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070B1 - 기록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070B1
KR102647070B1 KR1020200037493A KR20200037493A KR102647070B1 KR 102647070 B1 KR102647070 B1 KR 102647070B1 KR 1020200037493 A KR1020200037493 A KR 1020200037493A KR 20200037493 A KR20200037493 A KR 20200037493A KR 102647070 B1 KR102647070 B1 KR 10264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attachment member
attached
attachment portion
recor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872A (ko
Inventor
유타 신사와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03Features not dealing with the colouring process per se, e.g. construction of printers or heads, driving circuit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87Automatic cut-of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46Applications of alarms, e.g. responsive to approach of end of l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79Controller construction, e.g. aspects of the interface hard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41J2029/3937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rinter and the cartridge, carriage or print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Ink Jet (AREA)

Abstract

기록 장치는 기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인쇄 처리에 사용되는 기록재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갖지 않는 부착부, 및 부착부가 접속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2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는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제2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및 제어 방법{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기록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잉크와 같은 기록재를 저장할 수 있는 부착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7-185722에는 잉크젯 헤드가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어떠한 부착 부재도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착 부재와의 접속을 위한 부착부에서의 접속 단자가 노출된다. 이는 접속 단자에 불순물이 부착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록재를 저장할 수 있는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접속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부착부는 3개의 상이한 상태를 갖는다: 기록재를 저장할 수 있는 부착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 접속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부착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 및 어떠한 부착 부재도 부착되지 않은 상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7-185722에서는 접속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설명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접속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제어가 고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접속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 기초하여 적합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제1 컬러의 기록재 및 제2 컬러의 기록재를 사용하는 제1 인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제1 인쇄 모드, 및 제1 컬러의 기록재를 사용하고 제2 컬러의 기록재를 사용하지 않는 제2 인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제2 인쇄 모드로 작동 가능하고, 제2 컬러의 기록재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갖는 제1 부착 부재 또는 저장 유닛을 갖지 않는 제2 부착 부재가 부착 가능한 부착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이며, 기록 장치는 제1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제1 부착 부재의 온도에 기초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기록 장치 내에 포함되는 미리 정의된 구성요소를 통해 미리 정의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유닛으로서, 제1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제1 부착 부재의 온도에 기초하는 정보가 미리 정의된 정보로서 취득되는, 취득 유닛, 취득되는 미리 정의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었는지 또는 제2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판정 유닛, 판정 유닛이 제1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제1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를 작동시키고 판정 유닛이 제2 부착 부재가 부착부에 부착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제2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기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잉크 공급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기록 헤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캐리지 기판 유닛을 도시한다.
도 5는 접촉 보호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부착부가 어느 부착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임계값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상태 판정 처리, 및 상태 판정 처리에 기초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상태 판정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정보 처리 장치 및 기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제1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는 상태 판정 처리, 및 상태 판정 처리에 기초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상태 판정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후술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하는 구성요소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는, 간헐적으로 반송되는 기록 매체 상에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를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시킴으로써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 시리얼 잉크젯 기록 장치를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시리얼 잉크젯 기록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긴 인쇄 헤드를 사용하여 연속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라인 잉크젯 기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잉크젯 기록 장치뿐만 아니라 전자 사진 기록 장치 및 다른 유형의 기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이하와 같다. "기록재"라는 용어는 잉크 및 토너를 포함한다. "잉크"라는 용어는 기록 액체와 같은 액체를 총괄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록"이라는 용어는 평면형 매체에 기록하는 것 뿐만 아니라 3차원 물체에 기록하는 것도 포함한다. "기록 매체"라는 용어는 액체가 토출되는 매체를 지칭하고, 종이, 천, 플라스틱 필름, 금속 판, 유리, 세라믹, 목재, 및 피혁과 같은 기록 매체를 총괄적으로 지칭한다. 기록 매체는 절단 시트뿐만 아니라 압연된 연속 시트도 포함한다.
도 1은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이하에서, 기록 장치로 지칭됨)(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기록 장치(1)에서, 급지 트레이(2) 상에 적재된 기록 매체로서의 각각의 시트재(도시되지 않음)가 급지 롤러(3)에 의해 반송 유닛(4)으로 반송된다. 반송 유닛(4)으로 반송된 시트재는 또한 플래튼(platen)(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인쇄 위치로 추가로 반송된다. 시트재가 인쇄 위치로 반송되면, 캐리지(6)는 캐리지(6)를 지지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캐리지(6)에 포함된 기록 헤드(7)(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잉크를 토출하여 시트재 상에 화상을 기록(인쇄)한다. 화상이 그 위에 기록된 시트재는 배출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배출 트레이(도시되지 않음)로 배출된다. 기록 장치(1)는 기록 헤드(7)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잉크 탱크(9) 및 튜브(10)를 포함한다. 기록 장치(1)에서, 기록 헤드(7)는 흑색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7a) 및 비-흑색 잉크(시안, 마젠타, 및 황색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7b)를 포함한다. 튜브(10)는 잉크 탱크(9)와 기록 헤드(7a)를 접속하여 잉크 탱크(9)에 저장된 잉크를 기록 헤드(7a)에 공급한다. 기록 헤드(7a)는 인쇄 처리 동안 잉크 탱크(9)로부터 공급될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으로서 잉크 챔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기록 헤드(7b)는 인쇄 처리 동안 기록 헤드(7b)에 포함된 잉크 카트리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될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으로서 잉크 챔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기록 장치(1)는 각각의 저장 유닛에 저장된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 처리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탱크(9)는 흑색 잉크를 저장한다. 기록 장치(1)는 기록 헤드(7)의 토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보수 부재로서 회복 유닛(11)을 추가로 포함한다. 회복 유닛(11)은 기록 헤드(7)의 잉크 토출 포트의 표면을 닦기 위한 와이퍼(11a), 및 잉크 토출 포트의 표면을 덮기 위한 캡(11b)을 포함한다.
도 2는 기록 장치(1)에 포함된 잉크 공급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잉크 공급 유닛은 잉크 탱크(9), 기록 헤드(7) 및 튜브(1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장치(1)는 기록 헤드(7)로서 기록 헤드(7a, 7b)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록 헤드(7a, 7b)는 기록 장치(1)에 부착될 수 있고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10)는 기록 헤드(7a)와 잉크 탱크(9)를 접속하여 잉크 탱크(9)에 저장된 흑색 잉크를 기록 헤드(7a)에 포함된 잉크 챔버에 공급한다. 기록 헤드(7a)는 잉크 챔버에 공급된 잉크를 토출한다. 잉크 탱크(9)에 저장된 잉크가 고갈되는 경우, 사용자는 잉크를 잉크 탱크(9)에 공급하여 잉크-고갈 상태를 해소한다. 토출 성능이 열화되는 경우, 기록 헤드(7a)는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것으로 교체된다. 기록 헤드(7a)가 기록 장치(1)로부터 제거될 때, 튜브(10)도 기록 헤드(7a)로부터 제거된다. 기록 헤드(7a)가 기록 장치(1)에 다시 부착될 때에, 기록 헤드(7a)와 튜브(10)는 다시 서로 접속된다.
기록 헤드(7b)는 비-흑색 잉크(컬러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잉크는 잉크 카트리지 외부의 잉크 탱크(9)로부터 공급되지 않고 기록 헤드(7b)의 잉크 카트리지에 미리 저장된다. 따라서, 기록 헤드(7b)의 잉크 카트리지에 저장된 컬러 잉크가 고갈되는 경우, 기록 장치(1)는 사용자에게 잉크-고갈 오류를 통지하고, 사용자는 기록 헤드(7b)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다.
도 3a는 기록 헤드(7a)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3b는 기록 헤드(7b)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각각의 기록 헤드는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챔버, 잉크 챔버 내의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포트, 및 잉크 토출을 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 회로(이 중 어느 것도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기록 헤드(7a)에는 캐리지에 포함된 헤드 커넥터에 접속될 복수의 금속 패드(31)가 가요성 인쇄 회로(FPC) 기판(32) 상에 제공된다. 기록 헤드(7a)에는 헤드 커넥터와 패드(31) 사이의 접속부를 통해 전력 및 인쇄 데이터가 공급된다. 기록 헤드(7b)에는 캐리지에 포함된 헤드 커넥터에 접속될 복수의 금속 패드(33)가 FPC 기판(34) 상에 제공된다. 기록 헤드(7b)에는 헤드 커넥터와 패드(33) 사이의 접속부를 통해 전력 및 인쇄 데이터가 공급된다. 기록 헤드(7b)는 복수의 색의 잉크를 토출하기 때문에, 기록 장치(1)의 본체로부터 기록 헤드(7b)로 송신될 인쇄 데이터의 용량은 단색 잉크를 공급할 때보다 더 크다. 따라서, 기록 헤드(7b)에 포함된 패드(33)의 개수는 기록 헤드(7a)에 포함된 패드(31)의 개수보다 더 크다.
도 4는 기록 장치(1)에 포함된 캐리지에 내장된 캐리지 기판 유닛을 도시한다. 캐리지 기판(40) 상의 헤드 커넥터(41)는 기록 헤드(7a)에 포함된 패드(31)에 접속하기 위한 금속 접속 단자이다. 캐리지 기판(40) 상의 헤드 커넥터(42)는 기록 헤드(7b)에 포함된 패드(33)에 접속하기 위한 금속 접속 단자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1) 및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가능한 기록 장치(1)의 구성을 도 12에 도시된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예시적 구성을 중심으로 본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기능이 도 12에 도시된 구성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기록 장치(1)에 지시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작업을 생성 및 송신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PC)가 정보 처리 장치(101)의 예로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장치(101)로서, 휴대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디지털 카메라 및 다른 장치가 적용 가능하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입력 인터페이스(102), 중앙 처리 유닛(CPU)(103), 읽기 전용 메모리(ROM)(10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5), 외부 기억 디바이스(106), 출력 인터페이스(107), 디스플레이 유닛(108), 및 통신 유닛(111)을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의 컴퓨터는 CPU(103), ROM(104), 및 RAM(105)으로 형성된다.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마우스(110) 및 키보드(109)가 작동될 때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입력 및 작동 명령을 수신한다.
CPU(103)는 정보 처리 장치(101)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ROM(104)은 CPU(103), 데이터 테이블 및 내장 운영 체제(OS)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ROM(104)에 저장된 각각의 제어 프로그램은 ROM(104)에 저장된 내장 OS의 제어 하에서 스케쥴링, 과제 전환 및 인터럽트 처리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수행한다.
RAM(105)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를 포함한다. RAM(105) 내의 데이터는 데이터 백업용 1차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보유되기 때문에, 프로그램 제어 변수 및 다른 중요한 데이터가 휘발되지 않고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1)의 설정 정보 및 정보 처리 장치(101)의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이 RAM(105)에 제공된다. RAM(105)은 CPU(103)의 주 메모리 및 작업 메모리로서 또한 사용된다.
외부 기억 디바이스(106)는 기록 장치(1)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인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인쇄 정보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외부 기억 디바이스(106)는 통신 유닛(111)을 통해 접속되는 기록 장치(1)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송신 및 수신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외부 기억 디바이스(106)는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저장한다.
출력 인터페이스(107)는 디스플레이 유닛(108)을 제어하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게 정보 처리 장치(101)의 상태를 통지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8)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게 정보 처리 장치(101)의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한다. 수치 입력 키, 모드 설정 키, 결정 키, 취소 키, 및 전원 키를 포함하는 조작 유닛이 디스플레이 유닛(108)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디스플레이 유닛(108)을 통해 수용될 수 있다.
통신 유닛(111)은 기록 장치(1)와 접속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111)은 기록 장치(1) 내의 액세스 포인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 가능하다. 통신 유닛(111)이 기록 장치(1) 내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때, 정보 처리 장치(101) 및 기록 장치(1)는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111)은 무선 통신을 통해 기록 장치(1)와 직접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정보 처리 장치(101) 및 기록 장치(1)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통해 기록 장치(1)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의 예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외부 및 기록 장치(1)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포인트 이외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방법의 예는 Wireless Fidelity(Wi-Fi®)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의 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LAN) 라우터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단거리에서 기록 장치(1)와 같은 장치와 무선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통신 유닛(111)과 상이한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단거리 무선 통신 유닛의 통신 방법의 예는 근접장 통신(NFC), 블루투스(등록 상표) 클래식,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및 Wi-Fi Aware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범용 직렬 버스(USB) 또는 유선 LAN을 통해 기록 장치(1)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 장치(1)는 ROM(152), RAM(153), CPU(154), 인쇄 엔진(155), 및 통신 유닛(156)을 포함한다. 기록 장치(1)의 컴퓨터는 ROM(152), RAM(153) 및 CPU(154)로 형성된다.
통신 유닛(156)은, 기록 장치(1) 내부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같은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다. 액세스 포인트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통신 유닛(111)에 접속 가능하다. 통신 유닛(156)이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화할 때, 기록 장치(1)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작동할 수 있다. 통신 유닛(156)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와 직접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법의 예는 Wi-Fi®를 포함한다. 통신 유닛(156)은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유닛(156)을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서 작동할 수 있다.
기록 장치(1)는 단거리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같은 장치와 무선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기록 장치(1)는 통신 유닛(156)과 상이한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단거리 무선 통신 유닛의 통신 방법의 예는 NFC, 블루투스® 클래식, BLE, 및 Wi-Fi Aware를 포함한다. 기록 장치(1)는 USB 또는 유선 LAN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RAM(153)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SRAM을 포함한다. RAM(153) 내의 데이터는 데이터 백업용 1차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보유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제어 변수 및 다른 중요한 데이터가 휘발되지 않고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1)의 설정 정보 및 기록 장치(1)의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이 RAM(153)에 제공된다. RAM(153)은 CPU(154)의 주 메모리 및 작업 메모리로서 또한 사용된다. RAM(153)은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인쇄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신 버퍼로서 기능하고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OM(152)은 CPU(154)에 의해 실행될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 및 내장 OS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ROM(152)에 저장된 각각의 제어 프로그램은 ROM(152)에 저장된 내장 OS의 제어 하에서 스케쥴링, 과제 전환 및 인터럽트 처리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수행한다.
CPU(154)는 기록 장치(1)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인쇄 엔진(155)은 RAM(153)에 저장된 정보 및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되는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잉크와 같은 기록재를 종이와 같은 기록 매체에 도포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후, 인쇄 엔진(155)은 인쇄 결과를 출력한다. 더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55)은 수신된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헤드(7)로 송신하고, 기록 헤드(7)가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잉크를 토출하도록 한다.
기록 장치(1)는, 선택적인 디바이스로서의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및 보안 디지털(SD) 카드와 같은 메모리에 부착될 수 있고, 기록 장치(1)에 저장될 정보가 이러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장치(1)는 컬러 인쇄 모드 및 단색 인쇄 모드의 2개의 상이한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컬러 인쇄 모드에서, 기록 장치(1)는 복수의 색의 잉크를 사용하는 컬러 인쇄 및 흑색 잉크만을 사용하는 단색 인쇄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단색 인쇄 모드에서, 기록 장치(1)는 단색 인쇄만을 수행할 수 있다. 컬러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킬 때, 사용자는 기록 헤드(7a, 7b) 모두를 기록 장치(1)에 부착해야 한다. 한편, 단색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킬 때에는, 사용자는 기록 헤드(7a)를 기록 장치(1)에 부착해야 하지만 기록 헤드(7b)를 기록 장치(1)에 부착할 필요는 없다.
기본적으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1)는 단색 인쇄만을 수행할 수 있는 단색 프린터로서 취급된다. 기록 장치(1)는, 사용자가 기록 헤드(7b)를 별도로 구매하고 이를 기록 장치(1)에 부착하는 경우에 컬러 인쇄를 위한 컬러 프린터로서 취급된다. 따라서, 기록 장치(1)의 도착 시에, 기록 헤드(7a)는 기록 장치(1)에 부착되어 있지만 기록 헤드(7b)는 그렇지 않다. 캐리지 기판(40) 및 헤드 커넥터(42)는 기록 헤드(7b)에 부착될 캐리지의 부분(이하에서, 총괄적으로 부착부로 지칭됨)이다. 어떠한 부착 부재도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 헤드 커넥터(42)는 노출될 것이다. 헤드 커넥터(42)가 노출되면, (잉크 토출에 의해 야기되는 잉크 미스트와 같은) 불순물이 헤드 커넥터(42)에 부착되어 헤드 커넥터(42)를 열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헤드 커넥터(42)를 보호하기 위한 접촉 보호구(50)가 기록 장치(1)의 부착부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장치(1)의 도착 시에, 기록 헤드(7a) 및 접촉 보호구(50)가 기록 장치(1)에 부착되어 있다.
도 5는 접촉 보호구(50)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접촉 보호구(50)는 헤드 커넥터(42)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며 인쇄 처리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록 헤드(7)와 달리, 접촉 보호구(50)는 잉크 챔버, 토출 포트, 및 잉크 토출을 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 회로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다. 접촉 보호구(50) 상에는, 캐리지의 헤드 커넥터(42)와 접속될 금속 패드(51)가 FPC 기판(52)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접촉 보호구(50)의 패드(51)는 기록 헤드(7b)의 패드(33)와 유사한 배열로 FPC 기판(52)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접촉 보호구(50)가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불순물이 헤드 커넥터(42)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헤드 커넥터(42)가 열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접촉 보호구(50)는 복수의 패드(33) 중 미리 정의된 2개의 회로를 단락시키기 위한 회로(53)를 포함한다. 회로(53)의 역할을 후술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부는 3개의 상이한 상태(이하에서, 부착 상태로 지칭됨)를 갖는다: 기록 헤드(7b)가 부착부에 부착된 제1 부착 상태, 접촉 보호구(50)가 부착부에 부착된 제2 부착 상태, 및 어떠한 부착 부재도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제3 부착 상태.
기록 장치(1)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은 부착부의 부착 상태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부는 헤드 커넥터(42)의 열화를 방지하면서 기록 장치(1)에 의한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제1 및 제2 부착 상태 중 하나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본 예시적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오류를 통지한다. 예를 들어, 본 예시적 실시예는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컬러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키고,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단색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킨다. 이는, 기록 장치(1)가 부착부의 부착 상태에 적합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부착부의 부착 상태에 적합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1)는 3개의 부착 상태 중 부착부가 어느 부착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상태 판정 처리를 수행하고, 상태 판정 처리의 결과에 따라 처리를 수행한다. 이는 기록 장치(1)가 적합한 방식으로 그 자체의 인쇄 모드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태 판정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기록 장치(1)의 본체측(기록 헤드의 외측)에 배치된 회로(61)는 다이오드 온도 센서(73)로부터의 출력을 얻기 위한 회로(70), 및 인쇄 데이터를 기록 헤드(7b)에 입력하기 위한 회로(71)를 포함한다. 회로(70)는 헤드 커넥터(42a) 및 패드(33a)를 통해 기록 헤드(7b)와 접속한다. 회로(71)는 헤드 커넥터(42c) 및 패드(33c)를 통해 기록 헤드(7b)와 접속한다.
회로 구성요소(64 내지 69 및 71)는 인쇄 데이터를 기록 헤드(7b)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인쇄 데이터는 저항기(68) 및 커패시터(69)로 형성된 필터를 통해 기록 헤드(7b) 내의 로직 블록(74)으로 송신된다. 기록 헤드(7b)는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잉크를 토출한다. 범용 입력/출력(GPIO) 단자(66)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72)와 회로(71)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며, 입력 또는 출력 상태에서 작동한다. 입력 상태는 입력 유닛(65)과 GPIO 단자(66)가 서로 접속하고 인쇄 데이터 및 다른 신호가 기록 헤드(7b)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지칭한다. 출력 상태는 출력 유닛(64)과 GPIO 단자(66)가 서로 접속하고 인쇄 데이터 및 다른 신호가 기록 헤드(7b)에 공급될 수 있는 상태를 지칭한다. 불필요한 신호가 기록 헤드(7b)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록 장치(1)는 기본적으로 인쇄 처리의 실행 중 이외에는 입력 상태에서 GPIO 단자(66)를 작동시킨다. 출력 유닛(64)은 접지된다. ASIC(72)는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GPIO 단자(66)에 접속되는 풀다운 저항기(pull-down resistor)(67)를 포함한다. 즉, 도 6은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회로(61) 내의 정전류원(62)은 기록 헤드(7b)의 회로 내의 다이오드 온도 센서(73)에 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다이오드 온도 센서(73)는 기록 헤드(7b)의 온도에 기초하여 전압(Vf)을 출력한다.
전압(Vf)은 미소한 값을 갖기 때문에, 다이오드 온도 센서(73)는 전압(Vf)을 증폭하기 위해 증폭기(63)에 전압(Vf)을 출력한다. 따라서, 증폭기(63)는 전압(Vf)의 증폭된 값을 갖는 전압(Vfa)을 출력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증폭기(63)는 GAIN = α 및 오프셋 = β인 특성을 갖고, 따라서 전압(Vfa)의 구체적인 값인 αVf + β를 제공한다. 증폭기(63)는 ASIC(72)에 포함된 컨버터에 전압(Vfa)을 출력한다. ASIC(72)는 컨버터를 사용하여 전압(Vfa)에 대해 아날로그-대-디지털(A/D) 변환을 수행하고 전압(Vf)에 기초한 디지털값을 출력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10-비트 컨버터는 기준 전압(Vref)(= 3.3V)으로 AD 변환을 수행하고, 따라서 구체적인 디지털값은 1024(αVf + β)/3.3이 된다. 이후, ASIC(72)는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디지털값을 CPU(154)로 출력한다. 따라서,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CPU(154)는 회로(70)를 통해 다이오드 온도 센서(73)로부터 취득된 전압(Vf)에 기초하여 디지털값을 취득한다. 이후, CPU(154)는 특정 범위 내의 디지털값의 취득에 기초하여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이 경우, 기록 헤드(7b)의 온도는 실온에 근접하기 때문에, CPU(154)는 실온에 근접한 기록 헤드(7b)의 온도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의 취득에 기초하여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회로(70)를 통해 취득된 전압값에 기초한 디지털값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상태 판정 처리는, 이하에서 제1 판정 처리로 지칭된다.
도 7a는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에 있고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접촉 보호구(50)에 포함된 회로(53)는 다이오드 온도 센서(73)로부터의 출력을 얻기 위한 입력 회로(70), 및 인쇄 데이터를 기록 헤드(7b)에 입력하기 위한 회로(71)를 회로 단락시킨다.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동안 정전류원(62)이 전류 공급을 개시하는 경우, 회로(70 및 71)가 회로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은 회로(71)에 공급된다. 이 때, 입력 유닛(65)은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절연되고, 따라서 전력은 입력 유닛(65)에 공급되지 않고 풀다운 저항기(67)에 공급된다. 풀다운 저항기(67)가 충분히 큰 저항값을 갖기 때문에, 정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정전류원(62)에 의해 사용되는 전압(전원 전압) 3.3V가 회로(70)를 통해 증폭기(63)로 출력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증폭기(63)는 3.3V를 상한 전압으로서 출력하기 때문에, 증폭기(63)에 입력되는 전압은 증폭되지 않는다. 그 결과, ASIC(72)에 3.3V의 전압이 입력되고, 3.3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이 컨버터에 의해 출력된다. 즉,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CPU(154)는 회로(70)를 통해 증폭기(63)로 출력될 수 있는 상한 전압(3.3V)에 기초한 디지털값을 취득한다. 3.3V 기반 디지털값은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에 취득되는 디지털값과 크게 상이하다. 따라서, 3.3V 기반 디지털값이 취득되는 경우, 부착부는 제1 부착 상태에 있지 않다고 식별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3.3V 기반 디지털값(또는 3.3V에 근접한 디지털값)이 또한 CPU(154)에 의해 취득된다. 따라서, 제1 판정 처리에서, 3.3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이 취득되는 경우, CPU(154)는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지 또는 제3 부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3.3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이 취득되는 경우, CPU(154)는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지 또는 제3 부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처리를 추가로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ASIC(72) 내의 스위치를 변경함으로써, CPU(154)는 GPIO 단자(66)로부터 풀다운 저항기(67)를 접속 해제하여 GPIO 단자(66)를 입력 상태로부터 출력 상태로 변경한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된 회로 구성이 초래된다. 이후, 도 7b에 도시된 회로 구성에서, 정전류원(62)은 전류 공급을 개시하고, CPU(154)는 디지털값을 취득한다. 이후, CPU(154)는 취득된 디지털값에 기초하여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지 또는 제3 부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2 판정 처리는 GPIO 단자(66)가 출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회로(70)를 통해 취득된 전압값에 기초한 디지털값을 사용하는 상태 판정 처리이다.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실행되는 제2 판정 처리에서, 출력 유닛(64)이 접지됨에 따라, 0V의 전압(또는 0V에 근접한 전압)이 회로(70)를 통해 증폭기(63) 및 ASIC(72)에 입력될 것이다. 그 결과, CPU(154)는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0V 기반 디지털값을 취득한다. 따라서, CPU(154)는 GPIO 단자(66)가 출력 상태로 설정된 경우, 0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의 취득에 기초하여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도 8a는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에 있고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주 기판 상의 회로(70)는 회로(70)가 다른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고-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고-임피던스 상태에서는, 정전류원(62)이 전류를 전송하려고 하더라도, 어떠한 전류도 유동하지 않는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정전류원(62)에 의해 사용되는 3.3V의 전압은 회로(70)를 통해 증폭기(63)로 출력된다. 그 결과,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3.3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이 CPU(154)에 의해 취득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CPU(154)는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3.3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이 취득되는 경우, 제2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
제2 판정 처리에서, 도 8b에 도시된 회로 구성은 회로를 스위칭함으로써 주어진다. 심지어 이 회로 구성[즉, GPIO 단자(66)가 출력 상태로 설정된 회로 구성]에서도, 회로(70)는 고-임피던스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정전류원(62)이 이러한 회로 구성에서 전류 공급을 개시하더라도, CPU(154)는 제1 판정 처리과 마찬가지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정전류원(62)에 의해 사용되는 3.3V의 전압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을 회로(70)를 통해 취득한다. 따라서, CPU(154)는 GPIO 단자(66)가 출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3.3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의 취득에 기초하여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도 9는 부착부가 어느 부착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취득된 디지털값이 임계값(ADth2) 내지 임계값(ADth3)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부착부는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디지털값이 임계값(ADth2) 내지 임계값(ADth3)의 범위 밖에 있는 경우, 부착부는 제1 부착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정된다. 임계값(ADth2) 내지 임계값(ADth3)의 범위는 기록 헤드(7b)의 정상 상태의 온도(즉, 실온)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을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GPIO 단자(66)가 출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취득된 디지털값이 임계값(ADth1)을 초과하는 경우, 부착부는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GPIO 단자(66)가 출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취득된 디지털값이 임계값(ADth4) 미만인 경우, 부착부는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임계값(ADth1)은 3.3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보다 더 작게 설정되고, 임계값(ADth4)은 0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1)는 회로(70)를 통해 취득된 전압값[즉, CPU(154)에 의해 취득된 디지털값]에 기초한 값을 사용하여 상태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 기록 장치(1)는 취득된 디지털값을 다이오드 온도 센서(73)의 온도 특성에 기초한 계산식에 적용함으로써, 취득된 디지털값에 기초한 온도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기록 장치(1)는 다이오드 온도 센서(73)에 의해 출력된 전압(Vf)에 기초하여 온도를 취득할 수 있어서, 기록 헤드(7b)의 온도를 취득할 수 있다. 이후, 기록 장치(1)는 이러한 방식으로 인쇄 시에 기록 헤드(7b)의 온도를 취득함으로써, 인쇄 중에 기록 헤드(7b)가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온도 판정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은, 예를 들어 인쇄 중에 기록 헤드(7b)의 과도한 온도 상승 또는 과도한 온도 하강 때문에, 잉크 토출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없는 것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태가 식별되는 경우, 기록 장치(1)는 사용자에게 오류를 통지한다.
이후,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장치(1)는 온도 판정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다이오드 온도 센서(73)]로부터의 출력을 취득하기 위한 회로[회로(70)]를 통해 취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태 판정 처리를 또한 수행한다. 이는 상태 판정 처리에 특별한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상태 판정 처리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CPU(15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값 자체가 아니라 디지털값으로부터 취득된 온도 값에 기초하여 상태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CPU(154)는 단지 다이오드 온도 센서(73)로부터 출력값을 취득하기 위한 회로로부터 출력된 값에 기초하여 상태 판정 처리를 수행하면 된다.
CPU(154)는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의 판정 처리(제1 판정 처리) 및 GPIO 단자(66)가 출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의 판정 처리(제2 판정 처리) 모두를 수행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PU(154)는 제1 판정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고, 단지 제2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판정 처리에서, 실온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이 제1 부착 상태에서 취득되고, 0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이 제2 부착 상태에서 취득되며, 3.3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이 제3 부착 상태에서 취득된다. 따라서, 단지 제2 판정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서도, CPU(154)는 부착부가 제1, 제2 및 제3 부착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 판정(식별)할 수 있다.
도 10은 기록 장치(1)에 의해 수행되는 상태 판정 처리, 및 상태 판정 처리의 결과에 기초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흐름도에 의해 나타내는 처리는 CPU(154)가 ROM(15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153)으로 판독한 후에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된다. 흐름도에 의해 나타내는 처리는 기록 장치(1)의 전원이 켜질 때 또는 기록 장치(1)에 부착된 기록 헤드가 교체될 때 개시된다. CPU(154)는, 예를 들어 기록 장치(1)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기록 헤드를 교체하기 위한 커버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기록 장치(1)에 부착된 기록 헤드가 교체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흐름도에 의해 나타내는 처리는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개시된다.
단계(S1001)에서, CPU(154)는 상태 판정 처리(상세하게 후술함)를 수행한다.
단계(S1002)에서, CPU(154)는 단계(S1001)에서 상태 판정 처리에 의해 판정된 부착 상태가 제1 부착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부착 상태가 제1 부착 상태인 경우[단계(S1002)에서 예], 처리는 단계(S1003)로 진행한다. 한편, 부착 상태가 제1 부착 상태가 아닌 경우[단계(S10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004)로 진행한다.
단계(S1003)에서, CPU(154)는 컬러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컬러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킬 때, CPU(154)는 각각의 기록 헤드(7A, 7B) 모두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록 장치(1)는 컬러 인쇄 및 단색 인쇄 모두가 실행될 수 있는 상태로 진입한다. 기록 장치(1)는 컬러 인쇄를 실행하는 지시를 발행하기 위한 컬러 인쇄 지시부, 및 단색 인쇄를 실행하는 지시를 발행하기 위한 단색 인쇄 지시부를 포함한다. 이후, 기록 장치(1)는 사용자가 컬러 인쇄 지시부를 작동시킬 때 컬러 인쇄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단색 인쇄 지시부를 작동시킬 때 단색 인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록 장치(1)가 컬러 인쇄 모드로 작동하는 동안, CPU(154)는 컬러 및 단색 인쇄 지시부를 모두 유효화하여 2개의 지시부로부터 인쇄 지시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지시부는 기록 장치(1)에 포함된 물리적 버튼(도시되지 않음) 또는 기록 장치(1)에 의한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소프트 버튼일 수 있다. 각각의 지시부가 작동될 때 수행되는 인쇄는, 문서를 스캐닝함으로써 기록 장치(1)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인쇄, 또는 기록 장치(1)에 부착된 USB 메모리 및 SD 카드와 같은 메모리 내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인쇄일 수 있다. 컬러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킬 때, CPU(154)는, 예를 들어 기록 장치(1)가 컬러 인쇄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 장치(1)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101)로 송신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1)는 단색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 및 컬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 모두를 기록 장치(1)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컬러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킬 때, CPU(154)는, 예를 들어 기록 헤드(7a 및 7b) 모두가 기록 장치(1)에 부착되고 기록 장치(1)가 컬러 인쇄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004)에서, CPU(154)는 단계(S1001)에서 상태 판정 처리에 의해 식별된 부착 상태가 제2 부착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부착 상태가 제2 부착 상태인 경우[단계(S1004)에서 예], 처리는 단계(S1005)로 진행한다. 한편, 부착 상태가 제2 부착 상태가 아닌 경우[단계(S10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006)로 진행한다.
단계(S1005)에서, CPU(154)는 단색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CPU(154)는 기록 헤드(7a)를 사용하기 위해 기록 헤드(7a)만을 위한 준비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록 장치(1)는 기록 장치(1)가 컬러 인쇄는 수행할 수 없지만 단색 인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록 장치(1)가 단색 인쇄 모드로 작동하는 동안, CPU(154)는 컬러 인쇄 지시부를 무효화하고 단지 단색 인쇄 지시부로부터의 인쇄 지시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CPU(154)는 기록 장치(1)가 단색 인쇄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 장치(1)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101)로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 처리 장치(101)는 컬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을 기록 장치(1)로 송신할 수 없지만, 단색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은 기록 장치(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154)는 기록 헤드(7a)가 기록 장치(1)에 부착되지만 기록 헤드(7b)는 그에 부착되지 않고 기록 장치(1)가 단색 인쇄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006)에서, CPU(154)는 기록 헤드(7b) 및 접촉 보호구(50) 중 어떠한 것도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는 오류(이하에서, 이 오류는 부착 오류로 지칭된다)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오류 통지 처리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CPU(154)는, 예를 들어, 부착 오류가 발생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오류 통지 스크린을, 기록 장치(1)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도시되지 않음)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CPU(154)는 부착 오류가 발생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오류 통지 정보를, 기록 장치(1)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101)로 송신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유닛(108) 상에 오류 통지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1)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록 헤드(7b) 또는 접촉 보호구(50)를 부착부에 부착하도록 촉구하는 통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부착 오류가 발생한 상태에서, 기록 장치(1)는 컬러 인쇄 또는 단색 인쇄를 수행할 수 없다. 더 구체적으로, 부착 오류가 발생하는 동안, CPU(154)는 컬러 인쇄 및 단색 인쇄 지시부 모두를 무효화하고, 기록 장치(1)가 양 지시부로부터 어떠한 인쇄 지시도 수신할 수 없는 모드(오류 모드)로 작동하도록 기록 장치(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CPU(154)는 기록 장치(1)가 오류 모드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 장치(1)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101)로 송신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1)는 컬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 또는 단색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을 기록 장치(1)로 송신할 수 없게 된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11은 기록 장치(1)에 의해 단계(S1001)에서 수행되는 상태 판정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흐름도에 의해 나타내는 처리는 CPU(154)가 ROM(15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153)으로 판독한 후에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된다.
단계(S1101)에서, GPIO 단자(6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CPU(154)는 정전류원(62)에 의한 전류 공급을 개시하고, 회로(70)를 통한 출력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을 취득한다. 디지털값을 취득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S1102)에서, CPU(154)는 제1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CPU(154)는 S1101에서 취득된 디지털값 및 도 9에 도시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단계(S1102)에서 예], 처리는 단계(S1103)로 진행한다. 한편,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단계(S1102)에서 아니오], 처리는 S1104로 진행한다.
단계(S1103)에서, CPU(154)는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이 식별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의 처리에서 참조된다. 이후, CPU(154)는 도 11의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는 도 10의 단계(S1002)로 진행한다.
단계(S1104)에서, CPU(154)는 GPIO 단자(66)로부터 풀다운 저항기(67)를 접속 해제하여 GPIO 단자(66)를 입력 상태로부터 출력 상태로 변경한다.
단계(S1105)에서, CPU(154)는 정전류원(62)에 의한 전류 공급을 개시하고, 회로(70)에 의한 출력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을 취득한다. 디지털값을 취득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S1106)에서, CPU(154)는 제2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CPU(154)는 S1105에서 취득된 디지털값 및 도 9에 도시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또는 제3 부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단계(S1106)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107)로 진행한다. 한편,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단계(S1106)에서 예], 처리는 단계(S1108)로 진행한다.
단계(S1107)에서, CPU(154)는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이 식별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의 처리에서 참조된다. 이후, 처리는 단계(S1109)로 진행한다.
단계(S1108)에서, CPU(154)는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이 식별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의 처리에서 참조된다. 이후, 처리는 단계(S1109)로 진행한다.
단계(S1109)에서, CPU(154)는 풀다운 저항기(67)와 GPIO 단자(66) 사이의 접속을 재확립하여 GPIO 단자(66)를 출력 상태로부터 입력 상태로 변경한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하고, 이후 도 10의 단계(S1002)로 진행한다.
상술한 구성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1)가 제1, 제2 및 제3 부착 상태 중 부착부가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적합하게 판정하고, 이후 식별된 부착 상태에 따라 적합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기록 헤드(7b)가 부착되는 부착부의 부착 상태뿐만 아니라 기록 헤드(7a)가 부착되는 부착부의 부착 상태도 고려하여 기록 장치(1)가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제2 예시적 실시예를 후술한다. 이하에서, 기록 헤드(7a)가 부착되는 부착부는 제1 부착부로 지칭되고, 기록 헤드(7b)가 부착되는 부착부는 제2 부착부로 지칭된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헤드(7b)뿐만 아니라 기록 헤드(7a) 도 기록 장치(1)에 부착 가능하고 그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그러나, 제2 부착부와 달리, 접촉 보호구(50)는 제1 부착부에 결코 부착되지 않는다. 이는, 기록 헤드(7b)와 달리, 기록 헤드(7a)는 도착 시에 기록 장치(1)에 부착되어 있고 따라서 헤드 커넥터(41)가 기록 헤드(7a)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부착부의 부착 상태는 제1 및 제3 부착 상태를 포함하지만, 제2 부착 상태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CPU(154)는 제2 부착부의 부착 상태로서 제1, 제2 및 제3 부착 상태 중 하나를 판정하고, 제1 부착부의 부착 상태로서 제1 및 제3 부착 상태 중 하나를 판정한다. 이하에서, 제1 부착부에 관한 상태 판정 처리는 제1 상태 판정 처리로 지칭되고, 제2 부착부에 관한 상태 판정 처리는 제2 상태 판정 처리로 지칭된다. 제2 상태 판정 처리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태 판정 처리와 유사하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 판정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a는 제1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기록 장치(1)의 본체측에 배치된 주 기판 상의 회로(131)는 다이오드 온도 센서(143)로부터의 출력을 얻기 위한 회로(140), 및 인쇄 데이터를 기록 헤드(7a)에 입력하기 위한 회로(141)를 포함한다. 회로(140)는 헤드 커넥터(41a) 및 패드(31a)를 통해 기록 헤드(7a)와 접속한다. 회로(141)는 헤드 커넥터(41c) 및 패드(31c)를 통해 기록 헤드(7a)와 접속한다.
회로 구성요소(134 내지 139 및 141)는 인쇄 데이터를 기록 헤드(7a)로 송신하기 위한 회로 구성이다. 인쇄 데이터는 저항기(138) 및 커패시터(139)로 형성된 필터를 통해 기록 헤드(7a) 내의 로직 블록(144)으로 송신된다. 기록 헤드(7a)는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잉크를 토출한다. GPIO 단자(136)는 ASIC(142)와 회로(141) 사이를 접속하고 입력 및 출력 상태에서 작동한다. 입력 및 출력 상태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ASIC(142)는 풀다운 저항기(137)를 포함한다. 풀다운 저항기(137)는 GPIO 단자(136)가 입력 상태에 있는 경우 GPIO 단자(136)와 접속된다. 도 13a는 GPIO 단자(136)가 입력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제1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회로(131) 내의 정전류원(132)은 기록 헤드(7a)의 회로 내의 다이오드 온도 센서(143)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 구성에 의해, 다이오드 온도 센서(143)는 기록 헤드(7a)의 온도에 기초하여 전압(Vf)을 출력한다.
전압(Vf)은 미소한 값을 갖기 때문에, 다이오드 온도 센서(143)는 전압(Vf)을 증폭하기 위해 증폭기(133)에 전압(Vf)을 출력한다. 따라서, 증폭기(133)는 전압(Vf)의 증폭된 값을 갖는 전압(Vfa)을 출력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증폭기(133)는 GAIN = α 및 오프셋 = β인 특성를 갖고, 따라서 전압(Vfa)의 구체적인 값인 αVf + β를 제공한다. 이후, 증폭기(133)는 ASIC(142)에 포함된 컨버터에 전압(Vfa)을 출력한다. ASIC(142)는 컨버터를 사용하여 전압(Vfa)에 대해 AD 변환을 수행하고 전압(Vf)에 기초한 디지털값을 출력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10-비트 컨버터는 기준 전압(Vref)(= 3.3V)으로 AD 변환을 수행하고, 따라서 구체적인 디지털값은 1024(αVf + β)/3.3이 된다. 이후, ASIC(142)는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디지털값을 CPU(154)로 출력한다. 따라서,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CPU(154)는 회로(140)를 통해 다이오드 온도 센서(143)로부터 취득된 전압(Vf)에 기초하여 디지털값을 취득한다. 이후, CPU(154)는 특정 범위 내의 디지털값의 취득에 기초하여 제1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이 경우, 기록 헤드(7b)의 온도는 실온에 근접하기 때문에, CPU(154)는 실온에 근접한 온도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의 취득에 기초하여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회로(140)를 통해 취득된 전압값에 기초한 디지털값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제1 부착부에 관한 상태 판정 처리는 이하에서 제3 판정 처리로 지칭된다.
도 13b는 제1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제1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주 기판 상의 회로(141)는 회로(141)가 다른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고-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고-임피던스 상태에서는, 정전류원(132)이 전류를 유동시키려고 하더라도, 어떠한 전류도 유동하지 않는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정전류원(132)에 의해 사용되는 3.3V의 전압은 회로(140)를 통해 증폭기(133)로 출력된다. 그 결과, 제1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 3.3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이 CPU(154)에 의해 취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보호구(50)는 제1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고, 따라서 제1 부착부는 제2 부착 상태로 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CPU(154)는 3.3V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의 취득에 기초하여 제1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판정 처리는 GPIO 단자(13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판정 처리는 GPIO 단자(136)가 출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1 부착부를 통해 출력을 얻고 제1 부착부를 통해 출력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회로(61), 및 제2 부착부를 통해 출력을 얻고 제2 부착부를 통한 출력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회로(131)는 개별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61 및 131) 내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4는 기록 장치(1)에 의해 수행되는 상태 판정 처리, 및 상태 판정 처리의 결과에 기초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흐름도에 의해 나타내는 처리는 CPU(154)가 ROM(15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153)으로 판독한 후에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된다. 흐름도에 의해 나타내는 처리는 기록 장치(1)의 전원이 켜질 때 또는 기록 장치(1)에 부착된 기록 헤드가 교체될 때 개시된다. CPU(154)는, 예를 들어 기록 장치(1)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기록 헤드를 교체하기 위한 커버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기록 장치(1)에 부착된 기록 헤드가 교체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흐름도에 의해 나타내는 처리는 GPIO 단자(13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개시된다.
단계(S1401)에서, CPU(154)는 제1 상태 판정 처리(상세하게 후술함)를 수행한다.
단계(S1402)에서, CPU(154)는 제2 상태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 제2 상태 판정 처리의 상세는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S1403)에서, CPU(154)는 단계(S1401)에서 제1 상태 판정 처리에 의해 식별된 제1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1 부착 상태(또는 제3 부착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1 부착 상태인 경우[단계(S1403)에서 예], 처리는 단계(S1407)로 진행한다. 한편, 제1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1 부착 상태가 아닌 경우[단계(S14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404)로 진행한다.
단계(S1404)에서, CPU(154)는 단계(S1402)에서 제2 상태 판정 처리에 의해 식별된 제2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3 부착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3 부착 상태인 경우[단계(S1404)에서 예], 처리는 단계(S1405)로 진행된다. 한편, 제2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3 부착 상태가 아닌 경우[단계(S1404)에서 아니오], 처리는 S1406으로 진행한다.
단계(S1405)에서, CPU(154)는 어떠한 부착 부재도 제1 및 제2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오류(이하에서, 이 오류는 제1 부착 오류로 지칭된다)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제1 오류 통지 처리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CPU(154)는 제1 부착 오류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1 오류 통지 스크린을, 기록 장치(1)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도시되지 않음)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CPU(154)는 제1 부착 오류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1 오류 통지 정보를, 기록 장치(1)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101)로 송신한다. 이 작동으로, 정보 처리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유닛(108) 상에 제1 오류 통지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컬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 또는 단색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을 기록 장치(1)로 송신할 수 없는 상태로 진입한다. 제1 예시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록 장치(1)는 부착 오류가 발생한 상태에서 컬러 인쇄 또는 단색 인쇄를 수행할 수 없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1)는 사용자가 기록 헤드(7a)를 제1 부착부에 부착하고 기록 헤드(7b) 또는 접촉 보호구(50)를 제2 부착부에 부착하도록 촉구하는 통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406)에서, CPU(154)는 기록 헤드(7a)가 부착되는 제1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오류(이하에서, 이 오류는 제2 부착 오류로 지칭된다)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제2 오류 통지 처리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CPU(154)는 제2 부착 오류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2 오류 통지 스크린을, 기록 장치(1)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도시되지 않음)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CPU(154)는 제2 부착 오류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2 오류 통지 정보를, 기록 장치(1)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101)로 송신한다. 이 작동으로, 정보 처리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유닛(108) 상에 제2 오류 통지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컬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 또는 단색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을 기록 장치(1)로 송신할 수 없는 상태로 진입한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1)는 사용자가 기록 헤드(7a)를 제1 부착부에 부착하도록 촉구하는 통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407)에서, CPU(154)는 단계(S1402)에서 제2 상태 판정 처리에 의해 식별된 제2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1 부착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1 부착 상태인 경우[단계(S1407)에서 예], 처리는 단계(S1408)로 진행한다. 한편, 제2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1 부착 상태가 아닌 경우[단계(S1407)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409)로 진행한다.
단계(S1408)에서, CPU(154)는 컬러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킨다. 컬러 인쇄 모드의 상세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409)에서, CPU(154)는 단계(S1402)에서 제2 상태 판정 처리에 의해 식별된 제2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2 부착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2 부착 상태인 경우[단계(S1409)에서 예], 처리는 단계(S1410)로 진행한다. 한편, 제2 부착부의 부착 상태가 제2 부착 상태가 아닌 경우[단계(S14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411)로 진행한다.
단계(S1410)에서, CPU(154)는 단색 인쇄 모드로 기록 장치(1)를 작동시킨다. 단색 인쇄 모드의 상세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411)에서, CPU(154)는 제3 오류 통지 처리를 수행한다. 제3 오류 통지 처리는 기록 헤드(7b) 및 접촉 보호구(50) 중 어느 것도 제2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오류(이하에서, 이 오류는 제3 부착 오류로 지칭된다)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수행된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CPU(154)는 제3 부착 오류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3 오류 통지 스크린을, 기록 장치(1)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도시되지 않음)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CPU(154)는 제3 부착 오류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3 오류 통지 정보를, 기록 장치(1)와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101)로 송신한다. 이 작동으로, 정보 처리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유닛(108) 상에 제3 오류 통지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컬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 또는 단색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작업을 기록 장치(1)로 송신할 수 없는 상태로 진입한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1)는 사용자가 기록 헤드(7b) 또는 접촉 보호구(50)를 제2 부착부에 부착하도록 촉구하는 통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이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PU(154)가 제1 상태 판정 처리를 통해 제1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 경우, CPU(154)는 제2 상태 판정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오류 통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처리 내용(오류 통지 스크린의 내용 및 오류 통지 정보의 내용을 포함)은 각각의 오류 통지 처리에 대해 상이하지만, 처리 내용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154)는 각각의 오류 통지 처리에서, 어떠한 부착 부재도 적어도 하나의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오류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류 통지 스크린 및 오류 통지 정보는 각각의 오류 통지 처리에 대해 동일하다.
도 15는, 기록 장치(1)에 의해 단계(S1401)에서 수행되는 제1 상태 판정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흐름도에 의해 나타내는 처리는 CPU(154)가 ROM(15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153)으로 판독한 후에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된다.
단계(S1501)에서, GPIO 단자(136)가 입력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CPU(154)는 정전류원(132)에 의한 전류 공급을 개시하고, 회로(140)를 통한 출력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을 취득한다. 디지털값을 취득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S1502)에서, CPU(154)는 제3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CPU(154)는 단계(S1501)에서 취득된 디지털값 및 도 9에 도시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경우[단계(S1502)에서 예], 처리는 단계(S1503)로 진행한다. 한편,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단계(S15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1504)로 진행한다.
단계(S1503)에서, CPU(154)는 제1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이 식별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4에 도시된 흐름도의 처리에서 참조된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는 단계(S1402)로 진행한다.
단계(S1504)에서, CPU(154)는 제1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것을 식별한다. 이 식별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4에 도시된 흐름도의 처리에서 참조된다. 이후, CPU(154)는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는 단계(S1402)로 진행한다.
상술한 구성은 기록 장치(1)가 각각의 부착부에 적합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흑색 잉크가 기록 헤드(7a) 외부의 잉크 탱크(9)로부터 공급되고 비-흑색 잉크(컬러 잉크)가 기록 헤드(7b)에 미리 저장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흑색 잉크(컬러 잉크)는 또한 기록 헤드(7b) 외부의 잉크 탱크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컬러의 잉크가 기록 헤드(7b)에 저장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컬러의 잉크가 하나의 기록 헤드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기록 헤드(7b)가 부착부에 부착 가능하고 그로부터 탈착 가능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록 헤드(7b) 자체 대신에, 기록 헤드(7b)에 컬러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카트리지가 기록 헤드(7b)에 부착 가능하고 그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기록 장치(1)가 잉크젯 프린터가 아니라 전자 사진 프린터인 경우, 예를 들어 기록재로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가 부착부에 부착 가능하고 그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기록 헤드가 기록 장치(1)에 부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하나의 기록 헤드가 기록 장치(1)에 부착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3개 이상의 기록 헤드가 그에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상태 판정 처리 및 그 결과에 따른 처리가 각각의 부착부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상태 판정 처리가 다이오드 온도 센서(143)로부터의 출력을 얻기 위한 구성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PU(154)는 기록 헤드 및 접촉 패드에 포함된 식별 ID를 취득하려는 시도를 행할 수 있고, 식별 ID의 취득이 성공적인지 여부 및 취득된 식별 ID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태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CPU(154)는 부착부에 부착된 부착 부재를 검출하기 위해, 기록 장치(1) 상에 제공되는 물리적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태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태 판정 처리를 위한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단지 상태 판정 처리의 결과에 따른 처리가 수행되면 된다.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CPU(154)가 컬러 인쇄 모드를 설정하고, 단색 인쇄 모드를 설정하며, 판정 결과에 따른 처리로서 통지 처리를 수행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상이한 처리가 판정 결과에 따라 수행되면 된다. 예를 들어, 판정 결과에 따라 상이한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제어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부착부가 제1 부착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부착부가 제2 부착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부착부가 제3 부착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되고,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고 실행할 때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예를 들면, ASIC)에 의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기록 장치로서, 적어도 제1 컬러의 기록재 및 제2 컬러의 기록재를 사용하는 제1 인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제1 인쇄 모드, 및 상기 제1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사용하고 상기 제2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사용하지 않는 제2 인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제2 인쇄 모드로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갖는 제1 부착 부재 또는 상기 저장 유닛을 갖지 않는 제2 부착 부재가 부착 가능한 부착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이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온도에 기초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상기 기록 장치 내에 포함되는 미리 정의된 구성요소를 통해 미리 정의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상기 온도에 기초하는 상기 정보가 상기 미리 정의된 정보로서 취득되는, 취득 유닛;
    상기 취득되는 미리 정의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지 또는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판정 유닛; 및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인쇄 모드로 상기 기록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인쇄 모드로 상기 기록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착 부재는 상기 부착부의 접속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인,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착 부재 중 어느 것도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통지를 발행하는 통지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처리는,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를 발행하기 위한 통지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및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를 발행하기 위한 통지 정보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인, 기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처리는, 상기 제1 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부착 부재 중 어느 것도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처리,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부착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착 부재를 상기 부착부에 부착하도록 촉구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인,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부착 부재 중 어느 것도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인쇄 처리 및 상기 제2 인쇄 처리 중 어느 것도 수행되지 않는 제3 인쇄 모드로 작동되는,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부재는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온도에 기초하는 전압값을 출력하기 위한 미리 정의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의된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을 얻기 위한 제1 회로이며,
    상기 미리 정의된 정보는 상기 제1 회로를 통해 취득되는 상기 전압값에 기초하는 미리 정의된 출력이고,
    상기 부착부가 상기 제1 부착 부재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출력은 상기 미리 정의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압값에 기초하는 출력인,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부착 부재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회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착 부재는 상기 제1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를 회로 단락하기 위한 단락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출력은 상기 제1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가 상기 단락 회로에 의해 회로 단락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회로를 통해 취득되는 상기 전압값에 기초하는 출력인,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처리는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처리, 및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정 처리는 상기 제1 판정 처리가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신호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부재로 출력가능한 출력 상태, 및 상기 신호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상기 부재로 출력되지 않는 입력 상태 중 하나에 있고,
    상기 제1 판정 처리는 상기 제2 회로가 상기 입력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회로를 통해 취득되는 상기 전압값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 정의된 출력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2 판정 처리는 상기 제2 회로가 상기 출력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회로를 통해 취득되는 상기 전압값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 정의된 출력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기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신호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부재로 출력가능한 출력 상태, 및 상기 신호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상기 부재로 출력되지 않는 입력 상태 중 하나에 있고,
    상기 판정 처리는 상기 제2 회로가 상기 출력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회로를 통해 취득되는 상기 전압값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 정의된 출력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기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처리는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지,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지, 또는 상기 제1 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부착 부재 중 어느 것도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지 않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수행되고,
    상기 제1 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부착 부재 중 어느 것도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회로는 고-임피던스 상태가 되며,
    상기 제1 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부착 부재 중 어느 것도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출력은 상기 고-임피던스 상태의 상기 제1 회로를 통해 취득되는 상기 전압값에 기초하는 출력인, 기록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출력은 상기 제1 회로를 통해 취득되는 상기 전압값에 대한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을 통해 얻는 값인, 기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와 상이하고 상기 제1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갖는 제3 부착 부재가 부착 가능한 다른 부착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착 부재가 상기 다른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인쇄 모드로 작동되며,
    상기 제3 부착 부재가 상기 다른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2 인쇄 모드로 작동되는, 기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착 부재가 상기 다른 부착부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통지를 발행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록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제2 인쇄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기록 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제1 인쇄 처리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인쇄 작업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되지 않는 상태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록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제1 부착 부재는 상기 제2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 또는 상기 제2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저장하기 위한 카트리지인, 기록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의 상기 기록재는 흑색 기록재이고, 상기 제2 컬러의 상기 기록재는 비-흑색 기록재인, 기록 장치.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상기 온도에 관한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오류 판정 유닛; 및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상기 온도에 관한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상기 온도에 관한 상기 오류의 상기 발생에 대한 통지를 발행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록 장치.
  19. 기록 장치로서, 적어도 제1 컬러의 기록재 및 제2 컬러의 기록재를 사용하는 제1 인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제1 인쇄 모드, 및 상기 제1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사용하고 상기 제2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사용하지 않는 제2 인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제2 인쇄 모드로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갖는 제1 부착 부재 또는 상기 저장 유닛을 갖지 않는 제2 부착 부재가 부착 가능한 부착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이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온도에 기초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상기 기록 장치 내에 포함되는 미리 정의된 구성요소를 통해 미리 정의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상기 온도에 기초하는 상기 정보가 상기 미리 정의된 정보로서 취득되는, 취득 유닛;
    상기 취득되는 미리 정의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지 또는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판정 유닛; 및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인쇄 모드로 상기 기록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인쇄 모드로 상기 기록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착 부재는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온도에 기초하는 전압값을 출력하기 위한 미리 정의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의된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을 얻기 위한 제1 회로이며,
    상기 미리 정의된 정보는 상기 제1 회로를 통해 취득되는 상기 전압값에 기초하는 미리 정의된 출력이고,
    상기 부착부가 상기 제1 부착 부재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출력은 상기 미리 정의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압값에 기초하는 출력인, 기록 장치.
  20. 기록 장치로서, 적어도 제1 컬러의 기록재 및 제2 컬러의 기록재를 사용하는 제1 인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제1 인쇄 모드, 및 상기 제1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사용하고 상기 제2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사용하지 않는 제2 인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제2 인쇄 모드로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갖는 제1 부착 부재 또는 상기 저장 유닛을 갖지 않는 제2 부착 부재가 부착 가능한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와 상이하고 상기 제1 컬러의 상기 기록재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갖는 제3 부착 부재가 부착 가능한 다른 부착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이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온도에 기초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상기 기록 장치 내에 포함되는 미리 정의된 구성요소를 통해 미리 정의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상기 온도에 기초하는 상기 정보가 상기 미리 정의된 정보로서 취득되는, 취득 유닛;
    상기 취득되는 미리 정의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지 또는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판정 유닛; 및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인쇄 모드로 상기 기록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인쇄 모드로 상기 기록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착 부재가 상기 다른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인쇄 모드로 작동되며,
    상기 제3 부착 부재가 상기 다른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부착 부재가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2 인쇄 모드로 작동되는, 기록 장치.
KR1020200037493A 2019-04-05 2020-03-27 기록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647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72547A JP7406879B2 (ja) 2019-04-05 2019-04-05 記録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9-072547 2019-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872A KR20200117872A (ko) 2020-10-14
KR102647070B1 true KR102647070B1 (ko) 2024-03-14

Family

ID=7015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493A KR102647070B1 (ko) 2019-04-05 2020-03-27 기록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25397B2 (ko)
EP (1) EP3718775A1 (ko)
JP (1) JP7406879B2 (ko)
KR (1) KR102647070B1 (ko)
CN (1) CN111791584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0697A (ja) 1999-11-30 2001-06-05 Canon Inc 走査装置
JP2004229139A (ja) * 2003-01-24 2004-08-12 Canon Inc 情報通信装置
US20040239712A1 (en) 2002-09-05 2004-12-02 Hsieh-Sheng Liao Inkjet printer using thermal sensing elements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010A (ja) * 1992-10-13 1994-05-06 Konica Corp カラー画像記録装置
US6164740A (en) 1996-10-17 2000-12-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hangeable recording means and method of forming image
JPH10123789A (ja) * 1996-10-17 1998-05-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制御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
JPH1191141A (ja) * 1997-09-19 1999-04-0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KR20030035514A (ko) * 2001-10-31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트리지를 임의로 장착할 수 있는 잉크젯프린터 및장착된 카트리지 인식방법
US7325896B2 (en) * 2003-05-30 2008-0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mperature calibration for fluid ejection head
JP3969392B2 (ja) * 2004-01-05 2007-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印刷モードとモノクロ印刷モードを切り替え可能にした画像形成装置
JP4325613B2 (ja) * 2005-11-30 2009-09-0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7155831A (ja) * 2005-11-30 2007-06-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4609665B2 (ja) * 2006-03-31 2011-0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収納装置に対する保護装置
JP5058512B2 (ja) * 2006-05-11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4232793B2 (ja) * 2006-05-31 2009-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消費装置および液体消費量管理方法
JP4986599B2 (ja) * 2006-12-18 2012-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5720148B2 (ja) 2010-09-03 2015-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材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JP5861313B2 (ja) * 2011-08-24 2016-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6234117B2 (ja) * 2013-08-30 2017-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5173941A1 (ja) * 2014-05-16 2015-11-1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17185722A (ja) 2016-04-07 2017-10-1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6661462B2 (ja) * 2016-05-16 2020-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補給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0697A (ja) 1999-11-30 2001-06-05 Canon Inc 走査装置
US20040239712A1 (en) 2002-09-05 2004-12-02 Hsieh-Sheng Liao Inkjet printer using thermal sensing elements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JP2004229139A (ja) * 2003-01-24 2004-08-12 Canon Inc 情報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872A (ko) 2020-10-14
EP3718775A1 (en) 2020-10-07
JP2020168828A (ja) 2020-10-15
US20200316959A1 (en) 2020-10-08
CN111791584A (zh) 2020-10-20
JP7406879B2 (ja) 2023-12-28
US11325397B2 (en) 2022-05-10
CN111791584B (zh)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427B2 (en) Detection of a print recording material reservoir
US9858613B2 (en) Server device and program in cartridge ordering system
US2011005797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ation enabling or disabl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843478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050286913A1 (en) Method for imaging with an imaging apparatus that facilitates the use of a starter cartridge
US2017001511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n image forming program
US20200361216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ermitting Another Apparatus to Temporarily Use A Cartridge for The Image Recording Apparatus
US913740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647070B1 (ko) 기록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6527089B (zh) 图像形成装置及消耗品管理方法
US20050057592A1 (en) Printing system and print controller
JP2006277346A (ja) ホスト機器、通信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方法
KR102248801B1 (ko)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JP4634234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環境温度センサの接続状態判定方法
JP2006281691A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1765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635922B2 (en) Image recording device
JP4190319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20129223A1 (en) Print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ctivation of printing apparatus
JP2016147474A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423201B (zh) 图像形成装置及控制方法
JP2022176853A (ja) 印刷装置、印刷処理システム、及び、印刷処理方法
JP2019006089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99042A (ja) 記録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2200741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