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095B1 -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095B1
KR102638095B1 KR1020170024572A KR20170024572A KR102638095B1 KR 102638095 B1 KR102638095 B1 KR 102638095B1 KR 1020170024572 A KR1020170024572 A KR 1020170024572A KR 20170024572 A KR20170024572 A KR 20170024572A KR 102638095 B1 KR102638095 B1 KR 10263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s
film
irradiation
active energ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804A (ko
Inventor
도시유키 나카
다케시 가와카미
다쿠야 안도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끼리의 접합 후에 필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의 해결 수단으로서, 적층 광학 필름(26b)의 제조 방법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32a)를 통해 중첩되는 복수의 필름(22a, 24)을, 한 쌍의 롤(7a, 7b) 사이에 끼워, 복수의 필름(22a, 24)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접합된 복수의 필름(26a)이 풀어져 나오는 한 쌍의 롤(7a, 7b) 사이를 향해, 활성 에너지선(L)을 조사하는 조사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OPTICAL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MINATED OPTICAL FILM}
본 발명은,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층 광학 필름의 일종인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한다. 편광판은, 예컨대, 광학 필름의 일종인 편광자와, 편광자에 중첩되는 다른 광학 필름(예컨대, 보호 필름)을 구비한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접착제)를 통해 중첩되는 2장의 광학 필름을 한 쌍의 롤 사이에 끼워 접합하는 공정과, 접합 공정 후, 2장의 광학 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조사 공정을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92766호 공보
접합된 복수의 광학 필름이 접합 공정과 조사 공정 사이에서 반송될 때, 광학 필름의 단부가 웨이브형(파형)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반송중인 광학 필름이 느슨해진 경우도 있다. 또한, 반송중인 광학 필름이 그 폭 방향(반송 방향과 거의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만곡되는 경우도 있다. 조사 공정 전의 수지는 경화되지 않으므로, 수지를 통해 중첩되는 광학 필름은 상기와 같은 변형, 느슨해짐 또는 만곡에 의해 박리되거나 들뜨거나 한다. 이러한 광학 필름의 박리는 편광판 등의 적층 광학 필름의 결함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필름끼리의 접합 후에 필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통해 중첩되는 복수의 필름을, 한 쌍의 롤 사이에 끼워, 복수의 필름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접합된 복수의 필름이 풀어져 나오는 한 쌍의 롤 사이를 향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조사 공정을 구비한다. 또한, 접합 공정에 제공되는 개개의 필름은, 1장의 광학 필름이어도 좋고, 다른 공정에서 이미 접합된 복수의 광학 필름(광학 필름의 적층체)이어도 좋다. 광학 필름은, 광학층이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통해 중첩되는 복수의 필름을 사이에 끼워, 복수의 필름을 접합하는 한 쌍의 롤과, 접합된 복수의 필름이 풀어져 나오는 한 쌍의 롤 사이를 향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조사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끼리의 접합 후에 필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한 쌍의 롤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한 쌍의 롤의 변형례이다.
도 4 중의 (a), 도 4 중의 (b) 및 도 4 중의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 중의 (a) 및 도 6 중의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동등한 구성 요소에는 동등한 부호를 붙인다. 도 1 내지 도 6 모두 제1 롤(7a)의 회전축 및 제2 롤(7b)의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1 롤(7a) 및 제2 롤(7b) 모두 대략 원주형이다.
도 1 내지 도 6 모두 각 필름의 표면에 수직인 평면을 나타내고 있고, 필름 및 적층체 각각을 선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X, Y 및 Z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좌표축을 의미한다. Z축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X축 및 Y축은 수평이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는, 적층 광학 필름의 일종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도공 공정과 접합 공정과 조사 공정을 구비한다. 도공 공정에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막을, 필름형 기재의 표면에 형성한다. 접합 공정에서는, 기재를, 도포막을 통해 필름형 편광자의 표면에 접합한다. 조사 공정에서는, 기재 및 편광자 사이에 끼워진 도포막으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다. 이하에서는, 각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편광판)의 제조 장치(100)는, 한 쌍의 롤(제1 롤(7a) 및 제2 롤(7b))과, 한 쌍의 롤 사이를 향해, 활성 에너지선(L)을 조사하는 조사 장치(3)를 구비한다. 제1 롤(7a) 및 제2 롤(7b)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공정에서는 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를 이용한다. 제1 적층체(24)는, 필름형의 편광자(38)와, 편광자(38)에 중첩되는 접착제층(36)과, 접착제층(36)을 통해 편광자(38)에 접합된 보호 필름(34)을 구비한다. 제2 적층체(22b)는, 필름형의 기재(22a)와, 기재(22a)의 표면에 형성된 도포막(32a)을 구비한다.
제1 적층체(24)가 구비하는 필름형의 편광자(38)는 예컨대 이하의 절차에 의해 제작되어도 좋다.
우선, 필름형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일축 방향 또는 이축 방향으로 연신한다. 계속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요오드 또는 이색성 색소에 의해 염색한다. 염색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가교를 위해 가교제의 용액(예컨대,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한다. 가교제에 의한 처리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수세하고, 계속해서 건조한다. 이상의 절차를 거쳐 편광자(38)를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의 단독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또는, 아세트산비닐과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여도 좋다.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하는 다른 단량체는, 에틸렌 이외에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또는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여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다.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폴리비닐부티랄이어도 좋다.
편광자(38)의 두께는 예컨대 30 ㎛ 이하, 20 ㎛ 이하, 10 ㎛ 이하, 또는 8 ㎛ 이하여도 좋다. 편광자(38)가 얇을수록 편광판 전체의 박형화가 용이하다. 편광자(38)의 두께는 예컨대 2 ㎛ 이상이어도 좋다. 편광자(38)가 두꺼울수록 편광자(38)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기 쉽다.
보호 필름(34)은, 편광자(38)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보호 필름(34)은,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이면 되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여도 좋다. 보호 필름(34)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이들 혼합물 또는 공중합물이어도 좋다.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쇄상 올레핀의 단독중합체여도 좋다.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2종 이상의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여도 좋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컨대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여도 좋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컨대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예컨대, 랜덤 공중합체)여도 좋다.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쇄상 올레핀은, 예컨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어도 좋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상기한 중합체를 불포화 카르복실산 혹은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라프트 중합체, 또는 이들의 수소화물이어도 좋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컨대 노르보넨 또는 다환 노르보넨계 모노머 등의 노르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노르보넨계 수지여도 좋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예컨대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여도 좋다. 이들 공중합물을 이용하여도 좋다. 수산기의 일부가 다른 치환기로 수식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이외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예컨대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과의 중축합체여도 좋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여도 좋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는,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이어도 좋다. 다가 알코올은 예컨대 디올이어도 좋다. 다가 알코올은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또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어도 좋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나프탈레이트여도 좋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르보네이트기를 통해 중합 단위(모노머)가 결합된 중합체이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수식된 폴리머 골격을 갖는 변성 폴리카보네이트여도 좋고,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여도 좋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예컨대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예컨대, MS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과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여도 좋다.
보호 필름(34)은, 윤활제, 가소제, 분산제,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대전방지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보호 필름(34)의 두께는 예컨대 90 ㎛ 이하, 50 ㎛ 이하, 또는 30 ㎛ 이하여도 좋다. 보호 필름(34)이 얇을수록 편광판 전체의 박형화가 용이하다. 보호 필름(34)의 두께는 예컨대 5 ㎛ 이상이어도 좋다. 보호 필름(34)이 두꺼울수록 보호 필름(34)의 기계적 강도 및 취급성이 향상되기 쉽다.
보호 필름(34)은, 위상차 필름 또는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이, 광학 기능을 갖는 필름이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연신하거나, 상기 필름 상에 액정층 등을 형성함으로써, 임의의 위상차값이 부여된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접착제층(36)은,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계 접착제를 포함하여도 좋고,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여도 좋다. 경화된 접착제층(36)의 두께는 예컨대 0.05 ㎛ 이상 10 ㎛ 이하여도 좋다. 접착제층(36)이 두꺼울수록 편광자(38)와 보호 필름(34) 사이에 기포가 쉽게 형성되지 않아 편광자(38) 및 보호 필름(34)이 강고하게 접착되기 쉽다. 접착제층(36)이 얇을수록 편광판 전체의 박형화가 용이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적층체(24)를 방향(d24)을 따라 반송하고, 한 쌍의 접합 롤(제1 롤(7a) 및 제2 롤(7b)) 사이로 공급한다. 가이드롤(5a)은, 제1 적층체(24)가 갖는 보호 필름(34)의 표면에 접한다.
도 1 및 도 4 중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공 공정에서는, 도공 장치(1)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막(32a)을, 필름형 기재(22a)의 표면에 형성한다. 그 결과, 기재(22a)와, 기재(22a)의 표면에 형성된 도포막(32a)을 구비하는 제2 적층체(22b)를 얻을 수 있다. 도공 장치(1)는 예컨대 마이크로 챔버 닥터 등의 그라비아 코터여도 좋다. 도포막(32a)은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됨으로써, 경화되는 수지이다. 활성 에너지선은, 예컨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또는 X선이어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여도 좋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는, 무용제형의 접착제로서 조제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가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경우, 도공 공정 또는 조사 공정 후에, 용제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는, 수계 접착제에 비해 투습도가 낮은 보호 필름과 병용하기 쉽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1종의 수지여도 좋고, 복수종의 수지를 포함하여도 좋다.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또는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한 양이온 중합개시제 또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은 예컨대 에폭시계 화합물(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옥세탄계 화합물(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옥세탄 고리를 갖는 화합물)이어도 좋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은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어도 좋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은, 라디칼 중합성의 이중결합을 갖는 비닐계 화합물이어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필요에 따라, 양이온 중합 촉진제, 이온 트랩제, 산화방지제, 연쇄 이동제, 점착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대전방지제, 레벨링제, 또는 용제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기재(22a)는, 보호 필름(34)과 동일한 필름이어도 좋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적층체(22b)를 방향(d22)을 따라 반송하고, 한 쌍의 접합롤(제1 롤(7a) 및 제2 롤(7b)) 사이로 공급한다. 가이드 롤(5b)은, 제2 적층체(22b)가 갖는 기재(22a)의 표면에 접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공정에서는, 제2 적층체(22b)의 도포막(32a)을, 제1 적층체(24)의 편광자(38)에 대향시키고, 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를 중첩시킨다. 도포막(32a)(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을 통해 중첩된 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를, 한 쌍의 롤(7a, 7b) 사이에 끼워, 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를 접합시킨다. 환언하면, 한 쌍의 롤(7a, 7b)을 이용하여, 기재(22a)를, 도포막(32a)을 통해 편광자(38)의 표면에 접합시킨다.
제1 롤(7a)은 예컨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제2 롤(7b)은 예컨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롤(7a)을 구성하는 금속(제1 롤(7a)의 모재)은 예컨대 철, 또는 스테인레스(SUS304 등)여도 좋다. 제2 롤(7b)을 구성하는 탄성체(제2 롤(7b)의 모재)는 예컨대 니트릴 고무(NBR),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여도 좋다. 제1 롤(7a) 및 제2 롤(7b) 모두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롤(7a) 및 제2 롤(7b) 모두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회전축에 수직인 제1 롤(7a)의 단면(원)의 직경은 예컨대 40∼400 ㎜, 또는 80∼250 ㎜여도 좋다. 회전축에 수직인 제2 롤(7b)의 단면(원)의 직경도 예컨대 40∼400 ㎜, 또는 80∼250 ㎜여도 좋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7a)의 직경은 제2 롤(7b)의 직경과 동일하여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7a)의 직경은 제2 롤(7b)의 직경과 상이하여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제1 롤(7a)의 직경과 제2 롤(7a)의 직경의 대소 관계는 반대여도 좋다.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롤(7a)의 폭은 예컨대 300∼3000 ㎜여도 좋다.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롤(7b)의 폭도 예컨대 300∼3000 ㎜여도 좋다.
제1 롤(7a)의 굵기는 대략 균일한 편이 좋고, 제2 롤(7b)의 굵기도 대략 균일한 편이 좋다. 양 롤의 굵기가 균일한 경우, 양 롤 사이에 끼워진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에 대하여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기 쉽다. 그 결과, 필름에 주름이 쉽게 형성되지 않는다. 제1 롤(7a)의 중앙부에서 단부를 향해 제1 롤(7a)의 직경이 감소하여도 좋다. 즉, 제1 롤(7a)은, 테이퍼형의 외주 형상을 갖는 롤(크라운 롤)이어도 좋다. 제2 롤(7b)도 크라운 롤이어도 좋다.
제1 롤(7a) 및 제2 롤(7b)이 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에 미치는 압력은, 예컨대, 0.3∼3.0 MPa, 또는 0.7∼2.3 MPa여도 좋다.
이상의 접합 공정에 의해, 도 4 중의 (b)에 도시된 제3 적층체(26a)를 얻을 수 있다. 제3 적층체(26a)는, 기재(22a)와, 기재(22a)에 중첩되는 도포막(32a)과, 도포막(32a)에 중첩되는 편광자(38)와, 편광자(38)에 중첩되는 접착제층(36)과, 접착제층(36)에 중첩되는 보호 필름(34)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 공정에서는, 제3 적층체(26a)(접합된 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를,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에서 방향(d26)으로 풀어 내보낸다. 그리고, 조사 장치(3)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L)을, 제3 적층체(26a)가 풀어져 나오는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를 향해 조사한다. 조사 공정에서는,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을 한 쌍의 롤(7a 및 7b)로 접합하는 것과 동시에,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를 향해 활성 에너지선(L)을 조사하여도 좋다. 조사 공정에서는,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을 한 쌍의 롤(7a 및 7b)로 접합하는 것과 동시에,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를 향해 활성 에너지선(L)을 조사하여도 좋다.
조사 공정에서는, 활성 에너지선(L)의 조사에 의해, 제3 적층체(26a)가 갖는 도포막(32a) 중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가 경화되어, 수지층(32b)이 된다(도 4의 (b) 참조). 수지층(32b)은, 편광자(38)를 보호하는 보호층이어도 좋다. 수지층(32b)은 광학 보상층이어도 좋다.
접합 공정과 동시에, 또는 접합 공정 직후에,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 사이에 개재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복수의 필름이 수지를 통해 서로 고정되기 쉽다. 그 결과, 조사 공정 이후의 복수의 필름(제3 적층체(26a))에 있어서의 필름의 박리가 억제된다. 만일 조사 공정 후의 반송시에 필름의 변형, 느슨해짐 또는 만곡이 일어났다고 해도, 필름끼리의 박리가 억제된다. 조사 공정 이후에 있어서의 필름의 박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조사 공정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반드시 완전히 경화되지 않아도 좋다. 조사 공정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불완전 경화, 반경화 또는 가경화에 의해, 조사 공정 이후의 필름의 박리를 억제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즉, 조사 공정에 있어서, 도포막(32a)은, 불완전하게 경화되어도 좋고, 완전히 경화되어도 좋다. 환언하면, 수지층(32b)은, 반경화 수지층이어도 좋고, 완전 경화 수지층이어도 좋다. 제3 적층체(26a)(접합된 복수의 필름)의 반송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100 m/분, 또는 10∼30 m/분이어도 좋다. 반송 속도가 상기 수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접합 공정과 동시에, 또는 접합 공정 직후에,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기재(22a)) 사이에 개재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쉽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종래보다 빠른 타이밍으로 조사 공정을 행한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는, 종래보다 빨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경화를 시작한다. 그 결과, 종래보다 빨리 복수의 필름이 수지를 통해 서로 고정되어, 필름의 박리가 억제된다.
「접합된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이 풀어져 나오는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란, 이하에 설명하는 「조사 공간 IS」이라고 바꿔말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평면(Pt)은, 접합된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제2 적층체(22b))과 교차하고, 또한, 한 쌍의 롤(7a, 7b) 각각의 표면 모두에 접하는 평면이라고 정의된다. 즉, 접평면(Pt)은, 제1 롤(7a)의 표면(원주의 측면)에 접하고, 또한 제2 롤(7b)의 표면(원주의 측면)에도 접한다. 접평면(Pt)은, 가상적인 평면이다. 교선(I)은, 접평면(Pt)과, 접합된 복수의 필름의 교선이라고 정의된다. 교선(I)은, 가상적인 직선이다. 회전축선(A1)은, 제1 롤(7a)의 회전축선이라고 정의된다. 회전축선(A2)은, 제2 롤(7b)의 회전축선이라고 정의된다. 평면(Pa)은, 한 쌍의 롤 각각의 회전축선(A1, A2) 모두를 포함하는 평면이라고 정의된다. 평면(Pa)은, 가상적인 평면이다. 거리(R)는, 교선(I)과 평면(Pa)과의 거리라고 정의된다. 상기한 Pt, I, A1, A2, Pa 및 R에 기초하여, 「조사 공간 IS」는, 교선(I)이 중심축이고 반경이 R인 원주형의 공간이라고 정의된다. 조사 공간(IS)은, 가상적인 공간이다. 조사 공정이란, 조사 공간(IS)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필름의 일부 또는 전부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공정이라고 바꿔말할 수 있다. 조사 공간(IS) 중, 한 쌍의 롤(7a 및 7b)과 접평면(Pt)으로 둘러싸인 영역(조사 영역 IS')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도 좋다. 즉, 조사 공정에서는, 조사 영역(IS')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필름의 일부 또는 전부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도 좋다. 조사 영역(IS')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경우, 접합 공정과 동시에, 또는 접합 공정 직후에,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기재(22a)) 사이에 개재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가, 보다 경화되기 쉽다. 활성 에너지선(L)의 일부를, 조사 공간(IS)을 통과한 후의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기재(22a))에 조사하여도 좋다. 조사 공간(IS)을 통과한 후의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기재(22a))에 조사된 활성 에너지선(L)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도포막(32a) 또는 수지층(32b))의 경화가 더욱 촉진되어도 좋다.
조사 공정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L)을 복수의 필름(제3 적층체(26a))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하는 편이 좋다. 따라서, 조사 장치(3)가 갖는 활성 에너지선(L)의 광원은 접합되는 복수의 필름(제1 적층체(24) 및 기재(22a))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편이 좋다. 환언하면, 조사 장치(3)가 갖는 활성 에너지선(L)의 광원은 한 쌍의 롤(7a 및 7b)의 회전축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편이 좋다. 제조 장치(100)는 조사 장치(3)로부터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L)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정하는 기구(조사각 조정 수단)를 가져도 좋다. 제조 장치(100)는 조사 장치(3)를 수직 방향(Z축 방향) 또는 수평 방향(X축 방향 혹은 Y축 방향)에 있어서 자유자재로 이동시키는 기구(조사 위치 조정 수단)를 가져도 좋다.
조사 장치(3)는 예컨대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또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L)의 조사 강도는 예컨대 30∼100 mJ/㎠이면 좋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 공정에서는, 활성 에너지선(L)을 기재(22a) 측으로부터 도포막(32a)으로 조사하여도 좋다. 즉, 활성 에너지선(L)을, 기재(22a)를 통해 도포막(32a)으로 조사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L)을 보호 필름(34) 측으로부터 도포막(32a)으로 조사하여도 좋다. 즉, 조사 장치(3)를 보호 필름(34) 측에 배치하고, 활성 에너지선(L)을, 보호 필름(34) 및 편광자(38)를 통해 도포막(32a)으로 조사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L)을, 기재(22a) 측 및 보호 필름(34) 측으로부터, 도포막(32a)으로 조사하여도 좋다. 즉, 활성 에너지선(L)을, 도포막(32a)의 양면(표리)을 향해 조사하여도 좋다. 조사 장치(3)를 이용한 조사 공정에 있어서, 도포막(32a)을 불완전하게 경화시킨 경우, 조사 장치(3)를 이용한 조사 공정 후에 별도의 조사 장치를 이용한 2번째 조사 공정을 실시하여도 좋다. 2번째 조사 공정 후에, 별도의 조사 장치를 이용한 3번째 조사 공정을 실시하여도 좋다. 즉, 조사 장치(3)를 이용한 최초의 조사 공정에서 도포막(32a)을 불완전하게 경화시키고, 별도의 조사 장치를 이용한 2번째 이후의 조사 공정에서 도포막(32a)을 완전히 경화시켜도 좋다.
조사 공정 후에 박리 공정을 실시하여도 좋다. 도 1과 도 4 중의 (b) 및 도 4 중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 공정에서는, 기재(22a)를 제3 적층체(26a)의 수지층(32b)으로부터 박리한다. 박리 공정에 있어서, 가이드 롤(5c)은, 제3 적층체(26a)가 갖는 기재(22a)에 접한다. 기재(22a)가 박리된 제4 적층체(26b)는 방향(d26)으로 반송된다.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완성된 편광판은, 기재(22a)를 구비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박리 공정을 거쳐 완성된 편광판(제4 적층체(26b))은, 도 4 중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층(32b)과, 수지층(32)에 직접 중첩되는 편광자(38)와, 접착제층(36)을 통해 편광자(38)에 접합된 보호 필름(34)을 구비한다.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도공 공정에서는, 도포막(32a)을, 조면화 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은 기재(22a)의 표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조면화 처리를 기재(22a)에 행하면, 도포막(32a)이 기재(22a)의 표면에 밀착되기 쉬워, 기재(22a)가 경화 후의 도포막(32a)(수지층(32b))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게 된다.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도포막(32a)을, 조면화 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은 기재(22a)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박리 공정에 있어서 기재(22a)를 수지층(32b)으로부터 박리하기 쉬워진다. 조면화 처리는 예컨대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또는 프레임 처리(화염 처리)여도 좋다.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좋다.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도공 공정 전에 기재(22a)의 표면에 조면화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계속되는 도공 공정에서는, 도포막(32a)을, 조면화된 기재(22a)의 표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그 결과, 기재(22a)가 수지층(32b)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게 된다.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완성된 편광판은, 도 4 중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22a)와, 기재(22a)에 중첩되는 수지층(32b)(경화 후의 도포막(32a))과 수지층(32b)에 중첩되는 편광자(38)와, 편광자(38)에 중첩되는 접착제층(36)과, 접착제층(36)에 중첩되는 보호 필름(34)을 구비한다. 기재(22a)는 편광자(38)를 보호하는 필름으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기재(22a)를 구비하는 편광판은, 기재(22a)에 적층되는 다른 광학층을 구비하여도 좋다.
편광판은, 보호 필름(34), 기재(22a) 또는 수지층(32b)에 적층된 다른 광학 필름(광학층)을 구비하여도 좋다. 다른 광학 필름(광학층)은, 예컨대, 반사형 편광 필름, 방현 기능을 구비한 필름, 표면 반사 방지 기능을 구비한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하드코트층, 점착제층, 터치센서층, 대전방지층 또는 방오층이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기재된 사항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사항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공 공정과 접합 공정과 조사 공정을 구비한다. 단, 제2 실시형태의 도공 공정에서는, 한 쌍의 기재 각각의 표면에 도포막을 형성한다. 제2 실시형태의 접합 공정에서는, 필름형의 편광자를 한 쌍의 기재 사이에 배치한다. 그리고, 한 쌍의 기재를, 도포막을 통해 편광자의 양면에 접합한다. 제2 실시형태의 조사 공정에서는, 한 쌍의 기재를 편광자의 양면에 접합한 후, 활성 에너지선을 도포막에 조사한다. 이들 공정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편광판)의 제조 장치(200)는, 한 쌍의 롤(제1 롤(7a) 및 제2 롤(7b))과, 한 쌍의 롤 사이를 향해, 활성 에너지선(L)을 조사하는 한 쌍의 조사 장치(3a 및 3b)를 구비한다. 조사 장치(3a 및 3b)는,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조사 장치(3)와 동일하여도 좋다.
도 5 및 도 6 중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도공 공정에서는, 도공 장치(1a)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막(54a)을, 필름형 기재(44a)의 표면에 형성하여, 적층체(44b)를 제작한다. 제2 실시형태의 적층체(44b)는, 제1 실시형태의 제2 적층체(22b)와 동일하여도 좋다. 또한 도공 공정에서는, 도공 장치(1b)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막(52a)을, 필름형 기재(42a)의 표면에 형성하여, 적층체(42b)를 제작한다. 제2 실시형태의 적층체(42b)는, 제1 실시형태의 제2 적층체(22b)와 동일하여도 좋다. 적층체(44b)의 도포막(54a)의 조성은, 적층체(42b)의 도포막(52a)과 동일하여도 좋다. 적층체(44b)의 도포막(54a)의 조성은, 적층체(42b)의 도포막(52a)과 상이하여도 좋다. 적층체(44b)의 기재(44a)의 조성은, 적층체(42b)의 기재(42a)와 동일하여도 좋다. 적층체(44b)의 기재(44a)의 조성은, 적층체(42b)의 기재(42a)와 상이하여도 좋다. 도공 장치(1a 및 1b)는, 제1 실시형태의 도공 장치(1)와 동일하여도 좋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체(44b)를 방향(d44)을 따라 반송하고,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로 공급한다. 가이드 롤(5d)은, 적층체(44b)가 갖는 기재(44a)의 표면에 접한다. 또한, 적층체(42b)를 방향(d42)을 따라 반송하고,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로 공급한다. 가이드 롤(5e)은, 적층체(42b)가 갖는 기재(42a)의 표면에 접한다. 또한, 필름형의 편광자(38)를,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로 공급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접합 공정에서는, 편광자(38)를 한 쌍의 적층체(42b 및 44b) 사이에 끼운다. 적층체(44b)의 도포막(54a)은, 편광자(38)의 한쪽 표면에 대향한다. 적층체(42b)의 도포막(52a)은, 편광자(38)의 다른 쪽 표면에 대향한다. 그리고, 적층체(44b), 편광자(38) 및 적층체(42b)를 중첩시켜,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에 끼운다. 그 결과, 도 6 중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44a)가, 도포막(54a)을 통해 편광자(38)의 한쪽 표면에 접합된다. 또한 기재(42a)가, 도포막(52a)을 통해 편광자(38)의 다른 쪽 표면에 접합된다. 즉, 접합 공정에서는 기재(42a)와, 기재(42a)에 중첩되는 도포막(52a)과, 도포막(52a)에 중첩되는 편광자(38)와, 편광자(38)에 중첩되는 도포막(54a)과, 도포막(54a)에 중첩되는 기재(44a)를 구비하는 적층체(46)를 얻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 공정에서는, 적층체(46)(접합된 편광자(38), 적층체(42b 및 44b))를,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에서 방향(d46)으로 풀어 내보낸다. 그리고, 한 쌍의 조사 장치(3a 및 3b)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L)을, 적층체(46)가 풀어져 나오는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를 향해 조사한다. 즉 조사 공정에서는, 조사 공간(IS)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필름(적층체(46))의 일부 또는 전부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다. 조사 공정에서는, 조사 영역(IS')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필름(적층체(46))의 일부 또는 전부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도 좋다. 이하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사 공간(IS)의 정의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사 공간(IS)의 정의와 거의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사 영역(IS')의 정의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사 영역(IS')의 정의와 거의 동일하다. 접평면(Pt)은, 접합된 복수의 필름(적층체(46))과 교차하고, 또한, 한 쌍의 롤(7a, 7b) 각각의 표면 모두에 접하는 평면이라고 정의된다. 교선(I)은, 접평면(Pt)과, 접합된 복수의 필름(적층체(46))의 교선이라고 정의된다. 회전축선(A1)은, 제1 롤(7a)의 회전축선이라고 정의된다. 회전축선(A2)은, 제2 롤(7b)의 회전축선이라고 정의된다. 평면(Pa)은, 한 쌍의 롤 각각의 회전축선(A1, A2) 모두를 포함하는 평면이라고 정의된다. 거리(R)는, 교선(I)과 평면(Pa)과의 거리라고 정의된다. 「조사 공간 IS」은, 교선(I)이 중심축이고 반경이 R인 원주형의 공간이라고 정의된다. 조사 영역(IS')이란, 조사 공간(IS) 중, 한 쌍의 롤(7a 및 7b)과 접평면(Pt)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라고 정의된다. 조사 공정에서는, 편광자(38), 적층체(42b 및 44b)를 한 쌍의 롤(7a 및 7b)과 접합한 직후에,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를 향해 활성 에너지선(L)을 조사하여도 좋다. 조사 공정에서는, 편광자(38), 적층체(42b 및 44b)를 한 쌍의 롤(7a 및 7b)과 접합하는 것과 동시에,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를 향해 활성 에너지선(L)을 조사하여도 좋다.
조사 공정에서는, 조사 장치(3a)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L)을 기재(44a) 측으로부터 도포막(54a)으로 간접적으로 조사하여, 도포막(54a)을 경화시킨다. 동시에, 조사 장치(3b)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L)을 기재(42a) 측으로부터 도포막(52a)으로 간접적으로 조사하여, 도포막(52a)을 경화시킨다. 이상의 조사 공정에 의해, 도포막(52a)으로부터 수지층(52b)이 형성되고, 도포막(54a)으로부터 수지층(54b)이 형성된다. 도포막(52a)은, 불완전하게 경화되어도 좋고, 완전히 경화되어도 좋다. 환언하면, 수지층(52b)은, 반경화 수지층이어도 좋고, 완전 경화 수지층이어도 좋다. 도포막(54a)은, 불완전하게 경화되어도 좋고, 완전히 경화되어도 좋다. 환언하면, 수지층(54b)은, 반경화 수지층이어도 좋고, 완전 경화 수지층이어도 좋다. 조사 장치(3a 및 3b) 중, 한쪽의 조사 장치는 없어도 좋다. 즉, 조사 장치(3a 및 3b) 중 한쪽의 조사 장치로부터 조사하는 활성 에너지선(L)만으로 도포막(52a 및 54a) 모두를 경화시켜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종래보다 빠른 타이밍으로 조사 공정을 행한다. 즉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종래보다 빨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경화를 시작한다. 그 결과, 종래보다 빨리 복수의 필름이 수지를 통해 서로 고정되어, 필름의 박리가 억제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활성 에너지선(L)의 일부를,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를 통과한 후의 적층체(46)에 조사하여도 좋다. 즉, 활성 에너지선(L)의 일부를, 조사 공간(IS)을 통과한 후의 적층체(46)에 조사하여도 좋다.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를 향한 활성 에너지선(L)의 조사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도포막(52a 또는 54a))를 불완전하게 경화시킨 경우, 또 다른 조사 공정(2번째 조사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예컨대, 적층체(46)를 한 쌍의 롤(7a 및 7b) 사이에서 방향(d46)을 따라 반송한다. 적층체(46)의 기재(42a) 측의 표면을 냉각롤(9)에 접촉시킨다. 냉각롤(9)과 반대측을 향하는 적층체(46)의 기재(44a) 측의 표면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L)을 조사 장치(3c)로부터 조사한다. 활성 에너지선(L)은, 기재(44a)를 투과하여, 도포막(52a 및 54a)에 도달한다. 이 2번째 활성 에너지선(L)의 조사에 의해, 도포막(52a 및 54a)의 경화를 촉진시킨다. 2번째 조사 공정에 의해, 도포막(52a 및 54a)을 완전히 경화시켜도 좋다. 조사 장치(3c)는,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조사 장치(3)와 동일하여도 좋다.
2번째 조사 공정의 변형예에서는, 활성 에너지선(L)을 적층체(46)의 기재(42a) 측으로부터 도포막(32a)으로 조사하여도 좋다. 즉, 조사 장치(3c)를 적층체(46)의 기재(42a) 측에 배치하고, 활성 에너지선(L)을, 기재(42a)를 통해, 도포막(52a 및 54a)에 조사하여도 좋다. 2번째 조사 공정에서는, 한 쌍의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L)을, 적층체(46)의 양면측으로부터, 도포막(52a 및 54a)으로 조사하여도 좋다.
조사 장치(3c)를 이용한 2번째 조사 공정에 의해, 도포막(52a 및 54a)을 불완전하게 경화시켜도 좋다. 이 경우, 또 다른 조사 공정(3번째 조사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예컨대, 적층체(46)를, 가이드 롤(5f)을 통해 조사 장치(3c)로부터 조사 장치(3d)로 반송한다. 그리고, 조사 장치(3d)를 이용하여, 다시 활성 에너지선(L)을 도포막(52a 및 54a)에 조사한다. 이 3번째 활성 에너지선(L)의 조사에 의해, 도포막(52a 및 54a)의 경화를 촉진시킨다. 조사 장치(3d)는,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조사 장치(3)와 동일하여도 좋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조사 공정 후에 박리 공정을 실시하여도 좋다. 예컨대, 박리 공정에서는, 기재(42a)를 적층체(46)의 수지층(52b)으로부터 박리하여도 좋다. 기재(44a)를 적층체(46)의 수지층(54b)으로부터 박리하여도 좋다.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성된 편광판은, 기재(42a 또는 44a)를 구비하지 않는다. 예컨대, 박리 공정을 거쳐 완성된 편광판은, 적어도, 수지층(52b)과, 수지층(52b)에 직접 중첩되는 편광자(38)와, 편광자(38)에 직접 중첩되는 별도의 수지층(54b)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편광판은, 수지층(52b 또는 54b)에 적층된 다른 광학 필름(광학층)을 구비하여도 좋다. 다른 광학 필름(광학층)은, 예컨대, 반사형 편광 필름, 방현 기능을 구비한 필름, 표면 반사 방지 기능을 구비한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하드코트층, 점착제층, 터치센서층, 대전방지층 또는 방오층이어도 좋다.
박리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조면화 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은 기재(42a 및 44a)를 도공 공정에 이용하면 좋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박리 공정에 있어서 기재(42a 또는 44a) 중 어느 한쪽만을 박리하여도 좋다. 기재(42a 또는 44a) 중 어느 한쪽만을 박리하는 경우, 박리하지 않는 쪽의 기재로서, 조면화 처리가 행해진 기재를 도공 공정에 이용하면 좋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좋다.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조면화 처리가 행해진 기재를 도공 공정에 이용하면 좋다.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성된 편광판은, 도 6 중의 (b)에 도시된 적층체(46) 그 자체여도 좋다. 이 편광판은, 기재(42a 또는 44a)에 적층된 다른 광학 필름(광학층)을 구비하여도 좋다. 다른 광학 필름(광학층)은, 예컨대, 반사형 편광 필름, 방현 기능을 구비한 필름, 표면 반사 방지 기능을 구비한 필름, 반사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하드코트층, 점착제층, 터치센서층, 대전방지층 또는 방오층이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서로 접합되는 필름은, 편광자 이외의 광학 필름(광학층) 또는 이들 적층체여도 좋다. 예컨대, 필름이, 반사형 편광 필름, 방현 기능을 구비한 필름, 표면 반사 방지 기능을 구비한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터치센서층, 대전방지층, 방오층 또는 액정층 등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편광판의 제조에 있어서, 광학 필름끼리의 접합 후에 필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3a, 3b, 3c, 3d : 조사 장치
7a : 제1 롤
7b : 제2 롤
22a, 42a, 44a : 기재(필름)
24 : 제1 적층체(필름)
26b : 제4 적층체(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필름)
32a, 52a, 54a : 도포막(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38 : 편광자(필름)
46 : 적층체(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필름)
100, 200 :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L : 활성 에너지선

Claims (2)

  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통해 중첩되는 복수의 필름을, 한 쌍의 롤 사이에 끼워, 상기 복수의 필름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접합된 상기 복수의 필름이 풀어져 나오는 상기 한 쌍의 롤 사이에 있어서의 조사 공간(IS)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된 복수의 필름에, 활성 에너지선을 직접 조사하는 조사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조사 공간(IS)은 중심축이 교선(I)이고 반경이 R인 원주형의 공간으로서, 상기 교선(I)은 상기 한쌍의 롤을 구성하는 각 롤의 표면의 양쪽에 접하는 접평면(Pt)과, 상기 접합된 복수의 필름의 교선이며, 상기 반경은 상기 한쌍의 롤을 구성하는 각 롤의 회전축선(A1, A2)을 포함하는 평면(Pa)과 상기 교선(I)과의 거리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2.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통해 중첩되는 복수의 필름을 사이에 끼워, 상기 복수의 필름을 접합하는 한 쌍의 롤과,
    접합된 상기 복수의 필름이 풀어져 나오는 상기 한 쌍의 롤 사이에 있어서의 조사 공간(IS)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된 복수의 필름에, 활성 에너지선을 직접 조사하는 조사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조사 공간(IS)은 중심축이 교선(I)이고 반경이 R인 원주형의 공간으로서, 상기 교선(I)은 상기 한쌍의 롤을 구성하는 각 롤의 표면의 양쪽에 접하는 접평면(Pt)과, 상기 접합된 복수의 필름의 교선이며, 상기 반경은 상기 한쌍의 롤을 구성하는 각 롤의 회전축선(A1, A2)을 포함하는 평면(Pa)과 상기 교선(I)과의 거리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KR1020170024572A 2016-02-29 2017-02-24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KR102638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36882A JP6741440B2 (ja) 2016-02-29 2016-02-29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JP-P-2016-036882 2016-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804A KR20170101804A (ko) 2017-09-06
KR102638095B1 true KR102638095B1 (ko) 2024-02-16

Family

ID=5972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572A KR102638095B1 (ko) 2016-02-29 2017-02-24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41440B2 (ko)
KR (1) KR102638095B1 (ko)
CN (1) CN107132605B (ko)
TW (1) TWI7409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5639A (ja) 2017-08-14 2019-03-07 株式会社ミツトヨ ねじ軸測定装置、ねじ軸測定方法および調整用治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5560A (ja) 2009-10-30 2011-05-1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3092766A (ja) 2011-10-07 2013-05-1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8367A (en) * 1956-09-28 1962-01-31 Reeves Bros Inc Methods of bonding polyurethane
JPS5490273A (en) * 1977-12-28 1979-07-17 Showa Denko Kk Method of laminating heat-sensitive type of protecting film
US5281371A (en) * 1990-11-16 1994-01-25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ubstrate sheet for optical recording medium
JPH06166170A (ja) * 1992-11-24 1994-06-14 Hamamatsu Seisakusho:Kk 枚葉印刷物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US5512126A (en) * 1994-03-11 1996-04-30 Polaroid Corporation Optical laminator
US5714305A (en) * 1995-05-24 1998-02-03 Polaroid Corporation Overcoat-releasing laminat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EP0898584A4 (en) * 1996-05-17 2002-01-02 Datacard Corp CURABLE SURFACE COMPOSITION AND METHODS FOR USE
JPH11186724A (ja) * 1997-12-25 1999-07-09 Sumitomo Bakelite Co Ltd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3710368B2 (ja) * 2000-09-25 2005-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1237017A1 (en) * 2001-02-20 2002-09-04 Fuji Photo Film Co., Ltd. Polarizing plate protection film
CN1332800C (zh) * 2001-03-14 2007-08-22 富士胶片株式会社 流延模具、溶液制膜方法及装置
EP1362682A1 (en) * 2002-05-13 2003-11-19 ZBD Display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alignment
JP4137550B2 (ja) * 2002-08-08 2008-08-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湿式延伸装置
US7070406B2 (en) * 2003-04-29 2006-07-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for embossing a flexible substrate with a pattern carried by an optically transparent compliant media
JP2010102046A (ja) * 2008-10-22 2010-05-06 Seiko Epson Corp 光学素子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5335483B2 (ja) * 2009-02-27 2013-11-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板の製造方法
TWI476223B (zh) * 2009-06-16 2015-03-11 Mitsubishi Rayon Co 防污組成物、防污膜、防污積層膜、轉印薄膜及樹脂積層體以及樹脂積層體的製造方法
KR20120074992A (ko) * 2010-12-28 2012-07-06 정상훈 내구 및 내후성과 반사효율이 우수한 재귀반사시트의 합지공정 및 합지를 위한 그 조성물
JP5860240B2 (ja) * 2011-08-02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部材の接合方法
JP2013092762A (ja) * 2011-10-07 2013-05-1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US8968862B2 (en) * 2011-10-14 2015-03-03 Lg Chem, Ltd. Polarizer having protection films in two sides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9199412B2 (en) * 2012-12-28 2015-12-01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fabric and method of welding seam area using ultrasonic welding
JP2014199284A (ja) * 2013-03-29 2014-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6117758B2 (ja) * 2014-09-30 2017-04-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5560A (ja) 2009-10-30 2011-05-1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3092766A (ja) 2011-10-07 2013-05-1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32605B (zh) 2021-06-29
JP6741440B2 (ja) 2020-08-19
JP2017156391A (ja) 2017-09-07
TW201800214A (zh) 2018-01-01
CN107132605A (zh) 2017-09-05
KR20170101804A (ko) 2017-09-06
TWI740900B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175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6105B1 (ko) 편광판
TWI633346B (zh) 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TWI722114B (zh) 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JP2017199030A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0101815A (ja) 偏光板セット
JP2010286737A (ja)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38095B1 (ko)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TWI692403B (zh) 積層光學膜的製造方法
KR102587187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CN109313306B (zh) 偏振板组件
CN112969940B (zh) 偏振板
JP6968854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TW201713967A (zh) 偏光板之製造方法
JP5950002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9179272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6886413B2 (ja) 多層フィルムの製造装置および搬送用ロール
TW202327881A (zh) 偏光板及其製造方法
CN110780372A (zh) 圆偏振板及显示装置
JP2016118804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