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074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4074B1 KR102654074B1 KR1020177023207A KR20177023207A KR102654074B1 KR 102654074 B1 KR102654074 B1 KR 102654074B1 KR 1020177023207 A KR1020177023207 A KR 1020177023207A KR 20177023207 A KR20177023207 A KR 20177023207A KR 102654074 B1 KR102654074 B1 KR 1026540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ir
- bristle
- bundle
- toothbrush
- bundles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8
- 238000002054 transpla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732 tuf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6010016322 Feeling abnormal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1000904500 Oxyspora pan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8169 periodo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DQEFEBPAPFSJLV-UHFFFAOYSA-N Cellulose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CC1OC(OC(=O)CC)C(OC(=O)CC)C(OC(=O)CC)C1OC1C(OC(=O)CC)C(OC(=O)CC)C(OC(=O)CC)C(COC(=O)CC)O1 DQEFEBPAPFSJ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18 cellulose propi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23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93 acrylonitril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26 co-polymer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99 hair surfa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46 outsour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CUZVMOVTVSBLE-UHFFFAOYSA-N prop-2-enenitril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N.C=CC1=CC=CC=C1 SCUZVMOVTVSB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1 scrub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시에 있어서의 잇몸에 대한 통증의 불안을 수반하지 않고 치간을 적확하게 청소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칫솔(10)은 식모면 (16a)에 제 1 식모 구멍(19A)과 제 1 식모 구멍(19A)의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식모 구멍(19A)보다도 큰 형상의 복수의 제 2 식모 구멍(19B, 19B)을 갖는 평면으로 볼 때 원형상의 헤드부(16)와, 제 1 식모 구멍(19A)에 식모되는 제 1 모다발(14A)과, 복수의 제 2 식모 구멍(19B, 19B)의 각각에 식모되는 제 2 모다발(14B)을 포함하고, 제 1 모다발(14A)의 선단이 복수의 제 2 모다발(14B)의 선단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6월 1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5-119231호에 기초해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치아와 잇몸의 경계선」을 주의깊게 닦기 위한 보조 용구로서, 소위 원 터프트(one tuft) 칫솔이 사용되고 있다. 그 이점은 브러시부가 모다발 하나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칫솔과 비교해서 구강내에서의 헤드부의 간섭이 적고, 닦고 싶은 개소에 적확하게 모끝을 닿게 할 수 있는 것에 있다.
종래, 일반적인 칫솔에 있어서 치간의 청소성을 높이기 위해서, 중앙 모다발과, 그것을 둘러싸도록 주위 모다발을 내측으로 경사시킴으로써 원 터프트와 같은 모다발 구조로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식모부의 선단측에 원 터프트의 모다발, 후방에 일반적인 복수의 모다발의 집합체를 구비한 칫솔도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현재의 원 터프트 칫솔은 브러시부가 모다발 하나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칫솔과 비교해서 모다발의 「잇몸으로의 압력」이 필연적으로 국소적으로 가해져버린다.
특히, 치주병 이환자는 청소시의 통증이나 출혈 등을 회피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는 것 같은 닿는 느낌의 칫솔을 원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원 터프트 칫솔은 헤드부가 콤팩트하기 때문에 구강내에서 간섭하기 어려운 점으로부터, 일반적인 칫솔과 비교하여 조작 시에 헤드부의 브러시(모다발)가 어디에 닿을지 지각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잇몸으로의 통증의 불안을 수반하지 않고, 「뾰족해진 브러시」를 적확하게 청소 부위에 닿게 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것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조작시에 있어서의 잇몸 에 대한 통증의 불안을 수반하지 않고 치간을 적확하게 청소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식모면에 복수의 모다발이 식설(植設)되어 있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하는 핸들체를 갖고, 상기 식모면에 제 1 모다발과, 상기 제 1 모다발의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모다발보다 대경을 이루는 복수의 제 2 모다발을 갖는 평면으로 볼 때 원형상의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다발의 선단이 상기 복수의 제 2 모다발의 선단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평면으로 볼 때 원형상이란 타원형상을 포함하지 않는 대략 진원을 의미하고, 가공 정밀도의 영향으로 완전한 진원이 되어 있지 않는 것은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제 1 모다발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제 2 모다발이 동심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식모면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제 2 모다발이 상기 제 1 모다발을 향해서 경사져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식모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상기 제 2 모다발의 경사 각도를 10도 이하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제 2 모다발은 상기 헤드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모다발을 향해서 용모의 모 길이가 점차 길게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제 1 모다발은 2개로 접혀진 모다발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이 상기 식모면에 형성된 제 1 식모 구멍에 박아 넣음으로써 식설되고, 상기 제 2 모다발은 2개로 접혀진 모다발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이 상기 식모면에 형성된 제 2 식모 구멍에 박아 넣음으로써 식설되고, 상기 제 1 모다발 및 상기 제 2 모다발은 상기 평선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제 1 반모다발과 제 2 반모다발에서 모 길이차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제 2 식모 구멍의 직경이 2mm 이상 3.5mm 이하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제 1 식모 구멍 및 상기 복수의 제 2 식모 구멍에 있어서, 최근접한 식모 구멍끼리의 구멍 가장자리 간의 거리가 0.4mm 이상 또한 0.7mm 이하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제 1 반모다발과 상기 제 2 반모다발의 모 길이 차가 1mm 이상 또한 3mm 이하의 범위 내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제 2 모다발이 5개 이상 8개 이하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제 1 모다발이 ST 용모로 구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ST 용모란 슈퍼 테이퍼드된 모이고, 모끝이 가는 형상으로 된 용모이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헤드부의 헤드 길이 및 상기 헤드 길이에 교차하는 방향의 헤드 폭의 치수가, 모두 9mm 이상 16mm 이하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헤드부의 헤드 길이란 핸들체의 연장 방향에 따른 길이이고, 헤드 폭이란 핸들체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길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작시에 있어서의 잇몸에 대한 통증의 불안을 수반하지 않고 치간을 적확하게 청소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칫솔을 B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칫솔 중 영역 A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칫솔의 모다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외주 모다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칫솔을 B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칫솔 중 영역 A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칫솔의 모다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외주 모다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시되는 각 부의 크기나 두께나 치수 등은 실제의 칫솔의 치수관계와는 다른 경우가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칫솔을 B에서 본 도면이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X방향은 핸들체(11)를 구성하는 핸들부(17)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Y방향은 칫솔(10)의 폭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Z방향은 모다발(14)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도 3에 있어서,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 1∼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10)의 일례로서, 원 터프트 브러쉬를 예로 들어서 도시하고,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칫솔(10)은 핸들체(11)와 모다발(14)을 갖는다. 헤드부(16)는 Z방향(또는 Z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원주형상의 부재이다. 여기서, 평면으로 볼 때 원형상이란 대략 진원을 의미하고, 가공 정밀도의 영향으로 완전한 진원이 되지 않는 것도 포함한다.
핸들체(11)는 모다발(14)이 돌출하는 측의 면임과 아울러, 평탄한 면으로 된 일면(식모면)(16a)을 갖는다.
핸들부(17)는 칫솔(10)을 사용할 때에 손으로 유지하는 부분이고, X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핸들부(17) 중 네크부(18)에 가까운 측에는 칫솔(10)을 사용할 때에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인 미끄럼 방지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네크부(18)는 X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부재이고, 그 굵기가 핸들부(17)보다도 가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네크부(18)는 그 일단이 헤드부(16)와 일체로 되어 있고, 타단이 핸들부(17)와 일체로 되어 있다. 즉, 네크부(18)는 헤드부(16)와 핸들부(17)를 연결하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칫솔 중, 영역 A로 둘러싸인 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3에 나타내는 칫솔 중, 영역 C로 둘러싸인 부분을 상하 반전시켜서 확대한 도면에 대응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도 1∼도 3에 나타내는 구성 요소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16)에는 일면(16a)측에 형성된 식모 영역에, 모다발을 식모하기 위한 복수의 식모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식모 구멍(19)은 헤드부(16)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식모 구멍(19A)과, 제 1 식모 구멍(19A)의 주위를 둘러싸는 바와 같이 동심원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2 식모 구멍(19B)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이 헤드부(16)의 일면(16a)에 개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의 제 1 식모 구멍(19A)의 주위에 6개의 제 2 식모 구멍(19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식모 구멍(19A)은 직경(φ1)이 1.4mm, 제 2 식모 구멍(19B)은 직경(φ2)이 2.2mm가 되고 있고, 중앙의 제 1 식모 구멍(19A)보다도 주위의 제 2 식모 구멍(19B)쪽이 크다(φ1>φ2). 제 1 식모 구멍(19A)의 직경(φ1)은 상기한 1.4mm에 한정되지 않고, 1∼2mm의 범위 내에서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식모 구멍(19B)의 직경(φ2)에 있어서도, 2.2mm에 한정되지 않고, 2∼3.5mm의 범위 내에서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식모 구멍(19A)의 직경(φ1)과 제 2 식모 구멍(19B)의 직경(φ2)의 차가 0.3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mm 이상 1.5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일면(16a)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Z방향에 있어서의 각 식모 구멍(19)의 깊이(d)는 예를 들면 3.0∼6.0mm의 범위 내에서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핸들체(11)는 일체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핸들체(11)의 재료는 핸들체(11)에 요구되는 강성이나 기계적 특성 등을 고려해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휨 탄성률(JIS K7203)이 500∼3000MPa의 범위 내가 되는 경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의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다발(14)은 상기 제 1 식모 구멍(19A)에 식모되는 중앙 모다발(제 1 모다발)(14A)과, 상기 복수의 제 2 식모 구멍(19B)의 각각에 식모되는 복수(6개)의 외주 모다발(제 2 모다발)(14B)로 구성되어 있다. 외주 모다발(14B)은 중앙 모다발(14A)보다도 지름이 크고 굵은 모다발이다.
또한, 외주 모다발(14B)의 수는 6개에 한정되지 않고, 5개, 또는 7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외주 모다발(14B)의 수는 직모면의 16a의 크기에도 따라서 설정되어, 5개 이상 8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모다발(14A) 및 각 외주 모다발(14B)은 헤드부(16)의 일면(16a)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고 있다.
중앙 모다발(14A)은 매립부(14a)와 주상부(14b)를 갖는다. 외주 모다발(14B)은 매립부(14a), 주상부(14b) 및 경사부(14c)를 갖는다. 매립부(14a)는 식모 구멍(19)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외주 모다발(14B)은 중앙 모다발(14A)보다도 모다발의 지름이 크다. 중앙 모다발(14A)의 직경은 1mm 이상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 모다발(14B)의 직경은 2mm 이상 3.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모다발의 지름은 직모되는 식모 구멍의 직경에 상당한다.
중앙 모다발(14A)은 외주 모다발군(외주 모다발(14B, 14B…))보다도 모다발의 길이가 길고, 모다발 끝면(1a)이 일면(16a)에 대략 평행하고 있다. 한편, 각 외주 모다발(14B)은 각 모다발 끝면(1b)이 각각의 연장 방향 및 일면(16a)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 「경사」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모다발 끝면(1b)이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 외, 오목해지는 것 같은 만곡형상, 돌출하는 것 같은 만곡형상도 포함된다. 또한 중앙 모다발(14A)의 모다발 끝면(1a)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원형상을 이루고, 외주 모다발(14B)의 모다발 끝면(1b)은 평면으로 볼 때 타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중앙 모다발(14A)을 구성하는 용모는 모끝이 가는 굵기 6mil의 ST모(수퍼 테이퍼드 모)이다. 외주 모다발(14B)을 구성하는 용모는 선단까지 동일한 지름을 갖는 굵기 4mil의 스트레이트 모이다. 중앙 모다발(14A)의 모 길이(L1)는 8mm이다.
한편, 외주 모다발(14B)은 모 길이가 다른 복수의 용모가 다발로 묶여짐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심원의 외측으로부터 중심(중앙 모다발(14A))을 향해서 용모의 모 길이(L2∼L3)가 서서히 길어지고, 모 길이 5mm∼모 길이 7mm의 범위 내의 용모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모다발(14A)의 주위에 설치된 외주 모다발(14B)의 용모의 모 길이로 경사를 갖게 함으로써, 모다발(14) 전체로서, 중앙 모다발(14A)을 돌출시킨 돔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헤드부(16)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Y방향에 있어서의 헤드 폭(W)은 12mm, X방향에 있어서의 헤드 길이(L)은 15mm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의 헤드 길이란 핸들체의 연장 방향에 따르는 길이이고, 헤드 폭이란 핸들체의 연장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길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16)의 헤드 길이 및 헤드 길이에 교차하는 방향의 헤드 폭의 치수가 모두 9mm 이상 16mm 이하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은 중앙 모다발(14A)의 주위에, 중앙 모다발(14A) 보다도 유연한 큰 지름의 외주 모다발(14B)이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모다발(14)을 갖고 있다. 돌출된 중앙 모다발(14A)이 잇몸 부분을 청소하고, 외주 모다발(14B)이 주변의 잇몸을 부드럽게 청소한다.
외주 모다발(14B)의 「유연함」은 모다발의 직경, 길이, 재질, 용모 형상 등에 의해 좌우되고, 후술하는 치주병 이환자에 있어서 필요한 「부드러운 닿는 느낌」 및 「오염을 스크레이프하기 위한 적당한 모 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당하게 선택한다.
1개의 모다발로 구성되는 칫솔과 달리,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은 복수의 모다발로 브러시(모다발(14))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 부위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압력이 가해지기 어렵다. 즉, 모다발(14)을 구성하는 복수의 모다발 중, 외주 모다발(14B)은 중앙 모다발(14A)보다도 큰 지름이다. 이 때문에, 브러시의 모끝 부분에서는 모다발간의 경계선이 없어지고,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모다발(14A)을 포함해서, 「복수의 모다발」에서 「하나의 큰 모다발」로서의 휨 거동을 갖는다.
이 일체화한 휨 거동의 효과에 의해, 통상의 원 터프트 브러시와 비교해서 잇몸 부분의 청소시에 있어서의 국소적인 압력 부하를 완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치주병 이환자에 있어서 필요한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부분 닦기로서 필요한 「좁은 영역에 대한 청소력」에 대해서는 돌출된 중앙 모다발(14A)이 역할을 담당한다. 중앙 모다발(14A)은 복수의 외주 모다발(14B)로 주위를 지지하기 때문에 좁은 영역에 대하여 모끝이 벗어나지 않고, 또한 「오염을 스크레이프하기 위한 적당한 모 탄력」을 갖는다.
또한, 「부분 닦기 브러시로서의 사용 용이함」에 관해서도,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은 통상의 원 터프트 브러시와 비교해서 이점이 있다.
통상의 원 터프트 브러시의 사양은 구강내에서 헤드부(16)가 간섭하기 어렵고, 조작시에 브러시 부분이 어디에 닿을지 지각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통증의 불안을 수반하지 않고 「뾰족해진 브러시부」를 적확하게 청소 부위에 닿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청소시의 「힘의 가감」의 조정이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은 부드러운 외주 모다발(14B)이 닦고 싶은 장소의 주위(치아, 잇몸)에 적절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청소시의 불안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외주 모다발(14B)이 적절하게 치아, 잇몸에 접촉하므로, 닦고 싶은 장소로 중앙 모다발(14A)를 안내하는 가이드역이 된다.
또한, 중앙 모다발(14A)의 휨을 외주 모다발군이 블록함으로써 일반적인 원 터프트 브러시보다 모 길이가 길어도 중앙 모다발(14A)이 지나치게 휘지 않아 청소력을 담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에 의하면, 조작시에 있어서의 잇몸에 대한 통증의 불안을 수반함없이 치간을 적확하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앙 모다발(14A)을 외주 모다발군보다도 돌출시키는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앙 모다발(14A) 및 외주 모다발(14B)을 합친 브러시의 모끝이 일련의 완만한 곡선상이 되도록 가지런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큰 치간용을 상정한 경우에는 중앙 모다발(14A)의 돌출폭에 1mm∼2mm의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모다발 형상 및 식모 구멍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모다발 전체의 휨을 일체화하기 위해서, 중앙 모다발(14A)을 중심으로 복수의 외주 모다발(14B)을 점 대상으로 배치하고, 외주 모다발(14B)을 대략 삼각형 또는 대략 부채형으로 함으로써 모다발 간의 거리를 작게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지만, 모다발의 구성에 있어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앞의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공통인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5와 공통인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칫솔의 모다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20)은 중앙 모다발(제 1 모다발)(24A)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외주 모다발(제 2 모다발)(24B)이 일면(16a)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중앙 모다발(24A)을 향해서 내측으로 경사져서 이루어지는 모다발(24)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모다발(24)의 모끝 부분에 있어서의 용모의 밀도가 높아지고, 보다 높은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앙 모다발(24A)과 외주 모다발(24B)을 구성하는 모 길이가 다른 복수의 용모의 모 길이차가, 1mm∼3mm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여기서, 「모 길이차」란 외주 모다발(24B)을 구성하는 각 용모와 중앙 모다발(24A)의 용모의 모 길이차를 나타내고, 외주 모다발(24B) 중 중앙 모다발(24A)에 가장 가까운 내측의 용모과 중앙 모다발(24A)의 용모의 모 길이차가 1mm 이상이고, 외주 모다발(24B) 중 중앙 모다발(24A)로부터 가장 먼 외측의 용모와 중앙 모다발(24A)의 용모의 모 길이차가 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20)에 의하면, 보다 협소한 청소 부위로의 모다발 침입성과,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의 양립을 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일면(16a)에 대한 각 외주 모다발(24B)의 경사 각도(θ)는 최대 10도까지가 바람직하다. 평선 식모의 경우, 식모면(일면(16a))에 대하여 수직으로 식모침을 박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식모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모다발의 경사가 10도 이상의 경우에는 식모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평선을 사용하지 않는 인몰드 식모이어도 동일하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지만, 모다발의 구성에 있어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앞의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공통인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5와 공통인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외주 모다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30)은 중앙 모다발(제 1 모다발)(34A)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외주 모다발(제 2 모다발)(34B)이 헤드부(16)에 대하여 오프셋 식모되어 있다. 즉, 각 외주 모다발(34B)은 모두 중앙 모다발(34A)측의 제 1 반모다발(34A)이 제 2 반모다발(34B)보다도 긴 모 길이가 되도록 식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 모다발(34B)은 2개로 접어진 모다발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35)이 제 1 식모 구멍(19A)에 박아 넣어짐으로써 식설되고, 평선(35)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제 1 반모다발(34A)과 제 2 반모다발(34B)에서 모 길이차(M)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30)에 의하면, 외주 모다발(34B)의 모 길이 조정을 위한모 절단 공정을 행하지 않고 완료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러한 모 절단 공정을 행하지 않아도, 앞선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중앙 모다발(34A)을 볼록으로 한 돔 형상의 브러시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외주 모다발(34B)을 ST 모로 구성할 때에 유효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주 모다발(34B)에 오프셋 식모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오프셋에 의한 제 1 반모다발(34A)과 제 2 반모다발(34B)의 모 길이차(M)를 1mm∼3mm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 길이차가 1mm 이내인 경우에는 오프셋 식모의 효과가 실감되기 어렵다. 또한, 모 길이차가 3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외주 모다발(34B)내에서 단차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이 저하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의 칫솔의 제작)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도 1∼도 5에 나타내는 칫솔로서 실시예 1∼6의 칫솔(C1∼C6)을 제작했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비교예 1∼3의 칫솔(D1∼D3)을 제작했다.
실시예 4에서는 중앙 모다발로서 스트레이트모를 사용했다.
실시예 5에서는 외주 모다발의 직경을 2.0mm 이하인 1.7mm로 했다.
실시예 6에서는 중앙 모다발 및 외주 모다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직경을 2.0mm 이상으로 했다.
비교예 1에서는 중앙 모다발의 직경을 외주 모다발의 직경보다도 크게 했다.
비교예 2에서는 외주 모다발의 모끝을 중앙 모다발과 같이 플랫형상으로 했다.
비교예 3에서는 중앙 모다발을 2개 설치하고, 이들을 둘러싸도록 해서 복수의 외주 모다발을 설치했다.
실시예 1∼6의 칫솔(C1∼C6) 및 비교예 1∼3의 칫솔(D1∼D3)에 있어서의 부분 닦기의 청소 실감, 잇몸으로의 우수한 닿는 느낌 및 구강내의 조작성에 대해서 각각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는 사용 실감이 「특히 양호한 경우」를 ◎+, 「양호한 경우」를 ◎, 「그저 그런 정도의 경우」를 ○, 「그다지 좋지 않은 경우」를 △, 「좋지 않은 경우」를 ×로 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모다발의 주위에 외주 모다발을 배치하는 브러시 구성의 경우, 실시예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하면, 부분 닦기의 청소 실감, 잇몸으로의 우수한 닿는 느낌 및 구강내의 조작성에 관해서, 각각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에서는 외주 모다발을 중앙 모다발을 향해서 경사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모끝 부분에 있어서의 용모의 밀도가 높아지고, 실시예 1보다도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이 향상했다.
실시예 3에서는 외주 모다발을 오프셋 식모함으로써, 외주 모다발에 ST모를 사용하면서, 모끝에 경사를 갖게 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중앙 볼록 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부분 닦기의 청소 실감 및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이 실시예 1보다 향상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에서는 중앙 모다발의 용모로서 6mil의 스트레이트 모를 사용하면, 부분 닦기로서의 청소 실감, 잇몸으로의 우수한 닿는 느낌이 약간 저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에서는 외주 모다발의 지름이 1.7mm와 실시예에 비해서 작고, 실시예 1과 비교해서 잇몸으로의 우수한 닿는 느낌이 약간 열악하다.
실시예 6에서는 중앙 모다발의 지름 및 외주 모다발의 지름이 모두 다른 실시예보다도 크기 때문에,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기분이 우수하지만 청소 부분에 브러시의 선단, 특히 중앙 모다발이 들어가기 어렵다. 또한, 헤드부의 사이즈가 헤드 길이 18mm, 헤드 폭 15mm가 되고 있고, 실시예 1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부분 닦기로서의 청소 실감 및 조작성의 점에서 실시예 1보다도 약간 열악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는 중앙 모다발의 지름이 외주 모다발보다도 크기 때문에, 청소 부분에 브러시의 선단이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청소의 실감, 닿는 느낌의 점에서, 실시예 1과 비교해서 크게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된다.
비교예 2에서는 중앙 모다발 및 외주 모다발을 동일한 모 길이로 하고, 전체적으로 플랫인 모다발 형상으로 하고 있어, 부분 닦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청소의 실감은 거의 얻어지지 않는 것이 확인된다.
비교예 3에서는 2개의 중앙 모다발의 주위에 타원 형상으로 외주 모다발을 설치하고 있어, 청소 부분에 브러시의 선단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한, 헤드부에 있어서의 헤드 길이가 17mm로 실시예 1에 비해서 크다. 이 때문에, 청소의 실감, 닿는 느낌 및 조작성이 실시예 1에 비해서 크게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된다.
(치간의 청소 실감)
비교예 2의 결과로부터, 중앙 모다발 및 외주 모다발의 모 길이가 동일한 플랫 형상의 경우에, 부분 닦기로서의 청소 실감이 거의 얻어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의 평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결과로부터, 중앙 모다발의 직경이 외주 모다발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경우에,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이 저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6에서는 중앙 모다발쪽이 외주 모다발의 직경보다 작아져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비해서 중앙 모다발 및 외주 모다발의 각 직경 자체가 크기 때문에, 부분 닦기로서의 청소 실감이 저하해버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강내의 조작성의 평가)
실시예 6 및 비교예 3의 결과로부터, 헤드부의 형상을 크게 하면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평가로부터, 칫솔의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외주 모다발의 굵기(모다발 지름)를 2.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 모다발의 굵기에 대해서 특별히 상한은 없지만, 조작성의 점에서 2.2mm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주 모다발의 굵기의 하한에 관해서도, 중앙 모다발의 굵기보다도 크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을 확보하기 위해서, 직경 1.4mm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 때도, 외주 모다발끼리 간의 거리가 넓어지지 않도록, 배치하는 모다발수를 많이 설치할 필요가 있다. 모다발 간의 거리는 가장 근접한 이웃이 되는 식모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 간의 거리이고, 0.4mm 이상 또한 0.7mm 이하가 바람직하다. 구멍 가장자리 간의 거리가 0.4mm 미만인 경우에는 헤드부에 있어서의 강도의 점에서 불안하게 된다. 또한, 구멍 가장자리간의 거리가 0.7mm보다 큰 경우에는 일체화한 모다발의 휨이 곤란하게 된다.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칫솔과 동일하게 사용자의 잇몸 부분의 증상에 따라서 브러시의 경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적당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 및 칫솔로서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외주 모다발의 굵기가 3mil∼6mil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모의 굵기가 3mil 미만인 경우, 모다발의 자립 및 내구성이 나빠진다. 또한, 용모의 굵기가 6mil 이상인 경우에는 닿는 느낌의 확보가 곤란하게 된다.
중앙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잇몸 부분의 청소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모 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4mi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에 대해서는 잇몸을 상처를 입히는 경우가 없도록 8mil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의 점에서, 헤드부의 헤드 길이 및 헤드 폭이 모두 16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착안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그들에 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이해된다.
예를 들면, 앞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모다발의 주위에 외주 모다발이 일중으로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외주 모다발을 다중으로 설치해도 된다.
또한, 평선을 식모 구멍에 박아 넣음으로써 식모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다발의 식모 방법으로서는 평선식 식모법 이외에, 모다발의 하단을 헤드부가 되는 용융 수지 중으로 압입해서 고정하는 열융착법, 모다발의 하단을 가열해서 용융 덩어리를 형성한 후에 금형 중에 용융 수지를 주입해서 식모부를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이 열거된다.
L : 헤드 길이 M : 모 길이차
W : 헤드 폭 10, 20, 30 : 칫솔
14, 24 : 모다발
14A, 24A, 34 : 중앙 모다발(제 1 모다발)
14B, 24B, 34B : 외주 모다발(제 2 모다발)
16 : 헤드부 16a : 일면(식모면)
19 : 식모 구멍 19A : 제 1 식모 구멍
19B, 19B : 제 2 식모 구멍 34a : 제 1 반모다발
34b : 제 2 반모다발 35 : 평선
L1, L2 : 모 길이
W : 헤드 폭 10, 20, 30 : 칫솔
14, 24 : 모다발
14A, 24A, 34 : 중앙 모다발(제 1 모다발)
14B, 24B, 34B : 외주 모다발(제 2 모다발)
16 : 헤드부 16a : 일면(식모면)
19 : 식모 구멍 19A : 제 1 식모 구멍
19B, 19B : 제 2 식모 구멍 34a : 제 1 반모다발
34b : 제 2 반모다발 35 : 평선
L1, L2 : 모 길이
Claims (13)
- 식모면에 1개의 제 1 모다발과, 상기 제 1 모다발을 중심으로 동심원형상으로 1겹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모다발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복수의 제 2 모다발을 갖는 평면으로 볼 때 원형상의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다발의 선단이 상기 복수의 제 2 모다발의 선단보다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 1 모다발의 모끝과 상기 제 2 모다발의 모끝으로 구성되는 칫솔의 모끝 부분에서는 모다발 사이의 경계선이 없어지고, 제 1 모다발과 제 2 모다발이 1개의 큰 모다발로서의 휨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다발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제 2 모다발이 동심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식모면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제 2 모다발이 상기 제 1 모다발을 향해서 경사져 있는 칫솔.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상기 제 2 모다발의 경사 각도를 10도 이하로 하는 칫솔.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다발은 상기 헤드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모다발을 향해서 용모의 모 길이가 점차 길게 되어 있는 칫솔.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다발은 2개로 접혀진 모다발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이 상기 식모면에 형성된 제 1 식모 구멍에 박아 넣어짐으로써 식설되고,
상기 제 2 모다발은 2개로 접혀진 모다발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이 상기 식모면에 형성된 제 2 식모 구멍에 박아 넣어짐으로써 식설되고,
상기 제 1 모다발 및 상기 제 2 모다발은 상기 평선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제 1 반모다발과 제 2 반모다발에서 모 길이차가 형성되어 있는 칫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모 구멍의 직경이 2mm 이상인 칫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모 구멍 및 상기 복수의 제 2 식모 구멍에 있어서,
최근접한 식모 구멍끼리의 구멍 가장자리 간의 거리가 0.4mm 이상 또한 0.7mm 이하로 되어 있는 칫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모다발과 상기 제 2 반모다발의 모 길이차가 1mm 이상 또한 3mm 이하의 범위 내인 칫솔.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다발이 5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칫솔.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다발이 ST 용모로 구성되어 있는 칫솔.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헤드 길이 및 상기 헤드 길이에 교차하는 방향의 헤드 폭의 치수가 모두 16mm 이하로 되어 있는 칫솔.
- 제 1 항에 있어서,
부분 닦기 칫솔용 칫솔인, 칫솔. - 식모면에 1개의 제 1 모다발과, 상기 제 1 모다발을 중심으로 동심원형상으로 1겹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모다발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복수의 제 2 모다발로 이루어지는 모다발을 갖는 평면으로 볼 때 원형상의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다발이 헤드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모다발이 식모되는 제 2 식모 구멍의 직경이 2mm 이상이며,
상기 제 1 모다발이 ST 용모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헤드 길이 및 상기 헤드 길이에 교차하는 방향의 헤드 폭의 치수가 모두 16mm 이하로 되어 있고,
최근접한 인접하는 제 2 식모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 간의 거리가 0.4mm 이상, 0.7mm 이하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모다발의 선단이 상기 복수의 제 2 모다발 중 어느 것의 선단보다도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 1 모다발의 모끝과 상기 제 2 모다발의 모끝으로 구성되는 칫솔의 모끝 부분에서는 모다발 사이의 경계선이 없어지고, 제 1 모다발과 제 2 모다발이 1개의 큰 모다발로서의 휨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119231 | 2015-06-12 | ||
JP2015119231 | 2015-06-12 | ||
PCT/JP2016/067219 WO2016199853A1 (ja) | 2015-06-12 | 2016-06-09 | 歯ブラ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8477A KR20180018477A (ko) | 2018-02-21 |
KR102654074B1 true KR102654074B1 (ko) | 2024-04-03 |
Family
ID=5750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3207A KR102654074B1 (ko) | 2015-06-12 | 2016-06-09 | 칫솔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868557B2 (ko) |
KR (1) | KR102654074B1 (ko) |
CN (1) | CN107635432B (ko) |
MY (1) | MY189015A (ko) |
WO (1) | WO201619985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883677S1 (en) | 2018-12-13 | 2020-05-12 | Colgate-Palmolive Company | Toothbrush |
AU2018452938B2 (en) | 2018-12-13 | 2022-12-01 | Colgate-Palmolive Company | Oral care implement |
AU2018452759B2 (en) * | 2018-12-13 | 2022-10-13 | Colgate-Palmolive Company | Oral care implement |
JP2021083937A (ja) * | 2019-11-29 | 2021-06-03 | ライオン株式会社 | 歯ブラシ |
USD1024571S1 (en) | 2022-06-17 | 2024-04-30 | Colgate-Palmolive Company | Oral care implement |
USD1024572S1 (en) | 2022-06-24 | 2024-04-30 | Colgate-Palmolive Company | Oral care imple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936637A1 (de) * | 1999-01-12 | 2001-02-15 | Braun Gmbh | Vorrichtung zur Beseitigung von Plaques und zur Reinigung von Zahnzwischenräumen |
JP2001309819A (ja) * | 2000-04-28 | 2001-11-06 | Kao Corp | 歯ブラシ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53937U (ko) * | 1979-04-24 | 1980-11-06 | ||
US6643886B2 (en) * | 2000-05-18 | 2003-11-11 | Colgate Palmolive Company | Toothbrush having an efficacious bristle pattern |
JP2005160498A (ja) * | 2003-11-28 | 2005-06-23 | Lion Corp | 電動歯ブラシ |
JP5147223B2 (ja) | 2006-12-12 | 2013-02-20 | サンスター株式会社 | 歯ブラシ |
WO2008081697A1 (ja) * | 2006-12-28 | 2008-07-10 | Lion Corporation | 歯ブラシ |
JP5211074B2 (ja) * | 2007-12-27 | 2013-06-12 | ライオン株式会社 | 歯ブラシ |
JP5550131B2 (ja) | 2009-10-16 | 2014-07-16 | 株式会社歯愛メディカル | 歯ブラシ |
JP5690523B2 (ja) * | 2010-08-06 | 2015-03-25 | ライオン株式会社 | 歯ブラシ |
JP3192545U (ja) * | 2014-06-09 | 2014-08-21 | ファミリー・サービス・エイコー株式会社 | ワンタフト付歯ブラシ |
-
2016
- 2016-06-09 MY MYPI2017704641A patent/MY189015A/en unknown
- 2016-06-09 JP JP2017523695A patent/JP6868557B2/ja active Active
- 2016-06-09 CN CN201680033780.7A patent/CN107635432B/zh active Active
- 2016-06-09 KR KR1020177023207A patent/KR1026540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6-09 WO PCT/JP2016/067219 patent/WO201619985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936637A1 (de) * | 1999-01-12 | 2001-02-15 | Braun Gmbh | Vorrichtung zur Beseitigung von Plaques und zur Reinigung von Zahnzwischenräumen |
JP2001309819A (ja) * | 2000-04-28 | 2001-11-06 | Kao Corp | 歯ブラ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868557B2 (ja) | 2021-05-12 |
WO2016199853A1 (ja) | 2016-12-15 |
MY189015A (en) | 2022-01-19 |
KR20180018477A (ko) | 2018-02-21 |
JPWO2016199853A1 (ja) | 2018-03-29 |
CN107635432A (zh) | 2018-01-26 |
CN107635432B (zh) | 2021-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54074B1 (ko) | 칫솔 | |
JP6509902B2 (ja) | オーラルケア器具用のヘッド | |
JP5806922B2 (ja) | 歯ブラシ | |
JP5779413B2 (ja) | 歯ブラシ | |
JP6712120B2 (ja) | 歯ブラシ | |
JP2023026520A (ja) | 歯ブラシ | |
JP2008154888A (ja) | 歯刷子用刷毛及びそれを用いた歯刷子、並びに歯刷子用刷毛の製造方法 | |
JP4796847B2 (ja) | 歯ブラシ | |
JP5851115B2 (ja) | 歯ブラシ | |
CN110113963B (zh) | 牙刷 | |
KR20190134606A (ko) | 칫솔 | |
JP6858123B2 (ja) | 歯ブラシ | |
JP2017176224A (ja) | 歯ブラシ | |
JP5690525B2 (ja) | 歯ブラシ | |
KR20210018187A (ko) | 칫솔 | |
KR102622532B1 (ko) | 칫솔 | |
JP2021104237A (ja) | 歯ブラシ | |
JP2015036042A (ja) | 歯ブラシ | |
JP6452220B2 (ja) | 歯ブラシ | |
JP2017143928A (ja) | 口腔内用ブラシ | |
KR20240125544A (ko) | 치간 브러시 | |
JP2024021493A (ja) | 歯ブラシ | |
KR20230027310A (ko) | 칫솔 | |
KR20240072985A (ko) | 칫솔 | |
TW202100061A (zh) | 牙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