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323B1 -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 Google Patents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323B1
KR102045323B1 KR1020190062894A KR20190062894A KR102045323B1 KR 102045323 B1 KR102045323 B1 KR 102045323B1 KR 1020190062894 A KR1020190062894 A KR 1020190062894A KR 20190062894 A KR20190062894 A KR 20190062894A KR 102045323 B1 KR102045323 B1 KR 102045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culture rope
rope
cultur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323B9 (ko
Inventor
조호현
Original Assignee
조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5786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453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호현 filed Critical 조호현
Priority to KR102019006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323B1/ko
Publication of KR10204532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32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2Tapes, bands or c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양식 로프를 잡아 정지시킨 후 양식 로프에 종묘사를 자동으로 결속시킬 수 있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device for inserting a seaweed seed string into the farming rope}
본 발명은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김이나 미역 등의 각종 해초류를 양식하기 위하여, 기다란 양식 로프에 일정 간격마다 해초 포자가 배양된 종묘사를 끼워넣고 절단시키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기존의 수작업 또는 반자동식 종묘사 결속 작업을 완전 자동화함으로써, 종묘사 결속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역(톳도 포함한다)의 양식을 위해서는 해초류의 포자를 배양한 끈(이하, 간단히 종묘사라 함)을 미역 양식용 로프에 결속시켜주어야 하는데, 약 3cm정도의 길이의 종묘사를 세가닥 또는 네가닥으로 꼬아진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로프에 결속시키기란 결코 용이한 일이 아니다.
로프의 꼬아진 가닥 사이에 종묘사를 끼워넣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들이 마주앉아, 한 사람이 로프의 꼬인 부분을 비틀어 가닥을 풀어주면 앞에 앉아있는 작업자가 로프 가닥 틈 사이에 종묘사를 끼워넣어 로프의 가닥사이에 종묘사가 결속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에서는, 수천미터의 로프에 일정간격으로 종묘사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수십명의 작업자가 필요하고, 또한, 일일이 수작업에 의하므로 종묘사의 결속간격이 일정하지 못해 품질의 균일화가 곤란한 단점이 있으며, 작업자들의 인건비 및 식사비용 등 많은 경비가 소요되므로 가뜩이나 인력이 부족한 어촌에 있어서는 인력을 줄일 수 있는 기계화된 종묘사결속장치가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1. 등록번호 10-1295409호: 해초류 포자끈 결속장치 2. 등록번호 10-0962071호: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3. 공개번호 10-2010-0022508호: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개선구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식 로프를 잡아 정지시킨 후 양식 로프에 종묘사를 자동으로 결속시킬 수 있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는,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두 개의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정지된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상기 양식 로프를 벌리고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상기 종묘사를 공급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로 정지시키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하는 제어기(60); 및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와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와 상기 제어기(60)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를 포함하고,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는, 상기 양식 로프(R)에 매듭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매듭감지 센서(5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매듭이 포함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통과할 때 까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및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구동하지 않고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의하면, 양식 로프에 일정 간격마다 해초 포자가 배양된 종묘사가 자동으로 끼워지고 절단됨으로써, 기존의 수작업 또는 반자동식 종묘사 결속 작업이 완전 자동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묘사 결속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건비가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식 로프 정지기에 의해 양식 로프를 잡아 정지시킨 후, 양식 로프의 중앙측으로 종묘사 삽입기의 일측을 밀어 넣어 줌으로써, 양식 로프의 꼬임 특성을 그대로 유지시킨 채 양식 로프에 삽입될 부분에 충분한 공간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양식 로프의 원상태 복원시 꼬임 특성이 유지되어, 삽입된 종묘사의 고정력이 유지되어 종묘사가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묘사 삽입 집게에 의해 종묘사를 집은 후 양식 로프의 부풀어진 공간부를 통과하여 양식 로프측으로 잡아 당겨 양식 로프내에 고정되게 하는 방식이 채택됨으로써, 양식 로프와의 간섭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종묘사 내의 종묘가 유실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작업 에러 없이 해초류 종묘가 부착된 종묘사가 간결하면서도 확실하게 양식 로프에 결속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종묘사를 양식 로프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가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종묘사 삽입기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식 로프의 매듭 부분이 상기 종묘사 삽입기를 통과하는 동안에는 종묘사가 상기 매듭 부분에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묘사 삽입 집게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묘사 공급기로 종묘사가 주입되지 않으면, 종묘사 감지 센서가 감지 정보를 제어기로 전송하며, 제어기는 종묘사 공급기로 유입되는 종묘사가 다시 감지될 때 까지, 양식 로프 공급기를 구동하지 않고 정지시킨다.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가 정지되기 때문에, 상기 양식 로프 중 상기 종묘사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식 로프에 종묘사가 삽입되는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묘사 삽입 집게를 구성하는 제1집게와 제2집게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집게와 상기 제2집게가 양식 로프로 삽입될 때,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가 상기 양식 로프에 부딪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가 상기 양식 로프에 걸려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종묘사 삽입기의 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전선 또는 유압 주입 라인들이, 상기 종묘사 삽입기의 구성요소들과 엉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종묘사 삽입기에는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종묘사 삽입 집게 간격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가 양식 로프와 충돌하여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가 상기 양식 로프를 관통할 때,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가 상기 양식 로프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가 보다 더 원활하게 상기 양식 로프를 관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양식 로프 정지기, 종묘사 삽입기 및 종묘사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양식 로프 정지기에 적용되는 로프 바인더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종묘사 삽입기의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종묘사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양식 로프 가이드의 측면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양식 로프 정지기에 적용되는 로프 바인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전체 실물을 촬영한 일실시예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양식 로프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종묘사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종묘사 삽입 집게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종묘사 삽입기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종묘사 삽입기에 장착되어 있는 종묘사 삽입 집게 간격 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양식 로프 받침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양식 로프 받침부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양식 로프 정지기, 종묘사 삽입기 및 종묘사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양식 로프 정지기에 적용되는 로프 바인더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특히, 제1, 2 로프 바인더들(25, 26)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내기 위해 덮개를 제거한 로프 바인더의 정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종묘사 삽입기의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종묘사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양식 로프 가이드의 측면의 부분 확대도이며, 특히, 양식 로프를 가이드하기 위한 양식 로프 가이드(50)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양식 로프 정지기에 적용되는 로프 바인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특히, 제1, 2 로프 바인더(25,26)의 각 작동 상태에 따른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10-1862565호(이하, 간단히 등록특허라 함)를 개량한 것이며, 특히, 등록특허의 종묘사 삽입기(30)의 구성을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100)는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양식 로프 공급기(10)에서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고 중앙으로 일측을 밀어 삽입 집게(31)가 통과하는데 용이함과 동시에 삽입 집게(31)가 종묘사를 잡아 당겨 양식 로프(R)로의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고정 유지되도록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양식 로프 정지기(20), 양식 로프 정지기(20)에 의해 정지된 양식 로프(R)에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벌리고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종묘사를 공급하고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양식 로프 정지기(20)를 통해 공급되는 종묘사(S)가 삽입된 양식 로프(R)를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및 양식 로프 공급기(10)에서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양식 로프 정지기(20)로 정지시키고 종묘사 삽입기(30)로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고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제어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나 설명이 안된 도면 부호 "70"은, 양식 로프 공급기(10), 양식 로프 정지기(20), 종묘사 삽입기(30), 종묘사 공급기(40) 및 양식 로프 가이드(50)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판(71)과 지지상판(71)을 지지하는 지지다리(72)로 구성되는 지지대이다.
첫째, 양식 로프 공급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상판(7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지지대 상판(71)에 부착되는 사각형 밑판의 모서리에서 서로 마주보며 세워져 형성되는 2개의 롤러 지지판(11, 11)과; 2개의 롤러지지판(11, 11) 사이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롤러(12)와; 2개의 롤러 지지판(11, 11) 사이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 롤러(12)와 밀착되게 설치되어 하부 롤러(12)와 사이에 삽입되는 양식 로프(R)를 회전에 의해 공급하는 상부 롤러(14)와; 하부 롤러(1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3)를 포함한다.
하부 롤러(12)와 상부 롤러(14)의 회전축은 롤러 지지판(1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부로 돌출된 상부 롤러(14)의 회전축과 연결된 지지부(13a)와 롤러 지지판(11)에서 연장된 연장부(11a)에는 스프링(15)의 양단부가 끼워져 있어서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 롤러(12)와 상부 롤러(14)는 서로 밀착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하부 롤러(12)와 상부 롤러(14) 사이에 삽입되는 양식 로프(R)에 스프링(15)의 탄력에 의한 마찰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하부 롤러(12)와 상부 롤러(14)의 회전에 의해 하부 롤러(12)와 상부 롤러(14)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발생되어, 양식 로프(R)를 양식 로프 정지기(20)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하부 롤러(12)는 상부 롤러(14)와 사이에 양식 로프(R)를 끼워져 회전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양식 로프(R)를 배출시키는 이송력을 향상시켜 매듭 부분을 가진 양식 로프(R)도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원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경사진 굴대(12a)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 경사진 굴대(12a)는 기어드 기어 기능을 하여 양식 로프(R)가 감겨 있는 묶음 부분이 통과하더라도 원할하게 견인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식 로프 공급기(10)는, 종묘사(S)가 삽입되지 않은 양식 로프를 양식 로프 정지기(20)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종묘사(S)가 삽입된 양식 로프를 양식 로프 정지기(20) 방향으로 부터 이송해올 수도 있다.
둘째, 양식 로프 정지기(20)는,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되 양식 로프(R)가 감긴 꼬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풀어 후술할 종묘사 삽입 집게가 들어갈 공간을 마련해 줄 주는 방식이 될 수 있고, 양식 로프(R)를 풀어주되 양식 로프(R)의 양측을 잡아 중앙측으로 밀어 꼬임을 풀어서 종묘사 삽입 집게가 들어갈 공간을 마련해 주는 방식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자인 양식 로프(R)의 양측을 잡아 중앙측으로 밀어 꼬임을 풀어서 종묘사 삽입 집게가 들어갈 공간을 마련해 주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양식 로프 정지기(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상판(71)에 가이드 브라켓(23, 24)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설치되는 2개의 가이드 원통(21, 22)과; 2개의 가이드 원통(21, 22)의 마주보는 면에 부착되고, 2개의 가이드 원통(21, 22)을 통과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는 제1, 2 로프 바인더(25, 26)와; 제 1 로프 바인더(25)를 제1 로프 바인더(25)와 제2 로프 바인더(26)가 서로 마주보는 중앙측 방향인 일측으로 전진시켜 양식 로프(R)의 꼬임을 풀리게 하는 제1 공압 실린더(27)와; 제1, 2 로프 바인더(25, 26)의 승강날(256)을 동작시켜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는 제 2, 3 공압 실린더(28, 29)를 포함한다.
2개의 가이드 원통(21, 22)은 지지상판(71)에 가이드 브라켓(23, 24)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설치되어 그들 사이에 종묘사 삽입기(30)와 종묘사 공급기(40)가 설치되어 양식 로프(R)에 종묘사(S)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
2개의 가이드 원통(21, 22)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 2 로프 바인더(25, 26)가 부착되어 2개의 가이드 원통(21, 22)을 통과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킨다.
제1 로프 바인더(25) 및 제2 로프 바인더(26) 각각은,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식 로프(R)가 통과하도록 원형 홀(251a)을 구비하고 양식 로프(R)를 가이드하는 바인더 케이스(251)와; 바인더 케이스(251) 내부에 설치되어 제 2 공압실린더(28)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좌,우로 일정한 각도 회전하는 좌,우측 회전날(252, 253)과; 좌,우측 회전날(252, 253)의 회전 중심축(254)이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게 하는 상하 장공(255)이 형성되고 제 2 공압실린더(28)의 피스톤 로드(281)에 부착되어 제 2 공압실린더(28)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날(256)을 포함한다.
바인더 케이스(251)는 내부에 원형 홀(251a)을 각각 구비하는 2개의 좌우 케이스를 구성되고, 2개의 좌우 케이스를 조립하면 내부에 좌,우측 회전날(252, 253)과 승강날(256) 및 제 2 공압실린더(28)의 피스톤 로드(281)가 설치되며 그 내부에서 승강 및 좌우 회전 동작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좌,우측 회전날(252, 253)은 원형 홀(251a)에 일치되는 각각 좌우 반원을 형성하며, 좌우 반원의 하단부는 회전중심축(254)에 끼워져 회전중심축(254)을 중심으로 제 2 공압실린더(28)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반원의 상단부가 겹쳐지도록좌,우로 일정한 각도 회전한다.
승강날(256)은 중간에 회전중심축(254)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155)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제2 공압실린더(28)의 피스톤 로드(281)에 부착되어 제 2 공압실린더(28)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상하로 승강한다.
승강날(256)이 제 2 공압실린더(28)의 신장에 따라 상부로 상승하게 되면 좌,우측 회전날(252, 253)이 회전중심축(254)을 중심으로 그 좌우 반원의 상단부가 겹쳐지도록 좌,우로 일정한 각도 회전한다.
따라서, 원형 홀(251a)에 삽입된 양식 로프(R)는 제 2 공압실린더(28)의 신장에 따라 좌,우측 회전날(252, 253)과 승강날(256)에 의해 조여져서 일시적으로 잡혀 정지하게 된다.
제1, 2 로프 바인더(25,26)의 각 작동 상태에 따른 제1, 2 로프 바인더(25,26)의 세부적인 구성은,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양식 로프 정지기(20)는 양식 로프 공급기(10)에서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는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상기 종묘사 삽입기(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는, 상기 양식 로프(R)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양식 로프(R)를 구성하는 줄들 간의 간격을 늘려주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를 잘 관통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양식 로프(R)를 구성하는 줄들이란, 상기 양식 로프(R)를 구성하는 가느다란 줄들을 의미한다. 즉, 상기 양식 로프(R)는 복수의 줄들을 꼬는 과정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식 로프(R)의 길이가 원래의 상태보다 줄어들게 되면, 꼬여 있는 줄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틈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식 로프(R)가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의 간격을 줄어들면, 상기 양식 로프(R)의 길이가 짧아지며, 이에 따라, 상기 양식 로프(R)를 구성하는 줄들 간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줄들 간의 벌어진 틈을 통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원활하게 상기 양식 로프(R)를 관통하여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셋째, 종묘사 삽입기(30)는, 도 4a 내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와;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와; 종묘사 삽입부(30a)를 전진시켜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양식 로프(R)를 통과해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공급되는 종묘사(S)를 잡게하고,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종묘사(S)를 잡은 상태에서 종묘사 삽입부(30a)를 후진 시키는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와; 종묘사 삽입부(30a)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종묘사 삽입부(30a)를 지지하는 레일(35)과;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와 레일(35)을 지지상판(71)에 지지시키는 삽입기 브라켓(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종묘사 삽입부(30a)는 집게 실린더(32)에 의해 전후진 하는 전후진축(303), 전후진축과 일직선으로 연결된 중심축(304), 일측이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축(305), 일측이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축(306), 일측이 제1축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3축(308), 일측이 제2축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4축(309), 제3축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1집게(312), 제4축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2집게(313), 하부 커버(302), 제3축을 관통하여 하부 커버에 장착되는 제1회전축(314), 제3축을 관통하여 하부 커버에 장착되는 제2회전축(315), 및 하부 커버와 체결되는 상부 커버(301)를 포함하고, 구성요소들은 하부 커버와 상부 커버 사이에 구비되며, 제1집게(312)의 끝단과 제2집게(313)의 끝단은 하부 커버와 상부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제1집게(312)와 제2집게(313)는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구성한다.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축(305)과 제2축(306)은 제1고정축(307)에 의해 중심축(30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3축(308)은 제2고정축(310)에 의해 제1축(30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4축(309)은 제3고정축(311)에 의해 제2축(30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회전축(314)은 제3축(308)의 중심부분에서 제4축(309)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돌출부(316)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회전축(314)은 하부 커버(302) 또는 상부 커버(301)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다.
제2회전축(315)은 제4축(309)의 중심부분에서 제3축(308)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돌출부(317)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2회전축(315)은 하부 커버(302) 또는 상부 커버(301)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다.
제1돌출부(316)와 제2돌출부(317)는 서로 인접되어 있다.
제1축(305), 제2축(306), 제3축(308) 및 제4축(30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3축(308) 및 제4축(309)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316)가 장착될 수 있다.
전후진축(303)이 집게 실린더(32)에 의해 전진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304)이 종묘사 삽입 집게(31) 방향으로 전진하고, 이에 따라, 제1축(305)과 제2축(306) 사이의 각도는 최대로 증가한다.
제3축(308)과 제4축(309) 각각이 제1회전축(314)과 제2회전축(31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축(305)과 제2축(306) 사이의 각도가 최대로 증가하면, 제3축(308)과 제4축(309)의 타측 끝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제1집게(312)와 제2집게(313)는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된다. 이 경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종묘사(S)를 잡을 수 있다.
전후진축(303)이 집게 실린더(32)에 의해 후진하면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304)이 종묘사 삽입 집게(3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진하고, 이에 따라, 제1축(305)과 제2축(306) 사이의 각도는 최소로 감소한다.
제3축(308)과 제4축(309) 각각이 제1회전축(314)과 제2회전축(31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축(305)과 제2축(306) 사이의 각도가 최소로 감소하면, 제3축(308)과 제4축(309)의 타측 끝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제1집게(312)와 제2집게(313)는 도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다. 이 경우, 종묘사 삽입 집게(31)로부터 종묘사(S)가 이탈될 수 있다.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펜치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전후진축(303)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종묘사(S)를 집거나 놓아주게 된다.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종묘사를 집은 후 양식 로프의 부풀어진 공간부를 통과하여 종묘사를 양식 로프측으로 잡아 당겨, 종묘사가 양식 로프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종묘사와 양식 로프 사이에 간섭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되며, 따라서, 종묘사 내의 종묘가 유실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삽입 집게(31)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종묘사를 집거나 놓을 수 있다.
다음, 집게 실린더(32)는 제어기(6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혀서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집게 실린더(32)는 종묘사 삽입부(30a)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 집게 전후진 실린더(33)는 종묘사 삽입부(30a)를 전진시켜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양식 로프(R)를 통과해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공급되는 종묘사(S)를 잡게하고,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종묘사(S)를 잡은 상태에서 종묘사 삽입부(30a)를 후진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집게 전후진 실린더(33)는 삽입기 브라켓(34)에 부착되어 지지상판(71)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집게 전후진 실린더(33)는 제어기(60)의 제어에 따라 공압이 공급되어 집게 실린더(32)를 레일(35)을 따라 전후진시킨다.
다음, 레일(35)은 종묘사 삽입부(30a)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종묘사 삽입부(30a)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삽입기 브라켓(34)은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와 레일(35)을 지지상판(71)에 지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넷째, 종묘사 공급기(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상판(71)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41)과; 슬라이딩 레일(41)을 따라 전,후진하는 슬라이딩 블록(42)과; 슬라이딩 블록(42)에 세워져 설치되는 종묘사 컷터 지지대(43)와; 종묘사 컷터 지지대(43)의 상부에 설치되어 종묘사 컷터(45)를 승강시키는 컷터 실린더(44)와; 컷터실린더(44)의 피스톤(44a)에 설치되어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S)를 컷팅하는 종묘사 컷터(45)와; 종묘사 컷터(45)가 하강하는 부분으로 종묘사(S)를 유도하는 종묘사 가이드 튜브(46)와; 종묘사 가이드 튜브(46)를 통해 공급되는 종묘사(S)를 잡아당겨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종묘사(S)가 양식 로프(R)에 삽입되도록 하는 종묘사 지지기(47)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레일(41)은 서로 평행한 2개의 레일(41a)을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지지상판(71)에 지지하는 전방 지지블록(41b)과 후방 지지블록(41c)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딩 블록(42)은 후방 지지블록(41c)에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41)을 따라 전,후진한다.
종묘사 컷터 지지대(43)는 "ㄱ"자 형태의 편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블록(42)의 전방에 세워져 설치되고, 구부러져 전방으로 돌출한 상부에 종묘사 컷터(45)를 승강시키는 컷터 실린더(44)가 결합수단(예,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된다.
컷터 실린더(44)는 종묘사 컷터 지지대(43)의 상부에 설치되어 종묘사 컷터(45)를 승강시켜 종묘사 가이드 튜브(46)를 통해 공급되고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양식 로프(R)에 삽입되는 종묘사(S)를 컷팅한다.
종묘사 컷터(45)는 컷터 실린더(44)의 피스톤(44a)에 설치되어 컷터 실린더(44)의 승강에 따라 하강하여 종묘사 가이드 튜브(46)를 통해 공급되는 종묘사(S)를 컷팅한다.
종묘사 가이드 튜브(46)는 종묘사 컷터 지지대(43)의 중간부분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둥근관의 내부에 종묘사(S)가 삽입되어 둥근관의 전단을 통해 공급됨으로써 종묘사 지지기(47)에 의해 당겨지도록 한다.
종묘사 지지기(47)는 종묘사 가이드 튜브(46)를 통해 공급되는 종묘사(S)를 잡아당겨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종묘사(S)가 양식 로프(R)에 삽입되도록 한다.
다섯째, 제어기(60)는 구성들을 제어한다. 즉, 제어기(60)는 양식 로프 공급기(10)에서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양식 로프 정지기(20)로 정지시키고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60)의 제어에 따라 양식 로프 공급기(10)의 모터(13)가 회전하고, 모터(13)의 회전동작에 의해 양식 로프 공급기(10)의 하부롤러(12)와 상부 롤러(14)의 회전하며, 이에 따라, 양식 로프 정지기(20)로 양식 로프(R)가 공급된다.
우선, 제어기(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3 공압 실린더(28, 29)를 신장시켜 제1, 2 로프 바인더(25, 26)가 양식 로프(R)를 바인딩하게 하여 양식 로프(R)의 진행을 정지시킨다.
다음, 제어기(6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압 실린더(24)를 신장시켜 제1 로프 바인더(25)가 중앙측 및 우측으로 진행하게 하여 제1 로프 바인더(25)와 제2 로프 바인더(26) 사이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양식 로프(R)의 꼬인 상태를 풀리게 한다. 이에 따라,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통과한 후 종묘사(S)를 집은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종묘사(S)와 양식 로프(R)간의 마찰이 없도록 하여 종묘사(S)에서 종묘의 탈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만들어 지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용이하게 양식 로프(R)를 관통하여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아당길 수 있다.
이때, 제1 로프 바인더(25)와 제2 로프바인더(26)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제1 로프 바인더(25)가 중앙측 및 우측으로 진행하게 하는 부분은 본 발명에서 중요 내용이다. 이에 따라, 양식 로프(R)의 꼬임 특성은 그대로 둔 채, 양식 로프(R)에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삽입되는 부분이 부풀어올라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통과 이동할 수 있으며, 종묘사 삽입 집게(31)에 의해 집어져 이동되는 종묘사의 종묘가 양식 로프(R)와 간섭 마찰되어 종묘사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부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제1 로프 바인더(25)와 제2 로프 바인더(26) 사이의 간격이 넓혀지도록 제1 로프 바인더(25)가 원위치 되면, 유지된 양식 로프(R)의 꼬임 특성에 의해 양식 로프(R)의 형태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종묘사가 확실하게 양식 로프(R)에 고정된다.
만약 양식 로프(R)를 꼬임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통과할 공간부를 만들어 주는 방식은 양식 로프(R)의 꼬임 특성을 저하시켜 양식 로프(R)가 원상태로 복원되더라도 꼬임력이 떨어져 이에 삽입 고정된 종묘사가 빠지거나, 작업 및 이동하는 과정에서 종묘사가 이탈될 수 있다.
다음, 제어기(6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압 실린더(24)를 수축시켜 제1 로프 바인더(25)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하여 제1 로프 바인더(25)와 제2 로프 바인더(26)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양식 로프(R)가 다시 꼬인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원래의 위치로 오게 하여 종묘사(S)가 양식 로프(R)에 삽입되게 한다.
이때 제어기(60)는 제 2, 3 공압 실린더(28, 29)를 신장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제1, 2 로프 바인더(25, 26)가 양식 로프(R)를 바인딩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종묘사 공급기(40)의 종묘사 컷터(45)를 하강시켜 종묘사(S)를 컷팅하여 종묘사(S)가 양식 로프(R)에 삽입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제어기(6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압 실린더(24)를 수축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제1 로프 바인더(25)와 제2 로프 바인더(26) 사이의 간격을 넓힌 상태를 유지하고 동시에 제 2, 3 공압 실린더(28, 29)를 수축시켜 제1, 2 로프 바인더(25, 26)가 양식 로프(R)를 묶은 상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양식 로프(R)가 다시 양식 로프 공급기(10)로부터 공급되어 양식 로프 정지기(20)를 거쳐 양식 로프 가이드(50)로 진행한다.
양식 로프 가이드(50)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들, 또는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들이 설명된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 될 수도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본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두 개의 특징들이 조합되어 본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들, 또는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들이 설명된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 될 수도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본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두 개의 특징들이 조합되어 본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 중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들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전체 실물을 촬영한 일실시예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양식 로프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양식 로프 정지기(20), 종묘사 삽입기(30), 종묘사 공급기(40), 양식 로프 가이드(50), 제어기(60) 및 지지대(70)를 포함한다.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는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이송되어오는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 및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B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52), 상기 하우징(52)으로 유입된 양식 로프(R)를 눌러주어 상기 양식 로프(R)가 상이 하우징(52)의 일정한 높이에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눌림봉(51), 일측이 상기 하우징(52)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눌림봉(51) 방향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판(53), 상기 회전판(53)의 타측이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들려지면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기(60)로 전송하는 매듭감지 센서(5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2)은 예를 들어, 전면과 배면이 개방된 육면체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양식 로프(R)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으로부터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도 10에 보이는 방향)으로 유도되어 상기 하우징(52)과 상기 눌림봉(51) 사이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눌림봉(51)과 상기 하우징(52) 간의 간격은 상기 양식 로프(R)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된 상기 양식 로프(R)는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경우, 상기 양식 로프(R)에 매듭이 있는 경우, 상기 매듭 부분에서의 상기 양식 로프(R)의 지름은 매듭이 없는 부분에서의 양식 로프(R)의 지름보다 커지며, 쉽게 간격이 벌어지지도 않는다.
따라서, 상기 매듭이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 및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매듭이 있는 부분에서는,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의 삽 입 집게(31)가 상기 매듭 내부로 삽입될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종묘사(S)가 상기 양식 로프(R)에 정상적으로 삽입될 수 없다. 심한 경우,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매듭 부분에 충돌하여 파손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52)의 내부에 상기 회전판(53) 및 상기 매듭감지 센서(54)가 구비된다.
상기 양식 로프(R) 중 매듭이 있는 부분이, 상기 눌림봉(51) 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회전판(53)의 상기 타측이 들려지며, 들려진 상기 타측은 상기 매듭감지 센서(54)와 접촉된다. 즉, 상기 타측은 도 10의 A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53)의 타측이 상기 매듭감지 센서(54)와 접촉되면, 접촉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기(60)로 전송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매듭 부분이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 및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통과할 때 까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 및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구동하지 않고 정지시킨다. 상기 정지 기간은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의 회전 속도,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 사이의 간격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 및 상기 종묘사 삽입기(30)가 정지되기 때문에, 상기 매듭 부분이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통과하는 동안에는 종묘사(S)가 상기 매듭 부분에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60)는 기 설정된 정지 기간이 경과하면, 다시,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 및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구동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종묘사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는, 종묘사(S)를 양식 로프에 자동으로 삽입시키는 장치이다.
이 경우, 종묘사(S)가 상기 종묘사 가이드 튜브(46)를 통해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내부로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못하면,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S)가 정상적으로 삽입될 수 없으며, 정상적으로 종묘사가 삽입되지 못한 부분이 많아지면 양식 로프(R)의 효율이 떨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묘사(S)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내부로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종묘사 감지 센서(4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묘사 감지 센서(48)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는 상기 종묘사 가이드 튜브(46)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종묘사 감지 센서(48)가 구비되어 있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묘사 가이드 튜브(46)로 상기 종묘사(S)가 주입되지 않으면, 상기 종묘사 감지 센서(48)는 감지 정보를 상기 제어기(6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종묘사 가이드 튜브(46)로 유입되는 종묘사(S)가 다시 감지될 때 까지,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를 구동하지 않고 정지시킨다.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가 정지되기 때문에, 상기 양식 로프(R) 중 상기 종묘사(S)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S)가 삽입되는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종묘사 삽입 집게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제1집게(312)와 제2집게(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집게(312)와 제2집게(313)는 그 모양과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집게(313)(또는 제1집게)의 길이는 상기 제1 집게(312)(또는 제2집게)의 길이보다 C크기 만큼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집게(312)와 제2집게(313)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집게(312)가 상기 제2집게(312)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면, 상기 제1집게(312)와 상기 제2집게(313)가 상기 양식 로프(R)로 삽입될 때,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에 부딪히고 진입 부하가 높게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게(312) 및 상기 제2집게(313) 중 어느 하나(도 12의 (b)에서는 제2집게(313))의 끝단은 또 다른 하나(도 12의 (b)에서는 제1 집게(312))의 끝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로 삽입될 때,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끝단에서는 상기 제1집게(312)와 상기 제2집게(313)가 마주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상기 양식 로프(R)에 걸리지 않고 정확하게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후 상기 양식 로프(R)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의 (b)에서 상기 제1집게(312)와 상기 제2집게(313)가 마주치는 부분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집게(312)와 제2집게(313) 중 어느 하나의 집게는, 결착 후 평면상 집게들이 비대칭적으로 배열되도록 다른 하나의 집게측으로 함몰되어 인입 결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착 후에는 도12에 도시된 형태보다 더 뾰족한 종묘사 삽입 집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양식 로프(R)에 삽입 및 인출이 보다 더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종묘사 삽입기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와,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와,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를 전진시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양식 로프(R)를 통과해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공급되는 종묘사(S)를 잡게하고,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종묘사(S)를 잡은 상태에서 종묘사 삽입부(30a)를 후진 시키는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와,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와 레일(35)을 지지상판(71)에 지지시키는 삽입기 브라켓(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서는 삽입기 브라켓(34)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만이 전후진하였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된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서는, 상기 삽입기 브라켓(34)이, 상기 지지대(70)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4a), 상기 고정 브라켓(34a)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으며, 전후진 동작을 수행하는 브라켓 실린더(34b) 및 상기 브라켓 실린더(34b)의 타측에 장착되어 전후진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브라켓(34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상기 레일(35),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집게 실린더(32)는 상기 이동 브라켓(34c)에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가 전진하여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가 상기 양식 로프(R)에 인접할 때, 상기 브라켓 실린더(34b) 역시 전진하여, 상기 이동 브라켓(34c)이 상기 양식 로프(R)에 인접하며,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가 후진하여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가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브라켓 실린더(34b) 역시 후진하여, 상기 이동 브라켓(34c)이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이격된다.
즉,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가 상기 이동 브라켓(34c)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브라켓(34c)이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 역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 브라켓(34c)이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 역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멀어진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동 브라켓(34c)의 전후진 동작은,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전후진 동작과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추가적으로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에 의해 상기 이동 브라켓(34c)과 독립적으로 전후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브라켓(34c)의 후진 동작과 함께,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후진 동작이 동시에 수행됨으로써,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보다 더 신속하게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걸려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전선 또는 유압 주입 라인들이,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집게 실린더(32)와 엉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종묘사 삽입기에 장착되어 있는 종묘사 삽입 집게 간격 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구성하는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를 구성한다.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충분히 관통해야 하며,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이결될 때, 상기 양식 로프(R)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히 이격되되어야 한다.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간의 간격은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의 전후진 동작 및 상기 이동 브라켓(34c)의 전후진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후진 실린더(33)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기본적인 위치가 잘못되어 있으면,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및 상기 이동 브라켓(34c)이 정상적으로 전후진되더라도,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간의 간격이 정상적으로 형성될 수 없다. 또한, 상기 양식 로프(R)의 외경이 기 설정되어 있던 외경보다 커진다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의 이송 경로 상에 머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와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종묘사 삽입기에는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종묘사 삽입 집게 간격 조절부(3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포함하는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구동하는 상기 집게 실린더(32) 및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 간격 조절부(39)는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 간격 조절부(39)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봉(39a) 및 회전부(3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봉(39a)은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집게 실린더(32)가 장착되어 있는 종묘사 삽입 집게 지지부(38)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39b)를 회전시키면, 상기 간격봉(39a)이 회전 또는 전후진하며, 상기 간격봉(39a)이 회전 또는 전후진하면, 상기 간격봉(39a)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 지지부(38)가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의 상단에서 전후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전후진한다.
사용자는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및 상기 이동 브라켓(34c)의 전후진 거리 및 상기 고정 브라켓(34a)과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간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양식 로프 받침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 적용되는 양식 로프 받침부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양식 로프(R)가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의 간격을 줄여줌으로써, 상기 양식 로프(R)를 구성하는 줄들 간의 간격이 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줄들 간의 벌어진 틈을 통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원활하게 상기 양식 로프(R)를 관통하여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 로프 받침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두 개의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 때, 상기 양식 로프(R)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면, 상기 양식 로프(R)를 구성하는 줄들이 4방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줄들 간의 간격이 크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양식 로프(R)의 하단 또는 상기 양식 로프(R)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하는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가 구비된다면,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에 의해 막혀진 부분으로는 줄들이 벌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줄들이 특정 방향으로 쏠려 벌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줄들 사이의 간격이 더 많이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보다 원활하게 상기 양식 로프(R)를 관통하여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도 15에는 상기 양식 로프(R)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양식 로프(R)를 지지하는 하단 받침대를 포함하는 양식 로프 받침부(8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상기 양식 로프(R)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삽입될 때, 상기 양식 로프(R)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방향으로 밀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양식 로프(R)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사이에서 상기 하단 받침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배면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 받침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 받침대만을 포함하는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가 정지한 후,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를 관통하기 전에,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양식 로프(R) 방향으로 전진한다.
따라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를 관통할 때,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의 상기 배면 받침대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방향으로 밀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보다 더 원활하게 상기 양식 로프(R)를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상기 양식 로프(R)의 하단 방향에서 상기 양식 로프(R)를 지지하는 하단 받침대 및 상기 양식 로프(R)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사이에 구비되는 배면 받침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상기 배면 받침대만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동작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이 경우,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우선,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 로프(R)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을 통과할 때,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를 구동시켜, 상기 양식 로프(R)가 정지하도록 한다.
다음,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가 상기 양식 로프(R)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상기 양식 로프(R)의 하단 방향에서 상승할 수도 있으며,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에서 상기 양식 로프(R) 방향으로 전진할 수도 있다.
다음,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며, 이에 따라, 두 개의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의 간격이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양식 로프(R)의 길이가 줄어들며, 이에 따라, 상기 양식 로프(R)를 구성하는 줄들 간의 간격이 증가된다.
이 경우, (b) 및 (c)의 동작은 거의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다음,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들 간의 간격이 증가된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관통한다.
이 경우,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에 의해 전진할 때, 상기 브라켓 실린더(34b)에 의해 상기 이동 브라켓(34c) 역시 전진한다. 즉,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를 관통하는 동작은,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및 상기 브라켓 실린더(34b)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양식 로프(R)를 관통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종묘사를 집을 수 있도록 벌려진다. 상기 과정은, 상기 집게 실린더(3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종묘사 공급기(40)가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종묘사를 집게 된다.
다음,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묘사를 집은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한다. 즉,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에 걸린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후진한다. 이 경우,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에 의해 후진될 수 있다.
다음,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묘사 컷터(45)가 하강하여, 상기 종묘사를 절단시킨다. 상기 종묘사가 절단되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벌려진다. 이에 따라, 상기 종묘사의 절단된 부분은 상기 양식 로프(R)의 내부에 남게된다.
다음,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및 상기 브라켓 실린더(34b)의 후진 동작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및 상기 브라켓 실린더(34b)가 동시에 후진함에 따라,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보다 더 신속하게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식 로프(R)가 다시 움직일 때,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에 부딪히지 않게 되며, 따라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기(60)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을 재구동, 즉,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양식 로프(R)는 다시 이동하고,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이격된다. 이동되는 상기 양식 로프(R)에는 상기 종묘사가 내장되어 있다.
특히,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의 간격이 원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양식 로프(R)의 길이가 늘어나 원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상기 양식 로프(R)를 구성하는 줄들의 간격이 좁아지며, 이에 따라, 상기 줄들 사이에 상기 종묘사(S)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종묘사(S)가 상기 줄들 사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양식 로프(R)는 다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들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양식 로프(R)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종묘사가 자동으로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양식 로프 공급기 20: 양식 로프 정지기
30: 종묘사 삽입기 40 : 종묘사 공급기
50: 양식 로프 가이드 60: 제어기
70: 지지대 100: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Claims (16)

  1. 삭제
  2.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두 개의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정지된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상기 양식 로프를 벌리고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상기 종묘사를 공급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로 정지시키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하는 제어기(60); 및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와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와 상기 제어기(60)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를 포함하되,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는 상기 양식 로프(R)에 매듭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매듭감지 센서(5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매듭이 포함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통과할 때 까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및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구동하지 않고 정지시키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3.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두 개의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정지된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상기 양식 로프를 벌리고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상기 종묘사를 공급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로 정지시키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하는 제어기(60); 및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와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와 상기 제어기(60)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를 포함하되,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는,
    상기 집게 실린더(32)에 의해 전후진 하는 전후진축(303);
    상기 전후진축과 일직선으로 연결된 중심축(304);
    일측이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축(305);
    일측이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축(306);
    일측이 상기 제1축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3축(308);
    일측이 상기 제2축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4축(309);
    상기 제3축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1집게(312);
    상기 제4축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2집게(313);
    하부 커버(302);
    상기 제3축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커버에 장착되는 제1회전축(314);
    상기 제3축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커버에 장착되는 제2회전축(315); 및
    상기 하부 커버와 체결되는 상부 커버(301)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게(312)의 끝단과 제2집게(313)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끝단은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4. 삭제
  5.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두 개의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정지된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상기 양식 로프를 벌리고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상기 종묘사를 공급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로 정지시키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하는 제어기(60); 및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와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와 상기 제어기(60)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를 포함하되,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를 전진시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를 통과해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공급되는 종묘사(S)를 잡게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종묘사(S)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를 후진 시키는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및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를 상기 지지대(70)에 지지시키는 삽입기 브라켓(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기 브라켓(34)은,
    상기 지지대(70)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4a);
    상기 고정 브라켓(34a)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으며, 전후진 동작을 수행하는 브라켓 실린더(34b); 및
    상기 브라켓 실린더(34b)의 타측에 장착되어 전후진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브라켓(34c)을 포함하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집게 실린더(32)는 상기 이동 브라켓(34c)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가 전진하여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가 상기 양식 로프(R)에 인접할 때, 상기 브라켓 실린더(34b) 역시 전진하여, 상기 이동 브라켓(34c)이 상기 양식 로프(R)에 인접하며,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가 후진하여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가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브라켓 실린더(34b) 역시 후진하여, 상기 이동 브라켓(34c)이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이격되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7. 삭제
  8.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두 개의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정지된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상기 양식 로프를 벌리고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상기 종묘사를 공급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로 정지시키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하는 제어기(60); 및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와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와 상기 제어기(60)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를 포함하되,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를 전진시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양식 로프(R)를 통과해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공급되는 종묘사(S)를 잡게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종묘사(S)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를 후진 시키는 집게 전후진 실린더(33); 및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를 상기 지지대(70)에 지지시키는 삽입기 브라켓(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는,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종묘사 삽입 집게 간격 조절부(3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 간격 조절부(39)는 간격봉(39a) 및 회전부(39b)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 상기 집게 실린더(32) 및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 간격 조절부(39)는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간격봉(39a)은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집게 실린더(32)가 장착되어 있는 종묘사 삽입 집게 지지부(38)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39b)를 회전시키면, 상기 간격봉(39a)이 회전 또는 전후진하고, 상기 간격봉(39a)이 회전 또는 전후진하면, 상기 간격봉(39a)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 지지부(38)가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의 상단에서 전후진하여, 상기 집게 전후진 실린더(33)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전후진하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9.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두 개의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정지된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상기 양식 로프를 벌리고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상기 종묘사를 공급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로 정지시키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하는 제어기(60); 및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와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와 상기 제어기(60)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를 포함하되,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52);
    상기 하우징(52)으로 유입된 양식 로프(R)를 눌러주어 상기 양식 로프(R)가 상기 하우징(52)의 일정한 높이에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눌림봉(51);
    일측이 상기 하우징(52)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눌림봉(51) 방향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판(53); 및
    상기 회전판(53)의 타측이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들려지면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기(60)로 전송하는 매듭감지 센서(54)를 포함하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10.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두 개의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정지된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상기 양식 로프를 벌리고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상기 종묘사를 공급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로 정지시키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하는 제어기(60); 및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와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와 상기 제어기(60)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를 포함하되,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는,
    상기 종묘사(S)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내부로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종묘사 감지 센서(48)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 상기 종묘사(S)가 주입되지 않으면,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 유입되는 종묘사(S)가 다시 감지될 때 까지,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를 구동하지 않고 정지시키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11. 삭제
  12.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두 개의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정지된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상기 양식 로프를 벌리고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상기 종묘사를 공급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로 정지시키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하는 제어기(60); 및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와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와 상기 제어기(60)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를 포함하되,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제1집게(312)와 제2집게(313)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집게(312)와 제2집게(313)의 길이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1집게(312) 및 상기 제2집게(313)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은 또 다른 하나의 끝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집게(312)와 상기 제2집게(313)가 마주치는 부분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13. 삭제
  14.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두 개의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정지된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상기 양식 로프를 벌리고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상기 종묘사를 공급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로 정지시키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하는 제어기(60); 및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와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와 상기 제어기(60)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를 포함하되,
    상기 양식 로프(R)를 지지하는 양식 로프 받침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상기 양식 로프(R)의 하단 방향에서 상하 운동을 하거나, 또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양식 로프(R) 방향으로 전후진 하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상기 양식 로프(R)의 하단 방향에서 상기 양식 로프(R)를 지지하는 하단 받침대 및 상기 양식 로프(R)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 사이에 구비되는 배면 받침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16. 양식 로프(R)를 공급하는 양식 로프 공급기(1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양식 로프(R)를 잡아 정지시키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잡아 당긴 종묘사가 상기 양식 로프(R)에 고정되도록 상기 양식 로프(R)를 풀어주는 두 개의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에 의해 정지된 상기 양식 로프(R)에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찔러 상기 양식 로프를 벌리고 종묘사(S)를 잡아 당겨 벌려진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시키는 종묘사 삽입기(30);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양식 로프 가이드(50); 상기 종묘사를 공급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에 의해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주는 종묘사 공급기(40);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로 정지시키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를 제어하여 상기 양식 로프(R)에 종묘사를 삽입하며,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된 종묘사를 끊어주도록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를 제어하는 제어기(60); 및 상기 양식 로프 공급기(10)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과 상기 종묘사 삽입기(30)와 상기 양식 로프 가이드(50)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와 상기 제어기(60)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고,
    상기 종묘사 삽입기(30)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종묘사(S)를 잡아 당겨 상기 양식 로프(R)에 삽입하는 종묘사 삽입부(30a); 및 상기 종묘사 삽입부(30a)에 구비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종묘사(S)를 잡도록 하는 집게 실린더(32)를 포함하되,
    상기 양식 로프(R)를 지지하는 양식 로프 받침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는 상기 양식 로프(R)의 하단 방향에서 상하 운동을 하거나, 또는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상기 양식 로프(R) 방향으로 전후진하며,
    양식 로프(R)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을 통과할 때,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를 구동시켜, 상기 양식 로프(R)를 정지시키고,
    상기 양식 로프 받침부(80)가 상기 양식 로프(R) 방향으로 이동할 때, 양식 로프 받침부(80)가 상기 양식 로프(R)의 하단 방향에서 상승하거나, 상기 종묘사 공급기(40)에서 상기 양식 로프(R)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양식 로프(R)를 지지하고,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여, 두 개의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상기 양식 로프(R)를 구성하는 줄들 간의 간격이 증가되면, 상기 양식 로프(R)를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관통하고,
    상기 양식 로프(R)를 관통한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는 종묘사를 집을 수 있도록 벌려지고,
    상기 종묘사 공급기(40)가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종묘사를 집고,
    상기 종묘사를 집은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상기 종묘사 공급기(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면, 상기 종묘사 공급기의 종묘사 컷터(45)가 하강하여, 상기 종묘사를 절단시키고,
    상기 종묘사가 절단되면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후진하여 상기 양식 로프(R)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종묘사 삽입 집게(31)가 후진하면, 상기 제어기(60)가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의 간격을 원상태로 복귀시킨 후, 상기 양식 로프 정지기(20)들을 해제시켜 상기 양식 로프(R)를 이동시키는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KR1020190062894A 2019-05-29 2019-05-29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KR102045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94A KR102045323B1 (ko) 2019-05-29 2019-05-29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94A KR102045323B1 (ko) 2019-05-29 2019-05-29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323B1 true KR102045323B1 (ko) 2019-11-15
KR102045323B9 KR102045323B9 (ko) 2022-01-11

Family

ID=6857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894A KR102045323B1 (ko) 2019-05-29 2019-05-29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3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508A (ko) 2010-02-09 2010-03-02 박세철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개선구조
KR100962071B1 (ko) 2009-11-20 2010-06-09 박세철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KR101295409B1 (ko) 2013-04-05 2013-08-09 한우석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20140061758A (ko) * 2012-11-14 2014-05-22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해조류의 오픈 가이드형 자동 이식장치 및 방법
KR101840171B1 (ko) * 2017-09-27 2018-03-19 김장균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20180029715A (ko) * 2016-09-13 2018-03-21 조호현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KR20180090648A (ko) * 2017-02-03 2018-08-13 이철경 해조 종묘 끼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071B1 (ko) 2009-11-20 2010-06-09 박세철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KR20100022508A (ko) 2010-02-09 2010-03-02 박세철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개선구조
KR20140061758A (ko) * 2012-11-14 2014-05-22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해조류의 오픈 가이드형 자동 이식장치 및 방법
KR101295409B1 (ko) 2013-04-05 2013-08-09 한우석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20180029715A (ko) * 2016-09-13 2018-03-21 조호현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KR20180090648A (ko) * 2017-02-03 2018-08-13 이철경 해조 종묘 끼움 장치
KR101840171B1 (ko) * 2017-09-27 2018-03-19 김장균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323B9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65B1 (ko)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WO2020162470A1 (ja) 植毛装置
CN111532896B (zh) 一种自动摇绞机
KR101851991B1 (ko)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KR101824849B1 (ko) 해초류 양식용 포자 끈 결속장치
KR101840171B1 (ko)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102045323B1 (ko)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CN208632726U (zh) 一种球经机全自动分绞线打结机构
KR102305949B1 (ko) 해조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JP2007009560A (ja) 人工芝の製造装置
KR101412026B1 (ko) 해조류의 자동 이식장치 및 방법
CN202783816U (zh) 小颗粒种子带包装机
CN216473779U (zh) 针织可变花色圆扁钩编机
KR101395298B1 (ko) 종균 삽입장치
JP5339036B2 (ja) 自動畦取装置及び部分整経機
KR102203174B1 (ko)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CZ299933B6 (cs) Kobercový tkací stav
KR101412021B1 (ko) 해조류의 오픈 가이드형 자동 이식장치 및 방법
CN220616409U (zh) 打结系口装置
DE102016107308A1 (de) Verfahren zum Garnanspinnen auf einer Arbeitsstelle einer Rotorspinnmaschine und Einrichtung zu seiner Ausführung
CN214882124U (zh) 一种自止退高效经编机
KR20200045370A (ko) 로드 매트 직조장치
JP7224416B2 (ja) 経糸の整経方法及び部分整経機
KR101398505B1 (ko) 해초류 포자끈 결속기
CA3216544A1 (en) String t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19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413

Effective date: 2020111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82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617

Effective date: 2020111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100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106

Effective date: 2021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