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344B1 - 쐐기형 인장클램프 - Google Patents

쐐기형 인장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344B1
KR102663344B1 KR1020190178848A KR20190178848A KR102663344B1 KR 102663344 B1 KR102663344 B1 KR 102663344B1 KR 1020190178848 A KR1020190178848 A KR 1020190178848A KR 20190178848 A KR20190178848 A KR 20190178848A KR 102663344 B1 KR102663344 B1 KR 10266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wedge
pin
pai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612A (ko
Inventor
박동수
윤정용
신동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7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3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쐐기 헤드부와, 쐐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바디부와, 한 쌍의 가이드부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부와, 한 쌍의 쐐기부가 결합되고, 양측부가 한 쌍의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부와,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쐐기부가 전선의 구속시 전선을 속박하여 전선이 바디부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와, 슬라이더부와 연결되며, 슬라이더부와 함께 이동되어 밀림방지부를 전선을 속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쐐기형 인장클램프{WEDGE TYPE TENSION CLAMP}
본 발명은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이 밀리거나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전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전선이 일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을 때에 한 쌍의 쐐기부가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미끌어지면서 전선을 가압하여 구속한다.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전선을 한 쌍의 쐐기부 사이에 끼우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전선이 일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선이 쐐기형 인장클램프에서 빠지지 않는다.
그러나, 풍속 등에 의해 전선이 진동하는 경우, 전선에는 순간적으로 인장력의 역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전선에 압축력이 작용하면, 한 쌍의 쐐기부가 인장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 전선에 다시 인장력이 작용할 때에 쐐기부가 인장력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는 경우, 전선이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서 빠져나가게 되어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746호(고안의 명칭: 쐐기형 인장클램프, 등록일: 2010.07.30.)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선이 밀리거나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쐐기 헤드부; 상기 쐐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바디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부; 한 쌍의 상기 쐐기부가 결합되고, 양측부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부; 상기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쐐기부가 상기 전선의 구속시 상기 전선을 속박하여 상기 전선이 상기 바디부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 및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밀림방지부를 상기 전선을 속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회전되는 작동핀부; 상기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 상기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와 마주보며, 상기 작동핀부에 접촉되는 조작핀부;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조작핀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조작핀부의 회전에 회동되어 상기 전선을 구속하거나 상기 전선의 구속을 해제하는 한 쌍의 편심캠부; 한 쌍의 상기 편심캠부와 각각 연결되며,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부;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조작핀부에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상기 편심캠부를 상기 전선의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탄성부재; 및 상기 작동핀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조작핀부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작동핀부를 회전시키는 작동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핀부는 상기 회전 탄성부재가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핀부에 접촉되어 상기 전선의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편심캠부에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핀부는, 상기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핀샤프트; 상기 조작핀샤프트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조작핀샤프트에서 타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작동핀부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핀부는, 상기 쐐기 헤드부에 결합되고, 외측에 상기 작동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작동핀샤프트; 및 상기 작동핀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작동회전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핀부는 상기 작동핀샤프트와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작동회전핀을 보호하는 커버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 헤드부는 상기 작동회전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작동핀가이드홈부와, 상기 작동회전핀의 일부분이 상기 작동부 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회전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작동핀가이드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회전핀은, 상기 작동핀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회전핀본체; 상기 작동회전핀본체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작동핀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접촉편이 구비되는 제1작동회전핀바; 및 상기 작동회전핀본체에서 타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작동핀가이드홀부에 삽입되며, 상기 작동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작동핀가이드홀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작동회전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밀림방지부를 통해 전선이 진동되어 인장력과 압축력이 전선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전선이 밀리거나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림방지부를 통해 한 쌍의 쐐기부의 구속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선에 압축력이 작용하더라도 전선이 쐐기 헤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밀림방지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쐐기부 및 슬라이더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이 클램핑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이 클램핑되기 전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이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가 전선을 클램핑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이 클램핑되기 전 과정에서의 밀림방지부의 작동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이 클램핑되는 과정에서의 밀림방지부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밀림방지부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쐐기부 및 슬라이더부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이 클램핑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이 클램핑되기 전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이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가 전선을 클램핑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이 클램핑되기 전 과정에서의 밀림방지부의 작동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이 클램핑되는 과정에서의 밀림방지부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쐐기 헤드부(100), 바디부(200), 한 쌍의 쐐기부(300), 슬라이더부(400), 밀림방지부(500) 및 작동부(600)를 포함한다.
쐐기 헤드부(100)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21)를 구비한다. 쐐기 헤드부(100)의 내측 양측부에는 홈부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121)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도 1, 도 2 참조).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 후술된 한 쌍의 쐐기부(30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쐐기 헤드부(100)는 쐐기 헤드본체(110),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 및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를 포함한다. 쐐기 헤드본체(110)는 후술된 바디부(200)와 연결된다.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는 쐐기 헤드본체(1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내측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부(121)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과 같이,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는 쐐기 헤드본체(1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상측으로(도 1 내지 도 5 기준)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는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와 연결되고, 쐐기 헤드본체(1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바디부(200)는 쐐기 헤드부(100)와 연결된다. 바디부(200)는 일단부가 쐐기 헤드부(100)의 쐐기 헤드본체(110)와 일체로 연결된다. 쐐기 헤드부(100)와 바디부(200)는 일체로 제작되며, 강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쐐기부(300)는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10)을 클램핑한다. 일 예로, 한 쌍의 쐐기부(300)는 한 쌍의 가이드부(121)와 도브 테일(dove tail) 구조로 맞물려 결합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서로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면서 전선(10)을 클램핑하거나 전선(10)의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다.
슬라이더부(400)는 한 쌍의 쐐기부(300)가 결합되고, 양측부가 한 쌍의 가이드부(12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더부(400)가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쐐기부(300)도 함께 이동된다.
슬라이더부(400)는 슬라이드 패널부(410)와 이동 탄성부재(42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패널부(410)에는 한 쌍의 쐐기부(300)가 결합되며,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도 2, 도 7 참조). 슬라이드 패널부(410)는 단부에 이동 탄성부재(420)를 가압하여 이동 탄성부재(420)를 압축시키는 걸림편(411)을 구비한다. 걸림편(411)에는 후술된 작동부(600)가 결합되는 결합홈부(411a)가 형성된다.
이동 탄성부재(420)는 압축스프링으로 쐐기 헤드부(100)에 장착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슬라이드 패널부(4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 탄성부재(420)는 쐐기 헤드부(100)의 장착부(113)에 장착된다. 이동 탄성부재(420)가 장착부(113)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압축된다. 즉, 이동 탄성부재(420)에 압축력이 발생된다. 이때, 한 쌍의 쐐기부(300)는 서로 이격되어 벌어지게 되고, 한 쌍의 쐐기부(300)의 사이에 전선(10)을 쉽게 배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이동 탄성부재(420)의 압축된 상태가 해제되면, 이동 탄성부재(420)가 탄성복원력으로, 장착부(113)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이동 탄성부재(420)에 팽창력이 발생된다. 이때, 한 쌍의 쐐기부(300)는 서로 근접해지면서 오므라들게 되고, 한 쌍의 쐐기부(300)의 사이에 전선(10)을 쉽게 그립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 8 내지 도 10 참조).
밀림방지부(500)는 쐐기 헤드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쐐기부(300)가 전선(10)의 구속시 전선(10)을 속박하여 전선(10)이 바디부(200)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밀림방지부(500)는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 측에 배치되어 전선(10)을 속박한다. 따라서, 바람 등에 의해 전선(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전선(10)이 후방으로 당겨져 전선(10)에 압축력(인장력의 반대방향)이 작용하더라도 전선(10)이 바디부(200)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쐐기부(300)의 구속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선(10)에 압축력이 작용하더라도 전선(10)이 쐐기 헤드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선(10)에 압축력이 발생되더라도 밀림방지부(500)가 전선(10)을 구속하므로, 전선(10)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고, 전선(10)이 전방으로 당겨져 전선(10)에 인장력이 발생되더라도 한 쌍의 쐐기부(300)가 전선(10)에 밀착되어 클램핑하므로, 즉 전선(10)을 구속하므로, 전선(10)이 전방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선(10)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전방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달리말해, 전선(10)은 최초로 그립된 상태 즉, 최초로 인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작동부(600)는 슬라이더부(400)와 연결되며, 슬라이더부(400)와 함께 이동되어 밀림방지부(500)를 전선(10)을 속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작동부(600)는 기둥형상으로 슬라이더부(400)가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슬라이더부(400)와 함께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 측으로 이동되면서 밀림방지부(500)와 접촉되어 밀림방지부(500)를 전선(10)을 속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쐐기부(300)가 전선(10)을 구속하는 경우 작동부(600)에 의해 밀림방지부(500)가 회전되면서 전선(10)을 신속하게 속박할 수 있다.
반대로, 슬라이더부(400)가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의 반대측으로 즉, 바디부(200)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작동부(600)는 슬라이더부(400)와 함께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의 반대측으로 즉, 바디부(200) 측으로 이동되면서 밀림방지부(500)와 비접촉되어 밀림방지부(500)를 전선(10)의 속박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밀림방지부(500)는 작동핀부(510), 회전축부(520), 조작핀부(530), 한 쌍의 편심캠부(540), 한 쌍의 기어부(550), 회전 탄성부재(560) 및 작동 탄성부재(570)를 포함한다. 작동핀부(510)는 쐐기 헤드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부(600)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회전된다. 작동핀부(510)는 쐐기 헤드본체(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작동핀부(510)는 조작핀부(530)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조작핀부(530)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조작핀부(530)의 회전제한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작동핀부(510)는 조작핀부(530)와 접촉되어 조작핀부(53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후, 작동부(600)가 작동핀부(510)에 접촉되어 작동핀부(510)가 회전되고, 작동핀부(510)가 조작핀부(530)와 비접촉되면서 조작핀부(530)의 회전제한이 해제된다.
회전축부(520)는 쐐기 헤드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부(520)는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 중 어느 하나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핀부(530)는 쐐기 헤드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부(520)와 마주보며, 작동핀부(510)에 접촉된다. 조작핀부(530)는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 중 다른 하나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축부(520)과 마주본다. 조작핀부(530)는 작동핀부(510)의 접촉여부에 따라 회전제한되거나 회전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한 쌍의 편심캠부(540)는 회전축부(520) 및 조작핀부(530)에 각각 결합되고, 회전축부(520) 및 조작핀부(530)의 회전에 회동되어 전선(10)을 구속하거나 전선(10)의 구속을 해제한다. 한 쌍의 편심캠부(540)는 회전축부(520) 및 조작핀부(530)에 각각 결합되며, 회전축부(520) 및 조작핀부(530)와 함께 회전된다.
회전축부(520)의 중심부 및 조작핀부(5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편심캠부(540)의 외측면의 반경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편심캠부(540)의 단반경이 쐐기 헤드인입부(13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경우, 한 쌍의 편심캠부(540) 사이로 전선(10)이 인입될 수 있다. 또한, 편심캠부(540)의 장반경이 쐐기 헤드인입부(13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경우, 편심캠부(540)가 전선(10)을 가압하면서 구속한다(도 11 참조). 이때, 조작핀부(530)는 작동핀부(510)의 회전에 따라 편심캠부(540)는 장반경이 쐐기 헤드인입부(13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회전된다.
한 쌍의 기어부(550)는 한 쌍의 편심캠부(540)와 각각 연결되며, 서로 맞물린다. 한 쌍의 기어부(550)는 한 쌍의 편심캠부(540)와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한 쌍의 편심캠부(540)의 회전에 회동되면서 서로 맞물린다.
기어부(550)는 편심캠부(540)에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다. 기어부(550)가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므로, 기어부(550)가 원형태로 형성되는 구조에 비해 쐐기 헤드부(100)의 폭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쐐기형 인장클램프(1)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회전 탄성부재(560)는 회전축부(520) 및 조작핀부(530)에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편심캠부(560)를 전선(10)의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조작핀부(530)는 회전 탄성부재(560)가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작동핀부(510)에 접촉되어 전선(10)의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회전 탄성부재(560)는 토션스프링으로 일측이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축부(520) 또는 조작핀부(530)에 고정된다.
도 12(a), 도 12(b)와 같이, 작업자가 조작핀부(530)를 전선(10)의 구속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탄성부재(560)는 탄성변형된다. 조작핀부(530)는 작동핀부(51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회전 탄성부재(560)는 탄성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3(a), 도 13(b)와 같이, 작동핀부(510)가 작동부(600)와 접촉되어 회전되면 즉, 작동부(600)가 작동핀부(510)를 밀어 작동핀부(510)가 회전되면, 작동핀부(510)는 조작핀부(530)와 비접촉된다. 이로 인해, 조작핀부(530)는 회전 탄성부재(5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조작핀부(530)는 전선(10)의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편심캠부(540)가 전선(10)을 구속할 수 있다.
작동 탄성부재(570)는 작동핀부(5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조작핀부(530)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작동핀부(510)를 회전시킨다. 작동 탄성부재(570)는 토션스프링으로 일측이 쐐기 헤드본체(1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작동핀부(510)에 고정된다. 작업자가 조작핀부(530)를 전선(10)의 구속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핀부(510)는 조작핀부(530)에 밀려 회전된다. 이때, 작동 탄성부재(570)는 탄성변형된다. 이후, 작동핀부(510)는 작동 탄성부재(5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고, 조작핀부(530)와 접촉되어 조작핀부(530)의 회전을 제한한다.
조작핀부(530)는 조작핀샤프트(531), 손잡이부(532) 및 접촉부(533)를 포함한다. 조작핀샤프트(531)는 쐐기 헤드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손잡이부(532)는 조작핀샤프트(531)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손잡이부(532)는 제1손잡이(532a)와 제2손잡이(532b)를 포함한다. 제1손잡이(532a)는 조작핀샤프트(531)에서 일측으로, 수평방향으로(도 6 기준) 연장형성된다. 제2손잡이(532b)는 제1손잡이(532a)에서 타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며, 쐐기 헤드부(100)의 측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손잡이부(532)를 통해 쉽게 조작핀부(5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접촉부(533)는 조작핀샤프트(531)에서 타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작동핀부(510)에 접촉된다. 접촉부(533)는 손잡이부(532)와 이루는 각도가 대략 90도이다.
작동핀부(510)는 작동핀샤프트(511), 작동회전핀(512) 및 커버판부(513)를 포함한다. 작동핀샤프트(511)은 쐐기 헤드부(100)에 결합되고, 외측에 작동 탄성부재(570)가 설치된다. 작동핀샤프트(511)는 작동핀샤프트본체(511a)와 작동핀샤프트머리(511b)를 포함한다. 작동핀샤프트본체(511a)는 쐐기 헤드부(100)에 볼트결합되며, 쉽게 탈부착가능하다. 작동핀샤프트머리(511b)는 작동핀샤프트본체(511a)의 단부에 연결되며, 너비가 작동핀샤프트본체(511a)의 너비보다 크다. 이로 인해, 작동회전핀(512)가 작동핀샤프트(511)에 안정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작동회전핀(512)은 작동핀샤프트(5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 탄성부재(570)의 탄성복원력을 제공받으며, 접촉부(533)가 접촉된다. 이를 통해, 작동핀부(510)은 조작핀부(530)의 회전을 쉽게 제한할 수 있다.
커버판부(513)는 작동핀샤프트(511)와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작동회전핀(512)을 보호한다. 커버판부(513)는 원형판 형상으로, 중앙부에 작동핀샤프트본체(511a)가 삽입되는 삽입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커버판부(513)는 작동회전핀(5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쐐기 헤드부(100)는 작동회전핀(512)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작동핀가이드홈부(111)와, 작동회전핀(512)의 일부분이 작동부(600) 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며, 작동회전핀(512)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작동핀가이드홀부(1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회전핀(512)은 작동회전핀본체(512a), 제1작동회전핀바(512b) 및 제2작동회전핀바(512c)를 포함한다. 작동회전핀본체(512a)는 작동핀샤프트(5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작동회전핀본체(512a)는 중앙부에 작동핀샤프트본체(511a)가 삽입되는 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제1작동회전핀바(512b)는 작동회전핀본체(512a)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작동핀가이드홈부(111)를 따라 이동되며, 접촉부(533)가 접촉되는 접촉편(512d)이 구비된다. 이를 통해, 조작핀부(530)의 회전을 쉽게 제한할 수 있다.
제2작동회전핀바(512c)는 작동회전핀본체(512a)에서 타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작동핀가이드홀부(112)에 삽입되며, 작동부(600)의 접촉에 의해 작동핀가이드홀부(112)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작동부(600)가 슬라이더부(400)와 함께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 측으로 이동될 때, 제2작동회전핀바(512c)가 작동부(600)에 접촉됨으로써, 작동회전핀(512)이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이로써, 접촉부(533)은 접촉편(512d)으로부터 비접촉되고, 조작핀부(530)은 전선(10)의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손잡이고리부(700)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고리부(700)는 한 쌍의 쐐기부(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쐐기부(300)를 보다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전선(10)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에는 한 쌍의 쐐기부(300)가 전선(10)을 구속하고, 전선(10)에 압축력이 가해질 때에는 밀림방지부(600)가 전선(10)을 구속한다. 따라서, 전선(10)이 진동되어 인장력과 압축력이 전선(10)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전선(10)이 밀리거나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쐐기형 인장클램프 10 : 전선
100 : 쐐기 헤드부 110 : 쐐기 헤드본체
111 : 작동핀가이드홈부 112 : 작동핀가이드홀부
113 : 장착홈부 120 : 쐐기 헤드가이드부
121 : 가이드부 130 : 쐐기 헤드인입부
140 : 쐐기 헤드손잡이부 200 : 바디부
300 : 쐐기부 400 : 슬라이더부
410 : 슬라이드패널부 411 : 걸림편
411a : 결합홈부 420 : 이동 탄성부재
500 : 밀림방지부 510 : 작동핀부
511 : 작동핀샤프트 511a : 작동핀샤프트본체
511b : 작동핀샤프트머리 512 : 작동회전핀
512a : 작동회전핀본체 512b : 제1작동회전핀바
512c : 제2작동회전핀바 512d : 접촉편
513 : 커버판부 520 : 회전축부
530 : 조작핀부 531 : 조작핀샤프트
532 : 손잡이부 532a : 제1손잡이
532b : 제2손잡이 533 : 접촉부
540 : 편심캠부 550 : 기어부
560 : 회전 탄성부재 570 : 작동 탄성부재
600 : 작동부 700 : 손잡이고리부

Claims (9)

  1.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쐐기 헤드부;
    상기 쐐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바디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부;
    한 쌍의 상기 쐐기부가 결합되고, 양측부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부;
    상기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쐐기부가 상기 전선의 구속시 상기 전선을 속박하여 상기 전선이 상기 바디부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 및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밀림방지부를 상기 전선을 속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회전되는 작동핀부;
    상기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
    상기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와 마주보며, 상기 작동핀부에 접촉되는 조작핀부;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조작핀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조작핀부의 회전에 회동되어 상기 전선을 구속하거나 상기 전선의 구속을 해제하는 한 쌍의 편심캠부;
    한 쌍의 상기 편심캠부와 각각 연결되며,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부;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조작핀부에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상기 편심캠부를 상기 전선의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탄성부재; 및
    상기 작동핀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조작핀부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작동핀부를 회전시키는 작동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핀부는 상기 회전 탄성부재가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핀부에 접촉되어 상기 전선의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편심캠부에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핀부는,
    상기 쐐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핀샤프트;
    상기 조작핀샤프트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조작핀샤프트에서 타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작동핀부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핀부는,
    상기 쐐기 헤드부에 결합되고, 외측에 상기 작동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작동핀샤프트; 및
    상기 작동핀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작동회전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핀부는 상기 작동핀샤프트와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작동회전핀을 보호하는 커버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헤드부는 상기 작동회전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작동핀가이드홈부와, 상기 작동회전핀의 일부분이 상기 작동부 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회전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작동핀가이드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회전핀은,
    상기 작동핀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회전핀본체;
    상기 작동회전핀본체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작동핀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접촉편이 구비되는 제1작동회전핀바; 및
    상기 작동회전핀본체에서 타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작동핀가이드홀부에 삽입되며, 상기 작동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작동핀가이드홀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작동회전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20190178848A 2019-12-31 2019-12-31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266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48A KR102663344B1 (ko) 2019-12-31 2019-12-31 쐐기형 인장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48A KR102663344B1 (ko) 2019-12-31 2019-12-31 쐐기형 인장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612A KR20210085612A (ko) 2021-07-08
KR102663344B1 true KR102663344B1 (ko) 2024-05-08

Family

ID=7689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848A KR102663344B1 (ko) 2019-12-31 2019-12-31 쐐기형 인장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528B1 (ko) 2023-08-15 2024-02-07 제룡산업 주식회사 쐐기형 인장 클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431A (ja) 2002-11-06 2004-06-03 Nec Access Technica Ltd ケーブル固定装置
US20070137003A1 (en) 2005-12-20 2007-06-21 Zebe Charles W Jr Cam cleat 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0335C1 (de) * 1997-05-15 1998-11-19 Joerg Feder Längenverstellvorrichtung für Segelboot-Trapez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431A (ja) 2002-11-06 2004-06-03 Nec Access Technica Ltd ケーブル固定装置
US20070137003A1 (en) 2005-12-20 2007-06-21 Zebe Charles W Jr Cam cleat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612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2302A (en) Saw-blade fixation device
US7407143B1 (en) Communication device holder for vehicles
US7513492B1 (en) Hand held quick-clamping device
US5291638A (en) Tightening up device
US7322843B1 (en) Cam activated circuit card clamp
KR101766480B1 (ko) 록킹 장치, 차량용 시트벨트 조절장치, 및 차량용 시트벨트
CN101204275B (zh) 滚珠滑轨
KR102663344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US11539163B2 (en) Electric device including a housing for receiving a battery pack and a latching mechanism
TWI839538B (zh) 夾持工具
EP2138389B1 (en) Motorcycle with a seat lock
CA1148848A (en) Tool for strap tensioning and cutting
US20120193853A1 (en) Bar clamp
JP5020321B2 (ja) リモコン保持装置
KR102297003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2297004B1 (ko) 인장클램프장치
TWI376341B (en) Carrier box for polarizer
KR200457122Y1 (ko) 허리띠용 버클
KR102647746B1 (ko) 그립 공구
JP4629437B2 (ja) 印刷板用締付装置
WO2004024506A1 (en) Load carrier device for vehicles
JP3750112B2 (ja) 支持装置用ピボット軸受構造
KR20220167557A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1171837B1 (ko)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KR20180003120U (ko)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