
(부드러운 정도)
패널리스트 실시예7에서
얻어진 시료
길초산 베타메타손
0.12% 연고
1 2 -2
2 2 -1
3 2 -2
4 2 -2
5 2 -1
6 2 -2
7 2 -2
8 2 -1
9 2 -2
10 2 -2
(끈적임과 보송감)
패널리스트 실시예7에서
얻어진 시료
길초산 베타메타손
0.12% 연고
1 2 -2
2 2 -2
3 1 -2
4 1 -2
5 1 -2
6 2 -2
7 2 -1
8 2 -2
9 2 -2
10 1 -2
(피막감)
패널리스트 실시예7에서
얻어진 시료
길초산 베타메타손
0.12% 연고
1 1 2
2 2 2
3 1 2
4 2 2
5 2 2
6 2 2
7 2 2
8 1 2
9 2 2
10 2 2
실시예7에서
얻어진 시료
길초산 베타메타손
0.12% 연고
퍼짐 양호성 20 -19
흡수 양호성 20 -19
부드러운 정도 20 -17
끈적임과 보송감 16 -19
피막감 17 20
[실시예 8]
기제 1을 93.4 질량, 산화티탄을 6.4질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SPF24, PA++로 만들었다. 얻어진 시료는, 백색의 유화물이었다.
실시예 8에서 얻어진 시료 및 비교 대상으로서의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에 대하여, 실시예 5와 동일하게 관능 평가를 수행했다.
표 19~23에, 실시예 8에서 얻어진 시료 및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에 대한 「퍼짐 양호성」(표 19), 「흡수 빠르기」(표 20), 「부드러운 정도」(표 21), 「끈적임과 보송감」(표 22), 「피막감」(표 23)의 관능 평가의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표 24에 패널리스트 10명의 관능 평가 결과의 수치(상기 2~-2의 수치)의 합계치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8에서 얻어진 시료는, 「피막감」을 유지하면서도, 종래의 바셀린보다 「퍼짐 양호성」, 「흡수 빠르기」, 「부드러운 정도」, 「끈적임과 보송감」이라는 사용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퍼짐 양호성)
패널리스트 실시예8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1 1 -2
2 2 -2
3 1 -1
4 1 -2
5 1 -2
6 2 -2
7 1 -2
8 1 -2
9 2 -2
10 1 -2
(흡수 빠르기)
패널리스트 실시예8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1 1 -2
2 1 -2
3 2 -2
4 2 -2
5 2 -2
6 1 -2
7 2 -2
8 1 -2
9 2 -2
10 2 -2
(부드러운 정도)
패널리스트 실시예8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1 1 -2
2 1 -1
3 1 -2
4 1 -2
5 2 -2
6 1 -2
7 1 -2
8 1 -1
9 1 -2
10 1 -2
(끈적임과 보송감)
패널리스트 실시예8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1 1 -2
2 1 -2
3 1 -1
4 2 -2
5 1 -2
6 2 -2
7 1 -2
8 1 -1
9 1 -2
10 1 -2
(피막감)
패널리스트 실시예8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1 2 2
2 2 2
3 1 2
4 1 2
5 1 2
6 2 2
7 1 2
8 1 2
9 2 2
10 1 2
실시예8에서
얻어진 시료
일본약전
백색 바셀린
퍼짐 양호성 13 -19
흡수 양호성 16 -20
부드러운 정도 11 -18
끈적임과 보송감 12 -18
피막감 14 20

Claims (13)

  1.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상 각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소낭이, 상기 유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 및 상기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2.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소낭이, 상기 유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피부 외용제의 총량에 대하여 50질량% 이하인,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화장품의 기능성 성분 및/또는 의약품의 기능성 성분인,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5.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이, 상기 유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피부 외용제의 총량에 대하여 0.001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은, 화장품의 기능성 성분 및/또는 의약품의 기능성 성분인,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8.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의 함유량은, 상기 피부 외용제의 총량에 대하여 70질량% 이하인,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9.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셀린의 함유량은, 상기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총량에 대하여 2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10.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을 포함하고, 그 일부가, 상기 유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에, 수용성의 기능성 성분 및/또는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제조방법.
  11.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이 분산된 수상에,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바셀린 및 비수용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을 적하하여 교반 혼합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제조방법.
  12. 바셀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셀린을 포함하여 25℃에서 점도가 5000 mPa·s 이상인 액체 혹은 반고체인 유상을 내상, 수상을 외상으로 하고,
    수산기를 갖는 중축합 폴리머 입자 및/또는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소낭을 포함하고, 그 일부가, 상기 유상 및 상기 수상의 계면에 개재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수용성 기능성 성분 및/또는 비수용성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를 제조하기 위한,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가 연고제인,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KR1020217026502A 2019-01-30 2020-01-30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및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KR102659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4661 2019-01-30
JP2019014661A JP6898622B2 (ja) 2019-01-30 2019-01-30 皮膚又は粘膜の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皮膚又は粘膜の外用剤の基剤
PCT/JP2020/003497 WO2020158881A1 (ja) 2019-01-30 2020-01-30 皮膚又は粘膜の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皮膚又は粘膜の外用剤の基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879A KR20210118879A (ko) 2021-10-01
KR102659903B1 true KR102659903B1 (ko) 2024-04-24

Family

ID=7184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502A KR102659903B1 (ko) 2019-01-30 2020-01-30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및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25690A1 (ko)
JP (1) JP6898622B2 (ko)
KR (1) KR102659903B1 (ko)
CN (1) CN113395981A (ko)
MY (1) MY194787A (ko)
SG (1) SG11202108373PA (ko)
WO (1) WO2020158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9476A1 (en) * 2022-02-25 2023-08-31 L'oreal Composition for caring for keratin material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9666A (ja) 2004-04-05 2006-09-14 Univ Kanagawa 乳化分散剤及びこれを用いた乳化分散方法並びに乳化物
JP2016084340A (ja) 2014-10-22 2016-05-19 学校法人神奈川大学 皮膚外用剤および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
JP2017141478A (ja) 2012-12-21 2017-08-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食器洗浄組成物
WO2018135108A1 (ja) 2017-01-17 2018-07-26 学校法人神奈川大学 粒子状組成物、液体組成物、粒子状組成物の製造方法、表面改質剤、水分散性の向上方法
JP2018172304A (ja)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乳化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191A (ja) * 2001-08-21 2003-02-26 Takuo Tsuji アトピー性皮膚炎及び各種の乾皮症、荒れ肌症用スキンケア・治療外用製剤
WO2004096281A1 (ja) * 2003-04-29 2004-11-11 Kowa Co., Ltd. 溶出性に優れた超難水溶性薬物含有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5024937B2 (ja) * 2007-01-26 2012-09-12 株式会社 資生堂 経皮吸収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9029791A (ja) * 2007-06-26 2009-02-12 Kowa Co ステロイドを含有するo/w型乳化製剤
GB2464430B8 (en) * 2007-07-20 2011-12-21 Rohto Pharma Emulsified composition
JP2011195511A (ja) * 2010-03-19 2011-10-06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皮膚外用組成物
JP2014141478A (ja) * 2012-12-27 2014-08-07 Univ Kanagaw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の刺激緩和剤及び刺激緩和方法
JP2016222585A (ja) 2015-05-29 2016-12-2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剤
WO2019021801A1 (ja) * 2017-07-28 2019-01-31 学校法人神奈川大学 皮膚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9666A (ja) 2004-04-05 2006-09-14 Univ Kanagawa 乳化分散剤及びこれを用いた乳化分散方法並びに乳化物
JP2017141478A (ja) 2012-12-21 2017-08-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食器洗浄組成物
JP2016084340A (ja) 2014-10-22 2016-05-19 学校法人神奈川大学 皮膚外用剤および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
WO2018135108A1 (ja) 2017-01-17 2018-07-26 学校法人神奈川大学 粒子状組成物、液体組成物、粒子状組成物の製造方法、表面改質剤、水分散性の向上方法
JP2018172304A (ja)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乳化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879A (ko) 2021-10-01
US20220125690A1 (en) 2022-04-28
JP2020121943A (ja) 2020-08-13
JP6898622B2 (ja) 2021-07-07
WO2020158881A1 (ja) 2020-08-06
MY194787A (en) 2022-12-15
TW202042842A (zh) 2020-12-01
CN113395981A (zh) 2021-09-14
SG11202108373PA (en)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4550B2 (ja) 高レベルの水混和性溶媒を含有する、疎水性物質の実質的に界面活性剤を含まないサブミクロン分散液
CN103313732A (zh) 含有脂质肽型胶凝剂和高分子化合物的凝胶片
CN103476390B (zh) 水包油型乳液组合物及其生产方法
BRPI1006024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emulsificada para cuidado da pele
US20040052749A1 (en) Revitalising active complex for the skin
EP2617410B1 (en) Oil-in-water type cosmetic
WO2012017733A1 (ja) 皮膚化粧料
KR102659903B1 (ko)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및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JP2007176820A (ja) 粉末状リン脂質組成物
JP2017178855A (ja) シワ及び/又は毛穴の隠蔽用の外用組成物
JP5679215B2 (ja) 逆紐状ミセルから成るオイルゲル
JP5393998B2 (ja) 乳液状化粧料
JP4594661B2 (ja) 油溶性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を含有した乳化組成物
JP2007176821A (ja) 粉末状リン脂質組成物
TWI833884B (zh) 皮膚或黏膜的外用劑及其製造方法、以及皮膚或黏膜的外用劑之基劑
JP2000239147A (ja) 化粧料
WO2010082487A1 (ja) 逆紐状ミセルから成るオイルゲル化剤および増粘ゲル状組成物
JP5582467B2 (ja) レシチンおよび尿素を主成分とする逆紐状ミセルから成るオイルゲル
JP7406057B2 (ja) 外用微粒子カプセル製剤及び皮膚外用剤
JP2013082705A (ja) 化粧料
JP2018118958A (ja) 乳化型組成物
JP2011231091A (ja) 超微細フイブロインエマルジョン
JP2004107238A (ja) 乾燥肌改善用キット
JP2005154285A (ja) 粉末状組成物及び化粧料
KR20200118626A (ko) 스킨 케어 조성물 및 관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