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299B1 - 롤러 밀 장치 및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 - Google Patents

롤러 밀 장치 및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299B1
KR102647299B1 KR1020227027513A KR20227027513A KR102647299B1 KR 102647299 B1 KR102647299 B1 KR 102647299B1 KR 1020227027513 A KR1020227027513 A KR 1020227027513A KR 20227027513 A KR20227027513 A KR 20227027513A KR 102647299 B1 KR102647299 B1 KR 10264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outer peripheral
grinding
range
mil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554A (ko
Inventor
신지 마츠모토
다쿠 미야자키
가즈시 후쿠이
에이이치로 오오츠보
다카히로 이마미치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4Mills with pressed pendularly-mounted rollers, e.g. spring p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와, 롤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롤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과 상기 분쇄면의 교점인 제1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롤러 밀 장치 및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
본 개시는, 롤러 밀 장치 및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롤러 밀 장치는, 보일러나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등에 있어서, 석탄이나 석유 코크스 등의 미분쇄 또는 바이오매스 원료의 분쇄 등에 사용된다. 또한, 시멘트 제조 플랜트에서는, 시멘트 재료나 시멘트 클링커의 분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롤러 밀 장치는, 분쇄 대상물의 분쇄, 건조, 분급 및 반송을 행하는 플랜트 기기이다. 롤러와 테이블로 분쇄부를 구성하고, 회전하는 테이블 상에 층 형상으로 형성된 분쇄 대상물을 종동 회전하는 롤러로 압박함으로써, 분쇄 대상물 내에 압축력 및 전단력을 발생시켜, 분쇄 대상물을 분쇄한다.
롤러 및 테이블 라이너의 마모 진전에 수반하여, 전력의 증가 및 분쇄 능력의 저하에 기초하는 반송 공기의 입구 및 출구 사이의 차압의 증가 등, 성능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 및 보수가 필요해진다. 특허문헌 1에는, 외주면이 원뿔대 형상인 코니컬형 롤러의 외주면을 완곡면 형상(타이어형)으로 개조함으로써, 롤러 외주면과 테이블 상면으로 형성되는 분쇄면의 접촉 면압이 균일화되어, 해당 분쇄면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롤러나 테이블면의 보수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의 삭감은, 가동률에 관계되기 때문에 중요한 과제이다. 롤러의 보수는, 롤러의 교환 장착이 비교적 단기간에 가능하지만, 테이블측의 보수는, 테이블 상면에 마련된 테이블 라이너를 교환하는 경우, 절단, 용단 등의 수단에 의한 테이블 라이너의 떼어내기나 재설치 작업은, 테이블 라이너가 적재되는 테이블 모재면을 재평면화하여 테이블 라이너와의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공기가 장기간으로 되고 또한 고비용으로 된다. 그래서, 특허문헌 2에서는, 롤러의 외주면 및 테이블면의 형상을, 롤러의 외주면보다 테이블 라이너의 마모를 억제 가능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테이블 라이너의 보수 및 교환의 빈도를 저하시키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일본 특허 제4101709호 공보 일본 특허 제6469343호 공보
외주면이 원뿔대 형상의 롤러를, 완곡면을 갖는 롤러로 교환 장착하는 경우, 테이블의 분쇄면도 롤러의 완곡면에 맞춘 완곡면으로 함으로써, 분쇄 성능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 라이너의 교환은 공기가 장시간 또한 고비용으로 되기 때문에, 롤러 및 테이블 라이너의 교환 장착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공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테이블 라이너를 교환 장착하는 대신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쇄면의 전체에 걸쳐서 덧살붙임 용접으로 완곡면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분쇄면의 전체에 걸쳐서 완곡면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덧살붙임 용접재와 장시간의 덧살붙임 작업이 필요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분쇄 성능을 확보하면서, 테이블의 분쇄면에 있어서 곡면부를 형성하는 범위를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는 롤러 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와, 롤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롤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과 상기 분쇄면의 교점인 제1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이란, 테이블 라이너의 상면에 형성된 테이블면 중, 테이블 라이너를 향해 압박된 상태의 롤러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범위의 테이블면」을 말한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은,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와, 롤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은, 상기 롤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과, 상기 분쇄면의 교점인 제1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상기 곡면부를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하는 덧살붙임 용접 스텝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에 의하면,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은, 평탄면과 곡면부를 포함함과 함께, 곡면부를 분쇄면 상에 있어서의 적어도 제1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한다. 이 때문에, 분쇄 성능을 확보하면서, 곡면부를 형성하는 범위를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이로써, 곡면부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작용 효과에 더하여, 곡면부를 덧살붙임 용접으로 형성하므로, 테이블 라이너의 교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조에 필요로 하는 기간의 단축 및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를 일부 확대한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를 일부 확대한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 및 비교예에 관한 분쇄면의 분쇄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및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고,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갖고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동일」, 「동등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등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등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갖추다」, 「가지다」, 「구비하다」,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라고 하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한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롤러 밀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롤러 밀 장치를 석탄 분쇄기에 적용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고, 해당 석탄 분쇄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석탄 분쇄기(10)는, 하우징(12), 석탄 공급관(14), 테이블(16), 적어도 하나의 롤러(18), 1차 공기 공급 덕트(20), 회전식 분급기(22) 및 미분탄 배출관(24)을 구비하고 있다. 석탄 공급관(14)은, 하우징(12)의 상방으로부터 하우징(12)의 내부로 관통하여, 테이블(16)의 상면에 분쇄 대상물로서의 석탄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16)은, 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블(16)은, 연직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26)에 의해 구동 축선(A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롤러(18)가 테이블(16)의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테이블(16)에 대향하여 테이블(16)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롤러(18)는, 자중 또는 압박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테이블(16)의 상면에 형성된 분쇄면을 압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박 장치는, 롤러(18)의 회전축(19)을 통해 롤러(18)가 상기 분쇄면을 압박하는 힘을 부가한다. 롤러(18)는, 구동 축선(A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테이블(16)의 상면에 형성된 분쇄면에 종동하여, 회전축(19)의 축 중심에 위치하는 롤러 축선(A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석탄 공급관(14)으로부터 공급된 석탄은, 롤러(18)와 해당 분쇄면 사이에서 분쇄되어 미분탄으로 된다.
1차 공기 공급 덕트(20)는, 테이블(16)의 하부의 하우징(12)의 측면 및 테이블(16)의 하부로부터 테이블(16)의 외주측으로 1차 공기를 공급한다. 테이블(16)의 외주측에 공기 분출구(28)가 마련되고, 1차 공기 공급 덕트(20)로부터 공급된 1차 공기는 공기 분출구(28)를 통해 상승한다. 테이블(16)과 롤러(18)로 제조된 미분탄은, 공기 분출구(28)로부터 상승하는 1차 공기에 의해 반송된다. 공기 분출구(28)의 상방에는 편류판(30)이 마련되고, 공기 분출구(28)로부터 분출된 1차 공기는 편류판(30)에 의해 선회력이 부여된다. 편류판(30)에 의해 선회력이 부여된 1차 공기는, 도 1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기류가 되어 미분탄을 하우징(12)의 상방의 회전식 분급기(22)로 운반한다. 또한, 1차 공기에 혼합한 미분탄 중 입경이 큰 것은 자중에 의해 회전식 분급기(22)까지 도달하지 않고 낙하하여, 테이블(16)로 다시 되돌아온다.
회전식 분급기(22)는, 하우징(1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32)를 구비하고 있다. 1차 공기와 함께 회전식 분급기(22)에 도달한 미분탄은, 회전하는 블레이드(32)에 의해 부여되는 원심력과, 블레이드(32)의 외주측으로부터 회전식 분급기(22)에 유입되는 구심력의 밸런스에 의해, 입경이 작은 미분탄만이 블레이드(32)의 내측에 유입되고, 미분탄 배출관(24)으로부터 유출된다. 미분탄 배출관(24)은 미분탄 보일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유로(도시하지 않음)에 연통되어 있다.
(테이블 및 롤러를 포함하는 분쇄부의 구성)
도 2 및 도 3은, 각각 테이블(16) 및 롤러(18)를 포함하고, 분쇄 대상물로서의 석탄을 분쇄하는 분쇄부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테이블(16)은, 테이블 본체(40), 테이블 라이너(42), 웨지 링(44) 및 댐 링(48) 등을 포함한다. 테이블 본체(40)는, 회전축(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테이블 본체(40)는 원형 접시 형상을 갖고, 테이블 본체(40)의 상면은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40a)을 구성하고 있다.
테이블 라이너(42)는, 예를 들어 원환 형상을 갖고, 롤러(18)와 대향하도록 경사면(40a)에 마련된다. 테이블 본체(40)는, 경사면(40a)(테이블 라이너(42)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환 형상의 둑부(41)를 갖는다. 테이블 라이너(42)의 외주연부는, 테이블 본체(40)와 둑부(41)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테이블 라이너(42)에 적재된 석탄은, 테이블 라이너(42)와 롤러(18) 사이에서 분쇄된다. 테이블 라이너(42)는, 석탄의 분쇄에 의해 마모되기 때문에, 교환 가능한 소모재로서 사용된다.
웨지 링(44)은, 예를 들어 원환 형상을 갖고, 테이블 라이너(42)의 내주연부를 테이블 본체(40)에 압박하도록, 테이블 라이너(42)의 내주연부를 따라 마련된다. 웨지 링(44)은, 볼트(46)에 의해 회전축(26)에 고정된다.
댐 링(48)은, 둑부(41)의 상면에 고정되어, 롤러(18)와 테이블 라이너(42)로 분쇄되고, 롤러(18)보다 외주측의 테이블 라이너(42) 상에 압출된 미분탄을 저류하는 저류 공간을 형성한다. 해당 저류 공간에 저류된 미분탄은, 롤러(18)에 의해 몇 번이나 분쇄되어, 소정의 입경으로 분쇄된다.
이렇게 하여, 테이블 라이너(42)의 상면에 테이블면(St)이 형성되고, 석탄 공급관(14)으로부터 테이블면(St)의 중심측 영역에 공급된 석탄은, 회전하는 테이블 본체(40)에 의해 테이블 본체(40)의 외주측을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서서히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분쇄면(Sg)에 도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쇄면(Sg)은, 테이블면(St) 중, 테이블면(St)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롤러(18)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범위를 말한다. 분쇄면(Sg)에 도달한 석탄은, 롤러(18)와 분쇄면(Sg) 사이에서 압박되어 분쇄된다. 도 2 및 도 3 중, m은 테이블면(St)에 층 형상으로 퇴적된 분쇄 대상물(석탄)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8)의 외주면(18a)은, 롤러(18)가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분쇄면(Sg)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쇄면(Sg)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50)(50a, 50b, 50c, 50d)와, 곡면부(52)(52a, 52b)를 포함한다. 곡면부(52)는,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롤러(18)의 외주면(18a)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라인 Lc는, 롤러(18)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롤러 축선(A2)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이다. 곡면부(52)는, 중심선(Lc)과 분쇄면(Sg)의 교점인 제1 위치(P1)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곡면부(52)의 재질로서, 예를 들어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갖는 내마모성 재료가 사용된다.
제1 위치(P1)는, 롤러(18)가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때, 롤러(18)의 폭 방향 중심 위치이기 때문에, 곡면부(52)와의 사이에서 분쇄 대상물에 대하여 큰 하중이 발생하는 범위에 속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곡면부(52)가 적어도 제1 위치(P1)를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최소한의 분쇄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곡면부(52)의 형성 범위를 필요 최소한으로 한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곡면부(52)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곡면부(52)에 접하는 외주면(18a)과, 외주면(18a)에 접하는 곡면부(52)의 표면은, 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을 형성한다. 이로써, 외주면(18a)과 곡면부(52)의 접촉면의 전역에서 분쇄 대상물에 대하여 균일한 하중을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에 대한 분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8)가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일 때, 롤러(18)의 외주면(18a)은, 롤러(18)의 폭 방향에서 제1 위치(P1)와 다른 위치에, 롤러 축선(A2)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최돌출 단부(54)를 갖고 있다. 그리고, 곡면부(52)(52a, 52b)는, 적어도 제1 위치(P1)로부터 최돌출 단부(54)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분쇄면(Sg) 상의 제2 위치(P2)에 이르기까지의 제1 범위(R1)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롤러(18)의 외주면(18a)과 분쇄면(Sg)에 의해 분쇄 대상물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2 위치(P2)에서 가장 커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분쇄 대상물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를 포함하는 제1 범위(R1)에서 가장 커진다고 생각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곡면부(52)가 적어도 제1 범위(R1)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에 대한 분쇄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곡면부(52)의 형성이 제1 범위(R1)에 한정되기 때문에, 곡면부(52)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외주면(18a)의 최돌출 단부(54)에 대면하는 분쇄면(Sg) 상의 제2 위치(P2)는, 제1 위치(P1)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롤러 외주면(18a)과 분쇄면(Sg) 사이에서 분쇄 대상물에 가해지는 하중은, 테이블(16)의 반경 방향에서 제1 위치(P1)보다 외측에서 증가한다. 그 때문에, 분쇄 대상물(m)이 테이블(16)의 중심측에 공급되어 분쇄면(Sg)을 통해 테이블(16)의 주변측을 향할 때, 제1 위치(P1)보다 분쇄 대상물(m)의 진행 방향 외주측에서 분쇄 대상물(m)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m)은 조립으로부터 미립으로 단계적으로 분쇄된다. 그 때문에, 소정의 입경으로 고정밀도로 분쇄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8)의 외주면(18a) 중, 제1 위치(P1)보다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은, 중심선(Lc)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곡률 중심(C1)을 중심으로 한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돌출 단부(54)는, 제1 곡률 중심(C1)을 지나 중심선(Lc)과 평행인 직선 L1이 분쇄면(Sg)과 교차하는 제2 위치(P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위치(P1)보다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내측의 외주면(18a)은, 중심선(Lc) 상에 있는 제2 곡률 중심(C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곡률 중심(C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곡률 반경 r2는, 제1 곡률 중심(C1)을 중심으로 한 원호의 곡률 반경 r1보다 크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쇄면(Sg)에서 발생하는 하중은,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점증하는 하중 분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분쇄 대상물은 분쇄면(Sg)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서서히 입경이 작아지도록 분쇄되기 때문에, 소정의 입경으로 고정밀도로 분쇄할 수 있다. 또한, r1<r2이기 때문에, 분쇄면(Sg)의 외주측 영역에서 롤러 외주면(18a)과 분쇄면(Sg)의 간극이 넓어진다. 이로써, 분쇄 대상물(m)의 외주측으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면(Sg) 상에 있어서, 곡면부(52)는 제1 범위(R1)보다도 내주측에 형성되는 제2 범위(R2)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곡면부(52)가 테이블(16)의 반경 방향에서 제1 범위(R1)보다 내주측으로 더 연장되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에 대한 분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부(52)(52b)는, 분쇄면(Sg)에 있어서 제1 범위(R1)보다도 외주측에 형성된 제3 범위(R3)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쇄면(Sg)을 형성하는 곡면부(52)(52b)가 테이블(16)의 반경 방향이고 또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의 분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면(Sg)의 영역에 있어서, 곡면부(52)(52a, 52b)의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양측에 평탄면부(50)(50a 내지 50d)를 갖는다. 평탄면부(50)(50a, 50c)는 곡면부(52)보다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주측 평탄면부이고, 평탄면부(50)(50b, 50d)는 곡면부(52)보다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내주측에 위치하는 내주측 평탄면부이다. 이와 같이, 분쇄면(Sg)의 영역에 있어서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양측에 평탄면부(50)를 갖기 때문에, 곡면부(52)의 형성 영역을 한정할 수 있어, 곡면부(52)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면(Sg)은, 제1 범위(R1)의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외주단으로부터 제1 범위(R1)보다도 더 외주측에 형성되는 평탄면부(50)(50a)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경사면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사면부(5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면부(52)(52a)의 외주측 영역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면(Sg)은, 제3 범위(R3)의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외주단으로부터 제3 범위(R3)보다도 더 외주측에 형성되는 평탄면부(50)(50c)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경사면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사면부(5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면부(52)(52b)의 외주측 영역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경사면부(56)의 분쇄면(Sg)에 대한 각도 θ는, 곡면부(52)(52a, 52b)의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정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롤러(18)가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을 때, 롤러(18)의 선단면(18b)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분쇄면(Sg) 상의 제3 위치(P3)를 0%로 하고, 롤러(18)의 기단면(18c)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분쇄면(Sg) 상의 제4 위치(P4)를 100%로 한다. 이때, 곡면부(52)(52a, 52b)는, 적어도 40 내지 60%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40 내지 60%의 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곡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곡면부(52)가 상기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쇄 대상물에 대하여 필요 최저한의 분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위치(P3)는, 롤러(18)의 선단면(18b) 상의 직선이 분쇄면(Sg)과 교차하는 점이고, 제4 위치(P4)는, 롤러(18)의 기단면(18c) 상의 직선이 분쇄면(Sg)과 교차하는 점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곡면부(52)는 30 내지 70%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즉, 30 내지 70%의 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곡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곡면부(52)가 더 넓은 범위에 형성되므로, 분쇄 대상물의 분쇄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곡면부(52)는 20 내지 80%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즉, 20 내지 80%의 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곡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곡면부(52)가 더 넓은 범위에 형성되므로, 분쇄 대상물의 분쇄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곡면부(52)(52a, 52b)는, 평탄면부(50) 상에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된 덧살붙임 용접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곡면부(52)를 덧살붙임 용접으로 형성하므로, 테이블 라이너(42)의 교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개조에 필요로 하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개조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축선(A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16)에 마련되고, 분쇄면(Sg)을 형성하는 테이블 라이너(42)와, 롤러 축선(A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18)를 구비한 석탄 분쇄기(10)를 대상으로 한다. 석탄 분쇄기(10)에서는, 롤러(18)는, 테이블 라이너(42)의 테이블면(St)에 형성된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분쇄면(Sg)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롤러(18)의 외주면(18a)은, 롤러(18)가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분쇄면(Sg)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석탄 분쇄기(10)에 대한 개조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 형상의 테이블면(St)에 대하여, 적어도 제1 위치(P1)를 포함하는 범위에 곡면부(52)를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하는 덧살붙임 용접 스텝을 구비한다(스텝 S12). 이로써, 곡면 형상의 롤러 외주면(18a)에 대하여, 곡면부(52)의 형성을 분쇄 성능을 확보 가능한 최소한의 범위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곡면부(52)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곡면부(52)를 덧살붙임 용접으로 형성하므로, 테이블 라이너(42)의 교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개조에 필요로 하는 기간의 단축 및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조 방법은, 석탄 분쇄기(10)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롤러 밀 장치여도 된다.
또한, 개조 대상이 롤러의 압박면이 원뿔대 형상인 코니컬형 롤러인 경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덧살붙임 용접 스텝 S12의 전공정으로서, 코니컬형 롤러를 곡면 형상의 외주면(18a)을 갖는 롤러(18)로 교환 장착하는 스텝(스텝 S10)을 행한다.
도 5는, 석탄 분쇄기에 있어서, 롤러 및 테이블 라이너의 3종류의 조합 시의 밀 동력비 및 밀 내 순환 입자 차압비를 검증한 결과를 나타낸다. 조합 (a) 및 (b)는 비교예의 검증 결과이고, 조합 (c)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검증 결과이다. 조합 (a)는, 롤러 외주면 및 테이블 라이너 상면이 모두 평면인 조합이고, 조합 (b)는, 롤러 외주면이 외주면(18a)과 같은 곡면 형상이고, 테이블 라이너 상면이 평면인 조합이다. 조합 (c)는, 롤러 외주면이 외주면(18a)과 같은 곡면 형상이고, 분쇄면(Sg)은 곡면부(52)를 갖는 조합이다.
밀 동력비(무차원수)는, 조합 (a)의 밀 동력을 1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조합 (b), (c)의 밀 동력의 비이고, 밀 동력비가 클수록 분쇄 성능이 낮고, 밀 동력비가 작을수록 분쇄 성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밀내 순환 입자 차압은, 도 1에 있어서, 1차 공기 공급 덕트(20)에 있어서의 1차 공기압과 미분탄 배출관(24)에 있어서의 1차 공기압의 차압이고, 밀내 순환 입자 차압비(무차원수)는, 조합 (a)의 해당 차압을 1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조합 (b), (c)의 해당 차압의 비이다. 이 값이 클수록 1차 공기 공급 덕트(20)에 있어서의 1차 공기압이 커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테이블 라이너(42) 상의 미분탄의 체류량이 클수록, 1차 공기 공급 덕트(20)에 있어서의 1차 공기압이 커져, 분쇄 성능이 낮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로부터, 조합 (b)는, 밀 동력비 및 밀내 순환 입자 차압비 모두 조합 (a)보다 증가하고 있는 것에 비해, 조합 (c)는, 조합 (a)와 거의 동등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조합 (b)는 분쇄 효율이 저하되어 있는 것에 비해, 조합 (c)는 조합 (a)와 거의 동등한 분쇄 효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내용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일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구동 축선(A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16)과, 롤러 축선(A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의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Sg)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m)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18)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10)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18a)은,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Sg)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50(50a, 50b, 50c, 50d))와,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18)의 상기 외주면(18a)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52(52a, 52b))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50)는, 상기 롤러(18)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A2)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Lc)과 상기 분쇄면(Sg)의 교점인 제1 위치(P1)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테이블의 분쇄면은, 평탄면과 곡면부를 포함함과 함께, 곡면부를 분쇄면 상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제1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한다. 이 때문에, 분쇄 성능을 확보하면서, 곡면부를 형성하는 범위를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이로써, 곡면부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2)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1)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곡면부(52)는, 상기 제1 위치(P1)로부터,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18)의 상기 외주면(18a) 중 상기 롤러 축선(A2)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최돌출 단부(54)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Sg) 상의 제2 위치(P2)에 이르기까지의 제1 범위(R1)를 적어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곡면부의 시공 범위가, 제1 위치로부터, 테이블 분쇄면으로부터 최대 하중이 가해지는 롤러의 최돌출 단부에 대면하는 제2 위치에 이르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에 대한 분쇄 성능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곡면부의 형성이 제1 범위에 한정되기 때문에, 곡면부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3)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2)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제2 위치(P2)는, 상기 제1 위치(P1)보다도 상기 분쇄면(Sg)에 있어서의 외주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위치가 제1 위치보다도 분쇄면에 있어서의 외주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롤러와 분쇄면 사이에 발생하는 하중은, 테이블의 반경 방향에서 제1 위치보다 외측에서 증가한다. 이로써, 분쇄 대상물이 테이블의 중심측에 공급되어 분쇄면을 통해 테이블의 주변측을 향할 때, 분쇄 대상물의 진행 방향 하류측에서 분쇄 대상물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을 소정의 입경으로 고정밀도로 분쇄할 수 있다.
4)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3)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곡면부(52)는, 상기 제1 범위(R1)보다도 상기 분쇄면(Sg)에 있어서의 내주측에 형성되는 제2 범위(R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곡면부가 제1 범위보다 내주측으로 더 연장되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의 분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5)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3) 또는 4)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곡면부(52)는, 상기 제1 범위(R1)보다도 상기 분쇄면(Sg)에 있어서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3 범위(R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곡면부가 제1 범위보다 외주측으로 더 연장되기 때문에, 분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6)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5)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분쇄면(Sg)은, 상기 제3 범위(R3)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3 범위(R3)보다도 외주측에 형성되는 상기 평탄면(50(50a, 50c))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형성된 경사면부(56)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경사면부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곡면부의 외주측 영역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7)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1) 내지 6)의 어느 것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18)의 선단면(18b)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Sg) 상의 위치를 0%로 하고,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18)의 기단면(18c)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Sg) 상의 위치를 100%로 한 경우에, 상기 곡면부(52)는, 적어도 40% 이상 60% 이하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곡면부가 상기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쇄 대상물의 분쇄 성능을 최저한 확보할 수 있다.
8)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1)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곡면부(52)는, 상기 평탄면부 상에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된 덧살붙임 용접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곡면부를 덧살붙임 용접으로 형성하므로, 테이블 라이너의 교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조에 필요로 하는 기간의 단축 및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9) 일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은,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42)와, 롤러 축선(A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42)의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52)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m)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18)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이며, 상기 롤러(18)의 외주면(18a)은,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Sg)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50)와,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18)의 상기 외주면(18a)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52)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은, 상기 롤러(18)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A2)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Lc)과, 상기 분쇄면(Sg)의 교점인 제1 위치(P1)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상기 곡면부(52)를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하는 덧살붙임 용접 스텝(S12)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곡면 형상의 롤러 외주면에 대하여, 곡면부의 형성을 분쇄 성능을 확보 가능한 최소한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으므로, 곡면부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곡면부를 덧살붙임 용접으로 형성하므로, 테이블 라이너의 교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조에 필요로 하는 기간의 단축 및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10: 석탄 분쇄기
12: 하우징
14: 석탄 공급관
16: 테이블
18: 롤러
18a: 외주면
18b: 선단면
18c: 기단면
19, 26: 회전축
20: 1차 공기 공급 덕트
22: 회전식 분급기
24: 미분탄 배출관
28: 공기 분출구
30: 편류판
32: 블레이드
40: 테이블 본체
40a: 경사면
41: 둑부
42: 테이블 라이너
44: 웨지 링
46: 볼트
48: 댐 링
50(50a, 50b, 50c, 50d): 평탄면부
52(52a, 52b): 곡면부
54: 최돌출 단부
56: 경사면부
A1: 구동 축선
A2: 롤러 축선
C1: 제1 곡률 중심
C2: 제2 곡률 중심
Lc: 중심선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P3: 제3 위치
P4: 제4 위치
R1: 제1 범위
R2: 제2 범위
R3: 제3 범위
Sg: 분쇄면
St: 테이블면
m: 분쇄 대상물(피분쇄물)

Claims (9)

  1.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와,
    롤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롤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과 상기 분쇄면의 교점인 제1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평탄면부 상에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된 덧살붙임 용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의 표면 전역이 상기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롤러 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 중 상기 롤러 축선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최돌출 단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 상의 제2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제1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롤러 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도 상기 분쇄면에 있어서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롤러 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1 범위보다도 상기 분쇄면에 있어서의 내주측에 형성되는 제2 범위를 포함하는,
    롤러 밀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1 범위보다도 상기 분쇄면에 있어서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3 범위를 포함하는,
    롤러 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은, 상기 제3 범위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3 범위보다도 외주측에 형성되는 상기 평탄면부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형성된 경사면부를 더 포함하는,
    롤러 밀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선단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 상의 위치를 0%로 하고,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기단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 상의 위치를 100%로 한 경우에,
    상기 곡면부는, 적어도 40% 이상 60% 이하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롤러 밀 장치.
  8. 삭제
  9.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와,
    롤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은, 상기 롤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과, 상기 분쇄면의 교점인 제1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상기 곡면부의 표면 전역이 상기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되도록 상기 곡면부를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하는 덧살붙임 용접 스텝을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
KR1020227027513A 2020-02-19 2021-02-15 롤러 밀 장치 및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 KR102647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6605A JP7311440B2 (ja) 2020-02-19 2020-02-19 ローラミル装置及びローラミル装置の改造方法
JPJP-P-2020-026605 2020-02-19
PCT/JP2021/005429 WO2021166829A1 (ja) 2020-02-19 2021-02-15 ローラミル装置及びローラミル装置の改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554A KR20220118554A (ko) 2022-08-25
KR102647299B1 true KR102647299B1 (ko) 2024-03-14

Family

ID=7739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513A KR102647299B1 (ko) 2020-02-19 2021-02-15 롤러 밀 장치 및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11440B2 (ko)
KR (1) KR102647299B1 (ko)
WO (1) WO2021166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88544A (ja) * 2021-12-15 2023-06-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粉砕ローラ及び固体燃料粉砕装置並びに粉砕ローラの製造方法
JP2023092829A (ja) * 2021-12-22 2023-07-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粉砕ローラ及び固体燃料粉砕装置並びに粉砕ローラ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2567A (ja) * 2013-12-13 2015-06-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固体燃料粉砕装置および固体燃料粉砕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8131B2 (ja) * 1991-10-16 1999-05-3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立形ローラミル
JPH07222933A (ja) * 1994-02-14 1995-08-22 Babcock Hitachi Kk 粉砕用ローラミ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低振動粉砕処理方法
JP4101709B2 (ja) * 2003-07-11 2008-06-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ーラミル及びその補修方法
JP2018171618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栗本鐵工所 粉砕ローラ又は粉砕テーブルの補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2567A (ja) * 2013-12-13 2015-06-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固体燃料粉砕装置および固体燃料粉砕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6829A1 (ja) 2021-08-26
JP2021130087A (ja) 2021-09-09
KR20220118554A (ko) 2022-08-25
JP7311440B2 (ja)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299B1 (ko) 롤러 밀 장치 및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
KR101691467B1 (ko) 초미세 기류 분급 밀
US4611765A (en) Roller mill
CN109746085B (zh) 粉碎机以及粉碎机的运用方法
WO2015087590A1 (ja) 固体燃料粉砕装置および固体燃料粉砕装置の製造方法
JP2015167930A (ja) 竪型粉砕機
KR20120116449A (ko) 수직형 롤러 밀
CN109475878B (zh) 立式辊磨机
JP6665547B2 (ja) 竪型粉砕機
JP6172577B2 (ja) 竪型粉砕機
KR102412533B1 (ko) 분쇄기용 맷돌시스템
US20110114769A1 (en) Double course vane wheel
JP7116365B2 (ja) 竪型粉砕機
JP5791556B2 (ja) 竪型粉砕装置
JP5573078B2 (ja) 竪型ミル
JP5857629B2 (ja) バイオマスミル
KR102152721B1 (ko) 미분기의 분쇄수단 및 그 제조방법
JP7327129B2 (ja) 竪型粉砕機
JP4938411B2 (ja) 気流式粉砕機
US20240139752A1 (en) Crusher rotor
KR100854753B1 (ko) 미분탄 유입방지를 위한 에어커튼 캡
JP5724196B2 (ja) 竪型粉砕機
JP6555527B2 (ja) 竪型粉砕機の粉砕ローラ
TW202302220A (zh) 選粒器、及包含選粒器之粉碎機、及操作粉碎機之方法、及選粒器之用途
JP2016135462A (ja) 竪型粉砕機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