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122Y1 - 허리띠용 버클 - Google Patents

허리띠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122Y1
KR200457122Y1 KR2020100002282U KR20100002282U KR200457122Y1 KR 200457122 Y1 KR200457122 Y1 KR 200457122Y1 KR 2020100002282 U KR2020100002282 U KR 2020100002282U KR 20100002282 U KR20100002282 U KR 20100002282U KR 200457122 Y1 KR200457122 Y1 KR 200457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ever
buckle
main bod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700U (ko
Inventor
유성호
Original Assignee
유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호 filed Critical 유성호
Priority to KR2020100002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12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7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1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허리띠용 버클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허리띠용 버클은: 본체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벨트의 걸림부와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벨트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그립부와, 그립부에 연결되어 그립부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허리띠용 버클에 있어서, 레버는 양측에 접촉돌기가 형성되고, 그립부는 양측에 상기 접촉돌기가 접하는 작동바를 돌출 형성하여, 레버의 회동시 한 쌍의 접촉돌기가 대응되는 작동바를 동시에 가압하여 편심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허리띠용 버클{BUCKLE FOR BELT}
본 고안은 허리띠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의 고정해제를 위한 레버의 작동시 과도한 힘 또는 편심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허리띠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띠는 일측으로부터 등간격으로 일정부분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한 벨트와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은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버클로 이루어져 있으며, 버클에는 벨트의 관통홀에 끼워져 지지해주는 장식을 설치하여 하의를 착용할 때 하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적감각을 돋보이도록 하는데 사용하는 물품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허리띠를 착용할 때의 신체적 상태, 즉 배가 부른 정도의 차이로 인해 허리띠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여야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짐으로 인해 구멍의 간격이 넓은 고리 방식의 허리띠보다 임의로 좁은 간격에서 선택 조정하고자 하는 걸림방식의 허리띠를 사용하는 경향이 많아 졌다.
상기와 같은 경향에 따라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제20-2009-0013852에서 좁은 간격에서 선택 조정하고자 하는 걸림방식의 허리띠용 버클을 출원한 바 있다.
상기 허리띠용 버클은 본체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벨트의 걸림부와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벨트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그립부 및 그립부에 연결되어 그립부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립부의 회전을 위한 레버의 회동시 레버의 젖힘 강도가 크거나, 편심이 발생할 경우 그립부의 회전축에 힌지 연결된 레버가 이탈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그립부의 회전축과 레버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립부의 회전축에 레버를 힌지연결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되고, 레버의 회동에 의해 그립부를 작동시키되, 레버의 과도한 회동이나 편심에 의한 회동에 의해 레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을 방지하는 허리띠용 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은: 본체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벨트의 걸림부와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벨트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부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허리띠용 버클에 있어서, 레버는 양측에 접촉돌기가 형성되고, 그립부는 양측에 접촉돌기가 접하는 작동바를 돌출 형성하여, 레버의 회동시 한 쌍의 접촉돌기가 대응되는 작동바를 동시에 가압하여 편심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바는 접촉돌기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측면에는 레버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은 종래 고안과 달리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그립부의 회전축에 레버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면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며, 제작이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레버와 그립부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는 접촉돌기와 작동바가 형성되어 레버의 회동시 한 쌍의 접촉돌기가 작동바를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편심을 방지하여 레버의 과도한 회동이나, 편심 발생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특히, 작동바의 각 단부에는 접촉돌기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부가 형성되어 작동시 레버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레버 회동작동을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100)은 크게, 본체(110), 그립부(120) 및 레버(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판형상으로 전면에는 각종 장신구가 형성되어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110)의 배면 후측에는 벨트(200)의 일측이 연결되는 벨트연결바(112)가 형성되고, 본체(110)의 배면 전측에는 벨트(200)의 타측이 인입되도록 벨트안내구(114)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10)의 배면 중앙부에는 본체(110)의 배면 전측으로 인입된 벨트(2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그립부(120)가 구비된다.
그립부(120)는 본체(110)에 결합되는 회전축(130)과 회전축(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벨트(200)의 걸림부(202)와 접촉되는 회전부(140) 및 회전부(140) 내에 구비되어 회전부(140)를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배면 상하부에는 각각 절곡되어 절곡부(115)가 형성되고, 절곡부(115)에는 힌지공(116)이 형성되며, 힌지공(116)에 회전축(130)이 결합된다.
힌지공(116)에는 고정홈(116a)이 형성되고, 회전축(130)에는 고정홈(116a)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32)가 형성된다.
즉, 회전축(130)은 고정돌기(132)와 고정홈(116a)에 의해 힌지공(116)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부(140)의 일측에는 걸림부(202)와 결속되도록 요철부(142)가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재(15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130)에 권취되어 일단은 회전부(140)에 지지되고, 타단은 회전축(130)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된다.
레버(160)는 그립부(120)에 연결되어 그립부(120)를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160)는 회전축(130)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10)의 전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선단은 상호 연결되어 전면에서 볼 때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레버(160)는 본체의 전면에 접하여 전측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편(162)이 형성되고, 본체의 전면에는 제한편(162)이 안착되는 안착부(117)가 형성된다.
안착부(117)는 제한편(162)의 두께만큼 함몰되는 단턱으로 이루어져 안착부(117)에 제한편(162)의 안착시 제한편(162)은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레버(160)에는 양측에 접촉돌기(165)가 형성되고, 그립부(120)는 양측에 접촉돌기(165)가 접하는 작동바(145)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160)가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지렛대원리에 의해 한 쌍의 접촉돌기(165)가 대응되는 작동바(145)를 동시에 가압하여 그립부(1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작동바(145)는 접촉돌기(165)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홈부(147)가 형성된다.
접촉돌기(165)는 작동바(145)의 이탈방지홈부(147)에 안착됨으로써, 레버(160)의 과도한 회동 또는 편심이 발생하여도 회전축(130)에서 레버(1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측면에는 레버(16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118)가 형성된다.
즉, 제한편(162)과 제한돌기(118)에 의해 레버(160)는 회동범위가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띠용 버클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10)에 그립부(120)가 결합된다.
그립부(120)는 회전축(130)과 회전부(140)로 이루어지며, 회전부(140)는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50)에 의해 회전축(130)에 지지되어 일측으로 탄성력을 지닌다.
이처럼 결합된 그립부(120)는 본체(110)에 회전축(130)이 삽입됨으로써, 결합된다.
이때, 회전축(130)에는 고정돌기(132)가 형성되고, 힌지공(116)에는 고정홈(116a)이 형성되어 회전축(130)은 고정되고, 회전축(130)을 기준으로 회전부(14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회전축(130)의 양단에 레버(160)가 결합된다.
레버(160)는 회전축(130)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레버(160)의 제한편(162)은 본체(110)의 안착부(117)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버클(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최초에 벨트안내구(114)를 통해 벨트(200)가 인입되고,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맞는 위치에서 그립부(120)의 요철부(142)와 벨트(200)의 걸림부(202)가 결합되어 벨트(200)의 길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벨트(200)와 버클(100)의 결속을 해제하고자 할 때는 레버(160)의 선단을 파지하여 본체(110)의 후단으로 젖혀주면, 레버(160)가 회동되면서, 레버(160)의 양측에 형성된 접촉돌기(165)가 작동바(145)를 가압하여 그립부(120)가 회전됨으로써, 요철부(142)와 걸림부(202)의 결속이 해제되어 벨트(200)와 버클(100)의 결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레버(16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접촉돌기(165)가 그립부(120)의 양측에 형성된 작동바(145)를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레버(160)의 회동작동시 편심이 발생하여도 레버(160)의 회동력이 작동바(145)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버(160)가 회전축(13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작동바(145)에는 접촉돌기(165)가 안착되는 이탈방지홈부(147)가 형성되어 접촉돌기(165)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레버(160)의 작동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110)에는 레버(160)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118)가 돌출 형성되어 일정각도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레버(160)의 이탈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레버(160)에 가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그립부(120)는 원위치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레버(160) 또한 원위치로 복원되어 제한편(162)이 안착부(117)에 안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버의 회동작동시 과도한 힘 또는 편심에 의한 레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케하고,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회전축과 레버를 고정하지 않아도 됨으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닌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허리띠용 버클 110 : 본체
112 : 벨트연결바 114 : 벨트안내구
115 : 절곡부 116 : 힌지공
116a : 고정홈 117 : 안착부
118 : 제한돌기 120 : 그립부
130 : 회전축 132 : 고정돌기
140 : 회전부 142 : 요철부
145 : 작동바 147 : 이탈방지홈부
150 : 탄성부재 160 : 레버
162 : 제한편 165 : 접촉돌기

Claims (3)

  1. 본체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벨트의 걸림부와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벨트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부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허리띠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양측에 접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는 양측에 상기 접촉돌기가 접하는 작동바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레버의 회동시 상기 한 쌍의 접촉돌기가 대응되는 작동바를 동시에 가압하여 편심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띠용 버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는 상기 접촉돌기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띠용 버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레버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띠용 버클.
KR2020100002282U 2010-03-05 2010-03-05 허리띠용 버클 KR200457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282U KR200457122Y1 (ko) 2010-03-05 2010-03-05 허리띠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282U KR200457122Y1 (ko) 2010-03-05 2010-03-05 허리띠용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00U KR20110008700U (ko) 2011-09-15
KR200457122Y1 true KR200457122Y1 (ko) 2011-12-06

Family

ID=4509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282U KR200457122Y1 (ko) 2010-03-05 2010-03-05 허리띠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1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792B1 (ko) 2019-03-29 2020-07-21 유덕상 혁대 버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5007017B4 (de) * 2015-10-13 2023-06-15 Yun-Chan Tsai Schnalle
JP6707170B2 (ja) * 2016-09-02 2020-06-10 ソク リュ,ヤン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CN109363298A (zh) * 2018-11-26 2019-02-22 贵州智聚文通科技有限公司 一种板扣式皮带扣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460Y1 (ko) 2004-12-08 2005-03-10 박태교 버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460Y1 (ko) 2004-12-08 2005-03-10 박태교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792B1 (ko) 2019-03-29 2020-07-21 유덕상 혁대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00U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122Y1 (ko) 허리띠용 버클
JP5220768B2 (ja) レーザハンドル
JP2006503668A5 (ko)
CN102266152B (zh) 婴幼儿安全带扣具
US8904599B2 (en) Quick coupling furniture hinge
JP5909283B2 (ja) クロスランナコネクタ、および吊り天井格子
US20120160989A1 (en) Eyewear mounting device
KR101304747B1 (ko) 소방용 앤드 브라켓
JP2018535028A (ja) ヘッドレストスライディング装置
EP2711763B1 (en) Eyeglasses with movable temple end pieces
JP2014530969A5 (ko)
KR200453382Y1 (ko) 혁대용 버클
EP1834866A2 (en) Fastening device, particulary for a fork and a supporting rod, for mounting bicycle mudguards
CN102463912B (zh) 儿童安全座椅
KR20110010896U (ko) 허리띠용 버클
JP5452632B2 (ja) ベルト用バックル
KR10104406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0446297Y1 (ko) 혁대 버클
KR20130141278A (ko) 자전거용 페달 조립체
US20170216072A1 (en) Ankle stirrup
CN105768390B (zh) 一种弹片拉头
EP2901881B1 (en) Rack element for sports footwear
TWI815663B (zh) 座墊連接裝置
KR101253837B1 (ko) 벨트용 버클
US722511A (en) Bu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