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20U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20U
KR20180003120U KR2020170002037U KR20170002037U KR20180003120U KR 20180003120 U KR20180003120 U KR 20180003120U KR 2020170002037 U KR2020170002037 U KR 2020170002037U KR 20170002037 U KR20170002037 U KR 20170002037U KR 20180003120 U KR20180003120 U KR 201800031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guide bar
handle
fixing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우현
Original Assignee
남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우현 filed Critical 남우현
Priority to KR2020170002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120U/ko
Publication of KR20180003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2Clamp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8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at least one jaw sliding along a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B25B5/166Slideways; Guiding and/or blocking means for jaw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대상물을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고정하고, 고정대상물을 강력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하며, 오므림 기능뿐만 아니라 벌림 기능을 부여하여 오므림과 벌림 기능을 겸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11)을 구비하는 가이드바(10); 가이드바(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턱(21)을 구비하는 고정부재(20); 고정부재(20)에 설치되어 고정공(11)으로 해지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31)을 구비하는 해지버튼(30); 가이드바(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손잡이(41)와 가동턱(42)을 구비하는 이동부재(40); 이동부재(40)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시 이동부재(40)를 일정 거리만큼 한 단계씩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는 다수의 가동편(50)을 작동시키는 가동손잡이(60); 이동부재(40)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시 이동부재(40)를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S2)(S3)의 탄력을 받는 해지편(70)을 작동시키는 해지손잡이(80); 이동부재(40)에 설치되어 고정대상물(1)의 클램핑시 가동턱(42)의 가압력을 증대시키도록 해지손잡이(80)와 접촉되는 가압캠(90)을 작동시키는 가압레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클램프{CLAMP}
본 고안은 접착을 위해 2개의 목재나 판재 등의 고정대상물을 붙이거나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정대상물을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고정대상물을 한층 더 강력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오므림 기능뿐만 아니라 벌림 기능을 부여하여 오므림과 벌림 기능을 겸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접착을 위해 2개의 목재나 판재 등의 고정대상물을 붙이거나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공구로, 씨("C")자나 디긋("ㄷ")자와 같은 형태에서 양단에 구성된 고정턱과 가동턱 사이에 고정할 고정대상물을 위치시킨 후, 가동턱을 고정턱으로 이동하여서 고정대상물을 강하게 죄어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동턱의 좌우이동은 주로 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며, 클램프는 씨("C")형태가 기본이나, 일측 및 타측으로 손잡이 연장 및 다른 구성들이 추가되기도 한다.
이러한 클램프의 기본형을 살펴보면, 씨("C")형태의 몸체에서 일단에 형성된 고정턱, 타단에 구성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한 나사봉, 나사봉에 구성된 가동턱, 나사봉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에 체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이 레버를 돌려서 가동턱을 좌우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클램프는 고정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레버를 돌려 간격을 조절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시 진동 등에 의해 가동턱의 조임력이 떨어져 고정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081945호에는 상단에 받침부가 절곡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안내간을 형성시킨 클램프 몸체와, 일측에 형성한 지지부가 안내간에 승강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는 고정구멍을 중심으로 래치트를 형성시킨 작동간과, 래치트 양측에 위치하도록 고정구멍에 축으로 고정되며, 그 상단에는 승강캠을, 하단에는 수납실을 구비한 손잡이부를 형성시킨 작동레버와, 양측면의 장공이 축에 고정되어 승강캠의 회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하는 받침구와, 래치트와 치합하도록 힌지로 고정된 제동자의 하단과 이 제동자에 외측인장력을 부여하는 핀 스프링의 하단이 삽입고정된 누름버튼을 수납실 전방에 돌출되게 설치한 해지레버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에 의하면, 고정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자유로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고정시키기 위한 조작이 극히 간편하여 작업을 신속히 진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의 경우에는 작동간의 지지부가 몸체의 안내간에 단순히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클램핑시 지지부와 안내간 사이에는 클램핑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에 의해 클램핑시 몸체의 안내간과 작동간의 지지부 사이에서 유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강한 조임력을 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는 고정대상물을 조여서 고정하는 오므림 기능만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2개의 고정대상물을 양측으로 벌리는 작업은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오므림과 벌림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실용신안등록 제20-0081945호(등록일자 : 1994.08.16)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접착을 위해 2개의 목재나 판재 등의 고정대상물을 붙이거나 고정시킬 때, 고정대상물을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대상물을 한층 더 강력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오므림 기능뿐만 아니라 벌림 기능을 부여하여 오므림과 벌림 기능을 겸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가이드바의 양단에 고정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턱이 구비된 고정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고정부재에 가이드바의 고정공으로 해지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이 구비된 해지버튼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바에 고정손잡이와 가동턱이 구비된 이동부재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이동부재에 누름 동작시 이동부재를 일정 거리만큼 한 단계씩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바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다수의 가동편을 작동시키는 가동손잡이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누름 동작시 이동부재를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바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해지편을 작동시키는 해지손잡이를 설치하며,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대상물의 클램핑시 가동턱의 가압력을 증대시키도록 해지손잡이와 접촉되는 가압캠을 작동시키는 가압레버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가이드바의 양측에는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속핀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부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과 후방에는 핀공과 한 쌍의 축공이 구비된 버튼홈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해지버튼은 버튼홈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전,후면버튼으로 형성하고, 상기 전면버튼에는 한 쌍의 축공으로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축을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형성하며, 상기 고정핀은 후면버튼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핀공을 통해 가이드바의 고정공으로 끼워지고, 상기 전면버튼의 연결축은 후면버튼에 나사체결로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전방이 개방된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에는 수용홈을 덮는 커버를 다수의 나사체결로 부착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가동편은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작동홀을 구비하여 타측 하부가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배치하고, 상기 가동손잡이는 상부가 이동부재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가동편의 일측에 배치하며, 상기 가동손잡이의 타측 상부에는 가동편의 일측 하부에 접촉되어 누름 동작시 가동편의 하부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해지편은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작동홀을 구비하여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가 스프링의 탄력을 각각 받도록 배치하고, 상기 해지손잡이의 상부에는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작동홀이 형성되어 해지손잡이의 상부는 해지편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해지손잡이의 누름 작동시 해지편의 하부가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가압캠은 이동부재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캠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지손잡이의 상부 일측에 접촉하고, 상기 가압캠의 중앙부에는 사각홈을 형성하며, 상기 가압레버는 이동부재의 상부 전방과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의 하단 내측에는 가압캠의 사각홈으로 끼워지는 사각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사각홈과 사각돌기에는 나사가 끼워지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에는 너트를 체결한 것이다.
본 고안의 클램프에 따르면, 접착을 위해 2개의 목재나 판재 등의 고정대상물을 붙이거나 고정시킬 때, 해지손잡이와 가동손잡이를 이용하여 고정대상물을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턱의 가압력을 증대시키는 가압캠과 가압레버가 설치되기 때문에, 고정대상물을 한층 더 강력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바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턱이 구비된 고정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오므림 기능뿐만 아니라 벌림 기능을 부여하여 오므림과 벌림 기능을 겸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클램프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클램프에 고정대상물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와 해지버튼의 분해사시도.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해지버튼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동편과 가동손잡이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해지편과 해지손잡이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압캠과 가압레버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가압캠과 가압레버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벌림 기능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클램프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11)을 구비하는 가이드바(10); 상기 가이드바(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턱(21)을 구비하는 고정부재(20); 상기 고정부재(20)에 설치되어 고정공(11)으로 해지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31)을 구비하는 해지버튼(30); 상기 가이드바(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손잡이(41)와 가동턱(42)을 구비하는 이동부재(40); 상기 이동부재(40)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시 이동부재(40)를 일정 거리만큼 한 단계씩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는 다수의 가동편(50)을 작동시키는 가동손잡이(60); 상기 이동부재(40)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시 이동부재(40)를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S2)(S3)의 탄력을 받는 해지편(70)을 작동시키는 해지손잡이(80); 상기 이동부재(40)에 설치되어 고정대상물(1)의 클램핑시 가동턱(42)의 가압력을 증대시키도록 해지손잡이(80)와 접촉되는 가압캠(90)을 작동시키는 가압레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이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클램프는 도 2에서와 같이 접착을 위해 2개의 목재나 판재 등의 고정대상물(1)을 붙이거나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클램프는 가이드바(10), 고정부재(20), 해지버튼(30), 이동부재(40), 가동편(50), 가동손잡이(60), 해지편(70), 해지손잡이(80), 가압캠(90) 및 가압레버(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바(10)는 고정부재(20)와 이동부재(4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바(10)의 양단에는 고정부재(20)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10)는 고정대상물(1)의 클램핑시 변형되지 않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바(10)의 일측에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부재(20)를 결합하면 오므림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한편 가이드바(10)의 타측에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부재(20)를 반대로 결합하면 벌림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바(10)의 양측에는 이동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속핀(1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10)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부(13)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속핀(12)은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이동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가이드바(1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끼워지는 고정부재(20)의 위치를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돌출부(13)는 가이드바(1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가이드바(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부재(20)의 상부에는 고정대상물(1)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턱(2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0)의 상부에는 경사부(20a)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0a)의 상부에 고정턱(21)이 수직으로 구비된다.
상기 해지버튼(30)은 고정부재(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해지버튼(30)에는 가이드바(10)의 고정공(11)에 해지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31)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3과 도 4a,4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에는 가이드바(10)에 끼워지는 결합홀(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전방과 후방에는 핀공(23a)과 한 쌍의 축공(23b)이 형성된 버튼홈(2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해지버튼(30)은 버튼홈(23)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전,후면버튼(32)(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버튼(32)에는 한 쌍의 축공(23b)으로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축(32a)이 스프링(S4)의 탄력을 받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31)은 후면버튼(33)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핀공(23a)을 통해 가이드바(10)의 고정공(11)으로 끼워지고, 상기 전면버튼(32)의 연결축(32a)은 후면버튼(33)에 나사(34)체결로 고정된다.
상기 전면버튼(32)을 도 4b에서와 같이 누르면 스프링(S4)을 압축하면서 후면버튼(33)과 고정핀(31)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결합홀(22)을 가이드바(10)에 끼우면 고정부재(20)는 단속핀(12)에 걸릴 때 끼워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누르고 있던 전면버튼(32)을 놓으면 스프링(S4)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31)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도 4a에서와 같이 가이드바(10)의 고정공(11)에 끼워지기 때문에, 고정부재(20)는 가이드바(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바(10)에 고정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버튼(32)을 다시 도 4b에서와 같이 누르면 고정핀(31)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고정공(11)에서 빠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바(10)에서 고정부재(20)를 빼내면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20)를 가이드바(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간단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도 1,2에서와 같이 고정부재(20)를 가이드바(10)의 일측에 결합하면 클램프를 오므림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클램프를 벌리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측에 결합된 고정부재(20)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 10에서와 같이 분리된 고정부재(20)를 가이드바(10)의 타측에 반대로 결합하면 클램프를 벌림 기능으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0)는 가이드바(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동부재(40)의 하부에는 고정손잡이(41)가 구비되고, 이동부재(40)의 상부에는 고정대상물(1)의 타측을 지지하는 가동턱(4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40)의 상부에는 경사부(40a)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40a)의 상부에 가동턱(42)이 수직으로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재(40)에는 전방이 개방된 수용홈(43)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40)의 전면에는 수용홈(43)을 덮는 커버(44)가 다수의 나사(44a)체결로 부착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43)은 가동편(50) 등의 부품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커버(44)는 수용홈(43)에 수용된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용홈(43)에는 가동편(50), 스프링(S1)(S2)(S3), 해지편(70), 가압캠(90)이 수용되고, 또한 상기 수용홈(43)에는 가동손잡이(60)와 해지손잡이(80)의 상부가 수용되며, 그리고 상기 수용홈(43)에는 캠홈(4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43)의 적소에는 스프링(S1)(S2)(S3)을 각각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용홈(43)의 양측에는 가이드바(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편(50)은 다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가동편(50)은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도록 이동부재(40)의 수용홈(43)에 내장된다. 이때, 상기 가동편(5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손잡이(60)는 이동부재(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동손잡이(60)는 누름 동작시 이동부재(40)를 일정 거리만큼 한 단계씩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는 다수의 가동편(50)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가동손잡이(60)는 고정손잡이(4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동손잡이(60)와 고정손잡이(41)를 손으로 잡고 손을 쥐면 가동손잡이(60)는 고정손잡이(41)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손을 펴면 가동손잡이(60)는 스프링(S1)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동편(50)은 가이드바(10)에 끼워지는 작동홀(51)을 구비하여 타측 하부가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손잡이(60)는 상부가 이동부재(40)에 축(61)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가동편(5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손잡이(60)의 타측 상부에는 가동편(50)의 일측 하부에 접촉되어 누름 동작시 가동편(50)의 하부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부(62)가 형성된다.
여기서, 평상시 상기 다수의 가동편(50)은 도 5에서와 같이 스프링(S1)의 탄력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가동편(50)의 작동홀(51)과 가이드바(10)의 상,하부는 서로 이격되어 로킹이 해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가동손잡이(60)의 하부는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손잡이(41)와 가동손잡이(60)를 손으로 잡고 손을 쥐면 가동손잡이(60)는 도 6에서와 같이 고정손잡이(41)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동손잡이(60)의 가동부(62)는 가동편(50)의 하부를 도 6에서와 같이 타측으로 밀면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가동편(50)은 하부가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가동편(50)의 작동홀(51)과 가이드바(10)의 상,하부는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맞물리면서 로킹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동부재(40)는 스프링(S1)을 압축시키면서 스프링(S1)이 압축되는 거리만큼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이동부재(40)가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쥐고 있던 손을 펴면 가동편(50)과 가동손잡이(60)는 스프링(S1)의 복원력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손잡이(41)와 가동손잡이(60)를 손으로 잡고 쥐었다 폈다를 반복하게 되면 이동부재(40)를 일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한 단계씩 간헐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해지편(70)은 1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해지편(70)은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S2)(S3)의 탄력을 받도록 이동부재(40)의 수용홈(43)에 내장된다. 이때, 상기 해지편(7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해지손잡이(80)는 이동부재(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해지손잡이(80)는 누름 동작시 이동부재(40)를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S2)(S3)의 탄력을 받는 해지편(70)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해지손잡이(80)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가동손잡이(6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해지손잡이(80)와 고정손잡이(41)를 손으로 잡고 손을 쥐면 해지손잡이(80)는 고정손잡이(41)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손을 펴면 해지손잡이(80)는 스프링(S2)(S3)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해지편(70)은 가이드바(10)에 끼워지는 작동홀(71)을 구비하여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가 스프링(S2)(S3)의 탄력을 각각 받도록 배치되고, 상기 해지손잡이(80)의 상부에는 가이드바(10)에 끼워지는 작동홀(81)이 형성되어 해지손잡이(80)의 상부는 해지편(70)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지손잡이(80)의 누름 작동시 해지편(70)의 하부가 타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평상시 상기 해지편(70)은 도 5에서와 같이 스프링(S3)의 탄력에 의해 하부가 일측으로 이동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해지편(70)의 작동홀(71)과 가이드바(10)의 상,하부는 서로 맞물리면서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또한 이에 의해 해지손잡이(80)의 작동홀(81)과 가이드바(10)의 상,하부는 서로 맞물리면서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해지손잡이(80)의 하부는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은 상태에서는 해지편(70)의 작동홀(71)과 가이드바(10)의 상,하부는 서로 맞물리면서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해지손잡이(80)의 작동홀(81)과 가이드바(10)의 상,하부는 서로 맞물리면서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동부재(40)는 좌우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손잡이(41)와 해지손잡이(80)를 손으로 잡고 손을 쥐면 해지손잡이(80)는 도 7에서와 같이 고정손잡이(41)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해지손잡이(80)는 해지편(70)의 하부를 도 7에서와 같이 타측으로 밀면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해지편(70)은 하부가 스프링(S3)을 압축시키면서 타측으로 이동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해지편(70)의 작동홀(71)과 가이드바(10)의 상,하부는 도 7에서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로킹이 해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이에 의해 해지손잡이(80)의 작동홀(81)과 가이드바(10)의 상,하부는 서로 이격되어 로킹이 해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 상태에서는 이동부재(40)를 자유롭게 좌우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쥐고 있던 손을 펴면 해지편(70)과 해지손잡이(80)는 스프링(S3)의 복원력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손잡이(41)와 해지손잡이(80)를 손으로 잡고 쥐면 이동부재(40)를 자유롭게 좌우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가동손잡이(60)의 누름 동작시 일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40)에 의해 스프링(S2)은 해지편(70)의 상부를 일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의해 해지편(70)은 일시적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 6에서와 같은 작동시 해지편(70)과 해지손잡이(80)의 로킹은 일시적으로 해지되고, 이에 의해 이동부재(40)는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압캠(90)은 이동부재(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압캠(90)은 해지손잡이(80)의 상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스프링(S2)의 탄력을 받도록 이동부재(40)의 수용홈(43)에 내장된다.
상기 가압레버(100)는 이동부재(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압레버(100)는 고정대상물(1)의 클램핑시 가동턱(42)의 가압력을 증대시키도록 해지손잡이(80)와 접촉되는 가압캠(90)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압캠(90)은 이동부재(40)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캠홈(4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지손잡이(80)의 상부 일측에 접촉되고, 상기 가압캠(90)의 중앙부에는 사각홈(91)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레버(100)는 이동부재(40)의 상부 전방과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회전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110)의 하단 내측에는 가압캠(90)의 사각홈(91)으로 끼워지는 사각돌기(120)가 형성되며, 상기 사각홈(91)과 사각돌기(120)에는 나사(130)가 끼워지는 나사공(91a)(12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91a)121)으로 끼워진 나사(130)에는 너트(131)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가압캠(90)과 캠홈(45)에는 역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90a)(45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평상시 상기 가압캠(90)은 도 5에서와 같이 반경이 작은 부분이 해지손잡이(80)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가동턱(42)의 가압은 해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캠(90)을 작동시키는 가압레버(100)는 도 1과 도 5에서와 같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가압레버(100)를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110)와 사각돌기(12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사각돌기(120)와 결합된 사각홈(91)에 의해 가압캠(90)은 도 8에서와 같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가압캠(90)의 반경이 큰 부분이 회전하면서 도 8에서와 같이 해지손잡이(80)의 상부를 타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해지손잡이(80)와 해지편(70)은 가이드바(10)와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 상태에서는 이동부재(40)가 스프링(S2)(S3)를 압착시키면서 스프링(S2)(S3)이 압축되는 거리만큼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가동턱(42)도 동시에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대상물(1)의 클램핑시 가동턱(42)의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가압레버(1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S2)(S3)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캠(90)과 해지손잡이(80) 및 해지편(70)은 도 5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레버(100)를 도 8에서와 같이 회전시키면 가압캠(90)에 의해 가동턱(42)이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고정대상물(1)의 클램핑시 가동턱(42)의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2는 고정턱(21)과 가동턱(42)의 오므림 기능을 나타낸 것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가이드바(10)의 일측에 고정부재(20)를 끼워서 결합한 후, 이 상태에서 고정턱(21)에 고정대상물(1)의 일측을 밀착시키고, 고정손잡이(41)와 해지손잡이(80)를 손으로 잡고 쥐면 도 7에서와 같이 해지편(70)의 로킹이 해지되기 때문에, 이동부재(40)를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대상물(1)측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재(40)를 고정대상물(1)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2에서와 같이 가동턱(42)을 고정대상물(1)의 타측에 신속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대상물(1)은 고정부재(20)의 고정턱(21)과 이동부재(40)의 가동턱(42) 사이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고정턱(21)과 가동턱(42)에 고정대상물(1)의 양측을 밀착시킨 후, 고정손잡이(41)와 가동손잡이(60)를 손으로 잡고 쥐면 도 7에서와 같이 이동부재(40)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동턱(42)이 고정대상물(1)측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대상물(1)을 1차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고정대상물(1)은 고정턱(21)과 가동턱(4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가동손잡이(60)를 작동시켜 고정대상물(1)을 1차적으로 고정한 후, 가압레버(100)를 도 2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에서와 같이 가압캠(90)에 의해 가동턱(42)은 고정대상물(1)측으로 더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가동턱(42)은 고정대상물(1)을 2차적으로 한번 더 가압하여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고정대상물(1)의 클램핑시 가동턱(42)의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대상물(1)은 고정턱(21)과 가동턱(42)에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대상물(1)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가압레버(1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캠(90)은 도 5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가동턱(42)의 가압력을 해지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손잡이(41)와 해지손잡이(80)를 손으로 잡고 쥐면 도 7에서와 같이 해지편(70)의 로킹이 해지되기 때문에, 이때 이동부재(40)를 고정대상물(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대상물(1)을 간단하게 빼낼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와 같이 가이드바(10)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부재(20)를 가이드바(10)에서 분리한 후, 분리된 고정부재(20)를 도 10에서와 같이 가이드바(10)의 타측에 반대로 고정하면, 고정턱(21)과 가동턱(42)을 상기와 같은 오므림 기능에서 반대로 벌림 기능으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접착을 위해 2개의 목재나 판재 등의 고정대상물(1)을 붙이거나 고정시킬 때, 해지손잡이(80)와 가동손잡이(60)를 이용하여 고정대상물(1)을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가동턱(42)의 가압력을 증대시키는 가압캠(90)과 가압레버(100)가 설치되기 때문에, 고정대상물(1)을 한층 더 강력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가이드바(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턱(21)이 구비된 고정부재(2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오므림 기능뿐만 아니라 벌림 기능을 부여하여 오므림과 벌림 기능을 겸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고정대상물 10 : 가이드바
11 : 고정공 12 : 단속핀
13 : 돌출부 20 : 고정부재
21 : 고정턱 22 : 결합홀
23 : 버튼홈 23a : 핀공
23b : 축공 30 : 해지버튼
31 : 고정핀 32 : 전면버튼
32a : 연결축 33 : 후면버튼
34 : 나사 40 : 이동부재
41 : 고정손잡이 42 : 가동턱
43 : 수용홈 44 : 커버
45 : 캠홈 50 : 가동편
51 : 작동홀 60 : 가동손잡이
61 : 축 62 : 가동부
70 : 해지편 71 : 작동홀
80 : 해지손잡이 81 : 작동홀
90 : 가압캠 91 : 사각홈
91a : 나사공 100 : 가압레버
110 : 회전부 120 : 사각돌기
121 : 나사공 130 : 나사
131 : 너트

Claims (7)

  1. 양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11)을 구비하는 가이드바(10);
    상기 가이드바(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턱(21)을 구비하는 고정부재(20);
    상기 고정부재(20)에 설치되어 고정공(11)으로 해지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31)을 구비하는 해지버튼(30);
    상기 가이드바(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손잡이(41)와 가동턱(42)을 구비하는 이동부재(40);
    상기 이동부재(40)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시 이동부재(40)를 일정 거리만큼 한 단계씩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는 다수의 가동편(50)을 작동시키는 가동손잡이(60);
    상기 이동부재(40)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시 이동부재(40)를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S2)(S3)의 탄력을 받는 해지편(70)을 작동시키는 해지손잡이(80);
    상기 이동부재(40)에 설치되어 고정대상물(1)의 클램핑시 가동턱(42)의 가압력을 증대시키도록 해지손잡이(80)와 접촉되는 가압캠(90)을 작동시키는 가압레버(100)를 포함하는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0)의 양측에는 이동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속핀(1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10)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부(13)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에는 가이드바(10)에 끼워지는 결합홀(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전방과 후방에는 핀공(23a)과 한 쌍의 축공(23b)이 형성된 버튼홈(2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해지버튼(30)은 버튼홈(23)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전,후면버튼(32)(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버튼(32)에는 한 쌍의 축공(23b)으로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축(32a)이 스프링(S4)의 탄력을 받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31)은 후면버튼(33)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핀공(23a)을 통해 가이드바(10)의 고정공(11)으로 끼워지고, 상기 전면버튼(32)의 연결축(32a)은 후면버튼(33)에 나사(34)체결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40)에는 전방이 개방된 수용홈(43)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40)의 전면에는 수용홈(43)을 덮는 커버(44)가 다수의 나사(44a)체결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50)은 가이드바(10)에 끼워지는 작동홀(51)을 구비하여 타측 하부가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손잡이(60)는 상부가 이동부재(40)에 축(61)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가동편(5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손잡이(60)의 타측 상부에는 가동편(50)의 일측 하부에 접촉되어 누름 동작시 가동편(50)의 하부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부(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지편(70)은 가이드바(10)에 끼워지는 작동홀(71)을 구비하여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가 스프링(S2)(S3)의 탄력을 각각 받도록 배치되고, 상기 해지손잡이(80)의 상부에는 가이드바(10)에 끼워지는 작동홀(81)이 형성되어 해지손잡이(80)의 상부는 해지편(70)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지손잡이(80)의 누름 작동시 해지편(70)의 하부가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캠(90)은 이동부재(40)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캠홈(4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지손잡이(80)의 상부 일측에 접촉되고, 상기 가압캠(90)의 중앙부에는 사각홈(91)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레버(100)는 이동부재(40)의 상부 전방과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회전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110)의 하단 내측에는 가압캠(90)의 사각홈(91)으로 끼워지는 사각돌기(120)가 형성되며, 상기 사각홈(91)과 사각돌기(120)에는 나사(130)가 끼워지는 나사공(91a)(12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130)에는 너트(131)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2020170002037U 2017-04-21 2017-04-21 클램프 KR201800031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37U KR20180003120U (ko) 2017-04-21 2017-04-21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37U KR20180003120U (ko) 2017-04-21 2017-04-21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20U true KR20180003120U (ko) 2018-10-31

Family

ID=6404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037U KR20180003120U (ko) 2017-04-21 2017-04-21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12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962Y1 (ko) * 2019-12-27 2021-01-1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휴대식 오링 접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962Y1 (ko) * 2019-12-27 2021-01-1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휴대식 오링 접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9537C (en) Clamp with removable jaw
AU649008B2 (en) Quick action bar clamp
US6010121A (en) Work piece clamping device of workbench
JPH0768472A (ja) 手工具または改良バークランプ
US7066457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 workpiece
US7784774B2 (en)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EP0582326B1 (en) Saw-blade fixation device
US7040609B1 (en) Clamping fixture
US7984895B2 (en) Clamp with a swiveling jaw
US6648315B1 (en) Clamping device having indirect driving mechanism
US7624974B2 (en) Release mechanism of bar clamp
US8430383B2 (en) Clamp with a support
US8702077B2 (en) Quick clamp
CA2757120C (en) Quick release bench vise system
US20140265084A1 (en) Clamping and spreading tool
KR20180003120U (ko) 클램프
JP6664844B2 (ja) シャワーフック
US11491630B2 (en) 2-in-1 clamp and wrench
US7134951B1 (en) Sheet holder for abrasive sheets
KR102419670B1 (ko) 조작하기 용이한 f 형상의 클램프
JPH0312431Y2 (ko)
GB2273073A (en) Quick action bar clamp
CN217349309U (zh) 一种用于光罩的手持式夹具
US20220402100A1 (en) Bar clamp system
US20090179363A1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clam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