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021B1 -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021B1
KR102658021B1 KR1020247003020A KR20247003020A KR102658021B1 KR 102658021 B1 KR102658021 B1 KR 102658021B1 KR 1020247003020 A KR1020247003020 A KR 1020247003020A KR 20247003020 A KR20247003020 A KR 20247003020A KR 102658021 B1 KR102658021 B1 KR 10265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pair
frames
mounting
installat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7971A (ko
Inventor
류헤이 오시마
유키히로 후지이
슈헤이 다케다
히로토시 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7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에스컬레이터의 부품을 안전하게 재치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를 제공한다.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는 설치면을 가지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에스컬레이터의 복수의 스텝 중 상방 스텝이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복수의 스텝 중 상방 스텝에 하측에서 인접하는 재치 스텝의 상면에 설치면이 접하고, 상방 스텝측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재치 스텝으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오도록 놓여진 주판과, 주판의 설치면에 있어서 상방 스텝측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체와, 주판의 설치면의 상방 스텝과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체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본 개시는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를 개시한다. 해당 작업대에 의하면, 에스컬레이터의 보수 작업 시에, 개구부로부터 매달아 올려진 드라이브 유닛의 부품은 안정된 상태로 스텝에 재치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93043호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작업대에 있어서, 부품이 작업대에 재치될 때에, 작업대는 개구부의 방향으로의 마찰력을 부품으로부터 받을 수 있다. 작업대는 해당 마찰력에 의해서 개구부에 낙하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부품을 안전하게 재치할 수 없다.
본 개시는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의 부품을 안전하게 재치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는, 설치면을 가지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에스컬레이터의 복수의 스텝 중 상방 스텝이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텝 중 상기 상방 스텝에 하측에서 인접하는 재치 스텝의 상면에 상기 설치면이 접하고, 상기 상방 스텝측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상기 재치 스텝으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오도록 놓여진 주판과, 상기 주판의 상기 설치면에서 상기 상방 스텝측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체와, 상기 주판의 상기 설치면의 상기 상방 스텝과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체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제2 돌출체는 주판에서 개구부인 상방 스텝과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부품을 안전하게 재치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전체의 개요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주요부를 이동 경로의 하부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걸림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를 설치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를 재치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의 재치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를 장변 방향을 향하여 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의 다리부가 떼어내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걸림구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걸림구가 장착된 막대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고정 부재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우측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좌측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막대 부재가 핸드 레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벨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벨트의 타단측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벨트의 일단측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양중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양중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양중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에 의해서 매달아 올려지는 드라이브 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양중 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0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양중 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에 놓여진 드라이브 유닛의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다. 당해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절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전체의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에스컬레이터(1)는,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에 마련된다. 승객은, 에스컬레이터(1)의 이동 경로(2)를 지나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를 이동한다.
한쌍의 난간(3)은, 이동 경로(2)의 양측에 마련된다. 도 1은, 한쌍의 난간(3) 중 일방을 나타낸다. 한쌍의 핸드 레일(4) 각각은, 무단 모양의 벨트이다. 한쌍의 핸드 레일(4)은, 한쌍의 난간(3)의 외주에 각각 마련된다. 복수의 스텝 축(5)은, 이동 경로(2)의 하부에 마련된다. 복수의 스텝(6)은, 복수의 스텝 축(5)에 각각 장착된다. 통상 운전시, 승객은, 복수의 스텝(6)을 타고 이동 경로(2)를 이동한다.
에스컬레이터(1)의 드라이브 유닛(7)은, 이동 경로(2)의 하방에 마련된다. 개구부(8)는, 보수 작업에서 복수의 스텝(6) 중 몇개가 떼어내어짐으로써, 이동 경로(2)의 하부에 형성된다. 도 1에는, 복수의 스텝(6) 중 3개의 상방 스텝(6a)이 떼어내어진 상태가 도시된다. 이 상태에서, 드라이브 유닛(7)은, 개구부(8)를 통해서 노출된다.
서스펜션 공구(9)는, 에스컬레이터(1)에서 개구부(8)의 상방에 마련된다. 서스펜션 공구(9)는, 한쌍의 고정 부재(10)와 막대 부재(11)와 벨트(12)와 양중 장치(13)를 구비한다.
한쌍의 고정 부재(10)는, 한쌍의 핸드 레일(4)에 각각 고정된다.
예를 들면, 막대 부재(11)는, 금속제의 단관(單管)이다.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한쌍의 핸드 레일(4)의 폭 치수에 맞추어 결정된다. 막대 부재(11)의 양단부는, 한쌍의 핸드 레일(4)의 양측에 각각 걸쳐진다. 막대 부재(11)의 양단부는, 한쌍의 고정 부재(10)에 각각 고정된다.
예를 들면, 벨트(12)는, 래싱(lashing) 벨트이다. 벨트(12)는, 막대 부재(11)를 복수의 스텝 축(5) 중 하나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벨트(12)의 일단은, 막대 부재(11)의 중앙부에 장착된다. 벨트(12)의 타단은, 복수의 스텝 축(5) 중 하나에 장착된다. 벨트(12)는, 일단과 타단과의 사이에 장력이 발생하도록 당겨져 걸쳐진다. 예를 들면, 벨트(12)는,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투영면에서, 한쌍의 핸드 레일(4)과 수직하게 되도록 당겨져 걸쳐진다.
양중 장치(13)는, 물체를 호이스트로 매달아 올리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양중 장치(13)는, 체인 블록이다. 양중 장치(13)는, 체인체(13a)와 권상체(13b)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체인체(13a)는, 무단 모양의 쇠사슬이다. 체인체(13a)의 하단은, 호이스트를 가진다.
권상체(13b)는, 막대 부재(11)에 매달려진다. 권상체(13b)는, 체인체(13a)의 상단에 마련된다. 권상체(13b)는, 체인체(13a)를 감아올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권상체(13b)는,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작업대(14)는, 복수의 스텝(6) 중 개구부(8)에 하측에서 인접하는 재치 스텝(6b) 상에 놓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작업대(14)는, 3개의 상방 스텝(6a)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상방 스텝(6a)와 인접하고 있는 재치 스텝(6b) 상에 놓여진다.
보수 작업에서, 작업원은, 개구부(8)를 통해서 이동 경로(2)의 하방에 마련된 장치의 점검 작업, 부품 교환 작업 등의 작업을 행한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공구(9)는, 보수 작업시에 에스컬레이터(1)의 드라이브 유닛(7)의 부품인 디스크 브레이크(7a)를 운반할 때에 이용된다. 드라이브 유닛(7)의 부품을 운반하는 작업에서, 작업원은, 개구 공정, 제1 설치 공정, 제2 설치 공정, 매달아 올림 공정, 이동 공정, 및 재치 공정을 행한다.
개구 공정에서, 작업원은, 복수의 상방 스텝(6a)을 떼어냄으로써 개구부(8)를 마련한다. 그 후, 제1 설치 공정에서, 작업원은, 서스펜션 공구(9)를 에스컬레이터에 설치한다. 그 후, 제2 설치 공정에서, 작업원은, 작업대(14)를 재치 스텝(6b)에 설치한다.
그 후, 매달아 올림 공정에서, 작업원은, 양중 장치(13)를 이용하여 부품을 매달아 올린다. 이 때, 권상체(13b)는, 막대 부재(11)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매달려진 제1 위치(A)에 존재한다. 이 상태에서, 권상체(13b)는, 체인체(13a)를 감아올림으로써 드라이브 유닛(7)의 디스크 브레이크(7a)를 매달아 올린다. 권상체(13b)는, 3개의 상방 스텝(6a)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상방 스텝(6a)이 장착되어 있던 스텝 축(5)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디스크 브레이크(7a)를 양중한다.
그 후, 이동 공정에서, 작업원은, 디스크 브레이크(7a)를 잡아 당김으로써,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디스크 브레이크(7a)와 체인체(13a)의 하단의 호이스트를 이동 경로(2)의 하방측으로 원호 모양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이 때, 작업원은, 디스크 브레이크(7a)와 호이스트를 작업대(14)의 연직 상방까지 회전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권상체(13b)는, 제2 위치(B)에 존재한다.
그 후, 재치 공정에서, 작업원은, 디스크 브레이크(7a)의 연직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권상체(13b)로부터 연장되는 체인체(13a)를 연장시킴으로써 디스크 브레이크(7a)를 작업대(14)에 재치한다.
그 후, 예를 들면, 작업원은, 부품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교환 작업에서, 작업원은, 작업대(14)에 재치된 디스크 브레이크(7a)와 복수의 스텝 축(5) 중 어느 하나의 스텝 축(5)을 래싱 벨트로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원은, 디스크 브레이크(7a)의 부품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그 후, 디스크 브레이크(7a)는, 양중 장치(13)에 매달아 올려짐으로써, 드라이브 유닛(7)에 다시 설치된다. 이 경우, 교환 작업은 종료된다.
이어서, 도 2를 이용하여, 서스펜션 공구(9)를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주요부를 이동 경로의 하부로부터 본 도면이다.
서스펜션 공구(9)는, 제1 걸림구(15)와 제2 걸림구(16)를 구비한다.
제1 걸림구(15)는, 걸림구 통형부(15a)와 걸림부(15b)를 구비한다. 제1 걸림구(15)의 걸림구 통형부(15a)는, 막대 부재(11)의 막대 부분으로 통과된다. 걸림부(15b)는, 걸림구 통형부(15a)의 외주측에 마련된다. 걸림부(15b)는, 후크 등이 걸려지는 구멍을 가진다.
제1 걸림구(15)는, 걸림구 통형부(15a)에서,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막대 부재(11)에 마련된다. 제1 걸림구(15)는, 걸림구 통형부(15a)에서,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양중 장치(13)의 권상체(13b)는, 제1 걸림구(15)를 매개로 하여 막대 부재(11)에 매달려진다. 구체적으로는, 권상체(13b)는, 걸림부(15b)에 매달려진다. 권상체(13b)는, 걸림부(15b)를 매개로 하여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 걸림구(16)는, 제1 걸림구(15)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걸림구(16)는, 걸림구 통형부(16a)와 걸림부(16b)를 구비한다. 제2 걸림구(16)의 수는, 벨트(12)의 수에 맞추어 결정된다.
벨트(12)의 일단은, 제2 걸림구(16)의 걸림부(16b)에 장착된다. 벨트(12)는, 제2 걸림구(16)를 매개로 하여 막대 부재(11)에 장착된다.
한쌍의 고정 부재(10)는, 핸드 레일(4)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한쌍의 고정 부재(10)는, 이동 경로(2)를 따라서 상측을 보았을 때에,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고정 부재(10R)와,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고정 부재(10L)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4를 이용하여, 한쌍의 고정 부재(10)를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는, 한쌍의 고정 부재(10) 중 우측 고정 부재(10R)가 도시되어 있다.
우측 고정 부재(10R)는, 통형부(17)와 접면부(18)와 가이드부(19)를 구비한다.
통형부(17)는, 막대 부재(11)의 외주측을 내부로 통과시킬 수 있는 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통형부(17)는, 고정 비스가 조여짐으로써 막대 부재(11)를 내부에 고정한다.
접면부(18)는, 평면 모양의 판이다. 접면부(18)의 상면은 통형부(17)가 마련된다. 접면부(18)의 하면은 고무 시트를 가진다. 접면부(18)는 하면의 고무 시트에서 핸드 레일(4)의 상면에 접한다.
가이드부(19)는, 접면부(18)의 측방으로부터 원호 모양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19)는, 핸드 레일(4)의 측방 만곡부의 곡면과 동일한 형상의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19)는, 내면에 고무 시트를 가진다. 가이드부(19)는, 내면의 고무 시트에서 핸드 레일(4)의 측방 만곡부에 접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제1 걸림구(15)를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걸림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걸림구(15)는, 막대 부재(11)의 외주측에 마련된다. 제1 걸림구(15)는, 고정 비스(20)를 가진다. 제1 걸림구(15)는, 고정 비스(20)가 체결됨으로써, 막대 부재(11)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하여, 작업대(14)를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작업대(14)는, 주판(主板)(21)을 구비한다.
주판(21)은, 판 모양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주판(21)의 장변의 길이는, 이동 경로(2)의 방향에서의 스텝(6)의 길이보다도 길다. 주판(21)은, 재치면(21a)과, 재치면(21a)과는 반대를 향하는 설치면(21b)을 가진다.
주판(21)은, 재치 스텝(6b)의 상면에 놓여진다. 이 상태에서, 재치면(21a)은, 상방을 향한다. 설치면(21b)은, 재치 스텝(6b)의 상면과 접한다. 주판(2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재치 스텝(6b)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온다. 구체적으로는, 주판(21)의 장변 방향의 일단은, 재치 스텝(6b)에서의 개구부(8)측의 단부보다도 개구부(8)측으로 돌출된다. 주판(21)의 장변 방향의 타단은, 재치 스텝(6b)에서의 개구부(8)와는 반대측의 단부보다도 개구부(8)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도 7과 도 8을 이용하여, 작업대(14)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를 설치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작업대(14)는 2개의 제1 돌출체(22)와 2개의 제2 돌출체(23)와 2개의 다리(24)와 한쌍의 제1 프레임(25)과 한쌍의 제2 프레임(26)과 한쌍의 지지 막대(27)를 추가로 구비한다. 도 7의 (B)에는, 다리(24)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는, 2개의 제1 돌출체(22) 중 일방을 나타낸다. 2개의 제1 돌출체(22) 각각은, 주판(21)의 설치면(21b)의 일단부에서 설치면(21b)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7의 (A)는, 2개의 제2 돌출체(23) 중 일방을 나타낸다. 2개의 제2 돌출체(23) 각각은, 주판(21)의 설치면(21b)의 타단부에서 설치면(21b)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2개의 다리(24) 각각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한다. 도 7의 (A)는, 2개의 다리(24) 중 일방을 나타낸다. 다리(24)는, 축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리(24)의 축방향의 일단에는, 판 모양의 장착부(24a)가 마련된다. 다리(24)의 축방향의 일단은, 장착부(24a)를 매개로 하여 제2 돌출체(23)의 설치면(21b)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리(24)의 축방향의 타단에는, 축방향에 수직인 고무판이 마련된다.
한쌍의 제1 프레임(25) 각각은, 각봉(角棒) 모양으로 형성된다. 한쌍의 제1 프레임(25) 각각은, 주판(21)의 재치면(21a)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제1 프레임(25)은,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쌍의 제2 프레임(26) 각각은, 각봉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7의 (A)는, 한쌍의 제2 프레임(26) 중 일방을 나타낸다. 한쌍의 제2 프레임(26) 각각은, 한쌍의 제1 프레임(25)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에 걸쳐서 배치된다. 한쌍의 제2 프레임(26) 각각은, 한쌍의 제1 프레임(25)에서의 재치면(21a)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쌍의 제2 프레임(26) 각각은, 재치면(21a)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
한쌍의 지지 막대(27)는, 각봉 모양으로 형성된다. 한쌍의 지지 막대(27)는, 한쌍의 제1 프레임(25)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설치면(21b)의 일측의 단부에서, 2개의 제1 돌출체(22)는, 설치면(21b)의 중앙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설치면(21b)의 타측의 단부에서, 2개의 제2 돌출체(23)는, 설치면(21b)의 중앙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작업대(14)는, 손잡이 홈(28)과 재치 시트(29)와 2개의 다리 장착 부재(30)를 추가로 구비한다.
손잡이 홈(28)은, 제1 돌출체(22)와 제2 돌출체(23)와의 사이에서 설치면(21b)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재치 시트(29)는, 시트 모양의 스펀지 고무이다. 재치 시트(29)는, 제1 돌출체(22)와 제2 돌출체(23)와의 사이에서 설치면(21b)에 첩부(貼付)된다. 재치 시트(29)는, 손잡이 홈(28)을 덮지 않도록 마련된다.
2개의 다리 장착 부재(30) 각각은,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은 2개의 다리(24)에 대응하는 착탈대이다. 2개의 다리 장착 부재(30)는, 2개의 제2 돌출체(23)에 각각 마련된다. 다리 장착 부재(30)는, 받이부(30a)를 구비한다.
받이부(30a)는, 대응하는 제2 돌출체(23)의 설치면(21b)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마련된다. 받이부(30a)는,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받이부(30a)는,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은 다리(24)의 장착부(24a)를 내부의 공간에 격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도 9와 도 10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25)과 제2 프레임(26)과 지지 막대(27)를 설명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를 재치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의 재치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재치면(21a)에서, 한쌍의 제1 프레임(25) 중 일방은, 주판(21)의 장변 방향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한쌍의 제1 프레임(25) 중 일방은, 주판(21)의 장변과 직교하는 단변에 단부가 가지런하게 맞추어진다. 한쌍의 제1 프레임(25) 중 타방은, 한쌍의 제1 프레임(25)의 일방으로부터 제2 프레임(26)의 장변의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고정된다.
복수의 조정 구멍(25a)은, 한쌍의 제1 프레임(25) 각각에 마련된다. 복수의 조정 구멍(25a)은, 제1 프레임(25)의 양단부에 규정의 수만큼 각각 마련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제1 프레임(25) 중 일방에는, 6개의 조정 구멍(25a)이 마련된다. 이 경우, 6개의 조정 구멍(25a) 중 3개는, 당해 제1 프레임(25)의 일단부에 마련된다. 6개의 조정 구멍(25a) 중 다른 3개는, 당해 제1 프레임(25)의 타단부에 마련된다.
한쌍의 제2 프레임(26) 각각은, 재치면(21a)으로의 투영면에서, 한쌍의 제1 프레임(25) 각각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한쌍의 제2 프레임(26) 각각에서, 양단부는, 한쌍의 제1 프레임(25)에 각각 고정된다. 한쌍의 제2 프레임(26) 각각은, 대응하는 조정 구멍(25a)를 통해서 볼트에 의해서 한쌍의 제1 프레임(25)에 각각 고정된다. 한쌍의 제2 프레임(26)의 간격은, 어느 조정 구멍(25a)에 고정될지에 의해서 변화한다.
한쌍의 지지 막대(27)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한쌍의 지지 막대(27) 각각은, 한쌍의 제1 프레임(25)과 병행하여 마련된다.
도 10은, 한쌍의 제1 프레임(25) 중 일방에 마련된 복수의 조정 구멍(25a)의 일부를 나타낸다. 복수의 조정 구멍(25a)의 간격은,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은 드라이브 유닛(7)으로부터 취출되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한쌍의 제2 프레임(26) 각각이 어느 조정 구멍(25a)에 고정될지는, 당해 부품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다리(24)를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를 장변 방향을 향하여 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의 다리부가 떼어내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2개의 다리 장착 부재(30) 각각은, 고정부(30b)를 추가로 구비한다.
고정부(30b)는, 대응하는 제2 돌출체(23)에서의 주판(21)의 장변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마련된다. 고정부(30b)는,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을 가진다. 고정부(30b)는, 돌출부(30c)를 가진다. 돌출부(30c)는, 받이부(30a)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위치와, 고정부(30b)의 내부에 격납되는 격납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돌출부(30c)는, 고정부(30b)의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도 11은, 돌출 위치에 존재하는 돌출부(30c)를 나타낸다. 돌출부(30c)가 돌출 위치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고정부(30b)는, 받이부(30a)에 격납된 장착부(24a)를 받이부(30a)의 내부에 고정한다.
도 12는, 다리(24)의 장착부(24a)가 받이부(30a)에 격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30c)는,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작업원은, 고정부(30b)의 스프링에 저항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돌출부(30c)를 돌출 위치로부터 격납 위치로 이동시킨다. 돌출부(30c)가 격납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작업원은 장착부(24a)를 받이부(30a)의 내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도 13은, 다리 장착 부재(30)로부터 떼어내어진 2개의 다리(24)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다리(24)는, 다리 장착 부재(30)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운반 및 보관된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서스펜션 공구(9)를 장착하는 공정에서의 초반의 공정을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걸림구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걸림구가 장착된 막대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고정 부재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우측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좌측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스펜션 공구(9)를 설치하는 제1 설치 공정에서, 먼저, 작업원은 막대 부재(11)에 제1 걸림구(15), 제2 걸림구(16), 및 한쌍의 고정 부재(10) 각각을 통과시키는 공정을 실시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걸림구(15)에서, 걸림구 통형부(15a)는, 막대 부재(11)에 통과시켜진다.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제2 걸림구(16)에서, 걸림구 통형부(16a)는 막대 부재(11)에 통과시켜진다.
도 15는, 1개의 제1 걸림구(15)와 2개의 제2 걸림구(16)를 나타낸다.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에서, 제1 걸림구(15)는, 2개의 제2 걸림구(16)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16은, 고정 부재(10)가 막대 부재(11)에 통과시켜지는 공정을 나타낸다. 제2 걸림구(16) 및 도 16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1 걸림구(15)가 막대 부재(11)에 통과시켜진 후, 고정 부재(10)가 막대 부재에 통과시켜진다. 이 때, 한쌍의 고정 부재(10) 각각에서, 통형부(17)는, 막대 부재(11)에 통과시켜진다. 도 17은, 막대 부재(11)에 통과시켜진 우측 고정 부재(10R)를 나타낸다. 도 18은, 막대 부재(11)에 통과시켜진 좌측 고정 부재(10L)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6을 이용하여, 서스펜션 공구(9)가 에스컬레이터(1)에 설치되는 공정을 설명한다.
도 19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막대 부재가 핸드 레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벨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벨트의 타단측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벨트의 일단측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양중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양중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양중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한쌍의 고정 부재(10)는, 막대 부재(11)에 통과시켜진 후, 한쌍의 핸드 레일(4)에 각각 장착된다. 이 때, 막대 부재(11)의 위치는, 매달아 올리는 목적으로 하는 부품의 연직 상방의 위치가 되도록 조정된다.
도 20은, 핸드 레일(4)에 장착된 우측 고정 부재(10R)를 나타낸다. 우측 고정 부재(10R)는, 막대 부재(11)에 통과시켜진 상태에서, 핸드 레일(4)에 측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우측 고정 부재(10R)는, 핸드 레일(4)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 비스가 체결된다.
도시되지 않지만, 좌측 고정 부재(10L)는, 우측 고정 부재(10R)와 마찬가지로 핸드 레일(4)에 장착된다. 좌측 고정 부재(10L)는, 핸드 레일(4)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 비스가 체결된다.
그 후,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막대 부재(11)는, 2개의 벨트(12)에 의해서, 중앙부로부터 우측과 좌측에서 스텝 축(5)에 체결된다. 이 때, 한쌍의 고정 부재(10)는, 벨트(12)의 장력에 의해서 한쌍의 핸드 레일(4) 각각에 밀어붙여진다. 이 때문에, 고정 부재(10)와 핸드 레일(4)과의 사이의 최대 정지 마찰력이 크게 된다.
도 22는, 우측의 벨트(12)와 스텝 축(5)과의 장착 부분을 나타낸다. 벨트(12)의 타단은, 스텝 축(5)에 감겨진다. 도 23은, 우측의 벨트(12)와 막대 부재(11)와의 장착 부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벨트(12)의 일단은, S자 후크를 매개로 하여 제2 걸림구(16)의 걸림부(16b)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벨트(12)의 단부(12a)가 잡아당겨짐으로써, 벨트(12)에는, 일단과 타단과의 사이에 장력이 발생한다.
그 후,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작업원은, 양중 장치(13)를 제1 걸림구(15)에 장착하는 작업을 행한다. 예를 들면, 권상체(13b)는, 후크을 매개로 하여 제1 걸림구(15)의 걸림부(15b)에 매달려진다. 체인체(13a)는, 권상체(13b)의 하방으로 매달려진다. 도 25와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양중 장치(13)는, 제1 걸림구(15)를 매개로 하여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 27을 이용하여, 작업대(14)의 설치 상태를 설명한다.
도 27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작업대(14)의 주판(21)은, 재치 스텝(6b)에 마련된다. 주판(21)에서, 재치 시트(29)는, 재치 스텝(6b)의 상면에 접한다. 제1 돌출체(22)는, 재치 스텝(6b)보다도 개구부(8)측에 위치한다. 제2 돌출체(23)는, 재치 스텝(6b)보다도 개구부(8)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한다. 즉, 제2 돌출체(23)는, 제1 돌출체(22)에 대해서 재치 스텝(6b)의 상면을 사이에 둔 반대측으로 돌출한다.
작업대(14)가 재치 스텝(6b)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판(21)은, 제1 돌출체(22) 및 제2 돌출체(23)에 의해서 재치 스텝(6b)에 대한 개구부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
다리(24)의 하측의 단부는, 재치 스텝(6b)보다 1단 하측의 스텝(6)의 상면에 놓여진다. 이 때, 다리(24)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다리(24)가 주판(21)의 제2 돌출체(23)측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결정된다.
다음으로, 도 28 내지 도 30을 이용하여, 서스펜션 공구(9)에 의한 매달아 올림 공정과 이동 공정을 설명한다.
도 28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에 의해서 매달아 올려지는 드라이브 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양중 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0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서스펜션 공구의 양중 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8은, 드라이브 유닛(7)의 디스크 브레이크(7a)가 도시되어 있다. 매달아 올림 공정에서, 디스크 브레이크(7a)에는, 아이볼트가 장착된다. 도 28에는 도시되지 않은 권상체(13b)가 제1 위치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체인체(13a)의 호이스트는, 당해 아이볼트에 걸려진다.
도 29와 도 3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매달아 올림 공정에서, 권상체(13b)는,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권상체(13b)에 매달아 올려진 디스크 브레이크(7a)는, 체인체(13a)에 추종하여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디스크 브레이크(7a)는,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매달아 올려질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체인체(13a)와 권상체(13b)는, 디스크 브레이크(7a)를 도 30에는 도시되지 않은 재치 스텝(6b)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매달아 올린다.
그 후, 이동 공정이 행하여진다. 이동 공정에서, 작업원은, 갈고리 막대 등을 이용하여, 디스크 브레이크(7a)를 에스컬레이터(1)의 경사면 하측인 재치 스텝(6b)측으로 잡아 당긴다. 작업원은, 디스크 브레이크(7a)를 재치 스텝(6b)에 설치된 도 30에는 도시되지 않은 작업대(14)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체인체(13a)의 하단은, 디스크 브레이크(7a)와 함께 작업대(14)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체인체(13a)는, 권상체(13b)를 에스컬레이터(1)의 경사면 하측으로 잡아 당긴다. 이 경우, 권상체(13b)는, 막대 부재(11)를 축으로 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 31을 이용하여, 재치 공정을 설명한다.
도 3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에 놓여진 드라이브 유닛의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 공정 후, 재치 공정이 행하여진다. 재치 공정에서, 작업원은, 디스크 브레이크(7a)를 작업대(14)의 상방에 유지한 채로, 양중 장치(13)를 조작하여 디스크 브레이크(7a)를 내린다. 구체적으로는, 이 때, 작업원은, 양중 장치(13)의 호이스트 부분을 늘리는 조작을 행한다.
그 후, 도 3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디스크 브레이크(7a)는, 작업대(14) 상에 재치된다. 이 때, 디스크 브레이크(7a)는, 한쌍의 제1 프레임(25)과 한쌍의 제2 프레임(26)으로 형성되는 사방 프레임의 내부에 재치된다.
또, 디스크 브레이크(7a)가 작업대(14)에 재치될 때, 디스크 브레이크(7a)로부터 작업대(14)에 대해서 개구부(8)로 향하는 힘이 생길 수 있다. 도 31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2 돌출체(23)는, 재치 스텝(6b)에 걸림으로써, 당해 힘에 의해서 작업대(14)가 개구부(8)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도시되지 않지만, 그 후, 디스크 브레이크(7a)의 보수 작업이 행하여져도 괜찮다. 이 때, 디스크 브레이크(7a)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스텝 축(5)과 디스크 브레이크(7a)가 래싱 벨트로 고정되어도 괜찮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축(5)에 걸려진 래싱 벨트는, 제2 프레임(26)과 한쌍의 제1 프레임(25)과 재치면(21a)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하여 디스크 브레이크(7a)에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서스펜션 공구(9)는, 한쌍의 고정 부재(10)와 막대 부재(11)와 벨트(12)와 제1 걸림구(15)와 양중 장치(13)를 구비한다. 양중 장치(13)는, 체인체(13a)와 권상체(13b)를 구비한다. 권상체(13b)는, 막대 부재(11)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 공구(9)는, 재치 스텝(6b) 상에 안전하게 부품을 재치할 수 있다. 또, 서스펜션 공구(9)는, 간이한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 공구(9)는 용이하게 운반 및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서스펜션 공구(9)는, 부품을 재치 스텝(6b)에 재치할 수 있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작업원은, 에스컬레이터(1)의 이동 경로(2)에서 부품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작업대(14)는, 주판(21)과 제1 돌출체(22)와 제2 돌출체(23)를 구비한다. 작업대(14)가 재치 스텝(6b)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돌출체(22)와 제2 돌출체(23)는, 주판(21)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한다. 특히, 에스컬레이터(1)의 부품을 작업대(14)에 재치할 때에, 부품에는 양중 장치(13)로부터 개구부(8)로 잡아 당겨지는 힘이 발생한다. 이 때, 작업대(14)에는 당해 부품으로부터 개구부(8)의 방향으로의 마찰력이 가해진다. 제2 돌출체(23)는, 작업대(14)가 개구부(8)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작업대(14)는, 안정되게 재치 스텝(6b)에 마련된다. 이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부품을 안전하게 작업대(14)에 재치할 수 있다. 또, 부품은 작업대(14)에 재치되기 때문에, 스텝이 부품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작업대(14)는, 다리(24)를 구비한다. 주판(21)의 재치면(6a)에서 재치 스텝(6b)로부터 개구부(8)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에 아래 방향의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다리(24)는 당해 하중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당해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에, 다리(24)는 주판(21)과 재치 스텝(6b)의 개구부(8)과는 반대측의 단부와의 접점을 지점으로 하여 주판(21)이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대(14)를 안정된 상태로 재치 스텝(6b)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리(24)는, 제2 돌출체(23)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이 때문에, 다리(24)는, 스텝과 스텝과의 사이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리(24)는, 제2 돌출체(23)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마련된다. 다리(24)는, 작업대(14)를 운반할 때, 작업대(14)를 보관할 때 등에 떼어내어진다. 이 때문에, 작업대(14)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 작업대(14)를 보관하는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작업대(14)는, 한쌍의 제1 프레임(25)과 한쌍의 제2 프레임(26)을 구비한다. 작업대(14)에 재치된 부품은, 한쌍의 제1 프레임(25) 및 한쌍의 제2 프레임(26) 중 적어도 1개에 측방이 지지된다. 이 때문에, 작업대(14)는, 재치된 부품이 전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을 안정된 상태로 작업대(14)에 재치할 수 있다.
또, 한쌍의 제2 프레임(26)은, 복수의 조정 구멍(25a)에 의해서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때문에, 한쌍의 제2 프레임(26)의 간격을 부품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또, 한쌍의 제2 프레임(26)은, 재치면(21a)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작업대(14)에 재치된 부품의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 당해 틈새를 통해서 당해 부품과 스텝 축(5)을 체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안전하게 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부품을 에스컬레이터의 하층 부분까지 운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 에스컬레이터의 부품 교환 방법은, 제1 설치 공정과 제2 설치 공정과 매달아 올림 공정과 이동 공정과 재치 공정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 공구(9)를 이용하여 부품을 재치 스텝(6b)에 재치할 수 있다. 또, 서스펜션 공구(9)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교환 방법에서의 재치 공정 후, 작업대(14)에 재치된 부품을 에스컬레이터(1)가 걸쳐진 하층까지 내리는 작업이 행하여져도 괜찮다. 이 경우, 하층에서, 당해 부품에 대한 부품의 교체 작업 등이 행하여져도 괜찮다.
또한, 운반되는 에스컬레이터(1)의 부품이 원기둥형인 경우, 당해 부품의 원주에 한쌍의 지지 막대(27) 각각이 접하도록 당해 부품이 작업대(14)에 재치되어도 괜찮다. 이 경우, 지지 막대(27)는, 당해 부품이 굴러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운반되는 에스컬레이터(1)의 부품은, 디스크 브레이크(7a)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공구(9)는, 드라이브 유닛(7)의 모터를 운반해도 괜찮다. 이 경우, 작업대(14) 상에서 모터의 풀리의 교환 작업이 행하여져도 괜찮다.
<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관한 서스펜션 공구(9), 작업대(14) 및 부품 교환 방법은, 에스컬레이터(1)의 보수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1 : 에스컬레이터 2 : 이동 경로
3 : 난간 4 : 핸드 레일
5 : 스텝 축 6a : 재치면
7 : 드라이브 유닛 7a : 디스크 브레이크
8 : 개구부 9 : 공구
10 : 고정 부재 10L : 좌측 고정 부재
10R : 우측 고정 부재 11 : 막대 부재
12 : 벨트 12a : 단부
13 : 양중 장치 13a : 체인체
13b : 권상체 14 : 작업대
15: 제1 걸림구 15a : 걸림구 통형부
15b : 걸림부 16 : 제2 걸림구
16a : 걸림구 통형부 16b : 걸림부
17 : 통형부 18 : 접면부
19 : 가이드부 20 : 고정 비스
21 : 주판 21a : 재치면
21b : 설치면 22 : 제1 돌출체
23 : 제2 돌출체 24 : 다리
24a : 장착부 25 : 제1 프레임
25a : 조정 구멍 26 : 제2 프레임
27 : 지지 막대 28 : 손잡이 홈
29 : 재치 시트 30 : 다리 장착 부재
30a : 받이부 30b : 고정부
30c : 돌출부

Claims (7)

  1. 설치면을 가지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에스컬레이터의 복수의 스텝 중 상방 스텝이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텝 중 상기 상방 스텝에 하측에서 인접하는 재치 스텝의 상면에 상기 설치면이 접하고, 상기 상방 스텝측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상기 재치 스텝으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오도록 놓여진 주판과,
    상기 주판의 상기 설치면에서 상기 상방 스텝측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체와,
    상기 주판의 상기 설치면의 상기 상방 스텝과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체와,
    상기 제2 돌출체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돌출체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상기 복수의 스텝 중 상기 재치 스텝과 하측에서 인접하는 스텝의 상면에 지지되는 다리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는 상기 제2 돌출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제2 돌출체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면과는 반대를 향하는 재치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에 걸쳐서 상기 설치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서로 평행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2 프레임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4. 설치면을 가지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에스컬레이터의 복수의 스텝 중 상방 스텝이 떼어내어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텝 중 상기 상방 스텝에 하측에서 인접하는 재치 스텝의 상면에 상기 설치면이 접하고, 상기 상방 스텝측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상기 재치 스텝으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오도록 놓여진 주판과,
    상기 주판의 상기 설치면에서 상기 상방 스텝측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체와,
    상기 주판의 상기 설치면의 상기 상방 스텝과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체와,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면과는 반대를 향하는 재치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에 걸쳐서 상기 설치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서로 평행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2 프레임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서의 장착 위치가 조정 가능한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 중 일방은, 상기 주판의 상기 재치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 각각에 장착되는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7. 삭제
KR1020247003020A 2021-07-05 2021-07-05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KR102658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5333 WO2023281591A1 (ja) 2021-07-05 2021-07-05 エスカレーターの作業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971A KR20240017971A (ko) 2024-02-08
KR102658021B1 true KR102658021B1 (ko) 2024-04-17

Family

ID=8480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020A KR102658021B1 (ko) 2021-07-05 2021-07-05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39995B2 (ko)
KR (1) KR102658021B1 (ko)
CN (1) CN117580795B (ko)
WO (1) WO202328159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3388A (ja) 2017-10-19 2019-05-1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作業用足場装置および作業用足場設置方法
JP2020193043A (ja) 2019-05-24 2020-12-0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モータ載置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9752Y2 (ja) * 1979-08-31 1983-06-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階段足場兼用脚立
JPH11147684A (ja) * 1997-11-17 1999-06-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スカレータの足場装置
DE102008047427A1 (de) 2008-09-15 2010-04-15 Bähr, Albert, Dipl.-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st-Flüssig-Trennung von Stoffgemischen und Suspensionen
DE202017100661U1 (de) * 2017-02-08 2018-04-20 Hailo-Werk Rudolf Loh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fstellen einer Leiter oder eines Tritts auf einer Treppe
JP6819724B2 (ja) * 2019-05-28 2021-01-2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部品運搬工具、及びそれを用いた部品運搬方法
CN111042507A (zh) * 2019-12-17 2020-04-21 上海地铁第二运营有限公司 用于梯级台阶的操作平台
CN213418433U (zh) * 2020-06-16 2021-06-11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楼梯组合式操作平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3388A (ja) 2017-10-19 2019-05-1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作業用足場装置および作業用足場設置方法
JP2020193043A (ja) 2019-05-24 2020-12-0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モータ載置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281591A1 (ko) 2023-01-12
JP7439995B2 (ja) 2024-02-28
WO2023281591A1 (ja) 2023-01-12
CN117580795B (zh) 2024-07-09
CN117580795A (zh) 2024-02-20
KR20240017971A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2131C2 (ru) Порт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монтажа или обслуживания тяжелых частей движущегося устройства
KR102658021B1 (ko) 에스컬레이터의 작업대
WO2020035930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用のロープおろし治具
EP3048077A1 (en) A rope lifting tool and a rope lifting arrangement
JP7491473B2 (ja) エスカレーターの部品交換方法
JP2008222382A (ja) 据付用昇降装置移動方法
JP2006124064A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張力調整装置
CN108217405B (zh) 作业平台装置
WO2023032641A1 (ja) 乗客コンベアの保守用具
WO2023032479A1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の保持具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手摺の駆動シーブの設置方法
JP6382391B1 (ja) エレベーター釣合おもり枠の補強材取付支援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釣合おもり枠の補強材取付方法
JP2003040551A (ja) エレベータの主索移動装置並びに同装置による主索の撤去方法及び新設方法
JP2004244162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交換用治具
WO2018207263A1 (ja) エレベーター用長尺物運搬治具、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撤去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設置方法
CN111232807B (zh) 电梯用品起重装置
JP2006193257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把持装置およびその把持装置の据え付け方法
JP6909178B2 (ja) ロープ案内装置及びロープ交換方法
JP2016055707A (ja) 搬入用台車
JP2001220077A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頂部作業用足場装置
JPH01285571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取替え方法
JP2008050159A (ja) エレベータの錘保持装置および主ロープ緩和方法
JP2019214458A (ja) エレベーターの釣合重り支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釣合重り支持方法
JP2000169061A (ja) エレベーターかご室構成部材の交換工事方法及び同補助具
JPH09255258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部品据付装置
JP2000143117A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