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557A - 쐐기형 인장클램프 - Google Patents

쐐기형 인장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557A
KR20220167557A KR1020210076675A KR20210076675A KR20220167557A KR 20220167557 A KR20220167557 A KR 20220167557A KR 1020210076675 A KR1020210076675 A KR 1020210076675A KR 20210076675 A KR20210076675 A KR 20210076675A KR 20220167557 A KR20220167557 A KR 2022016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pair
slip
wir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임주혁
이건행
양정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7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557A/ko
Publication of KR2022016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쐐기 헤드부와, 쐐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바디부와, 한 쌍의 가이드부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부와, 한 쌍의 쐐기부가 결합되고, 양측부가 한 쌍의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부와, 쐐기 헤드부 및 바디부와 연결되고, 전선이 거치되며, 한 쌍의 쐐기부와 접촉되어 전선이 바디부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쐐기형 인장클램프{WEDGE TYPE TENSION CLAMP}
본 발명은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밀림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전선의 꺽임을 막을 수 있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전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전선이 일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을 때에 한 쌍의 쐐기부가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미끌어지면서 전선을 가압하여 구속한다.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전선을 한 쌍의 쐐기부 사이에 끼우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전선이 일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선이 쐐기형 인장클램프에서 빠지지 않는다.
그러나, 풍압 등에 의해 전선이 진동하는 경우, 전선에는 순간적으로 인장력의 역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전선에 압축력이 작용하면, 한 쌍의 쐐기부가 인장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 전선에 다시 인장력이 작용할 때에 쐐기부가 인장력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는 경우, 전선이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서 빠져나가게 되어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이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쐐기 등으로 고정되나, 전선이 점퍼선이나 기기접속을 위해 하부로 꺽임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746호(고안의 명칭: 쐐기형 인장클램프, 등록일: 2010.07.30.)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선의 밀림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전선의 꺽임을 막을 수 있는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쐐기 헤드부; 상기 쐐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바디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부; 한 쌍의 상기 쐐기부가 결합되고, 양측부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부; 및 상기 쐐기 헤드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선이 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쐐기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선이 바디부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선이 거치되는 밀림방지본체부; 및 상기 밀림방지본체부에서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거치되는 밀림방지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본체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며, 한 쌍의 상기 쐐기부와 접촉되어 상기 쐐기부의 밀림을 방지하는 한 쌍의 밀림방지블록; 및 한 쌍의 상기 밀림방지블록이 연결되며, 상기 전선이 거치되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는 밀림방지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연장부는, 상기 밀림방지본체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거치되며, 상기 제1공간부와 연결되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는 밀림방지연장본체; 상기 밀림방지연장본체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게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편; 상기 밀림방지연장본체의 타측에 서로 이격되게 돌출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결합편과 마주보는 복수개의 제2결합편; 및 이웃한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편 및 상기 제2결합편을 관통하는 결합핀; 및 상기 결합핀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핀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부는, 한 쌍의 상기 쐐기부가 결합되며,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패널부; 및 상기 쐐기 헤드부에 장착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드 패널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밀림방지부를 통해 전선이 진동되어 인장력과 압축력이 전선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전선이 밀리거나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밀림방지부가 전선이 자연스럽게 거치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전선의 꺽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쐐기 헤드부(100), 바디부(200), 한 쌍의 쐐기부(300), 슬라이더부(400) 및 밀림방지부(500)를 포함한다.
쐐기 헤드부(100)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21)를 구비한다. 쐐기 헤드부(100)의 내측 양측부에는 홈부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121)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도 1, 도 2 참조).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 후술된 한 쌍의 쐐기부(30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쐐기 헤드부(100)는 쐐기 헤드본체(110),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 및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를 포함한다. 쐐기 헤드본체(110)는 후술된 바디부(200)와 연결된다.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는 쐐기 헤드본체(1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내측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부(121)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과 같이,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는 쐐기 헤드본체(1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쐐기 헤드인입부(130)는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와 연결되고, 쐐기 헤드본체(1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쐐기 헤드부(100)는 쐐기 헤드손잡이부(140)를 더 포함한다. 쐐기 헤드손잡이부(140)는 쐐기 헤드본체(110)와 연결된다. 사용자는 쐐기 헤드손잡이부(140)를 통해 쐐기 헤드부(100)를 손쉽게 잡을 수 있다.
바디부(200)는 쐐기 헤드부(100)와 연결된다. 쐐기 헤드부(100)와 바디부(200)는 일체로 제작되며, 강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200)는 바디본체(210)와 바디결합부(220)를 포함한다. 바디본체(210)는 일단부가 쐐기 헤드부(100)의 쐐기 헤드본체(110)와 일체로 연결된다. 바디결합부(220)는 바디본체(210)와 연결되며, 밀림방지부(5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밀림방지부(500)의 결합부(524)가 관통되게 결합된다.
한 쌍의 쐐기부(300)는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10)을 클램핑한다. 일 예로, 한 쌍의 쐐기부(300)는 한 쌍의 가이드부(121)와 도브 테일(dove tail) 구조로 맞물려 결합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서로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면서 전선(10)을 클램핑하거나 전선(10)의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다.
슬라이더부(400)는 한 쌍의 쐐기부(300)가 결합되고, 양측부가 한 쌍의 가이드부(12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더부(400)가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쐐기부(300)도 함께 이동된다.
슬라이더부(400)는 슬라이드 패널부(410)와 이동 탄성부재(42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패널부(410)에는 한 쌍의 쐐기부(300)가 결합되며,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슬라이드 패널부(410)는 단부에 이동 탄성부재(420)를 가압하여 이동 탄성부재(420)를 압축시키는 걸림편(미도시)을 구비한다.
이동 탄성부재(420)는 압축스프링으로 쐐기 헤드부(100)에 장착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슬라이드 패널부(4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 탄성부재(420)는 쐐기 헤드부(100)에 장착된다. 이동 탄성부재(420)가 쐐기 헤드부(100)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압축된다. 즉, 이동 탄성부재(420)에 압축력이 발생된다. 이때, 한 쌍의 쐐기부(300)는 서로 이격되어 벌어지게 되고, 한 쌍의 쐐기부(300)의 사이에 전선(10)을 쉽게 배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이동 탄성부재(420)의 압축된 상태가 해제되면, 이동 탄성부재(420)가 탄성복원력으로, 쐐기 헤드부(100)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이동 탄성부재(420)에 팽창력이 발생된다. 이때, 한 쌍의 쐐기부(300)는 서로 근접해지면서 오므라들게 되고, 한 쌍의 쐐기부(300)의 사이에 전선(10)을 쉽게 그립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밀림방지부(500)는 쐐기 헤드부(100) 및 바디부(200)와 연결되고, 전선(10)이 거치되며, 한 쌍의 쐐기부(300)와 접촉되어 전선(10)이 바디부(200)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밀림방지부(500)는 쐐기 헤드부(10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121) 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쐐기부(300)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쐐기부(300)에 전선(10)이 클램핑된 후, 바람 등에 의해 전선(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전선(10)이 후방으로 당겨져 전선(10)에 압축력(인장력의 반대방향)이 작용하더라도 전선(10)이 바디부(200)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밀림방지부(500)는 전선(10)이 자연스럽게 거치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전선(10)의 꺽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밀림방지부(500)는 밀림방지본체부(510)와 밀림방지연장부(520)를 포함한다. 밀림방지본체부(510)는 가이드부(121)에 삽입되고, 바디부(200)와 결합되며, 전선(10)이 거치된다. 밀림방지본체부(510)는 한 쌍의 밀림방지블록(511)과 밀림방지본체(5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밀림방지블록(511)은 가이드부(121)에 삽입되며, 한 쌍의 쐐기부(300)와 접촉되어 쐐기부(300)의 밀림을 방지한다. 한 쌍의 밀림방지블록(511)은 후술된 밀림방지본체(51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한 쌍의 밀림방지블록(511)은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어 한 쌍의 쐐기부(300)와 접촉된다.
밀림방지본체(512)는 U자 형태로 한 쌍의 밀림방지블록(511)이 연결되며, 전선(10)이 거치되는 제1공간부(512a)가 형성된다.
밀림방지연장부(520)는 밀림방지본체부(510)에서 바디부(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전선(10)이 거치된다. 밀림방지연장부(520)는 밀림방지본체부(510)에서 하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된다.
밀림방지연장부(520)는 밀림방지연장본체(521), 복수개의 제1결합편(522), 복수개의 제2결합편(523) 및 결합부(524)를 포함한다. 밀림방지연장본체(521)는 U자 형태로 밀림방지본체(512)에서 연장형성되고, 전선(10)이 거치되며, 제1공간부(512a)와 연결되는 제2공간부(521a)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1결합편(522)은 밀림방지연장본체(521)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게 돌출형성된다. 일 예로, 제1결합편(522)은 3개로 밀림방지연장본체(521)의 일측에 이격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결합편(523)은 밀림방지연장본체(521)의 타측에 서로 이격되게 돌출형성되고, 복수개의 제1결합편(522)과 마주본다. 일 예로, 제2결합편(523)은 3개로 밀림방지연장본체(521)의 타측에 복수개의 제1결합편(522)과 마주보도록 이격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24)는 이웃한 제1결합편(522)과 제2결합편(523)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때, 바디부(200)의 바디결합부(220) 양측에 위치되는 제1결합편(522) 및 제2결합편(523)이 위치되는 경우, 결합부(524)는 제1결합편(522) 및 제2결합편(523) 바디결합부(220)를 관통하여 결합한다.
결합부(524)는 결합핀(524a)과 결합핀고리(524b)를 포함한다. 결합핀(524a)은 복수개로 제1결합편(522) 및 제2결합편(523)을 관통한다.
결합핀고리(524b)는 결합핀(524a)과 결합되고, 결합핀(524a)의 이탈을 방지한다. 결합핀고리(524b)는 결합핀(524a)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쐐기 헤드부(100) 및 바디부(200)와 연결되고, 전선(10)이 거치되며, 한 쌍의 쐐기부(300)와 접촉되어 전선(10)이 바디부(200)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500)를 통해 전선(10)이 후방으로 당겨져 압축력이 발생되는 경우 전선(10)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전선(10)이 자연스럽게 거치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전선(10)의 꺽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쐐기형 인장클램프 10 : 전선
100 : 쐐기 헤드부 110 : 쐐기 헤드본체
120 : 쐐기 헤드가이드부 121 : 가이드부
130 : 쐐기 헤드인입부 140 : 쐐기 헤드손잡이부
200 : 바디부 210 : 바디본체
220 : 바디결합부 300 : 쐐기부
400 : 슬라이더부 410 : 슬라이드패널부
420 : 이동 탄성부재 500 : 밀림방지부
510 : 밀림방지본체부 511 : 밀림방지블록
512 : 밀림방지본체 520 : 밀림방지연장부
521 : 밀림방지연장본체 522 : 제1결합편
523 : 제2결합편 524 : 결합부
524a : 결합핀 524b : 결합핀고리

Claims (6)

  1.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쐐기 헤드부;
    상기 쐐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바디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부;
    한 쌍의 상기 쐐기부가 결합되고, 양측부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부; 및
    상기 쐐기 헤드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선이 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쐐기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선이 바디부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선이 거치되는 밀림방지본체부; 및
    상기 밀림방지본체부에서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거치되는 밀림방지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본체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며, 한 쌍의 상기 쐐기부와 접촉되어 상기 쐐기부의 밀림을 방지하는 한 쌍의 밀림방지블록; 및
    한 쌍의 상기 밀림방지블록이 연결되며, 상기 전선이 거치되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는 밀림방지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연장부는,
    상기 밀림방지본체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거치되며, 상기 제1공간부와 연결되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는 밀림방지연장본체;
    상기 밀림방지연장본체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게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편;
    상기 밀림방지연장본체의 타측에 서로 이격되게 돌출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결합편과 마주보는 복수개의 제2결합편; 및
    이웃한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편 및 상기 제2결합편을 관통하는 결합핀; 및
    상기 결합핀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핀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한 쌍의 상기 쐐기부가 결합되며,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패널부; 및
    상기 쐐기 헤드부에 장착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드 패널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20210076675A 2021-06-14 2021-06-14 쐐기형 인장클램프 KR20220167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75A KR20220167557A (ko) 2021-06-14 2021-06-14 쐐기형 인장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75A KR20220167557A (ko) 2021-06-14 2021-06-14 쐐기형 인장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57A true KR20220167557A (ko) 2022-12-21

Family

ID=8453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675A KR20220167557A (ko) 2021-06-14 2021-06-14 쐐기형 인장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5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9038B1 (ja) 電線接続具
JP4242885B2 (ja) 差込みばねクランプ
US9799968B2 (en) Wire terminal connector
US4429451A (en) Hand tool for applying electrical connectors
US7530858B2 (en) Electrical junction systems and methods
US7028393B2 (en) Contraction tool
EP2096714A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ith contact spring operated by a lever having an inlet opening for the end of an electric cable
KR102297003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PL179940B1 (pl) Zacisk do przewodów elektrycznych PL PL PL PL
CN210224300U (zh) 模块插接工具
KR20220167557A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US8876554B2 (en) Shielding terminal clamp
JP2023503065A (ja) 接続構成体および電子デバイス
US20210257764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70114434A (ko)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접속 기구
KR20210085612A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US4486065A (en) Strain-relief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2994850A (en) Electrical connector clamp
JPH08124612A (ja) 多段コネクタ
CN212586759U (zh) 一种数码管温湿度控制仪
CN217097993U (zh) 一种多功能夹具
CN212462259U (zh) 快速组装的缆线连接器
CN212434877U (zh) 一种显示器的接线端子
KR101474004B1 (ko)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KR102128264B1 (ko) 전선 접속 클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