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194B1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194B1
KR102418194B1 KR1020210025523A KR20210025523A KR102418194B1 KR 102418194 B1 KR102418194 B1 KR 102418194B1 KR 1020210025523 A KR1020210025523 A KR 1020210025523A KR 20210025523 A KR20210025523 A KR 20210025523A KR 102418194 B1 KR102418194 B1 KR 102418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r
stretchable display
screen
theat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영
정승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60K2370/152
    • B60K2370/66
    • B60K2370/771
    • B60K2370/785
    • B60K2370/79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씨어터(theater) 모드를 선택하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으로 변경하는 단계;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 사이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구성된 A 필러(pillar)를 스크린으로 변경하여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단계; 자동차의 리클라이닝 시트를 뒤로 이동하는 단계; 네트워크 사용자간 실시간 감성 공유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행동 및 소리에 반응하는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 필러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하여 연속된 3면 스크린을 생성하여 미디어 감상에 맞는 최적화된 사용자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METHOD FOR IMPLEMENTING THEATER MODE IN A CAR USING STRETCHABLE DISPLAY,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공연, 콘서트, 음악 등 미디어 감상에 최적화된 3면 스크린을 생성하는 자동차 씨어터 구현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 수 있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만든 구부리거나 접어도 똑같은 화질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이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얇다. 또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다.
플렉서블 OLED와 일반 OLED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판(Substrate)에 사용하는 소재로 유리가 아닌 PI(Polyimide),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굴곡성이 좋고, 높은 열을 견디며, 충격에 강하기 때문에 구부리거나 휘어도 깨지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화면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화면을 구부리거나(Bendable), 접는(Foldable) 것은 한 방향으로만 변형이 가능한 것이지만,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두 방향 이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힘을 가해 늘려도 되돌아오는 신축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주어진 변형 범위 안에서 반복적인 변형과 원상태로의 복원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최소 입자인 픽셀(화소) 사이에 PDMS(Polydimethylsiloxane), PU(Polyurethane) 등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한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신축성은 화면을 위에서 누르면 화면이 움푹 들어갔다가 원래의 평평한 화면으로 돌아온다. 마찬가지로, 아래에서 위로 화면을 눌러도 다시 원상태로 돌아간다.
예를 들어, 화면을 누르면 최대 12㎜까지 화면이 안으로 들어갔다가 손을 떼면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며, 그 동안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활용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JP 2019-119445 A KR 10-2019-0103517 A KR 10-2009-0025931 B1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씨어터(theater) 모드를 선택하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으로 변경하는 단계;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 사이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구성된 A 필러(pillar)를 스크린으로 변경하여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단계; 자동차의 리클라이닝 시트를 뒤로 이동하는 단계; 네트워크 사용자간 실시간 감성 공유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행동 및 소리에 반응하는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단계는,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단계;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라이다 센서를 통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의 거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린으로 변경된 A 필러에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과 연결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동일한 공연이나 영화를 보는 사용자들의 좋아요 반응을 수집하거나, 호응 소리, 박수 소리 및 모션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집단 감성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집단 감성 수치를 데이터화하는 단계; 및 데이터화된 집단 감성 수치를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의 헤드라이너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소리 감지 센서 및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하여 소리 및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소리의 음량 및 모션에 따라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된 소리의 음량 및 모션에 따라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는, 감지된 소리의 음량이 커지거나 모션이 활발해질수록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및 반짝임의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단계는, 자동차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가 씨어터 모드로 변환되고, 스피커가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는, 사용자가 씨어터(theater) 모드를 선택하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으로 변경하는 스크린 변경부;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 사이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구성된 A 필러(pillar)를 스크린으로 변경하여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스크린 확장부; 자동차의 리클라이닝 시트를 뒤로 이동하는 시트 이동부; 네트워크 사용자간 실시간 감성 공유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성 공유부; 및 사용자의 행동 및 소리에 반응하는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성 형상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확장부는,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의 거리 정보를 확인하는 라이다 센서; 및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린으로 변경된 A 필러에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과 연결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영상 매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감성 공유부는, 동일한 공연이나 영화를 보는 사용자들의 좋아요 반응을 수집하거나, 호응 소리, 박수 소리 및 모션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집단 감성을 수집하는 감성 수집부; 수집된 집단 감성 수치를 데이터화하는 감성 정량화부; 및 데이터화된 집단 감성 수치를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과 매칭하는 감성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감성 형상화부는, 소리 감지 센서 및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하여 소리 및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성 감지부; 및 감지된 소리의 음량 및 모션에 따라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감성 표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감성 표현부는, 감지된 소리의 음량이 커지거나 모션이 활발해질수록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및 반짝임의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확장부는, 자동차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를 씨어터 모드로 변환하고, 스피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에 따르면, 자동차 필러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하여 연속된 3면 스크린을 생성하여 미디어 감상에 맞는 최적화된 사용자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행동 및 소리에 반응하는 인터랙션 및 네트워크 사용자간 실시간 감성 공유 인터랙션을 통해 공연장에 있는 것처럼 실감나는 미디어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크린 확장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감성 공유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감성 형상화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장치에서 자동차의 내부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장치에서 네트워크 사용자간 실시간 감성 공유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표현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장치에서 사용자의 행동 및 소리에 반응하는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표현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장치에서 자동차의 내부를 클래식 모드로 구현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이하 SD)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10, 이하 장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공연, 콘서트, 음악 등 미디어 감상에 최적화된 3면 스크린을 생성하는 자동차 씨어터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스크린 변경부(110), 스크린 확장부(130), 시트 이동부(150), 감성 공유부(170) 및 감성 형상화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10)는 자동차의 S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자동차 전장의 일부에 형성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장치(1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 변경부(110), 상기 스크린 확장부(130), 상기 시트 이동부(150), 상기 감성 공유부(170) 및 상기 감성 형상화부(190)의 구성은 상기 장치(10)에서 실행되는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별도의 단말이거나 또는 단말의 일부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변경부(110), 상기 스크린 확장부(130), 상기 시트 이동부(150), 상기 감성 공유부(170) 및 상기 감성 형상화부(19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장치(10)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변경부(110)는 사용자가 씨어터(theater) 모드를 선택하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으로 변경한다. 씨어터 모드시 자동차 내부의 전체적인 조명의 조도 또한 오프되거나 낮아질 수 있다.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은 투명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중에는 일반적인 투명 창문이나, 씨어터 모드시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확장부(130)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 사이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구성된 A 필러(pillar)를 스크린으로 변경하여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한다.
A 필러는 자동차의 지붕(루프)와 차체를 연결하는 기둥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A 필러를 SD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뿐만 아니라 그 사이의 필러까지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연결된 3면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 확장부(130)는 카메라(131), 라이다 센서(133) 및 영상 매핑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31)는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를 촬영하고, 상기 라이다 센서(133)는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의 거리 정보를 확인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에는 공연장의 영상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자동차의 A 필러에는 상기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 간의 사각지대의 영상을 매핑하여 표시한다.
상기 영상 매핑부(135)는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린으로 변경된 A 필러에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과 연결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자동차는 내부 특성상 사용자에게 개인적이면서도 집중할 수 있는 공연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이 끊임없이 3면 확장되어 더욱 실감나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이동부(150)는 자동차의 리클라이닝 시트를 뒤로 이동한다. 이 경우, 미디어 감상에 최적화된 환경을 위해 자동차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가 씨어터 모드로 변환되고, 스피커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연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는 모두 평탄화되고, 스피커는 사용자의 머리 근처나 뒤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시나리오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는 손꼽아 기다려온 테일러 스위프트의 온라인 콘서트를 보기 위해 친구 또는 연인과 만나 함께 차에 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운행 중에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내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미디어 감상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동차의 CID(Center Infotainment Display)에서 씨어터 모드를 터치한다. 그러자 모든 창문이 어두워지고, 리클라이닝 시트는 뒤로 이동한다.
또한,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이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필러까지 확장되어, 3면 스크린 씨어터 환경이 조성되어, 공연, 콘서트, 음악 등 미디어 감상에 최적화된다. 또한, 시트 및 스피커가 미디어 감상에 적합하게 이동되고, 대시보드의 인터페이스도 씨어터 모드로 전환되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감성 공유부(170)는 네트워크 사용자간 실시간 감성 공유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을 통해 동일한 공연이나 영화를 보는 사용자들의 집단 감성을 수집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콘서트장으로 지정된 장소에 집합한 사용자들간 로컬 네트워크가 형성되거나 온라인으로 접속한 사용자들간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감성 공유부(170)는 감성 수집부(171), 감성 정량화부(173) 및 감성 매칭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성 수집부(171)는 동일한 공연이나 영화를 보는 사용자들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집단 감성을 수집할 수 있다. 즉, 형성된 로컬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 사용자들의 반응을 수집한다.
또한, 집단 감성의 수집을 위해 동일한 공연이나 영화를 보는 사용자들의 좋아요 반응(터치 등)을 수집하거나, 호응 소리, 박수 소리 및 모션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감성 정량화부(173)는 수집된 집단 감성 수치를 데이터화하고, 상기 감성 매칭부(175)는 데이터화된 집단 감성 수치를 반영하여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등의 표현률을 매칭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의 좋아요 반응의 비율이 30%인지 90%인지에 따라,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을 30% 또는 90%로 매칭시켜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컬러는 노란색, 빨간색 등의 화려한 색의 표현률이 검정색, 회색 등의 무채색에 비해 높다고 설정할 수 있다.
수집된 집단 감성을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에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들의 감성을 공유하여 혼자 미디어를 감상 중에도 집단 감성을 경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실제 콘서트장에 와 있는 듯한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콘서트가 시작되자 여러 사람과 함께 온라인 콘서트를 감상하고 있는 것처럼 대시 보드와 도어에 작은 불빛들이 켜진다. 그 불빛은 콘서트의 노래 리듬에 맞춰 움직인다.
상기 감성 형상화부(190)는 사용자의 행동 및 소리에 반응하는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다른 공간에서 같은 콘서트를 보고 있는 사람들의 반응이 표현, 공유되어 대시보드에서 시각 및 형태 변형을 통한 움직임 표현을 통한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감성 형상화부(190)는 센서부(191), 감성 감지부(193) 및 감성 표현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91)는 사용자의 호응 소리, 박수 소리, 공연장의 음악 소리 등을 수집하는 소리 감지 센서 또는 사용자의 액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성 감지부(193)는 상기 센서부(191)를 통하여 사용자나 주변의 소리 및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상기 감성 표현부(195)는 감지된 사용자나 주변의 소리 및 사용자의 모션 정도를 표현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곡이 끝나고 박수를 치자, 대시보드와 도어의 불빛이 강하게 흔들리며 더 반짝인다. 다른 온라인 공간에서 콘서트 실황을 함께 보고 있는 사람들의 박수나 환호성이 커지면, 헤드라이너 디스플레이에서도 폭죽과 꽃가루 효과가 펼쳐진다. 꽃가루가 날리자, 사용자는 여러 사람들이 함께 호응하고 있음을 느낀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성 형상화부(190)는 소리 감지 센서 및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하여 소리 및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이를 SD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소리의 음량 및 모션에 따라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감정 또는 감성을 반영할 수 있다.
감지된 소리의 음량이 커지거나 모션이 활발해질수록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이 더욱 활발해지는 등 사용자에게 감성의 인터랙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공연이 끝나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은 다시 투명해지고, A 필러(pillar) 역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자동차의 리클라이닝 시트는 다시 앞으로 이동하고, 자동차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 및 스피커도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콘서트가 끝나고 사용자는 열기를 가라앉히기 위해 클래식 음악을 들으며 이동하기로 한다. 클래식 선율이 흘러나오며, 대시보드와 도어에도 그 선율을 형상화한 부드러운 표면과 빛의 흐름이 반짝인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기분을 반영하여 실감나는 씨어터 모드를 제공하거나 차분한 클래식 모드를 제공하여 시각, 청각, 감성을 반영한 차량용 SD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에서 3면 스크린 생성 시, 필러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하여 연속된 화면을 구성하며, 콘서트 장의 다른 관객과 상호 커뮤니케이션 가능하여 실감나는 공연을 경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은, 도 1의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공연, 콘서트, 음악 등 미디어 감상에 최적화된 3면 스크린을 생성하는 자동차 씨어터를 제공한다. 또한, 콘서트 장의 다른 관객과 상호 커뮤니케이션 가능하여 실감나는 공연을 경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씨어터(theater) 모드를 선택하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으로 변경한다(단계 S10).
씨어터 모드시 자동차 내부의 전체적인 조명의 조도 또한 오프되거나 낮아질 수 있다.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은 투명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중에는 일반적인 투명 창문이나, 씨어터 모드시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으로 변환될 수 있다.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 사이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구성된 A 필러(pillar)를 스크린으로 변경하여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한다(단계 S20).
A 필러는 자동차의 지붕(루프)와 차체를 연결하는 기둥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A 필러를 SD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뿐만 아니라 그 사이의 필러까지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연결된 3면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단계는,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를 촬영하고,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라이다 센서를 통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의 거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린으로 변경된 A 필러에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과 연결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린으로 변경된 A 필러에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과 연결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자동차는 내부 특성상 사용자에게 개인적이면서도 집중할 수 있는 공연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이 끊임없이 3면 확장되어 더욱 실감나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자동차의 리클라이닝 시트를 뒤로 이동한다(단계 S30). 이 경우, 미디어 감상에 최적화된 환경을 위해 자동차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가 씨어터 모드로 변환되고, 스피커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연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는 모두 평탄화되고, 스피커는 사용자의 머리 근처나 뒤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네트워크 사용자간 실시간 감성 공유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40).
이를 위해, 온라인을 통해 동일한 공연이나 영화를 보는 사용자들의 집단 감성을 수집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콘서트장으로 지정된 장소에 집합한 사용자들간 로컬 네트워크가 형성되거나 온라인으로 접속한 사용자들간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동일한 공연이나 영화를 보는 사용자들의 좋아요 반응을 수집하거나, 호응 소리, 박수 소리 및 모션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집단 감성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집단 감성 수치를 데이터화하고, 데이터화된 집단 감성 수치를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과 매칭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의 좋아요 반응의 비율이 30%인지 90%인지에 따라,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을 30% 또는 90%로 매칭시켜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컬러는 노란색, 빨간색 등의 화려한 색의 표현률이 검정색, 회색 등의 무채색에 비해 높다고 설정할 수 있다.
수집된 집단 감성을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에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들의 감성을 공유하여 혼자 미디어를 감상 중에도 집단 감성을 경험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동 및 소리에 반응하는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50).
상기 자동차의 헤드라이너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소리 감지 센서 및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하여 소리 및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소리의 음량 및 모션에 따라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감지된 소리의 음량이 커지거나 모션이 활발해질수록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및 반짝임의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이 증가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감정 또는 감성을 반영할 수 있다.
공연이 끝나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은 다시 투명해지고, A 필러(pillar) 역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자동차의 리클라이닝 시트는 다시 앞으로 이동하고, 자동차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 및 스피커도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기분을 반영하여 실감나는 씨어터 모드를 제공하거나 차분한 클래식 모드를 제공하여 시각, 청각, 감성을 반영한 차량용 SD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에서 3면 스크린 생성 시, 필러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하여 연속된 화면을 구성하며, 콘서트 장의 다른 관객과 상호 커뮤니케이션 가능하여 실감나는 공연을 경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는 혼자만의 공간이므로 영상이나 공연을 시청하기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확장으로 인한 감각과 감성의 만족, 신체적/정신적 자유로움, 다중 감각 정보 전달, 휴식 생활 공간을 지원하는 등 언택트 시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10: SD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110: 스크린 변경부
130: 스크린 확장부
150: 시트 이동부
170: 감성 공유부
190: 감성 형상화부

Claims (13)

  1. 사용자가 씨어터(theater) 모드를 선택하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으로 변경하는 단계;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 사이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구성된 A 필러(pillar)를 스크린으로 변경하여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단계;
    자동차의 리클라이닝 시트를 뒤로 이동하는 단계;
    네트워크 사용자간 실시간 감성 공유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행동 및 소리에 반응하는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단계는,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단계;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라이다 센서를 통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의 거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린으로 변경된 A 필러에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과 연결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동일한 공연이나 영화를 보는 사용자들의 좋아요 반응을 수집하거나, 호응 소리, 박수 소리 및 모션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집단 감성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집단 감성 수치를 데이터화하는 단계; 및
    데이터화된 집단 감성 수치를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헤드라이너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소리 감지 센서 및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하여 소리 및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소리의 음량 및 모션에 따라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소리의 음량 및 모션에 따라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는,
    감지된 소리의 음량이 커지거나 모션이 활발해질수록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및 반짝임의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단계는,
    자동차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가 씨어터 모드로 변환되고, 스피커가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8. 사용자가 씨어터(theater) 모드를 선택하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으로 변경하는 스크린 변경부;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 사이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구성된 A 필러(pillar)를 스크린으로 변경하여 연속되는 3면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스크린 확장부;
    자동차의 리클라이닝 시트를 뒤로 이동하는 시트 이동부;
    네트워크 사용자간 실시간 감성 공유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성 공유부; 및
    사용자의 행동 및 소리에 반응하는 인터랙션을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성 형상화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확장부는,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의 거리 정보를 확인하는 라이다 센서; 및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린으로 변경된 A 필러에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과 양쪽 창문을 스크린과 연결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영상 매핑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공유부는,
    동일한 공연이나 영화를 보는 사용자들의 좋아요 반응을 수집하거나, 호응 소리, 박수 소리 및 모션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집단 감성을 수집하는 감성 수집부;
    수집된 집단 감성 수치를 데이터화하는 감성 정량화부; 및
    데이터화된 집단 감성 수치를 자동차의 도어와 대시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과 매칭하는 감성 매칭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형상화부는,
    소리 감지 센서 및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하여 소리 및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성 감지부; 및
    감지된 소리의 음량 및 모션에 따라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반짝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감성 표현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표현부는,
    감지된 소리의 음량이 커지거나 모션이 활발해질수록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디스플레이되는 폭죽, 꽃가루, 불빛, 컬러 및 반짝임의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률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확장부는,
    자동차의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를 씨어터 모드로 변환하고, 스피커를 이동시키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KR1020210025523A 2021-02-25 2021-02-25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418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23A KR102418194B1 (ko) 2021-02-25 2021-02-25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23A KR102418194B1 (ko) 2021-02-25 2021-02-25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194B1 true KR102418194B1 (ko) 2022-07-07

Family

ID=8239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23A KR102418194B1 (ko) 2021-02-25 2021-02-25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19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931A (ko) 2007-09-07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방향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60109243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서연전자 운전자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감성조명 장치
JP2017149222A (ja) * 2016-02-23 2017-08-31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演出装置、車輌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56867A (ko) * 2016-11-21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9119445A (ja) 2018-01-04 2019-07-22 ハーマ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キャビン内での拡張されたメディア体験のためのムードルーフ
KR20190103517A (ko) 2018-02-13 2019-09-05 주식회사 루멘스 마이크로 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운전자 시야 확장 시스템
JP2019185117A (ja) * 2018-04-02 2019-10-2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雰囲気推測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931A (ko) 2007-09-07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방향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60109243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서연전자 운전자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감성조명 장치
JP2017149222A (ja) * 2016-02-23 2017-08-31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演出装置、車輌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56867A (ko) * 2016-11-21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9119445A (ja) 2018-01-04 2019-07-22 ハーマ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キャビン内での拡張されたメディア体験のためのムードルーフ
KR20190103517A (ko) 2018-02-13 2019-09-05 주식회사 루멘스 마이크로 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운전자 시야 확장 시스템
JP2019185117A (ja) * 2018-04-02 2019-10-2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雰囲気推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614B1 (ko) 차량 탑승자 및 원격 사용자를 위한 공유 환경
US11086581B2 (en) Controlling external devices using reality interfaces
US9542067B2 (en) Panel system for use as digital showroom displaying life-size 3D digital objects representing real products
KR102656130B1 (ko) 차량 캐빈에서 증강 미디어 경험을 위한 무드루프
US20200290513A1 (en) Light field display system for vehicle augmentation
KR102212030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1126140B2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KR2016012811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630156A (zh) 用于基于变形的触觉效果的系统和方法
JP702047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CN111712870B (zh) 信息处理装置、移动装置、方法和程序
CN114083983A (zh) 用于视野数字虚拟方向盘控制器的系统和方法
US20110150276A1 (en)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CN113767394A (zh) 在非结构化视频流中捕获对象
US20110150299A1 (en)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US20110150298A1 (en)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KR102418194B1 (ko)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씨어터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US1142933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13829A (ko) 콘텐츠 표시순위 결정 장치, 콘텐츠 표시순위 결정 장치의 제어방법 및 콘텐츠 표시순위 결정 장치를 포함한 차량
KR20170040021A (ko) 조명 장치 및 시스템
CN212341838U (zh) 驾驶体验系统
KR20190100705A (ko)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
KR102540574B1 (ko)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자동차에서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490224B1 (ko) 차량의 인테리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961410B1 (en) Systems and methods to measure and affect focus and eng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