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264B1 - 전선 접속 클램프 - Google Patents

전선 접속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264B1
KR102128264B1 KR1020180057894A KR20180057894A KR102128264B1 KR 102128264 B1 KR102128264 B1 KR 102128264B1 KR 1020180057894 A KR1020180057894 A KR 1020180057894A KR 20180057894 A KR20180057894 A KR 20180057894A KR 102128264 B1 KR102128264 B1 KR 102128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member
crimping
receiving portion
wire
ope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844A (ko
Inventor
김효열
박형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26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접속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착 공구가 필요없는 전선 접속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 클램프는 개방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개방 수용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 및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수용부는 중앙부의 폭보다 양 측면부의 폭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접속 클램프{Clamp for Coupling Power Cables}
본 발명은 전선 접속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착 공구가 필요없는 전선 접속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배전을 위한 전선들의 접속에는 클램프(clamp) 또는 슬리브(sleeve) 등의 접속 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클램프는 인장 클램프, 와이어나 탄성 클립으로 전선을 감싸 볼트로 체결하는 접지 클램프, 압축 마찰 방식을 이용한 클램프 등 다양한 클램프가 적용되고 있다. 일례로, 인장클램프는 알루미늄배전선로를 시공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송전선을 지지하여 절연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송전선을 일정압력으로 당겨 팽팽한 상태로 인장시켜 주는 지지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장클램프에는 별도의 배전선이 연결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슬리브는 장력이 걸리지 않는 전선의 연결에 주로 사용하게 된다. 슬리브는 압축기를 이용해 전선과 슬리브를 고정하는 압축 슬리브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슬리브 중에서 분기선을 연결하는 슬리브를 분기 슬리브라고 한다. 분기 슬리브는 본선과 장력이 걸리지 않는 점퍼선 또는 분기선의 접속, 알루미늄 저압본선과 변압기 2차 인하선의 접속, 기기류의 리드선 접속, 알루미늄 중성선과 완철 접지선의 분기 접속 등에 사용된다. 이때, 알루미늄선과 동선 접속시 동선의 위치는 알루미늄선의 하단이 된다.
분기 슬리브에는 알루미늄(Al) 분기 슬리브, 이질금속 슬리브, 분기 접속용 동(銅) 슬리브 등이 있다.
전선 연결 작업은 전선 이선 무정전(無停電) 공법 등 활선(活線, live line) 상태에서 압축 등의 작업을 수행하므로 안전한 작업이 요구되나 전선 접속작업시 바켓트럭을 이용한 고공 작업이 대부분이므로 작업장소가 협소하여 활선에 근접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하므로 안전에 위협이 되는 요소가 상존하게 된다.
도 1에 분기 슬리브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전선을 연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분기 슬리브(1)의 상부측 삽입구(2)에 전선(본선 등)을 삽입하고 분기선을 분기 슬리브(1)의 측면 삽입구(3)에서 삽입한 후, 작업자가 분기 슬리브(1)와 본선(5), 분기선(6)을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압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분기 슬리브(1)에 압축력을 가하면 분기 슬리브(1)의 상부 밴딩부(4)가 접히면서 본선(5)과 분기선(6)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리브를 이용한 작업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압축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다. 압축기에는 슬리브에 적합한 다이스를 적용하여야 하는데 이를 작업시마다 교체 적용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작업시, 분기 슬리브, 본선과 분기선을 한 손에 잡고, 다른 손에는 압축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롭다. 작업 중에 전선이 빠질 가능성이 있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
분기 슬리브는 압축이 가능한 재료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알루미늄이나 동 등연성 재료가 사용되는데 이는 가격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떨어진다.
장시간 대기 중에 노출되는 경우 산화하여 부식이 발생하기 쉽다. 심한 경우에는 접촉 불량이나 단선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선 접속작업시 압착 공정이 필요 없고, 따라서 압착공구가 필요없는 접속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 클램프는 개방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개방 수용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 및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수용부는 중앙부의 폭보다 양 측면부의 폭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 수용부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는 상기 개방 수용부에 대응하여 전면과 후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의 전면과 후면의 길이방향 경사각의 기울기는 상기 개방 수용부의 중앙부와 측면부 사이의 경사각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는 상기 개방 수용부에 대응하여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의 상부과 하부의 두께 방향 경사각의 기울기는 상기 개방 수용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경사각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는 상면에 핸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 클램프에 의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본체에 밀착되는 압착부재에 의해 전선이 결합되므로 별도로 압축기 등의 공구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전선 접속 작업이 용이하고 단순하다. 작업 시간이 감소하고 고정자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전선이 이탈하는 방향으로 마찰력이 커지도록 작용하므로 외력에 의해 전선이 이탈되지 않는다.
핸들을 이용하여 전선을 탈거할 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스테인레스 강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내구연한이 증대하고 반영구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선 접속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선 접속 슬리브에 전선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선 접속 클램프에 전선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우측 단면도(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 클램프의 우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 클램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 클램프는 개방 수용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개방 수용부(11)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 및 상기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수용부(11)는 중앙부(12)의 폭보다 양 측면부(13)의 폭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 클램프에 전선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우측 단면도(A-A 단면도)이다.
본체(10)는 상자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10)에는 상면에 개방 수용부(11)가 형성된다 (본 설명에서 본체 및 압착부재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므로, 도면상 정면을 향하고 있는 부분을 전면으로 하고, 6개의 각 면을 전면, 후면, 좌면, 우면, 상면, 하면으로 칭하기로 한다). 개방 수용부(11)는 본체(10)의 좌우로 가르지르도록 형성된다. 즉, 개방 수용부(11)는 본체(10)의 좌,우측면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된다. 개방 수용부(11)는 적절한 폭(전후 방향의 거리)과 깊이를 갖는다. 여기서, 깊이는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된다.
개방 수용부(11)는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개방 수용부(11)는 중앙부(12)와 측면부(13)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일례로, 중앙부(12)의 폭이 측면부(13)의 폭보다 넓게(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개방 수용부(11)는 중앙부(12)로부터 측면부(13)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개방 수용부(11)는 길이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대칭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압착부재(20) 및 제2 압착부재(30)가 개방 수용부(11) 안에 삽입되어 측면부(13)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때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개방 수용부(11)의 벽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개방 수용부(11)는 (세로 단면 상에서) 상부(14)와 하부(15)의 폭도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일례로, 상부(14)의 폭이 하부(15)의 폭보다 넓게(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개방 수용부(11)는 상부(14)로부터 하부(15)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측면도에서 명확히 드러난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중앙부(12) 측으로 삽입되고 측면부(13) 측으로 이동하여 배치된 경우,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압착부재가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 다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본체(110)의 개방 수용부(111)는 측면도 상에서 경사면으로 형성되지 않고, 단차면으로 형성된다. 즉, 상부(114)는 하부(115)보다 내측으로 돌출하여 좁은 폭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압착부재(120)와 제2 압착부재(130)는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다시 제1 실시예를 계속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 단일부품일 수 있다. 이 경우 개방 수용부(11)에 삽입 배치되는 방향만 반대 방향으로 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착부재(20)에 대한 설명은 대등하게 제2 압착부재(30)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대략적으로 상자(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개방 수용부(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개방 수용부(11)의 중앙부(12)에 삽입되어 측면부(13)로 이동 배치된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일측부(제1 압착부재의 좌측부 21, 제2 압착부재의 우측부 31)의 폭이 타측부(제1 압착부재의 우측부 22, 제2 압착부재의 좌측부 32)의 폭(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전,후면(23,24)이 길이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경사면은 개방 수용부(11)의 좌우 방향 경사면과 같은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개방 수용부(11)의 중앙부(12)로 삽입되어 측면부(13)로 이동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개방 수용부(11)의 벽면에 밀착된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개방 수용부(11)의 벽면에 최대한 밀착되는 경우,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의 측면부는 개방 수용부(11)의 측면부(13)와 동일한 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제1,제2 압착부재(20,30)의 전,후면(23,24;33,34)에는 전선(60,65)을 삽입할 수 있는 전선홈(25,26)이 형성된다. 전선홈(25,26)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전선홈(25,26)에는 전선(60,65)의 일부가 삽입된다. 이때, 전선(60,65)은 본선이나 분기선 또는 접지선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선(60,65)의 재질도 알루미늄, 동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의 하면에도 전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선(60,65)은 전선홈과 개방 수용부(11)의 바닥면 사이에 끼이는 형태로 삽입된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의 전,후면(23,24)은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의 전,후면(23,24)은 상부(37)가 하부(39)보다 좁게(작게) 형성된다. 도 7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개방 수용부(11)의 상부(14)와 하부(15)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가 개방 수용부(11)의 중앙부(12)로부터 측면부(13)이로 이동하는 경우, 개방 수용부(11)의 벽면과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밀착하게 되고, 전선(60,65)은 간극 사이에 끼인 채로 밀착 고정된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에는 상면에 핸들(28,38)이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핸들(28,38)을 이용하여 개방 수용부(11) 내에서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를 슬라이딩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에는 탄성부재(40)를 설치할 수 있는 탄성부재홈(29)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홈(29)은 중앙부(12)에 가까운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재홈(29)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탄성부재(40)의 설치에 적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의 탄성부재홈(29)에는 각각 탄성부재(40)의 단부가 삽입되어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탄성부재(40)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토션스프링 등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각종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0)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게 된다. 즉,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가 본체(10)의 개방 수용부(1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게 된다.
탄성부재(40)의 작용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지지부재(50)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원형바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탄성부재(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탄성부재(40)와 함께 탄성부재홈(29)에 삽입 설치된다. 지지부재(50)는 탄성부재(40)를 지지한다. 지지부재(50)의 길이는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가 최대한 멀어졌을 때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탄성부재홈(2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 클램프에 전선이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선 접속 클램프에 전선을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핸들(28,38)을 중앙부(12) 방향으로 당겨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의 전,후면과 개방 수용부(11)의 벽면 사이에 생기는 간극(틈)으로 전선(60,65)을 집어넣어 전선(60,65)을 전선홈(25,26;35,36)에 끼운다. 핸들(28,38)을 잡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측면부(13)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선(60,65)을 압착하게 된다. 전선(60,65)은 개방 수용부(11)의 벽면과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의 전,후면(23,24)사이에서 밀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전선(60,65)은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의 전선홈(25,26;35,36)에 모두 끼워지거나 어느 하나의 압착부재(20,30)의 전선홈에만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 제1 전선(60)과 제2 전선(65)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는 경우,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각 전선(60,65)은 마찰에 의해 제1 압착부재(20) 또는 제2 압착부재(30)를 외측(좌우 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개방 수용부(11)의 벽면에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가 밀착하여 전선(60,65)을 압박하므로 전선(60,65)은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에서 제1 전선(60)과 제2 전선(60)이 모아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는 경우, 탄성부재(40)의 저항력에 의해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지지부재(50)에 의해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최소한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본체(1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더불어, 전선(60,65) 또한 제1 압착부재(20) 및 제2 압착부재(30)와 개방 수용부(11)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적용되는 본체(10)와 제1 압착부재(20)와 제2 압착부재(30)는 각각 알루미늄이나 동 등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재질 외에 스테인리스 강 등 가격이 저렴하고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선이나 동선 등 이질적인 전선들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 클램프에 의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본체에 밀착되는 압착부재에 의해 전선이 결합되므로 별도로 압축기 등의 공구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전선 접속 작업이 용이하고 단순하다. 작업 시간이 감소하고 고정자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전선이 이탈하는 방향으로 마찰력(본체와 압착부재 사이의 압축력)이 커지도록 작용하므로 외력에 의해 전선이 이탈되지 않는다.
핸들을 이용하여 전선을 탈거할 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스테인레스 강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내구연한이 증대하고 반영구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개방 수용부
12 중앙부 13 측면부
14 상부 15 하부
20,30 제1,제2 압착부재 23,24;33,34 전,후면
25,26;35,36 전선홈 28,38 핸들
29 탄성부재홈 30 제2 압착부재
40 탄성부재 50 지지부재
60,65 전선

Claims (8)

  1. 개방 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개방 수용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 및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수용부는 중앙부의 폭보다 양 측면부의 폭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선홈이 형성되어,
    전선이 상기 전선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1 압착부재 또는 제2 압착부재의 사이에 압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 접속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수용부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 접속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는 상기 개방 수용부에 대응하여 전면과 후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 접속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의 전면과 후면의 길이방향 경사각의 기울기는 상기 개방 수용부의 중앙부와 측면부 사이의 경사각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 접속 클램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는 상기 개방 수용부에 대응하여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 접속 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의 상부과 하부의 두께 방향 경사각의 기울기는 상기 개방 수용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경사각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 접속 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재와 제2 압착부재는 상면에 핸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 접속 클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 접속 클램프.




KR1020180057894A 2018-05-21 2018-05-21 전선 접속 클램프 KR102128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94A KR102128264B1 (ko) 2018-05-21 2018-05-21 전선 접속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94A KR102128264B1 (ko) 2018-05-21 2018-05-21 전선 접속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844A KR20190132844A (ko) 2019-11-29
KR102128264B1 true KR102128264B1 (ko) 2020-07-08

Family

ID=6872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894A KR102128264B1 (ko) 2018-05-21 2018-05-21 전선 접속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2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772Y1 (ko) * 2004-06-14 2004-09-22 최봉기 쐐기형 인장클램프
JP2006249909A (ja) * 2005-07-11 2006-09-21 Kyokuto Kogen Concrete Shinko Kk Pcケーブルの自動定着接続具
KR101154102B1 (ko) 2011-11-14 2012-06-11 조영철 하중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772Y1 (ko) * 2004-06-14 2004-09-22 최봉기 쐐기형 인장클램프
JP2006249909A (ja) * 2005-07-11 2006-09-21 Kyokuto Kogen Concrete Shinko Kk Pcケーブルの自動定着接続具
KR101154102B1 (ko) 2011-11-14 2012-06-11 조영철 하중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844A (ko)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JP5789038B1 (ja) 電線接続具
JP6783588B2 (ja) タブコンタクトと高電流導体との間の電気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機構
KR101447208B1 (ko) 매설위치 표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 연결용 커넥터
JP4129026B2 (ja) 自動電気ウェッジコネクタ
US8328588B2 (en) Screwless connection terminal
JP2016021398A (ja) バネ接続部材と小型のアクチュエータとを備える電気的な接続デバイス、および複数の当該バネのコンタクトを備える多極プラグコネクタ
CZ194094A3 (en) Electric connector
KR102359153B1 (ko) 전력선 이탈방지용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1906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JP2020512668A (ja) 小型導体接続端子
JP4291341B2 (ja) 接続装置
KR101891384B1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JP2000082518A (ja) 雌型電気接点部材
KR20050061581A (ko) 편평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DK156346B (da) Forbindelsesanordning for elektrisk leder
KR102128264B1 (ko) 전선 접속 클램프
US6168479B1 (en) Connection device with an elastic cage
KR102647786B1 (ko) 전력선 고정용 클램프장치
KR102107776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KR102510834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접속 기구
KR100867879B1 (ko) 쐐기형 클램프
US3599172A (en) Cable terminal connector, quick-connect
JP6409078B2 (ja) エレクトリック連接端子構造
KR102647485B1 (ko) 안전 분리형 플러그 커넥터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