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437B1 - 차량 판유리,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판유리,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437B1
KR102637437B1 KR1020237010828A KR20237010828A KR102637437B1 KR 102637437 B1 KR102637437 B1 KR 102637437B1 KR 1020237010828 A KR1020237010828 A KR 1020237010828A KR 20237010828 A KR20237010828 A KR 20237010828A KR 102637437 B1 KR102637437 B1 KR 102637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pane
area
vehicle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4568A (ko
Inventor
더크 울페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0941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6374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3004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47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 B32B17/1025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created by printing techniques
    • B32B17/1026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created by printing techniques on glass p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128Treatment of at least one glass sheet
    • B32B17/10146Face treatment, e.g. etching, grinding or sand bl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B32B17/10348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comprising an obscuration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1Double glazing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5/00Window arrangements peculiar to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07Ship's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판유리(10), 특히 자동차, 버스, 기차 또는 선박용 판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판유리 면(11.1), 제2 판유리 면(11.2), 제3 판유리 면(12.3) 및 제4 판유리 면(12.4)을 갖도록 서로 표면 대 표면으로 결합된 적어도 제1 판유리 요소(11) 및 제2판유리 요소(12)를 갖는 차량 판유리(10)이다. 제2 판유리 면(11.2)는 제1 인쇄 영역(14)를 갖고 제3 또는 제4 판유리 면(12.3, 12.4)은 차량 판유리 (10)을 따라 시야 영역(16)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인쇄 영역(15)을 갖는다. 제1 및 제2 인쇄 영역(14, 15)은 각각 적어도 제1, 제2 및 제3 구역(14.1, 14.2, 14.3, 15.1, 15.2, 15.3)으로 설계되며, 제1 및/또는 제2 구역들(14.1, 14.2, 15.1, 15.2)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쇄되고 제3 구역들(14.3, 15.3)은 각각의 경우에 인쇄되지 않는다. 제2 구역들(14.2, 15.2)은 각각의 경우에 제1 구역(14.1, 15.1) 및 제3 구역(14.3, 15.3) 사이에 전이 영역으로서 구현되어 제1 인쇄 영역(14)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효과가 제2 인쇄 영역(15)의 광학 효과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판유리,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VEHICLE PANE,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차량 판유리, 차량 판유리를 갖는 차량 및 차량 판유리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예를 들어 EP 2 121 308 B1으로부터 알려진 것은 센서들을 갖는 차량 판유리들이다. EP 2 121 308 B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센서들은 심지어 차량 판유리(차량 판유리의 개별 층들 사이)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무엇보다도 센서들로 설계될 수 있는 차량 판유리들에 대한 공지된 솔루션들(solutions)은 상대적으로 파괴에 취약한 것으로 인식된다.
차량 판유리를 생산하는 동안, 열 영향 하에서 굽힘 공정이 수행된다. 차량 판유리는 투명 영역들 및 인쇄 또는 흑색 인쇄 영역들을 따라 상이한 온도를 가질 수 있어 구부러짐 거동이 차량 판유리를 따라 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차량 판유리의 투명 영역들 및 흑색 인쇄 영역들은 상이한 굽힘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차량 평면을 따른 중대한 왜곡들은 굽힘 반경에서의 이러한 편차들 또는 변형들에 기인한다. 소위 "초점 라인들(lines)"은 차량 판유리의 투명 및 흑색 인쇄 영역들 사이의 경계들을 따라 존재한다.
초점 라인들은 광학적 왜곡이 발생하도록 광의 회절을 유발한다. 따라서, 광학 특성 또는 광학 효과로서 초점 라인들의 발생은 예를 들어 광학 센서들의 정확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차량 판유리의 모서리 영역에서의 이러한 왜곡들은 또한 운전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고 적어도 전체적인 인상을 방해할 수 있다
흑색 인쇄 영역들은 다른 것들 중, 예를 들어 센서 유닛들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 부위들을 감추기 위해 미적인 이유로 차량 판유리들 상의 센서 배열을 따라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적이고 왜곡 없는 외관을 전달하는,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그리고 개선된 광학 특성을 제공하는 차량 판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1)에 따른 차량 판유리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생산 방법은 다른 독립항으로 표시된다. 유리한 실시예들 및 추가 변형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종속항들로부터 및 명세서로부터 나온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판유리, 특히 자동차, 버스, 기차 또는 선박용의 경우, 차량 판유리가 제1 판유리 면, 제2 판유리 면, 제3 판유리 면, 제4 판유리 면을 갖도록 서로 대면 결합된 적어도 제1 판유리 요소 및 제2 판유리 요소가 함께 제공된다. 제2 판유리 면은 제1 인쇄 영역을 가지며, 제3 판유리 면 또는 제4 판유리 면은 차량 판유리를 따라 관찰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인쇄 영역을 갖는다. 제1 및 제2 인쇄 영역은 각각의 경우 적어도 제1, 제2 및 제3 구역을 갖도록 설계된다, 제1 구역 및/또는 제2 구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쇄되고 제3 구역들은 모든 경우에 인쇄되지 않으며, 제2 구역들은 각각의 경우에 제1 구역 및 제3 구역 사이의 전이 영역으로서 구현되어 제1 인쇄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효과가 제2인쇄 구역의 광학 효과에 의해 보상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보상된다.
본 발명은 차량 판유리의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들이 각각의 경우에 인쇄 영역들을 갖도록 설계되어 발생하는 광학 효과 또는 광학 특성이 서로 상쇄 또는 서로 보상한다는 발상에 기초한다.
상이하게 적응된 또는 조화된 구역들을 갖는 제1 인쇄 영역 및 제2 인쇄 영역을 설계함으로써, 예를 들어, 차량 판유리 내의 초점 라인 또는 광학 회절이 보상될 수 있도록 광학 효과 또는 특성의 보상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호 대응하는 광학 효과는 요컨대 바람직하게는 서로 상쇄되도록 제공된다.
차량 판유리를 따라, 특히 운전자의 및/또는 광학 센서 또는 센서 장치의 시야 영역에서 광학 효과 또는 특성을 상쇄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적어도 왜곡 없는 외관, 운전자의 쾌적한 시야 조건 및/또는 센서들 또는 센서 장치들의 출력이 개선된 정확성 또는 재현성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광학 센서와 함께 사용하기에 유리한 광학 특성을 갖는 차량 판유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에게 유리한 광학 특성들을 갖는 차량 판유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판유리는 차량 판유리가 제1 판유리 면, 제2 판유리 면, 제3 판유리 면 및 제4 판유리 면을 갖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유리 요소 및 하나의 제2 판유리 요소가 서로 대면하여 결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는 적층에 의해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배열되고 함께 접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판요소 사이에 적층 층(laminating layer)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함께 접착된 차량 판유리용 판유리 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절차에 해당한다.
적층 판유리 요소들은 차량 판유리의 광학 시스템을 위한 기본 구조를 제공한다.
접착된 판유리 요소들은 총 4개의 판유리 면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제1 판유리 면은 차량 판유리의 외측(outer side)이다. 제4 판유리 면은 차량 판유리의 내측(inner side)이다.
제2 및 제3 판유리 면은 가능하게는 그들 사이에 제공된 적층 층(laminating layer)으로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제2 판유리 면은 제1 인쇄 영역을 가지며, 제3 또는 제4 판유리 면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광학 센서와 같은 차량 판유리를 따라 시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인쇄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은 유리한 광학 특성을 갖는 차량 판유리를 따라 차량 판유리 또는 시야 영역을 설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자동차, 선박 등의 운전자 및 센서들 또는 광학 센서들의 사용 둘다와 관련된 것이다. 예로서, 본 발명은 특히 광학 센서들의 사용 측면에 있어 차량 운전자에게 적용되는 동일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인쇄 영역"은 예를 들어 편의상 흑색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해 코팅될 수 있는, 특히 부분적으로 코팅될 수 있는, 특히 판유리 면의 또는 판유리 요소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영역은 연속적으로 인쇄된 영역들 또는 구역들, 부분적으로 인쇄된 영역들 및 인쇄되지 않은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제2 인쇄 영역은 제3 또는 제4 판유리 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로서 다음과 같이 설명되며, 제2 인쇄 영역은 제4 판유리 면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예를 들어 제3 인쇄 영역은 또한 제3 판유리 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시야 영역"은 센서 측정 또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의 분야의 광학 특성 또는 상황 또는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차량 판유리의 영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적용 또는 개별 경우에 따라, 차량 판유리의 중심 영역들 및 주변 영역들 모두가 시야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차량 판유리의 중앙 섹션들에서 시야 영역이 주로 센서에 할당되는 반면, 운전자의 시야 영역은 모서리들을 포함하여 차량 판유리의 전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시야 영역"은 센서 또는 센서 장치가 차량 판유리의 광학 효과 또는 광학 특성을 "볼 수 있는" 즉, 각각의 센서의 측정 결과들이 영향을 받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시야 영역"은 예를 들어 단순히 예를 들어 광학 측정 과정 동안 전자기 방사선이 통과할 수 있는 차량 판유리의 투명한 영역만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에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시야 영역"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광축을 따라 제1 및/또는 제2 판유리 요소의 굴절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근 또는 주변 영역들을 또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인쇄 영역은 각각의 경우 제1, 제2 및 제3 구역으로 설계되며, 제1 및/또는 제2 구역들(14.1, 14.2, 15.1, 15.2)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쇄되고 제3 구역들은 모든 경우에 인쇄되지 않으며, 제2 구역들은 각각의 경우에 제1 구역과 제3 구역들 사이의 전이 영역으로서 구현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쇄 영역의 광학 효과는 제2 인쇄 영역의 광학 효과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들의 설계 측면에서, 제1 및 제2 인쇄 영역은 각각의 경우 3개의 구역들로 나눌 수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 구역들은 광학 센서의 시야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서로 구별될 수 있는 표면 영역들 또는 표면 섹션들로(sections) 간주될 수 있다.
제1 구역은 차량 판유리의 전반적, 광학적 행동의 정의에 기여하는 구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역은 인쇄, 특히 흑색 인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1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구역은 제1 구역과 제3 구역 사이의 전이 영역이다. 따라서, 제2 구역은 제1 및 제3 구역 사이의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인쇄 영역, 특히 부분 인쇄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구역은 제1구역에 통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2 구역은 제1 및 제3 구역 사이의 점진적, 완만한 또는 부드러운 전이 또는 갑작스러운, 즉각적인, 단단한 또는 매우 짧은 전이일 수 있다.
제3 구역은 항상 제1 및 제2 인쇄 표면의 투명한 구역으로 설계된다. 제3구역은 투명하거나 인쇄되지 않기 때문에, 제1 및 제2인쇄 평면의 영역을 구성하며, 이를 통해 예를 들어 광학 센서 또는 차량 운전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제3 구역은 제1 및/또는 제2 구역에 의해 프레임화된(framed)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인쇄 영역을 사용한 광학 효과 또는 특성의 보상은 특히, 예를 들어, 제1 인쇄 영역에 의해 야기된 회절이 제2 인쇄 영역의 반전된 또는 대응하는 회절에 의해 상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맥락에서, "광학 효과의 보상"은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왜곡이 없는 차량 판유리가 있도록 하는 광학 왜곡의 보상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인쇄 영역에 의해, 이러한 의미에서 제1 인쇄 영역의 광학 효과에 규모 면에서 대응하는 반전된 광학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판유리 요소들은 제1 인쇄 영역과 함께 집광 렌즈 또는 오목 렌즈를 형성하는 한편, 제2 판유리 요소는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들의 조합에서 중립 광학계가 존재하도록 하는 제2 인쇄 영역과 함께 발산 렌즈 또는 볼록 렌즈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효과의 보상"은 대립되는 광학적 반전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여 광학 효과의 표적화된 상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 될 수 있다.
차량 판유리를 통해 완전히 모인 빔(beam)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통과하는 광학 방사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판유리에 의해 제공되는 빔 경로는 중립 빔 경로로 간주될 수 있다.
차량 판유리를 통해 광학 방사선을 영향을 받지 않거나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전송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스크린 인쇄 또는 흑백 인쇄에 의한 보상"은 또한 전체 광학 시스템이 예를 들어 굴절력이 없거나 거의 없는 광학 효과의 과보상 또는 저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과보상은 특히 스크린 인쇄 또는 흑색 인쇄에 의해 야기되는 광학 효과 또는 왜곡을 상쇄할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대신에 전반적 광학 시스템으로서 차량 판유리의 추가 광학 효과를 보상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전반적 시스템의 광학 효과의 총합이 광학 왜곡을 갖지 않거나 거의 갖지 않도록 광학 효과의 일부만을 상쇄시키기 위해 저보상 형태의 스크린 인쇄 또는 흑색 인쇄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필요 기반 과보상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버, 센서 또는 광학 센서 등의 전반적 광학 시스템 내의 모든 및 거의 모든 광학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예를 들어 초점 라인들 또는 회절 효과로 인한 측정 결과의 광학적 장애 또는 왜곡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요인들은 차량 판유리의 광학 특성 또는 조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개별 판유리 요소들 또는 전체 차량 판유리의 두께, 판유리 요소들의 색상, 적어도 2개의 판유리 요소들 사이의 적층 층, 또는 판유리 요소들 위 또는 사이의 코팅이 본 발명의 맥락에서의 광학 조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차량 판유리의 전체 광학 시스템이 광학 효과가 없거나 거의 없거나, 특히 광학 굴절력이 없도록, 따라서, 중립 광학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제1 및/또는 제2 인쇄 영역을 설계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유리 요소들은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수에 대응하는 판유리 두께가 제공된다. 또한, 예를 들어 1.2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6 mm 내지 1.0 mm의 두께를 갖는 하나의 판유리 요소 또는 두 판유리 요소들 모두에 얇은 유리의 사용이 고려될 수 있다.
개별 판유리 요소들의 색에 대하여, 판유리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녹색, 청색, 백색으로 채색되거나 또는 자동차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다른 채색을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적외선 반사 코팅 또는 방열 감소 코팅 (저방사율 코팅)과 같은 판유리 면들을 따른 코팅, 특히 제2, 제3 또는 제4 판유리 면을 따른 코팅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반사 코팅이 2개의 판유리 요소들 사이의 적층 층 내에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폴리비닐 부티랄 층들(PVB 층들) 또는 필름들 형태의 적층 층을 구현하는 것을 고려될 수 있다. 적외선 반사 또는 적외선 흡수 중간층이 샌드위치 구조가 존재하도록 2개의 PVB 층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영역들의 구체적 설계는, 센서 또는 센서 유닛의 접착 부위들을 덮어 인쇄 표면을 다른 구성 요소들(components) 등을 위한 접착 표면으로서 제공하는 것과 같이, 인쇄 형상 및 형태의 관점에서 다른 요인들에 적응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광학 효과 또는 특성을 보상하고 특히 왜곡이 없는 차량 판유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차량 판유리의 조건에 대한 제1 및 제2 인쇄 평면의 표적화된 적응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쇄 영역 내의 제2 판유리 요소(12)의 광학적 특성으로서의 굴절력에 의해 제1 인쇄 영역 내의 제1 판유리 요소의 광학적 특성으로서의 굴절력을 보상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흑색 인쇄 구역과 인쇄 영역의 투명 구역 사이의 전이에서 초점 라인(line)의 발생이 감소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광학 회절은 제1 인쇄 영역의 굴절력에 상응하는 크기의 반전 굴절력을 갖는 제2인쇄 영역에 의해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인쇄 영역의 제1 구역은 연속적으로 또는 개별 요소들의 패턴(pattern)으로 인쇄된다.
"연속 인쇄"는 특히 스크린 인쇄 과정과 같은 인쇄 과정 동안 표면의 완전한 코팅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1 구역은 흑색 인쇄의 경우 완전히 잉크로 칠하거나 흑색으로 코팅된다. 따라서, 입사 전자기 방사선의 최대 흡수 및 제1 구역의 불투명도가 달성된다.
패턴은 서로에 대한 개별 요소들의 반복 배열에 의해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인쇄 영역의 제2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쇄된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2 구역은 완전히 인쇄되거나 인쇄되지 않은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인쇄 영역의 제2 구역은 개별 요소들의 패턴이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영역을 갖는다.
제1 인쇄 영역의 제2 구역의 설계는 제2구역이 제1구역 및/또는 제3구역에 의해 보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구역은 이 영역에서 제1 및 제3 구역 사이의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제3 구역을 부분적으로만 둘러쌀 수 있다.
제1 및 제2 인쇄 영역의 제1, 제2 및 제3 구역의 구체적 설계는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들의 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최종 광학 결과가 달성되는 것을 항상 지향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1 및 제2 인쇄 영역의 제1, 제2 및 제3 구역의 구현은 필요에 따라 변화되고 상호 조정될 수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인쇄 영역의 제1 구역은 연속적으로 또는 개별 요소의 패턴으로 인쇄되거나 인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인쇄 영역의 제1 구역과 같이 제2 인쇄 영역의 제1 구역은 완전히 불투명하거나 패턴으로 인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쇄 영역의 제2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2 인쇄 영역 또는 제2 판유리 요소를 따른 제2 구역은 연관된 제1 및 제3 구역 사이의 전이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2 인쇄 영역의 제2 구역은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회절은 제1 판유리 요소의 제1 인쇄 영역과 관련하여 상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판유리 요소의 광학 효과는 제2 판유리 요소의 상응하는 광학 효과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인쇄 영역 및/또는 제2 인쇄 영역의 제1 구역 및/또는 제2 구역은 각각의 연관된 제3 구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된다.
인쇄된 및 인쇄되지 않은 영역들 또는 구역들의 임의의 편리한 변형은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개별 구역들은 또한 서로 전이될 수 있으며 서로 기하학적으로 엄격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특히, 제1 및 제2 구역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통합된 것 또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쇄 영역의 제3 구역은 인쇄되지 않고 따라서 투명한 것으로 연관된 제3 구역과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인쇄 영역의 제2 구역은 연관된 제1 구역과 같이 부분적으로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쇄 영역의 제1 구역 및/또는 제2 구역의 개별 요소들의 패턴은 그라디언트 패턴(gradient pattern)일 수 있다.
용어 "그라디언트 패턴"은 특히 인쇄된 패턴의 특성이 인쇄된 영역에 걸쳐 변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요소들의 크기, 개별 요소들 사이의 거리, 개별 요소들의 형상, 인쇄된 개별 요소들의 채색, 또는 비슷한 특성은 관련 인쇄 영역(area)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개별 요소들의 패턴은 제2 인쇄 영역의 제1 및/또는 제2 구역의 표면을 따라 변경 또는 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그라디언트 패턴은 일반적으로 제1 및/또는 제2 인쇄 영역의 임의의 구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인쇄 영역의 제1 및 제2 구역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흑색 인쇄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1 및 제2 구역들을 각각의 경우에 개별적으로 및 특히 차량 판유리의 광학 시스템에서의 굴절력과 같은 효과가 보상될 수 있게 흑색 인쇄로 적응되게 설계할 수 있다. 차량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굴절력 형태의 광학 효과가 전혀 또는 거의 없다.
또한, 흑색 인쇄는 차량 판유리의 기능적으로 왜곡이 없는 설계를 위한 개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인쇄 영역 및 제2 인쇄 영역은 각각의 경우에 스크린 인쇄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인쇄 공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문의 대량 생산을위한 제1 및 제2 인쇄 영역의 경제적인 복제가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 인쇄 공정 동안, 차량 판유리의 판유리 면들 중 하나를 따라 흑색 인쇄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다른 기능성 층들을 적용할 수 있다. 판유리 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가열 또는 안테나 기능 또는 다른 기능화를 실현하기 위한 요소들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유리, 카메라 또는 센서 가열을 구현하기 위한 적외선 반사 코팅 또는 전기 전도성 코팅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것은 소위 "낮은 방사율" 코팅 및 임의의 다른 기능성 코팅이 가능한 열 복사를 감소하기 위한 코팅 설계도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기능성 코팅들은 제3 또는 제4 판유리 면, 바람직하게는 제3 판유리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저방사율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제4 판유리 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개별 요소들로 구성된 인쇄 패턴을 위한 개별 요소들은 원,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육각형, 팔면체 등의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개별 요소들의 패턴을 갖는 실시예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마음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설계될 수 있는 다수의 요소들을 갖는 인쇄를 묘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차량, 특히 자동차 바람직하게는 승용차 또는 트럭, 버스, 기차 또는 선박에는 전술한 설명들의 하나에 따른 차량 판유리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판유리는 자동차들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광학 센서들에 관하여, 개선된 측정 정확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판유리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판유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판유리를 구비한 자동차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제1 및/또는 제2 인쇄 영역의 제2구역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구역 및 제3구역 사이의 전이 영역으로 구형되어 제1 인쇄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효과가 제2 인쇄 영역의 광학 효과에 의해 보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판유리의 제조 방법 과정에서, 굽힘 거동은 차량 창문의 열 흡수에 의존한다. 열 흡수는 차량 판유리의 판유리 요소들의 국소 영역들의 인쇄 또는 흑색 인쇄를 사용하여 조정 또는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개별 요소들을 사용한 인쇄의 밀도 또는 강도, 개별 요소들의 형상, 완전히 인쇄된 표면으로서의 설계 등은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설계된 표면 섹션(section)이 존재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차량 판유리의 굽힘 거동은 인쇄 영역의 구체적인 개별적 설계에 의해서, 특히 개별적인 국부 영역들(areas)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왜곡, 특히 차량 판유리의 굴절력과 같은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차량 판유리의 광학 효과 또는 특성 조차도 제1 및 제2 인쇄 영역의 설계를 통해 실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의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맥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판유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상기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이 구현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왜곡이 없는 차량 판유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첨부 도면들은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도 1은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를 갖는 차량 판유리의 개요이다.
도 2는 제1 판유리 요소의 제2 판유리 면을 따라 제1 인쇄 영역의 구역 분할의 도면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인쇄 영역을 따라 광학 센서의 시야 영역의 도면이다.
도 3a-3d는 제1 판유리 요소를 따라 제1 인쇄 영역을 설계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도4a-4e는 제2 판유리 요소를 따라 제2 인쇄 영역을 설계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도 1은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11,12)를 갖는 차량 판유리(10)의 개요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 (11,12)는 바람직하게는 표면 대 표면으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로 올라가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특히, 판유리 요소들은 차량 판유리의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층(도1에 도시되지 않음)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11, 12) 사이에 제공된다.
제1 판유리 요소(11)는 제1 및 제2 판유리 면(11.1, 11.2)를 가진다. 제1 판유리 면(11.1)은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으로 향하는 판유리 면인 반면, 제1 판유리 요소(11)의 제2판유리 면은 바람직하게는 적층 층의 맞은 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1판유리 요소(11)는 차량 판유리(10)의 외부 부분이다.
제2 판유리 요소(12)는 제3 및 제4 판유리 면(12.3, 12.4)을 제공한다. 제3판유리 면(12.3)은 바람직하게는 도1에 도시되지 않은 적층 층의 맞은편이다. 따라서, 제1 판유리 요소(11)의 제2 판유리 면(11.2) 및 제2 판유리 요소(12)의 제3 판유리 면(12.3)은 서로 이웃해서 배열된다.
제2 판유리 요소(12)의 제4 판유리 면(12.4)는 바람직하게는 안쪽으로 즉, 차량 내부로 향하는 판유리 면이다.
제1 인쇄 영역(14)는 제2 판유리 면(11.2)을 따라 제공되고, 제2 인쇄 영역(15)은 제4 판유리 면(12.4)를 따라 배열된다. 인쇄 영역들(14, 15)은 특히 판유리 요소들(11,12)의 표면 섹션들(11.2, 12.4)이라고 지칭되며, 거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특히 하나의 광학 센서가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인쇄 영역(14)에 대한 인쇄 영역은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와 관련이 있는 판유리 요소들(11, 12)의 표면 섹션이라고 칭할 수 있다.
센서 또는 센서 장치의 사용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설명의 문맥 상에서, 도 1의 제1 인쇄 영역(14)는 주로 제2 판유리 면(11.2)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중앙에 설계된 영역을 지칭한다. 제2 인쇄 영역(15)는 특히 제4판유리 면(12.4)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중앙에 배열된 표면 영역을 말한다.
차량 운전자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적용을 고려하여, 도 1의 제1 인쇄 영역(14)은 대안적으로 제2 판유리 면(11.2) 전체를 지칭할 수 있고, 제2 인쇄 영역(15)은 제4 판유리 면(12.4) 전체를 칭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제1 및 제2 인쇄 영역들(14, 15) 모두는 투명 및 흑색 인쇄 코팅된 또는 인쇄된 불투명 영역들 또는 구역들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실질적으로 인쇄 영역들(14, 15)의 투명 부분을 따라 배치되고 인쇄 영역들(14, 15)의 투명 섹션들을 통해 광학 측정을 수행하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센서가 제공된다.
도 1에 따르면, 제1 및 제2 인쇄 영역들(14, 15)은 각각의 경우 센서들의 결합을 위해 두 개의 투명한 영역들로 설계된다. 투명 영역들은 인쇄 영역들(14, 15)를 따라 원통형 또는 정사각형이다.
특히, 제1 및 제2 인쇄 영역(14, 15)을 따라 있는 투명 영역들 또는 구역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된다.
제1 인쇄 영역(14)을 따라 있는 투명 영역들은 제2 인쇄 영역(15)를 따라 있는 투명 영역들보다 큰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로 향한 제1 인쇄 영역(14)를 사용하여, 센서 장치의 팬형(fan-shaped) 또는 원추형 빔 경로를 위한 적절하고 투명한 영역뿐만 아니라 햇빛에 대한 적절한 보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투명 영역들은 반투명 표면 영역들 등으로 설계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비 가시 파장 범위에서 전자기 방사선으로 작동하는 적외선 센서들 또는 다른 센서들을 사용하는 경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인쇄 영역(14, 15)의 투명 섹션들은 이러한 의미에서, 특히 제4 판유리 면(12.4) 또는 제2 판유리 요소(12)를 따라 있는 2개의 센서의 결합 영역들을 도시한다.
도2는 제1 판유리 요소(11)의 제2 판유리 면(11.2)를 따라 있는 제1 인쇄 영역(14)의 구역 분할에 대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2에 따르면, 인쇄 영역들(14, 15)은 각각의 경우에 제1 구역(14.1, 15.1), 2개의 제2 구역들(14.2, 15.2) 및 2개의 제3구역들(14.3, 15.3)을 가진다. 이러한 구역들은 각각의 경우에 상이한 광학 특성들을 갖는다.
제3구역(14.3, 15.3)은 표면 섹션들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학 센서 또는 센서 장치가 제4 판유리 면(12.4)에 결합된 표면 섹션들을 묘사한다.
제1구역(14.1, 15.1)은 도 1에 따라 흑색 인쇄로 설계된, 센서 장치를 둘러싼 표면 영역들을 나타낸다.
제1 인쇄 영역(14)의 제1 구역(14.1)의 이러한 흑색 인쇄는 스크린으로써 및 외부 전자기 방사선에 대한 보호막으로써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햇빛 등에 의한 노화 효과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2개의 제2 구역들(14.2, 15.2)이 또한 제1 또는 제2 인쇄 영역(14, 15)을 따라 구현된다. 따라서, 제2구역(14.2, 15.2)는 각각의 경우 완벽하게 제3 구역(14.3)을 둘러싸거나 프레임화(frames)한다.
이런 의미에서, 제2 구역(14.2, 15.2)은 각각의 인쇄 영역(14, 15)의 제1구역(14.1, 15.1) 및 관련된 제3구역(14.3, 15.3) 사이의 전이 영역이다.
도 3은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린 인쇄로 제1 인쇄 영역(14)을 따라 있는 광학 센서의 시야 영역(16)에 대한 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센서의 시야 영역(16)은 바람직하게 광학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차량 판유리의 표면 영역을 묘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야 영역(16)은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의 광학 조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차량 판유리(10)의 표면 영역을 묘사할 수 있다.
도 3은 인쇄 영역들(14, 15) 형태의 센서의 시야 영역 (16)을 도시한다. 점선들로 그려진 정사각형 형상 영역은 인쇄 영역들(14, 15)의 설계와 관련하여 하기 도3a 내지 3d 및 4a 내지 4e에서 예시의 방법으로 사용된다.
차량 판유리(10)의 광학 특성의 적응 또는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인 적응은 특히 시야 영역(16)을 따라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 개별적으로 설계된 흑색 인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인쇄된 인쇄 영역들(14), (15)이 제공된다.
도 3과는 달리, 시야 영역(16)은 또한 다른 기하학적 형태,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육각형으로 정의될 수 있다. 관련된 시야 영역의 형성은 차량 판유리의 형상, 이에 결합된 센서의 유형, 창 등에 작용하는 환경 조건 등에 좌우될 수 있다.
또한, 시야 영역(16)의 광학 특성들은 제1 및 제2 인쇄 영역(14, 15)의 편리한, 구체적인 구현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도 3a 에서 3d는 제1 판유리 요소(11)을 따라 제1 인쇄 영역(14)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3a에 따르면, 제1 판유리 요소(11)의 제1 구역(14.1)은 흑색 인쇄에 의해 연속적으로 인쇄되고 투명한 즉, 인쇄되지 않은 제3 구역(14.3)과 함께 설계된다.
제2 구역(14.2)는 도 3a에 따라 제2구역(14.2)이 프레임(frame)을 형성하도록 제3 구역(14.3)을 완전히 둘러싼다. 따라서, 제2 구역(14.2)은 제1 및 제3 구역(14.1, 14.3) 사이의 전이 영역이다.
제2 구역은 도 3a에 따라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 인쇄된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요소들은 흑색 인쇄로 구현된다. 개별 요소들은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도 3a에 따르면, 패턴은 정사각형 개별 요소들의 균일하고 연속적인 패턴으로 구현된다.
도 3b에 따르면, 제2 구역(14.2)은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 부분적으로 만 인쇄된다. 제2 구역(14.2)의 나머지는 제1구역(14.1)과 동일하게 구현된다.
따라서, 도 3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2 구역(14.2)이 부분적으로 격리되게 구현되고 제1 구역(14.1)에만 부분적으로(in sections) 통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2 구역(14.2)은 절단된 원통형 제3 구역(14.3)의 뾰족한 측면 단부 및 편평한 측면 단부에서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서 구현된다.
절단된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벗어난 제3 구역(14.3)은 또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3 구역들(14.3, 15.3)의 절단된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는 도 3a 내지 3d 및 도 4a 내지 4e의 의미에서 단지 예시적인 설계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구역(14.2)의 패턴의 개별 요소들은 도 3b에 따라 원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요약하면, 제1 인쇄 영역(14)의 제2 구역(14.2)는 필요에 근거하여 및 그것의 기하학적 치수들뿐만 아니라 인쇄의 관점에서 편리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2 구역(14.2)는 제1 구역 및 제3 구역(14.3) 사이의 전이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국부적으로만 격리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제2 인쇄 영역(15)의 구역들(15.1, 15.2, 15.3)에서 필요에 따라 동일할 수 있다.
도 3c에서, 제2 구역(14.2)이 절단된 원통형 제 3구역(14.3)의 편평한 측면 단부를 따라 제공된다. 특히, 제2 구역(14.2)은 인쇄되지 않은 영역들 형태의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서 섹션들로 설계되고 제1구역(14.1)에 부분적으로 통합된다.
도 3d에서, 제1 구역(14.1)은 인쇄된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서 제공되며, 제2 구역(14.2)은 제1구역(14.1)에 통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2 구역(14.2)은 제1구역(14.1)에 완전히 통합되어 제공된다.
제1 및 제2 구역(14.1, 14.2)는 절단된 원통형 제3 구역(14.3)을 완전히 둘러싼다.
도 4a 내지 4 e는 제2 판유리 요소(12)를 따라 제2 인쇄 영역(15)를 설계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제2 인쇄 영역(15)의 제1, 제2 및 제3 구역(15.1, 15.2, 15.3)의 설계와 관련하여, 제1 인쇄 영역(14)에 대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옵션들이 적용 가능하다.
도 4a에 따르면, 제1 구역(15.1)은 연속적인 흑색 인쇄로 설계되며, 제3 구역(15.3)은 인쇄되지 않으므로 투명하다.
제2 구역(15.2)는 제1 구역(15.1)에 통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2 구역들(14.2, 15.2)는 각각의 경우 필요에 따라 제1 구역들(14.1, 15.2)과 동일하게 설계 또는 거기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전이 영역은 제1 및 제3구역(14.1, 14.3, 15.1, 15.3) 사이에,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투명한 제3 구역(14.3, 15.3)을 갖는 경계를 직접적으로 따라서 제2 구역(14.2, 15.2)으로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인쇄 영역(14, 15)의 개별적이고 편리한 설계에 제1, 제2 및 3 구역들(14.1, 14.2, 14.3, 15.1, 15.2, 15.3)이 제공되는데, 이는 특히 광학 센서의 시야 영역(16)의 광학 효과들의 보상을 위한 판유리 요소들의 집단(11), (12)의 적합한 조합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다.
도 4b에 따르면, 제1 구역은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 인쇄되며, 개별 요소들은 원형이다.
제2 구역(15.2)는 제1 구역(15.1)에 통합된 것으로 도시되어있다.
도 4c에서, 제2구역(15.2)는 마찬가지로 제1구역(15.1)에 통합된 것으로 제공된다.
제1 구역(15.1)은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서 설계되며, 개별 요소들은 육각형 형상을 갖는다.
도 4c에 따르면, 제1 구역(15.1)에 그라디언트 패턴(gradient pattern)이 제공된다.
그라디언트 패턴은 육각형 개별 요소들의 다양한 크기의 형태로 구현된다. 특히, 육각형 개별 요소들의 크기는 제3구역(15.3)의 편평한 절단된 원통형 단부로부터 절단된 원통형 제3구역(15.3)의 테이퍼링(tapering) 단부 방향의 코스를 따라 변한다.
개별 요소들의 단순하고 균일하게 설계된 패턴 대신에, 그라디언트 패턴이 본 발명의 의미에서 항상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개별 요소들의 크기, 패턴의 모양, 개별 요소들 사이의 거리 또는 비교 가능한 인쇄 특성들(features)이 변경될 수 있다.
도 4d에서, 제2인쇄 영역(15)의 제1 구역(15.1)은 제 3구역(15.3)과 동일하게 인쇄되지 않거나 투명하게 형성된다.
제2 구역(15.2)는 제3 구역(15.3)을 완전히 프레임화(frames)한다. 제2 구역(15.2)는 정사각형 개별 요소들로 만들어진 원주 그라디언트 패턴으로 설계된다.
그라디언트 패턴은 특히 개별 요소들의 열들(rows)이 제3 구역(15.3)의 둥근 모서리를 따라 펼쳐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3 구역(15.3)의 둥근 모서리를 따라, 제2 구역(15.2) 내에 개별 요소들의 밀도가 더 낮은 곳이 있다.
도 4e에 따르면, 제1 구역(15.1)은 균일한 원형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 인쇄되거나 설계된다.
제2 구역(15.2)이 절단된 원통형 제3 구역(15.3)의 편평한 측 단부를 따라 개별 요소들의 그라디언트 패턴으로서 제공된다.
개별 요소들은 실질적으로 원형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며, 개별 요소들은 중첩된다. 부분적으로 구불 구불한 패턴이 얻어진다.
제3 구역(15.3)의 뭉툭하거나 편평한측 단부 외에, 제2 구역(15.2)은 제1 구역(15.1)에서와 같이 통합되거나 그것과 동일하게 설계된다. 따라서 도 4e에 따르면, 제2구역(15.2)은 제3구역(15.3)으로부터 격리되어 뭉툭한 또는 편평한 측 단부에서만 대비된다.
제3 구역들(14.3, 15.3)은 차량 운전자, 광학 센서 등이 투명한 제3 영역(15.3)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항상 제1 또는 제2 인쇄 영역들(14, 15)의 투명 섹션으로 한정되거나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구체적으로 설계된 제1 및 제2 인쇄 영역들(14, 15)의 조합은 개별 판유리 요소들(11, 12)의 광학 효과 또는 특성을 보상하기 위해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들(11), (12)를 배열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제2 구역(14.2, 15.2)은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3 구역들(14.1, 14.3, 15.1, 15.3) 사이의 전이 영역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하나의 센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에 유리한 광학 특성을 갖는 차량 판유리(10)가 제공될 수 있다.
10 차량 판유리
11 제1 판유리 요소
11.1 제1 판유리 면
11.2 제2 판유리 면
12 제2 판유리 요소
12.3 제3 판유리 면
12.4 제4 판유리 면
14 제1 인쇄 영역
14.1 제1 구역(제1 인쇄 영역의)
14.2 제2 구역(제1 인쇄 영역의)
14.3 제3 구역(제1 인쇄 영역의)
15 제2 인쇄 영역
15.1 제1 구역(제2 인쇄 영역의)
15.2 제2 구역(제2 인쇄 영역의)
15.3 제3 구역(제2 인쇄 영역의)
16 시야 영역

Claims (12)

  1. 차량 판유리(10)가 제1 판유리 면(11.1), 제2 판유리 면(11.2), 제3 판유리 면(12.3) 및 제4 판유리 면(12.4)을 갖도록 서로 표면 대 표면으로 결합된 제1 판유리 요소(11) 및 제2 판유리 요소(12)를 갖는 차량 판유리(10)에서, 제2 판유리 면(11.2)은 제1 인쇄 영역(14)을 갖고 제3 또는 제4 판유리 면(12.3, 12.4)은 차량 판유리 (10)을 따라 시야 영역(16)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인쇄 영역(15)을 가지며, 제1 및 제2 인쇄 영역들(14, 15)의 각각은 제1, 제2 및 제3 구역(14.1, 14.2, 14.3, 15.1, 15.2, 15.3)으로 설계되며,
    여기서 제1 인쇄 영역(14)의 제1 구역(14.1) 또는 제2 구역(14.2) 또는 제1 구역(14.1) 및 제2 구역(14.2) 모두가, 또는 제2 인쇄 영역(15)의 제1 구역(15.1) 또는 제2 구역(15.2) 또는 제1 구역(15.1) 및 제2 구역(15.2) 모두가
    또는
    제1 인쇄 영역(14)의 제1 구역(14.1) 또는 제2 구역(14.2) 또는 제1 구역(14.1) 및 제2 구역(14.2) 모두가, 제2 인쇄 영역(15)의 제1 구역(15.1) 또는 제2 구역(15.2) 또는 제1 구역(15.1) 및 제2 구역(15.2) 모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쇄되고,
    제3 구역들(14.3, 15.3)은 모든 경우에 인쇄되지 않으며,
    제2 구역들(14.2, 15.2)의 각각은 제1 인쇄 영역(14)의 광학 왜곡이 제2 인쇄 영역(15)의 광학 왜곡에 의해 보상될 수 있도록 제1 구역(14.1, 15.1) 및 제3 구역(14.3, 15.3) 사이에 전이 영역으로서 구현되며, 및
    제1 인쇄 영역(14)에서 제1 판유리 요소(11)의 광학 특성으로서의 굴절력은 제2 인쇄 영역(15)에서 제2 판유리 요소(12)의 광학 특성으로서의 굴절력에 의해 보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유리(10).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인쇄 영역(14)의 제1 구역(14.1)은 흑색 인쇄에 의해 연속적으로 인쇄되거나 또는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유리(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인쇄 영역(14)의 제2 구역 (14.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쇄된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유리(1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인쇄 영역(15)의 제1 구역(15.1)이 연속적으로 인쇄되거나 또는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 인쇄되거나 또는 인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유리(10).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인쇄 영역(15)의 제2 구역(15.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별 요소들의 패턴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유리(1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인쇄 영역(14)의 제1 구역(14.1) 또는 제2 구역(14.2) 또는 제1 구역(14.1) 및 제2 구역(14.2) 모두가, 또는 제2 인쇄 영역(15)의 제1 구역(15.1) 또는 제2 구역(15.2) 또는 제1 구역(15.1) 및 제2 구역(15.2) 모두가
    또는
    제1 인쇄 영역(14)의 제1 구역(14.1) 또는 제2 구역(14.2) 또는 제1 구역(14.1) 및 제2 구역(14.2) 모두가, 제2 인쇄 영역(15)의 제1 구역(15.1) 또는 제2 구역(15.2) 또는 제1 구역(15.1) 및 제2 구역(15.2) 모두가
    부분적으로 인쇄되지 않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유리(1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인쇄 영역(15)의 제1 구역(15.1) 또는 제2 구역(15.2) 또는 제1 구역(15.1) 및 제2 구역(15.2) 모두의 개별 요소들의 패턴이 그라디언트 패턴(gradient patter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유리(10).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인쇄 영역(14)의 제1 및 제2 구역들(14.1, 14.2)은 흑색 인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유리(10).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인쇄 영역(14) 및 제2 인쇄 영역(15) 각각은 스크린 인쇄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유리(10).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별 요소들로 만들어진 인쇄 패턴을 위한 개별 요소들은 원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 또는 육각형 또는 팔면체의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판유리(10).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차량 판유리(10)을 갖는 차량.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차량 판유리(10)를 생산하는 방법에서, 제1 인쇄 영역(14)의 제2 구역(14.2) 또는 제2 인쇄 영역(15)의 제2 구역(15.2), 또는 제1 인쇄 영역(14) 및 제2 인쇄 영역(15)의 제2 구역들(14.2, 15.2)이 제1 구역(14.1, 15.1) 및 제3 구역(14.3, 15.3) 사이에 전이 영역으로 구현되어 제1 인쇄 영역(14)의 광학 왜곡이 제2 인쇄 영역(15)의 광학 왜곡에 의해 보상되도록 하는 차량 판유리(10)의 생산 방법.
KR1020237010828A 2018-01-11 2018-11-21 차량 판유리,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KR102637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51114 2018-01-11
EP18151114.8 2018-01-11
KR1020207022986A KR20200105516A (ko) 2018-01-11 2018-11-21 차량 판유리,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PCT/EP2018/082005 WO2019137674A1 (de) 2018-01-11 2018-11-21 Fahrzeugscheibe,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986A Division KR20200105516A (ko) 2018-01-11 2018-11-21 차량 판유리,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568A KR20230044568A (ko) 2023-04-04
KR102637437B1 true KR102637437B1 (ko) 2024-02-15

Family

ID=610941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828A KR102637437B1 (ko) 2018-01-11 2018-11-21 차량 판유리,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07022986A KR20200105516A (ko) 2018-01-11 2018-11-21 차량 판유리,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986A KR20200105516A (ko) 2018-01-11 2018-11-21 차량 판유리,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1312110B2 (ko)
EP (1) EP3737558B1 (ko)
JP (1) JP7071509B2 (ko)
KR (2) KR102637437B1 (ko)
CN (1) CN110248804B (ko)
BR (1) BR112020011543B1 (ko)
ES (1) ES2898363T3 (ko)
HU (1) HUE056438T2 (ko)
MA (1) MA51546B1 (ko)
MX (1) MX2020007471A (ko)
PE (1) PE20201131A1 (ko)
PL (1) PL3737558T3 (ko)
RU (1) RU2747406C1 (ko)
WO (1) WO2019137674A1 (ko)
ZA (1) ZA2020034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0483B1 (de) 2017-05-24 2021-10-27 Saint-Gobain Glass France Verbundscheib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verbundscheibe
WO2019137674A1 (de) 2018-01-11 2019-07-18 Saint-Gobain Glass France Fahrzeugscheibe,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WO2019147605A1 (en) * 2018-01-24 2019-08-01 Carlex Glass America, Llc Glazing having a frame for a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CN112533883A (zh) * 2018-08-09 2021-03-19 Agc株式会社 玻璃、夹层玻璃
GB201904203D0 (en) 2019-03-26 2019-05-08 Pikington Group Ltd Laminated glazing and process
DE102019112454A1 (de) * 2019-05-13 2020-11-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Glasscheibe für ein Fahrzeug, Scheiben-Sensor-Einheit und Fahrzeug
WO2021209433A1 (de) 2020-04-15 2021-10-21 Saint-Gobain Glass France Scheibe mit elektrisch beheizbarem kommunikationsfenster für sensoren und kamerasysteme
WO2022136102A1 (de) 2020-12-21 2022-06-30 Saint-Gobain Glass France Verglasung mit elektrisch beheizbarem kommunikationsfenster für sensoren und kamerasyste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447A (ja) * 2000-06-07 2001-12-25 Central Glass Co Ltd セラミック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遮光膜付き窓ガラス
WO2017110782A1 (ja) 2015-12-25 2017-06-2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JP2017122022A (ja) * 2016-01-06 2017-07-13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7373C1 (ru) * 1990-09-13 1994-02-15 Воробьев Александр Андреевич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ветрового стекла триплекс
DE4132652C2 (de) * 1991-10-01 1995-04-27 Flachgla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infachgekrümmten oder einer doppeltgekrümmten Verbundglasscheib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H11335141A (ja) * 1998-05-22 1999-12-07 Nippon Sheet Glass Co Ltd グラデーションを有する着色膜付きガラス板
EP0997266A1 (en) 1998-10-30 2000-05-03 SOCIETA' ITALIANA VETRO - SIV - S.p.A. Glazing panels
DE202005021791U1 (de) 2005-04-09 2010-03-11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bundscheibe
GB0512077D0 (en) * 2005-06-14 2005-07-20 Pilkington Plc Glazing
US20090257141A1 (en) 2005-10-31 2009-10-15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Bent Glass Sheet With Light-Shielding Film for Vehicles
GB0620709D0 (en) 2006-10-19 2006-11-29 Pilkington Group Ltd Automotive glazings
GB0705120D0 (en) 2007-03-16 2007-04-25 Pilkington Group Ltd Vehicle glazing
PL2964585T3 (pl) * 2013-03-07 2020-05-18 Saint-Gobain Glass France Szyba powlekana z obszarami częściowo niepowlekanymi
CN106103158B (zh) 2014-03-14 2018-11-0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挡风玻璃
WO2015170771A1 (ja) 2014-05-08 2015-11-1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ウインドシールド
GB201415163D0 (en) * 2014-08-27 2014-10-08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glazing
JP2016107755A (ja) 2014-12-04 2016-06-2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ウインドシールド及び車載システム
US9623634B2 (en) * 2015-02-19 2017-04-18 Agp America S.A. Obscuration having superior strength and optical quality for a laminated automotive windshield
CN113548806B (zh) * 2015-10-23 2022-11-11 皮尔金顿集团有限公司 制造窗玻璃的方法,和由此生产的窗玻璃
CN107107571A (zh) * 2015-12-16 2017-08-29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薄内板和薄外板的可加热的复合玻璃
FR3046375A1 (fr) * 2015-12-30 2017-07-07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JP6587961B2 (ja) 2016-03-15 2019-10-0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US10773496B2 (en) * 2017-07-26 2020-09-15 AGC Inc. Laminated glass for vehicle
CN111372773B (zh) 2017-09-29 2023-12-08 Agp美洲股份公司 具有高强度和优异光学质量且带薄嵌体遮蔽物的夹层玻璃
WO2019137674A1 (de) 2018-01-11 2019-07-18 Saint-Gobain Glass France Fahrzeugscheibe,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447A (ja) * 2000-06-07 2001-12-25 Central Glass Co Ltd セラミック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遮光膜付き窓ガラス
WO2017110782A1 (ja) 2015-12-25 2017-06-2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JP2017122022A (ja) * 2016-01-06 2017-07-13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7674A1 (de) 2019-07-18
HUE056438T2 (hu) 2022-02-28
KR20230044568A (ko) 2023-04-04
JP2021510352A (ja) 2021-04-22
US11312110B2 (en) 2022-04-26
EP3737558A1 (de) 2020-11-18
BR112020011543A2 (pt) 2020-11-17
JP7071509B2 (ja) 2022-05-19
BR112020011543B1 (pt) 2023-05-09
KR20200105516A (ko) 2020-09-07
MA51546B1 (fr) 2021-11-30
ZA202003455B (en) 2021-07-28
RU2747406C1 (ru) 2021-05-04
MA51546A (fr) 2021-04-14
EP3737558B1 (de) 2021-10-27
ES2898363T3 (es) 2022-03-07
PE20201131A1 (es) 2020-10-26
MX2020007471A (es) 2020-09-14
CN110248804A (zh) 2019-09-17
PL3737558T3 (pl) 2022-01-24
US20200398536A1 (en) 2020-12-24
CN110248804B (zh)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7437B1 (ko) 차량 판유리,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US10773496B2 (en) Laminated glass for vehicle
CN111372773B (zh) 具有高强度和优异光学质量且带薄嵌体遮蔽物的夹层玻璃
US20230227004A1 (en) Laminated glass
JP7372148B2 (ja) 積層板ガラス
US8075983B2 (en) Laminated glass for vehicle
US3597050A (en) Transparent article having modified radiation-transmitting properties
US20240042833A1 (en) Automobile laminated glass
CN110944836A (zh) 具有不透明聚合物薄膜的车辆-复合玻璃板
CN115835960A (zh) 具有带有不透明印刷物的功能膜的复合玻璃板
CN113748017B (zh) 层压窗玻璃和工艺
CN117321017A (zh) 夹层玻璃、平视显示系统
JP2008087702A (ja) 車両用窓ガラス、車両用窓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版
CN116766891A (zh) 车辆挡风玻璃及车辆
JP4256991B2 (ja) 樹脂製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樹脂製窓を用いた自動車
DE202022002840U1 (de) Verbundscheibe mit Funktionsfolie und Kamerafenster
CN117565639A (zh) 车窗玻璃与车辆
CN114929475A (zh) 用于平视显示器的复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