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746B1 - 그립 공구 - Google Patents

그립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746B1
KR102647746B1 KR1020217038175A KR20217038175A KR102647746B1 KR 102647746 B1 KR102647746 B1 KR 102647746B1 KR 1020217038175 A KR1020217038175 A KR 1020217038175A KR 20217038175 A KR20217038175 A KR 20217038175A KR 102647746 B1 KR102647746 B1 KR 102647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link arm
link
line gripper
fixe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1977A (ko
Inventor
타카시 오구라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5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B25J9/106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with parallelogra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7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3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gripping surfaces having special shapes
    • B25J15/0038Cylindrical gripp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anipulator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선상체(3)를 유지하는 라인 그리퍼(1)는 제2 링크 아암(7B)과, 연결 부재(27)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와,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를 구비한다. 제2 링크 아암(7B)은 본체부(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결 부재(27)는 제2 링크 아암(7B)에 연결된다.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는 본체부(5)에 마련된다.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는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와 대향하도록 제2 링크 아암(7B)에 연결되고, 연결 부재(27)의 이동에 연동하여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라인 그리퍼(1)는 제2 링크 아암(7B)의 회전에 연동하는 조작 레버(41)의 회전에 관하며, 어떤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고, 반대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 기구(47)를 구비한다. 래칫 기구(47)가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Description

그립 공구
본 발명은 그립 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선상체를 파지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이 선상체에 설치되는 그립 공구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은, 이러한 종류의 그립 공구인, 전선 절분 공구의 전선 파지부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의 전선 파지부는, 수편이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와, 2개의 요동 레버와 파지부를 구비한다. 2개의 요동 레버는, 각각 장착부에 일단부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파지부는, 2개의 요동 레버의 한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수편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그립 지지한다. 그리고, 라인 그리퍼는, 이러한 선상체의 그립 지지 후에 당해 그립 지지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부의 다른 쪽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로크 수단을 더 구비한다. 로크 수단은, 조작환이 회전 조작됨으로써 2개의 요동 레버 중 한쪽 요동 레버에 작용하고, 이 요동 레버가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의 규제를 행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76285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로크 수단은, 일반적으로, 한쪽 요동 레버의 일부에 대하여 진퇴 이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된 나사축을 가지며, 나사축의 진출 이동 조작에 의해 나사축 선단이 한쪽 요동 레버에 맞닿아서 당해 한쪽 요동 레버의 타방향으로 회전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로크 수단을 사용하여 한쪽 요동 레버의 회전 규제를 행할 때에는, 나사축의 회전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라인 그리퍼를 선상체에 설치하는 작업을 행할 때, 나사축을 회전 조작하는 것은 매우 수고가 들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링크 부재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는 그립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의 해결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의 그립 공구가 제공된다. 즉, 이 그립 공구는, 본체부와 링크 부재와 연결 부재와 고정측 그립부와 가동측 그립부를 구비한다.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측 그립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다. 상기 가동측 그립부는, 상기 고정측 그립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측 그립부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그립 공구는, 상기 고정측 그립부와 상기 가동측 그립부에 의해 선상체를 파지하여 유지한다. 상기 그립 공구는, 상기 링크 부재의 회전 또는 상기 링크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는 다른 부재의 회전에 관한 것이며, 어떤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고, 반대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한다. 상기 원웨이 클러치가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그립부가 상기 고정측 그립부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및 이격하는 방향의 이동 중 어느 한쪽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하여 링크 부재의 회전을 실질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선상체의 굵기가 다양하게 달라도, 회전의 규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한 그립 공구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그립 공구는, 상기 연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부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링크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원호상의 궤적을 따라서 이동한다. 상기 접촉부가 상기 링크 부재에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가동측 그립부가 상기 고정측 그립부에 대하여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연동하고, 당해 링크 부재는 상기 접촉부를 누른다.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눌리는 것에 수반하는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저지하고, 반대 방향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접촉부와 원웨이 클러치에 의한 2중의 로크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그립 공구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링크 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부를 회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작부의 회전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링크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2중의 로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그립 공구에 있어서는, 상기 원웨이 클러치에 의한 회전의 저지를 해제하는 전환 조작 또는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을 반전하는 전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링크 부재의 회전 규제를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다.
상기 그립 공구에 있어서는, 이하가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래칫 휠과 갈고리 부재와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래칫 휠은,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갈고리 부재는, 상기 조작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갈고리 부재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웨이 클러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그립 공구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링크 부재는 복수개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와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링크 부재가 회전하여도 연결 부재의 자세가 일정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링크 부재의 회전 규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인 그리퍼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라인 그리퍼에 있어서의 규제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규제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연결 부재가 인장되고, 선상체가 파지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조작 레버에 의한 로크가 이루어지기 전의 규제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조작 레버에 의한 로크가 이루어진 후의 규제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라인 그리퍼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라인 그리퍼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인 그리피(1)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라인 그리퍼(그립 공구)(1)는, 선상체(전선, 와이어 등)(3)를 파지할 수 있는 공구이다. 라인 그리퍼(1)는, 예를 들어 선상체(3)에 관한 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당해 선상체(3)를 인장하는 장치(장선 장치)에 적용된다. 이 장치의 사용 시에, 라인 그리퍼(1)는 선상체(3)를 파지하고, 당해 선상체(3)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전선 공사에 있어서, 선상체(3)로서의 전선은 수평 방향으로 펼쳐져 있고, 라인 그리퍼(1)는 이 선상체(3)를 상하 방향에서 끼워 넣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선상체(3)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칭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곳에도 수직인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단, 이 호칭법은 편의적인 것으로서, 각 부의 위치 관계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인 그리퍼(1)는 본체부(5)와 2개의 링크 아암(링크 부재)(7)과,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고정측 그립부)(9)와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가동측 그립부)(11)와 규제부(13)를 구비한다.
본체부(5)는 라인 그리퍼(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베이스가 되는 부분이다. 본체부(5)에는,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의 하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1 홈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홈부(15)는 하측을 개방시키고 있어, 선상체(3)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다.
2개의 링크 아암(7)은 전후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링크 아암(7)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2개의 링크 아암(7)에 대해서, 이들 중 전후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1 링크 아암(7A)이라 칭하고, 전후 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2 링크 아암(7B)이라 칭한다.
제1 링크 아암(7A) 및 제2 링크 아암(7B)은 각각, 본체부(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링크 아암(7A)은 본체부(5)에, 제1 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링크 아암(7B)은 본체부(5)에, 제2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2 홈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홈부(25)는 상측을 개방시키고 있어, 선상체(3)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다.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는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는 제2 홈부(25)의 개방 부분이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의 제1 홈부(15)의 개방 부분과 상하 방향에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는 제1 축(21) 및 제2 축(23)의 각각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는 제1 링크 아암(7A)에 있어서 제1 축(21)에 대하여 전후 방향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와, 제2 링크 아암(7B)에 있어서 제2 축(23)에 대하여 전후 방향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를 연결한다.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는 제1 링크 아암(7A) 및 제2 링크 아암(7B) 각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부(5)와 제1 링크 아암(7A)과 제2 링크 아암(7B)과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된다.
제1 링크 아암(7A)의 하단부와 제2 링크 아암(7B)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연결 부재(27)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 부재(27)는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대략 전후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링크 아암(7A)에 있어서 제1 축(21)보다도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3 축(31)이 배치되어 있다. 제2 링크 아암(7B)에 있어서 제2 축(23)보다도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4 축(33)이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27)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제3 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 부재(27)의 길이 방향 도중부는, 제4 축(3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부(5)와 제1 링크 아암(7A)과, 제2 링크 아암(7B)과 연결 부재(27)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된다.
연결 부재(27)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전술한 장치(장선 장치)에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장치는, 당해 장치에 연결된 연결 부재(27)를 인장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연결 부재(27)가 이동하면, 제1 링크 아암(7A)이 제1 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며 또한 제2 링크 아암(7B)이 제2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제1 링크 아암(7A) 및 제2 링크 아암(7B)의 각각에 연결되는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하도록 대략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이동함으로써,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와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에 의해 선상체(3)를 파지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링크 아암(7A) 및 제2 링크 아암(7B)이 회전하는 방향 중,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를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에 근접시키는 방향을 "파지 방향"이라고 칭하고, 반대의 방향을 "이격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있어서, 그립 방향은 시계 방향이며, 이격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다.
규제부(13)는 제2 링크 아암(7B)과 연결 부재(27)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규제부(13)는 전술한 평행 링크 기구에 있어서 제2 링크 아암(7B)의 동작(제2 축(2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로부터 갑자기 이격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규제부(1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라인 그리퍼(1)에 있어서의 규제부(13)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규제부(13)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연결 부재(27)가 인장되고, 선상체(3)가 파지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조작 레버(41)에 의한 로크가 이루어지기 전의 규제부(13)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조작 레버(41)에 의한 로크가 아루어진 후의 규제부(13)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부재(27)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재(37)와, 제2 부재(39)를 가지고 있다. 제1 부재(37) 및 제2 부재(39)는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대략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재(37) 및 제2 부제(39)는 좌우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서로 고정되어 있다. 제1 부재(37)와 제2 부재(39) 사이의 공간에, 제1 링크 아암(7A)의 하단부 및 제2 링크 아암(7B)의 하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13)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나타내기 위하여 도 2 및 도 3 등에서는, 연결 부재(27)의 일부 또는 전부가 쇄선으로 투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규제부(13)는 연결 부재(27)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있어서, 제1 부재(37)와 제2 부재(39)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부(13)는 조작 레버(조작부)(41)와 래칫 기구(원웨이 클러치)(47)를 구비한다.
조작 레버(41)는 가늘고 긴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41)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53)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1)는 이 회전축(53)을 개재하고, 제1 부재(37) 및 제2 부재(39)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41)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연결 부재(27)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돌출 부분의 단부에는, 공구 등을 삽입 가능한 조작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라인 그리퍼(1)의 사용자는 조작 구멍(51)에 삽입된 공구 등을 사용하여 조작 레버(41)를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조작 레버(41)에 있어서, 조작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접촉부(4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3)는 조작 레버(41)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41)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접촉부(43)는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궤적을 따라서 이동한다.
접촉부(43)는 제2 링크 아암(7B)에서의 제2 축(23)과 제4 축(33) 사이의 부분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제2 링크 아암(7B)에 있어서 접촉부(43)와 닿는 면은, 제2 링크 아암(7B)의 그립 방향 하류측의 면이다.
래칫 기구(47)는 연결 부재(27)와 조작 레버(41)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래칫 기구(47)는 조작 레버(41)가 연결 부재(27)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당해 조작 레버(41)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래칫 기구(4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 휠(61)과 갈고리 부재(63)와 가압부(59)를 구비한다.
래칫 휠(61)은 연결 부재(27)에 고정되어 있다. 래칫 휠(61)은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톱니부(71)를 갖는다. 복수의 톱니부(71)는 래칫 휠(61)의 외주에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래칫 휠(61)의 축선은, 회전축(53)의 축선과 일치한다.
갈고리 부재(63)는 조작 레버(41)에 지지축(7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갈고리 부재(63)는 래칫 휠(61)과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갈고리 부재(63)는 제1 갈고리부(75) 및 제2 갈고리부(76)를 가지고 있다. 제1 갈고리부(75)와 제2 갈고리부(76)는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1 갈고리부(75) 및 제2 갈고리부(76) 각각은, 래칫 휠(61)의 톱니부(71)와 맞물릴 수 있다. 제1 갈고리부(75) 및 제2 갈고리부(76) 중 어느 한쪽이, 가압부(59)에 의해, 래칫 휠(61)의 톱니부(71)와 맞물리게 압박된다. 도 2 및 도 3에는, 가압부(59)의 압박에 의해, 제1 갈고리부(75)가 톱니부(71)와 톱니부(71)의 사이에 들어가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가압부(59)는 조작 레버(41)에 마련되어 있다. 가압부(59)는 갈고리 부재(63)를 끼우고, 래칫 휠(61)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부(59)는 갈고리 부재(63)를 지지축(73)을 향하여 상시 누르고 있다.
가압부(59)는 스프링(탄성 부재)(81)과, 스틸 볼(개재 부재)(83)을 가지고 있다. 스프링(81)은 조작 레버(41)에 형성된 스프링 구멍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스틸 볼(83)은 스프링(81)과 갈고리 부재(63)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가압부(59)는 스프링(81)의 가압력에 의해, 스틸 볼(83)을 개재하여 갈고리 부재(63)를 래칫 휠(61)측으로 누르게 되어 있다.
갈고리 부재(63)에 있어서, 스틸 볼(83)에 가까운 측에는, 뾰족한 모양의 각부(78)가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 부재(63)에는, 이 각부(78)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피압박면(79) 및 제2 피압박면(80)이 형성되어 있다. 스틸 볼(83)은 피압박면(79,80)을 누를 수 있다. 갈고리 부재(63)의 회전 스트로크의 전체 범위에 걸쳐 피압박면(79,80)은 스프링(81)이 스틸 볼(83)을 누르는 방향으로 대하여 비스듬히 향하고 있다. 따라서, 가압부(59)의 스프링력은, 갈고리 부재(63)를 어느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갈고리 부재(63)에는, 전환 레버(77)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 부재(63)는 전환 레버(77)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지지축(7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 결과, 각부(78)가 스틸 볼(83)을 넘어가면, 스틸 볼(83)이 누르는 피압박면(79,80)이 전환된다. 따라서, 스프링(81)에 의해 갈고리 부재(63)가 가압되는 회전 방향이 전환된다.
도 4에는,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와의 사이에서 선상체(3)를 파지하여 유지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실선으로 그려진 규제부(13)의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59)가 제1 피압박면(79)을 압박한 결과, 톱니부(71)와 톱니부(71)의 사이에 제1 갈고리부(75)가 들어 있다.
도 5의 상태에서, 조작 레버(4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1 갈고리부(75)가 가압부(59)의 스프링(81)을 압축하도록 하면서 톱니부(71)를 넘어가므로 그 회전이 허용된다. 단, 톱니부(71)는 작으므로 제1 갈고리부(75)가 톱니부(71)를 넘어가는데도 연동하여 갈고리 부재(63)가 회전하여도, 그 회전 스트로크는 작다. 따라서, 제1 갈고리부(75)가 톱니부(71)를 넘어가는 경우에도 각부(78)가 스틸 볼(83)을 넘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 레버(41)를 도 5의 위치로부터, 도 6의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 레버(41)의 시계 방향은,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에 근접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고,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에 대하여 간섭을 강요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도 6의 위치에서는,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에 접촉하고 있다.
한편, 도 5 또는 도 6의 상태에서 조작 레버(4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갈고리부(75)가 래칫 휠(61)의 톱니부(71)에 눌려서 래칫 휠(61)에 한층 먹어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그 방향의 회전은 규제된다. 조작 레버(41)의 반시계 방향은,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고,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에 대하여 간섭을 약화시키는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래칫 기구(47)에 의해 원웨이 클러치가 구성되고, 조작 레버(41)는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에 대하여 근접하여 누르는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접촉부(43)는 제2 링크 아암(7B)에 접촉하고 있다. 가령, 제2 링크 아암(7B)이 이 상태로부터 제2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이격 방향(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그 회전은 접촉부(43)에 의해 저지된다.
이 이유는 이하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27)는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2 링크 아암(7B)의 회전에 관계없이 연결 부재(27)의 자세는 일정하다. 이것으로부터, 제2 링크 아암(7B)이 제2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연결 부재(27)를 기준으로 해서 생각하면, 제2 링크 아암(7B)은 반드시 제4 축(33)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상대 회전이 접촉부(43)에 의해 규제되는 것은, 도 6을 참조하면 명확하다. 결국, 도 6의 상태로부터 제2 링크 아암(7B)이 제2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이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접촉부(43)에 의해 저지된다.
이와 같이, 래칫 기구(47)는 어떤 방향으로 회전하는 외력이 가해져도 조작 레버(41)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그 결과,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의 위치를 유지한다. 이 의미에서, 래칫 기구(47)는 유지부라고 칭할 수도 있다.
조작 레버(41)에 있어서, 회전축(53)으로부터 조작 구멍(51)까지의 거리보다도, 회전축(53)으로부터 접촉부(43)까지의 거리가 짧다. 따라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접촉부(43)를 시계 방향으로 강력하게 회전시켜, 제2 링크 아암(7B)이 이격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규제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조작 레버(41)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로서 기능하는 래칫 기구(47)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도 6의 상태는, 조작 레버 (41)(접촉부(43))와 래칫 기구(47)에 의한 2중의 로크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와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 사이에서 선상체(3)를 파지하고 있을 때의 제2 링크 아암(7B)의 자세는, 선상체(3)의 굵기에 따라서 다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부(13)가 원웨이 클러치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41)가 어느 조작 위치로 되어 있어도 당해 위치로부터 조작 레버(4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선상체(3)의 굵기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상술한 2중 로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전환 레버(77)를 위로 밀어 올려 갈고리 부재(63)가 회전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갈고리 부재(63)의 회전에 따라 각부(78)가 스틸 볼(83)을 눌러서 넘어간 후는 가압부(59)의 스틸볼(83)은 제1 피압박면(79)이 아니고 제2 피압박면(80)을 압박한다. 이 결과, 스프링(81)에 의해 갈고리 부재(63)가 가압되는 회전 방향이 반전하므로, 갈고리 부재(63)는 도 6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갈고리부(75)가 톱니부(71)로부터 이격되고, 그 대신에, 제2 갈고리부(76)가 톱니부(71)와 톱니부(71) 사이에 들어가도록 압박된다. 제2 갈고리부(76)는 제1 갈고리부(75)와 대칭적으로 기능하므로, 래칫 기구(47)는, 이번에는 반대로,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로서 기능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링크 아암(7B)를 제2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연동하여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에 눌리므로, 조작 레버(41)는 도 6의 상태로부터 자동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41)는 제2 링크, 아암(7B)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라인 그리퍼(1)를 사용할 때의 작업, 즉, 라인 그리퍼(1)를 선상체(3)에 설치하는 작업과, 분리하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상태로 만든 후에, 규제부(13)의 조작 레버(41)를 필요에 따라서 회전시키고, 도 1에 도시하는 제1 조작 위치 P1에 위치시킨다. 또한, 전환 레버(77)를 조작하여 제1 갈고리부(75)가 래칫 휠(61)에 맞물리는 도 3의 상태가 되도록, 갈고리 부재(63)를 미리 전환해 둔다. 이 상태는, 래칫 기구(47)가 조작 레버(41)의 시계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는 상태이다.
계속해서, 라인 그리퍼(1)를 선상체(3)의 소정 부위로 운반하고, 고정측 라인 그리피부(9)와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와의 사이에 선상체(3)를 통과시킨다. 바꿔 말하면,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의 제1 홈부(15)에 선상체(3)의 상부를 수용하고, 라인 그리퍼(1)를 선상체(3)의 소정 부위에 현수된 상태로 한다.
이어서, 상술한 장선 장치를 사용하여 연결 부재(27)에, 도 1에 도시하는 외곽선 화살표 방향으로 인장하는 힘을 첨가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27)가 인장되면, 당해 연결 부재(27)에 연결된 제2 링크 아암(7B)이 그립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링크 아암(7B)의 그립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상체(3)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와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에 의해 끼워 넣어진다. 이 결과, 선상체(3)에 대한 라인 그리퍼(1)의 기계적인 고정이 실현된다.
연결 부재(27)가 도 1의 외곽선 화살표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라면, 라인 그리퍼(1)가 선상체(3)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어떠한 이유에 의해 상술한 인장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상태가 발생하면, 제2 링크 아암(7B)이 이격 방향으로 회전하고, 라인 그리퍼(1)가 선상체(3)로부터 예고없이 빠질 가능성이 있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라인 그리퍼(1)가 선상체(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제2 링크 아암(7B)의 이격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부(13)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13)의 조작 레버(41)를 도 5에 도시하는 제1 조작 위치 P1로부터, 도 6에 도시하는 제2 조작 위치 P2까지 회전시킨다.
도 6의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링크 아암(7B)이 이격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평행 링크 기구가 변형하는 것이 접촉부(43)에 의해 방해된다. 또한,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의 조작 레버(41)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로서 기능하는 래칫 기구(47)에 의해 방해된다. 이 결과, 제2 링크 아암(7B)이 이격 방향으로 예고없이 회전하는 것은, 2중의 로크에 의해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라인 그리퍼(1)가 선상체(3)에 설치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중의 로크를 거는 동작을, 조작 레버(41)를 회전시키는 원 액션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의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나사축을 몇회전이나 돌리는 것과 비교하여 조작 레버(41)를 작은 각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로크를 실현할 수 있다. 조작 레버(41)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각도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1회전 미만(360°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180°미만이다. 따라서, 작업성이 양호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라인 그리퍼(1)를 선상체(3)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우선, 도 6의 전환 레버(77)를 조작하고, 제2 갈고리부(76)가 래칫 휠(61)에 맞물리는 도 6의 쇄선 상태가 되도록, 갈고리 부재(63)를 전환한다. 이 상태는, 래칫 기구(47)가 조작 레버(4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상태이다. 그 후, 조작 레버(4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다음은, 상기 수순을 반대로 행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라인 그리퍼(1)는 본체부(5)와 제2 링크 아암(7B)과 연결 부재(27)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와,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를 구비한다. 제2 링크 아암(7B)은 본체부(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결 부재(27)는 제2 링크 아암(7B)에 연결된다.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는 본체부(5)에 마련된다.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는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와 대향하도록 제2 링크 아암(7B)에 연결되고, 연결 부재(27)의 이동에 연동하여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라인 그리퍼(1)는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와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 에 의해 선상체(3)를 파지하여 유지한다. 라인 그리퍼(1)는 제2 링크 아암(7B)의 회전에 연동하는 조작 레버(41)의 회전에 관한 것으로, 어떤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고, 반대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 기구(47)를 구비한다. 래칫 기구(47)가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래칫 기구(47)를 사용하여, 제2 링크 아암(7B)의 회전을 실질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선상체의 굵기가 다양하게 달라도 회전의 규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라인 그리퍼(1)는 연결 부재(27)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 레버(41)를 구비한다. 조작 레버(41)는 제2 링크 아암(7B)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43)를 갖는다. 접촉부(43)는 조작 레버(41)의 조작에 따라, 원호상의 궤적을 따라서 이동한다. 접촉부(43)가 제2 링크 아암(7B)에 접촉하고 있을 때,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에 대하여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것에 연동하여 제2 링크 아암(7B)은 접촉부(43)를 누른다. 래칫 기구(47)는 제2 링크 아암(7B)에 의해 접촉부(43)가 눌리는 것에 수반하는 조작 레버(41)의 회전을 저지하고, 반대 방향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접촉부(43)와 래칫 기구(47)에 의한 2중의 로크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라인 그리퍼(1)는 래칫 기구(47)가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을 반전하는 전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크 아암(7B)의 회전 규제를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라인 그리퍼(1)에 있어서, 래칫 기구(47)는 래칫 휠(61)과 갈고리 부재(63)와 스프링(81)을 구비한다. 래칫 휠(61)은 연결 부재(27)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갈고리 부재(63)는 조작 레버(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프링(81)은 갈고리 부재(63)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웨이 클러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라인 그리퍼(1)에 있어서, 링크 아암(7)은 2개 마련된다. 본체부(5)와 2개의 링크 아암(7)과 연결 부재(27)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링크 아암(7)이 회전하여도, 연결 부재(27)의 자세가 일정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링크 아암(7)의 회전 규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이후의 변형예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7의 제1 변형예에서는, 연결 부재(27)와 링크 아암(7)과의 사이에 래칫 기구(47)가 배치되어 있다.
도 7의 구성에서는, 갈고리 부재(63)는 연결 부재(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압부(59)도 연결 부재(27)에 배치된다. 갈고리 부재(63)는 1개의 갈고리부(75)를 갖는다. 래칫 휠(61)은 제1 링크 아암(7A)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래칫 휠(61)은 원호 기어로서 구성된다. 래칫 휠(61)의 축선은, 제3축(31)의 축선과 일치한다.
갈고리 부재(63)가 도 7의 자세로 되고 있을 때, 가압부(59)가 갖는 스프링(81)의 스프링력은, 갈고리부(75)를 래칫 휠(61)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갈고리 부재(63)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하는 래칫 기구(4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리로, 본 변형예의 래칫 기구(47)는 제1 링크 아암(7A)이 연결 부재(27)에 대하여 도 7의 제3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고, 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1 링크 아암(7A)이 제1 축(2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이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전환 레버(77)에 힘을 가하여 도 7의 상태로부터 각부(78)가 스틸 볼(83)을 넘도록 갈고리 부재(63)의 자세를 전환했을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가압부(59)의 스프링(81)은 갈고리부(75)와 래칫 휠(61)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갈고리 부재(63)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래칫 기구(47)에 의한 상기 규제가 해제되어, 제1 링크 아암(7A)은 제1 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래칫 기구(47)는 제1 링크 아암(7A)이 있는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고, 반대 방향의 회전을 허용한다.
도 8의 제2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기능하는 래칫 기구(47)가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이, 전술한 제1 변형예와 반대가 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1 링크 아암(7A)이 제1 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그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11)가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함으로써, 그 사이의 공간에 선상체(3)를 넣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상기 구성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도 3 등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촉부(43)를 제2 링크 아암(7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조작 레버 (41)를 회전 가압하는 도시를 생략한 가압 부재가 마련되어도 좋다. 이 가압 부재는, 예를 들어 연결 부재(27) 및 조작 레버(41)에 스프링 선이 고정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가압 부재의 힘은, 제1 갈고리부(75)에 의한 톱니부(71)의 넘기가 가능한 강도로 한다. 이 경우, 도 1의 상태로부터 연결 부재(27)를 외곽선 화살표 방향으로 인장하는 것만으로, 2중 로크가 걸리는 도 6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41)의 회전 조작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보다 간단해진다.
도 3의 구성에서, 가압부(59)(바꿔 말하면, 스프링(81))에 의한 갈고리 부재(63)의 회전 가압의 방향이, 전환 불능이 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2 갈고리부(76)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81)을 예를 들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규제부(13)는 2개의 링크 아암(7)에 있어서, 제2 링크 아암(7B)에 적용되는 대신, 제1 링크 아암(7A)에 적용해도 된다. 링크 아암(7)이 3개 이상 마련되어도 좋다.
접촉부(43)는 조작 레버(41)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대신, 조작 레버(41)와는 다른 부품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9)는 본체부(5)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대신, 본체부(5)와는 다른 부재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선상체(3)는 전선 및 와이어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긴 모양의 부재로 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교시를 고려하면, 본 발명이 많은 변경 형태 및 변형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 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외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1 라인 그리퍼(그립 공구)
5 본체부
7 링크 아암(링크 부재)
7A 제1 링크 아암
7B 제2 링크 아암(한쪽 링크 부재)
19 고정측 라인 그리퍼부(고정측 그립부)
11 가동측 라인 그리퍼부(가동측 그립부)
27 연결 부재
41 조작 레버(조작부)
43 접촉부
47 래칫 기구(원웨이 클러치)
59 가압부
61 래칫 휠
63 갈고리 부재

Claims (6)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된 연결 부재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고정측 그립부와,
    상기 고정측 그립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측 그립부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측 그립부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그립부와 상기 가동측 그립부에 의해 선상체를 파지하여 유지하는 그립 공구로서,
    상기 링크 부재의 회전 또는 상기 링크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는 다른 부재의 회전에 관계하며, 어느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고, 반대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가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그립부가 상기 고정측 그립부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및 이격하는 방향의 이동 중 어느 한쪽이 규제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링크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응하여, 원호상의 궤적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링크 부재에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가동측 그립부가 상기 고정측 그립부에 대하여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연동하고, 당해 링크 부재는 상기 접촉부를 누르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눌리는 것에 수반하는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저지하고, 반대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링크 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부를 회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에 의한 회전의 저지를 해제하는 전환 조작 또는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을 반전하는 전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래칫 휠과,
    상기 조작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갈고리 부재와,
    상기 갈고리 부재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KR1020217038175A 2020-03-02 2021-02-09 그립 공구 KR102647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4591 2020-03-02
JP2020034591 2020-03-02
PCT/JP2021/004852 WO2021176973A1 (ja) 2020-03-02 2021-02-09 掴み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977A KR20210151977A (ko) 2021-12-14
KR102647746B1 true KR102647746B1 (ko) 2024-03-14

Family

ID=7761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175A KR102647746B1 (ko) 2020-03-02 2021-02-09 그립 공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83020A1 (ko)
EP (1) EP4044381A4 (ko)
JP (1) JP7220498B2 (ko)
KR (1) KR102647746B1 (ko)
CN (1) CN113826290B (ko)
AU (1) AU2021232252A1 (ko)
WO (1) WO2021176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47347A1 (ja) * 2023-01-06 2024-07-11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742A (ja) 1998-10-28 2000-05-1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線状体把持器
JP2004242477A (ja) 2003-02-10 2004-08-26 Nagaki Seiki Co Ltd 掴線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4939A (en) * 1922-08-08 1923-08-14 James R Kearney Wire puller
JP2948786B2 (ja) * 1997-06-10 1999-09-13 関西電力株式会社 電線把持器
CN201588928U (zh) * 2009-11-28 2010-09-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驻车锁止装置
JP5312496B2 (ja) * 2011-02-02 2013-10-09 中国電力株式会社 掴線装置
JP3180307U (ja) 2012-09-28 2012-12-13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US9768596B2 (en) * 2012-09-28 2017-09-19 Nagaki Seiki Co., Ltd. Wire gripper
JP5953227B2 (ja) * 2012-12-27 2016-07-20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JP5421483B2 (ja) 2013-03-29 2014-02-19 中国電力株式会社 活線切分工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活線切分工法
JP6487794B2 (ja) * 2015-06-30 2019-03-20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ロープ用掴線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架空線復旧方法
MY185502A (en) * 2016-01-06 2021-05-19 Nagaki Seiki Kk Wire gripper
CN106545655B (zh) * 2016-11-01 2020-01-21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驻车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742A (ja) 1998-10-28 2000-05-1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線状体把持器
JP2004242477A (ja) 2003-02-10 2004-08-26 Nagaki Seiki Co Ltd 掴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20498B2 (ja) 2023-02-10
CN113826290B (zh) 2023-04-04
EP4044381A4 (en) 2023-10-11
JPWO2021176973A1 (ko) 2021-09-10
AU2021232252A1 (en) 2022-10-20
CN113826290A (zh) 2021-12-21
WO2021176973A1 (ja) 2021-09-10
EP4044381A1 (en) 2022-08-17
KR20210151977A (ko) 2021-12-14
US20240083020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6355B2 (ja) 締結装置
US7509895B2 (en) Self-adjusting locking pliers
US6658971B2 (en) Self-adjusting tool utilizing a cam
US20070283791A1 (en) Self-adjusting locking pliers
KR102647746B1 (ko) 그립 공구
US9010221B2 (en) Assembly pliers with detachable counter-ratchet
US20060226588A1 (en) Quick release bar clamp
JP7138245B2 (ja) 掴み工具
US4083548A (en) Adjustable clamp
JP7231167B2 (ja) 安全器
US20070222130A1 (en) Quick release mechanism
JPS5912441B2 (ja) モ−タ鋸
US6364719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JP4913509B2 (ja) チルトキャブの支持ステー装置
KR102663344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JP2990103B2 (ja) 張線装置
CN215887717U (zh) 伸缩式切刀夹头装置
JP6697303B2 (ja) 切断工具
US11642718B2 (en) Cable clamping device of a processing machine
JPH0640222Y2 (ja) ワイヤロープ把握装置
JPH0128329Y2 (ko)
JP3949241B2 (ja) クランプ装置
JPH1113310A (ja) 索条係止具
TW202131586A (zh) 緊線器及線材切割工具
JP2013052452A (ja) 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