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897A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897A
KR20130113897A KR1020120036470A KR20120036470A KR20130113897A KR 20130113897 A KR20130113897 A KR 20130113897A KR 1020120036470 A KR1020120036470 A KR 1020120036470A KR 20120036470 A KR20120036470 A KR 20120036470A KR 20130113897 A KR20130113897 A KR 20130113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terminal device
user termi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182B1 (ko
Inventor
민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3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182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380018984.XA priority patent/CN104204729B/zh
Priority to US13/858,275 priority patent/US10115370B2/en
Priority to AU2013203009A priority patent/AU2013203009B2/en
Priority to RU2014140600A priority patent/RU2014140600A/ru
Priority to JP2015504510A priority patent/JP2015517149A/ja
Priority to PCT/KR2013/002934 priority patent/WO2013154321A1/en
Priority to EP13162752.3A priority patent/EP2648077B1/en
Priority to BR112014024001A priority patent/BR112014024001A8/pt
Priority to EP17157990.7A priority patent/EP3190501A1/en
Publication of KR2013011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897A/ko
Priority to IN9255DEN2014 priority patent/IN2014DN092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서로 다른 입력 방식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 인식하는 복수의 인식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고,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러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가 각종 이동체에도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네비게이션 장치이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맵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안내해주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모바일 단말 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의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다. 다만, 네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의 운전 중에 사용하게 될 경우, 운전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그 밖에, 최신 전자 장치들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음성, 터치, 모션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입력에 의해 선택 및 실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행동을 고려하지 않아 문제가 된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의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GUI 정보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서로 다른 입력 방식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 인식하는 복수의 인식부 및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고,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감지된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상태 정보는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가 제1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복수의 인식부 각각에 의해 인식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가 제2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복수의 인식부 중에서 제2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는 입력 방식에 따라 복수 개로 구분되고, 제어부는,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복수의 인식부 중에서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인식부에서 인식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입력,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이며, 제2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입력만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제1 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제2 입력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입력, 사용자의 음성입력,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사용자의 뇌파에 따른 입력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입력 모드가 전환되면, 전환된 입력모드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설정받기 위한 UI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설정된 입력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방식이 복수 개인 경우, 입력 방식을 설정받고, 입력 방식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설정된 입력 모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 모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서로 다른 입력 방식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하는 단계는, 감지된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하는 단계는,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상태 정보는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가 제1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복수의 인식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가 제2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제2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인식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는 입력 방식에 따라 복수 개로 구분되고, 수행하는 단계는,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복수의 인식부 중에서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인식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1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입력,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이며, 제2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입력만을 인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수행하는 단계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제1 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제2 입력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입력, 사용자의 음성입력,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사용자의 뇌파에 따른 입력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입력 모드가 전환되면, 전환된 입력모드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행하는 단계는, 설정된 입력 모드에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방식이 복수 개인 경우, 입력 방식을 설정받고, 입력 방식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입력 모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감지된 이동 상태 정보 및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상태 정보는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로 설정하고,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정된 옵션 정보는, UI의 표시 방식, 음량, 화면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옵션 정보는 UI의 표시 방식이며, 제1 옵션 정보는, LIST 방식의 UI 이고, 제2 옵션 정보는, Tile 방식의 UI 일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옵션 정보는 음량이며, 제1 옵션 정보는, 저 음량 이고, 제2 옵션 정보는, 고 음량일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옵션 정보는 화면 밝기이며, 제1 옵션 정보는, 저 밝기 화면이고, 제2 옵션 정보는, 고 밝기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또는 제2 옵션 정보로 설정받기 위한 UI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옵션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설정된 옵션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를 기설정된 제1 옵션 정보에 따라 구동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하는 단계는, 감지된 이동 상태 정보 및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상태 정보는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환하는 단계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로 설정하고,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옵션 정보는, UI의 표시 방식, 음량, 화면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옵션 정보는 UI의 표시 방식이며, 제1 옵션 정보는, LIST 방식의 UI 이고, 제2 옵션 정보는, Tile 방식의 UI 일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옵션 정보는 음량이며, 제1 옵션 정보는, 저 음량 이고, 제2 옵션 정보는, 고 음량일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옵션 정보는 화면 밝기 이며, 제1 옵션 정보는, 저 밝기 화면이고, 제2 옵션 정보는, 고 밝기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또는 제2 옵션 정보로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전환하는 단계는, 옵션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옵션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및 수신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모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하는 단계는, 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및 수신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모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환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모드 설정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도 8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 내지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정보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7은 도 16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18 내지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4는 도 23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GUI 정보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인식부(110), 제어부(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PDA, PC 일 수 있다.
인식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사용자의 음성 입력,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사용자의 뇌파에 따른 입력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식부(110)는 서로 다른 입력 방식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가 제1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인식부(110)는 제1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가 제2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인식부(110)는 제2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사용자의 음성입력,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사용자의 뇌파에 따른 입력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모드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모드이고, 제2 입력 모드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모드인 경우, 인식부(110)는 후술할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제1 입력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사용자의 음성 입력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고, 제2 입력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입력 인식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음성 입력 인식부,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인식하는 제스쳐 입력 인식부,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을 인식하는 동공 입력 인식부, 사용자의 뇌파에 따른 입력을 인식하는 뇌파 입력 인식부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을 인식하는 타 디바이스 입력 인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고,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인식부(110), 제어부(120), 감지부(13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저장부(1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인식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입력 인식부(111),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음성 입력 인식부(112),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인식하는 제스쳐 입력 인식부(113),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을 인식하는 동공 입력 인식부(114), 사용자의 뇌파에 따른 입력을 인식하는 뇌파 입력 인식부(115)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을 인식하는 타 디바이스 입력 인식부(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 인식부(111)는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다. 또한 터치 입력 인식부(111)는 입력된 터치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여기서, 터치 입력 인식부(111)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인식부(111)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0)와 결합되어 일체형(all-in-one)뿐 아니라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터치 입력 인식부(111)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입력 인식부(112)는 사용자가 발화(utterance)한 음성을 입력받는다. 또한 음성 입력 인식부(112)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 입력 인식부(112)는 마이크로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 인식부(11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뿐 아니라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음성 입력 인식부(11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인식부(113)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촬상한 영상 신호(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를 입력받아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제스쳐 입력 인식부(113)는 렌즈 및 이미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스쳐 입력 인식부(11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일체형뿐만 아니라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제스쳐 입력 인식부(11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동공 입력 인식부(114)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촬상한 영상 신호(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를 입력받아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동공 입력 인식부(114)는 사용자가 주시하고 있는 방향으로 촬영 방향이 향하도록 설정되어 배치된 전방 주시 카메라, 사용자의 단안 또는 양안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절한 형태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시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단안 또는 양안의 적외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가시광선을 투과하고 적외선을 반사하는 성질을 갖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동공 입력 인식부(114)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일체형뿐만 아니라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제스쳐 입력 인식부(114)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뇌파 입력 인식부(115)는 뇌파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뇌파 입력 인식부(115)는 사용자의 뇌파를 센싱하는 뇌파 센싱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뇌파 센싱 전극은 뇌파의 주파수에 따라 8 ~ 13Hz 범위의 뇌파를 검출하는 알파(alpha) 전극, 13 ~ 30Hz 범위의 뇌파를 검출하는 베타(beta) 전극, 30 ~ 50Hz 범위의 뇌파를 검출하는 감마(gamma) 전극, 0 ~ 4Hz 범위의 뇌파를 검출하는 델타 전극(delta) 및 4 ~ 8Hz 범위의 뇌파를 검출하는 세타(theta)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뇌파 입력 인식부(115)는 구현 예에 따라서는 센싱된 뇌파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필터링된 뇌파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A/D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뇌파 입력 인식부(115)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일체형뿐만 아니라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뇌파 입력 인식부(115)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타 디바이스 입력 인식부(116)는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입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타 디바이스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장치, PDA, PC, 리모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이동체는 이동하는 모든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버스, 선박, 기차, 전철, 오토바이 등과 같은 비인격 객체일 수 있고, 또는 사람과 같은 인격 객체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이동 상태 정보는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30)는 이동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131), 흔들림 감지부(132), 소음 감지부(133), 밝기 감지부(1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속도 감지부(131)는 이동체의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속도 감지부(131)는 GPS 정보 수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속도 감지부(131)는 수신된 GPS 정보(예를 들어, 이동체의 위도 정보,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속도를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흔들림 감지부(132)는 이동체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흔들림 감지부(132)는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흔들림 감지부(132)는 이동체의 흔들림(기준축에 대한 기울기 변화)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흔들림을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음 감지부(133)는 이동체 내의 소음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소음 감지부(133)는 소음진동 센서, 마이크로폰 또는 가속도계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 감지부(133)는 이동체 내의 소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소음을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밝기 감지부(134)는 이동체 내의 밝기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밝기 감지부(134)는 밝기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밝기 감지부(134)는 이동체 내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밝기를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업데이트를 위한 업데이트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표시된 지도의 업데이트를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이동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속도 감지부, 흔들림 감지부, 소음 감지부, 밝기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감지부(130)에 포함된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감지부(130)가 속도 감지부(131)만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이동체의 흔들림 정보, 이동체 내 소음 정보, 이동체 내 밝기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알 수 있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UI 창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설정받기 위한 UI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방식이 복수 개인 경우, 입력 방식을 설정받고, 입력 방식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받기 위한 UI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인쇄 제어 단말 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6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 전환에 필요한 기 설정된 조건을 복수 개의 입력 모드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복수 개의 입력 모드 및 복수 개의 입력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방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터치 데이터베이스, 음성 데이터 베이스, 제스쳐 데이터베이스, 동공 입력 데이터 베이스, 뇌파 데이터 베이스 및 타 디바이스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데이터 베이스는 터치 및 각 터치에 매칭되는 터치 태스크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음성 데이터베이스는 음성 및 각 음성에 매칭되는 음성 태스크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제스쳐 데이터베이스는 제스쳐 및 각 제스쳐에 매칭되는 제스쳐 태스크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동공 입력 데이터 베이스는 동공 입력 및 각 동공 입력에 매칭되는 동공 입력 태스크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뇌파 데이터 베이스는 뇌파 및 각 뇌파에 매칭되는 뇌파 태스크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저장부(22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인식부(110), 감지부(13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저장부(1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 인식부(111)를 통해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터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음성 입력 인식부(112)를 통해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은 입력되는 음성의 형태에 따라, 각각의 단어를 구분하여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는 고립단어 인식(isolated word recognition), 연속단어, 연속문장 및 대화체 음성을 인식하는 연속음성 인식(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및 고립단어 인식과 연속음성 인식의 중간형태로, 미리 정해진 핵심어를 검출하여 인식하는 핵심어 검출(keyword spott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입력된 음성 신호 내에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의 시작과 끝을 검출하여 음성 구간을 판단한다. 제어부(120)는 입력된 음성 신호의 에너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에너지에 따라 음성 신호의 에너지 레벨을 분류하여, 동적 프로그래밍을 통해 음성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은 검출된 음성 구간 내의 음성 신호에서 음향 모델(Acoustic Model)을 기초로 음성의 최소 단위인 음소를 검출하여 음소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20)은 생성된 음소 데이터에 HMM(Hidden Markov Model) 확률 모델을 적용하여 텍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스쳐 입력 인식부(113)를 통해 제스쳐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스쳐 인식(motion recognition)은 제스쳐 입력 인식부(11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제스쳐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주위 배경과 손(예를 들어, 손가락을 펴거나 손가락을 오므려 주먹을 쥐는) 영역으로 분리하고, 연속되는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수신된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저장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사용자 제스쳐의 대상인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를 감지한다. 제어부(120)는 프레임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형상, 색깔,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제어부(120)는 검출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오브젝트의 움직임 이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추적된 오브젝트의 형체 및 위치에 따라 제스쳐를 판단한다. 제어부(120)는 오브젝트의 형태의 변화, 속도, 위치, 방향 등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판단한다. 사용자의 제스쳐는 손을 쥐는 제스쳐인 그랩(grab), 표시된 커서를 손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쳐인 포인팅 이동(pointing move), 손을 일정 속도 이상으로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스쳐인 슬랩(slap), 손을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드는 제스쳐인 쉐이크(shake) 및 손을 회전하는 제스쳐인 회전, 쥐어진 손을 펴는 스프레드(spread) 제스쳐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 이외의 다른 제스쳐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제스쳐이 포인팅 이동인지, 슬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오브젝트가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800ms) 내에 결정된 영역(예를 들어, 40cm x 40cm의 사각형)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한다. 오브젝트가 결정된 시간 내에 결정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제스쳐을 포인팅 이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결정된 시간 내에 결정된 영역을 벗어난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제스쳐을 슬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예를 들어, 30 cm/s)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포인팅 이동으로 판단한다. 오브젝트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초과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제스쳐을 슬랩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동공 입력 인식부(114)를 통해 동공의 움직임이 입력되는 경우, 동공 인식 모듈 및 동공 입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동공 입력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단안 또는 양안 영상을 이용하여 동공의 중심을 검출하고, 검출된 동공의 중심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양안 영상을 이용함으로써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응시점을 단안에 비해 좀더 정확히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20)는 검출된 동공의 중심 좌표값을 추출하면, 전방 주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과 시선 매핑을 시켜 사용자의 응시점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영상 중 어느 부분에 시선을 주시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입력된 동공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뇌파 입력 인식부(115)를 통해 뇌파가 입력되는 경우, 뇌파 인식 모듈 및 뇌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뇌파를 인식한다. 여기서 뇌파 데이터 베이스에는 특정 뇌파 정보와 특정 제어 신호를 매핑하고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수신된 뇌파 정보와 뇌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뇌파 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뇌파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뇌파 데이터 베이스는 제1 뇌파 정보와 "확인(enter)"라는 제어 신호가 매핑하고, 제2 뇌파 정보와 "취소(cancel)"라는 제어 신호를 매핑하고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제어부(120)는 제1 뇌파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확인"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타 디바이스 입력 인식부(116)를 통해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타 디바이스 입력 인식 모듈 및 타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디바이스에서 "경로 탐색"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경로 탐색"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 동공 입력, 뇌파 입력, 타 디바이스 입력이 입력되면, 각각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고,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제1 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제2 입력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의 소음, 이동체의 밝기,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동차와 같은 이동체의 경우 속도가 높아질수록 사용자의 제어가 힘들어져 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이동체의 흔들림이 크다는 것 또는 이동체 내의 소음이 높다는 것은 비포장 도로를 달린다거나, 속도가 높은 경우일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의 제어가 힘들어져 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이동체 내의 밝기가 어둡다는 것은 터널을 지난다거나, 밤길을 이동하는 경우일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의 제어가 힘들어져 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기 설정된 조건은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단말 장치 제조업자에 의하여 제품 설계시 기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제1 입력 모드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모드이고, 제2 입력 모드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모드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기 설정된 조건이 이동체의 속도 80km/h 이하인 경우, 만약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80km/h 이하이면,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고, 만약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80km/h를 초과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음성 입력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동체의 속도가 높은 상태에서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하여 터치를 수행하려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관찰하여야 하는 바, 운전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다만,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하여 음성 입력을 수행하면, 이동체의 진행 방향을 보면서 음성 입력을 수행하게 되는 바, 운전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이동체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입력 모드를 음성 입력만을 인식하는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만약 기 설정된 조건이 이동체의 흔들림이고, 여기서 이동체의 흔들림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이면,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고, 만약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이동체의 흔들림이 기 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음성 입력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만약 기 설정된 조건이 이동체 내의 소음이고, 여기서 이동체 내의 소음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이면,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고, 만약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이동체 내의 소음이 기 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음성 입력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만약 기 설정된 조건이 이동체 내의 밝기이고, 여기서 이동체 내의 밝기가 기 설정된 레벨 이하이면,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고, 만약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이동체 내의 밝기가 기 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음성 입력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동체의 사고 위험이 높은 상태에서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하여 터치를 수행하려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관찰하여야 하는 바, 운전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다만,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하여 음성 입력을 수행하면, 이동체의 진행 방향을 보면서 음성 입력을 수행하게 되는 바, 운전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이동체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입력 모드를 음성 입력만을 인식하는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1 입력 모드 및 제2 입력 모드는 상술한 예시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제1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는 모든 입력 방식을 포함하는 모드일 수 있고, 제2 입력 모드는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운전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을 포함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입력은 운전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바, 제2 입력 모드에서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동공을 디스플레이된 화면 쪽으로 향하여야 하는바, 운전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는바, 제2 입력 모드에서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및 제2 입력 모드는 사용자 설정상태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의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조건을 특정 임계치(예를 들어 속도 80km/h)로 한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정 임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오차범위를 포함하는 값(예를 들어 속도 78km/h ~ 82km/h)을 기 설정된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외부 기기를 검색하도록 상기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검색된 외부 기기에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감지부(130)에 포함된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지할 수 없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미감지된 이동 상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각각의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인식부만을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모드가 터치 입력, 음성 입력 및 제스쳐 입력을 사용자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이고, 제2 입력 모드가 음성 입력만을 사용자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1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동공 입력 인식부(114), 뇌파 입력 인식부(115), 타 디바이스 입력 인식부(116)를 구동시키지 않고, 터치 입력 인식부(111), 음성 입력 인식부(112), 제스쳐 입력 인식부(113)만을 구동시키도록 인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2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음성 입력 인식부(112)만을 구동시키도록 인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식부(110)는 각각의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구성만을 구동시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구성만을 구동시키도록 인식부(110)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구성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 중 감지가 필요없는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30)의 구성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감지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의 흔들림을 감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제어부(120)는 흔들림 감지부(132)를 구동시키지 않도록 감지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가 필요없는 이동 상태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되거나,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이거나, 이동체의 종류에 따라 감지될 필요가 없는 정보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가 감지가 필요한 이동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감지부(130)의 구성만을 구동 시키도록 감지부(130)를 제어하는 바, 불필요한 구성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 모드를 설정받기 위한 UI 창에서 입력 모드가 설정되면, 설정된 입력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 모드를 설정하길 원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으로 입력 모드를 설정하길 원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입력 모드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 방식을 설정받기 위한 UI 창에서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방식이 설정되면, 설정된 입력 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설정된 입력 방식 간에 적용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UI 창에서 우선 순위가 설정되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설정된 입력 모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가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입력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전환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입력 모드 변경 패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가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입력 모드를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포함하는 제1 입력 모드에서 터치 입력만을 포함하는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하였는데, 사용자는 제2 입력 모드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구동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수동으로 제스쳐 입력만을 포함하는 다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이러한 사용자 설정 입력 모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하거나 갱신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누적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입력 모드에서 상기 제2 입력 모드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누적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포함하는 제1 입력 모드에서 터치 입력만을 포함하는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하였을 때, 사용자 제스쳐 입력만을 포함하는 다른 입력 모드로 수동으로 설정한 데이터가 가장 많은 경우, 사용자 제스쳐 입력만을 포함하는 다른 입력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갱신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하였을 때 가장 최근에 사용된 다른 입력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가 입력 모드 전환시에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반영하는 바, 입력 모드 전환을 사용자 행동에 기반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CPU,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 입력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작업관련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PU, 롬, 램은 내부 버스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이고, 제1 입력 모드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모드이며, 제2 입력 모드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모드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의 (a)와 같이 제어부(1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제1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바, 인식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한다.
다만, 제어부(1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제1 입력 모드를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 경우 도 3의 (b)와 같이 "터치 입력은 인식되지 않습니다."와 같은 표시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예를 들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터치 입력은 인식되지 않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3의 (c)와 같이 음성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3의 (c)와 같이 경로 탐색을 위하여 지역 명칭인 "가로수길"을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d)와 같이 음성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는 경로를 탐색하여 사용자에게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모바일 단말 장치이고, 제1 입력 모드가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을 인식하는 모드이며, 제2 입력 모드가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인식하는 모드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4의 (a)와 같이 제어부(1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제1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바, 인식부(110)는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을 인식한다.
다만, 제어부(1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제1 입력 모드를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 경우 도 4의 (b)와 같이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은 인식되지 않습니다."와 같은 표시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예를 들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터치 입력은 인식되지 않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4의 (c)와 같이 제스쳐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4의 (c)와 같이 경로 취소를 위하여 "X" 행위를 제스쳐로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정 상태에 따라서 "X" 제스쳐에는 다른 기능이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제스쳐마다 다른 기능이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의 (d)와 같이 제스쳐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는 진행 중인 경로 안내는 취소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모바일 단말 장치이고, 제1 입력 모드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모드이며, 제2 입력 모드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모드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5의 (a)와 같이 제어부(120)는 사람의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제1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바, 인식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한다.
다만, 제어부(1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제1 입력 모드를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 경우 도 5의 (b)와 같이 "터치 입력은 인식되지 않습니다."와 같은 표시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예를 들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터치 입력은 인식되지 않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5의 (c)와 같이 음성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5의 (c)와 같이 노래 듣기를 위하여 음악 감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인 "노래 듣기"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의 (d)와 같이 음성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는 노래 듣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음악재생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모드 설정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는 입력 모드 설정 UI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 모드 1, 입력 모드 2, 입력 모드 3, 입력 모드 4 중 하나가 선택되고, 적용버튼이 선택되면, 선택된 입력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입력 모드 중 하나인 입력 모드 1을 선택하고, 변경 버튼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6 (b)와 같이 입력 모드 1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UI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방식으로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방식을 설정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6 (c)와 같이 사용자 입력 방식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묻기 위한 UI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YES'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6(d)와 같이 사용자 입력 방식 간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UI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1순위로 '터치 입력'을 , 2순위로 '음성 입력'을, 3순위로 '제스쳐 입력'을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과 음성 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면 터치 입력을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우선순위 설정 없이 입력모드 설정이 종료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입력 간에 우선 순위가 설정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20)는 설정 상태에 따라서 동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모두 인식하여 반응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모두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방법은 먼저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거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601).
그리고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한다(S602). 만약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S602:Y),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제1 입력 모드로 설정한다(S603).
만약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S602:N),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제2 입력 모드로 설정한다(S604). 여기서 제1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복수의 입력 방식을 인식하는 모드이고, 제2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단일의 입력 방식을 인식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입력,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이며, 제2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입력만을 인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이동 상태 정보는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 소음, 이동체 내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함을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 제2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저장부(260), 제어부(2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PDA, PC 일 수 있다.
저장부(26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6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적용될 옵션 정보를 기 설정 조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옵션 정보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옵션 정보는 기 설정된 조건에 각각 다르게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건에서는 제1 옵션 정보가 매핑될 수 있고, 제2 조건에서는 제2 옵션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옵션 정보는 UI의 표시 방식, 음량, 화면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22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9은 도 8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인식부(210), 제어부(220), 감지부(230), 통신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저장부(2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인식부(210)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한다. 여기서 인식부(2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입력 인식부(211),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음성 입력 인식부(212),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인식하는 제스쳐 입력 인식부(213),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을 인식하는 동공 입력 인식부(214), 사용자의 뇌파에 따른 입력을 인식하는 뇌파 입력 인식부(215)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을 인식하는 타 디바이스 입력 인식부(2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30)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여기서 이동체는 이동하는 모든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버스, 선박, 기차, 전철, 오토바이 등과 같은 비인격 객체일 수 있고, 또는 사람과 같은 인격 객체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이동 상태 정보는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 소음, 이동체 내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230)는 이동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231), 흔들림 감지부(232), 소음 감지부(233), 밝기 감지부(2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업데이트를 위한 업데이트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4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이동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속도 감지부, 흔들림 감지부, 소음 감지부, 밝기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감지부(230)에 포함된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40)를 통하여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UI 창을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5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옵션 정보를 제1 또는 제2 옵션 정보로 설정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인쇄 제어 단말 장치(200)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저장부(26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옵션 전환에 필요한 기 설정된 조건을 복수 개의 옵션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인식부(210), 감지부(230), 통신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저장부(2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로 설정하고,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상기 제1 옵션 정보에서 상기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단말 장치 제조업자에 의하여 제품 설계시 기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저장부(260)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제1 및 제2 옵션 정보는 UI의 표시 방식이고, 기 설정된 조건이 이동체의 속도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기 설정된 조건이 이동체의 속도 80km/h 이하인 경우, 만약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80km/h 이하이면, 제어부(120)는 LIST 방식의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하고, 만약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80km/h를 초과하면, 제어부(120)는 Tile 방식의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LIST 방식의 UI는 메뉴를 일렬로 나열한 방식의 UI를 의미하며, Tile 방식의 UI는 메뉴를 일렬이 아닌 복수개의 열로 나열한 방식의 UI를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동체의 속도가 높은 상태에서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조작하기 위해서 LIST 방식의 UI를 사용하면, 메뉴가 크기가 작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 중에 메뉴 선택이 어렵다. 이 경우 운전자는 운전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다만,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하여 Tile 방식의 UI를 사용하면, 메뉴가 크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 중에 메뉴 선택이 쉽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UI 조작에 따른 사고 발생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이동체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Tile 방식의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함으로써,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술한 이동체의 속도 이외에 기 설정된 조건이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인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UI의 표시 방식을 Tile 방식 UI로 전환함으로써,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제1 및 제2 옵션 정보는 음량이고, 기 설정된 조건이 이동체 내 소음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이동체 내의 소음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이면, 제어부(220)는 기 설정된 음량으로 동작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고, 만약 이동체 내의 소음이 기 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제어부(220)는 음량을 키우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220)는 이동체 내의 소음에 따라 적응적으로 음량을 변화시키도록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제1 및 제2 옵션 정보는 밝기이고, 기 설정된 조건이 이동체 내 밝기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이동체 내의 밝기가 기 설정된 레벨 이하이면, 제어부(220)는 기 설정된 밝기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고, 만약 이동체 내의 밝기가 기 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제어부(220)는 밝기를 키우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220)는 이동체 내의 밝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밝기를 변화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220)의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조건을 특정 임계치(예를 들어 속도 80km/h)로 한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정 임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오차범위를 포함하는 값(예를 들어 속도 78km/h ~ 82km/h)을 기 설정된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외부 기기를 검색하도록 상기 통신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검색된 외부 기기에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도록 통신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 중 감지가 필요없는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230)의 구성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감지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옵션 정보를 설정 받기 위한 UI 창에서 옵션 정보가 설정되면, 설정된 옵션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옵션 정보가 설정되길 원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으로 옵션 정보를 설정하길 원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옵션 정보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옵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설정된 옵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정보가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되었을 때, 전환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옵션 정보 변경 패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가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LIST 방식의 UI에서 TILE 방식의 UI로 전환하였는데, 사용자는 TILE 방식의 UI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구동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수동으로 LIST 방식의 UI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이러한 사용자 설정 옵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기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부(260)에 저장하거나 갱신하여 저장부(2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 내지 11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이고, 옵션 정보가 UI의 표시 방식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의 (a)와 같이 제어부(2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제1 옵션 정보로 설정하는 바, 디스플레이부(250)는 LIST 방식의 UI를 표시한다.
다만, 제어부(2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제1 옵션 정보를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한다. 이 경우 도 10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는 TILE 방식의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지도 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도 11의 (b)와 같이 제어부(220)는 LIST 방식의 UI에 표시된 메뉴의 개수를 줄여서 TILE 방식의 UI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TILE 방식의 UI에 표시된 메뉴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이고, 옵션 정보가 음량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의 (a)와 같이 제어부(2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제1 옵션 정보로 설정하는 바, 제1 음량에 따라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2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제1 옵션 정보를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한다. 이 경우, 도 12의 (b)와 같이 음량을 제2 음량으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제2 음량에 따라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된 제2 음량은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이고, 옵션 정보가 밝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의 (a)와 같이 제어부(2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제1 옵션 정보로 설정하는 바, 제1 밝기에 따라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220)는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제1 옵션 정보를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한다. 이 경우, 도 13의 (b)와 같이 밝기를 제2 밝기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제2 밝기에 따라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된 제2 밝기에 대응하는 밝기 값(예를 들어, 표시된 화면은 100%로 밝기라는 정보)을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5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모바일 단말 장치이고, 옵션 정보가 UI의 표시 방식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14의 (a)와 같이 사용자가 달리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의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제1 옵션 정보로 설정하는 바, 디스플레이부(250)는 도 13(b)와 같이 LIST 방식의 UI를 표시한다.
다만,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제1 옵션 정보를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한다. 이 경우 도 14의 (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는 TILE 방식의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도 15의 (b)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제1 옵션 정보를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한다. 이 경우 도 15의 (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사용자가 가장 사용을 많이 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c)와 같이 '전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노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사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쉽게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 방법은 먼저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거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1301).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한다(S1302). 만약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S1302:Y),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로 설정한다(S1303). 만약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S1302:N),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정보를 제2 옵션 정보로 설정한다(S1304).
여기서 제1 옵션 정보는, LIST 방식의 UI 이고, 제2 옵션 정보는, Tile 방식의 UI 일 수 있다. 또한 제1 옵션 정보는, 저 음량 이고, 제2 옵션 정보는, 고 음량일 수 있다. 또한 제1 옵션 정보는, 저 밝기 화면이고, 제2 옵션 정보는, 고 밝기 화면일 수 있다.
상술한 제2 실시 예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3 : 제3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저장부(360), 제어부(3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네비게이션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PDA, PC 일 수 있다.
저장부(36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3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각각 다르게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에게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가 매핑될 수 있고, 제2 사용자에게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가 매핑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아이디/비밀번호와 같은 사용자 계정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연동되는 외부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정보) 등과 같은 복수의 사용자들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32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8은 도 17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인식부(310), 제어부(320), 감지부(330), 통신부(340), 디스플레이부(350), 저장부(3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통신부(34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34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4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 통신(RFID, NFC)등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외부 기기는 모바일 단말 장치, PDA, PC 등 일 수 있다.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의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외부 기기 간의 태깅을 통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의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구비하고, 외부 기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구비한다. 이 경우 외부 기기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태깅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는, 외부 기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의 정보를 독출한다.
여기서, 태깅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와 외부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 가능 범위 이내로 이동하게 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영역 내로 근접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 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에서는 외부 기기 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reading)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예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사용될 수 있다. NFC란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다. NFC 기술을 이용하면, 복수의 단말기가 약 10 cm 이내와 같이 근거리로 접근하였을 때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태깅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는 외부 기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독출한다.
디스플레이부(35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UI 창을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35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UI창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UI 창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저장부(360)는 인쇄 제어 단말 장치(300)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저장부(3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인식부(310), 감지부(330), 통신부(340), 디스플레이부(350), 저장부(3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 창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및 통신부(34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모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사용하는 사람마다 선호하는 취향이 다르기 때문에, 선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가 입력 모드인 경우, 안전하게 운전하는 습관을 가진 사람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입력(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 동공 입력 인식부(214), 뇌파 입력,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을 입력 모드로 사용하기를 선호할 수 있다. 다만, 사고 경험이 있거나 불안전하게 운전하는 습관을 가진 사람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입력 중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 뇌파 입력,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을 입력 모드로 사용하기를 선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가 UI 모드인 경우, 나이든 사람의 경우 큰 글씨, 확대된 화면, UI 구성이 간단한 UI와 같은 UI를 선호할 수 있다. 다만 젊은 사람의 경우, 그래픽이 화려한 UI나, 배경 화면에 좋아하는 연예인이 표시된 UI를 선호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모드가 옵션 모드인 경우, 나이든 사람의 경우 밝은 화면, 큰 음량의 옵션 모드를 선호할 수 있다. 또한 노래 듣기를 좋아하는 사람의 경우, 큰 음량의 옵션 모드를 선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받기 위한 UI 창을 통하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하길 원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하길 원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가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입력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전환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변경 패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였는데,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구동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수동으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20)는 이러한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상기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부(360)에 저장하거나 갱신하여 저장부(3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누적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누적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였을 때,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수동으로 설정한 데이터가 가장 많은 경우,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갱신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였을 때 가장 최근에 사용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시에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반영하는 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을 사용자 행동에 기반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사용시에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드를 터치 모드, 음성 모드로 사용한다거나, UI모드를 TILE 방식의 UI로 사용한다거나, 음량은 50%로 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을 의미한다. 즉 제어부(320)는 상술한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으로부터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저장부(3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사용자의 선호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의 입력 또는 외부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의 입력을 통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사용자 인터페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9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중 입력 모드가 변경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의 (a), (d)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b)와 같이 모든 사용자 입력이 입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도 19(e)와 같이 음성 입력만을 입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9(a)에 도시된 계정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는 도 19(c)와 같이 사용자의 모든 입력 중 하나인 터치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19(d)에 도시된 계정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는 음성 입력을 통해서만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하게 운전하는 습관을 가진 사람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입력(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 동공 입력, 뇌파 입력,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을 입력 모드로 사용하기를 선호할 수 있다. 다만, 사고 경험이 있거나 불안전하게 운전하는 습관을 가진 사람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입력 중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 뇌파 입력,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을 입력 모드로 사용하기를 선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와 같이 제어부(3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도 1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계정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UI 창은 비밀 번호 입력 방식에 따라 다양한 UI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0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중 UI 모드가 변경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의 (a), (d)와 같이 태깅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b)와 같이 UI를 TILE 방식의 UI로 표시할 수 있고, 글자 크기도 작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0(d)와 같이 UI를 LIST 방식의 UI로 표시할 수 있고, 글자 크기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나이든 사람의 경우 도 20(b)와 같은 큰 글씨, 확대된 화면, UI 구성이 간단한 UI를 선호할 수 있다. 다만 젊은 사람의 경우, 20(d))와 같이 한 화면에 많은 내용을 표시하는 UI를 선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1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중 옵션 모드가 변경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의 (a), (d)와 같이 태깅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b)와 같이 옵션 모드를 밝기를 100%로 하고, 음량을 80%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21(d)와 같이 옵션 모드를 음량 100%로 할 수 있다. 즉 나이든 사람의 경우 밝은 화면, 큰 음량의 옵션 모드를 선호할 수 있다. 또한 노래 듣기를 좋아하는 사람의 경우, 큰 음량의 옵션 모드를 선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도 19 내지 2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계정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UI 창은 비밀 번호 입력 방식에 따라 다양한 UI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중복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입력 모드, UI 모드, 옵션 모드가 모두 함께 설정될 수 있고, 그 중 일부분만이 설정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입력 받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다(S1901).
그리고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한다(S1902).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모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4 : 제4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4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저장부(460), 제어부(4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네비게이션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PDA, PC 일 수 있다.
저장부(460)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460)는 GUI 정보를 이동체의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환경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GUI 정보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GUI 정보는 이동체의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환경 정보에 따라 각각 다르게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의 상태 정보는 이동체의 연료량, 이동체의 현재 위치, 이동체의 목적지, 이동체의 이동 구간 등 일 수 있고, 이동체의 환경 정보는 현재 날씨, 현재 시간 등일 수 있다.
제어부(420)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20)는 이동체의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설정된 GUI 정보를 제1 GUI 정보에서 제2 GUI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42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3은 도 22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인식부(410), 제어부(420), 감지부(430), 통신부(440), 디스플레이부(450), 저장부(4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제어부(420)는 인식부(410), 감지부(430), 통신부(440), 디스플레이부(450), 저장부(4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420)는 이동체의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설정된 GUI 정보를 제1 GUI 정보에서 제2 GUI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의 연료량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는 주유소를 찾기를 원할 것이다. 또한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따라 사용자는 맛집을 찾기를 원할 수도 있고, 현재 위치에 가까운 명소를 찾기를 원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목적지에 따라 사용자는 목적지 근처의 맛집을 찾기를 원할 수도 있고, 목적지에 가까운 숙소를 찾기를 원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이동 구간에 따라 사용자는 길이 안막히는 다른 경로를 찾기를 원할 수 있고, 또는 드라이브 경치가 좋은 다른 이동 구간을 찾기를 원할 수 있다. 또한 날씨가 좋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밝은 도로를 통하여 이동하길 원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화면을 밝게 하거나, 음량을 크게 하거나, 다양한 입력 모드를 사용하기를 원할 수 있다. 또한 날씨가 좋은 경우, 사용자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근처의 나들이 장소를 찾기를 원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간이 밤인 경우 사용자는 화면을 밝게 하기를 원할 수 있고, 야경이 좋은 명소를 찾기를 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20)는 이동체의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환경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GUI 정보를 UI 창을 통하여 설정된 GUI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체의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환경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GUI 정보를 설정하길 원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으로 GUI 정보를 설정하길 원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2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GUI 정보로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GUI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사용자가 설정한 GUI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체의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GUI 정보가 제1 GUI 정보에서 제2 GUI 정보로 전환되었을 때, 전환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GUI 정보 변경 패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20)가 이동체의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GUI 정보를 제1 GUI 정보에서 제2 GUI 정보로 전환하였는데, 사용자는 제2 GUI 정보로 사용자 단말 장치(400)가 구동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수동으로 다른 GUI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20)는 이러한 사용자가 설정한 GUI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상기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부(460)에 저장하거나 갱신하여 저장부(4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누적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GUI 정보에서 제2 GUI 정보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누적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에는 제1 GUI 정보에서 제2 GUI 정보로 전환하였을 때, 다른 GUI 정보로 수동으로 설정한 데이터가 가장 많은 경우, 다른 GUI 정보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갱신된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GUI 정보에서 제2 사용자 GUI 정보로 전환하였을 때 가장 최근에 사용된 다른 GUI 정보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GUI 정보에서 제2 GUI 정보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5는 이동체의 상태 정보에 따라 GUI 정보가 변경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의 (a)와 같이 이동체의 연료량이 부족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5(b)와 같이 제어부(420)는 이동체의 이동 구간에 위치하는 주유소를 표시하는 GUI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쉽게 이동 구간 중에 위치한 주유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6은 이동체의 환경 정보에 따라 GUI 정보가 변경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의 (a)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이동체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날씨가 좋지 않거나, 사용자의 시야가 좋지 않을 때, 이동체의 진행 방향을 복수개 표시하는 GUI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미리 진행 방향을 인식하여 쉽게 운전할 수 있다.
도 27는 이동체의 상태 정보에 따라 GUI 정보가 변경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의 (a)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이동 경로를 자주 다녀서 익숙한 경로인 경우, 길을 잘 알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27(b)와 같이, 제어부(420)는 이동체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상세히 표시하기보다는, 주변의 맛집이나, 명소, 또는 야경이 좋은 것을 표시하는 GUI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변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따르면,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GUI 정보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10 : 인식부
111 : 터치 입력 인식부 112 : 음성 입력 인식부
113 : 제스쳐 입력 인식부 114 : 동공 입력 인식부
115 : 뇌파 입력 인식부 116 : 타 디바이스 입력 인식부
120 : 제어부 130 : 감지부
131 : 속도 감지부 132 : 흔들림 감지부
133 : 소음 감지부 134 : 밝기 감지부
140 : 통신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저장부

Claims (64)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입력 방식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 인식하는 복수의 인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고,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 정보는 상기 이동체의 속도, 상기 이동체의 흔들림, 상기 이동체 내의 소음, 상기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가 제1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복수의 인식부 각각에 의해 인식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가 제2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복수의 인식부 중에서 상기 제2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는 입력 방식에 따라 복수 개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복수의 인식부 중에서 상기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인식부에서 인식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입력,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입력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입력만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상기 제1 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상기 제2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입력, 사용자의 음성입력,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사용자의 뇌파에 따른 입력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모드가 전환되면, 전환된 입력모드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설정받기 위한 UI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방식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입력 방식을 설정받고, 상기 입력 방식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입력 모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입력 방식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 정보는 상기 이동체의 속도, 상기 이동체의 흔들림, 상기 이동체 내의 소음, 상기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가 제1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복수의 인식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가 제2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인식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는 입력 방식에 따라 복수 개로 구분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복수의 인식부 중에서 상기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인식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입력,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입력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입력만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상기 제1 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상기 제2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입력, 사용자의 음성입력,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 사용자의 동공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사용자의 뇌파에 따른 입력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모드가 전환되면, 전환된 입력모드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를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입력 모드에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방식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입력 방식을 설정받고, 상기 입력 방식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입력 모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입력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9.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이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상기 제1 옵션 정보에서 상기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 정보는 상기 이동체의 속도, 상기 이동체의 흔들림, 상기 이동체 내의 소음, 상기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상기 제1 옵션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상기 제1 옵션 정보에서 상기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옵션 정보는, UI의 표시 방식, 음량, 화면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옵션 정보는 상기 UI의 표시 방식이며,
    상기 제1 옵션 정보는, LIST 방식의 UI 이고, 상기 제2 옵션 정보는, Tile 방식의 UI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옵션 정보는 음량이며,
    상기 제1 옵션 정보는, 저 음량 이고, 상기 제2 옵션 정보는,고 음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옵션 정보는 화면 밝기 이며,
    상기 제1 옵션 정보는, 저 밝기 화면이고, 상기 제2 옵션 정보는, 고 밝기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상기 제1 또는 제2 옵션 정보로 설정받기 위한 UI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옵션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옵션 정보에서 상기 제2 옵션 정보로 전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0.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기설정된 제1 옵션 정보에 따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제1 옵션 정보에서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 상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이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동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상기 제1 옵션 정보에서 상기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 정보는 상기 이동체의 속도, 상기 이동체의 흔들림, 상기 이동체 내의 소음, 상기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상기 제1 옵션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불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상기 제1 옵션 정보에서 상기 제2 옵션 정보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이동체의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이동체의 속도, 이동체의 흔들림, 이동체 내의 소음, 이동체 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옵션 정보는, UI의 표시 방식, 음량, 화면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옵션 정보는 상기 UI의 표시 방식이며,
    상기 제1 옵션 정보는, LIST 방식의 UI 이고, 상기 제2 옵션 정보는, Tile 방식의 UI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옵션 정보는 음량이며,
    상기 제1 옵션 정보는, 저 음량 이고, 상기 제2 옵션 정보는,고 음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제어 방법.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옵션 정보는 화면 밝기 이며,
    상기 제1 옵션 정보는, 저 밝기 화면이고, 상기 제2 옵션 정보는, 고 밝기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9.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옵션 정보를 상기 제1 또는 제2 옵션 정보로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옵션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옵션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옵션 정보에서 상기 제2 옵션 정보로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모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상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6.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상기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8.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입력 모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모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옵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수동 설정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3.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선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상기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20036470A 2012-04-08 2012-04-08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99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470A KR101999182B1 (ko) 2012-04-08 2012-04-08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3/858,275 US10115370B2 (en) 2012-04-08 2013-04-08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3203009A AU2013203009B2 (en) 2012-04-08 2013-04-08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014140600A RU2014140600A (ru) 2012-04-08 2013-04-08 Устройство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терминал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CN201380018984.XA CN104204729B (zh) 2012-04-08 2013-04-08 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5504510A JP2015517149A (ja) 2012-04-08 2013-04-08 ユーザ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CT/KR2013/002934 WO2013154321A1 (en) 2012-04-08 2013-04-08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162752.3A EP2648077B1 (en) 2012-04-08 2013-04-08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BR112014024001A BR112014024001A8 (pt) 2012-04-08 2013-04-08 Dispositivo portátil de usuário, e método de controle de um dispositivo portátil
EP17157990.7A EP3190501A1 (en) 2012-04-08 2013-04-08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9255DEN2014 IN2014DN09255A (ko) 2012-04-08 2014-11-0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470A KR101999182B1 (ko) 2012-04-08 2012-04-08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897A true KR20130113897A (ko) 2013-10-16
KR101999182B1 KR101999182B1 (ko) 2019-07-11

Family

ID=4808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470A KR101999182B1 (ko) 2012-04-08 2012-04-08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115370B2 (ko)
EP (2) EP2648077B1 (ko)
JP (1) JP2015517149A (ko)
KR (1) KR101999182B1 (ko)
CN (1) CN104204729B (ko)
AU (1) AU2013203009B2 (ko)
BR (1) BR112014024001A8 (ko)
IN (1) IN2014DN09255A (ko)
RU (1) RU2014140600A (ko)
WO (1) WO201315432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834A1 (ko) * 2014-05-27 2015-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6245A (ko) * 2014-05-27 2015-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6369A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오비고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03352B2 (en) 2018-02-23 2023-10-3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9618A (zh) * 2013-07-02 2013-09-18 姜洪明 移动操作系统
US9305554B2 (en) 2013-07-17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evel speech recognition
KR102063767B1 (ko) * 2013-09-24 2020-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5089275A1 (en) * 2013-12-12 2015-06-18 Luethke Charles J Method of prioritizing communications transmitted to a computing device
US9924215B2 (en) * 2014-01-09 2018-03-20 Hsni, Llc Digital media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6371402B2 (ja) * 2014-02-12 2018-08-08 ノキア テクノロジーズ オサケユイチア 装置のファームウェアを更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50294639A1 (en) * 2014-04-14 2015-10-1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a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KR102302233B1 (ko) * 2014-05-26 202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443116B2 (en) 2014-06-03 2016-09-13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Authentication in a flexible display computing device
US9977505B2 (en) * 2014-06-06 2018-05-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inadvertent inputs to a mobile device
US10362391B2 (en) * 2014-10-24 2019-07-23 Lenovo (Singapore) Pte. Ltd. Adjusting audio content based on audience
WO2016157658A1 (ja) * 2015-03-31 2016-10-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331291B (zh) * 2015-06-25 2020-11-06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操作执行方法和移动终端
JP6641830B2 (ja) * 2015-09-18 2020-02-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176207A1 (en) * 2015-12-17 2017-06-22 Jaguar Land Rover Limited In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points of interest
FR3049078B1 (fr) * 2016-03-21 2019-11-29 Valeo Vision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a reconnaissance vocale et/ou gestuelle pour l'eclairage interieur d'un vehicule
WO2017169607A1 (ja) * 2016-03-29 2017-10-0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6295291A (zh) * 2016-07-22 2017-01-04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终端的解锁方法及装置
JP2018037819A (ja) * 2016-08-31 2018-03-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57688B (en) * 2016-12-15 2021-03-24 Ford Global Tech Llc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FR3067685B1 (fr) * 2017-06-19 2019-06-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ssistance d’un conducteur d’un vehicule pour effectuer des exercices physiques connecte a un serveur distant
US20190303177A1 (en) * 2018-03-29 2019-10-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User Interface Based On Detection Of User Positions
CN108881610A (zh) * 2018-04-27 2018-11-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921595B2 (en) * 2018-06-29 2021-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ual adjustment to augmented reality glasses
US11157169B2 (en) 2018-10-08 2021-10-26 Google Llc Operating modes that designate an interface modality for interacting with an automated assistant
WO2020076288A1 (en) * 2018-10-08 2020-04-16 Google Llc Operating modes that designate an interface modality for interacting with an automated assistant
US10960949B2 (en) 2018-10-24 2021-03-30 Honda Motor Co., Ltd. Vibration sensor on motorcycle for providing reactionary function
JP2021157518A (ja) * 2020-03-27 2021-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KR20210128828A (ko) * 2020-04-17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625094B (zh) * 2020-05-25 2023-07-14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智能后视镜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3090951A1 (en) 2021-11-19 2023-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suggesting an enhanced multimodal interac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580A (ko) * 2003-11-14 2005-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멀티-모달 상황 인식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50226A1 (en) * 2003-07-07 2006-11-09 Peter Vogel Speed dependent service availability in a motor vehicle
US20100016014A1 (en) * 2008-07-15 2010-01-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obile Device Interface and Methods Thereof
US20110167365A1 (en) * 2010-01-04 2011-07-07 Theodore Charles Wingrov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interface configuration based on habits of user in a vehicle
US20120001843A1 (en) * 2010-07-01 2012-01-05 Cox Communications, Inc.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hange Based On Motion
US20120023060A1 (en) * 2005-12-29 2012-01-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utomatic mode sw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8932B1 (en) * 1996-09-30 2001-03-27 Mazda Motor Corporation Navigation apparatus
DE19961376B4 (de) * 1999-12-20 2015-12-17 Volkswagen Ag Verfahren zur Bedienung eines elektronischen Gerätes in einem Kraftfahrzeug und entsprechendes Kraftfahrzeug
KR100522051B1 (ko) * 2002-12-09 2005-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차량 항법 시스템에서의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
US7401300B2 (en) * 2004-01-09 2008-07-15 Nokia Corporation Adaptive user interface input device
JP4165888B2 (ja) * 2004-01-30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イアウト制御方法、レイアウト制御装置及びレイアウト制御プログラム
US20050179647A1 (en) * 2004-02-18 2005-08-18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detection and switching between input modes
US7983840B2 (en) * 2004-06-24 2011-07-19 Hi-Tech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tion-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7369845B2 (en) * 2005-07-28 2008-05-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features available o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travel speed detected by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270933B2 (en) * 2005-09-26 2012-09-18 Zoomsafer, Inc. Safety fea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124043A1 (en) * 2005-11-29 2007-05-31 Ayoub Ramy P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the processing of content in vehicles based on vehicle conditions
US20080005679A1 (en) * 2006-06-28 2008-01-03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specific user interface
KR101305507B1 (ko) 2006-08-22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휴대정보단말 및 그 제어방법
US7581188B2 (en) * 2006-09-27 2009-08-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ext-based user interface system
US20080215240A1 (en) * 2006-12-18 2008-09-04 Damian Howard Integrating User Interfaces
US8631358B2 (en) * 2007-10-10 2014-01-14 Apple Inc. Variable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90259397A1 (en) 2008-04-10 2009-10-15 Richard Stanton Navigation system with touchpad remote
US8509803B2 (en) * 2008-08-21 2013-08-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rritory-based actionable events
US20100064228A1 (en) * 2008-09-11 2010-03-11 Ely Tsern Expandable system architecture comprising a handheld computer device that dynamically generates different user environments with secondary devices with displays of various form factors
KR20100051155A (ko) * 2008-11-07 2010-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기
BRPI0924540A2 (pt) 2009-06-16 2015-06-23 Intel Corp Aplicações de câmera em um dispositivo portátil
SG175398A1 (en) 2009-06-16 2011-12-29 Intel Corp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US8818624B2 (en) * 2009-10-05 2014-08-26 Tesla Motors, Inc. Adaptive soft buttons for a vehicle user interface
KR101718892B1 (ko) * 2009-11-13 2017-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JP2011107899A (ja) * 2009-11-16 2011-06-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設定変更方法及び設定変更プログラム
CN102088498A (zh) * 2009-12-04 2011-06-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手机及利用该手机帮助健身的方法
US8700318B2 (en) * 2010-03-10 2014-04-15 Nissan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cancellation of navigation lockout
US8874129B2 (en) * 2010-06-10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Pre-fetching information based on gesture and/or location
US20120095643A1 (en) * 2010-10-19 2012-04-19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difying a User Interface Format
KR101055703B1 (ko) * 2010-11-24 2011-08-11 주식회사 해빛솔루션 차량의 정황정보에 따라 출력이 제어되는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TW201306606A (zh) * 2011-07-26 2013-02-01 Hon Hai Prec Ind Co Ltd 音量調節裝置及方法
US20130106699A1 (en) * 2011-10-26 2013-05-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aracter entry
US20140181715A1 (en) * 2012-12-26 2014-06-26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user interfaces adapted to inferred user contex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0226A1 (en) * 2003-07-07 2006-11-09 Peter Vogel Speed dependent service availability in a motor vehicle
KR20050046580A (ko) * 2003-11-14 2005-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멀티-모달 상황 인식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23060A1 (en) * 2005-12-29 2012-01-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utomatic mode switching
US20100016014A1 (en) * 2008-07-15 2010-01-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obile Device Interface and Methods Thereof
US20110167365A1 (en) * 2010-01-04 2011-07-07 Theodore Charles Wingrov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interface configuration based on habits of user in a vehicle
US20120001843A1 (en) * 2010-07-01 2012-01-05 Cox Communications, Inc.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hange Based On Mo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834A1 (ko) * 2014-05-27 2015-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6245A (ko) * 2014-05-27 2015-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6369A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오비고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03352B2 (en) 2018-02-23 2023-10-3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40600A (ru) 2016-04-27
KR101999182B1 (ko) 2019-07-11
CN104204729B (zh) 2018-11-13
CN104204729A (zh) 2014-12-10
US10115370B2 (en) 2018-10-30
BR112014024001A2 (ko) 2017-06-20
EP2648077A1 (en) 2013-10-09
BR112014024001A8 (pt) 2017-07-25
JP2015517149A (ja) 2015-06-18
US20130265261A1 (en) 2013-10-10
AU2013203009B2 (en) 2014-12-18
WO2013154321A1 (en) 2013-10-17
IN2014DN09255A (ko) 2015-07-10
EP3190501A1 (en) 2017-07-12
EP2648077B1 (en) 2017-04-05
AU2013203009A1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18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710791B2 (ja) ユーザデバイスの状況認識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装置
CN106133653B (zh) 信息处理装置
JP6475908B2 (ja) ユーザデバイスの状況認識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装置
CN104838335B (zh) 使用凝视检测的设备的交互和管理
US9767799B2 (en)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recognition result display apparatus
EP32603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40267022A1 (en) Inpu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395600A1 (en) In-vehicle device
EP2728313A1 (en) Method of displaying objects on a navigation map
KR102409303B1 (ko)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US201503629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dication recognition
KR20140007282A (ko)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109498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based on a predicted route identified from audio or images
US20200286479A1 (en) Agent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ag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74650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814174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用プログラム
JP6536018B2 (ja) 音声制御システム、音声制御方法、及び音声制御プログラム
KR102371513B1 (ko) 대화 시스템 및 대화 처리 방법
JP2020106997A (ja) 車載装置、通信システム
US1196091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ggesting an enhanced multimodal interaction
KR201300784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8233009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用プログラム
KR20240053428A (ko) 대화 관리 방법, 대화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66778A (ko) 모바일 디바이스, 이를 이용한 알람 설정 방법 및 알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