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371B1 -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 Google Patents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371B1
KR101311371B1 KR1020110089339A KR20110089339A KR101311371B1 KR 101311371 B1 KR101311371 B1 KR 101311371B1 KR 1020110089339 A KR1020110089339 A KR 1020110089339A KR 20110089339 A KR20110089339 A KR 20110089339A KR 101311371 B1 KR101311371 B1 KR 10131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fixed
unit
fram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016A (ko
Inventor
이종고
Original Assignee
이종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고 filed Critical 이종고
Priority to KR102011008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3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4Transplanting machines for deeper setting or shifting of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역 종묘 자동 끼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 종묘를 연승줄에 자동으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고정핀과 이동핀을 이용하여 연승줄을 벌린후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의 종묘를 자동으로 끼울 수 있도록 발명한 미역 종묘 자동끼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10), 가로 프레임(12) 및 베이스 프레임(14)과 지지 프레임(16) 및 받침 프레임(1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4) 상부면 중앙부에 연승줄을 안내하도록 안내 받침판(23)과 이송 받침판(25)을 구비한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종묘가 끼워지는 연승줄을 벌려주도록 이동핀(40)이 구비된 이동 실린더(36)와 고정핀(46)이 구비된 고정핀축(44)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핀(40)과 고정핀(46)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 실린더(32)가 설치된 끼움 유닛(102)과; 상기 연승줄의 이송시 연승줄이 이탈하지 않고 상기 끼움유닛(10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잡아주기 위한 상하 실린더(52)와 전후 실린더(56)를 구비한 클램핑 유닛(104)과; 상기 끼움유닛(102)에 의해 벌려진 연승줄에 종묘를 끼운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설치된 이송 유닛(106)과; 상기 연승줄이 이탈되지 않고 균형을 이루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이동홈(84)이 형성된 고정판(82)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82)에 설치되는 밸런싱 롤러(88)를 구비한 밸런싱축(86)이 설치된 밸런싱 유닛(10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의 종묘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끼울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량이 많아지므로 작업효율이 매우 향상되고 생산성이 우수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많은 수의 작업인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인력부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AN APPARATUS FOR AUTO INSERTING A SEAWEED}
본 발명은 미역 종묘 자동 끼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 종묘를 연승줄에 자동으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고정핀과 이동핀을 이용하여 연승줄을 벌린후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의 종묘를 자동으로 끼울 수 있도록 발명한 미역 종묘 자동끼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바다에 서식하는 생물은 총 30여만종으로 알려져 있고, 지구 동식물의 80%가 바다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바다에서의 해조류는 1차 생산자로서 무척추동물, 어류 및 원생동물 등 다양한 동물들의 산란장, 쉼터 등 서식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는 총 735종에 이르고 그 중 식용 또는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종류는 약 20여종으로서 대량 양식이 가능한 것은 김, 미역, 다시마, 톳, 쇠미역 등의 몇 종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해조자원의 이용 및 해조류 양식 산업의 품종 다변화를 위하여 다양한 양식 대상종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해안 가운데 동해와 남해는 남쪽에서 북상하는 난류와 북쪽에서 하강하는 한류 세력이 교차하는 등 해양 환경의 변화가 심하고, 또한, 봄철에 나타나는 냉수대 등의 영향으로 해조의 형태 변이가 심하고, 태풍 등의 기상의 변화에 따른 바다 환경의 변화가 매우 다양하여 해조류의 종묘를 연승줄에 끼워 넣었다 하더라도 쉽게 빠져서 효율적으로 종묘를 끼우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해조류중 미역, 다시마 등을 양식하기 위해서는 미역, 다시마 등의 종묘를 2-4줄의 나선형으로 꼬여있고 길게 이어져서 매듭이 형성된 로프(이하, 연승줄이라 함)에 끼우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연승줄에 미역, 다시마 등의 종묘를 끼우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종묘를 손으로 쥐고 꼬여있는 연승줄을 벌린 후, 벌려진 부위에 종묘를 끼워넣어야 했고, 연승줄이 매듭으로 연결되어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혼자서는 불가능했고, 20여명이 한조가 되어 종묘를 준비하고 연승줄을 풀고 종묘를 끼우는 등의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수행해야 했으므로 매우 번거롭고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묘를 끼우기 위한 연승줄이 강하게 꼬여있는 상태이거나 연승줄의 탄력 정도가 너무 다를 경우 연승줄을 벌리기가 배우 어려우므로 작업이 매우 어려웠고, 작업시간도 오래 걸렸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 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조류의 어린 종묘를 양식로프에 감싸 바인더끈으로 결속시키거나 배양끈을 결속하기 위한 장치로써 특허등록 제10-962071호 및 실용공개 제2000-6359호가 공개되어 있었으나 매우 비효율적이어서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해조류를 양식하는 사람들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해조류의 종묘를 자동으로 끼울 수 있는 종묘 자동 끼움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 종묘를 연승줄에 자동으로 끼울 수 있는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승줄의 꼬임 정도나 감겨있는 강약 및 탄력의 정도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벌려서 종묘를 끼울 수 있는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늘 모양의 뾰족한 고정핀 및 이동핀을 이용하여 연승줄을 벌려서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 종묘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발명한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10), 가로 프레임(12) 및 베이스 프레임(14)과 지지 프레임(16) 및 받침 프레임(1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4) 상부면 중앙부에 연승줄을 안내하도록 안내 받침판(23)과 이송 받침판(25)을 구비한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종묘가 끼워지는 연승줄을 벌려주도록 이동핀(40)이 구비된 이동 실린더(36)와 고정핀(46)이 구비된 고정핀축(44)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핀(40)과 고정핀(46)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 실린더(32)가 설치된 끼움 유닛(102)과; 상기 연승줄의 이송시 연승줄이 이탈하지 않고 상기 끼움유닛(10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잡아주기 위한 상하 실린더(52)와 전후 실린더(56)를 구비한 클램핑 유닛(104)과; 상기 끼움유닛(102)에 의해 벌려진 연승줄에 종묘를 끼운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설치된 이송 유닛(106)과; 상기 연승줄이 이탈되지 않고 균형을 이루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이동홈(84)이 형성된 고정판(82)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82)에 설치되는 밸런싱 롤러(88)를 구비한 밸런싱축(86)이 설치된 밸런싱 유닛(10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의 종묘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끼울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량이 많아지므로 작업효율이 매우 향상되고 생산성이 우수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많은 수의 작업인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인력부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역 종묘를 자동으로 끼우는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역 종묘를 자동으로 끼우는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역 종묘를 자동으로 끼우는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역 종묘를 자동으로 끼우는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10), 가로 프레임(12) 및 베이스 프레임(14)과 지지 프레임(16) 및 받침 프레임(1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4) 상부면 중앙부에 연승줄을 안내하도록 안내 받침판(23)과 이송 받침판(25)을 구비한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종묘가 끼워지는 연승줄을 벌려주도록 이동핀(40)이 구비된 이동 실린더(36)와 고정핀(46)이 구비된 고정핀축(44)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핀(40)과 고정핀(46)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 실린더(32)가 설치된 끼움 유닛(102)과; 상기 연승줄의 이송시 연승줄이 이탈하지 않고 상기 끼움유닛(10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잡아주기 위한 상하 실린더(52)와 전후 실린더(56)를 구비한 클램핑 유닛(104)과; 상기 끼움유닛(102)에 의해 벌려진 연승줄에 종묘를 끼운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설치된 이송 유닛(106)과; 상기 연승줄이 이탈되지 않고 균형을 이루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이동홈(84)이 형성된 고정판(82)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82)에 설치되는 밸런싱 롤러(88)를 구비한 밸런싱축(86)이 설치된 밸런싱 유닛(10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송유닛(106)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64)과; 상기 고정판(64)의 전부에 고정되고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이송 실린더(66)와; 상기 이송 실린더(66)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72) 및 하판(74)과; 상기 하판(74)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승줄을 꽂아서 고정하도록 형성된 쐐기팁(76)과;상기 고정판(64)의 일측 후부에 고정되어 상기 쐐기팁(76)에 꽂혀진 연승줄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에 고정 설치되는 이송 실린더(6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핀(40)과 고정핀(46)은 바늘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밸런싱 유닛(108)의 좌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판(94)과; 상기 한 쌍의 고정판(94)에 걸쳐지도록 고정 설치되고 아이들 롤러(98)가 구비된 아이들 축(96)과; 연승줄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판(94)에 고정되는 디귿자 형상의 이탈 방지대(99)를 구비한 아이들 롤러 유닛(1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역 종묘를 자동으로 끼우는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미역 종묘를 자동으로 끼우는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미역 종묘를 자동으로 끼우는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좌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미역 종묘를 자동으로 끼우는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의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200)는 먼저, 바닥에 설치되어 종묘 자동 끼움장치(200)를 받쳐주는 베이스부(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간부분에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의 종묘를 끼우기 위한 연승줄을 벌려주기 위한 끼움유닛(10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끼움유닛(102)이 설치된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의 종묘를 끼우기 위해 공급되는 연승줄을 상부 및 측부에서 잡아주기 위한 클램핑 유닛(10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00)의 우측 상부에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의 종묘가 끼워진 연승줄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유닛(10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 좌측부에는 상기 연승줄이 공급될 때 일정하게 이송하면서 공급되도록 밸런싱 유닛(10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런싱 유닛(108)의 좌측부에는 연승줄을 안내하도록 설치된 아이들롤러 유닛(11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간 우측부에는 제어반(1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반(112)은 상기 끼움유닛(102)과, 클램핑 유닛(104)과, 상기 이송유닛(106)에 연결 설치된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동작시킨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후부 측면에는 공압공급유닛(11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압공급유닛(114)에는 미도시된 컴프레서가 연결 설치되어져서 본 발명의 종묘 자동 끼움장치(200)에 설치된 각각의 공압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압을 일정한 압력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종묘 자동 끼움장치(200)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베이스부(100)는 우선,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10)이 격자 형상으로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 프레임(10)들의 하단부가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가로 프레임(12)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상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이스 프레임(14)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하단부에는 각각의 세로 프레임(10)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받침 조절구(11)가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받침 조절구(11)는 상기 베이스부(100)를 바닥면에 설치하는 경우 불규칙한 바닥면에서 장치를 평행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세로봉에 나사선이 형성된 이송 스크류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 조절구(11)를 회전시킴으로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의 승강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간 부분에는 세로방향으로 지지 프레임(1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세로 프레임(10)과 지지 프레임(16)의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받침 프레임(18)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 프레임(18)의 상부에는 받침판(20)이 놓여져서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4)의 상부에는 상판(22)이 놓여져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판(22)의 중간 부분에는 안내 받침판(23) 및 이송 받침판(25)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 받침판(23)은 상기 밸런싱 유닛(108)을 통과하는 연승줄이 안내되도록 받쳐주고, 상기 이송 받침판(25)은 상기 이송유닛(106)이 연승줄을 이송시킬 때 연승줄의 하부에서 받쳐주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4)의 후부에는 이송유닛(106)을 지지하도록 이송유닛 지지프레임(24,26)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프레임(24)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송 실린더(66)가 고정되는 한 쌍의 이송 실린더 지지 프레임(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실린더 지지 프레임(28)의 상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이송 실린더 고정 프레임(30)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받침판(20)의 상부에는 끼움유닛(102)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끼움유닛(102)은 상기 받침판(20)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 실린더(3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강 실린더(32)의 상부에는 받침판(34)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실린더(3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받침판(34)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이동 실린더(3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이동 실린더(36)의 전부에는 이동핀축(3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핀축(38)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동핀(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핀(40)은 바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승줄의 이동시 연승줄을 꽂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핀(40)이 연승줄을 꽂으면 상기 이동 실린더(36)가 동작하여 당김으로서 상기 연승줄의 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실린더(36)의 반대편에는 상기 이동 실린더(36)의 이동핀축(38)과 대응하도록 고정핀축(44)이 고정 브라켓(4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축(44)의 일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46)은 상기 이동핀(40)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의 바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승줄의 일측부를 꽂아서 고정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승강 실린더(32)의 상하 이동 동작에 의해 상기 받침판(34)의 상부에 설치된 이동핀(40) 및 고정핀(46)이 상승하여 연승줄에 꽂히게 된다. 이후, 상기 이동 실린더(36)가 동작하여 상기 이동핀(40)이 이동하면서 연승줄이 벌어지고 이때 벌어진 연승줄의 틈 사이에 종묘를 끼우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하 이동을 위해서 승강 실린더(32)를 사용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요지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기계식 방법인 크랭크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끼움유닛(102)의 상부에는 클램핑 유닛(104)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클램핑 유닛(104)은 상기 연승줄의 이동시 연승줄이 흔들리거나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대(48)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대(48)의 전부에 고정 브라켓(5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전부에는 상하 실린더(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 실린더(52)의 하단부에는 클램핑 로드(5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하 실린더(52)는 상기 미도시된 컴프레서로부터 공압을 공급받고, 전술된 공압공급유닛(114)으로부터 공압을 전달받아 상하로 동작하며, 이때, 상기 상하 실린더(52)의 하부에 구비된 클램핑 로드(54)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공급되는 연승줄을 상부에서 누르면서 잡아준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상하 실린더(52)와 직교하도록 전후 실린더(56)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후 실린더(56)의 전부에는 클램핑 로드(58)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 실린더(56)의 동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승줄이 움직이지 않도록 밀면서 잡아주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클램핑 유닛(104)에 의해 안정된 위치에 위치된 연승줄은 상기 끼움유닛(10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벌려지고 상기 연승줄이 벌려지면 상기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의 종묘를 벌려진 연승줄 사이에 끼워 넣게 된다.
상기 연승줄에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의 종묘가 끼워지면 상기 이송유닛(106)에 의해 연승줄이 이송되는바, 상기 이송유닛(106)은 먼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고정된 이송유닛 지지 프레임(24,26)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로드(6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로드(60)는 상하부에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로드(60)의 양단부는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6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의 고정로드(60)에는 고정판(6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64)에는 이송 실린더(66)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실린더(66)의 하부에는 이송 실린더 로드(6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송 실린더 로드(68)는 고정팁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팁부(70)에는 상판(72) 및 하판(74)이 상하부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72)와 하판(74)에는 복수개의 고정대(78)가 좌우측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대(78)에는 스프링(80)이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80)에 의해 상기 상판(72)과 하판(74)이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조절한다.
상기 하판(74)의 하부에는 아래방향으로 개방되어 디귿자 형상의 쐐기팁(76)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쐐기팁(76)의 하부는 뾰족하게 형성되어 연승줄을 꽂아서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이송유닛 지지 프레임(26)과 이송실린더 고정 프레임(30)에는 이송 실린더(67)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이송 실린더(67)의 전부에 구비된 로드에는 상기 고정판(64)의 후부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송 실린더(67)에 고정된 고정판(64)은 상기 이송 실린더(67)의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판(64)이 좌우로 움직임으로서 상기 이송유닛(106)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종묘가 꽂혀진 연승줄을 이송시킨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0)의 좌측 상부에는 밸런싱 유닛(108)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밸런싱 유닛(108)은 한 쌍의 고정판(82)이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82)에는 이동홈(84)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82)에는 밸런싱 축(86)이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런싱 축(86)에는 밸런싱 롤러(88)가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밸런싱 롤러(88)의 중앙에는 원주방향으로 안내홈(9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90)은 연승줄이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밸런싱 축(86)의 일단부에는 밸런싱 추(92)가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밸런싱 추(92)에 의해서 상기 밸런싱 축(86)의 무게중심이 유지됨과 동시에 연승줄의 매듭이 통과하는 경우에도 상기 밸런싱 축(86)이 상기 이동홈(84)을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이탈하지 않고 균형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밸런싱 유닛(108)의 좌측부에는 아이들 롤러 유닛(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아이들 롤러 유닛(110)은 한쌍의 고정판(94)이 마주보면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94)에 아이들 롤러축(96)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아이들 롤러축(96)에는 아이들 롤러(98)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94)에는 상기 아이들 롤러(98)의 외측부로 연승줄이 이탈하지 않도록 디귿자형상의 이탈 방지대(99)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종묘 자동 끼움장치(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된 제어반(112)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동작을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우선, 미도시된 컴프레서로부터 공압이 제공되면, 상기 공압공급유닛(114)로 공급되고 상기 종묘 자동 끼움장치(200)에 설치된 각각의 실린더에 공압이 공급된다.
상기 연승줄이 상기 아이들 롤러 유닛(110)의 아이들 롤러(98)를 타고 진행되고 상기 밸런싱 롤러(88)의 안내홈(90)을 따라 진행하며, 상기 연승줄은 상기 이송유닛(106)에 의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화살표방향과 같이 우측방향으로 이송되어 진다.
이때, 상기 연승줄이 상기 클램핑 유닛(104)에 의해 상기 끼움유닛(102)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연승줄의 하부에서 끼움유닛(102)의 고정핀(46)과 이동핀(40)이 상기 승강 실린더(32)에 의해 상승하여 연승줄에 꽂히고 상기 이동 실린더(36)에 의해 이동핀(40)이 움직여서 이동핀(40)에 꽂혀진 연승줄을 벌려주고 이때 벌려진 연승줄 사이에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의 종묘를 끼우게 된다.
이후, 상기 종묘가 끼워진 연승줄은 상기 이송유닛(106)에 의해 이송되는바, 상기 이송유닛(106)의 이송 실린더(66)가 상하로 동작하여 상기 쐐기팁(76)을 하부 방향으로 내려서 연승줄을 끼우면 상기 이송 실린더 고정 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기 이송 실린더(67)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연승줄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들은 상기 제어반(112)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구분되어 동작될 수 있고 이러한 일련의 제어 동작은 당업자라면 당연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순차제어이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원발명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 본원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세로 프레임 12 : 가로 프레임
14 : 베이스 프레임 16 : 지지 프레임
18 : 받침 프레임 20 : 받침판
22 : 상판 24,26 : 이송유닛 지지 프레임
28 : 이송실린더 지지 프레임 30 : 이송실린더 고정 프레임
32 : 승강 실린더 34 : 받침판
36 : 이동 실린더 38 : 이동핀 축
40 : 이동핀 42 : 고정 브라켓
44 : 고정핀 축 46 : 고정핀
48 : 고정대 50 : 고정 브라켓
52 : 상하 실린더 54,58 : 클램핑 로드
56 : 전후 실린더 60 : 고정로드
62 : 고정 브라켓 64 : 고정판
66 : 이송 실린더 68 : 이송 실린더 로드
70 : 고정팁부 72 : 상판
74 : 하판 76 : 쐐기팁
78 : 고정대 80 : 스프링
82 : 고정판 84 : 이동홈
86 : 밸런싱 축 88 : 밸런싱 롤러
90 : 안내홈 92 : 밸런싱 축
94 : 고정판 96 : 아이들 축
98 : 아이들 롤러 99 : 이탈 방지대
100 : 베이스부 102 : 끼움유닛
104 : 클램핑 유닛 106 : 이송 유닛
108 : 밸런싱 유닛 110 : 아이들 롤러 유닛
112 : 제어반 114 ; 공압공급유닛
200 : 종묘 자동 끼움장치

Claims (4)

  1.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10)과,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하단부에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고정되어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12) 및 상기 가로 프레임(12)의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4)과, 상기 가로 프레임(1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4)의 중간부에 세로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6) 및 상기 세로 프레임(10)과 상기 지지 프레임(16)의 중간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받침 프레임(1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4) 상부면 중앙부에 연승줄을 안내하도록 안내 받침판(23)과 이송 받침판(25)을 구비한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종묘가 끼워지는 연승줄을 벌려주도록 이동핀(40)이 구비된 이동 실린더(36)와 고정핀(46)이 구비된 고정핀축(44)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핀(40)과 고정핀(46)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 실린더(32)가 설치된 끼움 유닛(102)과;
    상기 연승줄의 이송시 연승줄이 이탈하지 않고 상기 끼움유닛(10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잡아주기 위한 상하 실린더(52)와 전후 실린더(56)를 구비한 클램핑 유닛(104)과;
    상기 끼움유닛(102)에 의해 벌려진 연승줄에 종묘를 끼운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설치된 이송 유닛(106)과;
    상기 연승줄이 이탈되지 않고 균형을 이루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이동홈(84)이 형성된 고정판(82)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82)에 설치되는 밸런싱 롤러(88)를 구비한 밸런싱축(86)이 설치된 밸런싱 유닛(10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역 종묘 자동끼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106)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64)과;
    상기 고정판(64)의 전부에 고정되고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이송 실린더(66)와;
    상기 이송 실린더(66)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72) 및 하판(74)과;
    상기 하판(74)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승줄을 꽂아서 고정하도록 형성된 쐐기팁(76)과;
    상기 고정판(64)의 일측 후부에 고정되어 상기 쐐기팁(76)에 꽂혀진 연승줄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의 이송 실린더 고정 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는 이송 실린더(6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역 종묘 자동끼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핀(40)과 고정핀(46)은 바늘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역 종묘 자동끼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유닛(108)의 좌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판(94)과;
    상기 한 쌍의 고정판(94)에 걸쳐지도록 고정 설치되고 아이들 롤러(98)가 구비된 아이들 축(96)과;
    연승줄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판(94)에 고정되는 디귿자 형상의 이탈 방지대(99)를 구비한 아이들 롤러 유닛(11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KR1020110089339A 2011-09-05 2011-09-05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KR101311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39A KR101311371B1 (ko) 2011-09-05 2011-09-05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39A KR101311371B1 (ko) 2011-09-05 2011-09-05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016A KR20130026016A (ko) 2013-03-13
KR101311371B1 true KR101311371B1 (ko) 2013-09-25

Family

ID=4817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339A KR101311371B1 (ko) 2011-09-05 2011-09-05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3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13B1 (ko) 2015-05-18 2016-09-19 전라남도 대형 해조류용 채묘장치
KR20180111017A (ko) * 2017-03-31 2018-10-11 고봉규 부채 자동조립장치
KR20180114884A (ko) * 2018-10-12 2018-10-19 고봉규 부채 자동조립장치
KR20200044630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해초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6759B (zh) * 2023-08-02 2023-10-17 山东金瓢食品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海虹苗自动夹苗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415A (ko) * 2007-06-28 2009-01-09 동성해양개발 주식회사 종사로프 고정용 구조물을 결합한 해조초
KR20100004901A (ko) * 2009-11-20 2010-01-13 박세철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JP4398055B2 (ja) * 2000-04-04 2010-01-13 岡部株式会社 藻場造成用海藻種苗の生産方法
KR20100022508A (ko) * 2010-02-09 2010-03-02 박세철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개선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8055B2 (ja) * 2000-04-04 2010-01-13 岡部株式会社 藻場造成用海藻種苗の生産方法
KR20090002415A (ko) * 2007-06-28 2009-01-09 동성해양개발 주식회사 종사로프 고정용 구조물을 결합한 해조초
KR20100004901A (ko) * 2009-11-20 2010-01-13 박세철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KR20100022508A (ko) * 2010-02-09 2010-03-02 박세철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개선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13B1 (ko) 2015-05-18 2016-09-19 전라남도 대형 해조류용 채묘장치
KR20180111017A (ko) * 2017-03-31 2018-10-11 고봉규 부채 자동조립장치
KR101909813B1 (ko) * 2017-03-31 2018-10-18 고봉규 부채 자동조립장치
KR20180114884A (ko) * 2018-10-12 2018-10-19 고봉규 부채 자동조립장치
KR101990746B1 (ko) * 2018-10-12 2019-06-18 고봉규 부채 자동조립장치
KR20200044630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해초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KR102305949B1 (ko) * 2018-10-19 2021-09-29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016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371B1 (ko)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KR101862565B1 (ko)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EP3008995A1 (en) Method of culturing organism to be cultured, and culturing facility
CN207269611U (zh) 育雏育成体笼架结构及家禽笼
KR101535067B1 (ko) 패류 수하 자동공급장치
US9943072B2 (en) Loopwork rope for mussel culture
CN204560667U (zh) 一种升降式自动上簇架
CN207476661U (zh) 一种新型养殖用自动落食设备
CN210352701U (zh) 一种织网式贻贝自动包苗机
CN207678250U (zh) 一种自动调节行间距的钵苗移栽机喂苗装置
CN207100121U (zh) 一种禽类养殖自动集蛋设备、系统
KR101395298B1 (ko) 종균 삽입장치
CN215836553U (zh) 一种贝类幼虫孵化网箱
CN204949169U (zh) 一种海参规模养殖的机械设备
CN203860241U (zh) 一种水产养殖投料装置
CN216874505U (zh) 一种用于禽畜养殖线的均匀喂料装置
KR20090124637A (ko) 미더덕 및 오만둥이 양식용 그물
CN206365375U (zh) 一种养殖鱼用捕捞装置
CN206423361U (zh) 一种可悬挂贝类养殖套笼的贝类分苗装置
ATE413100T1 (de)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ködern in wasser
CN203748465U (zh) 水族缸鱼类养殖用防跳固定装置
KR102278555B1 (ko)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CN205511631U (zh) 用于深水网箱养殖的流速自动调节装置
KR102369097B1 (ko)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CN111727907B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蛋鸡养殖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