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705A -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0705A KR20190100705A KR1020180020594A KR20180020594A KR20190100705A KR 20190100705 A KR20190100705 A KR 20190100705A KR 1020180020594 A KR1020180020594 A KR 1020180020594A KR 20180020594 A KR20180020594 A KR 20180020594A KR 20190100705 A KR20190100705 A KR 201901007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riting
- display
- led
- head
- mo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1359 Malus pumi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HUD(Head-up Display)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작성되는 드로잉 혹은 판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받아 표시 가능한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실행되되, LED 표시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 배치위치에 판서감지블럭을 대응시켜 놓은 판서감지블럭들의 조합을 판서영역으로 설정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판서영역에서 터치되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를 설정모드에 따라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하기 위한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다수의 LED가 행렬 형태로 배치되는 LED 어레이부와, 상기 LED 어레이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LED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어 오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LED를 구동 제어하는 표시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표시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다수의 LED가 행렬 형태로 배치되는 LED 어레이부와, 상기 LED 어레이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LED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어 오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LED를 구동 제어하는 표시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표시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HUD(Head-up Display)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작성되는 드로잉 혹은 판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받아 표시 가능한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업 표시(HUD)장치는 전투기용으로 개발된 것으로, 표시광은 조종석 전방에 놓여진 반투명 반사판에서 반사되고 파일럿의 눈에 입사되어 파일럿이 각종 정보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상기 용도로 개발된 헤드업 표시장치는 차량에도 적용되어 운전자가 전방을 응시하면서도 각종 차량 주행 정보와 주변 상황을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교통사고 발생 수를 획기적으로 낮추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 의해 차량 출고시 헤드업 표시장치가 차량 내에 실장되어 출고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차량 소유자가 별도 구매하여 차량 내에 부착하는 헤드업 표시장치들도 속속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차량용 헤드업 표시장치는 주행 정보와, 주변 상황 정보 등을 표시하는데 국한되어 있어 그 용도가 극히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용자별로 차이를 가지기는 하지만 차량 이용시간이 많지 않음을 고려해 볼 때, 그리고 헤드업 표시장치가 운전자 전면에만 주행 정보들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헤드업 표시장치의 활용도가 극히 낮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차량에서 착탈 가능한 헤드업 표시장치들의 사용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에 이르렀고, 특히 주행중 의사불통으로 인해 여러 형태의 보복운전들이 난무하는 현실을 고려해 기존 헤드업 표시장치들을 인접 차량간 의사소통 매체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작성되는 드로잉(drawing) 데이터는 물론 판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받아 표시해 줄 수 있는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내 운전자 음성을 인식해 이를 문자 변환하여 표시해 줌으로써 인접 차량으로 운전자의 의사를 전달해 줄 수 있는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등록해 놓은 차량번호가 발견된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통보해 줄 수도 있는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실행되되, LED 표시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 배치위치에 판서감지블럭을 대응시켜 놓은 판서감지블럭들의 조합을 판서영역으로 설정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판서영역에서 터치되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를 설정모드에 따라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하기 위한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다수의 LED가 행렬 형태로 배치되는 LED 어레이부와, 상기 LED 어레이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LED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어 오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LED를 구동 제어하는 표시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표시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상기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은,
적어도 판서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모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연속재생모드, 판서 데이터의 스크롤 재생모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일반표시모드 중 하나 이상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된 모드설정영역을 상기 판서영역과 함께 표시 제어하고, 선택모드에 따라 상기 판서영역에서 터치되는 프레임별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를 모드선택정보와 함께 실시간 혹은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전송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은,
상기 모드설정영역에 차량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차량등록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해 등록된 차량번호와 일치할 경우 그 사실을 상기 LED 표시기로 전송하는 등록 차량번호 검출부;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는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작성되는 드로잉(drawing) 데이터는 물론 각종 판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받아 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차량내 탑승자들간 의사전달매체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차량 내 운전자 음성을 인식해 이를 문자 변환하여 표시해 줌으로써 인접 차량으로 운전자의 의사를 전달해 줌에 있어, 안전운전에 방해됨이 없이 편리하게 운전자의 의사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는 스피커로 사용될 수도 있고, 차량번호를 등록해 찾고자 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기기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연락처를 남길 수 있는 기기로도 사용될 수 있어 단순히 헤드업 표시장치로만 사용되던 일반 HUD의 한계를 뛰어 넘어 다양한 용도의 기기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헤드업 표시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헤드업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판서영역 및 LED 표시기의 LED 배치위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장치의 동작 흐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표시기에 표시되는 판서 데이터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헤드업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판서영역 및 LED 표시기의 LED 배치위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장치의 동작 흐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표시기에 표시되는 판서 데이터 예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헤드업 표시장치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헤드업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표시되는 판서영역 및 LED 표시기(200)의 LED 배치위치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헤드업 표시장치는 스마트 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이 근거리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 연결되어 상기 앱 모듈로부터 전송된 판서 데이터를 설정모드에 따라 달리 표시해 주는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로서 사용 가능한 LED 표시기(200)로 구성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헤드업 표시장치(HUD)로 사용 가능한 LED 표시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과 LED 표시기(200)의 기술적 구성과 특징을 부연 설명하면,
우선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실행되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표시기(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 배치위치에 판서감지블럭을 대응시켜 놓은 판서감지블럭들의 조합을 판서영역으로 설정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판서영역에서 터치되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를 설정모드에 따라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한다.
또한 상기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적어도 판서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RT)모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연속재생(CP)모드, 판서 데이터의 스크롤 재생(S)모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일반표시(G)모드, 음원 재생(AP)모드, 차량 등록(VR)모드 중 하나 이상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된 모드설정영역을 도 3의 (a)와 같이 판서영역과 함께 표시 제어하고, 선택모드에 따라 상기 판서영역에서 터치되는 프레임별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를 모드선택정보와 함께 실시간 혹은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전송해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이란 판서영역에 소정의 내용이 판서되고 그 판서 내용이 클리어된 후 새로운 내용이 판서영역에 판서될 경우에 시간적으로 서로 다른 내용이 판서된 내용(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 집합)을 구분짓기 위한 용어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상기 모드설정영역에 차량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차량등록버튼(VR)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카메라(140)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해 등록된 차량번호와 일치할 경우 그 사실을 LED 표시기(200)로 전송하는 등록 차량번호 검출부(12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차량 내 운전자 음성 혹은 사용자 음성을 인식해 이를 문자 변환하여 LED 표시기(200)측으로 전송하는 음성-문자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페어링된 LED 표시기(200)측으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도 2에서 미설명된 터치 스크린(110)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판서영역 상에서 사용자가 판서하는 터치입력경로, 즉 사용자가 터치하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표시해 주기 위한 수단을 도시한 것이며, 통신부(13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수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통신부(13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LED 표시기(200) 사이에 데이터 통신(SPP)과 오디오 통신(A2DP)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100)에는 일반적으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40)가 설치된다. 이러한 카메라(140)로부터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전방 차량의 차량번호만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번호 검출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이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LED 표시기(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통신부(130)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10)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LED가 행렬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LED 어레이부(230)와,
상기 LED 어레이부(230)를 구성하는 다수의 LED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어 오는 프레임별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LED를 구동 제어하는 표시 구동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LED 표시기(200)에는 시스템 각 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역시 포함된다.
또한 LED 표시기(20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 측에서 전송되어 오는 재생 음원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원 재생 출력부(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LED 표시기(2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설정모드에 따라 다수의 LED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표시 구동 제어부와 원칩 IC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전송되어 온 프레임별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가 구분 저장됨으로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연속재생, 판서 데이터의 스크롤 재생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3의 (a)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판서영역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b)는 LED 표시기(200)의 LED 어레이부(230)를 구성하는 m×n 행렬의 LED 배치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LED 어레이부(230)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 배치위치에 대응하는 판서감지블럭의 조합(m×n)이 도 3의 (a)에 도시된 판서영역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100) 사용자는 판서영역상에 판서할 수 있고, 그 판서에 따른 터치 입력경로에 위치하는 판서감지블럭이 활성화되는 동시에, 활성화된 판서감지블럭에 대응하는 LED가 표시 구동제어부(220)에 의해 점등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사용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서영역과 함께 표시되는 모드설정영역에 배치 표시되는 다수의 버튼들(RT,CP,S,G,VR,..)을 통해 판서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모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연속재생모드, 판서 데이터의 스크롤 재생모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일반표시모드 중 하나 이상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표시기(200)에 표시되는 판서 데이터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LED 표시기(200) 각각은 통신부(130,210)로서 블루투스 모듈을 채용할 수 있고, 이들 통신부(130,210)들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페어링(S10단계)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을 실행시킨다.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이 실행되면 터치 스크린(110) 상에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서영역과 모드설정영역이 함께 표시되는 초기화면이 표시된다. 이러한 초기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판서영역 상에 판서되는 내용을 설정모드에 따라 LED 표시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판서영역 상에 판서되는 내용은 드로잉 데이터, 문자 판서 데이터, 기호 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화면이 표시되면,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현재의 설정모드를 체크(S20단계)한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모드가 판서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모드(RT)라 가정하면,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되는 입력경로(이를 판서 경로라 칭할 수 있음)를 획득하고 그 판서 경로 에 위치하는 판서감지블럭을 활성화 표시(S30단계)함으로써, 사용자는 활성화되는 판서감지블럭들을 통해 자신이 터치 스크린(110) 상에 판서하는 내용을 인지할 수 있다. '활성화'란 판서 경로 주변에 위치하는 판서감지블럭(비활성 판서감지블럭)과 다른 컬러로 표시되는 상태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현재 설정된 모드가 판서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모드(RT)이기 때문에 S30단계에서 획득된 판서 경로에 위치하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를 모드선택정보와 함께 통신부(130)를 통해 LED 표시기(200)측으로 실시간 전송(S40단계)한다.
이에 LED 표시기(200)측의 표시 구동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어 오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LED를 구동 제어, 즉 LED를 점등 제어한다. 이로써 LED 표시기(200)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터치 스크린(110)에 판서 혹은 드로잉되는 문자, 기호, 도형, 그림 등이 실시간 전송되어 표시된다.
도 5에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판서된 내용이 LED 표시기(200)에 실시간 전송되어 완성된 문장의 표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터치 스크린(110)상에 판서된 내용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LED 표시기(200)로 전송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차량 내 탑승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형태이 헤드업 표시장치를 통해 인접 차량으로 사과글, 인사말, 위험 상태 등을 편리하게 전파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음성 문자 변환부가 더 구비된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이라면, 운전자의 음성을 인식해 이를 문자 변환해 LED 표시기(200)로 전송 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운전하면서 인접 차량 탑승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110)에 판서 혹은 드로잉되는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사용자는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연속재생모드, 판서 데이터의 스크롤 재생모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일반표시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판서된 내용을 LED 표시기(200)로 전송해 표시할 수 있다.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연속재생모드란 터치 스크린(110)상에서 판서 완료된 하나의 판서 혹은 드로잉된 데이터(제1판서 데이터라 할 경우)와, 상기 제1판서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 터치 스크린(110)상에서 판서 완료된 또 하나의 판서 혹은 드로잉된 데이터(제2판서 데이터라 할 경우)를 연속재생하는 모드를 말한다.
즉, 사용자는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연속재생모드를 선택한 후 제1판서 데이터가 작성 완료되면 판서 데이터를 지운다. 이러한 경우 지워진 데이터는 메모리에 제1판서 데이터로 저장되며 이러한 제1판서 데이터가 곧 제1프레임을 구성하는 판서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를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로 명명할 수 있는 것이며,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는 곧 프레임별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 조합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제1판서 데이터를 지운후 제2판서 데이터를 작성 완료하고 다시 판서 데이터를 지우면 제2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이며, 모든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가 작성 완료되면 사용자는 전송 명령을 내린다. 그러면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저장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들을 모드선택정보와 함께 LED 표시기(200)로 전송해 줌으로서, LED 표시기(200)측의 표시 구동 제어부(220)는 모드선택정보를 체크한 후 전송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연속 재생되도록 LED 구동을 제어해 마치 정지된 판서 데이터가 살아 움직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판서 데이터의 스크롤 재생모드는 판서된 데이터가 LED 표시기(200)에서 좌측 혹은 우측으로 연속 스크롤 재생하여 표시하는 모드를 나타낸 것이며,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일반표시모드는 판서된 데이터가 움직임 없이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서, 차량 내에 운전자 연락처를 남기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모드이다.
한편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모드가 음원 재생(AP)모드(S60단계)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태된 음원을 재생(S70단계)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LED 표시기(200)측으로 전송(S80단계)한다. 이에 LED 표시기(200)의 음원 재생 출력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되는 재생 음원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LED 표시기(200)를 하나의 스피커로 활용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모드가 차량 등록(VR)모드이면 차량번호 등록창을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해 준다. 이에 사용자는 차량번호를 등록한다. 차량번호를 등록한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카메라(140)를 통해 전방 혹은 주변 차량의 차량번호가 촬영되도록 한다.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120)에 구비된 등록 차량번호 검출부는 카메라(140)를 통해 얻어지는 카메라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해 등록된 차량번호와 일치할 경우 그 사실을 LED 표시기(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 LED 표시기(200)는 '등록 차량번호 검출'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해 주는 방법, 등록차량 검출 경보음 출력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등록된 차량의 검출 사실을 통보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는 스피커로 사용될 수도 있고, 차량번호를 등록해 찾고자 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기기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연락처를 편리하게 남길 수 있는 기기로 사용될 수도 있고, 인접 차량으로 운전자 혹은 탑승자의 의사를 전달하는 기기로도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 스마트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실행되되, LED 표시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 배치위치에 판서감지블럭을 대응시켜 놓은 판서감지블럭들의 조합을 판서영역으로 설정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판서영역에서 터치되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를 설정모드에 따라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하기 위한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다수의 LED가 행렬 형태로 배치되는 LED 어레이부와, 상기 LED 어레이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LED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어 오는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LED를 구동 제어하는 표시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표시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은,
적어도 판서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모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연속재생모드, 판서 데이터의 스크롤 재생모드, 프레임별 판서 데이터의 일반표시모드 중 하나 이상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된 모드설정영역을 상기 판서영역과 함께 표시 제어하고, 선택모드에 따라 상기 판서영역에서 터치되는 프레임별 판서감지블럭들의 위치정보를 모드선택정보와 함께 실시간 혹은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 표시장치 제어용 앱 모듈은,
상기 모드설정영역에 차량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차량등록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해 등록된 차량번호와 일치할 경우 그 사실을 상기 LED 표시기로 전송하는 등록 차량번호 검출부와;
사용자 음성을 인식해 이를 문자 변환하여 상기 LED 표시기로 전송하는 음성 문자 변환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0594A KR20190100705A (ko) | 2018-02-21 | 2018-02-21 |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0594A KR20190100705A (ko) | 2018-02-21 | 2018-02-21 |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0705A true KR20190100705A (ko) | 2019-08-29 |
Family
ID=6777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0594A KR20190100705A (ko) | 2018-02-21 | 2018-02-21 |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0070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9520A (ko) * | 2021-10-06 | 2023-04-13 | 한국과학기술원 | 가상 현실 공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WO2023058819A1 (ko) * | 2021-10-06 | 2023-04-13 | 한국과학기술원 | 가상 현실 공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4821A (ko) | 2012-03-15 | 2013-09-25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차량의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 |
-
2018
- 2018-02-21 KR KR1020180020594A patent/KR20190100705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4821A (ko) | 2012-03-15 | 2013-09-25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차량의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9520A (ko) * | 2021-10-06 | 2023-04-13 | 한국과학기술원 | 가상 현실 공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WO2023058819A1 (ko) * | 2021-10-06 | 2023-04-13 | 한국과학기술원 | 가상 현실 공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81263B2 (ja) | 着用可能な計算機システムへのサウンド状態の表示 | |
CN108957761B (zh) |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头戴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 |
US10209955B2 (en) |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feedback for head mounted displays (HMD) | |
US7734414B2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ell phone control signal in front of a driver | |
US9348144B2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50109191A1 (en) | Speech Recognition | |
US9020566B2 (en) | Vehicle on-board unit and mobile device linkage system | |
JP6380091B2 (ja) |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 |
CN105320279A (zh) | 可穿戴眼镜和利用其提供内容的方法 | |
KR20130113897A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JP7367680B2 (ja) | 表示装置 | |
US11551590B2 (en) | Messaging display apparatus | |
KR20190100705A (ko) | 탈부착 형태의 헤드업 표시장치 | |
JP6364735B2 (ja) | 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 |
JP6295360B1 (ja) | メッセージ表示用プログラム、メッセージ表示装置、及びメッセージ表示方法 | |
KR102235368B1 (ko) |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 |
JP3183407U (ja) | スマートフォ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 |
KR101305547B1 (ko) | 주행 감정 표현 시스템 | |
US20130084555A1 (en) |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
US11775065B2 (en) | Projection system for smart ring visual output | |
US20130084553A1 (en) |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
JP2017037212A (ja) | 音声認識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 |
JP2010056041A (ja) | 誘導灯 | |
US11209960B2 (en) | Control method of terminal device | |
TWM502853U (zh) | 將即時訊息顯示於抬頭顯示器上之車載結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