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837B1 -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837B1
KR101171837B1 KR1020100096247A KR20100096247A KR101171837B1 KR 101171837 B1 KR101171837 B1 KR 101171837B1 KR 1020100096247 A KR1020100096247 A KR 1020100096247A KR 20100096247 A KR20100096247 A KR 20100096247A KR 101171837 B1 KR101171837 B1 KR 10117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material
clamp
shaft
axis
c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885A (ko
Inventor
김헌영
문형일
안정호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6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8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Plastics; Rubber; Lea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실리콘 등 다양한 유연소재의 특성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몸체와, 제1 클램프, 제2 클램프, 작동기구와 기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클램프는 몸체에 양단이 제1 축과 제2 축을 중심으로 유연소재를 클램핑하는 제1 위치와 유연소재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제2 위치 사이를 편심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2 클램프는 몸체에 양단이 제3 축과 제4 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편심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작동기구는 제1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축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손잡이와, 제3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3 축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손잡이와, 제1 클램프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제1 축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스프링과, 제2 클램프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제3 축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스프링과, 제1 및 제2 클램프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스프링을 구비한다. 기어장치는 제1 및 제2 클램프를 연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클램프에 의하여 유연소재의 단부를 클램핑하여 유연소재의 단축인장시험과 평면변형시험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작동기구와 기어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가 연동되어 유연소재의 탈착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유연소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폭이 다른 유연소재의 시험이 가능하여 범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연소재의 시험장치{TEST APPARATUS FOR FLEXIBLE MATERIALS}
본 발명은 유연소재의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유연소재의 특성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유연소재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만능시험기(Universal test machine)는 각종 소재의 인장, 압축, 휨, 항절, 굽힘, 신율, 전단 등의 물성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어 있는 다양한 유연소재의 특성 평가는 만능시험기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다. 유연소재, 예를 들어 고무시편의 단축인장(Uniaxial tension)과 평면변형(Planar strain)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만능시험기의 테이블(Table)과 램(Ram)에 고무시편의 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는 지그(Jig), 고정장치(Fixture)라 부르고 있다.
그런데 만능시험기의 지그에서는 유연소재의 양단부를 접착 또는 볼팅(Bolting)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으므로, 유연소재의 탈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특히, 유연소재가 변형에 의하여 지그로부터 쉽게 빠져나오거나 탈락되거나 단점이 있다. 한편, 유연소재의 탈착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하여 작동되는 클램프(Clamp) 또는 척(Chuck)에 의하여 유연소재를 클램핑(Clamping)하고 있으나, 지그의 제작비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연소재의 폭은 가변적이기 때문에 폭이 다른 유연소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지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연소재의 특성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연소재의 탈착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유연소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폭이 다른 유연소재의 시험이 가능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몸체와; 몸체에 양단이 제1 축과 제2 축을 중심으로 유연소재를 클램핑하는 제1 위치와 유연소재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제2 위치 사이를 편심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클램프와; 몸체에 양단이 제3 축과 제4 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편심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2 클램프와; 제1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축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손잡이와, 제3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3 축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손잡이와, 제1 클램프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제1 축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스프링과, 제2 클램프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제3 축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스프링과, 제1 및 제2 클램프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스프링을 구비하는 작동수단과; 제1 및 제2 클램프를 연동시키는 기어장치를 포함하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는 제1 및 제2 클램프에 의하여 유연소재의 단부를 클램핑하여 유연소재의 단축인장시험과 평면변형시험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작동기구와 기어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가 연동되어 유연소재의 탈착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유연소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폭이 다른 유연소재의 시험이 가능하여 범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가 일례로 만능시험기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가 일례로 만능시험기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에서 작동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측면도들,
도 7과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에서 제1 및 제2 클램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측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에서 구속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는 유연소재(2), 예를 들어 고무시편의 양단을 만능시험기(10)의 테이블(11)과 램(12)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테이블(11)은 만능시험기(10)에 따라 램(12)과 마찬가지로 램(12)에 대하여 상대운동(Relative motion)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는 테이블(11)과 램(12)에 탈착되는 몸체(20)를 구비한다. 몸체(20)는 수평부(21)와 수평부(21)의 양단에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1 다리부(Leg portion: 22)와 제2 다리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다리부(22)와 제2 다리부(23)의 말단부에 제1 축구멍(24)과 제2 축구멍(25)이 서로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다리부(22)와 제2 다리부(23)의 말단부에 제3 축구멍(26)과 제4 축구멍(27)이 서로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축구멍(26)과 제4 축구멍(27)은 제1 축구멍(24)과 제2 축구멍(25)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축구멍(24), 제2 축구멍(25), 제3 축구멍(26)과 제4 축구멍(27)의 중심축선은 동일 수평평면에 정렬되어 있다. 제1 다리부(22)의 측면 중앙에 위치결정홈(28)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홈(28)은 제1 축구멍(24)과 제3 축구멍(2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커플러(Coupler: 29)가 수평부(21)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다. 커플러(29)는 테이블(11) 또는 램(12)에 결합되어 몸체(20)를 테이블(11) 또는 램(12)에 고정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는 제1 다리부(22)와 제2 다리부(23) 사이에 편심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1 클램프(30)와 제2 클램프(40)를 구비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클램프(30, 40)는 유연소재(2)의 말단부를 서로 협동하여 클램핑하는 제1 위치(P1)와 유연소재(2)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제2 위치(P2) 사이를 회전한다.
제1 및 제2 클램프(30, 40)에 편심축구멍(31, 41)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30, 40)의 외면 일측에 유연소재(2)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가압면(32, 42)이 형성되어 있다. 유연소재(2)의 물림력이 증대되도록 가압면(32, 42)에 복수의 톱니(33, 43)들이 제1 및 제2 클램프(30, 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톱니(33, 43)들은 세레이션(Serration)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램프(30)의 양단은 제1 축(50)과 제2 축(51)에 의하여 몸체(20)의 제1 및 제2 다리부(22, 23)에 편심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 축(50)은 제1 축구멍(24)을 통하여 제1 클램프(30)의 편심축구멍(31)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축(51)은 제2 축구멍(25)을 통하여 제1 클램프(30)의 편심축구멍(31)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축(50, 5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베어링(52, 53)이 제1 및 제2 축구멍(24, 25)과 제1 및 제2 축(50, 51)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축(50, 51)은 필요에 따라 단일의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클램프(40)의 양단은 제3 축(60)과 제4 축(61)에 의하여 몸체(20)의 제1 및 제2 다리부(22, 23)에 편심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3 축(60)은 제3 축구멍(26)을 통하여 제2 클램프(40)의 편심축구멍(41)에 고정되어 있다. 제4 축(61)은 제4 축구멍(27)을 통하여 제2 클램프(40)의 편심축구멍(41)에 고정되어 있다. 제3 및 제4 축(60, 6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3 및 제4 베어링(62, 63)이 제3 및 제4 축구멍(26, 27)과 제3 및 제4 축(60, 61)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3 축(50, 60)의 말단에 원판부(50a, 60a)가 형성되어 있다. 원판부(50a, 60a)는 제1 다리부(2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및 제4 축(60, 61)은 필요에 따라 단일의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는 제1 및 제2 클램프(30, 40)를 편심회전시키기 위한 작동기구(70)를 구비한다. 작동기구(7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30, 40)는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를 회전한다. 작동기구(70)는 제1 손잡이(71), 제2 손잡이(72), 제1 스프링(73)과 제2 스프링(7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71, 72)는 제1 및 제3 축(50, 6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3 축(50, 60)의 원판부(50a, 60a)에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71, 72)는 초기 위치(P3), 즉 제1 및 제2 클램프(30, 40)의 제1 위치(P1)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손잡이(71, 72)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하여 초기 위치(P3)에서 작동 위치(P4)로 벌려진다. 제1 및 제2 손잡이(71, 72)는 작업자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가늘고 긴 막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스프링(73, 74)은 제1 및 제2 클램프(30, 40)가 제1 위치(P1)로 복귀되도록 제1 및 제3 축(50, 6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제1 및 제2 스프링(73, 74)은 토션스프링(Tortion spring: 75)으로 구성되어 있다. 토션스프링(75)은 원형의 감김부(75a), 제1 탄성변형부(75b)와 제2 탄성변형부(75c)를 갖는다. 감김부(75a)는 제1 및 제3 축(50, 60)의 외면에 끼워져 있다. 제1 탄성변형부(75b)는 몸체(20)에 지지되어 있다. 제2 탄성변형부(75c)는 제1 및 제2 손잡이(71, 72)에 지지되어 있다. 제3 스프링(76)이 제1 및 제2 손잡이(71, 72)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스프링(76)은 제1 및 제2 클램프(30, 40)가 제1 위치(P1)로 복귀되도록 제1 및 제2 손잡이(71, 72)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제3 스프링(76)은 코일스프링(Coil spring), 고무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는 제1 및 제2 클램프(30, 40)를 연동시키는 기어장치(80)를 구비한다. 기어장치(80)는 제1 기어(81)와 제2 기어(8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기어(81)는 제2 축(51)에 장착되어 있다. 제2 기어(82)는 제4 축(61)에 장착되어 있고, 제1 기어(81)와 이맞물림되어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30, 4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클램프(30)가 회전되면, 제2 클램프(40)는 제1 기어(81)와 맞물려 있는 제2 기어(82)의 회전에 의하여 제1 클램프(30)와 함께 회전된다. 기어장치(80)가 제1 및 제2 클램프(30, 40)를 연동시키는 구조에 의하여 제2 손잡이(72)는 필요에 따라 삭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는 제1 및 제2 클램프(30, 4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1 및 제3 축(50, 6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구(90)를 구비한다. 구속기구(90)의 고정블록(Fixed block: 91)이 제1 다리부(22)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고정블록(91)은 제1 및 제3 축(50, 60)의 원판부(50a, 60a)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구멍(92)과 제2 구멍(93)을 갖는다. 제1 및 제2 구멍(92, 93)의 상부에 제1 및 제2 손잡이(71, 72)의 회전을 허용하는 개방부(92a, 93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블록(91)의 중앙에 안내구멍(94)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멍(92)과 제2 구멍(93)은 안내구멍(9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고정블록(91)의 후면에 위치결정돌기(95)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돌기(95)가 위치결정홈(28)에 맞춤되면, 고정블록(91)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여 장착할 수 있다. 복수의 볼트(96)들이 고정블록(91)을 관통하여 제1 다리부(22)에 체결되어 있다. 안내구멍(94)의 일단부에 핀(Pin: 97)이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에 커버(98)가 복수의 볼트(99)들의 체결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 커버(98)의 중앙에 안내구멍(94)과 연결되는 관통구멍(98a)이 형성되어 있다.
구속기구(90)의 쐐기(Wedge: 100)는 안내구멍(94)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구멍(94)에 장착되어 있다. 쐐기(100)의 양측면에 제1 경사면(101)과 제2 경사면(10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경사면(101, 102)은 제1 및 제3 축(50, 60)의 원판부(50a, 60a)에 접촉하여 제1 및 제2 축(50, 51)의 회전을 구속한다. 제1 및 제2 경사면(101, 102)은 그 사이의 간격이 쐐기(100)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쐐기(100)의 일단 중앙에 핀(97)이 끼워지는 홈(103)이 형성되어 있다. 핀(97)은 홈(103)에 끼워져 안내구멍(94)을 따라 쐐기(100)의 직선운동을 안내한다. 쐐기(100)의 타단부에 원판부(50a, 60a)에 걸려 이동이 구속되도록 턱(104)이 형성되어 있다. 쐐기(100)의 타단에 나사구멍(105)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볼트(106)가 관통구멍(98a)을 통하여 나사구멍(105)에 체결되어 있다. 조절볼트(106)의 회전에 의하여 쐐기(100)가 안내구멍(94)을 따라 이동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소재의 시험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클램프(30, 40)가 제1 위치(P1)에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 및 제2 손잡이(71, 72)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손잡이(71)를 벌리면, 제1 축(50)과 제1 클램프(30)가 함께 회전된다. 제1 클램프(30)의 회전력은 제1 기어(81)에 의하여 제2 기어(82)에 전달되고, 제2 기어(82)의 회전에 의하여 제3 축(60)과 제2 클램프(40)가 함께 회전된다. 기어장치(8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클램프(30)와 제2 클램프(40)의 회전이 연동되는 구조는 작업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제1 및 제3 축(50, 6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및 제2 스프링(73, 74)에 탄성에너지가 축적된다. 제1 및 제2 손잡이(71, 72)가 벌어지면, 제3 스프링(76)에 탄성에너지가 축적된다. 한편, 작업자가 제1 및 제2 손잡이(71, 72)를 동시에 양쪽으로 벌리면, 제1 및 제3 축(50, 60)과 함께 제1 및 제2 클램프(30, 40)가 제2 위치(P2)로 회전된다.
작업자는 제1 및 제2 클램프(30, 40)가 제2 위치(P2)에 있는 제1 및 제2 클램프(30, 40) 사이에 유연소재(2)의 말단부를 끼우고, 벌리고 있던 제1 손잡이(71)를 놓는다. 제1 및 제2 스프링(73, 7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1 및 제3 축(50, 6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제1 및 제2 클램프(30, 40)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P1)로 회전되면서 유연소재(2)의 말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톱니(33, 43)들은 제1 및 제2 클램프(30, 40)의 가압면(32, 42)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유연소재(2)의 말단부를 조여 제1 및 제2 클램프(30, 40)로부터 유연소재(2)가 빠지지 않게 한다.
유연소재(2)의 말단부가 제1 및 제2 클램프(30, 40)에 고정된 후, 램(12)이 작동되어 테이블(11)로부터 이격되면, 유연소재(2)의 변형이 발생된다. 따라서 유연소재(2)의 특성, 예를 들어 단축인장시험과 평면변형시험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조절볼트(106)를 조이면, 쐐기(100)가 안내구멍(94)을 따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및 제3 축(50, 60)의 원판부(50a, 60a)가 쐐기(100)의 제1 및 제2 경사면(101, 102)에 지지되면, 제1 및 제3 축(50, 60)의 회전이 구속된다. 원판부(50a, 60a)와 맞닿는 제1 및 제2 경사면(101, 102)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제1 및 제2 클램프(30, 40) 사이의 간격이 결정된다.
작업자는 쐐기(100)의 위치 조절에 의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30, 40) 사이의 간격을 유연소재(2)의 말단부가 제1 및 제2 클램프(30, 4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정도로 유지시킨다. 즉, 제1 및 제2 클램프(30, 40)의 제1 위치(P1)가 조절되도록 쐐기(100)를 작동시킨다. 제1 및 제2 클램프(30, 40) 사이의 간격이 넓게 유지되면, 두께가 두꺼운 유연소재(2)를 제1 및 제2 클램프(30, 40) 사이에 끼워넣고자 제1 손잡이(71)를 회전시킬 때, 제1 손잡이(71)의 조작범위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클램프(30, 40) 사이의 간격을 유연소재(2)의 두께에 따라 쐐기(100)에 의하여 가변적으로 구속하는 구조에 의하여 유연소재(2)의 탈착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연성소재 10: 만능시험기
20: 몸체 30: 제1 클램프
40: 제2 클램프 50: 제1 축
51: 제2 축 60: 제3 축
61: 제4 축 70: 작동기구
71: 제1 손잡이 72: 제2 손잡이
73: 제1 스프링 74: 제2 스프링
76: 제3 스프링 80: 기어장치
90: 구속기구 91: 고정블록
100: 쐐기 101: 제1 경사면
102: 제2 경사면 106: 조절볼트

Claims (9)

  1. 몸체와;
    상기 몸체에 양단이 제1 축과 제2 축을 중심으로 유연소재를 클램핑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유연소재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제2 위치 사이를 편심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클램프와;
    상기 몸체에 양단이 제3 축과 제4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편심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2 클램프와;
    상기 제1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축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3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축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손잡이와, 상기 제1 클램프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제1 축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클램프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제3 축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스프링을 구비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를 연동시키는 기어장치를 포함하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 각각은 상기 유연소재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가압면을 가지며, 상기 가압면에 상기 유연소재의 물림력이 증대되도록 복수의 톱니들이 형성되어 있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각각은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는,
    상기 제2 축에 장착되어 있는 제1 기어와;
    상기 제4 축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2 기어로 이루어지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 사이의 간격이 가변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3 축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더 구비하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3 축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판부를 수용하도록 제1 구멍과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구멍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구멍과 연결되도록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블록과;
    상기 안내구멍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안내구멍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3 축의 원형판부가 접촉되는 제1 및 제2 경사면이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은 그 사이의 간격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쐐기와;
    상기 안내구멍을 따라 상기 쐐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쐐기에 체결되어 있는 조절볼트로 이루어지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구멍의 일단부에 핀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쐐기의 일단 중앙에 상기 핀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KR1020100096247A 2010-10-04 2010-10-04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KR10117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247A KR101171837B1 (ko) 2010-10-04 2010-10-04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247A KR101171837B1 (ko) 2010-10-04 2010-10-04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885A KR20120034885A (ko) 2012-04-13
KR101171837B1 true KR101171837B1 (ko) 2012-08-14

Family

ID=4613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247A KR101171837B1 (ko) 2010-10-04 2010-10-04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9929B (zh) 2013-12-18 2017-12-0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屏幕弯曲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885A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4075A (ko) 재료시험기용 바이스장치
US4383351A (en) Universal clamp
JP5167141B2 (ja) 試験片保持具
JP2009543034A5 (ko)
JP2010523223A5 (ko)
CA2550456C (en) Combination vise and clamp
US3224259A (en) Specimen grip for tensile testing apparatus
KR20090035485A (ko) 전자 기판 상의 증착물을 시험하기 위한 인장 시험 장치 및방법
JPH0339627B2 (ko)
KR101171837B1 (ko) 유연소재의 시험장치
US9839985B1 (en) Fixture assembly
CN210982019U (zh) 一种用于拉力试验装置的拉伸夹持机构
JP6947309B2 (ja) くさび形つかみ具
US10525558B2 (en) Chuck body, machine center, and method for gripping a work object to be processed
US4261587A (en) Mechanical chucking device
JP2011149788A (ja) 材料試験機の軸芯調整装置
KR102663344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RU2282173C1 (ru) Захват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разцов при испытании на растяжение
JP6947748B2 (ja) 側方に作用する空気圧式把持部における布帛を試験するための組込み楔部材
JPH1164197A (ja) 粘弾性測定装置用の試験片つかみ装置ならびにそこへの試験片送給方法および装置
JP5333134B2 (ja) つかみ具
RU2272272C1 (ru) Зажим для испытания на растяжение
US11808738B2 (en) Support jig with improved support grips
CN106840865B (zh) 一种夹具及拉伸试验机
RU2222799C1 (ru) Захват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разцов при испытании на растяж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