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543B1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543B1
KR101638543B1 KR1020140139920A KR20140139920A KR101638543B1 KR 101638543 B1 KR101638543 B1 KR 101638543B1 KR 1020140139920 A KR1020140139920 A KR 1020140139920A KR 20140139920 A KR20140139920 A KR 20140139920A KR 101638543 B1 KR101638543 B1 KR 101638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list
scree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883A (ko
Inventor
김소영
박지영
한민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9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5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배치되고, 제1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 모드에서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안전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를 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로, 특허공개공보 10-2014-00996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AVN(Audio Video Navigation)시스템이 등장하였다. AVN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고, 내비게이션 기능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AVN을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운전 중에 조작을 하기 때문에, 안전 및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입력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운행 안전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배치되고, 제1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 모드에서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차량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전 중 사용자가 제1 입력부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를 응시하지 않은 채로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전방을 응시한채,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어 운행에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 입력에 따른 햅틱 효과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에게 입력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운행 중 사용자가 보기 편한 클러스터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정보가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2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및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동력원은, 화석 연료를 기반으로 동력을 공급하는 엔진, 솔라셀 또는 배터리 등의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력을 공급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속기, 차량(10)의 진행을 멈추거나 속력을 줄이기 위한 브레이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차량(10)은,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입력부(123) 및 제2 입력부(124)의 위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부(123)는 디스플레이부(151)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입력부(123)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23)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입력부(123)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회전부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입력부(123)에 포함된 회전부는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부(123)는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회전 입력을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입력부(123) 및 제2 입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부(123) 및 제2 입력부(124)는 디스플레이부(151)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입력부(123)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입력부(124)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23) 및 제2 입력부(124)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입력부(124)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회전부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입력부(123)에 포함된 회전부는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 입력부(123)는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입력을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23) 및 제2 입력부(124)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은 제1 입력부(123)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과 다른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입력부(124)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1) 주변에 가이드 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23)는 가이드 홈(400) 상에 위치하여, 가이드 홈(4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입력부(123)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 하부,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23)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1 입력부(123)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23)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1 입력부(123)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1 입력부(123)와 함께 제2 입력부(124)가 구비되는 경우, 제2 입력부(124)는 상술한 제1 입력부(123)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주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 입력부(124)의 구조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입력부(123)는 회전부(123a), 지지부(123b) 및 탄성부(123c)를 포함한다.
회전부(123a)는 지지부(123b) 상에 위치한다. 회전부(123a)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따른 회전 입력을 수신한다.
지지부(123b)는 회전부(123a) 및 탄성부(123c)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부(123a)를 지지한다.
탄성부(123c)는 지지부(123b) 하단에 위치한다. 탄성부(123c)는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수직 하방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탄성부(123c)가 눌려져서 지지부(123b)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된다.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제1 입력부(123)는 탄성부(123c)의 탄성력을 통해,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본 도에서 탄성부(123c)로 스프링을 예시하나, 탄성부(123c)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23)는 제1 입력 모드 또는 제2 입력 모드에서의 회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 모드는 제1 입력부(123)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일 수 있다. 제2 입력 모드는 제1 입력부(123)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1 입력부(123)와 함께 제2 입력부(124)가 구비되는 경우, 제2 입력부(124)는 상술한 제1 입력부(123)와 같이, 회전부(124a), 지지부(124b) 및 탄성부(124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 입력부(124)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입력부(123)는 제1 터치 입력부(123d) 및 제2 터치 입력부(123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부(123d)는 원형의 터치식 입력 수단일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부(123e)는 제1 터치 입력부(123d)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통의 측면을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입력부(123)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터치 입력부(123d)는 원통의 윗면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부(123e)는 원통의 측면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부(123d) 및 제2 터치 입력부(123e)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터치 입력부(123d) 및 제2 터치 입력부(123e)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제1 터치 입력부(123d)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제1 터치 입력부(123d)에 접촉한 상태에서,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1 터치 입력부(123d)는 터치 센서를 통해, 회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부(123e)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 및 검지 손가락을 제2 터치 입력부(123e)에 접촉한 상태에서,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손을 회전시키는 경우, 제2 터치 입력부(123e)는 터치 센서를 통해, 회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입력부(124)는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입력부(123)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은 제1 입력부(123)를 준용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인접하는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 전자 장치 또는 서버(미도시)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APiX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GPS 수신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GPS 정보, 즉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입력부(123) 및 제2 입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는 운전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는 운전자의 제스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운전자의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고, 제스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마이크로폰(122)을 통해, 운전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23) 및 제2 입력부(1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모드에서, 제1 입력부(123)를 통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입력 모드에서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 모드에서, 제1 입력부(123)를 통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입력 모드에서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 모드에서,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입력 모드에서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정보 입력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 입력부(124)를 진동시켜 햅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햅틱 효과는 햅틱 모듈(153)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12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차량 내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ECU(30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60)는, 차량 내부의 ECU(300) 등 과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상태 정보는,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차량 속도 정보, 타이어 정보,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외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추가로, GPS 정보를 차량 내부의 ECU(300)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되는, GPS 정보를, ECU 등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60)는 클러스터(2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상기 변경 정보를 클러스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차량(10)은 차량 제어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는, 입력부(320), 통신부(325), 메모리(360), 램프 구동부(305), 조향 구동부(310), 브레이크 구동부(315), 동력원 구동부(335), 서스펜션 구동부(340), 공조 구동부(757), 윈도우 구동부(303), 에어백 구동부(342), 센서부(330), ECU(300), 표시부(345), 오디오 출력부(350), 전원 공급부(35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ECU(3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는, ECU(300) 외에,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를 신호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세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320)는, 차량(10)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부(325)는,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325)는, 차량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통신부(325)는,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전자 제어 장치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ECU(30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자 제어 장치(7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305)는, 차량 내,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310)는, 차량(1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315)는, 차량(1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1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335)는, 차량(1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335)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335)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340)는, 차량(1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301)는, 차량(1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303)는, 차량(10) 내의 서스펜션 장치(window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342)는, 차량(10) 내의 서스펜션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330)는, 차량(100)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330)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서부(330)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33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ECU(300)는, 전자 제어 장치(7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320)에 의한 입력에 의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센서부(330)에서 센싱된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맵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각 종 구동부(301, 303, 305, 310, 315, 335, 340, 34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ECU(300)는, 통신부(325)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345)는,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 또는 HUD(Head Up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345)가 HUD 인 경우, 차량(10)의 전면 유리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345)는,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350)는, ECU(30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350)는, 입력부(320), 즉 버튼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 공급부(355)는, ECU(30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355)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인가한다(S610). 차량(10)에 시동이 온(on) 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인가한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메뉴를 선택한다(S615).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메뉴는 내비게이션 메뉴, 미디어 메뉴, 전화 메뉴, 공조 제어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뉴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S620). 메뉴 화면은 내비게이션 화면, 미디어 화면, 전화 화면, 공조 제어 화면일 수 있다.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제1 입력 모드의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한다(S625, S630). 이경우, 제어부(180)는 제1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회전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635). 여기서, 상기 동작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메뉴, 목록, 항목,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일 수 있다.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한다(S625, S640). 이경우, 제어부(180)는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방향 회전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645). 여기서, 상기 동작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메뉴, 목록, 항목,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일 수 있다.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제2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한다(S650, S660). 이경우, 제어부(180)는 제2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회전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665). 여기서, 상기 동작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메뉴, 목록, 항목,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일 수 있다.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제2 입력 모드에서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한다(S650, S670). 이경우, 제어부(180)는 제2 입력 모드에서 제2 방향 회전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675). 여기서, 상기 동작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메뉴, 목록, 항목,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입력 모드는 제1 입력부(123)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일 수 있다. 제2 입력 모드는 제1 입력부(123)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는, 제2 입력 모드는 제2 입력부(124)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동작 정보를 클러스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클러스터(200)는 차량의 속도, RPM, 현재 변속 모드, 각종 알람, 연료 정보 및 트립 정보 등 차량 운행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후에, 제어부(18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되는지 판단한다(S690).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되는 경우, 동작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내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현재 표시되는 메뉴를 나타낼 수 있는 인디케이터들(700)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메뉴, 미디어 메뉴, 전화 메뉴, 공조 제어 메뉴에 각각 대응되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현재 내비게이션 매뉴가 선택되는 경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메뉴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710)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한다.
내비게이션 화면은 소정의 맵을 표시한다. 이때, 맵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비게이션 화면은 내비게이션의 각종 기능(예를들면, 목적지 선택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를 통해, 제1 입력모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미디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미디어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미디어 메뉴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720)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미디어 화면은 현재 재생 중인 미디어 소스의 재생 목록(721)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를 통해, 제1 입력모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전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전화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전화 메뉴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730)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전화 화면은 통화 목록(731)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를 통해, 제1 입력모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공조 제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공조 제어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공조 제어 메뉴에 대응되는 인티케이터(740)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공조 제어 화면은 현재 공조 모드 및 차량 실내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a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는 도 6의 S615단계 내지 S675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메뉴를 선택한다(S615a).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내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620a). 여기서, 내비게이션 화면은 소정의 맵을 표시한다. 이때, 맵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 모드의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25a, 630a),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축소하여 표시한다(S635a).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축소하여 표시한다.
만약,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 모드의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25a, S640a),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확대하여 표시한다(S645a).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만약,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 모드의 제1 방향 회전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50a, S660a),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3D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S665a).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른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3D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4)를 누르지 않은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3D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만약,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 모드의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50a, 670a),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2D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S675a).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른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2D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4)를 누르지 않은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2D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8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메뉴의 인디케이터(805)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8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축소하여(820)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축소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825)를 표시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8 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확대하여(830)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확대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835)를 표시한다.
도 8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메뉴의 인디케이터(805)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진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8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3D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또는,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부(124)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8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3D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경우, 제어부(180)는 3D뷰로 전환하는 동작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845)를 표시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진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8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2D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또는,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부(124)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8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포함된 맵을 2D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경우, 제어부(180)는 2D뷰로 전환하는 동작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85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a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는 도 6의 S615단계 내지 S675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미디어 메뉴를 선택한다(S615b).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미디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미디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620b). 여기서, 미디어 화면은 소정의 미디어 소스에서 제공되는 재생 목록을 포함한다.
만약, 미디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 모드의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25b, 630b), 제어부(180)는 미디어 화면에 포함되는 목록에서, 현재 재생 중이거나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이전 항목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새로이 선택되는 항목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미디어 화면에 표시되는 목록에서, 현재 재생중이거나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이전 항목을 선택한다.
만약, 미디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 모드의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25b, S640b), 제어부(180)는 미디어 화면에 포함되는 목록에서, 현재 재생중이거나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다음 항목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새로이 선택되는 항목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미디어 화면에 포함되는 목록에서, 현재 재생중이거나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다음 항목을 선택한다.
만약, 소정의 미디어 소스가 제공하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 모드의 제1 방향 회전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50b, S660b), 제어부(180)는 미디어 화면에서, 현재 표시되는 목록을 제공하는 미디어 소스의 이전 미디어 소스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른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미디어 화면에서, 현재 표시되는 목록을 제공하는 미디어 소스의 이전 미디어 소스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4)를 누르지 않은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미디어 화면에서, 현재 표시되는 목록을 제공하는 미디어 소스의 이전 미디어 소스를 선택한다.
만약, 소정의 미디어 소스가 제공하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 모드의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50b, 670b), 제어부(180)는 미디어 화면에서, 현재 표시되는 미디어 소스의 다음 미디어 소스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른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미디어 화면에서, 현재 표시되는 미디어 소스의 이전 미디어 소스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4)를 누르지 않은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미디어 화면에서, 현재 표시되는 미디어 소스의 이전 미디어 소스를 선택한다.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9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미디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미디어 메뉴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905)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미디어 화면에 포함된 목록에서 제1 항목(910)이 재생중일 때,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9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미디어 화면에 표시되는 목록에서, 현재 재생 중이며,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이전 항목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새로이 선택되는 항목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제1 항목(910)의 이전 항목인 제2 항목(920)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2 항목(920)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미디어 화면에 포함된 목록에서 제2 항목(920)이 재생중일 때,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9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미디어 화면에 포함되는 목록에서, 현재 재생 중이며,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다음 항목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새로이 선택되는 항목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제2 항목(920)의 다음 항목인 제1 항목(910)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 항목(910)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도 9c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재생 목록을 제공하는 미디어 소스는 블루투스, USB, FM, AM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블루투스, USB, FM, AM 순으로 미디어 소스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다음 순서의 미디어 소스는 USB이고, USB 이전 순서의 미디어 소스는 블루투스일 수 있다.
도 9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미디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미디어 메뉴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905)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미디어 화면에서 USB를 통해 제공되는 재생 목록을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USB를 통해 제공되는 목록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USB 아이콘(940)을 표시한다.
USB를 통해 제공되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진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9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를 통해 제공되는 재생 목록을 표시한다.
또는, USB를 통해 제공되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부(124)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9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를 통해 제공되는 재생 목록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되는 목록을 제공하는 미디어 소스의 이전 순서의 미디어 소스를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블루투스를 통해 제공되는 목록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아이콘(950)을 표시한다.
블루투스를 통해 제공되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진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9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USB를 통해 제공되는 재생 목록을 표시한다.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제공되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부(124)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9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USB를 통해 제공되는 재생 목록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되는 목록을 제공하는 미디어 소스의 다음 순서의 미디어 소스를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USB를 통해 제공되는 목록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USB 아이콘(940)을 표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a에 도시되는 플로우차트는 도 6의 S615단계 내지 S675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전화 메뉴를 선택한다(S615c).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전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전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여기서, 전화 화면은 소정의 전화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 목록은 최근 통화 목록, 주소록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만약, 전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 모드의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25c, 630c), 제어부(180)는 전화 목록에서 현재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이전 항목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새로이 선택되는 항목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전화 목록에서, 현재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이전 항목을 선택한다.
만약, 전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 모드의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25c, S640c), 제어부(180)는 전화 목록에서 현재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다음 항목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새로이 선택되는 항목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전화 목록에서, 현재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다음 항목을 선택한다.
만약, 전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 모드의 제1 방향 회전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50c, S660c),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되는 전화 목록의 이전 전화 목록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현재 표시되는 전화 목록이 최근 통화 목록일 때, 제2 입력 모드의 제1 방향 회전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전 전화 목록인 가족 전화 번호 주소록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른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현재 표시되는 전화 목록의 이전 전화 목록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4)를 누르지 않은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현재 표시되는 전화 목록의 이전 전화 목록을 선택한다.
만약, 전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 모드의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50c, 670c),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되는 전화 목록의 다음 전화 목록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현재 표시되는 전화 목록이 최근 통화 목록일 때, 제2 입력 모드의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다음 전화 목록은 친구 전화 번호 주소록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른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현재 표시되는 전화 목록의 다음 전화 목록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른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현재 표시되는 전화 목록의 다음 전화 목록을 선택한다.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0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전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여기서, 전화 화면은 소정의 전화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 목록은 최근 통화 목록, 주소록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화 목록에서 제1 항목(1010)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0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전화 목록에서 현재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이전 항목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새로이 선택되는 항목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제1 항목(1010)의 이전 항목인 제2 항목(1020)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2 항목(1020)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전화 목록에서 제2 항목이(1020)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될 때,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0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전화 목록에서 현재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다음 항목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새로이 선택되는 항목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제2 항목(1020)의 다음 항목인 제1 항목(1010)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 항목(1010)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도 10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전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여기서, 전화 화면은 소정의 전화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 목록은 최근 통화 목록, 주소록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최근 통화 목록(104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진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0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가족 전화 번호 주소록을 선택한다.
또는, 통화 목록(104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부(124)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0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가족 전화 번호 주소록(1050)을 선택한다. 즉,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되는 최근 통화 목록(1040)의 이전 목록인 가족 전화 번호 주소록(1050)을 선택한다.
가족 전화 번호 주소록(105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진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0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최근 통화 목록(1040)을 선택한다.
또는, 가족 전화 번호 주소록(105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부(124)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0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최근 통화 목록(1040)을 선택한다. 즉,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된 가족 전화 주소록(1050)의 다음 목록인 최근 전화 목록(1040)을 선택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조 제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a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는 도 6의 S615단계 내지 S675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공조 제어 메뉴를 선택한다(S615d).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제1 입력부(123) 또는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공조 제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공조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620d). 여기서, 공조 제어 화면은 기 설정된 현재 공조 모드 및 기 설정된 실내 온도를 포함한다.
만약, 공조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 모드의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25d, 630d), 제어부(180)는 현재 설정된 실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온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현재 설정된 실내 온도보다 낮은 실내 온도로 온도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설정된 온도 정보를 ECU(300)로 전송한다. ECU(300)는 공조 구동부(301)를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로 실내온도를 조정한다.
만약, 공조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 모드의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25d, S640d), 제어부(180)는 현재 설정된 실내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온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현재 설정된 실내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온도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설정된 온도 정보를 ECU(300)로 전송한다. ECU(300)는 공조 구동부(301)를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로 실내온도를 조정한다.
만약, 공조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 모드의 제1 방향 회전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50d, S660d), 제어부(180)는 기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표시된 공조 모드의 이전 공조 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른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공조 모드의 이전 공조 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4)를 누르지 않은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공조 모드의 이전 공조 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설정된 공조 모드에 대한 정보를 ECU(300)로 전송한다. ECU(300)는 공조 구동부(301)를 제어하여, 설정된 공조 모드로 공조가 이루어지도록 조정한다.
만약, 공조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 모드의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650d, 670d), 제어부(180)는 기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표시된 공조 모드의 다음 공조 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123)를 누른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공조 모드의 다음 공조 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4)를 누르지 않은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공조 모드의 다음 공조 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설정된 공조 모드에 대한 정보를 ECU(300)로 전송한다. ECU(300)는 공조 구동부(301)를 제어하여, 설정된 공조 모드로 공조가 이루어지도록 조정한다.
도 11b 및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조 제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1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제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공조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여기서, 공조 제어 화면은 현재 공조 모드(1107) 및 기 설정된 실내 온도(1110)를 포함한다.
공조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1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현재 설정된 실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온도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새로이 설정된 실내 온도 정보(1120)를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설정된 온도 정보를 ECU(300)로 전송한다. ECU(300)는 공조 구동부(301)를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로 실내온도를 조정한다.
한편, 온도가 낮아지는 정도는 회전 입력의 정도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라, 낮아지는 온도의 정도가 정해질 수 있다.
공조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1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현재 설정된 실내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온도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새로이 설정된 실내 온도 정보(1120)를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설정된 온도 정보를 ECU(300)로 전송한다. ECU(300)는 공조 구동부(301)를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로 실내온도를 조정한다.
도 11c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공조 모드는 제1 공조 모드, 제2 공조 모드, 제3 공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공조 모드, 제2 공조 모드, 제3 공조 모드 순으로 공조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공조 모드의 다음 순서는 제2 공조 모드이고, 제2 공조 모드의 이전 순서는 제1 공조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온도가 높아지는 정도는 회전 입력의 정도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라, 높아지는 온도의 정도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1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제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공조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여기서, 공조 제어 화면은 현재 공조 모드(1140) 및 기 설정된 실내 온도를 포함한다.
현재 공조 모드가 제2 공조 모드(1140)로 표시된 공조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진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1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표시된 제2 공조 모드(1140)의 이전 순서 공조 모드인 제1 공조(1150) 모드를 선택한다.
또는, 공조 모드가 제2 공조 모드(1140)로 표시된 공조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부(124)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1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표시된 제2 공조 모드(1140)의 이전 순서 공조 모드인 제1 공조 모드(1150)를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설정된 제1 공조 모드에 대한 정보를 ECU(300)로 전송한다. ECU(300)는 공조 구동부(301)를 제어하여, 설정된 제1 공조 모드로 공조가 이루어지도록 조정한다.
현재 공조 모드가 제1 공조 모드(1150)로 표시된 공조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부(123)가 눌려진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1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표시된 제1 공조 모드(1150)의 다음 순서 공조 모드인 제2 공조(1140) 모드를 선택한다.
또는, 현재 공조 모드가 제1 공조 모드(1150)로 표시된 공조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부(124)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1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표시된 제1 공조 모드(1150)의 다음 순서 공조 모드인 제2 공조 모드(1140)를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설정된 제2 공조 모드에 대한 정보를 ECU(300)로 전송한다. ECU(300)는 공조 구동부(301)를 제어하여, 설정된 제1 공조 모드로 공조가 이루어지도록 조정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정보가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미디어 메뉴(1210)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클러스터(200)에 정보를 전송한다. 이경우, 클러스터(200)는 미디어 메뉴 선택 정보(1220)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클러스터(200)를 주시하면서도,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미디어 메뉴(1210)가 선택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화 메뉴(1230)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클러스터(200)에 정보를 전송한다. 이경우, 클러스터(200)는 전화 메뉴 선택 정보(1240)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클러스터(200)를 주시하면서도,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화 메뉴(1210)가 선택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차량
100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10: 통신부
120 : 입력부
150 : 출력부
160 : 인터페이스부
170 : 메모리
180 : 제어부
190 : 전원공급부
200 : 클러스터
300 : ECU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배치되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제1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제2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모드에서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를 변경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모드는, 상기 제1 입력부가 눌려진 상태에서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배치되고, 제2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회전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제1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모드에서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회전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를 변경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주변에서 이동 가능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입력부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목록, 항목 또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 정보를 차량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내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를 축소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내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를 3D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입력 모드에서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를 2D로 표시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미디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화면에 포함되는 목록에서, 현재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이전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화면에 포함되는 목록에서, 현재 하이라이트 표시된 항목의 다음 항목을 선택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미디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화면에서, 현재 표시되는 목록을 제공하는 미디어 소스의 이전 미디어 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입력 모드에서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화면에서, 현재 표시되는 목록을 제공하는 미디어 소스의 다음 미디어 소스를 선택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화 목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화 목록 화면에서 현재 하이라이트된 항목의 이전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화 목록화면에서 현재 하이라이트된 항목의 다음 항목을 선택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화 목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되는 상기 전화 목록의 이전 전화 목록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입력 모드에서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되는 상기 전화 목록의 다음 전화 목록을 선택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공조 제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현재 설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현재 설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공조 제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 모드에서 제1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현재 공조 모드의 이전 공조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입력 모드에서 제2 방향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현재 공조 모드의 다음 공조 모드를 선택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39920A 2014-10-16 2014-10-16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8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20A KR101638543B1 (ko) 2014-10-16 2014-10-16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20A KR101638543B1 (ko) 2014-10-16 2014-10-16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883A KR20160044883A (ko) 2016-04-26
KR101638543B1 true KR101638543B1 (ko) 2016-07-11

Family

ID=5591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920A KR101638543B1 (ko) 2014-10-16 2014-10-16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3525B2 (en) 2019-01-02 202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688A (ja) * 2006-11-17 2008-06-05 Xanavi Informatics Corp ダイヤルスイッチを備えた入力装置
JP2010086076A (ja) * 2008-09-29 2010-04-15 Denso Corp 操作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420B1 (ko) * 2009-05-07 2011-07-08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차재 기기의 조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688A (ja) * 2006-11-17 2008-06-05 Xanavi Informatics Corp ダイヤルスイッチを備えた入力装置
JP2010086076A (ja) * 2008-09-29 2010-04-15 Denso Corp 操作入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3525B2 (en) 2019-01-02 202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883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7358B1 (en) Dynamic reconfigurable display knobs
CN107351763B (zh) 用于车辆的控制装置
CN108284840B (zh) 结合乘员偏好的自主车辆控制系统和方法
US10177986B2 (en) Universal console chassis for the car
US10719146B2 (en) Input device with plurality of touch pads for vehicles
US10029723B2 (en) Input system disposed in steering wheel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730315B1 (ko) 영상을 공유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US9975427B2 (en) Vehicle user interface system indicating operations of an operation part of a vehicle
US20150153936A1 (en) Integrated multimedia device for vehicle
US8979159B2 (en) Configurable hardware unit for car systems
JP5260298B2 (ja) 有利には自動車内に設けられる情報装置と、車両データを通知するための方法、とりわけ車両機能および該車両機能の操作に関する情報を通知するための方法
JP6295924B2 (ja) 車両用報知制御装置、及び車両用報知制御システム
WO2014176476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component of a vehicle with a user device
WO2016084360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JP2007237919A (ja) 車両用入力操作装置
EP2733004A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vehicle and inform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20190386887A1 (en) Universal console chassis for the car
CN114510175A (zh) 在个人通信装置上提供增强反馈的系统和方法
JP431492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63854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0532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조작 유닛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
JP7340150B2 (ja) 操作画像表示装置、操作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操作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20220062165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