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130B1 - 차량 캐빈에서 증강 미디어 경험을 위한 무드루프 - Google Patents

차량 캐빈에서 증강 미디어 경험을 위한 무드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130B1
KR102656130B1 KR1020190001108A KR20190001108A KR102656130B1 KR 102656130 B1 KR102656130 B1 KR 102656130B1 KR 1020190001108 A KR1020190001108 A KR 1020190001108A KR 20190001108 A KR20190001108 A KR 20190001108A KR 102656130 B1 KR102656130 B1 KR 10265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rface
display
media content
vehicle cabi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407A (ko
Inventor
라일리 윈턴
곰 요르겐센
크리스토퍼 루드비히
크리스토퍼 트레스테인
Original Assignee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40Hardware adaptations for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48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차량 캐빈으로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한다. 동작 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캐빈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결정한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그 후 적어도 하나의 상태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한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미디어 콘텐트와 연관된 시각적 콘텐트가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Description

차량 캐빈에서 증강 미디어 경험을 위한 무드루프{MOODROOF FOR AUGMENTED MEDIA EXPERIENCE IN A VEHICLE CABI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월 4일자로 출원되고 출원 번호 제62/613,709호를 가진 "Configurable Moodroof for Augmented Spatial Audio/Video Experience"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의 우선권 이득을 주장한다. 이러한 관련된 출원의 주제는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통합된다.
다양한 실시형태 분야
다양한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특히, 차량 캐빈(vehicle cabin)에서 증강 미디어 경험을 위한 무드루프(moodroof)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탑승자에게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탑승자가 라디오로부터 오디오 콘텐트를 수신하고, 휴대 전화 호출에 참여하고, 내비게이션 서브시스템으로부터 내비게이션 명령을 수신하고, 개선된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으로부터 안전 경고를 수신하는 등을 할 수 있게 한다. 유사하게, 시각적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탑승자가 오디오 콘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보고, 내비게이션 서브시스템으로부터 맵을 보고, ADAS로부터 안전 경고를 수신하는 등을 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차량-내 시각적 시스템은 센터 콘솔 위의 대시보드 상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좌석 머리받침의 후면 상에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vehicle infotainment system)의 구성요소일 수 있는, 대시보드 디스플레이는 통상적으로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헤드 유닛에 연결된다. 대시보드 디스플레이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차량 정보, 특정한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디오 콘텐트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콘텐트를 포함한, 헤드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머리받침 디스플레이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헤드 유닛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헤드 유닛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머리받침 디스플레이는 헤드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콘텐트(예로서, 엔터테인먼트 콘텐트) 또는 머리받침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또 다른 디바이스(예로서, 광학 디스크 플레이어)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시스템의 하나의 단점은 디스플레이가 종종 몰입형 미디어 경험을 제공하는데 실패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대시보드 및 머리받침 디스플레이가 비교적 작으며 및/또는 운전자에게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현되기 때문에, 스크린은 통상적으로 차량 탑승자를 위한 몰입형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 결과, 차량 탑승자는 종종 예를 들면 차량 창문을 통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결국 차량 바깥쪽 환경에 의해 제공된 시각적 경험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상황에서, 바깥쪽 환경은 차량 탑승자에 대한 열악한 시각 및/또는 청각 경험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차량이 정체된다면 및/또는 바깥 날씨가 열악하다면, 환경에 의해 제공된 시각 및/또는 청각 경험은 탑승자의 감정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에 타는 것은 탑승자에 대해 덜 즐겁지 않은 경험일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요구되는 것은 차량 캐빈의 탑승자에게 긍정적인 미디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기술이다.
일 실시형태는 차량 캐빈 내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캐빈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미디어 콘텐트와 연관된 시각적 콘텐트가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면(display surface) 상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형태는, 다른 것 중에서, 상기 제시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를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이점 및 기술적 개선은 자연 광 및 공기가 차량 캐빈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 천장이 개방되도록 여전히 허용하면서, 차량 캐빈의 천장이 차량 캐빈에서의 탑승자에게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공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양한 실시형태의 특징을 상기 나열한 방식이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상기 간단히 요약된,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한 보다 특정한 설명은, 그 일부가 첨부된 도면에 예시되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한 참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수반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의 통상적인 실시형태만을 예시하며 그러므로 임의의 방식으로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으며, 다른 동일하게 효과적인 실시형태가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차량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
도 2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1의 헤드 유닛의 보다 상세한 예시도;
도 3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2의 센서의 보다 상세한 예시도;
도 4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2의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보다 상세한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무드루프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예시한 다이어그램;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추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예시한 다이어그램;
도 7a 내지 도 7e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무드루프 투사 표면의 동작을 예시한 다이어그램;
도 8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시스템 상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단계의 흐름도;
도 9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5a 내지 도 5e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의 구현의 확대도;
도 10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6a 내지 도 6c의 추가 예시적인 무드루프 디스플레이의 구현의 확대도; 및
도 11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7a 내지 도 7e의 무드루프 투사 표면의 예시의 확대도.
다음의 설명에서,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다양한 실시형태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이들 특정 세부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차량(100)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1a는 차량(100)의 상부 부분의 측면도를 예시하며, 도 1b는 차량(100)의 노출된 상면도를 예시한다.
차량(100)은 차량 캐빈(103) 및 차량 캐빈(103)에서의 구성요소(예로서, 좌석, 제어, 스티어링 휠 등)를 보호하는 루프(102)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루프(102)는 선루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선루프는 차량(100)의 바깥쪽 환경에 차량 캐빈(103)을 노출시키도록, 루프(102)에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리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루프(102) 상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추가로 포함한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는 선루프 대신에, 또는 그것에 더하여 루프(10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는 루프(102)와 평행하여 움직이며 차량 캐빈의 내부를 향해 시각적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의 각각은, 헤드 유닛(120)의 방향 및/또는 조정 하에서, 차량 캐빈(103)에서의 탑승자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디어 콘텐트는 차량 캐빈(103)에서 탑승자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헤드 유닛(120)으로부터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1 및 110-2)는 헤드 유닛(120)으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콘텐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스크린,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이다.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투사 표면은 하나 이상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 대신에(또는 그것에 더하여) 무드루프 디스플레이로서 작용한다. 하나 이상의 투사기는 그 후 루프(102) 상에 또는 차량에서의 임의의 다른 실현 가능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투사기(들)는 헤드 유닛(120)으로부터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며 투사 표면으로 미디어 콘텐트를 투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차량 캐빈(103) 내에서 탑승자에 의한 시청을 위해 루프(102) 상에 배치된, 2개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1 및 110-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1)는 전방 좌석 위에 배치되며,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2)는 후방 좌석 위에 배치된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의 배치는 예이며, 루프(102) 상에서의 다른 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특정한 크기 및 종횡비를 가진 2개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는 단지 예로서 도시되며, 무드루프 디스플레이는 임의의 크기, 종횡비, 및 형태의 1, 2, 3,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는 개방되며 폐쇄될 수 있다(예로서,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로 및 그로부터 이동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는 트랙 및 모터 시스템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는 그 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및 그 반대로 트랙 및 모터 시스템을 통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는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투사 표면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되면, 투사 표면은 각각, 수축되고 확장됨으로써, 부분 개방 및 폐쇄를 포함하여,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투사기는 투사 표면이 완전히 및/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동안 미디어 콘텐트를 투사 표면으로 투사시키는 것으로부터 불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가 루프(102) 상에 설치되면, 다수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된다.
차량(100)은 헤드 유닛(120)을 포함한다. 헤드 유닛(120)은, 다른 것 중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로의 미디어 출력을 제어하는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을 포함한다. 헤드 유닛(120)은 또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제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는 차량(100)에서 하나 이상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개방 및/또는 폐쇄하기 위한 차량(100)의 탑승자에 의한 동작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제어는 차량(100)에서 다른 곳에(예로서, 운전자가 도달할 수 있는 루프(102)의 일부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무드루프 개방/폐쇄 제어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예로서, 버튼, 스위치,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구현될 수 있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유선 또는 무선 송신을 포함하여,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로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로 출력되는 미디어 콘텐트는 차량에(예로서, 헤드 유닛(120)에서) 위치된 저장 장치, 차량(10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디바이스(예로서, 헤드 유닛(12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 디바이스), 및/또는 차량(10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클라우드 서비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1의 헤드 유닛(120)의 보다 상세한 예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유닛(120)은, 제한 없이, 프로세서(202) 및 시스템 메모리(2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2) 및 시스템 메모리(204)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및 제한 없이,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서(202) 및 시스템 메모리(204)의 임의의 조합은 독립형 칩으로서 또는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ASIC) 또는 시스템-온-칩(SoC)으로서 구현되는 보다 포괄적인 솔루션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일반적으로 입력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2)는 프로그램 실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수의 프로세싱 코어, 메모리, 및 다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임의의 수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를 통해 입력을 수신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6)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픽셀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는 버튼, 마이크로폰, 카메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6)와 통합된 터치-기반 입력 디바이스(즉, 터치 스크린), 및 헤드 유닛(120)으로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입력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또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와 같은, 차량(100)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픽셀을 생성할 수 있다.
헤드 유닛(120)은 임의의 수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 유형 및 포맷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및 제한 없이, 몇몇 실시형태에서, 헤드 유닛(120)은 핸즈-프리 호출 및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내장 블루투스, 범용 직렬 버스(USB) 연결, 스피치 인식, 임의의 수의 뷰(예로서, 후방 뷰, 전방 뷰, 캐빈 내부 뷰, 루프 외부 뷰 등)를 위한 카메라 입력, 임의의 수 및 유형의 디스플레이(예로서, 머리받침-장착 디스플레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위한 비디오 출력, 및 임의의 수의 오디오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수의 센서, 디스플레이, 수신기, 송신기 등은 헤드 유닛(120)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헤드 유닛(120)의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헤드 유닛(120)과 통신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차량(100)은 헤드 유닛(120)에 대해 여기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의 기능을 구현하는 임의의 수의 독립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독립형 유닛은 헤드 유닛(120)과 통합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형태에서, 헤드 유닛(120)을 대체할 수 있다.
헤드 유닛은 (예로서, 오디오 출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212)로 오디오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의 예는, 제한 없이, 차량(100)에서의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204)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202)에 의한 프로세싱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칩과 같은 저장 칩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메모리(204)는 광학 드라이브, 자기 드라이브,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다른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저장 장치(210)는 시스템 메모리(204)를 보완할 수 있다. 저장 장치(210)는 프로세서(202)로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수 및 유형의 외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및 제한 없이, 저장 장치(210)는 보안 디지털 카드, 외부 플래시 메모리,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 외에 또는 그 대신에, 시스템 메모리(204)는 임의의 수 및 유형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메모리(204)는 몇 개 예를 들면, 엔터테인먼트 서브시스템, 내비게이션 서브시스템, 및 개선된 운전자 보조 서브시스템(ADAS)을 포함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서브시스템은 AM/FM 라디오, 위성 라디오, 오디오 및 비디오 컴퓨터 파일 플레이어(예로서, MP3 오디오 파일 플레이어), 광학 미디어 플레이어(예로서, 컴팩트 디스크(C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임의의 수 및 유형의 엔터테인먼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서브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을 효율적으로 내비게이팅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수 및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서브시스템은 맵, 방향 라우팅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DAS는 운전자 안전을 증가시키고, 운전 업무를 자동화하는 등을 하도록 설계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의 기능은 임의의 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예로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엔터테인먼트 서브시스템)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그것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헤드 유닛(120)은 추가로 이동 디바이스(218)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218)의 예는 제한 없이,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 및 랩탑 컴퓨터를 포함한다. 헤드 유닛(120)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예로서, 블루투스, Wi-Fi, USB 등) 이동 디바이스(218)와 통신할 수 있다. 헤드 유닛(120)은 이동 디바이스(218)에 저장된 콘텐트를 액세스할 수 있다. 게다가, 헤드 유닛(120)은 이동 디바이스(218)로부터(예로서, 헤드 유닛(12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이동 디바이스(218) 상에서의 앱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및/또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헤드 유닛(120)은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 및 선택적으로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과 추가로 통신할 수 있다.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모터, 트랙 등을 포함한다. 차량(100)이 선루프를 구비하면,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은 선루프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모터, 트랙 등을 포함한다. 헤드 유닛(120)은, 무드루프 개방/폐쇄 제어를 통한 사용자 입력(예로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를 통해 구현) 및/또는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으로부터의 명령어 신호에 응답하여,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헤드 유닛(120)은, 선루프 개방/폐쇄 제어를 통한 사용자 입력(예로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를 통해 구현) 및/또는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으로부터의 명령어 신호에 응답하여, 예를 들면, 선루프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드루프 개방/폐쇄 제어(예로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는 헤드 유닛(120) 상에 또는 차량(100)에서의 다른 곳에(예로서, 운전자가 도달할 수 있는 루프(102)의 일부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대시 가까이에 위치되고/되거나 머리받침 상에 장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종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6)로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한다. 몇몇 상황에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6)는 차량(100)에서 탑승자에 대한 몰입형 시각적 경험을 제공할 수 없다. 그 결과, 차량 탑승자는 (예로서, 차량 창문을 통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차량(100)의 바깥쪽 환경에 의해 제공된 시각적 경험에 의존한다. 종종, 그러나, 바깥쪽 환경은 차량 탑승자에 대해 열악한 시각 및/또는 청각 경험을 제공한다. 이들 열악한 시각 및/또는 청각 경험은 탑승자의 감정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차량(100)에서의 탑승이 탑승자에 대해 덜 즐겁지 않은 경험으로 만든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상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차량(100)의 탑승자에 대한 미디어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헤드 유닛(120)으로부터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244)를 수신하며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20)로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또한 헤드 유닛(120)으로부터 오디오 미디어 콘텐트(242)를 수신하며 오디오 미디어 콘텐트를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212)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하나 이상의 센서(220)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예로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 및/또는 이동 디바이스(218)를 통해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시각적 및/또는 오디오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하고/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캐빈(103)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상태를 결정하며 하나 이상의 상태에 기초하여 획득하고/하거나 생성할 미디어 콘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캐빈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상태는, 제한 없이, 차량(100) 밖의 날씨, 차량(100)의 속도, 차량(100)이 이동 중인 환경, 차량 캐빈(103)의 탑승 상태, 및/또는 차량(100)의 하나 이상의 탑승자의 감정 상태(들)를 포함할 수 있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시스템 메모리(204), 저장 장치(210), 센서(220), 시각적 센서(304 및 306), 및/또는 이동 디바이스(218)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소스(250)로부터 출력을 위한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획득된 미디어 콘텐트를 증강시키고(예로서, 카메라 이미지 위에 증강 현실 오버레이를 생성한다) 증강된 미디어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차량(100)의 탑승자의 미디어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로 미디어 콘텐트를 전달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2의 센서(220)의 보다 상세한 예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220)는 내부 시각적 센서(304), 외부 시각적 센서(306), 생물학적 센서(312), 청각 센서(314), 거동 센서(316), 차량 센서(318), 내부 환경 센서(320), 및 외부 환경 센서(32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20)은 센서(22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센서 데이터(330)를 수신하며 센서 데이터(330)를, 예를 들면,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을 포함한, 헤드 유닛(120) 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서브시스템 등으로 포워딩한다.
내부 시각적 센서(304)는 차량 캐빈(103) 및/또는 차량 캐빈(103)에서의 탑승자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차량(100)의 탑승자 중 하나 이상의 감정 상태(들) 및/또는 분위기(들)를 나타낼 수 있는 탑승자의 얼굴 표정, 신체 자세, 신체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탑승자가 어디에 위치되는지 및 탑승자가 차량 캐빈(103) 내에서 어떻게 자세를 취하는지를 보여주는 차량 캐빈(103)의 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내부 시각적 센서(304)는, 제한 없이, 임의의 수 및 조합의 적외선 카메라, RGB 카메라, 탑승자의 신체 및/또는 머리 상에서 다수의 관점 및/또는 차량 캐빈(103) 상에서의 다수의 관점을 제공하는 카메라 어레이, 및 신체 자세 및 신체 배치를 감지하는 깊이 카메라를 포함한다.
외부 시각적 센서(306)는 차량(100)으로부터의 상향 외부 뷰(예로서, 차량(100)으로부터 하늘을 향한 뷰) 및 선택적으로 차량(100)으로부터의 측방향 외부 뷰(예로서, 차량(100)의 측면, 전방 및 후방을 향한 뷰)를 포함한, 차량(100)의 외부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외부 시각적 센서(304)는, 제한 없이, 임의의 수 및 조합의 적외선 카메라, RGB 카메라, 차량(100)으로부터 외부 뷰 상에서의 다수의 관점을 제공하는 카메라 어레이, 및 차량(100)의 바깥쪽에 있는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깊이 카메라를 포함한다.
생물학적 센서(312)는 차량(100)의 탑승자 중 하나 이상의 감정 상태(들) 및/또는 분위기(들)와 연관시킬 수 있는 생물학적 데이터를 생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생물학적 센서(312)는, 제한 없이, 임의의 수 및 조합의 정서적 각성을 측정하는 갈바닉 피부 반응 센서, 혈중 산소 레벨을 검출하는 이미지 센서, 혈류를 검출하는 열 센서, 혈류를 검출하는 광학 센서, 뇌의 표면 전위를 검출하는 뇌파 검사(electroencephalography), 신경 활동을 검출하는 자기 뇌파 검사 등을 포함한다.
청각 센서(314)는 차량(100)의 탑승자 중 하나 이상의 감정 상태(들) 및/또는 분위기(들)를 나타낼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개인이 말한 단어뿐만 아니라 개인이 주어진 구절을 말하는 방식은 종종 정서 및 분위기를 나타낸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청각 센서(314)는, 제한 없이, 임의의 수 및 조합의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 어레이 등을 포함한다.
거동 센서(316)는 차량(100) 주위에 있는 개인뿐만 아니라 차량(100) 내에서의 탑승자의 활동으로의 통찰력을 제공하는 촉각 데이터, 전자 활동 데이터 등을 생성할 수 있다. 검출된 활동은 차량(100)의 탑승자 중 하나 이상의 감정 상태(들) 및/또는 분위기(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형태에서, 거동 센서(316)는, 제한 없이, 이동 디바이스의 사용을 검출하는 임의의 수의 이동 사용 센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탑승자에 의해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의 패턴은 무드에 연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이 재미있는, 소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분류화되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은 즐거운, 소셜 분위기와 연관시킬 수 있다.
동일한 또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거동 센서(316)는, 제한 없이, 압력 센서, 터치 센서, 음향 센서, 및 탑승자가 그들의 손을 어떻게 두는지를 나타내는 버튼 프레스 센서를 포함한다. 촉각 데이터는 탑승자의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자가 불필요한 힘으로 키를 누르고 있다는 촉각 데이터는 초조한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다.
차량 센서(들)(318)는 제한 없이, 차량(100)의 선형 속도, 차량(100)의 선회 속도 및 반경, 현재 이동 상에서 차량(100)에 의해 이동된 거리, 현재 이동 상에서 차량(100)에 의해 이동된 시간, 차량(100)에 의한 이동 방향 등을 포함한, 차량(100)의 하나 이상의 상태 및/또는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차량 센서(318)는, 제한 없이, 속도계, 가속도계, 나침반, 타이머, 주행 기록계 등을 포함한다.
내부 환경 센서(320)는 제한 없이, 차량 캐빈(103) 내에서의 온도, 차량 캐빈(103) 내에서의 습도, 차량 캐빈(103) 내에서의 기압 레벨, 차량 캐빈(103) 내에서의 광 강도, 차량 캐빈(103) 내에서 공기 품질의 등급 등을 포함한, 차량(100)의 내부 환경의 하나 이상의 상태(예로서, 차량 캐빈(103)의 하나 이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내부 환경 센서(320)는, 제한 없이, 온도계, 습도계, 바로미터, 럭스계(lux meter), 공기 품질 미터 등을 포함한다.
외부 환경 센서(322)는 제한 없이, 차량(100)의 바깥쪽 온도, 차량(100)의 바깥쪽 습도, 차량(100)의 바깥쪽 기압 레벨, 차량(100)의 바깥쪽 광 강도, 차량(100)의 바깥쪽 공기 품질의 등급, 차량(100)의 바깥쪽 날씨 조건 등을 포함한, 차량(100)의 외부 환경의 하나 이상의 상태(예로서, 도로 조건과 같은, 차량(100)의 바깥쪽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외부 환경 센서(322)는, 제한 없이, 온도계, 습도계, 바로미터, 럭스계, 공기 품질 미터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2의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의 보다 상세한 예시이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상태 결정 엔진(400), 게이팅 엔진(420),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 및 선택적으로, 목표 엔진(410)을 포함할 수 있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이 헤드 유닛(120)으로부터 센서 데이터(330)를 수신한 후, 상태 결정 엔진(400)은 하나 이상의 차량 상태(402)(예로서, 속도, 선회 속도 등), 하나 이상의 환경 상태(404)(예로서, 차량(100)의 바깥쪽 온도, 차량 캐빈(103) 안에서의 온도, 차량(100)의 바깥쪽 뷰 등), 및/또는 차량 캐빈(103)에서 하나 이상의 탑승자의 하나 이상의 감정 상태(406)를 결정하기 위해 센서 데이터(330)를 프로세싱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차량 상태(402), 환경 상태(404), 및 하나 이상의 감정 상태(406)의 각각은 몇몇 방식으로 차량 캐빈(103)과 연관된다. 예를 들면, 차량(100)의 속도는 차량 캐빈(103)의 속도이다. 또 다른 예로서, 차량(100)의 바깥쪽 온도는 창문 및/또는 선루프가 개방되는 경우 차량 캐빈(103)이 노출될 수 있는 온도이다. 추가 예로서, 차량 캐빈(103)에서 탑승자의 감정 상태는 차량 캐빈(103) 내에서의 분위기를 나타낸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부분으로서, 상태 결정 엔진(400)은 임의의 수의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에서 탑승자의 감정 상태(406)를 결정하기 위해, 상태 결정 엔진(400)은 자연어 프로세싱 알고리즘, 정서 분석, 및 스피치 분석과 같은, 감정 상태 및/또는 분위기를 결정하기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차량 상태(402) 및 환경 상태(404)에 대해, 상태 결정 엔진(404)은 이들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적절한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상태 결정 엔진(400)은 상이한 센서 유형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조합에 기초하여 명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에, 결정되는 상태의 각각의 유형에 대해, 상태 결정 엔진(400)은 프로세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연관된 상태를 결정한다. 상태 결정 엔진(400)은 차량 상태(402), 환경 상태(404), 및 감정 상태(406)를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태 결정 엔진(400)은, 차량 상태(402), 환경 상태(404), 및 감정 상태(406)를 결정하기 위해, 임의의 수 및 유형의 휴리스틱스, 규칙, 및/또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태 결정 엔진(400)은 차량 상태(402), 환경 상태(404), 및/또는 감정 상태(406)의 각각의 유형에 특정적이며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수의 서브-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태 결정 엔진(400)(또는 감정 상태 서브-엔진)은 지원 벡터 기계, 베이지안 분류기, 또는 마르코프 사슬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태 결정 엔진(400)은 얼굴 이미지, 생물학적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 데이터를 감정 상태(406)에 매핑시키는 감정 분류화 모델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태 결정 엔진(400)은 알려진 감정과 연관되는 이전에 관찰된 데이터에 프로세싱된 데이터를 상관시킨다. 동일한 또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태 결정 엔진(400)은 감정 상태(406)를 결정하기 위해 통계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게다가,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태 결정 엔진(400)은 탑승자에 대한 감정 상태를 공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태 결정 엔진은 각각의 탑승자에 대한 감정 상태를 결정하며 그 후 감정 상태(예로서, 평균 감정 상태, 중간 감정 상태, 가중 합계)를 종합할 수 있다.
점으로 된 박스로 묘사된 바와 같이, 목표 엔진(410)은 몇몇 실시형태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생략될 수 있다. 목표 엔진(410)이 구현되는 실시형태는 "목표 모드"로 동작하는 반면, 목표 엔진(410)이 생략되는 실시형태는 "비-목표 모드"로 동작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목표 엔진(410)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기준(예로서, 구성 가능한 설정)에 기초하여 목표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엔진(410)은, 제한 없이, 목표 상태(412), 초기 상태(414), 및 목표 상황(416)을 포함한다. 처음에, 목표 엔진(410)은 감정 상태(406)와 같은, 상태 결정 엔진(400)에 의해 결정된 하나 이상의 상태에 기초하여 목표 상태(412)를 결정한다. 목표 엔진(410)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목표 상태(412)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 엔진(410)은 감정 상태(406)에 기초하여 목표 상태(412)를 생성하기 위해, 임의의 조합으로, 임의의 수 및 유형의 휴리스틱스, 규칙, 및/또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목표 엔진(410)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및 임의의 수의 감정 상태(406)에 기초하여 탑승자에 대한 공동 목표 상태(412)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 엔진(410)은 감정 상태(406)의 가중 합계로서 공동 목표 상태(41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특정한 분위기와 연관된 감정 상태(406)는 다른 감정 상태(406)보다 더 많이 가중된다.
목표 엔진(410)이 목표 상태(412)를 결정한 후, 목표 엔진(410)은 목표 상태(412)가 새로운 목표 상태(412)임을 나타내기 위해 감정 상태(406) 및 목표 상황(416)을 반영하도록 초기 상태(414)를 설정한다. 그 뒤에,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 및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동작함에 따라, 목표 엔진(410)은 업데이트된 감정 상태(406)를 수신한다. 목표 엔진(410)은 그 후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이 초기 상태(414)로부터 목표 상태(412)로 타겟 탑승자와 연관된 감정 상태(406)를 성공적으로 전이시키고 있는지를 반영하기 위해 목표 상황(416)을 업데이트한다.
목표 엔진(410)은 또한 임의의 재생 기준에 기초하여(예로서, 목표 상태(412)가 도달될 때) 목표 상태(412), 초기 상태(414), 및 목표 상황(416)을 재생시킬 수 있다. 몇몇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목표 엔진(410)은 초기 상태(414)도 목표 상황(416)도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새로운 감정 상태(406)를 수신할 때, 목표 엔진(410)은 새로운 감정 상태(406)에 기초하여 목표 상태(412)를 재-생성한다. 특히, 감정은 종종 일시적이기 때문에, 목표 상태(412)는 목표 엔진(410)이 새로운 감정 상태(406)에 기초하여 새로운 목표 상태(412)를 생성하기 전에 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목표 엔진(410)은 헤드 유닛(120)으로의 사용자 입력(470)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자는 목표 상태를 특정 상태(예로서, "우리를 행복하게 한다")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예로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를 통한 터치 스크린 버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의 활성화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470)에 응답하여, 목표 엔진(410)은 목표 상태(412)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과 연관된 상태(예로서, "행복")로 설정하고, 감정 상태(406)를 반영하도록 초기 상태(414)를 설정하며, 특정 목표 상태(412)가 새로운 목표 상태(412)임을 나타내도록 목표 상황(416)을 설정한다. 그 뒤에,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 및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동작함에 따라, 목표 엔진(410)은 업데이트된 감정 상태(406)를 수신한다. 목표 엔진(410)은 그 후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이 초기 상태(414)로부터 특정 목표 상태(412)로 타겟 탑승자와 연관된 감정 상태(406)를 성공적으로 전이시키는지를 반영하기 위해 목표 상황(416)을 업데이트한다.
게이팅 엔진(420)은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이 상태(402, 404, 406)에 기초하여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탑승자에게 시각 및/또는 청각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할지를 결정한다. 게이팅 엔진(420)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탑승자에게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자 중 임의의 탑승자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특정 미디어 콘텐트를 플레이하기 위해 헤드 유닛(120)으로 사용자 입력(470)을 했다면, 게이팅 엔진(420)은 특정 미디어 콘텐트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플레이될 것이며 상태(402, 404, 406)가 무시될 수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플레이할 특정 콘텐트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은 상태(402, 404, 406)에 기초하여 획득되고/되거나 생성되는 미디어 콘텐트의 재생을 오버라이딩할 수 있다. 어떤 특정 미디어 콘텐트도 탑승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다면, 게이팅 엔진(420)은 상태(402, 404, 406)에 기초하여, 및 선택적으로 목표 상태(412), 초기 상태(414), 및/또는 목표 상황(416)을 고려하는 기술에 추가로 기초하여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가 탑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게이팅 엔진(420)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탑승자에게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면, 게이팅 엔진(420)은 탑승자에게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시키도록(예로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부터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불능시키도록)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구성한다. 게이팅 엔진(420)은 또한 게이팅 엔진(420)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탑승자에게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할 것이라고 결정할 때까지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이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244)를 획득하거나 또는 생성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다. 게이팅 엔진(420)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탑승자에게 오디오 콘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시키도록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거나 또는 개방 위치에 있다면, 게이팅 엔진(420)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탑승자에게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게이팅 엔진(420)은 그 후 탑승자에게 오디오 콘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시키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임의의 콘텐트를 페이드 아웃함으로써)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구성한다. 게이팅 엔진(420)은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 및/또는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과의 통신을 통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예로서,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은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으로 디스플레이 위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그러나, 게이팅 엔진(420)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탑승자로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할 것으로 결정한다면,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상태(402, 404, 406) 및/또는 사용자 입력(470), 및 선택적으로, 임의의 수의 미디어 소스(250)로부터 수신된 소스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에 기초하여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244)를 획득하고/하거나 생성한다. 예를 들면,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시스템 메모리(204), 저장 장치(210), 내부 시각적 센서(304), 외부 시각적 센서(306), 및/또는 탑승자와 연관된 이동 디바이스(218)로부터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의 상이한 조각을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여,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탑승자로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한다면, 게이팅 엔진(420)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를 폐쇄하기 위해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에 자동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유사하게, 선루프가 개방 위치에 있으며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탑승자로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한다면, 게이팅 엔진(420)은 선루프를 또한 폐쇄하기 위해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에 자동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게다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가 선루트와 통합된다면, 게이팅 엔진(420)은 선루프를 폐쇄하며, 그에 부응하여 통합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를 폐쇄하기 위해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에 자동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상기 주지된 바와 같이,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임의의 수의 미디어 소스(250)로부터 수신된 소스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하며,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의 상이한 조각을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여,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각이 야간이며 바깥쪽 하늘이 흐리다면,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탑승자의 감정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이미지(예로서, 맑은 밤 하늘, 별이 가득한 밤 하늘, 또는 오로라의 이미지)를 획득하고/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시각이 야간이며 바깥쪽 하늘이 맑다면,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외부 시각적 센서(306)로부터 하늘의 카메라 이미지를 획득하며, 탑승자의 감정 상태를 즐겁게 하고/하거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카메라 이미지 위에 오버레이될 증강 현실 오버레이(예로서, 가시적인 천문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획득된 및/또는 생성된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244)를 헤드 유닛(120)을 통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로 송신한다.
획득되고/되거나 생성될 수 있는 미디어 콘텐트의 부가적인,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차량이 건조한 환경을 통해 이동 중이면,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숲의 이미지, 움직이는 해양 생물을 가진 해저 환경, 또는 개울의 이미지를 획득하고/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시각이 주간이며 바깥쪽 하늘이 흐리다면,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화창한 맑은 하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트의 이들 및 다른 예가 차량(100)을 타는 동안 탑승자의 감정 상태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주거나 탑승자의 즐거움을 강화하기 위해 획득되고/되거나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또한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244)와 유사한 방식으로 오디오 미디어 콘텐트(242)를 획득하고/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오디오 미디어 콘텐트(242)는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244)와 함께 획득되고/되거나 생성될 수 있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획득된 및/또는 생성된 오디오 미디어 콘텐트(242)를 헤드 유닛(120)을 통해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212)로 송신한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임의의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동안(예로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개방 위치에 있으며 그에 따라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에도 오디오 미디어 콘텐트(242)를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212)로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244)는 차량 캐빈 내에 주변 조명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하고 생성하기 위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기술에 기초하여 차량 캐빈(103) 내에서 주변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
도 5a 내지 도 5e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의 동작을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는 차량(100)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 선루프 유리 패널(504), 및 헤드라이너(500)(예로서, 차량 캐빈(103)의 천장)를 예시한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는 선루프 유리 패널(504)로부터 분리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는 선루프 패널(504) 아래에 위치된다. 도 5a 내지 도 5e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2) 및 선루프 패널(504-2)은 고정되며,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 및 선루프 패널(504-1)은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도 5a 내지 도 5e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선루프의 패널로부터 분리되며 선루프 패널에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면인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 및 선루프 패널(504-1)은 각각의 폐쇄된 위치에 있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2)에 수평으로 인접해 있으며, 선루프 패널(504-1)은 선루프 패널(504-2)에 수평으로 인접해 있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가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지 또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가 개방 위치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불투명하다 - 광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b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탑승자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 및/또는 다른 무드루프 개방/폐쇄 제어를 통해 무드루프 개방 옵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개방 위치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헤드 유닛(102)은 개방 위치를 향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를 이동시키기 위해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에 신호를 전송한다.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은 선루프 패널(504-2)과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2) 사이에서의 공간으로 향하는 각도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를 비스듬하게 한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가 비스듬히 있으며 및/또는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팅 엔진(420)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의 앵글링 및/또는 움직임에 응답하여,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가 개방됨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 상에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팅 엔진(420)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를 정지시키며 및/또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콘텐트를 페이드 아웃될 수 있다.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은 그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패널(504-2)과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2) 사이에서의 공간으로 (예로서,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의 트랙을 따라)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공간으로 이동될 때,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는 개방 위치에 있다.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시각적 콘텐트(244)를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로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2)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여전히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패널(504-1)은 여전히 폐쇄 위치에 있다. 선루프 패널(504-1)이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차량의 바깥쪽으로부터의 광은 선루프 패널(504-1)을 통과할 수 있지만, 차량의 바깥쪽으로부터의 공기는 차량 캐빈천장을 통해 차량에 들어가는 것이 제한된다. 차량 탑승자는 선루프 패널(504-1)을 개방하기 위해 (예로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 및/또는 다른 선루프 개방/폐쇄 제어를 통해) 선루프 개방 옵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헤드 유닛(102)은 선루프 패널(504-1)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패널(504-2) 위의 공간으로 향해지는 각도로 선루프 패널(504-1)을 비스듬하게 함으로써 선루프 패널(504-1)의 움직임을 개시하며 선루프 패널(504-1)을 상기 공간에서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킨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패널(504-1)은 선루프 패널(504-2) 위의 개방 위치로의 움직임을 완료한다. 각각의 개방 위치에 있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 및 선루프 패널(504-1) 양쪽 모두를 갖고, 차량 루프를 통한 개구(506)가 생성되었다. 공기는 개구(506)를 경유하여 차량 캐빈을 통해 흐를 수 있으며, 광은 또한 개구(506)를 통과할 수 있다.
선루프 패널(504-1) 및/또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를 폐쇄하기 위해,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단계가 역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루프 패널(504-1)은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으로부터의 명령어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는 도 5a에 도시된, 그것의 폐쇄 위치로 되돌아간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 및 선루프 패널(504)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선루프 패널(504)의 최상부가 차량 루프의 최상부와 같은 높이이도록 여전히 허용하면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2)와 선루프 패널(504-2) 사이에서의 공간에 맞는 두께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 및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트랙 및 모터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도 5a 내지 도 5e는 고정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2) 및 고정된 선루프(504-2)를 도시하지만,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2) 및/또는 선루프 패널(504-2)은 각각의 개방과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의 추가 예의 동작을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는 차량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 선루프 유리 패널(604), 및 헤드라이너(600)(예로서, 차량 캐빈(103)의 천장)을 예시한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는 선루프 유리 패널(604)과 통합된다. 예를 들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는 선루프 패널(604-1)과 통합되며,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2)는 선루프 패널(604-2)과 통합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통합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는 선루프 패널(604-1)에 고정되며 선루프 패널(604-1)과 함께 구부러질 수 있다. 유사하게, 통합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2)는 선루프 패널(604-2)에 고정되며 선루프 패널(604-2)과 함께 구부러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 선루프 패널(604-2)은 고정된다. 선루프 패널(604-1)은 이동 가능하며,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는 선루프 패널(604-1)과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도 6a 내지 도 6c는 차량(100)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며, 여기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는 선루프 패널과 통합되는 디스플레이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는 선루프 패널(604)에 고정된 얇은 LED 디스플레이이다. 게다가,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는 반-투명하며, 따라서 선루프 패널(60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도 몇몇 외부 광을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음영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패널(604-1) 및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는 폐쇄 위치에 있다. 선루프 패널(604-1)은 선루프 패널(604-2)에 수평으로 인접해 있다. 선루프 패널(604-1)이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b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선루프 패널(604-1)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탑승자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 및/또는 다른 무드루프(또는 선루프) 개방/폐쇄 제어를 통해 무드루프(또는 선루프) 개방 옵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개방 위치로 선루프(604-1)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헤드 유닛(102)은 개방 위치로 선루프 디스플레이(602-1)를 이동시키기 위해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은 선루프 패널(604-2) 위의 공간으로 향해지는 각도로 선루프 패널(604-1)을 비스듬하게 한다.
선루프 패널(604-1)이 비스듬히 있으며 및/또는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팅 엔진(420)은, 선루프 패널(604-1)의 앵글링 및/또는 움직임에 응답하여, 선루프 패널(604-1)이 개방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 상에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팅 엔진(420)은 선루프 패널(604-1)이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를 정지시키며 및/또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콘텐트를 페이드 아웃할 수 있다.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은 그 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패널(604-2) 위의 공간으로 선루프(604-1)를 이동시킨다(예로서,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의 트랙을 따라). 이러한 공간으로 이동될 때, 선루프 패널(604-1)은 개방 위치에 있다. 선루프 패널(604-1)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시각적 콘텐트(214)를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1)로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2)는 선루프 패널(604-1)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여전히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방 위치에 있는 선루프 패널(604-1)에 의해, 차량 루프를 통한 개구(606)가 생성되었다. 공기는 개구(606)를 경유하여 차량 캐빈을 통해 흐를 수 있으며, 광은 또한 개구(606)를 통과할 수 있다.
선루프 패널(604-1)을 폐쇄하기 위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단계가 역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루프 패널(604-1)은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으로부터의 명령어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6a에 도시된, 그것의 폐쇄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선루프 패널(604)이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선루프 패널(604)과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는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선루프 유리(604-2) 및 헤드라이너(600)와의 접촉을 피하는 두께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패널(604-1)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트랙 및 모터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도 6a 내지 도 6c는 고정된 선루프(604-2)를 도시하지만, 선루프(604-2)는 개방과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무드루프 투사 표면(702)의 동작을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a는 무드루프 투사 표면(702), 선루프 유리 패널(704), 차량(100)의 헤드라이너(700)(예로서, 차량 캐빈(103)의 천장), 및 헤드라이너(700) 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투사기(706)를 예시한다. 투사 표면(702)은 선루프 패널(704)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선루프 패널(704) 아래에서 확장되고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사 표면(702)은 롤-업 투사기 스크린이 수직으로 수축 및 확장될 수 있는 방법과 유사하게, 수평으로 롤링되고(수축) 롤링되지 않을 수 있는(확장) 가요성 표면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차량 캐빈의 내부에 면하는 선루프 패널(704)의 하부 표면은 투사 표면(702)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에서, 투사기 표면(702) 및 투사 표면(702)의 롤 베이스는 고정된 롤 베이스로부터 확장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선루프 패널(704-2)은 고정될 수 있고, 선루프 패널(704-1)은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a 내지 도 7e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가 시각적 콘텐트(244)가 투사될 수 있는 투사 표면으로서 구현되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 표면(702) 및 선루프 패널(704-1)은 각각의 폐쇄 위치에 있다. 투사 표면(702)은 확장되어, 선루프(704)를 가린다. 선루프 패널(704-1)은 선루프 패널(704-2)에 수평으로 인접해 있다. 투사 표면(702)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투사기(706)는 투사 표면(702)으로 콘텐트(예로서, 시각적 콘텐트(244))를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투사기(706-1)는 투사 표면(702)의 제 1 부분으로 콘텐트의 프로젝션(708-1)을 투사하며, 투사기(706-2)는 투사 표면(702)의 제 2 부분으로 콘텐트의 프로젝션(708-2)을 투사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투사 표면(702)은 불투명하다 - 광이 투사 표면(702)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투사 표면(702)은 반투명하거나 또는 거의 투명하다.
도 7b는 선루프 패널(704-1)을 드러내지만 여전히 선루프 패널(704-2)을 가리고 있는, 부분 개방 위치에서의 투사 표면(702)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탑승자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 및/또는 다른 무드루프 개방/폐쇄 제어를 통해 무드루프 개방 옵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헤드 유닛(10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를 향해 투사 표면(702)을 수축시키기 위해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은 고정된 롤 베이스에서 투사 표면(702)을 롤 업하여, 투사 표면(702)을 수축시킨다.
투사 표면(702)이 부분 개방 위치를 향해 수축되는 동안, 투사기(706-1)는 투사 표면(702)으로 콘텐트를 투사하는 것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팅 엔진(420)은, 투사 표면(702)의 수축에 응답하여, 투사 표면(702)이 수축됨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투사기(706-1)는 콘텐트를 투사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게이팅 엔진(420)은 투사기(706-1)를 정지시키고 및/또는 프로젝션(708-1)을 페이드 아웃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패널(704-1)은 여전히 폐쇄 위치에 있다. 선루프 패널(704-1)이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차량의 바깥쪽으로부터의 광은 선루프 패널(704-1)을 통과할 수 있지만, 차량의 바깥쪽으로부터의 공기는 차량 캐빈 천장을 통해 차량에 들어가는 것이 제한된다. 차량 탑승자는 선루프 패널(704-1)을 개방하기 위해 선루프 개방 옵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예로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08) 및/또는 다른 선루프 개방/폐쇄 제어를 통해). 이에 응답하여, 헤드 유닛(102)은 개방 위치로 선루프 패널(704-1)을 이동시키기 위해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패널(704-2) 위에 있는 공간으로 향해지는 각도로 선루프 패널(704-1)을 비스듬하게 함으로써 선루프 패널(704-1)의 움직임을 개시하며, 상기 공간에서 개방 위치를 향해 선루프 패널(704-1)을 이동시킨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패널(704-1)은 선루프 패널(704-2) 위의 개방 위치로의 움직임을 완료한다. 부분적 개방 위치에서의 투사 표면(702) 및 개방 위치에서의 선루프 패널(704-1)에 의해, 차량 루프를 통한 개구(710)가 생성되었다. 공기는 개구(710)를 경유하여 차량 캐빈을 통해 흐를 수 있으며, 광은 또한 개구(710)를 완전히 통과할 수 있다.
투사 표면(702)은 폐쇄 위치 또는 부분적 개방 위치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로 추가로 완전히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e는 완전 개방 위치로 수축된 투사 표면(702)을 예시한다.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은 헤드 유닛(102)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투사 표면(702)을 완전히 수축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으로부터의 명령어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신호를 송신한다. 투사 표면(702)은 선루프 패널(704-1)이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완전히 수축될 수 있다. 투사 표면(702)이 완전히 수축될 때, 선루프 패널(704-2)은 차량 캐빈에 노출되며, 광은 선루프 패널(704-2)을 통해 차량 캐빈으로 지나갈 수 있다. 더욱이, 투사 표면(702)이 완전히 수축될 때, 투사기(706-1 및 706-2) 양쪽 모두는 콘텐트를 투사하는 것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된다.
선루프 패널(704-1) 및/또는 투사 표면(702)을 폐쇄하기 위해,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단계가 역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루프 패널(704-1)은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으로부터의 명령어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투사 표면(702)은,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으로부터의 명령어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완전 또는 부분 개방 위치로부터, 도 7a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확장될 수 있다.
투사 표면(702) 및 선루프 패널(704)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투사 표면(702)은 선루프 패널(704)과 헤드라이너(700) 사이에서의 공간에 맞는 두께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투사 표면(702)은 롤링 가능한, 가요성 표면 대신에, 개방과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패널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투사 표면(702)은 둘 이상의 롤링 가능한, 가요성 표면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 및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은 투사 표면(702)을 수축하고 확장시키도록 구성된 모터, 및 투사 표면(702)의 수축 및 확장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트랙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도 7a 내지 도 7e는 고정된 선루프(704-2)를 도시하지만, 선루프(704-2)는 개방과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시스템상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단계의 흐름도를 제시한다. 방법 단계가 도 1a 내지 도 7e의 시스템과 함께 설명되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임의의 순서로, 방법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시스템이 다양한 실시형태의 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800)은 단계(802)에서 시작되며, 여기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상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센서(220)로부터의 센서 데이터(330)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차량 상태(402), 환경 상태(404), 및 탑승자 감정 상태(406)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804)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이 목표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는다면(804 - 아니오), 방법은 단계(808)로 진행한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목표 모드에서 동작한다면(804 - 예), 방법(800)은 단계(806)로 진행한다.
단계(806)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하나 이상의 상태에 기초하여 초기 상태, 목표 상태, 및/또는 목표 상황을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면, 목표 엔진(410)은 하나 이상의 차량 상태(402), 환경 상태(404), 및 탑승자 감정 상태(406)에 기초하여 초기 상태(414), 목표 상태(412), 및/또는 목표 상황(416)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한 예를 제공하기 위해, 목표 상황(416)은 초기 상태(414)가 우울한 분위기임을 결정하고, 행복 분위기의 목표 상태(412)를 결정하며, 목표 상태(412)를 향해 현재 상황(416)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808)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특정한 콘텐트를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았다면(808 - 아니오), 방법(800)은 단계(810)로 진행한다.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특정한 콘텐트를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예로서, 사용자 입력(470))이 수신되었다면(808 - 예), 방법(800)은 단계(812)로 진행한다.
단계(810)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미디어 소스, 및 선택적으로 목표 상태에 기초하여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 및/또는 오디오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하고/하거나 생성한다. 예를 들면,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미디어 소스(250)로부터, 시각적 콘텐트(244), 및 선택적으로 오디오 콘텐트(242)를 획득할 수 있다.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또한 시각적 콘텐트(244) 및 선택적으로 오디오 콘텐트(242)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획득된 시각적 콘텐트 및 생성된 시각적 콘텐트를 추가로 조합할 수 있다(예로서, 외부 환경의 카메라 이미지를 획득하며 카메라 이미지에 대한 증강 현실 오버레이를 생성한다). 획득된 및/또는 생성된 시각적 콘텐트(244)는 차량 상태(402), 환경 상태(404), 및 탑승자 감정 상태(406) 중 하나 이상, 및 선택적으로 목표 상태(412), 초기 상태(414), 및 목표 상황(416)에 기초하여 선택되고 결정될 수 있다.
단계(812)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적어도 사용자 입력 및 미디어 소스에 기초하여 시각적 미디어 콘텐트 및/또는 오디오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하고/하거나 생성한다. 예를 들면,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콘텐트를 선택하고 미디어 소스를 특정하는 사용자 입력(470)에 따라 미디어 소스(250)로부터, 시각적 콘텐트(244), 및 선택적으로 오디오 콘텐트(242)를 획득할 수 있다.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또한, 사용자 입력(470)에 따라, 시각적 콘텐트(244), 및 선택적으로 오디오 콘텐트(242)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획득된 및/또는 생성된 시각적 콘텐트는 오디오 콘텐트(예로서, 음악의 조각에 대해 생성된 시각화 그래픽, 오션 사운드트랙을 수반한 오션 뷰의 이미지 등)와 연관된다.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획득된 시각적 콘텐트 및 생성된 시각적 콘텐트를 추가로 조합할 수 있다(예로서, 외부 환경의 카메라 이미지를 획득하며 카메라 이미지에 대한 증강 현실 오버레이를 생성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획득 및/또는 생성은 사용자 입력(470)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상태에 기초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사용자 입력(470)은 특정 콘텐트를 선택하는 대신에 목표 상태(412)를 특정한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목표 엔진(410)은 목표 상태(412)를 특정된 목표 상태로 설정하며, 미디어 획득 및 생성 엔진(450)은 목표 상태(412)로 진행하기 위해 콘텐트(244 및 242)를 획득 및/또는 생성한다.
단계(814)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시각적 콘텐트(244)를 하나 이상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로 출력하며 오디오 콘텐트(242)를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212)로 출력한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헤드 유닛(120)을 통해, 시각적 콘텐트(244)를 디스플레이 또는 투사를 위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110)(예로서, 디스플레이(502 또는 602)) 또는 투사기(708)로 송신한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헤드 유닛(120)을 통해, 오디오 콘텐트(242)를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212)(예로서, 스피커)로 송신한다.
단계(818)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이,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이 실행을 중단하는 것으로 결정하면(818 - 예), 방법(800)은 종료한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이,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이 계속해서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면(818 - 아니오), 방법(800)은 단계(802)로 되돌아가며, 여기에서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30)은 업데이트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5a 내지 도 5e의 예시적인 무드루프 디스플레이의 구현(900)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도 9는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 및 선루프 패널(504)의 구현(900)에서 구성요소를 예시한다. 도 9는 하향식의 비스듬한 관점으로부터 구현(900)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구현(900)은 루프 시트 금속(902) 및 헤드라이너(910)를 포함한다. 루프 시트 금속(902)은 차량 루프(102)의 상부 표면을 형성하며, 헤드라이너(910)는 차량 루프(102)의 내부 표면을 형성한다. 루프 시프 금속(902)은 개구(914)를 포함하며, 헤드라이너(910)는 개구(912)를 포함한다. 트랙 및 모터 시스템(908)(예로서,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은 헤드라이너(902)에서 개구(912)의 측면을 따라 헤드라이너(902)로 장착될 수 있다. 전방의, 이동하는 디스플레이(906)(예로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1))는 헤드라이너(910)에서 개구(912) 위에 배치되며 트랙 및 모터 시스템(908)의 트랙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후방의, 고정된 디스플레이(907)(예로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502-2))는 또한 헤드라이너(910)에서 개구(912) 위에 배치되며 트랙 및 모터 시스템(908)의 트랙의 트랙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유리 선루프 어셈블리(904)(예로서, 선루프 패널(504) 및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는 루프 시트 금속(902)에서 개구(914) 아래에 배치되며 루프 시트 금속(902)에 장착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6a 내지 도 6c의 추가의 예시적인 무드루프 디스플레이의 구현(1000)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 및 선루프 패널(604)의 구현(1000)에서 구성요소를 예시한다. 도 10은 하향식의 비스듬한 관점으로부터 구현(1000)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구현(1000)은 루프 시트 금속(1002) 및 헤드라이너(1010)를 포함한다. 루프 시트 금속(1002)은 차량 루프(102)의 상부 표면을 형성하며, 헤드라이너(1010)는 차량 루프(102)의 내부 표면을 형성한다. 루프 시트 금속(1002)은 개구(1014)를 포함하며, 헤드라이너(1010)는 개구(1012)를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디스플레이(1006)(예로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602))는 유리 선루프 어셈블리(1004)의 선루프 유리 패널(예로서, 선루프 패널(604))에 고정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1006)는 투명한 OLED 디스플레이이다. 유리 선루프 어셈블리(1004)(예로서, 선루프 패널(604) 및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는 루프 시트 금속(1002)에서 개구(1014) 아래에 및 헤드라이너(1010)에서 개구(1012) 위에 배치된다. 유리 선루프 어셈블리(1004)는 헤드라이너(1010) 및/또는 루프 시트 금속(100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도 7a 내지 도 7e의 예시적인 무드루프 투사 표면의 구현(1100)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도 11은 투사 표면(702) 및 선루프 패널(704)의 구현(1100)에서 구성요소를 예시한다. 도 11은 상향식의 비스듬한 관점으로부터 구현(1200)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구현(1100)은 루프 시트 금속(1102) 및 헤드라이너(1110)를 포함한다. 루프 시트 금속(1102)은 차량 루프(102)의 상부 표면을 형성하며, 헤드라이너(1110)는 차량 루프(102)의 내부 표면을 형성한다. 루프 시트 금속(1102)은 개구(1114)를 포함하며, 헤드라이너(1110)는 개구(1112)를 포함한다. 투사기(1116-1 및 1116-2)는 개구(1112)의 측면을 따라 헤드라이너(1110)로 장착될 수 있다. 유리 선루프 어셈블리(1104)(예로서, 선루프 패널(604), 선루프 작동 시스템(214))는 루프 시트 금속(1102)에서 개구(1114) 아래에 및 헤드라이너(1110)에서 개구(1112) 위에 배치된다. 유리 선루프 어셈블리(1104)는 헤드라이너(1110) 및/또는 루프 시트 금속(1102)에 장착될 수 있다. 유리 선루프 어셈블리(1104)는 투사 표면(702)을 수축 및 확장시키기 위해 수축 가능한 투사 표면(예로서, 투사 표면(702)) 및 연관된 트랙 및 모터(예로서, 무드루프 작동 시스템(216))를 추가로 포함한다.
요컨대, 차량은 선루프(또한 "문루프(moonroof)"로서도 지칭됨) 대신에, 또는 그것에 더하여 차량의 차량 캐빈의 상부 부분(예로서, 천장 또는 루프)에 배치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한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차량 센서, 이미지 센서, 환경 센서, 및 생체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그 후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트(예로서, 이미지, 비디오)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차량은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상태 및/또는 특성을 결정하며, 하나 이상의 상태 및/또는 특성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상태 및/또는 특성의 예는 차량의 상태, 차량 캐빈의 특성, 차량의 바깥쪽 환경의 상태, 및 탑승자(들)의 특성을 포함한다. 무드루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콘텐트가 시각적 콘텐트를 포함한다면 적어도 미디어 콘텐트 자체의 구성요소일 수 있는, 미디어 콘텐트와 연관된 시각적 콘텐트가 차량 캐빈의 상부 부분 상에서의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시스템상에서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바깥쪽 환경으로 차량 캐빈을 노출시키기 위해 수축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무드루프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수축 가능한 투사 표면을 가진 투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이점 및 기술적 개선은 자연 광 및 공기가 차량 캐빈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 천장이 개방되도록 여전히 허용하는 동안, 차량 캐빈의 천장이 차량 캐빈에서의 탑승자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공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 및 기술적 개선은 개시된 기술이 차량 탑승자의 경험을 추가로 강화하는 몰입형 미디어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추가 이점 및 기술적 개선은, 미디어 콘텐트가 탑승자(들)의 감정 상태(들)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들)의 전체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
1. 몇몇 실시형태에서, 차량 캐빈 내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캐빈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태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콘텐트와 연관된 시각적 콘텐트가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 조항 1의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면은 차량 캐빈의 선루프 아래에서 수직으로 배치된다.
3. 조항 1 또는 조항 2의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차량 센서, 환경 센서, 및 생체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4. 조항 1 내지 조항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는 차량 상태, 환경 상태, 및 상기 차량 캐빈의 탑승자의 감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5. 조항 1 내지 조항 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면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양쪽 모두는 상기 차량 캐빈의 내부를 향해 상기 시각적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한다.
6. 조항 1 내지 조항 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상기 시각적 콘텐트는 상기 차량 캐빈의 탑승자와 연관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시각적 콘텐트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차량 캐빈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7. 조항 1 내지 조항 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평행하게 움직인다.
8. 몇몇 실시형태에서, 차량 캐빈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면;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면으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로서,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이 상기 차량 캐빈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9. 조항 8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이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투사기로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투사기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으로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투사한다.
10. 조항 8 또는 조항 9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11. 조항 8 내지 조항 10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 수평으로 인접해 있다.
12. 조항 8 내지 조항 11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 위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13. 조항 8 내지 조항 12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도록 한다.
14. 조항 8 내지 조항 13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선루프 패널 아래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선루프 패널 양쪽 모두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량 캐빈의 선루프는 외부 환경에 개방된다.
15. 몇몇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차량 캐빈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와 연관된 제1 감정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정 상태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트와 연관된 시각적 콘텐트가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16. 조항 15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로서, 상기 시각적 콘텐트는 상기 제1 감정 상태와 연관된 정지 이미지 및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7. 조항 15 또는 조항 16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로서, 상기 제1 감정 상태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제1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목표 감정 상태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목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18. 조항 15 내지 조항 17 중 어느 하나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로서, 상기 제1 감정 상태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것은 목표 감정 상태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 및 상기 목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19. 조항 15 내지 조항 18 중 어느 하나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면은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제2 디스플레이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20. 조항 15 내지 조항 19 중 어느 하나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로서, 차량 상태 및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감정 상태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차량 상태 및 상기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로 기초하는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의 방식으로, 청구항 중 임의의 것에서 나열된 청구항 요소 및/또는 본 출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요소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은 고려된 현재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었지만, 개시된 실시형태로 제한되거나 총망라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많은 수정 및 변화가 설명된 실시형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양상은 시스템,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전적으로 하드웨어 실시형태, 전적으로 소프트웨어 실시형태(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 또는 모두 일반적으로 여기에서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서 불릴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양상을 조합한 실시형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구체화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에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의 보다 특정한 예(비-철저한 리스트)는 다음을 포함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가진 전기적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삭제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 본 문서의 맥락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을 위해 또는 그것과 관련하여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예시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된다. 흐름도 예시 및/또는 블록도의 각각의 블록, 및 흐름도 예시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블록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기계를 생성하기 위해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특정된 기능/동작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제한 없이, 범용 프로세서, 특수-목적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프로세서, 또는 필드-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일 수 있다.
도면에서 흐름도 및 블록도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가능한 구현의 아키텍처, 기능, 및 동작을 예시한다. 이것과 관련하여, 흐름도 또는 블록도에서의 각각의 블록은 특정된 논리 함수(들)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몇몇 대안적인 구현에서, 블록에서 주지된 기능은 도면에서 주지된 순서 외로 발생할 수 있음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연속하여 도시된 두 개의 블록은, 사실상,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블록은 때때로 수반된 기능에 의존하여,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 예시의 각각의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 예시에서 블록의 조합은 특정된 기능 또는 조합, 또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 및 컴퓨터 명령어의 조합을 수행하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기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및 추가 실시형태가 본 개시내용의 기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고안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이어지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20)

  1. 차량 캐빈(vehicle cabin) 내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캐빈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트와 연관된 시각적 콘텐트가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면(display surface) 및 제2 디스플레이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이동 가능한,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차량 캐빈의 선루프 아래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선루프 패널 양쪽 모두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량 캐빈의 선루프는 외부 환경에 개방되는, 컴퓨터-구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차량 센서, 환경 센서, 및 생체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는 차량 상태, 환경 상태, 또는 상기 차량 캐빈의 탑승자의 감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양쪽 모두는 상기 차량 캐빈의 내부를 향해 상기 시각적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콘텐트는 상기 차량 캐빈의 탑승자와 연관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시각적 콘텐트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차량 캐빈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fotainment system)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컴퓨터-구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평행하게 움직이는, 컴퓨터-구현 방법.
  8. 차량 캐빈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면;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면으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로서,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이 상기 차량 캐빈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 수평으로 인접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 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이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것은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하나 이상의 투사기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투사기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으로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투사하는,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 수평으로 인접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 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컴퓨터-구현 방법.
  13. 차량 캐빈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면;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면으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이 상기 차량 캐빈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도록 하는,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14. 차량 캐빈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면;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면으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로서,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이 상기 차량 캐빈에서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선루프 패널 아래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선루프 패널 양쪽 모두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량 캐빈의 선루프는 외부 환경에 개방되는,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15.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로서,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차량 캐빈 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와 연관된 제1 감정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감정 상태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트와 연관된 시각적 콘텐트가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제2 디스플레이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차량 캐빈의 천장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면에 대해 이동 가능한,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이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콘텐트는 상기 제1 감정 상태와 연관된 정지 이미지 및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정 상태와 연관된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제1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목표 감정 상태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목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정 상태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것은,
    목표 감정 상태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 및
    상기 목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
  19. 삭제
  20. 제15항에 있어서, 차량 상태 및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감정 상태와 연관된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차량 상태 및 상기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로 기초하는 상기 미디어 콘텐트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어.
KR1020190001108A 2018-01-04 2019-01-04 차량 캐빈에서 증강 미디어 경험을 위한 무드루프 KR102656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13709P 2018-01-04 2018-01-04
US62/613,709 2018-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407A KR20190088407A (ko) 2019-07-26
KR102656130B1 true KR102656130B1 (ko) 2024-04-09

Family

ID=6500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108A KR102656130B1 (ko) 2018-01-04 2019-01-04 차량 캐빈에서 증강 미디어 경험을 위한 무드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453333B2 (ko)
EP (1) EP3508381B1 (ko)
JP (1) JP7475812B2 (ko)
KR (1) KR102656130B1 (ko)
CN (1) CN1100274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5291B2 (ja) * 2018-01-30 2022-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US11628708B2 (en) * 2018-07-12 2023-04-18 Gentex Corporation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with movable electro-optic window systems
EP3805047B1 (en) * 2019-10-08 2023-06-07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Roof panel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projector device for use in such roof panel assembly
CN111182477A (zh) * 2019-12-27 2020-05-1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图片改善用户心情的方法、系统、介质及智能终端
CN111717219A (zh) * 2020-06-03 2020-09-29 智车优行科技(上海)有限公司 变换天窗图案的方法、系统及汽车
JP2022071800A (ja) * 2020-10-28 2022-05-16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情報処理装置及び感情誘導方法
CN114604183A (zh) * 2020-12-03 2022-06-10 英纳法天窗系统集团有限公司 包含显示装置的车顶构造以及车辆
CN112793508B (zh) * 2021-01-11 2022-12-13 恒大新能源汽车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顶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418194B1 (ko) 2021-02-25 2022-07-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EP4071055A1 (en) * 2021-04-07 2022-10-12 B/E Aerospace, Inc. Virtual open sky in super first-class suites
DE102021203478A1 (de) * 2021-04-08 2022-10-13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innenraum
CN114274773A (zh) * 2021-12-24 2022-04-05 北京梧桐车联科技有限责任公司 汽车显示系统及汽车
US11565811B1 (en) * 2022-01-28 2023-01-31 Blended Wing Aircraft, Inc. Blended wing body aircraft with transparent panels
CN115571056A (zh) * 2022-09-27 2023-0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滑卷显示装置及汽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260A (ja) * 1998-11-18 2000-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201853A (ja) * 2005-01-18 2006-08-03 Fujitsu Ten Ltd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10125945A (ja) * 2008-11-26 2010-06-10 Yazaki Corp ディスプレイ搭載車両
JP2017074876A (ja) * 2015-10-15 2017-04-2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載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17203945A (ja) * 2016-05-13 2017-11-16 正寿 戸田 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自動車および車両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8816A (ja) * 1986-09-20 1988-04-08 Aisin Warner Ltd 自動車の液晶サンル−フ
JP2001252265A (ja) 2000-03-08 2001-09-18 Sharp Corp 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装置
DE10161476B4 (de) * 2001-12-13 2005-10-27 Webasto Ag Dacheinheit zum Einbau in ein Fahrzeugdach
US20060113881A1 (en) * 2004-10-26 2006-06-01 Lear Corporation Flush mounted overhead display
US8029052B2 (en) * 2005-06-02 2011-10-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oof system for a vehicle
WO2007023900A1 (ja) * 2005-08-24 2007-03-01 Pioneer Corporation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DE202005014791U1 (de) 2005-09-19 2005-12-22 Webasto Ag Innenraum-Beleuchtungsvorrichtung, Verkleidungsteil und Dachmodul
US7732694B2 (en) * 2006-02-03 2010-06-08 Outland Research, Llc Portable music player with synchronized transmissive visual overlays
JP5152570B2 (ja) 2008-03-06 2013-02-27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ユーザーもてなしシステム
US20110183654A1 (en) * 2010-01-25 2011-07-28 Brian Lanier Concurrent Use of Multiple User Interface Devices
CN102467668A (zh) * 2010-11-16 2012-05-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情绪侦测及舒缓系统及方法
WO2012146822A1 (en) * 2011-04-28 2012-11-0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media content
US8733938B2 (en) * 2012-03-07 2014-05-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irtual convertible tops, sunroofs, and back window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ame
JP5729345B2 (ja) * 2012-04-10 2015-06-03 株式会社デンソー 感情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9826275B2 (en) * 2013-02-27 2017-11-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Enhanced content interface
DE112014001607B4 (de) * 2013-04-25 2021-09-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ituationswahrnehmungssystem und -verfahren
US9442688B2 (en) 2013-11-18 2016-09-13 Atieva, Inc. Synchronized display system
US10636335B2 (en) * 2014-06-13 2020-04-28 Ildikó Kis-Benedek Pinero Portable display device and system
US9262924B2 (en) * 2014-07-09 2016-02-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dapting a warning output based on a driver's view
US10723267B2 (en) * 2014-09-19 2020-07-28 Be Topnotch, Llc Display rear passenger view on a display screen in vehicle
KR20160062922A (ko) * 2014-11-26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의 정보 교환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086762B2 (en) * 2014-12-10 2018-10-02 Lg Electronics Inc. Vehicle display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US10591723B2 (en) 2015-01-12 2020-03-1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In-vehicle projection display system with dynamic display area
US20160250969A1 (en) * 2015-02-26 2016-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mirage roof
US20160288708A1 (en) * 2015-03-30 2016-10-06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Intelligent caring user interface
CN107750212A (zh) 2015-04-13 2018-03-02 Ses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虚拟的全景车顶或天窗组件
US9779519B2 (en) * 2015-07-31 2017-10-03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or-based dynamic modification of shadows and highlights within media content
US20170120724A1 (en) * 2015-10-28 2017-05-0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Cabin temperature setting and display method and system
DE102015222388A1 (de) * 2015-11-13 2017-05-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nzeige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WO2017095852A1 (en) * 2015-11-30 2017-06-08 Faraday & Future Inc. Infotainment based on vehicle navigation data
ES2645407B1 (es) 2016-05-02 2018-09-17 Pirtle Eric Lee Sistema decorativo de interiores de vehículos
US20170330379A1 (en) * 2016-05-16 2017-11-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virtual reality content in a vehicle
DE102016216415B4 (de) * 2016-08-31 2023-11-09 Audi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DE102017200194A1 (de) * 2017-01-09 2018-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hrzeug mit flexibler Fahrzeugführerposition und Verfahren zum Führen eines Fahrzeugs
US11702066B2 (en) * 2017-03-01 2023-07-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vehicle based on sensor data
US10583738B2 (en) * 2017-09-26 2020-03-10 Inteva Products, Llc Multi-position electronic smart sunshade
US10382560B2 (en) * 2017-10-26 2019-08-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ling distribution of content within a vehicle
JP6346723B1 (ja) * 2017-11-08 2018-06-20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取付方法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506866B1 (ko) * 2017-12-13 202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환경에서 선발화 안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6354003B1 (ja) * 2017-12-22 2018-07-04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の取付方法
JP7095291B2 (ja) * 2018-01-30 2022-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US20190281340A1 (en) * 2018-03-09 2019-09-12 Stephen M. Sacra Full immersion video system in a multi-passenger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260A (ja) * 1998-11-18 2000-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201853A (ja) * 2005-01-18 2006-08-03 Fujitsu Ten Ltd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10125945A (ja) * 2008-11-26 2010-06-10 Yazaki Corp ディスプレイ搭載車両
JP2017074876A (ja) * 2015-10-15 2017-04-2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載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17203945A (ja) * 2016-05-13 2017-11-16 正寿 戸田 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自動車および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53333B2 (en) 2022-09-27
KR20190088407A (ko) 2019-07-26
JP2019119445A (ja) 2019-07-22
US20220402428A1 (en) 2022-12-22
US20190202349A1 (en) 2019-07-04
JP7475812B2 (ja) 2024-04-30
EP3508381B1 (en) 2021-03-03
EP3508381A1 (en) 2019-07-10
CN110027473A (zh) 2019-07-19
US11958345B2 (en) 2024-04-16
CN110027473B (zh) 202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130B1 (ko) 차량 캐빈에서 증강 미디어 경험을 위한 무드루프
US10710608B2 (en) Provide specific warnings to vehicle occupants before intense movements
KR102637101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7351763A (zh) 用于车辆的控制装置
KR102479540B1 (ko) 주행 컨텍스트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50329122A1 (en) Mobile object,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9219551A (zh) 道路状况抬头显示器
WO201912415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表示システム、及び移動体
CN110849386A (zh) 用于向车辆提供图像的方法及其电子设备
KR101924059B1 (ko)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A2914712C (en) Gesture input apparatus for car navigation system
KR101965881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202303988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faces in a vehicular environment
KR1017368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297842A (zh) 具有多种显示模式的自动驾驶车辆
JPH11272639A (ja) エージェント装置
JP7340150B2 (ja) 操作画像表示装置、操作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操作画像表示プログラム
WO2020157991A1 (ja) 空間管理システム、移動体、プログラム及び空間管理方法
CN115534850B (zh) 界面显示方法、电子设备、车辆及计算机程序产品
GB2526515A (en) Image capture system
KR10163854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42359A1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3047013A (ja) 投影制御装置、投影制御方法、および投影制御プログラム
KR20220122841A (ko)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213632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