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003B1 - 쐐기형 인장클램프 - Google Patents

쐐기형 인장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003B1
KR102297003B1 KR1020190096547A KR20190096547A KR102297003B1 KR 102297003 B1 KR102297003 B1 KR 102297003B1 KR 1020190096547 A KR1020190096547 A KR 1020190096547A KR 20190096547 A KR20190096547 A KR 20190096547A KR 102297003 B1 KR102297003 B1 KR 10229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pair
grip
electric wire
wedg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387A (ko
Inventor
박동수
윤정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9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0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쐐기 헤드부와, 쐐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바디부와, 한 쌍의 가이드부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부와, 쐐기 헤드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쐐기 헤드부에서 쐐기 헤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서로 간의 간격이 쐐기 헤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며, 전선을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쐐기형 인장클램프{CLAMP WITH WEDGES}
본 발명은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인장시킨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전선이 밀리거나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장 클램프는 애자로 전선을 지지할 때 전선을 파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품이다. 인장 클램프는 설치가 용이하고 전선을 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전선이 고정되는 부분을 쐐기 구조로 하여 구성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절기와 하절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인장력의 변화 등이나, 차량충돌에 의한 전선 출렁임, 강풍 등 외력의 영향으로 전선에 압축력이 발생하는 경우, 전선이 인장 클램프 상에서 밀리게 되면서 후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746호(고안의 명칭:쐐기형 인장클램프, 등록일:2010.07.30.)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선의 인장시킨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전선이 밀리거나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쐐기 헤드부; 상기 쐐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바디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부; 및 상기 쐐기 헤드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쐐기 헤드부에서 상기 쐐기 헤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서로 간의 간격이 상기 쐐기 헤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며, 상기 전선을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그립부는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전선을 그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그립부는 서로 간의 최단 폭이 상기 전선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그립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그립부 사이에 상기 전선이 배치되는 것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전선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전선안내부는 상기 그립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간의 폭이 넓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쐐기 헤드부에 접촉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에서 상기 결합판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유입되는 측면에 상기 전선안내부가 연장형성되는 그립판; 및 상기 쐐기 헤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판을 상기 쐐기 헤드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그립판은 상기 결합판의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전선을 그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쐐기 헤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서로 간의 간격이 쐐기 헤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선를 그립하는 그립부를 통해 전선의 인장시킨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전선이 밀리거나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그립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전선안내부를 통해 전선이 용이하게 한 쌍의 그립부 사이로 안내되어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를 통해 필요에 따라 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하여 그립부를 쐐기 헤드부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전선이 후방으로 당겨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전선이 전방으로 당겨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전선이 후방으로 당겨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전선이 전방으로 당겨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쐐기 헤드부(100), 바디부(200), 한 쌍의 쐐기부(300), 한 쌍의 그립부(400) 및 한 쌍의 전선안내부(500)를 포함한다.
쐐기 헤드부(100)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21)를 구비한다. 쐐기 헤드부(100)의 내측 양측부에는 홈부 형상을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121)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 후술된 한 쌍의 쐐기부(30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쐐기 헤드부(100)는 쐐기 헤드본체(110)와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를 포함한다. 쐐기 헤드본체(110)는 바디부(200)와 연결되며, 탄성부 장착홈부(111)가 형성된다.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는 쐐기 헤드본체(1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내측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부(121)가 형성된다. 도 1, 도 2와 같이, 한 쌍의 쐐기 헤드가이드부(120)는 쐐기 헤드본체(110)의 양측부에서 각각 상측으로(도 1, 도 2 기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쐐기 헤드부(100)와 연결된다. 바디부(200)는 일단부가 쐐기 헤드부(100)의 쐐기 헤드본체(110)와 일체로 연결된다. 쐐기 헤드부(100)와 바디부(200)는 일체로 제작되며, 강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쐐기부(300)는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10)을 클램핑한다. 일 예로, 한 쌍의 쐐기부(300)는 한 쌍의 가이드부(121)와 도브 테일(dove tail) 구조로 맞물려 결합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서로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면서 전선(10)을 클램핑하거나 전선(10)의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다.
한 쌍의 그립부(400)는 쐐기 헤드부(100)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쐐기 헤드부(100)에서 쐐기 헤드부(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서로 간의 간격이 쐐기 헤드부(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선(10)을 그립한다. 그립부(400)는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탄성복원력으로 전선(10)을 그립한다.
도 1, 도 2와 같이, 한 쌍의 그립부(400)는 쐐기 헤드부(100)의 선단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며, 서로 간의 간격이 쐐기 헤드부(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그립부(400) 사이에 전선(10)이 배치되면서 탄성변형되고, 한 쌍의 그립부(400) 사이에 전선(10)이 배치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전선(10)을 가압한다.
한 쌍의 그립부(400)는 서로 간의 최단 폭이 전선(10)의 폭보다 작다. 이로 인해, 한 쌍의 그립부(400) 사이에 전선(10)이 배치되면, 한 쌍의 그립부(400)은 전선(10)을 보다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다.
한 쌍의 그립부(400)는 전선(10)이 한 쌍의 그립부(400)의 후방으로 당겨지는 경우 서로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작아질 수 있으며, 한 쌍의 그립부(400)는 전선(10)이 한 쌍의 그립부(400)의 전방으로 당겨지는 경우 탄성변형되면서 서로 간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도 7과 같이, 전선(10)이 한 쌍의 그립부(400)의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는 경우, 즉 동절기와 하절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인장력의 변화나 동절기와 하절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인장력의 변화 등이나, 차량충돌에 의한 전선 출렁임, 강풍 등 외력의 영향으로 전선(10)에 압축력이 발생하는 경우, 한 쌍의 쐐기부(300)가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서로 간의 거리가 벌어져 전선(10)이 후방으로 밀리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그립부(400)가 전선(10)을 그립하여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함으로써, 전선(10)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전선(10)에 압축력이 발생되면 전선(10)이 밀리면서 한 쌍의 쐐기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전선(10)의 기준점(P)은 변동되지 않는다. 여기서 기준점(P)은 전선(10)이 한 쌍의 그립부(400)에 의해 최초로 그립된 부분을 기준으로 설정한 지점을 의미한다.
반대로, 도 8과 같이, 한 쌍의 그립부(400)는 전선(10)이 한 쌍의 그립부(400)의 전방으로 당겨지는 경우, 전선(10)에 인장력이 발생하는 경우, 한 쌍의 쐐기부(300)가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서로 간의 거리가 좁아져 전선(10)을 클램핑하게 하여 전선(10)이 전방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전선(10)의 기준점(P)은 변동되지 않는다. 이때, 한 쌍의 그립부(400)는 서로 간의 간격이 벌어져 전선(10)이 한 쌍의 그립부(400)의 전방으로 당겨질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선(10)이 후방으로 당겨져 전선(10)에 압축력이 발생되더라도 한 쌍의 그립부(400)가 전선(10)에 밀착되어 그립하므로, 전선(10)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고, 전선(10)이 전방으로 당겨져 전선(10)에 인장력이 발생되더라도 한 쌍의 쐐기부(300)가 전선(10)에 밀착되어 클램핑하므로, 전선(10)이 전방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전선(10)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전방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전선(10)은 최초로 그립된 상태 즉, 최초로 인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한 쌍의 그립부(400)에서 일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한 쌍의 그립부(400) 사이에 전선(10)이 배치되는 것을 안내한다. 한 쌍의 전선안내부(500)는 그립부(400)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간의 폭이 넓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도 6와 같이, 한 쌍의 전선안내부(500)는 상단 폭(도 6 기준)이 하단폭(도 6 기준)보다 넓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전선(10)이 상하방향으로(도 6 기준) 한 쌍의 그립부(400) 사이에 배치될 때, 전선(10)이 한 쌍의 전선안내부(500)를 통해 용이하게 한 쌍의 그립부(400) 사이로 안내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립부(400)는 결합판(410), 그립판(420) 및 결합부(430)를 포함한다. 결합판(410)은 쐐기 헤드부(100)에 접촉된다. 결합판(410)은 쐐기 헤드부(100)의 선단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쐐기 헤드부(100)의 선단에 접촉된다.
그립판(420)은 결합판(410)에서 결합판(410)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고, 전선(10)이 유입되는 측면에 전선안내부(500)가 연장형성된다.
결합부(430)는 쐐기 헤드부(100)와 결합되어 결합판(410)을 쐐기 헤드부(100)에 결합시킨다. 일 예로, 결합부(430)는 볼트로 쐐기 헤드부(100)와 나사결합되어 결합판(410)을 쐐기 헤드부(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이와 같이, 결합부(430)를 통해 결합판(410)이 쐐기 헤드부(100)에 결합되므로, 필요에 따라 결합부(430)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통해 그립부(400)를 쐐기 헤드부(100)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이웃한 그립판(420)은 결합판(410)의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전선(10)을 그립한다. 이로써, 압축력이 발생되면 전선(10)이 밀리면서 한 쌍의 쐐기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지지판(600), 탄성부(700) 및 지지대(800)를 더 포함한다(도 3, 도 4 참조). 지지판(600)은 한 쌍의 쐐기부(300)와 결합되며,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지지판(600)은 지지판본체(610), 걸림턱(620), 이탈방지부(630)를 포함한다. 지지판본체(610)은 양측부에 한 쌍의 쐐기부(300)가 각각 결합되며, 한 쌍의 가이드부(121)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걸림턱(620)은 지지판본체(610)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며, 지지판본체(610)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탄성부(700)를 가압하여 탄성부(700)를 압축한다. 이탈방지부(630)는 후술된 탄성부(7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부(700)는 압축스프링으로 쐐기 헤드부(100)에 장착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지지판(6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탄성부(700)는 쐐기 헤드부(100)의 탄성부 장착홈부(111)에 장착된다. 탄성부(700)가 탄성부 장착홈부(111)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압축된다. 즉, 탄성부(700)에 압축력이 발생된다. 이때, 한 쌍의 쐐기부(300)는 서로 이격되어 벌어지게 되고, 한 쌍의 쐐기부(300)의 사이에 전선(10)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탄성부(700)의 압축된 상태가 해제하면, 탄성부(700)가 탄성복원력으로, 탄성부 장착홈부(111)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탄성부(700)에 팽창력이 발생된다. 이때, 한 쌍의 쐐기부(300)는 서로 근접해지면서 오므라들게 되고, 한 쌍의 쐐기부(300)의 사이에 전선(10)을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지지대(800)는 탄성부(700)의 내측에 배치되며, 탄성부 장착홈부(111) 상에서 탄성부(700)가 압축되거나 팽창될 때 탄성부(700)를 지지한다.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손잡이고리부(900)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고리부(900)는 한 쌍의 쐐기부(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쐐기부(300)를 보다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쐐기 헤드부(100)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서로 간의 간격이 쐐기 헤드부(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지는 한 쌍의 그립부(400)를 통해 전선(10)이 후방으로 당겨져 압축력이 발생되는 경우 전선(10)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1)는 전선(10)이 전방으로 당겨져 인장력이 발생되는 경우 전선(10)이 전방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쐐기형 인장클램프 10 : 전선
100 : 쐐기 헤드부 110 : 쐐기 헤드본체
111 : 탄성부 장착홈부 120 : 쐐기 헤드가이드부
121 : 가이드부 200 : 바디부
300 : 쐐기부 400 : 그립부
410 : 결합판 420 : 그립판
430 : 결합부 500 : 전선안내부
600 : 지지판 610 : 지지판본체
620 : 걸림턱 630 : 이탈방지부
700 : 탄성부 800 : 지지대
900 : 손잡이고리부

Claims (6)

  1.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쐐기 헤드부;
    상기 쐐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바디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 상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쐐기부; 및
    상기 쐐기 헤드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쐐기 헤드부에서 상기 쐐기 헤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서로 간의 간격이 상기 쐐기 헤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며, 상기 전선을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그립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그립부 사이에 상기 전선이 배치되는 것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전선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그립부는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전선을 그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3. 제 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그립부는 서로 간의 최단 폭이 상기 전선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전선안내부는 상기 그립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간의 폭이 넓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쐐기 헤드부에 접촉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에서 상기 결합판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유입되는 측면에 상기 전선안내부가 연장형성되는 그립판; 및
    상기 쐐기 헤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판을 상기 쐐기 헤드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그립판은 상기 결합판의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전선을 그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20190096547A 2019-08-08 2019-08-08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229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547A KR102297003B1 (ko) 2019-08-08 2019-08-08 쐐기형 인장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547A KR102297003B1 (ko) 2019-08-08 2019-08-08 쐐기형 인장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387A KR20210017387A (ko) 2021-02-17
KR102297003B1 true KR102297003B1 (ko) 2021-09-03

Family

ID=7473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547A KR102297003B1 (ko) 2019-08-08 2019-08-08 쐐기형 인장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206B1 (ko) 2022-01-28 2022-05-09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스크류형 인장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2419B (zh) * 2021-12-07 2024-04-26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广州局 导线挂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772Y1 (ko) * 2004-06-14 2004-09-22 최봉기 쐐기형 인장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068B1 (ko) * 2009-11-02 2011-12-23 합자회사 화성전력 전선 고정용 클램프 보호커버에 설치되는 패킹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772Y1 (ko) * 2004-06-14 2004-09-22 최봉기 쐐기형 인장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206B1 (ko) 2022-01-28 2022-05-09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스크류형 인장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387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003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US9799968B2 (en) Wire terminal connector
JP6284969B2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及びそのブラケット
CN104235125B (zh) 卡子
US10574038B2 (en) Wire gripper
KR101666993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CN210430804U (zh) 一种电缆固定夹具结构
KR101655049B1 (ko)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200362772Y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1891384B1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200308088Y1 (ko) 차단기의 딘-레일 결합장치
KR20100003968U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US6243928B1 (en) Cable and pipe clip
KR101484046B1 (ko) 전선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JP2006271020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装着治具
US20200003961A1 (en) Pin removal device for a fiber optic connector, and a combination of pin removal device and fiber optic
JP2020045008A (ja) 自転車用のワイヤー錠取付システム
KR100791127B1 (ko) 전력선 연결장치
JP2019142576A (ja) 結束装置
KR20220167557A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2211954B1 (ko) 해제 가능한 밴드조립체
US9334924B2 (en) Cable positioning apparatus
KR20210085612A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KR200417027Y1 (ko) 전력선 연결장치
CN204640013U (zh) 一种夹持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