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949B1 -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 Google Patents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949B1
KR102305949B1 KR1020180155256A KR20180155256A KR102305949B1 KR 102305949 B1 KR102305949 B1 KR 102305949B1 KR 1020180155256 A KR1020180155256 A KR 1020180155256A KR 20180155256 A KR20180155256 A KR 20180155256A KR 102305949 B1 KR102305949 B1 KR 102305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pore string
unit
string
sp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630A (ko
Inventor
김노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Publication of KR2020004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로프이송장치와, 상기 포자끈의 권취릴로부터 풀리는 보자끈을 로프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포자끈공급부와, 상기 포자끈 공급부와 대응되는 측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포자끈을 로프에 이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로프를 관통하여 상기 포자끈을 파지하여 인출시키기 위한 포자끈 이식유닛과, 상기 이식이 완료된 포자끈을 절단하기 위한 포자끈 절단유닛과, 상기 포자끈에 설치되어 포자끈의 후퇴를 방지하는 포자끈 후퇴방지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apparatus for binding seaweed seed string}
본 발명은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로프에 해조류 포자끈을 심어 이앙시킬 수 있는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미역 또는 다시마 등의 갈조류는 종균(포자)를 채취하여 배양실에서 키우고, 이를 가느다란 실에 이식시킨 후 다수의 줄들을 엮어 만든 씨줄에 삽입하여 바닷물에 일정기간 띄우는 방식으로 인공재배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균이 이식된 실을 씨줄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두 사람이 한 조가 되어, 한 사람이 씨줄의 양측을 양손으로 각각 잡은 후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어 꼬인 부분을 벌리면, 다른 한 사람이 종묘가 이식된 실을 벌어진 씨줄의 틈새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종묘가 이식된 실을 씨줄에 삽입하는 방법은 두 사람이 한 조를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다량의 작업을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소요되고, 양손을 이용해 반복해서 씨줄을 벌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함에 따른 작업능률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 및 피로도에 따라 씨줄에서 종균이 이식된 실의 유실 여부가 결정되므로, 일정량의 발아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840171호에는 해초류 포자끈 결속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포자끈 결속장치는 로프의 길이방향을 끌어당기가 위한 수단과, 상기 로프의 길이방향을 잡아주는 한 쌍의 대형집게와, 상기 한 쌍의 대형집게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로프 측면을 관통하여 포자 끈을 잡아오는 집게와, 상기 포자 끈을 절단하는 포자 끈 절단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집게는 상기 집게는 상기 집게에 해당하는 상기 제1,2막대의 선단중 제1막대 선단을 전방으로 길게 뾰족부를 형성하고 제2막대의 선단은 상기 뾰족부 후방에 수용시켜 상기 뾰족부가 로프를 관통할 경우 상기 제2막대의 선단 끝단은 로프에 접촉되지 않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결속장치는 로프에 길이의 직각 방향으로 결속끈을 설치하는 작업 시 로프의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으며, 로프에 포자끈의 장착위치가 균일하지 않고, 포자끈의 파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포자끈의 권취릴로부터 포자끈의 공급이 불균일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824849호에는 해초류 양식용 포자끈 결속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295409호에는 해초류 포자끈 결속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840171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82484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29540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로프 및 포자끈의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동의 안정성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로프에 장력을 가하여진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로프공급 및 이송유닛과,
상기 로프공급 및 이송유닛에 이송되는 이송구간의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과, 이송되는 로프의 일측을 파지하는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1파지유닛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로프의 타측을 파지함과 아울러 제1파지유닛 측으로 이동되어 로프가 풀리도록 하는 제 2파지유닛을 구비한 로프풀림유닛과,
상기 서브프레임에 설치되어 포자끈을 공급하는 포자끈 공급유닛과,
상기 포자끈공급유닛과 로프를 사이에 두고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로프를 관통하여 상기 포자끈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된 포자끈을 파지하고, 이 포자끈이 로프를 관통하도록 당기는 집게를 구비한 포자끈견인유닛과,
상기 서브프레임에 설치되어 포자끈견인유닛에 의해 로프를 관통한 포자끈을 절단하는 포자끈절단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프 공급 및 이송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로프공급부와 상기 로프공급부와 대응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로프이송부를 구비하며,
로프공급부는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며 상부에 로프가이드홈이 형성된 로프가이드브라켓과, 상기 로프가이드브라켓의 양측에 설치되는 로프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로프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롤러들과, 상기 로프가이드브라켓의 상면에 설치되어 로프를 가압하여 공급되는 로프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로프가이드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로프가이드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되어 가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로프이송부은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견인구동롤러와, 상기 제 1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견인구동롤러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로프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종동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로프풀림유닛을 이루는 제1파지유닛은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프를 파지하기 이위한 제1,2회전그립부재와, 상기 제1,2회전그립부재와 힌지핀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는 제 1,2연결링크와, 상기 제 1지지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 1,2연결링크의 타측단부와 각각 힌지연결되는 제1로드를 구비한 제 1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제2파지유닛은 제2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프를 파지하기 위한 제3,4회전그립부재와, 상기 제3,4회전그립부재와 힌지핀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는 제 3,4연결링크와, 상기 제 2지지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 3,4연결링크의 타측단부와 각각 힌지연결되는 로드를 구비한 제 2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제 2지지프레임을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파지유닛의 제1지지프레임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2지지프레임에 제 3로드가 연결되고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된 제 3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포자끈견인유닛은 상기 포자끈공급유닛과 대응되는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 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이송테이블을 전, 후진 시키기 위한 제 5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4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2파지유닛에 의해 지지된 로프를 관통한 상태에서 벌려진 후 오무려져 포자끈을 파지하기 위한 제1,2포자끈파지부를 가지는 제1,2포자근파지부재와, 상기 제 1포자끈파지부재의 후단부에 각각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제 7,8연결링크와, 이송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제 7,8연결링크의 후단부와 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제1,2포자끈파지부재의 제1,2포자끈파지부를 벌리거나 밀착시키기 위한 제 6실린더를 구비한다.
한편, 포자끈견인유닛에는 상기 포자끈을 파지를 위하여 제 1,2포자끈파지부재의 전진 시 상기 제 1,2포자끈파지부재가 로프의 중앙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파지유닛에 의해 지지된 로프를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로프위치 세팅유닛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는 로프에 포자끈을 이앙함에 있어서, 로프에 포자끈의 이앙에 따른 위치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앙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포자끈의 공급 시 포자끈의 후퇴를 막을 수 있으며, 포자끈의 이동 시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의 평면도,
도 5 및 도6은 도 1에 도시된 이앙장치의 사시도로서, 로프풀림유닛(70)의 제2파지유닛(60)이 제1 파지유닛(50)측으로 이동되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앙장치의 제1,2파지유닛(50)(60)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이앙장치의 포자끈 견인유닛(80)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이앙장치의 포자끈절단유닛(130)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이앙장치의 포자끈견인유닛(8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는 로프에 포자끈을 이앙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10)는 베이스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어 로프(310)에 장력이 가하여진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로프공급 및 이송유닛(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로프공급 및 이송유닛(20)에 이송되는 이송구간의 베이스프레임(11)에 서브프레임(15)이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11)에는 이송되는 로프(310)의 일측을 파지하는 제1파지유닛(50)이 설치되고, 제1파지유닛(5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로프의 타측을 파지함과 아울러 제1파지유닛(50) 측으로 이동되어 로프가 풀리도록 하는 제 2파지유닛(60)이 설치된다. 상기 제 1,2파지유닛(50)(60)은 로프풀림유닛(70)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프레임(15)에는 포자끈(300)을 공급하는 포자끈 공급유닛(100)이 설치되고, 상기 포자끈 공급유닛(100)과 로프(310)를 사이에 두고 대응되는 측에는 로프(310)를 관통하여 상기 포자끈공급유닛(100)에 의해 공급된 포자끈(300)을 파지하고, 이 포자끈(300)이 로프(310)를 관통하도록 당기는 집게를 구비한 포자끈견인유닛(8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프레임(15)에는 포자끈견인유닛(80)에 의해 로프(310)를 관통한 포자끈(300)을 절단하는 포자끈절단유닛(130)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앙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로프 공급 및 이송유닛(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일측에 설치되는 로프공급부(30)와, 상기 로프공급부(30)와 대응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로프이송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로프공급부(30)는 베이스프레임(11)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1)의 상부에 로프가이드홈(31)이 형성된 로프가이드브라켓(32)이 설치된다. 상기 로드가이드브라켓(32)에 설치되는 로드가이드홈(31)은 출구측에서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깊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프가이드브라켓(32)에는 로프가이드홈(31)의 입구측과 인접되는 측에 로프가이드홈(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로프(31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롤러(33)들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33)는 로프가이드홈(31)의 양측의 수직방향과 상하 측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로프가이드브라켓(32)에 형성된 로프가이드홈(31)의 출구 측에는 로프가이드홈(31)을 따라 이동되는 로프(310)를 가압하여 공급되는 로프(310)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재(35)가 로프가이드브라켓(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부재(35)는 이를 지지하는 회전축에 가압스프링(36)이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재(35)를 상기 로프 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탄성바이어스 된다. 상기 가압스프링(36)은 토오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공급부(40)와 대응되는 측에 설치되는 로프이송부(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4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견인구동롤러(4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브라켓(41)에는 회동프레임(44)이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프레임(44)에는 상기 견인구동롤러(43)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로프(31)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종동롤러(4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브라켓(41)에 설치되는 회동프레임(44)은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견인스프링(46)에 의해 견인된다.
상기 로프풀림유닛(70)는 도 1, 도 5, 도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공급부(30)와 로프 이송부(40)에 의해 지지된 로프(310)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로프(310)가 풀릴 수 있도록 하여 제 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원활하게 풀린 로프(3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로프공급부(30)와 로프이송부(4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1)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 1파지유닛(50)과 제 2파지유닛(60)을 구비한다.
도5, 도6 및 도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지유닛(50)을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1)에는 제1지지프레임(52)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프레임(52)에는 제1힌지축(53)이 설치되고, 이 제1힌지축(53)에는 로프(310)를 파지하기 위한 제1,2회전그립부재(54)(5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힌지축(53)에 지지된 제 1회전그립부재(54)는 로프(3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반호형의 제1그립부(54a)가 구비되고, 제1힌지축(53)에 지지된 상기 제1회전그립부재(54)의 후방에는 제1레버부(54b)가 마련된다. 상기 제2회전그립부재(55)는 제 1회전그립부재(54)와 같이 제2힌지축(53)에 지지되며 제1그립부(54a)와 결합되어 로프(3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반호형의 제2그립부(55a)가 구비되고, 제1힌지축(53)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레버부(55b)가 마련된다.
상기 제1,2회전그립부재(54)(55)의 제1,2레버부(54b)(55b)는 힌지핀에 의해 제 1,2연결링크(56)(57)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고, 제 1,2연결링크(56)(57)의 타측은 제 1지지프레임(52)에 고정설치된 제1실린더(59)의 제1로드(58)와 힌지 연결된다. 상기 제1실린더(59)의 작동에 따라 제1,2연결링크(56)(57)와 연결된 제,2회전그립부재(54)(55)의 제1,2그립부(54a)(55a)가 벌려지거나 오무려져, 로프(310)를 파지하거나 해지하게 된다.
상기 제2파지유닛(60)을 지자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1)에는 제2지지프레임(62)이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62)에 설치되는 제2힌지축(6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프(310)를 파지하기 위한 제3,4회전그립부재(64)(65)를 구비한다. 상기 제3,4회전그립부재(64)(65)와 힌지핀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는 제 3,4연결링크(66)(67)와, 상기 제 2지지프레임(62)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3,4연결링크(66)(67)의 타측단부와 각각 힌지연결 되는 제2로드(68)를 구비한 제 2실린더(69)를 구비한다. 상기 제 3,4회전그립부재(64)(65)는 상기 제 1,2회전그립부재(54)(55)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파지유닛(60)을 제1파지유닛(5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1)에 로프(3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가이드레일(51)이 설치되고, 상기 제 2지지프레임(62)이 제1가이드레일(51)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제3실린더(72)의 제 3로드(71)가 연결된다. 제3실린더(72)에 의한 제 2지지프레임(62)의 이송은 제 1,2실린더(59)(69)에 의해 로프(310)의 양측이 파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자끈 공급유닛(100)은 포자끈(300)이 감긴 공급릴(301)을 구비한다. 상기 포자끈 공급릴(301)은 로프(310)에 장착하기 위한 포자끈(300)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포자끈 공급릴(301)를 스탠드의 지지축(30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포자끈 공급릴(301)에는 포자끈(300)이 공급되는 관성력에 의해 풀리다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방향 클러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포자끈공급릴(301)의 회전부하를 감지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자끈공급유닛(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프레임(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자끈공급롤러(102)와, 상기 포자끈공급롤러(102)에 접촉되어 회전하며 포자끈(300)이 후퇴하는 것을 방자히기 위한 라쳇휠(103)과, 상기 라쳇휠(103)의 외주면에 형성된 라쳇기어부(104)와 치합되는 라쳇(105)을 구비한다. 상기 라쳇휠(103)은 포자끈공급롤러(102)에 밀착되어 상기 포자끈(300)의 공급 시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프레임(15)에는 상기 포자끈공급롤러(102)로부터 공급되는 포자끈을 가이드하기 위한 포자끈가이드홈(107)이 형성된 포자끈가이드부재(108)가 설치되고, 상기 포자끈가이드부재(108)에는 포자끈(300)의 공급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기 포자끈가이드홈(107)과 연통되는 가이드실린더부(109)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실린더부(10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자끈스토퍼(110)를 구비한다. 포자끈스토퍼(110)는 서브프레임(15)에 설치되는 제 4실린더(111)에 의해 전, 후진되면서 포자끈(300)의 공급을 단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자끈절단유닛(130)은 포자끈공급유닛(100)에 의해 상기 포자끈가이드홈(107)을 통하여 공급된 포자끈(300)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프레임(15)에 설치되는 제 3힌지축(1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교차 시 포자끈(300)을 절단하고, 절단 후 벌려져 후속 포자끈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1,2컷팅부재(132)(13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컷팅부재(132)(133)의 후단부 즉, 제3힌지축(131)의 후단부측으로 연장되는 부위는 각각 제 5, 6연결링크(134)(135)의 일측과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5.6연결링크(134)(135)의 타측단부는 서브프레임(15)에 고정된 제 5실린더(136)의 로드와 힌지축에 의해 연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힌지축(131)에 지지된 제 1,2커팅부재(132)(133)의 결합상태는 가위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포자끈견인유닛(80)은 상기 포자끈공급유닛(100)과 제 1,2파지유닛(50)(60)에 의해 지지된 로프(310)를 사이에 두고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포자끈견인유닛(80)은 상기 포자끈공급유닛(100)과 대응되는 베이스프레임(11)에 제 2가이드레일(81)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가이드레일(81)에는 이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테이블(8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는 이송테이블(82)을 전, 후진 시키기 위한 제 5실린더(83)가 설치되는데,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된 제 5실린더(83)의 로드는 상기 이송테이블(82)의 일측과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이송테이블에 별도의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테이블(8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4힌지축(8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2파지유닛(50)(60)에 의해 지지된 로프를 관통한 상태에서 벌려진 후 오무려져 포자끈을 파지하기 위한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를 전단부에 가지는 제1,2포자끈파지부재(84)(85)를 구비한다.
상기 제1,2포자끈파지부재(84)(85)의 후단부에는 각각 제 7,8연결링크(86)(87)의 전단부가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 7,8연결링크(86)(87)의 후단부는 각각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를 벌리거나 밀착시키기 위한 제 6실린더(88)의 로드(88a)와 힌지 연결된다.
상기 포자끈(300)을 파지를 위하여 제 1,2포자끈파지부재(84)(85)의 전진 시 상기 제 1,2포자끈파지부재(84)(85)가 로프(310)의 중앙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파지유닛(50)(60)에 의해 지지된 로프를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로프위치 세팅유닛(9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로프위치세팅유닛(90)은 상기 이송테이블(82)의 전지 시 로프(310)의 하부와 접촉되며 전진시 로프(310)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경사부(91)이 형성된 세팅플레이트(92)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프위치세팅유닛(90)는 제 2파지유닛(60)의 제 2지지프레임(6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3실린더(72)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로프지지플레이트(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프위치세팅유닛(9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포자끈견인유닛(80)의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로프(310)를 관통하기 전에 로프(310)가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도1, 도3 및 도4에 도시된 부재번호 "121"은 서브프레임(15)에 로드가 연결되는 서브프레임구동실린더로서, 서브프레임(15)을 로프(310) 측으로 전후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포자끈(300)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포자끈을 로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로프의 직각 방향으로 지지)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를 이용하여 로프(310)에 포자끈(300)을 이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로프공급부(30)의 로프가이드홈(31)과 제 1파지유닛(50)의 제 1,2회전그립부재(54)(55)의 사이 및 제 3,4회전그립부재(64)(65)의 사이를 통과시킨 후 로프이송부(40)의 견인구동롤러(43)와 견인종동롤러(45)의 사이에 지지시킨다. 상기 견인구동롤러(43)와 견인종동롤러(45) 사이로의 로프(310)의 삽입은 제1브라켓(41)에 대해 회동프레임(44)를 회동시킴으로써 간격을 이격시킨 후 삽입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프(310)의 지지가 완료되면, 상기 포자끈(300)을 포자끈 공급유닛(100)의 포자끈(300)이 감긴 공급릴(301)로부터 포자끈(300)을 풀어 포자끈공급롤러(102)와 라쳇휠(103)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고, 상기 포자끈가이드부재(108)의 포자끈가이드홈(107)로 삽입하여 포자끈절단유닛(130)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프(310)과 포자끈(300)이 지지된 상태에서 로프이송부(40)의 구동모터(42)를 회전시켜 견인구동롤러(43)을 소정의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견인구동롤러(43)과 견인종동롤러(45)의 사이에 위치되는 로프(310)를 한 피치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포자끈(300)이 설치될 로프(310)가 한 피치 간격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로프풀림유닛(70)의 제1,2파지유닛(50)(60)의 제 1실린더(59)와 제 2실린더(69)를 작동시켜 각각의 제1로드(58)과 제 2로드(68)를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1로드(58)와 제 1,2연결링크(56)(57)에 의해 연결된 제1,2회전그립부재(54)(55)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로프(310)의 일측을 파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로드(68)와 제 3,4연결링크(66)(67)에 의해 연결된 제3,4회전그립부재(64)(65)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로프(310)의 타측을 파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2파지유닛(50)(60)에 의해 로프(310)의 양측이 파지되면, 제 3실린더(72)가 작동되어 제2파지유닛(60)을 제 1파지유닛(50)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 1,2파지유닛(50)(60)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된 로프(310)는 상호 압축되면서 꼬인 상태가 상대적으로 풀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포자끈견인유닛(80)의 제 6실린더(88)가 작동되어 제 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상호 밀착될(오무라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작용은 제6실린더(88)의 로드(88a)가 전진함으로서 상기 제1,2포자끈파지부재(84)(85)와 제7연결링크(86)과 제8연결링크(87) 사이의 연결부가 외측으로 확개(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5실린더(83)가 전진하여 이송테이블(82)를 제 2가이드레일(81)을 따라 전진시킴으로써 상호 밀착된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제1,파지유닛(50)(60)의해 지지되며 상대적으로 풀린 로프(310)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이송테이블(82)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이송테이블(82)에 장착된 세팅플레이트(92)가 제 1,2파지유닛(50)(60)에 위치되는 로프(310)의 하부로 이동되면서 로프(310)를 상승시켜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로프(310)의 중앙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포자끈견인유닛(80)의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로프(310)를 관통한 상태에서 제 6실린더(88)가 작동되어 이의 로드(88a)가 후퇴하게 됨으로써 제1,2포자끈파지부재(84)(85)를 당긴다, 즉, 제1,2포자끈파지부재(84)(85)와 제7,8연결링크(86)(87)의 연결부가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 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상호 벌어지게 되고, 포자끈 공급유닛(100)의 포자끈가이드홈(107)로 공급된 포자끈(300)이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6실린더(88)가 작동되어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를 상호 밀착시킴으로써 포저끈(300)의 단부를 파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에 의해 포자끈(300)의 파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5실린더(83)가 작동되어 이송테이블(82)를 후퇴시키게 된다.
이때에 상기 제 4실린더(111)가 작동되어 포자끈스토퍼(110)이 후퇴하게 되어 포자끈(300)은 일정길이 포자끈공급롤러(102)와 포자끈가이드홈(107)을 따라 인출되게 된다.
상기 인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제 4실린더(111)이 작동되어 포자끈스토퍼(110)를 전진시킴으로써 포자끈을 포자끈가이드부재(108)에 밀착시켜 포자끈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포자끈의 단부가 포자끈절단유닛(130)의 제1,2컷팅부재(132)(13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자끈견인유닛(80)의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로프(310)으로부터 이탈되어 포자끈이 로프(310)을 관통하게 되면, 상기 포자끈절단유닛(130)의 제 7실린더(136)가 작동되어 제 3힌지축(131)에 지지된 제 1,2컷팅부재(132)(133)를 교차시켜 포자끈을 컷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자끈의 컷팅이 완료되면, 상기 제 1,2파지유닛(50)(60)의 제 1,2실린더(59)(69)가 작동되어 로프(310)의 파지상태를 해지함과 아울러 제 3실린더(72)가 작동되어 제2파지유닛(60)을 제 1파지유닛(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로프(310)의 해지가 완료되면, 로프이송부(40)의 구동모터(42)가 작동되어 견인구동롤러(43)을 회전시킴으로써 로프(310)을 포자끈(300)을 이앙하기 위한 위치 즉, 한 피치의 거리로 이송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로프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되는 로프(310)은 로프가이드홈(31)을 따라 이동되는데, 로프가이드홈(31)이 형성된 로프가이드브라켓(31)의 단부에는 탄압된 가압부재(35)에 의해 로프(310)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로프(310)에는 일정한 인장력이 가하여지게 된다.
로프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2파지유닛(50)(60)이 이송된 로프(310)를 파지함과 아울러 풀림이 이루어지고, 포자끈견인유닛(80)의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로프(310)를 관통하여 포자끈(300)을 로프(310)에 이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들의 반복으로 로프에 포자끈의 이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의 포자끈 자동이앙장치는 포자끈의 이앙이 로프의 풀림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로프에 삽입하는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세팅플레이트에 의해 포자끈의 포설위치를 한정할 수 있으므로 포자끈의 이앙위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포자끈의 이송과 로프의 이송이 간헐적이며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포자끈의 신뢰성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해조류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연속되는 로프에 포자끈을 균일한 길이로 이앙할 수 있으므로 해조류의 성장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베이스프레임(11);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어 로프(310)에 장력을 가하여진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로프공급 및 이송유닛(20):
    상기 로프공급 및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구간의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15);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로프의 양측을 파지하는 제1파지유닛(50)과, 상기 제1파지유닛(5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로프의 타측을 파지함과 아울러 제1파지유닛(50) 측으로 이동되어 로프가 풀리도록 하는 제 2파지유닛(60)을 구비한 로프풀림유닛(70);
    상기 서브프레임(15)에 설치되어 포자끈(300)을 공급하는 포자끈 공급유닛(100);
    로프(3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포자끈공급유닛(100)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로프(310)를 관통하여 상기 포자끈공급유닛(100)에 의해 공급된 포자끈(300)을 파지하고, 이 포자끈(300)이 로프(310)를 관통하도록 당기는 집게를 구비한 포자끈견인유닛(80); 및
    상기 서브프레임(15)에 설치되어 상기 포자끈견인유닛(80)에 의해 로프(310)를 관통한 포자끈(300)을 절단하는 포자끈절단유닛(130)을 포함하고,
    상기 포자끈견인유닛(80)은,
    제 4힌지축(8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벌려지거나 오무려져 포자끈을 파지하기 위한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전단부에 형성된 제1,2 포자끈파지부재(84)(85);와, 상기 제1,2 포자끈파지부재(84)(85)의 후단부에 각각 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7,8 연결링크(86)(87);와, 상기 제7,8 연결링크(86)(87)의 후단부와 로드(88a)가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를 벌리거나 오무리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6실린더(8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자끈견인유닛(80)의 상기 제6실린더(88)의 로드(86)가 전진함으로써 상기 제1포자끈파지부재(84)와 제7연결링크(86) 사이의 연결부와 제2포자끈파지부재(85)와 제8연결링크(86) 사이의 연결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2포자끈파지부(84a) (85a)가 상호 오무려지고,
    상기 포자끈견인유닛(80)의 상기 제6실린더(88)의 로드(86)가 후퇴함으로써 상기 제1포자끈파지부재(84)와 제7연결링크(86) 사이의 연결부와 제2포자끈파지부재(85)와 제8연결링크(86)의 사이의 연결부가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2포자끈파지부(84a)(85a)가 상호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자끈견인유닛(80)은,
    상기 포자끈공급유닛(100)과 대응되는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제 2가이드레일(81)과, 상기 제 2가이드레일(81)을 따라 이송되고 상기 제4힌지축(89)이 설치되는 이송테이블(8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어 이송테이블(82)을 전, 후진시키기 위한 제 5실린더(8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풀림유닛(70)의 제2 파지유닛(60)을 상기 제1 파지유닛(50) 측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파지유닛(50)과 제2 파지유닛(60)이 각각 장착되는 제1 지지프레임(52)과 제2 지지프레임(62);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로프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51);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62)에 제3로드(71)가 연결되어 제2 지지프레임(62)을 상기 제1 가이드레일(51)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7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풀림유닛(70)의 제1파지유닛(50)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52)에 설치되는 제1힌지축(5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프(310)를 파지하기 위한 제1,2회전그립부재(54)(55)와, 상기 제1,2회전그립부재(54)(55)와 힌지핀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는 제 1,2연결링크(56)(57)와, 상기 제 1지지프레임(52)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 1,2연결링크(56)(57)의 타측 단부와 각각 힌지연결되는 제1로드(58)를 구비한 제 1실린더(59)를 구비하며,
    상기 로프풀림유닛(70)의 제2파지유닛(60)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62)에 설치되는 제2힌지축(6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프(310)를 파지하기 위한 제3,4회전그립부재(64)(65)와, 상기 제3,4회전그립부재(64)(65)와 힌지핀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는 제 3,4연결링크(66)(67)와, 상기 제 2지지프레임(62)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 3,4연결링크(66)(67)의 타측 단부와 각각 힌지연결되는 제2로드(68)를 구비한 제 2실린더(6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80155256A 2018-10-19 2018-12-05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KR102305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523 2018-10-19
KR20180125523 2018-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630A KR20200044630A (ko) 2020-04-29
KR102305949B1 true KR102305949B1 (ko) 2021-09-29

Family

ID=7046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256A KR102305949B1 (ko) 2018-10-19 2018-12-05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844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에버그린 보건 마스크 제조용 귀끈 부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091B1 (ko) * 2021-12-29 2023-08-09 송용익 화학약품 자동 공급 및 충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71B1 (ko) * 2011-09-05 2013-09-25 이종고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KR101395297B1 (ko) * 2014-01-17 2014-05-16 정우종 종균 자동 삽입장치
KR101824849B1 (ko) * 2017-11-14 2018-02-01 한우석 해초류 양식용 포자 끈 결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09B1 (ko) 2013-04-05 2013-08-09 한우석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101840171B1 (ko) 2017-09-27 2018-03-19 김장균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71B1 (ko) * 2011-09-05 2013-09-25 이종고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KR101395297B1 (ko) * 2014-01-17 2014-05-16 정우종 종균 자동 삽입장치
KR101824849B1 (ko) * 2017-11-14 2018-02-01 한우석 해초류 양식용 포자 끈 결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844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에버그린 보건 마스크 제조용 귀끈 부착 장치
KR102548372B1 (ko) 2020-11-30 2023-06-27 주식회사 에버그린 보건 마스크 제조용 귀끈 부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630A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65B1 (ko)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KR102305949B1 (ko)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KR101295409B1 (ko)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JP2007282558A (ja) 蔓植物栽培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蔓植物栽培方法
CN112205289B (zh) 一种海带成排垂直夹苗的装置与方法
DE19944789A1 (de) Bindemaschine für den Gartenbau
KR101840171B1 (ko)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101824849B1 (ko) 해초류 양식용 포자 끈 결속장치
KR20210144372A (ko) 해초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CN107265037B (zh) 一种圣诞树枝绑枝机的传送与固定机构
KR101527060B1 (ko) 포자이앙 클램프
DE102022102389B4 (de) Obstpflücker
CN216567338U (zh) 一种适宜大跨度非对称保温大棚的黄瓜落蔓装置
CN217183817U (zh) 一种基于种子带的耕种装置及其种子带放线装置
KR102045323B1 (ko)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Vivek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atic transplanting mechanism for protray vegetable seedlings.
CN214430523U (zh) 一种适于设施茄果类蔬菜的吊蔓装置
CN204707550U (zh) 果树开角拉枝器
CN114521367A (zh) 一种基于种子带的耕种装置及其耕种控制方法
KR100990852B1 (ko) 원예용 결속기 헤드
DE10119194C1 (de) Kombinierte Rodemaschine
JP4111402B1 (ja) 少なくとも3撚形成ロープに差し継ぎロープを差し継ぐための装置および該装置による差し継ぐための方法
EP2767156B1 (en) A method to cut wires grown over with plants in a crop wire hoisting system and an apparatus for applying the method
DE321433C (de) Pflanzensetzmaschine, insbesondere fuer Getreidepflanzen
DE602006000671T2 (de) Mehrzählige Wickelrollenanordnung mit Führungsdräten für Saaten und Arbeitswagen dafü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