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188B1 - 공작 기계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188B1
KR102640188B1 KR1020217035597A KR20217035597A KR102640188B1 KR 102640188 B1 KR102640188 B1 KR 102640188B1 KR 1020217035597 A KR1020217035597 A KR 1020217035597A KR 20217035597 A KR20217035597 A KR 20217035597A KR 102640188 B1 KR102640188 B1 KR 102640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machine body
arrangement
door
set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792A (ko
Inventor
마사히로 가와스미
Original Assignee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06Turning-machines or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special arrangement of constructional units
    • B23B3/065Arrangements for performing other machining operations, e.g. milling,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78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04Type of machine
    • Y10T29/5109Lath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발판의 오염을 억제하면서 셋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공작 기계를 제공한다. 공작 기계(1)의 기계 본체(10)는, 가공 영역(21)을 둘러싸는 스플레시 가드(20)와, 상기 스플레시 가드(20)의 개구부(22)를 개폐 가능한 도어(25)를 포함하고 있다. 공작 기계(1)의 발판(50)은, 기계 본체(10)에 대하여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발판(50)은, 도어(25)가 닫혀 있을 때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기계 본체(10)의 외부(O1)에 배치되고, 도어(25)가 열려 있을 때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기계 본체(10)의 외부(O1)로부터 개구부(22)를 통과하여 가공 영역(21)에 들어가는 셋업용 배치(52)로 변경 가능하다.

Description

공작 기계
본 발명은, 셋업용의 발판을 구비하는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대형의 선반 등에서는, 셋업 시에 작업자가 가공 영역에 들어가서 부품을 탈착하거나 절삭칩을 배출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올라타는 것이 가능한 발판이 가공 영역 내에 있어서 스플레시 가드(splash guard)의 개구부의 가까이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공작 기계는, 가공용 형태와 셋업용 형태로 변형 가능한 발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발판은, 가공용 형태로 있을 때에도 셋업용 형태로 있을 때에도 스플레시 가드의 개구부 내측의 가공 영역에 또한 상기 개구부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5-13335호 공보
가공 시에도 발판이 가공 영역 내에 있으면, 발판이 절삭유나 절삭칩에 노출된다. 이 때문에, 셋업 시에 작업자가 청소하지 않고 발판을 올라타면, 절삭유나 절삭칩이 구두에 부착되어 기계 본체의 주위를 오염시키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 공장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등을 위해서는, 발판을 청소하는 작업이 발생한다.
한편, 셋업 시에 작업자가 기계 본체의 외부로부터 가공 영역 내에 발판을 넣고, 가공 시에 작업자가 기계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작업을 행하는 것은, 번거롭다.
본 발명은, 발판의 오염을 억제하면서 셋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작 기계를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작 기계는, 가공 영역을 둘러싸는 스플레시 가드와, 상기 스플레시 가드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기계 본체와,
상기 기계 본체에 대하여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기계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계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려 있을 때 상기 기계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상기 기계 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가공 영역에 들어가는 셋업용 배치로 변경 가능한 태양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의 오염을 억제하면서 셋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공작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공작 기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가공 시의 공작 기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의 B는 셋업 시의 공작 기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발판이 수납용 배치이 경우의 공작 기계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발판이 셋업용 배치인 경우의 공작 기계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수납용 배치의 발판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발판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발판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발판의 위치 결정 구조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물론,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특징 전부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로 된다고는 할 수 없다.
(1)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의 개요:
먼저, 도 1∼8에 나타내는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의 개요를 설명한다. 그리고, 본원의 도면은 모식적으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각 방향의 확대율은 다른 경우가 있고, 각도는 정합(整合)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물론, 본 기술의 각 요소는, 부호로 나타내는 구체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태양 1]
본 기술의 일태양에 따른 공작 기계(예를 들면, 선반(1))은, 기계 본체(10)와 발판(5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계 본체(10)는, 가공 영역(21)을 둘러싸는 스플레시 가드(20)와, 상기 스플레시 가드(20)의 개구부(22)를 개폐 가능한 도어(2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판(50)은, 상기 기계 본체(10)에 대하여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발판(50)은, 상기 도어(25)가 닫혀 있을 때 상기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계 본체(10)의 외부(O1)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25)가 열려 있을 때 상기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상기 기계 본체(10)의 외부(O1)로부터 상기 개구부(22)를 통하여 상기 가공 영역(21)에 들어가는 셋업용 배치(52)로 변경 가능하다.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발판(50)은, 도어(25)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가공이 행해질 때 기계 본체(10)의 외부(O1)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절삭유나 절삭칩의 부착이 억제되고, 양호한 안전성도 유지된다. 도어(25)가 열려서 셋업 작업이 행해질 때, 발판(50)의 배치는,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기계 본체(10)의 외부(O1)로부터 개구부(22)를 통하여 가공 영역(21)에 들어가는 셋업용 배치(52)로 변경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작업자(P)는, 발판(50)을 기계 본체 외에 대기시키고 있는 상태보다 용이하게 셋업용 배치(52)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태양은, 발판의 오염을 억제하면서 셋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공작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셋업용 배치(52)의 발판(50)이 개구부(22)를 가로지르고 있으므로, 도어(25)의 폐쇄 동작이 저해됨으로써 도어 인터록(interlock) 기능이 유효하게 되어, 셋업 시에 작업자의 안전성이 유지된다.
[태양 2]
도 4 등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판(50)은, 상기 셋업용 배치(52)에 있어서 작업자(P)가 올라타는 것이 가능한 디딤판면(61)이며 상기 도어(25)가 닫혀 있을 때의 수납용 배치(51)로부터 상기 셋업용 배치(52)로 되면 방향이 바뀌는 디딤판면(61)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로써, 잡을 때에는 발판(50)의 디딤판면(61)에 작업자(P)가 올라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판 수납 시에는 디딤판면(61)의 방향이 셋업 시와는 상이하므로, 본 태양은, 발판의 수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디딤판면의 방향을 바꾸는 기구에는, 디딤판면을 가지는 디딤판을 회동(回動)시키는 기구, 디딤판을 슬라이드 및 회동시키는 기구(도 6 참조), 곡선형 가이드를 따라 디딤판을 안내하는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이 포함된다. 이 부언은, 이하의 태양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 2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납용 배치로부터 셋업용 배치가 되어도 디딤판면의 방향이 바뀌지 않는 경우도, 본 기술에 포함된다.
[태양 3]
도 2의 A 등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판(50)은, 상기 도어(25)가 닫혀 있을 때의 수납용 배치(51)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평 위치(예를 들면, 수평 위치 P1, P2)를 변경 가능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 작업자(P)는, 도어(25)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가공이 행해질 때 수납용 배치(51)의 발판(50)의 수평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태양은, 수납용 배치의 발판을 가공 시에 방해되지 않는 수평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발판의 수평 위치는, 발판의 수평 성분의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수납용 배치의 발판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해도 되고, 이동에 수평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수평 방향으로부터 위 또는 아래로 벗어난 방향으로 이동해도 된다. 이 부언은, 이하의 태양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 3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수납용 배치의 발판의 수평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경우도, 본 기술에 포함된다.
[태양 4]
도 2의 B 등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판(50)은, 상기 셋업용 배치(52)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평 위치(예를 들면, 수평 위치 P2, P3)를 변경 가능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 작업자(P)는, 도어(25)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기계 본체(10)의 외부(O1)로부터 개구부(22)를 통하여 가공 영역(21)에 들어가 있는 발판(50)의 수평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작 기계(1)가 서로 대향하는 제1 주축 및 제2 주축을 가지는 선반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 제1 주축에 가까운 수평 위치에 셋업용 배치(52)의 발판(50)을 설치함으로써 제1 주축의 주변의 셋업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제2 주축에 가까운 수평 위치에 셋업용 배치(52)의 발판(50)을 설치함으로써 제2 주축의 주변의 셋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태양은, 셋업 시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양 4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셋업용 배치의 발판의 수평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경우도, 본 기술에 포함된다.
[태양 5]
도 4, 5 등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판(50)은, 상기 기계 본체(10)에 대하여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디딤판(60)과, 상기 셋업용 배치(52)에 있어서 작업자(P)가 탈 수 있도록 상기 디딤판(60)을 지지 가능한 각부(脚部)(70)와, 상기 디딤판(60)에 대하여 상기 각부(70)를 경동(傾動)시키는 경동 기구(75)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경동 기구(75)는, 상기 디딤판(60)을 지지하는 사용 상태(71)와, 상기 디딤판(60)을 따른 비사용 상태(72)로 상기 각부(70)를 경동 가능이라도 된다. 상기 기계 본체(10)는, 상기 발판(50)이 상기 셋업용 배치(52)로 되고, 또한 상기 각부(70)가 상기 사용 상태(71)로 되어 있을 때 상기 각부(70)의 선단(70a)을 탑재하는 탑재부(예를 들면, 후 경사부(18))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로써, 셋업 시에는, 기계 본체(10)의 탑재부에 탑재된 사용 상태(71)의 각부(70)에 의해 디딤판(60)이 지지되어, 발판(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판 수납 시에 각부(70)를 디딤판(60)을 따른 방해되지 않는 경사로 할 수 있으므로, 본 태양은, 발판의 수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발판이 디딤판과 각부와 경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본 기술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태양 6]
도 1 등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계 본체(10)는, 상기 도어(25)가 존재하는 외면(15)에서의 하부에 안쪽으로 움패인 퇴피부(16)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발판(50)은, 상기 도어(25)가 닫혀 있을 때의 수납용 배치(51)에 있어서 상기 퇴피부(16)에 수납되어도 된다. 본 태양은, 기계 본체(10)의 외부(O1)에 배치된 발판(50)이 기계 본체(10)하부의 퇴피부(16)에 수납되므로, 발판을 수납하는 전용의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 6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기계 본체에 퇴피부가 없는 경우도, 본 기술에 포함된다.
(2) 공작 기계의 구체예:
도 1은, 공작 기계의 예로서 주축 고정형의 NC(수치 제어) 선반(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본 선반(1)은, 대형이므로, 셋업 시에 작업자(P)가 가공 영역(21)에 들어가기 위한 작업용의 발판(5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의 A는, 가공 시의 선반(1)의 정면을 모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2의 B는, 셋업 시의 선반(1)의 정면을 모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발판(50)이 수납용 배치(51)인 경우의 선반(1)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발판(50)이 셋업용 배치(52)인 경우의 선반(1)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수납용 배치(51)의 발판(50)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참조되는 도면은, 본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본 기술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부의 위치 관계의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좌우를 반대로 하거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거나 등을 하는 것도, 본 기술에 포함된다. 또한, 방향이나 위치 등의 동일은, 엄밀한 일치로 한정되지 않고, 오차에 의해 엄밀한 일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 2의 B 등에 나타내는 선반(1)은, 주축(41, 42)이나 공구대(43, 44)나 조작부(45)나 도시하지 않은 NC 장치 등을 가지는 기계 본체(10)와, 상기 기계 본체(10)에 대하여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발판(50)을 구비하고 있다. 정면 주축(41)과 배면 주축(42)은, 도 2의 B의 좌우 방향인 Z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공작물(W1)을 파지하여 회전 가능하다. 선반(1)이 주축 고정형인 경우, 정면 주축(41)은 Z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정면 가공 후의 공작물(W1)을 정면 주축(41)으로부터 배면 주축(42)으로 건네 주는 경우, 배면 주축(42)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작물(W1)을 받아도 된다. 공작물(W1)을 가공하기 위한 공구를 유지하는 공구대(43, 44)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릿 공구대라도 되고, 빗형 공구대 등이라도 된다. 공구에는, 절단 바이트를 포함하는 바이트, 드릴이나 엔드 밀과 같은 회전 공구 등이 포함된다. 조작부(45)는, 표시 패널이나 각종 버튼을 가지고, 각종 조작을 접수한다. NC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NC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리고, 편의 상, Z축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Z축 방향과 직교하는 연직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다. 각 도면에는, 필요에 따라, X축 방향을 나타내는 「X」, Y축 방향을 나타내는 「Y」, 및 Z축 방향을 나타내는 「Z」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선반(1)에 있어서 도어(25)가 존재하는 외면을 전면(前面)으로 하고, 각 도면에는, 필요에 따라, 전 방향(D1), 후 방향(D2), 상 방향(D3), 하 방향(D4), 좌 방향(D5), 및 우 방향(D6)을 나타내고 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방향 D1∼D6에 맞추어서 선반(1)에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 중에서의 좌우나 상하 등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경우에는, 도면 번호를 나타낸 후에 위치 관계를 기재하기로 한다.
주축(41, 42)이나 공구대(43, 44)가 배치된 가공 영역(21)은, 개구부(22)를 가지는 스플레시 가드(20)에 둘러싸여 있다. 기계 본체(10)는, 스플레시 가드(20)의 전면(前面)의 개구부(22)를 개폐 가능한 도어(25)를 구비하고 있다. 스플레시 가드(20)와 도어(25)는, 공작물(W1)의 가공 시에 작업자(P)로부터 가공 영역(21)을 격리함으로써 작업자(P)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가지고, 또한 가공 시에 발생하는 절삭칩이나 가공 시에 사용하는 쿨런트가 선반(1)의 외부(O1)에 비산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가진다. 스플레시 가드(20)의 개구부(22)는, 기계 본체(10)의 정면에서의 좌우의 중간 정도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25)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2)를 폐색(閉塞)하는 위치와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2)를 개방(開放)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 본체(10)는, 길이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된 도어 레일(12)을 가지고 있다. 도어(25)는, 도어 레일(12)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어(25)는, 가공 시에 가공 영역(21)을 볼 수 있도록 투명판인 창문(26)을 가지고 있다.
기계 본체(10)는, 절삭칩이나 쿨런트를 내부(30a)에 모으는 쿨런트 탱크(30)를 하부에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 본체(10)는 아래 방향의 하부 개구(11)를 가지고, 쿨런트 탱크(30)는, 하부 개구(11)에 맞추어지는 상부 개구(31)를 가지고 있다. 기계 본체(10)는, 가공 영역(21)의 하부 근방에 있어서 가공 영역(21)을 구획하는 전경사부(17) 및 후경사부(18)를 가지고 있다. 전경사부(17)는, 가공 영역(21) 앞에 있고, 아래가 될수록 뒤가 되는 경사를 가지고 있다. 후경사부(18)는, 가공 영역(21)의 뒤에 있고, 아래가 될수록 앞이 되는 경사를 가지고 있다. 전경사부(17) 및 후경사부(18)에 부착된 절삭칩이나 쿨런트는, 전경사부(17) 및 후경사부(18)를 따라 하부 개구(11) 측으로 유도되고, 상부 개구(31)로부터 쿨런트 탱크(30)의 내부(30a)에 들어간다. 내부(30a)의 절삭칩이나 쿨런트는, 도 1에 나타낸 칩 콘베이어(38)에 의해 기계 본체(10)의 외부(O1)에 배출된다. 그리고, 발밑에 전경사부(17) 및 후경사부(18)와 같은 슬란트(slant) 구조를 가지는 선반에서는, 경사부를 따라 절삭칩이나 쿨런트를 유도하므로, 발판(50)이 없으면, 가공 영역(21)에 다리를 넣으면 잘린 절삭칩이나 쿨런트로 구두가 더럽혀지게 된다. 이에, 본 선반(1)은, 발밑의 슬란트 구조에 설치 가능한 발판(50)을 구비하고 있다.
쿨런트 탱크(30)의 전판부(前板部)(32)의 상측 에지부(32a)에는, 외부(O1)에 있어서 발판(50)을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레일(33)이 설치되어 있다. 레일(33)은, 도어 레일(12)보다 외측에 있다.
기계 본체(10)는, 도어(25)가 존재하는 외면(15)에서의 하부에 안쪽으로 움패인 퇴피부(16)를 가지고 있다.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발판(50)은, 가공 영역(21)에 들어가 있지 않을 때 수납용 배치(51)가 되어 퇴피부(16)에 수납된다.
도 4,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50)은, 디딤판(60), 상기 디딤판(60)의 회동 기구(63), Z축 방향으로의 가이드 구조(65), 각부(70), 상기 각부(70)의 경동 기구(75), 및 한 쌍의 보조각(補助脚)(80)을 구비하고 있다.
디딤판(60)은, 기계 본체(10)에 대하여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고, 발판(50)이 셋업용 배치(52)인 경우에 작업자(P)가 올라타는 것이 가능한 디딤판면(61)을 가지고 있다. 디딤판면(61)의 방향은, 셋업용 배치(52)에 있어서 대략 수평이며, 발판(50)이 수납용 배치(51)인 경우에 대략 연직이 된다. 디딤판(60)의 이면(裏面)(62)에는, 각부(70)와 경동 기구(75)와 보조각(80)이 배치되어 있다.
디딤판(60)의 회동 기구(63)는, 디딤판(60)의 기단부(基端部)(60a)에 장착된 한 쌍의 브래킷(64), 및 한 쌍의 체결구(締結具)(FA1)를 포함하고 있다. 디딤판(60)의 기단부(60a)는, 디딤판(60)에 있어서 회동축(AX1)을 따른 에지부이며, 회동축(AX1)에 가장 가까운 에지부이다. 각 브래킷(64)은, 회동축(AX1)을 따른 길쭉한 기단부(60a)에서의 단부(端部)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각 체결구(FA1)는, 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며, 전술한 브래킷(64)과 가이드 구조(65)의 브래킷(67)을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회동 기구(63)에 의해, 디딤판(60)은, 한 쌍의 체결구(FA1)를 지나는 회동축(AX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디딤판(60)에 있어서 기단부(60a)와 직교하는 측단부(側端部)(60b, 60c)에는, 체결구(FA2)에 의해 각부(70)의 기단(70b)이 경동축(AX2)을 중심으로 하여 경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체결구(FA3)에 의해 스토퍼(76)의 기단(76b)이 회동축(AX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체결구(FA2, FA3)는, 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가이드 구조(65)는, 쿨런트 탱크(30)에 배치된 레일(33)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는 가이드(66), 및 이 가이드(66)에 장착된 한 쌍의 브래킷(67)을 포함하고 있다. 각 브래킷(67)은, 회동축(AX1)을 따른 길쭉한 가이드(66)의 상면에서의 단부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66)에 장착된 브래킷(67), 및 체결구(FA1)를 통하여 브래킷(64)에 디딤판(60)이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회동 가능한 디딤판(60)을 구비하는 발판(50)이 레일(33)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부(7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셋업용 배치(52)에 있어서 작업자(P)가 올라타는 것이 가능하도록 디딤판(60)을 지지 가능하다. 각부(70)의 기단(70b)이 디딤판(60)의 측단부(60b, 60c)에 대하여 경동축(AX2)을 중심으로 하여 경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각부(70)는 디딤판(60)에 대하여 경동 가능하다. 각부(70)의 선단(70a)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73)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50)이 셋업용 배치(52)이며 각부(70)가 디딤판(60)의 이면(62)을 따른 위치로부터 꺼내어져 있는 사용 상태(71)인 경우, 미끄럼 방지 부재(73)가 기계 본체(10)의 후경사부(18)를 올라타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 후경사부(18)는 탑재부의 예다. 미끄럼 방지 부재(73)에는, 고무,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부(70)에 있어서 기단(70b)과 선단(70a)과의 사이의 도중 위치에는, 스토퍼(76)의 슬릿(76c)을 통과한 나사(SC1)가 고정되어 있다.
각부(70)의 경동 기구(75)는, 한 쌍의 스토퍼(76), 각 스토퍼(76)의 기단(76b)에 설치된 체결구(FA3), 및 각 스토퍼(76)의 슬릿(76c)을 통과하고 있는 나사(SC1)를 포함하고 있다. 스토퍼(76)는, 상기 스토퍼(76)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긴 슬릿(76c)을 가지고 있다. 스토퍼(76)의 선단(76a)은 스토퍼(76)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이 형상에 맞추어 슬릿(76c)의 단부는 스토퍼(76)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방향(D7)으로 구부러진 록부(76d)로 되어 있다. 록부(76d)에 나사(SC1)가 들어가는 것에 의해, 각부(70)의 사용 상태(71)가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76)의 기단(76b)은, 체결구(FA3)에 의해 디딤판(60)의 측단부(60b, 60c)에 대하여 회동축(AX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더하여, 각부(70)의 도중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나사(SC1)가 슬릿(76c)을 통과하고 있으므로, 경동 기구(75)는, 디딤판(60)에 대하여 경동축(AX2)을 중심으로 하여 각부(70)를 경동시킨다. 경동 기구(75)에 의해, 각부(7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딤판(60)을 지지하는 사용 상태(71)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딤판(60)를 따른 비사용 상태(72)로 경동 가능하다. 그리고, 록부(76d)가 향하고 있는 방향(D7)은, 작업자(P)가 도 4에 나타낸 상태의 디딤판면(61)을 올라탔을 때 나사(SC1)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에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방향(D7)은, 작업자(P)가 디딤판면(61)을 올라타고 있을 때 나사(SC1)가 록부(76d)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운 바람직한 방향이다.
한 쌍의 보조각(80)은, 디딤판(60)의 이면(62)에 대하여 측단부(60b, 60c)를 따른 경동축(AX4)을 중심으로 하여 경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경동축(AX4)은, 보조각(80)의 기단(80b)에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사용 상태에 있어서, 양쪽 보조각(80)은, 디딤판(60)을 따른 배치이며, 선단(80a)끼리가 대향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딤판(60)의 이면(62)에 대하여 보조각(80)을 세우면, 보조각(80)의 전부(前部)(도 4에서의 좌측부)이 기계 본체(10)의 도어 레일(12)에 맞부딪친다. 이로써, 후경사부(18)를 올라타고 있는 기울어진 각부(70)에 지지되어 있는 디딤판(60)의 디딤판면(61)에 작업자가 올라타도 디딤판(60)이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3) 발판의 사용예 및 수납예:
다음으로, 발판(50)의 사용예 및 수납예를 설명한다.
공작물(W1)의 가공 시,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25)는 닫혀 있고,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발판(50)은 수납용 배치(51)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평 위치(P1)에 있다. 여기서, 수납용 배치(51)의 발판(50)은, 도 3에 나타낸 레일(33)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따라서, 도어(25)가 닫혀 있어도, 작업자(P)는, 수평 위치(P1, P2)를 지나는 Z축 방향으로 수납용 배치(51)의 발판(50)을 용이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P)는, 닫은 도어(25)의 창문(26)을 들여다보아 테스트 절삭을 하는 경우가 있다. 발판(50)이 도어(25)의 바로 아래의 수평 위치(P2)에 있으면, 작업자(P)가 창문(26)을 들여다 볼 때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발판(50)을 수평 위치(P2)로부터 수평 위치(P1)에 퇴피시키면, 작업자(P)는, 도어(25)의 바로 아래로 발끝을 넣는 것에 의해, 창너머이지만 조금이라도 가공 영역(21)에 근접해서 가공 영역(21)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기계 본체(10)의 외부(O1)에 있는 발판(50)이 작업자(P)의 방해가 되지 않고, 테스트 절삭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특히, 기계 본체(10)의 정면의 하부에 퇴피부(16)가 있는 경우, 작업자(P)는, 도어(25)의 바로 아래의 퇴피부(16)에 발끝을 넣는 것에 의해, 가공 영역(21)에 근접하기 쉽다. 이와 같이, 본 선반(1)은, 수납용 배치(51)의 발판(50)을 가공 시에 방해가 되지 않는 수평 위치로 할 수 있고, 작업자(P)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도어(25)의 바로 아래의 퇴피부(16)에 작업자(P)의 발끝이 들어갈만큼의 오목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 오목부에 발끝을 넣는 것에 의해, 작업자(P)는 더욱 가공 영역(21)에 근접하기 쉬워진다.
셋업 시에, 작업자(P)는, 먼저, 도어(25)를 열게 된다(도 2의 B 참조). 스플레시 가드(20)의 개구부(22)가 개방되었을 때 수납용 배치(51)의 발판(50)이 수평 위치(P1)에 있는 경우, 작업자(P)는, 발판(50)을 개구부(22)의 바로 아래까지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발판(50)이 수평 위치(P2)에 배치되었다고 한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P)가 회동축(AX1)을 중심으로 하여 디딤판(60)을 도 4의 오른쪽으로 방향으로 대략 270°회동시키면, 수납용 배치(51)에서는 대략 연직 방향이었던 디딤판면(61)이 위를 향한 대략 수평으로 된다. 이와 같이, 수납용 배치(51)였던 발판(50)은, 도어(25)가 열려져 있을 때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기계 본체(10)의 외부(O1)로부터 개구부(22)를 지나서 가공 영역(21)에 들어가는 셋업용 배치(52)로 변한다. 셋업용 배치(52)에 있어서 디딤판(60)이 개구부(22)를 가로지르고 있으므로, 디딤판(60)이 도어(25)의 닫힘 동작을 저해하는 간섭 부재가 되는 것에 의해 도어 인터록 기능이 유효하게 된다. 따라서, 셋업 시에 작업자의 안전성이 유지된다.
다만, 디딤판(60)의 이면(62)으로부터 각부(70)가 나와 있지 않으면, 디딤판(60)은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가 되고, 작업자(P)가 디딤판면(61)을 올라타면 회동 기구(63)에 강한 응력이 가해진다. 이에, 작업자(P)는, 발판(50)이 수납용 배치(51)일 때, 비사용 상태(72)의 각부(70)를 디딤판(60)의 이면(62)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낸 사용 상태(71)가 될 때까지 경동시켜 꺼내고, 비사용 상태의 보조각(80)을 디딤판(60)의 이면(62)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낸 사용 상태가 될 때까지 경동시켜서 꺼내면 된다. 나사(SC1)가 록부(76d)에 들어가면 각부(70)가 사용 상태(71)로 유지되고, 각부(70)의 선단(70a)이 후경사부(18)를 올라타고 있는 상태가 되고, 각부(70)가 디딤판(60)을 지지하고, 보조각(80)이 디딤판(6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억제한다.
디딤판(60)이 회동 기구(63)와 각부(70)로 양쪽지지형으로 지지됨으로써, 발판(5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로써, 디딤판(60)을 얇게 할 수 있어, 발판(50)을 경량화시킬 수 있다.
발판(50)이 셋업용 배치(52)인 경우, 작업자(P)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딤판면(61)을 올라타고 가공 영역(21)에 들어가고, 부품을 탈착하거나 절삭칩을 배출하거나 하는 셋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발판(50)은, 수납 시에 기계 본체(10)의 외부(O1)에 있어서, 가공 시에 절삭유나 절삭칩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딤판면(61)은 청결하게 유지되고, 셋업 시에 작업자(P)가 디딤판면(61)을 올라타도 절삭유나 절삭칩이 구두에 부착되는 것이 억제되고, 기계 본체(10)의 주위가 청결하게 유지되고, 안전성도 양호하다.
또한, 선반(1)을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개구부(22)의 폭이 디딤판(60)의 폭보다 넓을 경우, 디딤판(60)이 스플레시 가드(20) 및 도어(25)와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작업자(P)는, 셋업용 배치(52)의 발판(50)을 도 3에 나타낸 레일(33)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셋업용 배치(52)의 발판(50)을 비교적 좌측의 수평 위치(P2)로 하면, 작업자(P)는, 정면 주축(41)과 공구대(43)로 용이하게 근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면 주축(41)과 공구대(43)의 주변의 셋업 작업에 바람직하다. 또한, 셋업용 배치(52)의 발판(50)을 비교적 우측의 수평 위치(P3)로 하면, 작업자(P)는, 배면 주축(42)과 공구대(44)로 용이하게 근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면 주축(42)과 공구대(44)의 주변의 셋업 작업에 바람직하다. 셋업용 배치(52)의 발판(50)이 개구부(22)의 폭의 범위에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에 의해, 셋업 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레일(33)과 가이드 구조(65)가 가공 영역 외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레일(33)과 가이드(66)와의 사이에 절삭칩이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발판(50)의 Z축 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이 유지되어, 레일(33)과 가이드 구조(65)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셋업 작업 종료 후, 작업자(P)는, 먼저, 회동축(AX1)을 중심으로 하여 디딤판(60)을 도 4의 좌측 방향으로 대략 270°회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셋업용 배치(52)에서는 대략 수평 방향이었던 디딤판면(61)이 배후에 가려진 대략 연직 방향으로 된다. 또한, 작업자(P)는, 각부(70)와 보조각(80)을 디딤판(60)을 따른 방해되지 않는 경사로 변경해도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P)는, 도어(25)를 닫게 된다(도 2의 A 참조). 이와 같이, 작업자(P)는, 발판(50)을 가공 영역(21)으로부터 용이하게 퇴피시켜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셋업용 배치(52)에서는 대략 수평 방향이었던 디딤판(60)이 수납시에 대략 연직 방향으로 변하므로, 발판 수납 시에 X축 방향에서의 스페이스가 적어지게 된다. 또한, 각부(70)와 보조각(80)을 디딤판(60)을 따른 방해되지 않는 경사로 함으로써, 발판 수납 시에 X축 방향에서의 스페이스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납용 배치(51)의 발판(50)이 기계 본체(10)의 정면 하부의 퇴피부(16)에 수납되면, 발판을 수납하는 전용의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된다.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발판(50)은, 공작물 가공 시에 기계 본체(10)의 외부(O1)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절삭유나 절삭칩의 부착이 억제된다. 여기서, 발판이 기계 본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셋업 시에 작업자가 기계 본체로부터 이격된 보관 장소로부터 발판을 반입(搬入)하여 가공 영역 내에 넣는 작업이 필요하며, 가공 시에는 작업자가 가공 영역으로부터 발판을 반출하여 기계 본체로부터 이격된 보관 장소로 되돌아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번거롭다. 본 선반(1)의 발판(50)은 가공 시에도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발판(50)의 배치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작업자(P)는, 도어(25)를 열고 셋업 작업을 행할 때, 발판(50)을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기계 본체(10)의 외부(O1)로부터 개구부(22)를 지나서 가공 영역(21)에 들어가는 셋업용 배치(52)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선반(1)은, 발판(50)을 기계 본체 외에 대기시키고 있는 상태로부터 용이하게 셋업용 배치(52)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발판의 오염을 억제하면서 셋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청결하게 또한 안전하게 주축나 공구대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P)는, 셋업 작업 후에 발판(50)을 수납할 때, 발판(50)을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용이하게 기계 본체(10)의 외부(O1)로 꺼내고 수납할 수 있다.
(4) 변형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예를 고려할 수 있다.
본 기술을 적용 가능한 공작 기계는, 정면 주축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선반이라도 되고, 선반 이외의 공작 기계라도 된다.
전술한 예에서는 발판(50)을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레일(33)이 쿨런트 탱크(30)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전술한 레일은 쿨런트 탱크 이외의 기계 본체, 예를 들면, 외장(外裝)에 설치되어도 된다.
전술한 예에서는 사용 상태의 각부(70)가 후경사부(18)를 향하는 기울어진 방향이었지만, 각부의 선단을 탑재하는 탑재부를 확보할 수 있는 한, 각부를 대략 연직 방향으로 해도 된다.
발판의 배치의 변경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판이 수납용 배치인 경우의 디딤판면(61)의 방향은, 대략 연직으로부터 어긋난 방향이라도 된다.
도 6은, 발판(50)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상부는 발판(50)의 수납용 배치(51)를 나타내고, 도 6의 하부는 발판(50)의 셋업용 배치(52)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예와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기계 본체(10)는, 외부(O1)에 있어서 발판(50)을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레일(133)을 구비하고 있다. 발판(50)은, 가이드(166)와 브래킷(167)을 포함하는 가이드 구조(65)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166)는, 레일(133)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브래킷(167)은, 디딤판(60)의 측단부(160c)에 설치되어 있는 긴 홈(溝)(163)에 들어가 있는 지지축(168)을 가지고, 가이드(166)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디딤판(60)에 있어서 측단부(160c)와는 반대인 측단부에도 긴 홈이 설치되고, 이 긴 홈에 들어가 있는 지지축을 가지는 브래킷이 가이드(166)에 장착되어 있다. 회동축(AX1)을 중심으로 하여 디딤판(60)을 회동시키는 회동 기구(63)는, 지지축(168)과 긴 홈(163)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긴 홈(163)을 따라 지지축(168)이 상대 위치를 변경하므로, 지지축(168)과 긴 홈(163)은, 디딤판(60)을 슬라이드 및 회동시키는 기구이다.
이상으로부터, 발판(50)은, 수납용 배치(51)에 있어서 수평 위치(P1, P2)(도 2의 A 참조)를 통과하는 Z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드 가능하며, 셋업용 배치(52)에 있어서 수평 위치(P2, P3)(도 2의 B 참조)를 통과하는 Z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드 가능하다.
발판(50)을 수납용 배치(51)로부터 셋업용 배치(52)로 변경할 때, 작업자는, 도어를 열고, 수평 위치(P2) 등에 있어서 디딤판(60)을 위쪽으로 들어 올리고(도 6의 하부의 2점 쇄선부 참조), 회동축(AX1)을 중심으로 하여 디딤판(60)을 가공 영역(21)의 안쪽으로 대략 90° 쓰러뜨리면 된다. 이로써, 발판(50)은, 도어가 열려 있을 때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기계 본체(10)의 외부(O1)로부터 개구부(22)를 통과하여 가공 영역(21)에 들어가는 셋업용 배치(52)로 변경된다. 발판(50)이 경동 가능한 각부(7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작업자는, 각부(70)를 상기 디딤판(60)을 따른 비사용 상태로부터 디딤판(60)을 지지하는 사용 상태(71)로 전환해도 된다. 각부(70)의 선단(70a), 예를 들면, 미끄럼 방지 부재(73)가 기계 본체(10)의 탑재부(118)에 탑재되면, 각부(70)는 디딤판(60)을 지지한다. 작업자는, 디딤판면(61)을 올라타고 셋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셋업 작업 후, 작업자는, 회동축(AX1)을 중심으로 하여 디딤판(60)을 대략 90°위쪽으로 들어올리고(도 6의 하부의 2점 쇄선부 참조), 상기 디딤판(60)을 그대로 내리면 된다. 이로써, 발판(50)은,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기계 본체(10)의 외부(O1), 예를 들면, 퇴피부(16)에 수납된다. 또한, 각부(70)를 디딤판(60)을 따른 방해되지 않는 경사로 함으로써, 발판 수납 시에 X축 방향에서의 스페이스를 적게 할 수 있다. 도어를 닫으면, 다음 공작물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발판(50)도, 오염을 억제하면서 셋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납용 배치(51)와 셋업용 배치(52)로 디딤판면(61)의 방향이 바뀌지 않는 경우도, 본 기술에 포함된다. 도 7의 상단 및 중단은 발판(50)의 수납용 배치(51)를 나타내고, 도 7의 하단은 발판(50)의 셋업용 배치(52)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기계 본체(10)도, 외부(O1)에 있어서 발판(50)을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레일(133)을 구비하고 있다. 발판(50)은, 레일(133)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는 가이드(166)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166)의 상면에는, 디딤판면(61)을 위로 향하게 한 디딤판(60)을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기구(164)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발판(50)은, 수납용 배치(51)에 있어서 수평 위치(P1, P2)를 통과하는 Z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드 가능하며, 셋업용 배치(52)에 있어서 수평 위치(P2, P3)를 통과하는 Z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드 가능하다.
발판(50)을 수납용 배치(51)로부터 셋업용 배치(52)로 변경할 때, 작업자는, 도어를 열고, 수평 위치(P2) 등에 있어서 디딤판(60)을 안쪽으로 슬라이드시킨다(도 7의 상단으로부터 중단 참조). 이로써, 발판(50)은, 도어가 열려 있을 때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기계 본체(10)의 외부(O1)로부터 개구부(22)를 통과하여 가공 영역(21)에 들어가는 셋업용 배치(52)로 변경된다(도 7의 하단 참조). 발판(50)이 경동 가능한 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작업자는, 각부를 상기 디딤판(60)을 따른 비사용 상태로부터 디딤판(60)을 지지하는 사용 상태로 전환해도 된다. 작업자는, 디딤판면(61)을 올라타고 셋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셋업 작업 후, 작업자가 디딤판(60)을 바로 앞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7의 중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50)이 기계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기계 본체(10)의 외부(O1)에 퇴피한다. 또한, 작업자는, 발판(50)을 개구부(22)의 근방(예를 들면, 수평 위치(P2))으로부터 방해되지 않는 위치(예를 들면, 수평 위치(P1))까지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도어를 닫으면, 다음 공작물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발판(50)도, 오염을 억제하면서 셋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발판이 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Z축 방향에서의 발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조를 기계 본체에 설치해도 된다.
도 8은,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발판(50)의 위치 결정 구조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기계 본체(10)의 탑재부(118)는, 각부(70)의 선단(70a)(예를 들면, 미끄럼 방지 부재(73))가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위치 결정부(119)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위치 결정부(119)는, Z축 방향으로 배열하고 있다. 작업자는, 복수의 위치 결정부(119) 중 어느 하나에 각부(70)의 선단(70a)을 맞추도록 셋업용 배치의 발판(5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위치 결정부(119) 중 어느 하나에 각부(70)의 선단(70a)을 넣을 수 있다. 위치 결정부(119) 중 어느 하나에 각부(70)의 선단(70a)이 들어가면, 위치 결정부(119)와 선단(70a)가 끼워맞추어지고, 셋업용 배치의 발판(50)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5) 결론: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태양에 의해, 발판의 오염을 억제하면서 셋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공작 기계 등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독립청구항에 따른 구성 요건만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이라도, 전술한 기본적인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전술한 예 중에서 공개한 각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조합을 변경하거나 한 구성, 공지 기술 및 전술한 예 중에서 공개한 각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조합을 변경하거나 한 구성 등도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들 구성 등도 포함된다.
1…선반(공작 기계의 예) 10…기계 본체 11…하부 개구
12…도어 레일 15…외면 16…퇴피부
17…전경사부 18…후경사부(탑재부의 예)
20…스플레시 가드 21…가공 영역 22…개구부
25…도어 26…창문 30…쿨런트 탱크
32…전판부 32a…상측 에지부 33…레일
50…발판 51…수납용 배치 52…셋업용 배치
60…디딤판 61…디딤판면 62…이면
63…회동 기구 64…브래킷 65…가이드 구조
66…가이드 67…브래킷 70…각부
71…사용 상태 72…비사용 상태
73…미끄럼 방지 부재 75…경동 기구 76…스토퍼
76c…슬릿 AX1…회동축 AX2…경동축
AX3…회동축 AX4…경동축 D1…전방향
D2…후방향 D3…상방향 D4…하방향
D5…좌측 방향 D6…우측 방향 FA1∼FA3…체결구
P…작업자 P1∼P3…수평 위치 O1…외부
W1…공작물

Claims (7)

  1. 가공 영역을 둘러싸는 스플레시 가드(splash guard)와, 상기 스플레시 가드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기계 본체와,
    상기 기계 본체에 대하여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도어가 슬라이드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상기 기계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기계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계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려 있을 때 상기 기계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상기 기계 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가공 영역에 들어가는 셋업용 배치로 변경 가능한,
    공작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셋업용 배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올라타는 것이 가능한 디딤판면이며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때의 수납용 배치로부터 상기 셋업용 배치가 되면 방향이 바뀌는 디딤판면을 가지는, 공작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때의 수납용 배치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평 위치를 변경 가능한, 공작 기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때의 수납용 배치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평 위치를 변경 가능한, 공작 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셋업용 배치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평 위치를 변경 가능한, 공작 기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기계 본체에 대하여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디딤판과, 상기 셋업용 배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올라타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디딤판을 지지 가능한 각부(脚部)와, 상기 디딤판에 대하여 상기 각부를 경동(傾動)시키는 경동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상기 경동 기구는, 상기 디딤판을 지지하는 사용 상태와, 상기 디딤판을 따른 비사용 상태로 상기 각부를 경동 가능하며,
    상기 기계 본체는, 상기 발판이 상기 셋업용 배치로 되고, 또한 상기 각부가 상기 사용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상기 각부의 선단을 탑재하는 탑재부를 구비하는, 공작 기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기계 본체에 대하여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디딤판과, 상기 셋업용 배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올라타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디딤판을 지지 가능한 각부와, 상기 디딤판에 대하여 상기 각부를 경동시키는 경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경동 기구는, 상기 디딤판을 지지하는 사용 상태와, 상기 디딤판을 따른 비사용 상태로 상기 각부를 경동 가능하며,
    상기 기계 본체는, 상기 발판이 상기 셋업용 배치로 되고, 또한 상기 각부가 상기 사용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상기 각부의 선단을 탑재하는 탑재부를 구비하는, 공작 기계.
KR1020217035597A 2019-06-21 2019-12-18 공작 기계 KR102640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5578 2019-06-21
JP2019115578A JP7417017B2 (ja) 2019-06-21 2019-06-21 工作機械
PCT/JP2019/049507 WO2020255455A1 (ja) 2019-06-21 2019-12-18 工作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792A KR20210145792A (ko) 2021-12-02
KR102640188B1 true KR102640188B1 (ko) 2024-02-22

Family

ID=7399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597A KR102640188B1 (ko) 2019-06-21 2019-12-18 공작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05599A1 (ko)
EP (1) EP3988243A4 (ko)
JP (1) JP7417017B2 (ko)
KR (1) KR102640188B1 (ko)
CN (1) CN113710416A (ko)
WO (1) WO2020255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7017B2 (ja) * 2019-06-21 2024-01-18 スター精密株式会社 工作機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0450B2 (ja) * 1990-10-29 1998-12-02 オ−クマ株式会社 作業用踏台
JP2003251578A (ja) * 2002-02-27 2003-09-09 Howa Mach Ltd 折り畳み式ステ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8311A (en) * 1939-02-03 1940-07-16 Lucas Machine Tool Company Horizontal boring machine
FR2889472B1 (fr) * 2005-08-04 2008-10-03 Thibaut Soc Par Actions Simplifiee Porte se transformant en escalier pour l'acces a une machine-outil et machine-outil equipee d'une telle porte
JP5599493B1 (ja) 2013-07-04 2014-10-01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工作機械
CN104816195A (zh) * 2015-05-19 2015-08-05 江苏信合众泰精密机械有限公司 人性化数控机床
CN205218802U (zh) * 2015-11-20 2016-05-11 嘉兴众立塑胶有限公司 一种平面磨床
JP6650290B2 (ja) 2016-02-17 2020-02-19 Dmg森精機株式会社 工作機械
CN109128986B (zh) * 2018-10-20 2021-04-16 安徽省临泉县智创精机有限公司 一种数控中心的加工防护装置
JP7417017B2 (ja) * 2019-06-21 2024-01-18 スター精密株式会社 工作機械
CN213289085U (zh) * 2020-09-17 2021-05-28 常博理 一种具有防尘保护罩的数控切割机床
KR102237615B1 (ko) * 2020-10-28 2021-04-06 김용웅 가공 시스템
KR20230139543A (ko) *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공작기계의 작업자용 발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0450B2 (ja) * 1990-10-29 1998-12-02 オ−クマ株式会社 作業用踏台
JP2003251578A (ja) * 2002-02-27 2003-09-09 Howa Mach Ltd 折り畳み式ステ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05599A1 (en) 2022-04-07
TW202100283A (zh) 2021-01-01
EP3988243A1 (en) 2022-04-27
CN113710416A (zh) 2021-11-26
KR20210145792A (ko) 2021-12-02
JP2021000697A (ja) 2021-01-07
JP7417017B2 (ja) 2024-01-18
WO2020255455A1 (ja) 2020-12-24
EP3988243A4 (en)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188B1 (ko) 공작 기계
JP4725319B2 (ja) 扉の開閉構造及び当該扉の開閉構造を備えた工作機械
KR20100074087A (ko) 공작 기계
KR20180104702A (ko) 건설기계
ITMI991334A1 (it) Macchina utensile con un sistema di protezione contro le proiezioni
JP2001087964A (ja) 立形マシニングセンタ
DE102005058347B4 (de) Werkzeugmaschine zur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CN109909757B (zh) 机床
JP2007007756A (ja) 工作機械
US5871326A (en) Machine tool center
US6568885B2 (en) Machining cell with debris shields
JP4715162B2 (ja) 工作機械
TWI845696B (zh) 工具機
JP2006255845A (ja) 工作機械
JP2009090392A (ja) 操作盤を備えた工作機械
JP2009050976A (ja) ローダ付き工作機械
JP2006177117A (ja) 建設機械のキャビンガード装置
JP2001205541A (ja) 工作機械
JP4245157B2 (ja) ラインボーリングマシン
JP2000052182A (ja) 工作機械
JP5358919B2 (ja) 操作盤を備えた工作機械
WO2023120285A1 (ja) 工作機械
WO2024134860A1 (ja) 工作機械
ITMI20120278U1 (it) Banco da lavoro
JP3684789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機上乗込用階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