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129B1 - 청력 손상 방어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력 손상 방어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129B1
KR102636129B1 KR1020177024619A KR20177024619A KR102636129B1 KR 102636129 B1 KR102636129 B1 KR 102636129B1 KR 1020177024619 A KR1020177024619 A KR 1020177024619A KR 20177024619 A KR20177024619 A KR 20177024619A KR 102636129 B1 KR102636129 B1 KR 10263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u
composition
arg
treating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072A (ko
Inventor
김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김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김상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Publication of KR20170115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5Transferases (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7/00Transferases transferring phosphorus-containing groups (2.7)
    • C12Y207/07Nucleotidyltransferases (2.7.7)
    • C12Y207/07049RNA-directed DNA polymerase (2.7.7.49), i.e. telomerase or reverse-transcript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력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텔로머라제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이독성 약물에 의한 청력 손상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의 서열을 갖는 펩티드 또는 상기 서열과 80%의 상동성을 갖는 서열을 갖는 펩티드 또는 단편인 펩티드는 이독성 약물에 의한 청력 손상 및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청력 손상 방어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본 발명은 청력 손상 방어 효능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텔로머라제로부터 유래된 펩티드로서, 이독성 약물에 의한 청력 손상 방어 효능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력 손상 방어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귀의 해부학적 구조는 외이, 중이 및 내이로 세부 구분되며, 내이는 청각을 위한 와우 (cochlea)와 평형감각을 위한 전정 (vestibule) 및 삼반규반 (semicircular canals)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청신경이 연결된 구조이다.
청력 손상은 외이, 중이 또는 내이 중 하나 또는 다수의 부분에 손상이 생긴 결과이다. 청력 손상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다. 첫 번째 가장 흔한 유형은 감각신경성 청력손실로써 내이를 구성하고 있는 와우 내의 청각세포(유모 세포, hair cell)가 손실 또는 손상된 결과로 발생한다. 두 번째, 전음성 청력상실은 외이나 중이에 문제가 있어서 소리가 적합하게 내이로 전도되지 못하는 경우이다. 세 번째, 혼합성 청력 손실은 감각신경성 및 전음성 청력 손실이 복합된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신경성 청력손실은 청신경이 뇌에 소리 신호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독성이란 치료제 혹은 화학물질로 인하여 내이, 즉 청력 및 전정기능의 말초기관과 신경조직의 기능장애 및 조직세포의 퇴행성 변화가 오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와 백금계 항암제는 반복적인 투여에 의해 신장과 내이에 치명적인 독성을 보이는데 대개의 경우 신독성은 가역적인 경우가 많지만 이독성은 영구적으로 나타난다. 효과면에서 탁월한 약물들이 이러한 독성 때문에 약물처방으로 인한 효과가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와 백금계 항암제의 부작용을 감수할 만큼 심각하지 않다면 일차적으로 처방되지 못하고 있다. 이독성약물에 의한 세포사멸의 기전이 조금씩 밝혀지며 ROS의 중화, 세포사멸 효소의 억제, 항염, 향신경물질 처치 등의 방법으로 유모세포를 보호하여 청력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시도와 연구가 이어져 왔으나 약물자체의 독성과 내이까지 전달방법의 어려움으로 임상적용은 미미한 실정이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의 이독성은 약물이 내이에 흡수되고 내이 유모세포에 축적되며 진행된다.
푸로세미드(furosemide)는 이뇨작용을 촉진하는 이뇨제의 일종으로 울혈성 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고혈압 환자 등에게 사용된다. 강력한 이뇨작용을 보이며, 임신 중독증, 복수, 말초 혈관성 부종에도 사용되지만, 다량 투여 또는 장기 투여시 전해질 불균형, 급성 저혈압을 일으키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에 더하여, 푸로세미드는 청각장애, 이명 또는 난청을 일으키는 것으로도 보고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이독성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위험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독성 약제의 투여용량이 많을수록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이독성의 가능성은 높아지나 환자의 연령(특히 65세 이상의 고령), 같이 투여하고 있는 이독성 약제, 과거 이독성 약제의 사용여부, 과거 소음 노출 여부, 기존의 청각 및 평형질환, 신기능저하, 간기능, 발열, 저혈량증, 균혈증 등도 이독성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독성 유발 동물 모델에서 텔로머라제 유래 펩타이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텔로머라제 유래 펩타이드의 이독성에 대한 청력 및 내이 손상 방지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이는 내이 손상이 이독성 약물, 소음, 저산소증과 같은 스트레스에 의해 이루어지고 유모세포 손상의 최종 기전은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사멸이므로 텔로머라제 유래 펩타이드가 내이 손상에 대한 보호뿐 아니라 손상된 내이의 회복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어, 손상된 내이 회복 및 치료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부작용 없는 청력 손상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단편인 펩티드를 포함하는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단편은 3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청력 손상은 이독성 약물의 투여 또는 이독성 약물 치료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독성 약물은 살리실산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항생제, 이뇨제, 화학치료제, 퀴닌, 점막보호제, 항암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이며, 상기 항암제는 백금계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는 카나마이신이며, 상기 백금계 항암제는 시스플라틴 또는 카보플라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뇨제는 푸로세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청력 손상은 내이의 말초기관 및 신경조직의 퇴행성 변화에 따른 난청 및 이명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력 손상 의 치료 및 예방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설명서를 포함하는 청력 손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키트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는 상기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청력 손상에 있어, 상기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단편인 펩티드의 용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으로 청력 손상 보호가 가능한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청력 손상 치료 및 예방에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이독성 약물로 인한 청력 손상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펩티드(PEP1) 또는 상기 서열과 80%의 상동성을 갖는 서열을 갖는 펩티드 또는 단편인 펩티드는 청력 손상 치료 및 예방 효능을 가진다.
도 1 은 카나마이신을 투여한 이독성 동물 모델의 와우 조직의 첨부(Apical turn), 중간부(Middle turn), 기저부(Basal turn)에서 유모세포의 사진이다.
도 2 는 카나마이신과 PEP1을 함께 투여한 동물 모델의 와우 조직의 첨부, 중간부, 기저부에서 유모세포의 사진이다.
도 3 은 카나마이신을 투여한 군과, 카나마이신과 PEP1을 함께 투여한 군의 첨부, 중간부, 기저부별 유모세포수를 계수(count)하여 비율로 나타낸 것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는 카나마이신을 투여한 이독성 동물 모델에서 동결절편으로 얻은 와우와 팽대부 조직의 H&E 염색 사진이다.
도 5 는 카나마이신과 PEP1을 함께 투여한 동물 모델에서 동결절편으로 얻은 와우와 팽대부 조직의 H&E 염색 사진이다.
도 6 은 카나마이신을 투여한 군과, 카나마이신 및 농도별 PEP1을 함께 투여한 군의 각각의 주파수대별 청성뇌간반응검사(ABR)를 통한 청력 소실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은 PEP1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및 농도별 PEP1을 하루 2번, 매일 2주간 처치한 군들의 와우 조직의 유모세포 사진이다.
도 8 은 PEP1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동결절편으로 얻은 와우와 팽대부 조직의 H&E 염색 사진이다.
도 9 는 PEP1을 농도별로 투여한 각 실험군에서 동결절편으로 얻은 와우와 팽대부 조직의 H&E 염색 사진이다.
도 10은 이독성 약물인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마이드를 투여한 이독성 동물모델을 가지고 실험 D1 및 D3 일정으로 진행한 실험의 약물 투여 및 청성뇌간반응검사의 일정을 나타낸 프로토콜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험 D1의 일정에 따라 이독성 동물 모델에 PEP1을 투여한 실험군 1,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투여한 실험군 2 및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1의 주파수별 청력변화를 이독성 약물 투여 전, 약물 투여 후 7일, 약물 투여 후 14일에 청성뇌간반응검사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험 D3의 일정에 따라 이독성 동물 모델에 PEP1을 투여한 실험군 3,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실험군 4 및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2의 주파수별 청력변화를 이독성 약물 투여 전, 약물 투여 후 7일, 약물 투여 후 14일에 청성뇌간반응검사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험 D1 및 D3의 일정에 따라 이독성 동물 모델에 PEP1을 투여한 실험군 1 및 실험군 3의 주파수별 청력변화를 이독성 약물 투여 전, 약물 투여 후 7일, 약물 투여 후 14일에 청성뇌간반응검사로 측정하여 비교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험 D1의 일정에 따라 이독성 동물 모델에 PEP1을 투여한 실험군 1,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실험군 2 및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1의 조직검사를 수행하여 와우의 기저부(Basal), 중간부(Mid), 첨부(Apex)의 유모세포 생존력(viability)을 공초점 스캔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15는 실험 D3의 일정에 따라 이독성 동물 모델에 PEP1을 투여한 실험군 3,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실험군 4 및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2의 조직검사를 수행하여 와우의 기저부, 중간부, 첨부의 유모세포 생존력을 공초점 스캔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16은 실험 D1의 일정에 따라 이독성 동물 모델에 PEP1을 투여한 실험군 1,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실험군 2 및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1의 조직검사를 수행하여 와우의 기저부, 중간부, 첨부의 정상유모세포 비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실험 D3의 일정에 따라 이독성 동물 모델에 PEP1을 투여한 실험군 3,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실험군 4 및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2의 조직검사를 수행하여 와우의 기저부, 중간부, 첨부의 정상유모세포 비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실험 D1 및 D3의 일정에 따라 이독성 동물 모델에 PEP1을 투여한 실험군 1 및 실험군 3의 조직검사를 수행하여 와우의 기저부, 중간부, 첨부의 정상유모세포 비율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텔로미어(telomere)는 염색체의 말단에 반복적으로 존재하는 유전 물질로서, 해당 염색체의 손상이나 다른 염색체와의 결합을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텔로미어의 길이는 조금씩 짧아지는데, 일정한 횟수 이상의 세포 분열이 있게 되면 텔로미어는 매우 짧아지고, 그 세포는 분열을 멈추고 죽게 된다. 반면 텔로미어를 길게 하면 세포의 수명이 연장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예로 암세포에서는 텔로머라제(telomerase)라는 효소가 분비되어 텔로미어가 짧아지는 것을 막기 때문에, 암세포가 죽지 않고 계속 증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텔로머라제로부터 유래되는 펩티드가 혈관신생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펩티드는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99%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펩티드는, 서열번호 1을 포함하는 펩티드 또는 그 단편들과 1개 이상의 아미노산, 2개 이상의 아미노산, 3개 이상의 아미노산, 4개 이상의 아미노산, 5개 이상의 아미노산, 6개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7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변화된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아미노산 변화는 펩티드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변경되도록 하는 성질에 속한다. 예를 들어, 펩티드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기질 특이성을 변경시키고, 최적의 pH를 변화시키는 등의 아미노산 변화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열 번호 1의 서열을 갖는 펩티드, 서열 번호 1의 서열의 단편인 펩티드 또는 상기 펩티드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는 세포 내 독성이 낮고, 생체 내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의 서열번호 1은 텔로머라제 유래 펩티드로서 하기와 같이 1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티드이다.
서열 번호 1에 기재된 펩티드는 아래 표 1과 같다. 아래 표 1의 "이름"은 펩티드를 구별하기 위해 명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서열 번호 1에 기재된 펩티드는 인간 텔로머라제의 전체 펩티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서열 번호 1의 서열을 갖는 펩티드, 서열 번호 1의 서열의 단편인 펩티드 또는 상기 펩티드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는 텔로머라제에 포함된 펩티드 중 해당 위치의 펩티드를 선별해 합성한 "합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서열번호 2는 전체 텔로머라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7084928700-pct00001
본 발명의 실험에서 사용된 카나마이신(kanamycin)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이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는 투여량의 3%만이 위장에서 흡수되므로 주사로 투여되며, 투여된 약물은 대부분이 신장의 사구체 여과를 거쳐 소변으로 배설되고, 신부전시에는 배설이 감소되고 내이의 외림프액 내에 과다하게 축적되어 신독성과 같이 이독성이 유발되기 쉽다. 카나마이신은 상세히는 네오마이신(neomycin), 아미카신(amikacin), 시소마이신(sisomycin), 리보도마이신(livodomycin)들과 함께 초기에 와우 기저 회전부의 외유모세포를 파괴하고 투여가 계속됨에 따라 첨단부로 파괴부위를 확대하는 와우 독성 제재이다.
본 발명의 실험에서 사용된 푸로세미드(furosemide)는 이뇨제로서 몸안에 불필요하게 축적된 수분과 염을 제거하여 고혈압이나 부종을 치료할 때 사용한다. 푸로세미드는 고용량의 사용, 저단백혈증 등이 있는 경우, 다른 이독성 약물과의 병용의 경우에 이명, 청각 손상, 난청 사례가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실험에서 사용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은 합성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제로서, 항염제, 면역억제제로 사용된다. 다양한 염증질환의 치료 및 면역억제제로 사용되며, 이명, 청력손상, 전정기관 이상증세에도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과도한 투여시 면역 작용을 과하게 억제하며, 눈 또는 귀의 진균감염 질환 환자에게는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험에서 청력 손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청성뇌간반응검사(ABR, Auditory brainstem response)는 소리 자극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뇌의 중추부로부터 나오는 뇌파를 평균 가산하여 청력의 역치값을 판정하는 정밀청력검사이다. 역치값이 증가할수록 청력이 손상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comprising) 펩티드,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단편인 청력 손실 치료 효능을 가지는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청력 손실 치료 효능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단편인 펩티드를 0.01g/L 내지 1kg/L, 구체적으로 0.1g/L 내지 100g/L, 더 구체적으로 1g/L 내지 10g/L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용량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 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또는 그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인간, 개, 닭, 돼지, 소, 양, 기니아피그 또는 원숭이를 포함하는 모든 동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조성물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comprising) 펩티드,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단편인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직장,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골수 내, 경막 내 또는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은 정제, 환제, 연질 또는 경질 캅셀제, 과립제, 산제, 액제 또는 유탁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은 주사제, 점적제, 로션, 연고, 겔, 크림, 현탁제, 유제, 좌제, 패취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희석제, 부형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완충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착색제, 향료 또는 감미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10ng/kg/일 내지 100g/kg/일, 구체적으로는 0.1㎍/kg/일 내지 10g/kg/일, 더 구체적으로는 1㎍/kg/일 내지 1g/kg/일,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2㎍/kg/일 내지 10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용량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 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1일 1회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조성물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comprising) 펩티드,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단편인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액제, 고형 제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특정 구체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의도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명사 앞에 개수가 생략된 용어는 수량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언급된 명사 물품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용어 "포함하는", "갖는", 및 "함유하는"은 열린 용어로 해석된다(즉,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의 의미).
수치의 범위를 언급하는 것은 단지 그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별개의 수치들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것을 대신하는 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며, 그것이 아님이 명시되어 있지 않는, 각 별개의 수치는 마치 개별적으로 명세서에 언급되어 있는 것처럼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모든 범위의 끝 값들은 그 범위 내에 포함되며 독립적으로 조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방법들은 달리 명시되어 있거나 문맥에 의해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어느 한 실시예 및 모든 실시예 또는 예시적 언어 (예컨대, "~과 같은")를 사용하는 것은, 청구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한,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기술하기 위함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명세서의 어떤 언어도 어떤 비청구된 구성요소를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에 의해 통상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발명자에게 알려진 가장 최적의 모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들의 변이들이 앞선 기재를 읽으면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당업자들이 그러한 변이를 적절히 이용하길 기대하고, 발명자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본 발명이 실시되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법에 의해 허용되는 것과 같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언급된 발명의 요지의 균등물 및 모든 변형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모든 가능한 변이들 내에서 상기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어떤 조합이라도 여기서 반대로 명시하거나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내어지고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은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형태 및 디테일에서 다양한 변화가 행해질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실시예 1: 펩티드의 합성
서열번호 1의 펩티드(이하 "PEP 1"이라 함)를 종래에 알려진 고상 펩티드 합성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펩티드들은 ASP48S(Peptron, Inc., 대한민국 대전)를 이용하여 Fmoc 고상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을 통해 C-말단부터 아미노산 하나씩 커플링함으로써 합성하였다. 다음과 같이, 펩티드들의 C-말단의 첫번째 아미노산이 수지에 부착된 것을 사용하였다. 예컨대 다음과 같다:
NH2-Lys(Boc)-2-chloro-Trityl Resin
NH2-Ala-2-chloro-Trityl Resin
NH2-Arg(Pbf)-2-chloro-Trityl Resin
펩티드 합성에 사용한 모든 아미노산 원료는 N-term이 Fmoc으로 보호(protection)되고, 잔기는 모두 산에서 제거되는 Trt, Boc, t-Bu (t-butylester), Pbf (2,2,4,6,7-pentamethyl dihydro-benzofuran-5-sulfonyl) 등으로 보호된 것을 사용하였다. 예컨대 다음과 같다:
Fmoc-Ala-OH, Fmoc-Arg(Pbf)-OH, Fmoc-Glu(OtBu)-OH, Fmoc-Pro-OH, Fmoc-Leu-OH, Fmoc-Ile-OH, Fmoc-Phe-OH, Fmoc-Ser(tBu)-OH, Fmoc-Thr(tBu)-OH, Fmoc-Lys(Boc)-OH, Fmoc-Gln(Trt)-OH, Fmoc-Trp(Boc)-OH, Fmoc-Met-OH, Fmoc-Asn(Trt)-OH, Fmoc-Tyr(tBu)-OH, Fmoc-Ahx-OH, Trt-Mercaptoacetic acid.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으로는 HBTU[2-(1H-Benzotriazole-1-yl)-1,1,3,3-tetamethylaminium hexafluorophosphate] / HOBt [N-Hydroxxybenzotriazole] /NMM [4-Methylmorpholine] 를 사용하였다. Fmoc 제거는 20%의 DMF 중 피페리딘(piperidine in DMF)을 이용하였다. 합성된 펩티드를 Resin에서 분리 및 잔기의 보호기 제거에는 절단 칵테일(Cleavage Cocktail) [TFA (trifluoroacetic acid) /TIS (triisopropylsilane) / EDT (ethanedithiol) / H2O=92.5/2.5/2.5/2.5] 를 사용하였다.
아미노산 보호기가 결합된 출발 아미노산이 고상 지지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이용하여 여기에 해당 아미노산들을 각각 반응시키고 용매로 세척한 후 탈보호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각 펩티드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펩티드를 수지로부터 끊어낸 후 HPLC로 정제하고, 합성 여부를 MS로 확인하고 동결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펩티드에 대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결과, 모든 펩티드의 순도는 95% 이상이었다.
펩티드 PEP 1 제조에 관한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커플링
NH2-Lys(Boc)-2-chloro-Trityl Resin 에 보호된 아미노산(8당량)와 커플링 시약 HBTU(8당량)/HOBt(8당량)/NMM(16당량) 을 DMF에 녹여서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고 DMF, MeOH, DMF순으로 세척하였다.
2) Fmoc 탈보호
20%의 DMF 중의 피페리딘(piperidine in DMF) 을 가하고 상온에서 5분 간 2회 반응하고 DMF, MeOH, DMF순으로 세척하였다.
3) 1과 2의 반응을 반복적으로 하여 펩티드 기본 골격 NH2-E(OtBu)-A-R(Pbf)-P-A-L-L-T(tBu)-S(tBu)-R(Pbf)L-R(Pbf)-F-I-P-K(Boc)-2-chloro-Trityl Resin)을 만들었다.
4) 절단(Cleavage): 합성이 완료된 펩티드 Resin에 절단 칵테일(Cleavage Cocktail) 을 가하여 펩티드를 Resin에서 분리하였다.
5) 얻어진 mixture에 Cooling diethyl ether를 가한 후,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펩티드를 침전시킨다.
6) Prep-HPLC로 정제 후, LC/MS로 분자량을 확인하고 동결하여 powder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독성 약물에 의한 청력 손상에 대한 PEP1의 효능 확인
실험 동물 및 주사제 준비
실험을 위하여C57/BL6 생쥐를 (4주-6주령, 몸무게 15-25g, 수컷) 준비하였다. 이독성 약물로 카나마이신 설페이트(sulfate) 형태의 카나마이신을 40mg/ml의 농도로 식염수 용액에 용해하여 800mg/kg 주사 투여용 제제로 준비하고,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합성된 펩타이드인 PEP1은 10ml PBS 당 100mg의 농도로 용해하여 주사 투여용 제제로 준비하였다.
이독성 약물 투여 및 이독성 약물과 PEP1 투여 실험군의 분류
이독성 약물인 카나마이신과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인 PEP1을 다음과 같이 실험군을 나누어 준비된 실험 동물에 투여하였다.
실험군 1: 카나마이신 800 mg/kg S.C. (피하주사) + 식염수 (saline) 0.1 ml/10g 마우스 I.P. (복강주사)
실험군 2: 카나마이신 800 mg/kg S.C. + PEP1 10mg/kg I.P.
상기 실험군별로 각각의 투여량을 하루 2회 14일간 주사하였다.
조직 검사
실험을 시작한지 3주째에 마우스를 안락사 시킨 후 혈액을 채취하고 0.1M 인산염 완충 식염수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희석한 4% 파라포름알데히드 (paraformaldehyde, pH 7.4)를 이용하여 관류고정하고 장기(측두골)를 채취하였다.
와우와 전정의 전반적인 구조를 보기 위해 4℃에서 24시간동안 4% 파라포름알데히드(pH 7.4)에 고정시킨 후, 0.135M EDTA에 3일 동안 두어 탈회(decalcification)을 시켰다. 동결 포매제 (Optimal cutting temperature compound, OCT compound)를 이용하여 조직 블록을 만든 후 -80℃에 보관 후 슬라이드를 만들어서 H&E 염색하였다.
좌측 측두골은 정량분석을 위해 와우의 전량(whole mount)을 준비한다. 미세기구 및 현미경을 이용하여 와우의 골성미로 (bony labyrinth)를 막성 미로 (membraneous labyrinth)로부터 조심스럽게 분리하고 첨부와 기저부를 분리한다. 각각 혈관조가 있는 측벽과 와우가 있는 기저막 부분으로 분리한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시킨다. 0.3% 트리톤-X (Triton-X)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알렉사 488 팔로이딘 (Alexa 488 phalloidin) 및 1%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을 준비한다. 메탄올로 용해된 알렉사 488 팔로이딘과 1% 소혈청알부민을 1:100이 되도록 섞는다. 이를 조직에 분주하고 셰이커 (shaker) 에서 한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세척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시킨다. 슬라이드 글라스에 벡터 (vector)를 한 방울 떨어뜨리고 분리한 조직을 분주 하여 얹은(mount) 후에 커버 글라스로 고정시킨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모든 와우 조직과 신장 조직은 같은 강도의 조건 하에서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청성뇌간반응검사 실시
주사 전, 주사 후 1주, 주사 후 2주, 주사 후 3주에 청성뇌간반응검사를 실시하였다. 청각의 평가를 위해 자극으로 4kHz, 8kHz, 16kHz, 32kHz 음 자극을 주고 청성뇌간반응 (ABR) 에서 5번 파형이 나타나는 가장 작은 자극 강도를 역치로 판정하였다. 약물 투여 시작 전 모든 군에서 기저청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시 이소프로렌 (isoflorane)을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 후 시행하였다.
통계 처리
청성뇌간반응검사 역치를 각 주파수 별로 합산, 실험군 1과 실험군 2에서의 청력 역치를 만-휘트니 테스트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기저부, 중간부, 첨부의 와우 부위별로 손상되지 않은 유모세포의 개수를 합산, 실험군 1과 실험군 2에서의 유모세포 개수를 만-휘트니 테스트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분석
조직 검사를 통하여 와우의 기저부, 중간부, 첨부에서 유모세포를 관찰한 결과 실험군 1에서는 모든 부위에서 유모세포의 전반적인 손상이 관찰되었다 (도 1 참조). 이와 대조적으로 실험군 2 에서는 모든 부위에서 유모세포의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2 참조).
또한 조직 검사에서 유모세포 계수를 한 결과 와우의 중간부와 기저부에서 실험군 1보다 실험군 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는 p<0.001) 더 많은 유모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참조).
또한 조직 검사에서 동결 절편으로 얻은 와우와 팽대부 조직의 H&E 염색 결과 실험군 1에서는 와우의 유모세포가 손실되어 있었고, 팽대부의 정상감각상피는 없어지고 공포형성(vacuolization)이 많이 일어난 것이 관찰되었다 (도 4 참조). 이와 대조적으로 실험군 2에서는 와우의 정상유모세포와 팽대부의 정상감각상피가 보존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도 5 참조).
청성뇌간반응검사 결과 분석
청성뇌간반응검사를 통하여 약물 투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청력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실험군 1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역치값이 증가하였으나, 실험군 2에서는 시간이 지나도 역치값의 변화가 미미하게 나타남을 보였다 (도 6 참조). 두 군간의 결과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는 p<0.001).
실시예 3: PEP1의 투여에 따른 이독성 청력 손상 여부 확인
실험 동물, 주사제의 실험군별 준비
실험을 위하여 C57/BL6 생쥐를 (4주-6주령, 몸무게 15-25g, 수컷) 준비하였다. PEP1을 농도별로 투여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합성된 PEP1과 대조군인 식염수를 준비하였다. PEP1은 기본 10mg/ml 농도를 1용액단위로 설정하여 준비하였다. 대조군 및 농도별 PEP1 투여군은 아래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준비하였다.
실험군 3: 대조군으로서, 식염수 투여 (생리식염수 10ml)
실험군 4: PEP1농도 0.1mg/kg 로 투여 (1용액단위 1ml + PBS 9ml)
실험군 5: PEP1농도 1mg/kg 로 투여 (10용액단위 1ml + PBS 9ml)
실험군 6: PEP1농도 10mg/kg 로 투여 (100용액단위 1ml + PBS 9ml)
실험군 7: PEP1농도 100mg/kg 로 투여 (PEP1 100mg + PBS 10ml)
상기 실험군 각각의 농도로 1회에 0.1ml/10g 마우스 중량의 투여량으로 복강주사(I.P.)하였다. 하루 2회 (오전 9시 및 오후 5시) 7일간 주사하였다.
조직 검사
실험 시작일로부터 2주 뒤에 동물들을 안락사시키고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조직 검사를 위한 샘플 채취를 실시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분석
조직 검사를 통하여 와우의 기저부, 중간부, 첨부에서 유모세포를 관찰한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와우의 유모세포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도 7참조).
또한 조직 검사에서 동결 절편으로 얻은 와우와 팽대부 조직을 H&E 염색한 것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인 실험군 2는 와우의 유모세포와 혈관저, 팽대부의 유모세포가 모두 정상소견을 보였다 (도 8 참조). 농도별 PEP1을 처리한 실험군 4 내지 7에서도 와우 조직을 관찰한 결과 와우 구조의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9 참조).
실시예 4: 두가지 이독성 약물에 의한 청력 손상에 대한 PEP1의 효능 확인 및 기존 약물과의 비교
실험 동물 모델 준비
실험을 위하여, 이독성(ototoxicity) 동물모델로 C57/BL6 생쥐 (5주령, 몸무게 15-25g, 암컷)에 복강내 투여로 카나마이신(1000mg/kg)을 투여하고 30분 이내로 푸로세미드(100mg/kg) 을 주사하여 준비하였다.
실험 대상 물질 투여 실험군 분류 및 준비, 반복실험
이독성 동물모델 24마리를 다음과 같이 실험군 및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명을 D1이라고 표기하였다(도10 참조).
실험군 1: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1, 2, 및 3일 차에 각각 PEP1(10mg/kg)을 피하투여한(subcutaneous injection) 이독성 동물모델 8마리
실험군 2: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1, 2, 및 3일 차에 각각 덱사메타손(15mg/kg)을 피하투여한 이독성 동물모델 8마리
대조군 1: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1, 2, 및 3일 차에 각각 식염수를 투여한 이독성 동물모델 8마리
추가로 이독성 동물모델에 이독성 약물을 투여하고 이독성이 진행되는 시간을 좀더 준 뒤에 실험 결과(즉, 실험 물질의 투여 시기별 효과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독성 동물모델 24마리를 다음과 같이 실험군 및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명을 D3이라고 표기하였다(도10 참조)
실험군 3: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3, 4 및 5일 차에 각각 PEP1(10mg/kg)을 피하투여한(subcutaneous injection) 이독성 동물모델 8마리
실험군 4: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3, 4 및 5일 차에 각각 덱사메타손(15mg/kg)을 피하투여한 이독성 동물모델 8마리
대조군 2: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3, 4 및 5일 차에 각각 식염수를 투여한 이독성 동물모델 8마리
청성뇌간반응검사 실시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전(0일차), 투여 후7일차, 투여 후 14일차에 청성뇌간반응검사를 실시하였다(실험 D1과 D3 모두 동일하게 검사를 실시). 청각의 평가를 위해 자극으로 8kHz, 16kHz, 32kHz 음 자극을 주고 청성뇌간반응 (ABR) 에서 5번 파형이 나타나는 가장 작은 자극 강도를 역치로 판정하였다. 약물 투여 시작 전 모든 군에서 기저청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시 이소프로렌 (isoflorane)을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 후 시행하였다.
조직 검사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14일차에 청성뇌간반응검사를 마친 마우스를 안락사 시킨 후 이낭(otic capsule)을 수확하여 공초점 현미경(confocal scanning microscopy)으로 유모세포(hair cells)의 손상 정도를 관찰하였다.
통계 처리
청성뇌관반응검사에서 측정된 청력 역치값 및 조직검사에서 측정된 유모세포의 각 군별 값들은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ANOVA 테스트가 사용되었다.
청성뇌간반응검사 결과 분석
실험 D1에서, 투여 약물에 따른 주파수별 청력변화를 관찰한 결과 PEP1을 투여한 실험군 1이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1에 비해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14일차에 측정한 청력 역치값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32kHz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8, 도 11참조).
실험 D3에서, 투여 약물에 따른 주파수별 청력변화를 관찰한 결과 PEP1을 투여한 실험군 3이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2 및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실험군 4에 비해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14일차에 측정한 청력 역치값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8kHz 및 16kHz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4, 도 12 참조)
실험 D1과 D3을 비교하여 PEP1의 투약시기에 따른 주파수별 청력변화를 관찰한 결과,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전, 투여 후 7일차, 투여 후 14일차에 각각 측정한 청력 역치값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13 참조).
조직 검사 결과 분석
실험 D1에서,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14일차에 실시한 조직검사를 통하여 와우의 기저부(basal), 중간부(Mid), 첨부(apex)에서 유모세포의 생존력(viability)을 관찰한 결과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1에서는 와우 기저부와 중간부, 첨부에서 유모세포의 전반적인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PEP1을 투여한 실험군 1 및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실험군 2에서는 정상적인 유모세포가 관찰되었다(도면 14 참조).
실험 D3에서,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14일차에 실시한 조직검사를 통하여 와우의 기저부, 중간부, 첨부에서 유모세포의 생존력을 관찰한 결과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2에서는 와우 기저부와 중간부, 첨부에서 유모세포의 전반적인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PEP1을 투여한 실험군 3 및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실험군 4에서는 정상적인 유모세포가 관찰되었다(도면 15 참조).
실험 D1에서, 유모세포 생존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와우 기저부와 중간부, 첨부에서 PEP1을 투여한 실험군 1의 정상유모세포 비율이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1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중간부와 기저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6). 또한 PEP1을 투여한 실험군 1의 정상유모세포 비율은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실험군 2에 비하여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도 16 참조).
실험 D3에서, 유모세포 생존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와우 기저부와 중간부, 첨부에서 PEP1을 투여한 실험군 3의 정상유모세포 비율이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 2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중간부와 기저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1). 또한 PEP1을 투여한 실험군 3의 정상유모세포 비율은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실험군 4에 비하여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도 17 참조).
실험 D1과 D3을 비교하여 PEP1의 투약시기에 따른 정상유모세포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카나마이신 및 푸로세미드 투여 후 14일차에 실시한 조직검사에 따른 정상유모세포의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도 18 참조).
실시예들의 결과를 종합하면, 실시예 2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PEP1이 청력 손상을 일으키는 약물로부터 청각 및 청각을 위한 관련 기관 및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실시예 3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PEP1이 청력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투여에 따른 청각 기관에 이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이독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2개 이상 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이독성 청력손상으로부터 PEP1의 투여가 청력을 보호하는 기능을 나타내며, 특히 기존의 청력손상 증상 개선제로 알려진 덱사메타손을 투여할 경우에 비하여 PEP1을 투여할 때가 더 우수한 청력손상 증상 방지 및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PEP1을 포함한 조성물은 청력 손상을 방지 및 개선하면서도 투여에 따른 독성이 없으며, 기존 약물에 비하여도 더 효과적이고 안전한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청력 손상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10> GEMVAX & KAEL CO., LTD. KIM, Sang Jae <120> A peptide for preventing hearing damag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130> OF16P039PCT <150> KR 10-2015-028410 <151> 2015-02-27 <160> 2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1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Glu Ala Arg Pro Ala Leu Leu Thr Ser Arg Leu Arg Phe Ile Pro Lys 1 5 10 15 <210> 2 <211> 113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Met Pro Arg Ala Pro Arg Cys Arg Ala Val Arg Ser Leu Leu Arg Ser 1 5 10 15 His Tyr Arg Glu Val Leu Pro Leu Ala Thr Phe Val Arg Arg Leu Gly 20 25 30 Pro Gln Gly Trp Arg Leu Val Gln Arg Gly Asp Pro Ala Ala Phe Arg 35 40 45 Ala Leu Val Ala Gln Cys Leu Val Cys Val Pro Trp Asp Ala Arg Pro 50 55 60 Pro Pro Ala Ala Pro Ser Phe Arg Gln Val Ser Cys Leu Lys Glu Leu 65 70 75 80 Val Ala Arg Val Leu Gln Arg Leu Cys Glu Arg Gly Ala Lys Asn Val 85 90 95 Leu Ala Phe Gly Phe Ala Leu Leu Asp Gly Ala Arg Gly Gly Pro Pro 100 105 110 Glu Ala Phe Thr Thr Ser Val Arg Ser Tyr Leu Pro Asn Thr Val Thr 115 120 125 Asp Ala Leu Arg Gly Ser Gly Ala Trp Gly Leu Leu Leu Arg Arg Val 130 135 140 Gly Asp Asp Val Leu Val His Leu Leu Ala Arg Cys Ala Leu Phe Val 145 150 155 160 Leu Val Ala Pro Ser Cys Ala Tyr Gln Val Cys Gly Pro Pro Leu Tyr 165 170 175 Gln Leu Gly Ala Ala Thr Gln Ala Arg Pro Pro Pro His Ala Ser Gly 180 185 190 Pro Arg Arg Arg Leu Gly Cys Glu Arg Ala Trp Asn His Ser Val Arg 195 200 205 Glu Ala Gly Val Pro Leu Gly Leu Pro Ala Pro Gly Ala Arg Arg Arg 210 215 220 Gly Gly Ser Ala Ser Arg Ser Leu Pro Leu Pro Lys Arg Pro Arg Arg 225 230 235 240 Gly Ala Ala Pro Glu Pro Glu Arg Thr Pro Val Gly Gln Gly Ser Trp 245 250 255 Ala His Pro Gly Arg Thr Arg Gly Pro Ser Asp Arg Gly Phe Cys Val 260 265 270 Val Ser Pro Ala Arg Pro Ala Glu Glu Ala Thr Ser Leu Glu Gly Ala 275 280 285 Leu Ser Gly Thr Arg His Ser His Pro Ser Val Gly Arg Gln His His 290 295 300 Ala Gly Pro Pro Ser Thr Ser Arg Pro Pro Arg Pro Trp Asp Thr Pro 305 310 315 320 Cys Pro Pro Val Tyr Ala Glu Thr Lys His Phe Leu Tyr Ser Ser Gly 325 330 335 Asp Lys Glu Gln Leu Arg Pro Ser Phe Leu Leu Ser Ser Leu Arg Pro 340 345 350 Ser Leu Thr Gly Ala Arg Arg Leu Val Glu Thr Ile Phe Leu Gly Ser 355 360 365 Arg Pro Trp Met Pro Gly Thr Pro Arg Arg Leu Pro Arg Leu Pro Gln 370 375 380 Arg Tyr Trp Gln Met Arg Pro Leu Phe Leu Glu Leu Leu Gly Asn His 385 390 395 400 Ala Gln Cys Pro Tyr Gly Val Leu Leu Lys Thr His Cys Pro Leu Arg 405 410 415 Ala Ala Val Thr Pro Ala Ala Gly Val Cys Ala Arg Glu Lys Pro Gln 420 425 430 Gly Ser Val Ala Ala Pro Glu Glu Glu Asp Thr Asp Pro Arg Arg Leu 435 440 445 Val Gln Leu Leu Arg Gln His Ser Ser Pro Trp Gln Val Tyr Gly Phe 450 455 460 Val Arg Ala Cys Leu Arg Arg Leu Val Pro Pro Gly Leu Trp Gly Ser 465 470 475 480 Arg His Asn Glu Arg Arg Phe Leu Arg Asn Thr Lys Lys Phe Ile Ser 485 490 495 Leu Gly Lys His Ala Lys Leu Ser Leu Gln Glu Leu Thr Trp Lys Met 500 505 510 Ser Val Arg Asp Cys Ala Trp Leu Arg Arg Ser Pro Gly Val Gly Cys 515 520 525 Val Pro Ala Ala Glu His Arg Leu Arg Glu Glu Ile Leu Ala Lys Phe 530 535 540 Leu His Trp Leu Met Ser Val Tyr Val Val Glu Leu Leu Arg Ser Phe 545 550 555 560 Phe Tyr Val Thr Glu Thr Thr Phe Gln Lys Asn Arg Leu Phe Phe Tyr 565 570 575 Arg Lys Ser Val Trp Ser Lys Leu Gln Ser Ile Gly Ile Arg Gln His 580 585 590 Leu Lys Arg Val Gln Leu Arg Glu Leu Ser Glu Ala Glu Val Arg Gln 595 600 605 His Arg Glu Ala Arg Pro Ala Leu Leu Thr Ser Arg Leu Arg Phe Ile 610 615 620 Pro Lys Pro Asp Gly Leu Arg Pro Ile Val Asn Met Asp Tyr Val Val 625 630 635 640 Gly Ala Arg Thr Phe Arg Arg Glu Lys Arg Ala Glu Arg Leu Thr Ser 645 650 655 Arg Val Lys Ala Leu Phe Ser Val Leu Asn Tyr Glu Arg Ala Arg Arg 660 665 670 Pro Gly Leu Leu Gly Ala Ser Val Leu Gly Leu Asp Asp Ile His Arg 675 680 685 Ala Trp Arg Thr Phe Val Leu Arg Val Arg Ala Gln Asp Pro Pro Pro 690 695 700 Glu Leu Tyr Phe Val Lys Val Asp Val Thr Gly Ala Tyr Asp Thr Ile 705 710 715 720 Pro Gln Asp Arg Leu Thr Glu Val Ile Ala Ser Ile Ile Lys Pro Gln 725 730 735 Asn Thr Tyr Cys Val Arg Arg Tyr Ala Val Val Gln Lys Ala Ala His 740 745 750 Gly His Val Arg Lys Ala Phe Lys Ser His Val Ser Thr Leu Thr Asp 755 760 765 Leu Gln Pro Tyr Met Arg Gln Phe Val Ala His Leu Gln Glu Thr Ser 770 775 780 Pro Leu Arg Asp Ala Val Val Ile Glu Gln Ser Ser Ser Leu Asn Glu 785 790 795 800 Ala Ser Ser Gly Leu Phe Asp Val Phe Leu Arg Phe Met Cys His His 805 810 815 Ala Val Arg Ile Arg Gly Lys Ser Tyr Val Gln Cys Gln Gly Ile Pro 820 825 830 Gln Gly Ser Ile Leu Ser Thr Leu Leu Cys Ser Leu Cys Tyr Gly Asp 835 840 845 Met Glu Asn Lys Leu Phe Ala Gly Ile Arg Arg Asp Gly Leu Leu Leu 850 855 860 Arg Leu Val Asp Asp Phe Leu Leu Val Thr Pro His Leu Thr His Ala 865 870 875 880 Lys Thr Phe Leu Arg Thr Leu Val Arg Gly Val Pro Glu Tyr Gly Cys 885 890 895 Val Val Asn Leu Arg Lys Thr Val Val Asn Phe Pro Val Glu Asp Glu 900 905 910 Ala Leu Gly Gly Thr Ala Phe Val Gln Met Pro Ala His Gly Leu Phe 915 920 925 Pro Trp Cys Gly Leu Leu Leu Asp Thr Arg Thr Leu Glu Val Gln Ser 930 935 940 Asp Tyr Ser Ser Tyr Ala Arg Thr Ser Ile Arg Ala Ser Leu Thr Phe 945 950 955 960 Asn Arg Gly Phe Lys Ala Gly Arg Asn Met Arg Arg Lys Leu Phe Gly 965 970 975 Val Leu Arg Leu Lys Cys His Ser Leu Phe Leu Asp Leu Gln Val Asn 980 985 990 Ser Leu Gln Thr Val Cys Thr Asn Ile Tyr Lys Ile Leu Leu Leu Gln 995 1000 1005 Ala Tyr Arg Phe His Ala Cys Val Leu Gln Leu Pro Phe His Gln Gln 1010 1015 1020 Val Trp Lys Asn Pro Thr Phe Phe Leu Arg Val Ile Ser Asp Thr Ala 1025 1030 1035 1040 Ser Leu Cys Tyr Ser Ile Leu Lys Ala Lys Asn Ala Gly Met Ser Leu 1045 1050 1055 Gly Ala Lys Gly Ala Ala Gly Pro Leu Pro Ser Glu Ala Val Gln Trp 1060 1065 1070 Leu Cys His Gln Ala Phe Leu Leu Lys Leu Thr Arg His Arg Val Thr 1075 1080 1085 Tyr Val Pro Leu Leu Gly Ser Leu Arg Thr Ala Gln Thr Gln Leu Ser 1090 1095 1100 Arg Lys Leu Pro Gly Thr Thr Leu Thr Ala Leu Glu Ala Ala Ala Asn 1105 1110 1115 1120 Pro Ala Leu Pro Ser Asp Phe Lys Thr Ile Leu Asp 1125 1130

Claims (14)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 손상은 이독성 약물의 투여 또는 이독성 약물 치료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독성 약물은 살리실산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항생제, 이뇨제, 화학치료제, 퀴닌, 점막보호제, 항암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이며, 상기 항암제는 백금계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는 카나마이신이며, 상기 백금계 항암제는 시스플라틴 또는 카보플라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뇨제는 푸로세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 손상은 내이의 말초기관 또는 신경조직의 퇴행성 변화에 따른 난청 또는 이명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9.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인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10.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11.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방법.
  12.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설명서를 포함하는 청력 손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키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는 상기 청력 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청력 손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키트.
  14. 삭제
KR1020177024619A 2015-02-27 2016-02-18 청력 손상 방어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36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410 2015-02-27
KR20150028410 2015-02-27
PCT/KR2016/001646 WO2016137162A1 (ko) 2015-02-27 2016-02-18 청력 손상 방어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072A KR20170115072A (ko) 2017-10-16
KR102636129B1 true KR102636129B1 (ko) 2024-02-14

Family

ID=5678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619A KR102636129B1 (ko) 2015-02-27 2016-02-18 청력 손상 방어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35582B2 (ko)
EP (1) EP3263122B1 (ko)
JP (1) JP6751097B2 (ko)
KR (1) KR102636129B1 (ko)
CN (1) CN107405380B (ko)
ES (1) ES2799511T3 (ko)
HK (1) HK1249013A1 (ko)
WO (1) WO2016137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6833B2 (ja) 2012-05-11 2019-02-06 ジェムバックス アンド カエル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抗炎症活性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WO2014010971A1 (ko) 2012-07-11 2014-01-16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세포 투과성 펩티드, 그를 포함한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한 조성물
CN104508485B (zh) 2013-06-07 2017-01-18 杰姆维克斯&凯尔有限公司 在癌症免疫疗法中有用的生物标记
EP3011967B1 (en) 2013-06-21 2020-06-17 Gemvax & Kael Co., Ltd. Hormone secretion regulator,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rmone secretion using same
CN105848667B (zh) 2013-11-22 2020-05-19 珍白斯凯尔有限公司 具有血管生成抑制活性的肽和包含所述肽的组合物
JP6367950B2 (ja) 2013-12-17 2018-08-01 ジェムバックス アンド カエル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前立腺癌治療用組成物
KR102373603B1 (ko) 2014-04-11 2022-03-14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섬유증 억제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5167067A1 (ko)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장기, 조직 또는 세포 이식용 조성물, 키트 및 이식 방법
KR102413243B1 (ko) 2014-12-23 2022-06-27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안질환 치료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US10835582B2 (en) 2015-02-27 2020-11-17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preventing hearing loss,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U2016235533B2 (en) 2015-03-20 2019-08-15 Inovio Pharmaceuticals, Inc. Vaccines with CD40 ligand as an adjuvant
JP6923453B2 (ja) 2015-07-02 2021-08-18 ジェムバックス アンド カエル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抗ウイルス活性効能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WO2017176087A1 (ko) 2016-04-07 2017-10-12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텔로머라제 활성 증가 및 텔로미어 연장 효능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0045980A1 (en) * 2018-08-28 2020-03-05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sensorineural hearing loss
CN109498648A (zh) * 2018-12-26 2019-03-22 中山大学附属第三医院(中山大学肝脏病医院) 一种用于构建小鼠顺铂内耳损伤模型的联合制剂及其构建的模型

Family Cites Families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07799B (en) 1991-07-24 1993-06-28 Beres Export Import Rt Process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fluencing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for treating chronic pain symptomes of degenerative locomotor disorders or tumors, and for treating mucoviscidosis
CA2261263C (en) 1996-07-22 2008-10-07 The Victoria University Of Manchester Use of sex steroid function modulators to treat wounds and fibrotic disorders
US6610839B1 (en) 1997-08-14 2003-08-26 Geron Corporation Promoter for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TR199902800T2 (xx) 1997-05-15 2000-04-21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Ka�eksiyi tedavi edici madde.
JP2002514928A (ja) 1997-07-01 2002-05-21 キャンビア バイオシステムス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脊椎動物テロメラーゼ遺伝子およびタンパク質ならびにその使用
US7030211B1 (en) 1998-07-08 2006-04-18 Gemvax As Antigenic peptides derived from telomerase
US6378526B1 (en) 1998-08-03 2002-04-30 Insite Vision, Incorporated Methods of ophthalmic administration
IL132406A0 (en) 1998-10-21 2001-03-19 Pfizer Prod Inc Treatment of bph with cgmp elevators
US6815426B2 (en) 2001-02-16 2004-11-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ngiogenesis-inhibitory tripeptides, compositions and their methods of use
JP4228700B2 (ja) 2001-04-10 2009-02-25 日本新薬株式会社 慢性関節リウマチの治療剤
IL158866A0 (en) 2001-05-16 2004-05-12 Yeda Res & Dev Use of il-18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sepsis
US20030143228A1 (en) 2001-10-29 2003-07-31 Baylor College Of Medicine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as a class-II restricted tumor-associated antigen
US7786084B2 (en) 2001-12-21 2010-08-31 Biotempt B.V. Treatment of burns
BR0309095A (pt) 2002-04-10 2005-02-09 Applied Research Systems Uso de osteoprotegerina para o tratamento e/ou prevenção de doença fibrótica
KR20050020987A (ko) 2002-06-12 2005-03-04 바이오겐 아이덱 엠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하여 허혈 재관류 손상을치료하는 방법
US20080025986A1 (en) 2003-06-06 2008-01-31 Ozes Osman N Methods of Treating Tnf-Mediated Disorders
CN1812805A (zh) 2003-06-25 2006-08-02 坎巴斯有限公司 具有免疫调节活性、抗炎活性和抗病毒活性的肽和肽模仿物
KR20050040517A (ko) 2003-10-29 2005-05-03 주식회사 오리엔트 허혈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생쥐
EP1530965B1 (en) 2003-11-11 2006-03-08 Mattern, Udo Controlled release delivery system of sexual hormones for nasal application
GB0426146D0 (en) 2004-11-29 2004-12-29 Bioxell Spa Therapeutic peptides and method
EP2374508A1 (en) 2005-03-21 2011-10-12 Vicus Therapeutics SPE 1, LLC Combination of angiotension receptor blockers (ARB) and NSAIDs for use in ameliorating cachexia
US20090269335A1 (en) 2005-11-25 2009-10-29 Keio University Therapeutic agent for prostate cancer
CA2633063A1 (en) 2005-12-16 2007-06-21 Diatos Cell penetrating peptide conjugates for delivering of nucleic acids intocells
EP1991560B1 (en) 2006-02-20 2018-04-04 Ewh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Peptide having cell membrane penetrating activity
JP2009544688A (ja) 2006-07-24 2009-12-17 フォーヒューマ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虚血性疾患の緩和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れを伝達するための方法
AU2008211854C1 (en) 2007-01-29 2014-01-23 Procell Therapeutics Inc. Novel 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and uses thereof
MY150234A (en) 2007-06-29 2013-12-31 Ahn Gook Pharmaceutical Company Ltd Predictive markers for ovarian cancer
MX2010001684A (es) 2007-08-15 2010-04-21 Amunix Inc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modificar propiedades de polipeptidos biologicamente activos.
US8362209B2 (en) 2007-08-23 2013-01-29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istry Of New Jersey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variant
EP2212696B1 (en) 2007-10-25 2013-12-04 Genelu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iral therapy
GB2455539B (en) 2007-12-12 2012-01-18 Cambridge Entpr Lt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and combinations
TW200946541A (en) 2008-03-27 2009-11-16 Idenix Pharmaceuticals Inc Solid forms of an anti-HIV phosphoindole compound
PL2310044T3 (pl) 2008-06-16 2017-04-28 Mediolanum Farmaceutici S.P.A. Immunoterapia przeciwnowotworowa
US8252282B2 (en) 2008-06-19 2012-08-28 University Of Medicine & Dentistry Of New Jersey Nuclear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variant
ES2334315B1 (es) 2008-07-29 2011-02-28 Universitat Pompeu Fabra Peptidos con capacidad de penetracion celular y sus usos.
EP2331511A1 (en) 2008-08-20 2011-06-15 Schering Corporation Ethynyl-substituted pyridine and pyrim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reating viral infections
US20110183925A1 (en) 2008-09-22 2011-07-28 Nisshin Pharma Inc. Anti-inflammatory peptide
KR101169030B1 (ko) 2009-01-21 2012-07-26 애니젠 주식회사 신규한 세포막 투과 도메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내 전달 시스템
EP2428211A4 (en) 2009-05-07 2013-04-03 Moon & J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AL DAMAGE AND NEUROLOGICAL DISEASES
EP2251028A1 (en) 2009-05-12 2010-11-17 Biocompatibles Uk Ltd. Treatment of eye diseases using encapsulated cells encoding and secreting an anti-angiogenic factor and/or a neuroprotective factor
US7928067B2 (en) 2009-05-14 2011-04-19 Ischemix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schemia and ischemia-reperfusion injury
KR101783291B1 (ko) 2009-05-20 2017-09-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세포막 투과성 펩티드
KR20110057049A (ko) 2009-11-23 2011-05-31 박의신 기능성 전립선염 치료제
KR20110062943A (ko)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종근당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
US9200277B2 (en) 2010-01-11 2015-12-01 Curna, Inc. Treatment of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related diseases by inhibition of natural antisense transcript to SHBG
DK2536830T3 (da) 2010-02-16 2019-10-21 Ultimovacs As Polypeptider
FR2960542B1 (fr) 2010-05-27 2012-08-17 Esther Suzy Arlette Fellous Peptide en tant que medicament, en particulier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KR101263212B1 (ko) 2010-05-28 2013-05-10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세포막 투과성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WO2011150493A1 (en) 2010-05-30 2011-12-08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Mitochondrial penetrating peptides as carriers for antimicrobials
WO2011155803A2 (ko) 2010-06-11 2011-1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청각보호 작용을 하는 신규 화합물
KR101348284B1 (ko) 2010-09-09 2014-01-03 주식회사 나이벡 인간 유래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와 생리활성 펩타이드 결합체 및 그 용도
US20120208755A1 (en) 2011-02-16 2012-08-16 Intarcia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Cancers
KR20120121196A (ko) 2011-04-26 2012-11-05 주식회사 글루칸 관절염 치료제
KR101284772B1 (ko) 2011-05-24 2013-07-17 정종문 항염증, 진통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20133661A (ko) 2011-05-31 2012-12-11 주식회사 바이오포트코리아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1288053B1 (ko) 2011-07-04 2013-07-2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필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내이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61445B1 (ko) 2011-12-26 2014-02-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펩타이드, 5-플루오로우라실, 및 성숙수지상세포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5577472B2 (ja) 2012-02-10 2014-08-20 医療法人社団博心厚生会 単球増殖剤、単球増殖用培地、単球の製造方法、樹状細胞の製造方法、及び樹状細胞ワクチンの製造方法
WO2013135266A1 (en) 2012-03-12 2013-09-19 Gemvax As Treatment of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by active immunotherapy
JP6466833B2 (ja) 2012-05-11 2019-02-06 ジェムバックス アンド カエル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抗炎症活性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WO2013169060A1 (ko) 2012-05-11 2013-11-14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10971A1 (ko) 2012-07-11 2014-01-16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세포 투과성 펩티드, 그를 포함한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한 조성물
US20150125438A1 (en) 2012-07-20 2015-05-07 Sang Jae Kim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578890B1 (ko) 2012-09-19 2023-09-18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세포 투과성 펩티드, 그를 포함한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한 조성물
KR102038487B1 (ko) 2012-09-19 2019-10-30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텔로머라제 펩티드를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EP2899201B1 (en) 2012-09-19 2019-09-11 Gemvax & Kael Co., Ltd. Cell penetrating peptide, conjugate comprising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conjugate
US9631184B2 (en) 2012-09-19 2017-04-25 Gemvax & Kael Co., Ltd. Cell penetrating peptide, conjugate comprising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conjugate
BR112015006176B1 (pt) * 2012-09-21 2023-04-18 Intensity Therapeutics, Inc Uso de um agente terapêutico e de um agente de intensificação de permeação intracelular
CN102875657B (zh) * 2012-10-22 2014-04-09 南京工业大学 一种制备端粒酶多肽疫苗的方法
KR20140104288A (ko)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Tnf-알파 저해제
PT2959005T (pt) * 2013-02-22 2021-12-30 Univ Leland Stanford Junior Utilização médica relacionada com extensão de telómero
JP6474786B2 (ja) 2013-04-19 2019-02-27 ジェムバックス アンド カエル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虚血性損傷の治療及び予防用の組成物
CN104508485B (zh) 2013-06-07 2017-01-18 杰姆维克斯&凯尔有限公司 在癌症免疫疗法中有用的生物标记
EP3011967B1 (en) 2013-06-21 2020-06-17 Gemvax & Kael Co., Ltd. Hormone secretion regulator,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rmone secretion using same
ES2773296T3 (es) 2013-10-23 2020-07-10 Gemvax & Kael Co Ltd Composición para tratar y prevenir la hiperplasia prostática benigna
CN105848667B (zh) 2013-11-22 2020-05-19 珍白斯凯尔有限公司 具有血管生成抑制活性的肽和包含所述肽的组合物
JP6367950B2 (ja) 2013-12-17 2018-08-01 ジェムバックス アンド カエル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前立腺癌治療用組成物
KR102373603B1 (ko) 2014-04-11 2022-03-14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섬유증 억제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5167067A1 (ko)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장기, 조직 또는 세포 이식용 조성물, 키트 및 이식 방법
KR102413243B1 (ko) 2014-12-23 2022-06-27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안질환 치료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US10835582B2 (en) 2015-02-27 2020-11-17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preventing hearing loss,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JP6923453B2 (ja) 2015-07-02 2021-08-18 ジェムバックス アンド カエル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抗ウイルス活性効能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CN108431021B (zh) 2015-11-03 2021-09-07 珍白斯凯尔有限公司 具有神经元损失预防和再生效果的肽以及包含该肽的组合物
KR20170054310A (ko) 2015-11-09 2017-05-17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텔로머라제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수지상세포 치료제 및 면역 치료제, 및 이를 사용하는 치료방법
WO2017176087A1 (ko) 2016-04-07 2017-10-12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텔로머라제 활성 증가 및 텔로미어 연장 효능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3122A4 (en) 2018-09-12
JP6751097B2 (ja) 2020-09-02
ES2799511T3 (es) 2020-12-18
JP2018512387A (ja) 2018-05-17
CN107405380A (zh) 2017-11-28
WO2016137162A1 (ko) 2016-09-01
US10835582B2 (en) 2020-11-17
CN107405380B (zh) 2021-04-20
HK1249013A1 (zh) 2018-10-26
KR20170115072A (ko) 2017-10-16
EP3263122B1 (en) 2020-05-06
US20180036384A1 (en) 2018-02-08
EP3263122A1 (en)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129B1 (ko) 청력 손상 방어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36084B1 (ko)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EP3372613A1 (en) Peptide having neuronal loss prevention and regeneration effects,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9572858B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KR102314231B1 (ko) 전립선 암 치료용 조성물
CN107106651B (zh) 用于治疗眼病的肽和包含所述肽的用于治疗眼病的组合物
EP3441082B1 (en) Peptide having effects of increasing telomerase activity and extending telomer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2499918B1 (ko)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치료제
JP6169607B2 (ja) 抗腫瘍アジュバント療法
CN108350046B (zh) Vdac1衍生肽的类似物
KR20220076375A (ko) 신규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497793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glioblastoma
KR20240045898A (ko) 4r 타우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펩티드
WO2017146528A1 (ko)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 완화용 신규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60140147A (ko) 심장 허혈후 재관류 손상에 의한 심장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60040553A (ko) 다발성 경화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