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269B1 -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269B1
KR102638269B1 KR1020210180985A KR20210180985A KR102638269B1 KR 102638269 B1 KR102638269 B1 KR 102638269B1 KR 1020210180985 A KR1020210180985 A KR 1020210180985A KR 20210180985 A KR20210180985 A KR 20210180985A KR 102638269 B1 KR102638269 B1 KR 10263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ed yarn
module
yarn
clipper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1659A (ko
Inventor
정석봉
황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코청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코청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코청하
Priority to KR102021018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9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팅사 길이방향으로 패각 간격을 일정하게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코팅사(1)에 이송 장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장력롤러(10)(10'); 에 패각(2)의 관통구멍(2a)이 끼워진 상태로 횡방향으로 적재 대기되도록 구비되는 로딩관(20); 상기 코팅사(1)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클립(32)을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클립퍼모듈(30); 상기 클립퍼모듈(30) 양측에 배치되어 코팅사(1)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도록 가이드홈(42)이 형성되는 코팅사 가이드(40); 및 상기 클립퍼모듈(30)을 기준으로 이격 배치되고, 코팅사(1)에 결속된 클립(32)이 구속 상태로 다음 클립 결속위치를 결정하도록 간격유지홈(52)이 구비되는 간격 가이드(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Hanging line assembly device for oyster farming}
본 발명은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코팅사 길이방향으로 패각 간격을 일정하게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굴양식에 사용되는 수하연(垂下連)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해수중으로 드리워지는 수하로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패각(貝殼)이 매달리는 방식으로 제작되며, 상기 패각은 굴의 종묘가 부착되어 성장할 수 있는 콜렉터(Collector:부착기질)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하로프의 관통구멍이 중앙부에 천공된 가리비나 굴의 껍질과 같은 천연 패각을 주로 지칭하는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제작된 인공 패각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하연 제조공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묘 이탈, 패각 파손, 패각 간격 불일치 등의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특히, 작업 인력의 노령화에 따른 생산력 감소와 비용의 증가로 이어져 양식굴의 원활한 생산과 공급을 더욱 어렵게 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2005955호에서, 수십 매의 패각을 한데 모아 패각트레이상에 직립식으로 올려 놓고, 각 패각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하로프를 직선상으로 연장시킨 다음, 패각트레이의 최후단부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패각을 소정의 길이만큼 수하로프를 따라 진공 흡착식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해당 패각의 전,후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로봇척으로 수하로프를 일차 클램핑하고, 상기 로봇척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패각의 전방측에 배치된 다른 로봇척으로 수하로프를 이차 클램핑하는 한편, 해당 로봇척을 하방으로 당기면서 180도 각도로 축회전시켜 꽈배기 형태의 로프매듭을 조성시키며, 이와 같이 조성된 로프매듭 부위로 패각 지지용 클립을 밀어 넣어 로프매듭 부분이 클립과 조립되도록 한 다음, 수하로프의 후단부에 배치된 또 다른 로봇척으로 수하로프를 일정 길이만큼 당겨내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구성이 선 제시된 바 있지만, 로프매듭단계가 수하로프를 180° 회전시켜 꽈배기 형태의 로프매듭을 조성한 후에 클립으로 고정하는 순서로 이루어지므로, 매듭형성과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생성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공개특허 10-2020-0119078호에서, 작업 테이블과 포스트 프레임이 갖추어져 있는 조립기 본체; 상기 작업 테이블 상의 뒷쪽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스토퍼 스트립을 적재하고 있는 스토퍼 매거진; 상기 작업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스토퍼 매거진 내의 스토퍼 스트립을 한 피치씩 전진시켜서 공급하는 피딩 블록 및 피딩 액추에이터; 상기 포스트 프레임 상에 설치되면서 상하 동작을 통해 벌어져 있는 스토퍼를 눌러서 체결시켜주는 프레스 블록 및 프레스 실린더; 상기 포스트 프레임 상에 설치됨과 더불어 프레스 블록의 뒷쪽으로 배치되면서 상하 동작을 통해 스토퍼 스트립 중에서 1개를 낱개로 절단시켜주는 커팅 나이프 및 커팅 실린더; 상기 작업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프레스 블록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면서 낱개의 스토퍼를 고정시켜주는 클램핑 블록 및 클램핑 실린더; 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공개된 바 있지만, 이는 줄에 스톱퍼를 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토퍼가 체결된 후, 작업자가 줄을 빼내어 이동하는 방식으로 스토퍼 체결 간격이 결정되므로, 작업자 숙련도에 따라 스토퍼 설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
KR 10-2005955 B1 (2019.07.25.) KR 10-2020-0119078 A (2020.10.19.)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보다 신속한 작업을 위해 코팅사에 클립을 설치하는 클리퍼모듈을 복수개로 구성하되 굴 종패로 사용될 패각의 이격간격에 대응하도록 이격 배치함으로써 코팅사에 선 체결된 클립 위치를 기준으로 후 체결 클립 위치가 결정되므로 클립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로딩관에 패각이 횡형 적재된 상태로 준비되고, 도킹모듈을 이용하여 로딩관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패각을 연속 투입할 수 있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를 구성하되, 서로 대향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어 코팅사(1)를 가압하고, 코팅사(1)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코팅사(1)에 이송 장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장력롤러(10)(10');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를 거쳐 이송되는 코팅사(1)가 관통 삽입되도록 내부에 로딩홀(2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패각(2)의 관통구멍(2a)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의 후방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로딩관(20); 상기 로딩관(20)의 로딩홀(22)을 관통하여 공급되는 코팅사(1) 외주면에 클립(32)을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클립퍼모듈(30); 상기 클립퍼모듈(30) 양측에 배치되어 코팅사(1)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도록 가이드홈(42)이 형성되는 코팅사 가이드(40); 및 상기 클립퍼모듈(30)을 기준으로 이격 배치되고, 코팅사(1)에 결속된 클립(32)이 걸림되도록 상측에 간격유지홈(52)이 형성되는 간격 가이드(50);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관(20)에 횡형 적재된 패각(2)을 각개로 인출하여 코팅사(1)에 끼움 결합한 후, 코팅사(1)에 클립(32)을 체결하여 패각(2)을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퍼모듈(3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코팅사(1)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코팅사(1)에 2개의 클립(32)을 동시에 체결하여 패각(2)을 구속하되, 최후단에 위치한 클립퍼모듈(30)과 간격 가이드(50) 사이의 간격 및 양 클립퍼모듈(30)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 가이드(50)는 견인모듈(60)에 의해 궤도운동되면서 코팅사(1)를 간헐 이송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견인모듈(60)은 간격 가이드(5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한 쌍의 스프로킷(61)에 의해 궤도운동되는 궤도벨트(62)와, 스프로킷(61)에 연결되어 궤도벨트(62)를 간헐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모터(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퍼모듈(30)은 제 1선회모듈(34)에 의해 하향 선회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선회모듈(34)은 본체프레임(F)상에 형성되고 클립퍼모듈(30)의 중심측에 핀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받침암(34a)과, 제 1받침암(34a)과 이격 배치되어 클립퍼모듈(30)의 선회각도를 제어하는 제 1구동부(34b)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퍼모듈(30)에 의해 코팅사(1) 상에 클립(32) 체결이 완료된 후, 제 1구동부(34a)가 on 작동되어 클립퍼모듈(30)의 헤드부가 하향 선회되면서 패각(2) 이동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굴 종패로 사용될 패각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코팅사에 클립을 설치하는 클리퍼모듈을 복수개로 구성하여 수하연줄 조립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코팅사에 선 체결된 클립 위치를 기준으로 후 체결 클립 위치가 결정되므로 클립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특히, 로딩관에 패각이 횡형 적재된 상태로 준비되고, 도킹모듈을 이용하여 로딩관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패각을 연속 투입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장치의 후단에 코팅사를 강제 견인하기 위한 견인모듈을 더 구비하여 코팅사를 자동으로 간헐 이송하는 공정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의 다른실시예로 견인모듈이 형성된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의 도킹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의 제 1선회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에 있어서, 코팅사 가이드의 제 2선회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상, 하, 전, 후" 등의 방향을 타나내는 표현들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코팅사에 클립을 설치하는 클리퍼모듈을 복수개로 구성하여 수하연 조립 작업을 신속히 할 수 있고, 코팅사에 선 체결된 클립 위치를 기준으로 후 체결 클립 위치가 결정되므로 클립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크게 상, 하부 장력롤러(10)(10'), 로딩관(20), 클립퍼모듈(30), 코팅사 가이드(40) 및 간격 가이드(50)를 포함하는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 하부 장력롤러(10)(10')는 서로 대향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어 코팅사(1)를 가압하고, 코팅사(1)가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강제 이송될 때 회전하면서 코팅사(1)에 이송 장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는 전방에 위치하는 가이드롤러를 거쳐 이송되는 코팅사 외주면을 상, 하 방향에서 가압하고, 코팅사(1) 이송력에 연계되어 회전운동된다.
코팅사(1)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 중 어느 하나는 후술할 로딩관(20) 안으로 코팅사(1)가 이송되도록 고정 위치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탄성체(11)에 의해 힌지(12)를 축으로 탄지되어 코팅사(1)를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 사이 간격이 코팅사(1) 지름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절되면서 다양한 규격의 코팅사(1)를 수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는 회전저항이 발생되는 마찰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공정에서 코팅사(1)에 클립(32)이 체결된 후, 코팅사(1)가 당겨지면, 상, 하부 장력롤러(10)(10')에 의해 코팅사(1) 이동방향으로 마찰저항이 작용하면서 코팅사(1)가 팽팽하게 당겨져 장력이 유지되므로, 이후 클립퍼모듈(30)에 의한 클립(32) 체결공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딩관(20)은 종패로 사용될 패각(2)을 촘촘히 관통 적재한 상태에서 로딩관(20)에 횡형 적재된 복수의 패각(2)을 각개로 인출하면 로딩홀(22)을 관통하여 이송되는 코팅사(1)에 끼워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를 거쳐 이송되는 코팅사(1)가 관통 삽입되도록 내부에 로딩홀(2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패각(2)의 관통구멍(2a)이 끼워진 상태로 상, 하부 장력롤러(10)(10')의 후방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로딩관(20)에 횡형 적재된 패각(2)을 각개로 인출하여 코팅사(1)에 끼움 결합한 후, 코팅사(1)에 후술하는 클립(32)을 체결하여 패각(2)을 구속하는 과정이 반복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의 도킹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로딩관(20)은 도킹모듈(26)에 의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킹모듈(26)은, 로딩관(20) 단부에 설치되고 로딩관(20) 외경 대비 확장된 지름으로 형성되는 원형 키플레이트(26a)와, 본체프레임(F)에 설치되고 상부에 원형 키플레이트(26a)가 삽입되도록 키홈(26b)이 형성되며, 키홈(26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로딩관(20)이 삽입되도록 거치홈(26c)이 형성되는 거치암(26d)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로딩관(20)은 원형 키플레이트(26a)와 거치암(26d)에 형성되는 키홈(26b)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간단하게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로딩관(20)에 패각(2)이 촘촘하게 횡형 적재된 상태로 준비되고, 상기 거치암(26d)에 선 장착된 로딩관(20)에 적재된 패각(2)이 모두 소모되면, 도킹모듈(66)을 이용하여 로딩관(20)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패각(2)을 신규 투입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패각(2) 투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퍼모듈(30)은 상기 로딩관(20)의 로딩홀(22)을 관통하여 공급되는 코팅사(1) 외주면에 클립(32)을 결속하기 위한 구성이다.
풋 스위치 또는 핸드 스위치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유, 공압 실린더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에 의해 클립핑(코팅사에 클립이 체결)이 이루어지며, 작업자의 스위치 작동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클립(32)을 결속하게 된다.
상기 클립(32)은 일정 길이를 갖는 얇고 긴 다수의 금속띠들이 롤 형태로 말려 클립핑장치로 공급되고, 스위치 작동에 의해 단일의 클립이 코팅사(1) 외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클립퍼모듈(3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코팅사(1)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코팅사(1)에 2개의 클립(32)을 동시에 체결하여 패각(2)을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클립퍼모듈(30)의 사이간격은 코팅사에 매달릴 패각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한 번의 스위치 작동으로 복수의 클립이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클립퍼모듈(30)에 의해 클립(32) 2개가 동시에 체결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클립(32) 체결공정에 따른 사이클 타임이 반으로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클립퍼모듈(30)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선회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의 제 1선회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클립퍼모듈(30)은 제 1선회모듈(34)에 의해 하향 선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선회모듈(34)은, 본체프레임(F)상에 형성되고 클립퍼모듈(30)의 중심측에 핀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받침암(34a)과, 제 1받침암(34a)의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클립퍼모듈(30)의 선회각도를 제어하는 제 1구동부(34b)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클립퍼모듈(30)에 의해 코팅사(1) 상에 클립(32) 체결이 완료된 후, 제 1구동부(34a)가 on 작동되어 클립퍼모듈(30)의 헤드부가 하향 선회되면서 패각(2) 이동공간이 확보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클립(32)을 체결 후, 코팅사(1)를 이송 시 패각(2)이 클립퍼모듈(30)의 헤드부에 간섭 없이 이동되므로 비숙련공에 의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후술하는 견인모듈(60)에 의해 코팅사(1)를 자동으로 간헐 이송하는 공정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사 가이드(40)는 상기 클립퍼모듈(30) 양측에 배치되어 코팅사(1)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도록 가이드홈(4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42)은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축소되는 상광하협구조의 홈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코팅사 가이드(40)의 가이드홈(42)에 코팅사(1)가 거치된 상태로 클립퍼모듈(30)에 의해 클립(32)이 체결되는 높이와 일치되도록 지지되므로, 클립(32)이 정위치에 체결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사 가이드(40)는 고정형으로 구비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에 있어서, 코팅사 가이드의 제 2선회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코팅사 가이드(40)는 제 2선회모듈(44)에 의해 하향 선회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선회모듈(44)은, 클립퍼모듈(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코팅사 가이드(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받침암(44a)과, 제 2받침암(44a)과 이격 배치되어 코팅사 가이드(40)의 선회각도를 제어하는 제 2구동부(44b)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 1선회모듈(34)에 의해 클립퍼모듈(30)의 헤드부가 하향 선회된 후, 제 2구동부(44b)가 on 작동되어 코팅사 가이드(40)가 하향 선회되면서 패각(2) 이동공간이 확보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클립(32)을 체결 후, 코팅사(1)를 이송시 패각(2)이 코팅사 가이드(40)에 간섭없이 이동되므로 비숙련공에 의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후술하는 견인모듈(60)에 의해 코팅사(1)를 자동으로 간헐 이송하는 공정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격 가이드(50)는 상기 클립퍼모듈(30)을 기준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측 중심부에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축소되는 상광하협구조의 간격유지홈(52)이 구비된다.
상기 간격 가이드(50)는 클립퍼모듈(30)과의 이격 거리에 따라 클립(32) 체결 간격이 결정되므로, 양 클립퍼모듈(30) 사이의 간격 및 최후단 클립퍼모듈(30)과 간격 가이드(50)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세팅되어야 한다.
즉,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사(1)를 간격유지홈(52)에 내입하고 결속된 클립(32)을 간격유지홈(52)에 걸림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코팅사를 당겨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클립핑하면 자동으로 2개의 클립이 간격유지홈(52)에 걸림된 클립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코팅사(1) 상에 체결되므로, 다음 클립 결속위치에 정확하게 클립(32)이 체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의 다른실시예로 견인모듈이 형성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가이드(50)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본체프레임(F) 상에 고정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처럼 견인모듈(60)에 의해 궤도운동되면서 코팅사(1)를 간헐 이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모듈(60)은, 간격 가이드(5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한 쌍의 스프로킷(61)에 의해 궤도운동되는 궤도벨트(62)와, 일측 스프로킷(61)에 연결되어 궤도벨트(62)를 간헐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모터(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모듈(60)은 코팅사(1)에 클립(32) 체결이 완료된 후, 제 1, 2선회모듈(34)(44)에 의해 클립퍼모듈(30) 및 코팅사 가이드(40)가 하향 선회되어 패각(2) 이동공간이 확보된 다음에 모터(63)가 작동되어 간헐 회전되도록 설정된다.
이처럼 상기 견인모듈(60)에 의해 코팅사(1)가 자동으로 간헐 이송됨에 따라 클립(32) 체결 간격이 정밀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공정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코팅사 F: 본체프레임
2: 패각 2a: 관통구멍
10, 10': 상, 하부 장력롤러
11: 탄성체 12: 힌지
20: 로딩관
22: 로딩홀 26: 도킹모듈
26a: 원형 키플레이트 26b: 키홈
26c: 거치홈 26d: 거치암
30: 클립퍼모듈
32: 클립 34: 제 1선회모듈
34a; 제 1받침암 34b: 제 1구동부
40: 코팅사 가이드
42: 가이드홈 44: 제 2선회모듈
44a; 제 2받침암 44b: 제 2구동부
50: 간격 가이드 52: 간격유지홈
60: 견인모듈
62: 궤도벨트 63: 모터

Claims (7)

  1. 서로 대향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어 코팅사(1)를 가압하고, 코팅사(1)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코팅사(1)에 이송 장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장력롤러(10)(10');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를 거쳐 이송되는 코팅사(1)가 관통 삽입되도록 내부에 로딩홀(2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패각(2)의 관통구멍(2a)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의 후방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로딩관(20);
    상기 로딩관(20)의 로딩홀(22)을 관통하여 공급되는 코팅사(1) 외주면에 클립(32)을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클립퍼모듈(30);
    상기 클립퍼모듈(30) 양측에 배치되어 코팅사(1)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도록 가이드홈(42)이 형성되는 코팅사 가이드(40); 및
    상기 클립퍼모듈(30)을 기준으로 이격 배치되고, 코팅사(1)에 결속된 클립(32)이 걸림되도록 상측에 간격유지홈(52)이 형성되는 간격 가이드(50);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관(20)에 횡형 적재된 패각(2)을 각개로 인출하여 코팅사(1)에 끼움 결합한 후, 코팅사(1)에 클립(32)을 체결하여 패각(2)을 구속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클립퍼모듈(3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코팅사(1)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코팅사(1)에 2개의 클립(32)을 동시에 체결하여 패각(2)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2. 서로 대향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어 코팅사(1)를 가압하고, 코팅사(1)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코팅사(1)에 이송 장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장력롤러(10)(10');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를 거쳐 이송되는 코팅사(1)가 관통 삽입되도록 내부에 로딩홀(2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패각(2)의 관통구멍(2a)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의 후방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로딩관(20);
    상기 로딩관(20)의 로딩홀(22)을 관통하여 공급되는 코팅사(1) 외주면에 클립(32)을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클립퍼모듈(30);
    상기 클립퍼모듈(30) 양측에 배치되어 코팅사(1)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도록 가이드홈(42)이 형성되는 코팅사 가이드(40); 및
    상기 클립퍼모듈(30)을 기준으로 이격 배치되고, 코팅사(1)에 결속된 클립(32)이 걸림되도록 상측에 간격유지홈(52)이 형성되는 간격 가이드(50);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관(20)에 횡형 적재된 패각(2)을 각개로 인출하여 코팅사(1)에 끼움 결합한 후, 코팅사(1)에 클립(32)을 체결하여 패각(2)을 구속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로딩관(20)은 도킹모듈(26)에 의해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도킹모듈(26)은,
    로딩관(20) 단부에 설치되고, 로딩관(20) 외경 대비 확장된 지름으로 형성되는 원형 키플레이트(26a)와, 본체프레임(F)에 설치되고, 상부에 원형 키플레이트(26a)가 삽입되도록 키홈(26b)이 형성되며, 키홈(26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로딩관(20)이 삽입되도록 거치홈(26c)이 형성되는 거치암(26d)을 포함하여,
    상기 로딩관(20)에 패각(2)이 횡형 적재된 상태로 준비되고, 상기 거치암(26d)에 선 장착된 로딩관(20)에 적재된 패각(2)이 모두 소모되면, 도킹모듈(66)을 이용하여 로딩관(20)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패각(2)을 신규 투입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최후단에 위치한 클립퍼모듈(30)과 간격 가이드(50) 사이의 간격 및 양 클립퍼모듈(30)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코팅사(1)를 간격유지홈(52)에 내입하고 결속된 클립(32)이 간격유지홈(52)에 걸림된 상태에서 코팅사(1)에 장력이 가하여 클립핑하면 2개의 클립이 간격유지홈(52)에 걸림된 클립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코팅사(1) 상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는 회전저항이 발생되는 마찰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 하부 장력롤러(10)(10') 중 어느 하나는 로딩관(20) 안으로 코팅사(1)가 이송되도록 고정 위치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탄성체(11)에 의해 힌지(12)를 축으로 탄지되어 코팅사(1)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가이드(50)는 견인모듈(60)에 의해 궤도운동되면서 코팅사(1)를 간헐 이송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견인모듈(60)은,
    간격 가이드(5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한 쌍의 스프로킷(61)에 의해 궤도운동되는 궤도벨트(62)와,
    스프로킷(61)에 연결되어 궤도벨트(62)를 간헐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모터(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퍼모듈(30)은 제 1선회모듈(34)에 의해 하향 선회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선회모듈(34)은,
    본체프레임(F)상에 형성되고 클립퍼모듈(30)의 중심측에 핀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받침암(34a)과,
    제 1받침암(34a)과 이격 배치되어 클립퍼모듈(30)의 선회각도를 제어하는 제 1구동부(34b)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퍼모듈(30)에 의해 코팅사(1) 상에 클립(32) 체결이 완료된 후, 제 1구동부(34a)가 on 작동되어 클립퍼모듈(30)의 헤드부가 하향 선회되면서 패각(2) 이동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7. 삭제
KR1020210180985A 2021-12-16 2021-12-16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KR10263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985A KR102638269B1 (ko) 2021-12-16 2021-12-16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985A KR102638269B1 (ko) 2021-12-16 2021-12-16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659A KR20230091659A (ko) 2023-06-23
KR102638269B1 true KR102638269B1 (ko) 2024-02-20

Family

ID=8699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985A KR102638269B1 (ko) 2021-12-16 2021-12-16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2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673B2 (ja) 1997-12-11 2001-04-23 義久 早川 シールドガスアーク溶接におけるヒューム、ガス処理方法
KR101879632B1 (ko) 2017-12-07 2018-08-17 모은산업 주식회사 수하연 제조장치
KR102005955B1 (ko) 2018-05-11 2019-08-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굴양식 수하연의 자동 제작방법 및 제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673U (ja) * 2010-03-11 2010-05-27 有限会社大賀技研工業 牡蠣養殖具製作装置
KR20170029776A (ko) * 2015-09-08 2017-03-16 백경율 채묘용 패각끼움장치
KR101851991B1 (ko) * 2016-01-25 2018-06-11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KR20200119078A (ko) 2019-04-09 2020-10-19 한승민 굴 양식용 수하연 자동 조립기
KR20220080630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참코청하 굴 수하연 자동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673B2 (ja) 1997-12-11 2001-04-23 義久 早川 シールドガスアーク溶接におけるヒューム、ガス処理方法
KR101879632B1 (ko) 2017-12-07 2018-08-17 모은산업 주식회사 수하연 제조장치
KR102005955B1 (ko) 2018-05-11 2019-08-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굴양식 수하연의 자동 제작방법 및 제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659A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85567B (zh) 纸张自动线装设备
KR102638269B1 (ko) 굴 양식용 수하연 조립장치
KR20110039101A (ko) 브러쉬 디스크의 자동식모장치
CN102742922A (zh) 刨瓜机
KR20210144372A (ko) 해초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KR102305949B1 (ko)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JPH09298917A (ja) 苗株搬送装置とその搬送方法
KR102005955B1 (ko) 굴양식 수하연의 자동 제작방법 및 제작장치
JP3170216B2 (ja) タバコ葉の葉編み装置
KR200268684Y1 (ko) 트윈스프링 제본기
KR102475043B1 (ko) 미끼 자동 끼움 장치
US4917367A (en) On-line tipping apparatus for a signature inserting machine
CN215457182U (zh) 一种圣诞树绑扎设备
CN116998432A (zh) 延绳式牡蛎机械化穿苗机及其使用方法
CN212670003U (zh) 一种绣片状饰材的装置及绣花机
JP2732384B2 (ja) 養殖貝類の耳吊り装置
KR20230158227A (ko) 굴 양식용 수하연의 스토퍼 자동 조립장치와 조립방법 및 패각 공급기구
JP3173290B2 (ja) ホタテ貝の耳吊り機およびホタテ貝の耳吊り方法
JPH10243735A (ja) 苗整列搬送手段を備えた自動接ぎ木装置
CN113397363A (zh) 一种圣诞树绑扎设备与绑扎方法
CN111560717A (zh) 一种绣片状饰材的方法、装置及绣花机
JP3419921B2 (ja) 接ぎ木装置
JPH11196841A (ja) タバコ葉の葉編み装置
KR20000074043A (ko) 신발끈 자동 제조기
JPH0749003B2 (ja) スライドフアスナーのスライダー取付機におけるスライダー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