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528B1 - 쐐기형 인장 클램프 - Google Patents

쐐기형 인장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528B1
KR102634528B1 KR1020230106573A KR20230106573A KR102634528B1 KR 102634528 B1 KR102634528 B1 KR 102634528B1 KR 1020230106573 A KR1020230106573 A KR 1020230106573A KR 20230106573 A KR20230106573 A KR 20230106573A KR 102634528 B1 KR102634528 B1 KR 10263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guide
stopper
gear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전주 등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풀림이 방지되고 인장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쐐기부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의 폭이 좁아지는 쐐기 헤드부와, 상기 쐐기 헤드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전신주에 고정하기 위한 애자가 연결되는 조인트부로 이루어지는 클램프 본체; 상기 쐐기 헤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쐐기 헤드부에 형성된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전후로 함께 이동하는 제1 쐐기부재와 제2 쐐기부재로 이루어진 쐐기부; 및 상기 쐐기부의 후방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쐐기 헤드부에 형성되는 이동제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쐐기형 인장 클램프{WEDGE-TYPE TENSILE CLAMP}
본 발명은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전주 등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풀림이 방지되고 인장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전송하는 전선, 전화선과 같은 통신케이블 등(이하, 케이블이라 칭함)을 원거리로 포설하기 위해서 지상에 전신주를 설치하고, 다수로 설치되는 전신주에 케이블이 지지되어 포설된다.
케이블을 전신주에 설치하기 위해 쐐기형 인장 클램프가 사용된다.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전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기능은 전선 하중이나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을 때에 한 쌍의 쐐기부가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미끌어지면서 전선을 가압하여 구속한다.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전선을 한 쌍의 쐐기부 사이에 끼우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전선이 일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선이 쐐기형 인장클램프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바람이나 다른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나 케이블이 진동하는 경우, 케이블에는 순간적으로 인장력의 역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다. 케이블에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면, 한 쌍의 쐐기부는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인장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블이 원래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되지 못하는 경우 케이블이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서 빠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에 인장력뿐만 아니라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쐐기부가 빠지지 않는 구조가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55049호(2016.08.31. 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85612호(2021.07.08.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2359153호(2022.01.28.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2458123호(2022.10.1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쐐기부가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케이블을 더 강하게 클램핑할 수 있고,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쐐기부가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외력 작용시에도 케이블의 이탈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쐐기부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의 폭이 좁아지는 쐐기 헤드부와, 상기 쐐기 헤드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전신주에 고정하기 위한 애자가 연결되는 조인트부로 이루어지는 클램프 본체; 상기 쐐기 헤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쐐기 헤드부에 형성된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전후로 함께 이동하는 제1 쐐기부재와 제2 쐐기부재로 이루어진 쐐기부; 및 상기 쐐기부의 후방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쐐기 헤드부에 형성되는 이동제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쐐기 헤드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쐐기 헤드본체와, 상기 쐐기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쐐기 헤드본체에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이동통로와, 상기 쐐기부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한 쌍의 가이드홈부는, 이동통로 형성된 상기 쐐기 헤드부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 제1 가이드홈과, 측면 제1 가이드홈 및 하부 제1 가이드홈으로 구성되는 제1 가이드홈부와, 상기 이동통로가 형성된 상기 쐐기 헤드부의 타측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 제2 가이드홈과, 측면 제2 가이드홈 및 하부 제2 가이드홈으로 구성되는 제2 가이드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조인트부는, 쐐기부에 삽입고정되는 케이블과 동일선 상에 상기 애자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축핀 브라켓과, 상기 축핀 브라켓에 장착되는 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쐐기부재는, 케이블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면서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한 다수 링형 돌기로 형성되는 제1 반호형 내측면부와, 상기 제1 반호형 내측면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반호형 내측면부의 후방 하단에 제2 쐐기부재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쐐기부재와 함께 슬라이딩되도록 일정거리 이격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제2 쐐기부재는, 케이블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면서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한 다수 링형 돌기로 형성되는 제2 반호형 내측면부와, 상기 제2 반호형 내측면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반호형 내측면부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쐐기부재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기 제1 쐐기부재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 사이의 홈을 따라 움직이는 제2 슬라이딩 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가이드부는, 제1 반호형 내측면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바디와, 상기 제1 가이드바디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 제1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1 가이드바디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측면 제1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1 가이드바디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제1 가이드돌기로 구성되고, 제2 가이드부는, 제2 반호형 내측면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바디와, 상기 제2 가이드바디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 제2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 가이드바디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측면 제2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 가이드바디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제2 가이드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측면 제2 가이드돌기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랙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제한부는, 제2 가이드홈부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피니언기어부가 설치되는 상하 관통홀과, 상기 랙기어와 피니언기어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하 관통홀과 상기 이동통로로 연통되는 측면 관통홀과, 상기 상하 관통홀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가 설치되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스톱퍼 안착홈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상하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기어바디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기어바디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 사이에 형성되는 일방향 회전기어로 이루어지는 피니언기어부; 및 상기 랙기어부의 일방향 회전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 상기 스톱퍼 안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스톱퍼 안착홈에는, 스톱퍼 안착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의 축회전을 위한 축핀이 설치되는 한 쌍의 축핀홀; 상기 축핀홀의 타측에서 상기 측면 제2 가이드홈부 측으로 형성되어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나사 체결홀; 상기 나사 체결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기어와 상기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의 기어 스톱퍼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하 관통홀과 연통되는 측면홀; 및 상기 측면홀의 타측에 형성되어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는, 스톱퍼 안착홈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전단이 축핀으로 축고정되는 힌지축부와, 나사 체결홀에 고정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 관통홀이 형성되고 나사 관통홀의 주변 단턱에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안착홈과,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서 일정거리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바형상의 암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스톱퍼 본체; 상기 회전 스톱퍼 본체의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안착되는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 상기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나사 체결홀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회전 스톱퍼 본체에 탄성 체결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스톱퍼 본체와 일정 이격거리(d)를 제공하도록 체결되는 고정나사; 상기 피니언기어부의 일방향 회전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피니언기어부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기어 스톱퍼; 및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암의 후방측 자유단에 외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정 이격거리(d)는, 기어 스톱퍼의 기어 높이(h)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케이블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쐐기부가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케이블을 더 강하게 클램핑하게 되어 클램핑력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케이블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쐐기부가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압축력과 같은 외력 작용시에도 케이블의 이탈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케이블과 조인트부가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조인트부의 축핀이 회전축이 되어 바람 등의 외력에 함께 움직일 수 있어서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케이블이 휘어지는 쐐기부의 후단에 라운딩 홈을 형성하여 케이블의 움직임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클램프 본체와 이동 제한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클램프 본체와 이동 제한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클램프 본체의 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쐐기부와 이동제한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쐐기부와 이동제한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이동제한부의 역학 구조를 설명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의 설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1)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 인장 클램프(1)는, 클램프 본체(2)와, 쐐기부(3) 및 이동제한부(4)로 이루어진다. 클램프 본체(2)는, 쐐기부(3)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케이블(5)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의 폭이 좁아지는 쐐기 헤드부(20)와, 쐐기 헤드부(20)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1)와, 연장부(21)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신주에 고정하기 위한 애자(6)가 연결되는 조인트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쐐기 헤드부(20)의 저면에는 전신주에 연결하기 위한 전신주 연결구(23)가 더 형성된다. 쐐기부(3)는, 쐐기 헤드부(20)에 삽입되고, 쐐기 헤드부(20)에 형성된 이동통로(202)를 따라 전후로 함께 이동하는 제1 쐐기부재(31)와 제2 쐐기부재(32)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이동제한부(4)는, 쐐기부(3)의 후방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쐐기 헤드부(2)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동제한부(4)는, 하우징(40)과, 하우징(40)에 장착되는 피니언기어부(41)와, 하우징(40)에 설치되는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42)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본체(2)는 쐐기 헤드부(20)와 연장부(21) 및 조인트부(22)로 이루어진다. 쐐기 헤드부(20)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쐐기 헤드본체(201)와, 쐐기부(3)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케이블(5)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쐐기 헤드본체(201)에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이동통로(202)와, 쐐기부(3)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이동통로(202)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부(203 : 204, 205)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가이드홈부(203)는, 이동통로(202)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동통로(202)의 일측에는 제1 가이드홈부(204)가 형성되고, 이동통로(202)의 타측에는 제2 가이드홈부(205)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홈부(204)는 이동통로(202)가 형성된 쐐기 헤드본체(201)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제1 가이드홈(2041)과, 상부 제1 가이드홈(2041)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제1 가이드홈(2042)과, 측면 제1 가이드홈(2042)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제1 가이드홈(2043)으로 구성된다. 이동통로(202)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홈부(205)는, 이동통로(202)가 형성된 쐐기 헤드본체(201)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제2 가이드홈(2051)과, 이동통로(202)의 측면인 쐐기 헤드본체(201)에 형성되는 측면 제2 가이드홈(2052)와, 이동통로(202)의 하부의 쐐기 헤드본체(201)에 형성되는 하부 제2 가이드홈(2053)으로 구성된다. 연장부(21)는 쐐기 헤드본체(20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인데, 전신주 연결구(23)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연장부(211)이 더 포함된다. 연장부(21)의 단부에는 조인트부(22)가 형성된다. 조인트부(22)는 연장부(21)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형성되는 축핀 브라켓(221)과, 축핀 브라켓(221)에 고정장착되는 축핀(222)과, 축핀(222)을 위치고정하는 고정피(223)으로 이루어진다. 쐐기부(3)에 삽입고정되는 케이블(5)과 동일선 상에 애자(6)가 연결되도록 단부의 일측과 타측에 축핀 브라켓(221)이 형성된다. 축핀(222)은 케이블(5)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축이 될 수 있다.
도 2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쐐기부(3)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쐐기부(3)는, 제1 쐐기부재(30)와 제2 쐐기부재(31)로 이루어진다. 제1 쐐기부재(30)는, 케이블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면서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한 다수 링형 돌기(3011)로 형성되는 제1 반호형 내측면부(301)와, 제1 반호형 내측면부(301)의 배면에 형성되어 제1 가이드홈부(204)를 따라 이동하는 제1 가이드부(302)와, 제1 반호형 내측면부(301)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어 제2 쐐기부재(31)와 함께 움직이도록 제2 쐐기부재 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303 : 303a, 303b)로 이루어진다. 제2 쐐기부재(31)는, 케이블(5)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면서 케이블(5)을 클램핑하기 위한 다수 링형 돌기(3111)로 형성되는 제2 반호형 내측면부(311)와, 제2 반호형 내측면부(311)의 배면에 형성되어 제2 가이드홈부(205)를 따라 이동하는 제2 가이드부(312)와, 제2 반호형 내측면부(311)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어 제1 쐐기부재(30)와 함께 움직이도록 제1 쐐기부재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 슬라이딩 가이드(303) 사이의 홈(304)을 따라 움직이는 제2 슬라이딩 가이드(313)로 이루어지진다. 제1 슬라이딩 가이드(303)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313)는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쐐기부(3)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제2 슬라이딩 가이드(313)는 제1 슬라이딩 가이드(303)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홈(304)을 따라 삽입되면서 제1 쐐기부재(30)와 제2 쐐기부재(31)를 함께 슬라이딩되게 한다. 제1 쐐기부재(30)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302)는, 제1 반호형 내측면부(301)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바디(3020)와, 제1 가이드바디(30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1 가이드홈(2041)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 제1 가이드돌기(3021)와, 제1 가이드바디(3020)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측면 제1 가이드홈(2042)을 따라 이동하는 측면 제1 가이드돌기(3022)와, 제1 가이드바디(3020)의 하단에 형성되어 하부 제1 가이드홈(2043)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제1 가이드돌기(3023)로 구성된다. 또한, 제1 가이드바디(3020)의 후단 전면에는 케이블(5)이 휘어지도록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5)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의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케이블 라운딩 홈(3024)이 더 형성된다. 제2 쐐기부재(31)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312)는, 제2 반호형 내측면부(311)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바디(3120)와, 제2 가이드바디(31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2 가이드홈(2051)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 제2 가이드돌기(3121)와, 제2 가이드바디(3120)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측면 제2 가이드홈(2052)을 따라 이동하는 측면 제2 가이드돌기(3122)와, 제2 가이드바디(3120)의 하단에 형성되어 하부 제2 가이드홈(2053)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제2 가이드돌기(3123)로 구성된다. 또한, 제2 가이드바디(3120)의 후단 전면에는 케이블(5)이 휘어지도록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5)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의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케이블 라운딩 홈(3124)이 더 형성된다. 측면 제2 가이드돌기(3122)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랙기어(3122a, 3122b)가 형성된다. 랙기어(3122a, 3122b)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랙기어(3122a, 3122b) 사이의 홈(3122c)이 형성된다. 홈(3122c)이 형성되는 것은, 피니언기어부(41)에 형성되는 일방향 회전기어(413)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동제한부(4)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동제한부(4)는, 쐐기 헤드부(2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우징(40)과, 하우징(40)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부(41)와, 피니언기어부(41)의 일방향 회전을 위해 하우징(40)에 장착되는 일방향 회전 스톱퍼(42)로 이루어진다. 하우징(40)은, 제2 가이드홈부205)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하우징(40)에는 피니언기어부(41)가 설치되는 상하 관통홀(401)과, 랙기어(3122a, 3122b)와 피니언기어(412a, 412b)가 맞물릴 수 있도록 상하 관통홀(401)과 이동통로(202)로 연통되는 측면 관통홀(402)과, 상하 관통홀(401)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42)가 설치되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스톱퍼 안착홈(4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후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스톱퍼 안착홈(403)에는, 스톱퍼 안착홈(403)의 일측에 상하로 형성되어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42)의 축회전을 위한 축핀(4211a)이 설치되는 한 쌍의 축핀홀(4031)과, 축핀홀(4031)의 타측에서 측면 제2 가이드홈부(2052) 측으로 형성되어 고정나사(423)가 체결되는 나사 체결홀(4032)과, 나사 체결홀(4032)의 타측에 형성되어 일방향 회전기어(413)와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42)의 기어 스톱퍼(4241)가 맞물릴 수 있도록 상하 관통홀(401)과 연통되는 측면홀(4033)과, 측면홀(4033)의 타측에 형성되어 스프링(425)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홈(4034)으로 이루어진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여 피니언기어부(41)를 설명한다. 피니언기어부(41)는, 하우징(40)에 형성된 상하 관통홀(4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기어바디(411)와, 랙기어(3122a, 3122b)와 맞물리도록 기어바디(411)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412a, 412b)와, 한 쌍의 피니언 기어(412a, 412b) 사이에 형성되는 일방향 회전기어(413)로 이루어진다. 피니언기어부(41)는 상하관통홀(401)의 상부에 체결되어 피니언기어부(41)를 하우징(40)에 위치고정하기 위한 상부 체결구(414)와, 상부 체결부(414)와 체결되어 기어바디(411)를 상하 관통홀(401)에 위치고정하기 위한 하부 체결구(415)가 더 구비되고, 상부 체결구(414) 및 하부 체결구(415)에 의해 피니언기어부(41)는 상하 관통홀(401)을 통해 하우징(40)에 위치고정된다. 상하 관통홀(401)에서 피니언기어부(41)는 회전하면서 랙기어(3122a, 3122b)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42)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42)는, 회전 스톱퍼 본체(421)과,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422)과, 고정나사(423)와, 하우징(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톱퍼 안착홈(403)에 장착된다. 회전 스톱퍼 본체(421)는, 스톱퍼 안착홈(403)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전단이 축핀(4211a)으로 축고정되는 힌지축부(4211)와, 나사 체결홀(4032)에 고정나사(423)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 관통홀(4212a)이 형성되고 나사 관통홀(4212a)의 주변 단턱에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422)이 설치되는 스프링 안착홈(4212)과, 스프링 안착홈(4212)에서 일정거리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바형상의 암(4213)으로 이루어진다.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422)은, 회전 스톱퍼 본체(421)의 스프링 안착홈(4212)에 안착된다. 고정나사(423)는,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422)을 통해서 나사 체결홀(4032)에 고정 체결되어 회전 스톱퍼 본체(421)에 탄성 체결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회전 스톱퍼 본체(421)와 일정 이격거리(d)를 제공하도록 체결된다. 일정 이격거리(d)는 회전 스톱퍼 본체(421)이 힌지축부(4211)의 축핀(4211a)을 축으로 하여 기어 스톱퍼(424)가 맞물리는 일방향 회전기어(413)의 회전에 의한 이동거리를 제공한다. 기어 스톱퍼(424)는 피니언기어부(41)의 일방향 회전기어(413)와 맞물리도록 피니언기어부(41) 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기어 스톱퍼(424)는 암(4213)에서 암(4213)의 폭보다 좁게 돌출형성되는 기어 스톱퍼 바디(4241)와, 기어 스톱퍼 바디(4241)에서 돌출형성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반대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일방향 스톱퍼(4242)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프링(425)은, 스프링 안착홈(4034)에 삽입되어 암(4213)의 후방측 자유단에 외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이동제한부(42)의 역학구조를 설명한다. 고정나사(423)를 잠그지 않은 경우, 고정나사에 의한 체결력이 암(4213)에 작용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쐐기부(3)는 전후로 이동가능하다. 고정나사(423)를 체결하여 암(4213)에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잠그는 경우, 암(4213)의 자유단에는 스프링(425)에 의한 탄성력(FS)이 외부측으로 힘을 작용하게 하고, 고정나사(423)의 체결에 의해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422)에 체결력을 제공하게 되며, 고정나사(423)의 체결력에 의해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422)은 회전 스톱퍼 본체(421)를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Fb)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회전 스톱퍼 본체(421)는 일방향 기어(413)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일방향 기어(413)가 케이블(5)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회전(R)하게 되면 기어 스톱퍼(424)는 전후 일정거리(DS) 움직이면서 쐐기부(3)를 움직이게 한다. 그러나 반대로 압축력에 의해 일방향 기어(413)를 회전시키려고 하더라도 기어 스톱퍼(424)의 일방향 스톱퍼(4242)에 의해 기어의 움직임은 제한을 받아 회전될 수 없게 된다. 그에 따라 인장력에 의한 쐐기부(3)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나, 압축력에 의한 쐐기부(3)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불가하다. 회전 스톱퍼 본체(421)가 축핀(4211a)을 축으로 하여 암(4213)의 자유단은 일정거리(DS) 이동이 가능하고, 고정나사(423)와 회전 스톱퍼 본체(421) 사이의 이격거리(d)는 일방향 스톱퍼(4242)의 높이(h)와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 클램프(1)에 케이블(5)이 장착되고, 쐐기형 인장 클램프(1)는 커버(7)에 의해 덮여지고, 조인트부(22)에는 애자(6)의 애자 연결구(61)이 연결된다. 그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조인트부(22)의 축핀을 축으로 하여 케이블(5)과 쐐기형 인장 클램프(1)는 함께 좌우로 회전하거나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쐐기형 인장 클램프(1)는 외력에 의해 손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쐐기형 인장클램프
2 : 클램프 본체
3 : 쐐기부
4 : 이동제한부
5 : 케이블
6 : 애자
7 : 클램프 커버
20 : 쐐기 헤드부
21 : 연장부
22 : 조인트부
23 : 전신주 연결구
30 : 제1 쐐기부재
31 : 제2 쐐기부재
40 : 하우징
41 : 피니언기어부
42 :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

Claims (11)

  1. 쐐기부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의 폭이 좁아지는 쐐기 헤드부와, 상기 쐐기 헤드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전신주에 고정하기 위한 애자가 연결되는 조인트부로 이루어지는 클램프 본체와, 상기 쐐기 헤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쐐기 헤드부에 형성된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전후로 함께 이동하는 제1 쐐기부재와 제2 쐐기부재로 이루어진 쐐기부 및 상기 쐐기부의 후방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쐐기 헤드부에 형성되는 이동제한부로 이루어지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쐐기 헤드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쐐기 헤드본체와, 상기 쐐기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쐐기 헤드본체에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이동통로와, 상기 쐐기부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부는, 상기 이동통로가 형성된 상기 쐐기 헤드부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 제1 가이드홈과, 측면 제1 가이드홈 및 하부 제1 가이드홈으로 구성되는 제1 가이드홈부와, 상기 이동통로가 형성된 상기 쐐기 헤드부의 타측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 제2 가이드홈과, 측면 제2 가이드홈 및 하부 제2 가이드홈으로 구성되는 제2 가이드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쐐기부재는, 케이블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면서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한 다수 링형 돌기로 형성되는 제1 반호형 내측면부와, 상기 제1 반호형 내측면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반호형 내측면부의 후방 하단에 제2 쐐기부재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쐐기부재와 함께 슬라이딩되도록 일정거리 이격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쐐기부재는, 케이블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면서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한 다수 링형 돌기로 형성되는 제2 반호형 내측면부와, 상기 제2 반호형 내측면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반호형 내측면부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쐐기부재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기 제1 쐐기부재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가이드 사이의 홈을 따라 움직이는 제2 슬라이딩 가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반호형 내측면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바디와, 상기 제1 가이드바디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 제1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1 가이드바디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측면 제1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1 가이드바디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제1 가이드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반호형 내측면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바디와, 상기 제2 가이드바디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 제2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 가이드바디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랙기어가 형성되는 측면 제2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 가이드바디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제2 가이드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제2 가이드홈부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피니언기어부가 설치되는 상하 관통홀과, 상기 랙기어와 피니언기어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하 관통홀과 상기 이동통로로 연통되는 측면 관통홀과, 상기 상하 관통홀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가 설치되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스톱퍼 안착홈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상하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기어바디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기어바디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 사이에 형성되는 일방향 회전기어로 이루어지는 피니언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기어부의 일방향 회전을 위해 상기 스톱퍼 안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쐐기부에 삽입고정되는 케이블과 동일선 상에 상기 애자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축핀 브라켓과, 상기 축핀 브라켓에 장착되는 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안착홈에는,
    상기 스톱퍼 안착홈의 일측에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의 축회전을 위한 축핀이 설치되는 한 쌍의 축핀홀;
    상기 축핀홀의 타측에서 상기 측면 제2 가이드홈부 측으로 형성되어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나사 체결홀;
    상기 나사 체결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기어와 상기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의 기어 스톱퍼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하 관통홀과 연통되는 측면홀; 및
    상기 측면홀의 타측에 형성되어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홈;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 스톱퍼부는,
    상기 스톱퍼 안착홈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전단이 축핀으로 축고정되는 힌지축부와, 상기 나사 체결홀에 고정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 관통홀이 형성되고 나사 관통홀의 주변 단턱에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안착홈과,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서 일정거리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바형상의 암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스톱퍼 본체;
    상기 회전 스톱퍼 본체의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안착되는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
    상기 스톱퍼 이격용 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나사 체결홀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회전 스톱퍼 본체에 탄성 체결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스톱퍼 본체와 일정 이격거리(d)를 제공하도록 체결되는 고정나사;
    상기 피니언기어부의 일방향 회전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피니언기어부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기어 스톱퍼; 및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암의 후방측 자유단에 외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이격거리(d)는, 상기 기어 스톱퍼의 기어 높이(h)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20230106573A 2023-08-15 2023-08-15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263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573A KR102634528B1 (ko) 2023-08-15 2023-08-15 쐐기형 인장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573A KR102634528B1 (ko) 2023-08-15 2023-08-15 쐐기형 인장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528B1 true KR102634528B1 (ko) 2024-02-07

Family

ID=8987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573A KR102634528B1 (ko) 2023-08-15 2023-08-15 쐐기형 인장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5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49B1 (ko) 2015-12-09 2016-09-06 김규중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1928460B1 (ko) * 2011-02-23 2018-12-12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쐐기형 내장 클램프 조립체
KR20210085612A (ko) 2019-12-31 2021-07-08 한국전력공사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2359153B1 (ko) 2020-05-21 2022-02-08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이탈방지용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2458123B1 (ko) 2022-04-28 2022-10-21 권오한 쐐기형 인장 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460B1 (ko) * 2011-02-23 2018-12-12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쐐기형 내장 클램프 조립체
KR101655049B1 (ko) 2015-12-09 2016-09-06 김규중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20210085612A (ko) 2019-12-31 2021-07-08 한국전력공사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2359153B1 (ko) 2020-05-21 2022-02-08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이탈방지용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2458123B1 (ko) 2022-04-28 2022-10-21 권오한 쐐기형 인장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8442B2 (ja) ケーブル受具へのケーブル布設方法、ケーブル受具装置及びケーブル受具
US5044719A (en) Cable connector
CA1111526A (en) Flat cable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and two- position latch
CN111384637A (zh) 卡线装置及具有该卡线装置的电插塞连接器
PT1428300E (pt) Dispositivo de alívio de tensão para um conector de ficha no âmbito da engenharia de comunicações e da engenharia informática
US4351582A (en) Adapting electrical connector
CN101114766A (zh) 组合的电缆引导/夹持装置
KR102634528B1 (ko) 쐐기형 인장 클램프
BRPI0814030B1 (pt) Conjunto conector elétrico de derivação tipo cunha e sistema conector elétrico
JPH06132049A (ja) 多導線端子組立体
KR960027069A (ko) 고속 데이터 전송용 모듈식 플러그와 케이블을 구비한 조립체 및 케이블 접속 방법
KR20190047364A (ko)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2430457B1 (ko) 양방향 쐐기형 인장 클램프
RU2280303C2 (ru) Анкерный зажим для концевой заделки подвесного кабеля
KR101369256B1 (ko) 송전.배전.철도의 전력선 및 각종 케이블 고정장치
JPH0440906B2 (ko)
US5855492A (en) Press-connecting joint connector
CN213982756U (zh) 一种显示器理线结构及显示器
CN100536247C (zh) 电线夹具
KR100596225B1 (ko) 다수개의 모니터 연결구조
KR200454624Y1 (ko) 커넥터
CN211579079U (zh) 电线连接器的定位装置
KR200441159Y1 (ko) 앵커부가 이동 가능한 밴드케이블
CN220233657U (zh) 一种可旋转的数据线接头
US20230318240A1 (en) Torsion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